KR101962197B1 - 샤워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샤워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197B1
KR101962197B1 KR1020180116760A KR20180116760A KR101962197B1 KR 101962197 B1 KR101962197 B1 KR 101962197B1 KR 1020180116760 A KR1020180116760 A KR 1020180116760A KR 20180116760 A KR20180116760 A KR 20180116760A KR 101962197 B1 KR101962197 B1 KR 101962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adjusting
hole
mounting bracket
sh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은
Original Assignee
양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은 filed Critical 양성은
Priority to KR1020180116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6Devices for suspending or supporting the supply pipe or supply hose of a shower-bath
    • E03C1/066Devices for suspending or supporting the supply pipe or supply hose of a shower-bath allowing height adjustment of shower 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샤워기 거치대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샤워기 거치대는, 샤워 헤드가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는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 상기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의 반대편에 배치되며, 소정의 설치벽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설치용 브래킷; 일측이 상기 설치용 브래킷에 결합되는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 상기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와 함께 상기 샤워 헤드의 사용 위치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 및 상기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와 상기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가능식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샤워기 거치대{Shower holder}
본 발명은, 샤워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샤워 헤드를 원하는 방향과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해당 위치에서의 고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샤워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샤워 헤드가 거치되는 샤워기 거치대는 욕실 벽면의 일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종전의 고정식은 샤워 헤드를 다양한 용도나 방식으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예컨대, 아이 또는 강아지를 목욕시키거나 손빨래를 할 때와 같이 낮은 위치에서 대야에 물을 받아 사용하고자 할 때, 샤워 헤드를 고정시킬 수 없어 상당히 불편할 수 있다.
이에, 도 1처럼 이동이 가능한 샤워기 거치대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샤워기 거치대는 이동식으로서 욕실 벽면에 대하여 흡착판(14)의 위치를 바꾸면서 샤워 헤드를 이동시키는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도 1과 같은 구조의 종래기술은 샤워 헤드의 전체 위치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불과할 뿐만 아니라 매번 흡착판(14)을 떼었다 붙였다 해야 해서 작동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흡착판(14)의 위치를 바꾸는 방식으로 샤워 헤드의 위치를 조절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작동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즉 머리를 감는 중에는 흡착판(14)의 위치를 바꾸는 작업이 불편할 수밖에 없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키와 덩치가 작은 아이가 사용하거나 혹은 앉은 자세에서 머리를 감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샤워 헤드를 원하는 방향과 위치로 이동(회전)시킬 경우, 샤워 헤드가 그 상태 그대로 유지되지 못하고 임의로 이동되거나 움직일 수밖에 없는 구조라서 사용이 매우 불편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출원인은 지난번 특허출원을 통해 이러한 사항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출원한 바 있으며, 현재 심사 중에 있다. 다만, 이번에는 지난번 출원된 기술을 좀 더 개선한 샤워기 거치대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12897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2-000088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4-000727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4-000916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샤워 헤드를 원하는 방향과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해당 위치에서의 고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샤워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샤워 헤드가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는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 상기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의 반대편에 배치되며, 소정의 설치벽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설치용 브래킷; 일측이 상기 설치용 브래킷에 결합되는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 상기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와 함께 상기 샤워 헤드의 사용 위치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 및 상기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와 상기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가능식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거치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는, 상기 설치용 브래킷에 고정되는 고정 베이스; 상기 고정 베이스의 일측에서 상기 고정 베이스의 판면에 교차되게 연장되는 네크부; 및 상기 네크부의 단부에 형성되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각도 조절홀이 마련되는 고정 원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는, 상기 고정 원판부와 형합되는 회전 원판부; 상기 회전 원판부에 마련되며, 상기 각도 조절홀들과의 상호작용으로 상기 고정 원판부에 대한 상기 회전 원판부의 회전을 구속시키는 다수의 회전 구속부; 및 상기 회전 원판부의 일측에 연결되되 상기 회전 가능식 연결부와 결합되는 결합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의 고정 베이스가 제1 체결부에 의해 상기 설치용 브래킷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체결부에 의해 상기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의 고정 원판부와 상기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의 회전 원판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각도 조절홀의 개수가 상기 회전 구속부의 개수보다 적어도 2배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회전 구속부 각각은, 상기 회전 원판부의 일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되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회전 구속 하우징; 상기 회전 구속 하우징 내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각도 조절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고정 원판부에 대한 상기 회전 원판부의 회전을 구속시키는 볼(ball); 및 상기 회전 구속 하우징 내에 마련되며, 상기 볼이 상기 각도 조절홀로 삽입되게 탄성바이어스되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용 브래킷, 상기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 및 상기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에 연결되되 상기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의 각도 조절이 유연해지도록 보조하는 토션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가능식 연결부는 메인 브래킷에 라쳇이 센터축을 축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되 라쳇의 일부에 기어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기어의 주변으로 걸고리를 결합시키되 걸고리의 일측에는 기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걸이부가 형성하되, 상기 회전 가능식 연결부를 회전시키면 그 힘으로 라쳇이 회전되면서 라쳇의 기어가 걸고리의 걸이부에 걸리도록 하여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샤워 헤드가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되, 스프링 자바라 형태로 형성되는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 및 상기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의 반대편에 배치되며, 소정의 설치벽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설치용 브래킷; 를 포함하는 샤워기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걸이와 설치용 브래킷을 연결하여 샤워기가 절곡된 형태 및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조절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에 구슬 형태, 다각 형태 및 톱니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걸림구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각 걸림구 사이에 연결부가 연결되는 체인이 구비되며, 상기 설치용 브래킷의 판면에 원호 형태로 연통로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연통로에 큰 직경을 갖되, 상기 걸림구의 크기 및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통과홀과 상기 통과홀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고정홀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교번으로 형성되고, 상기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를 일정 위치로 절곡시켜 위치시킨 다음,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에 연결되는 체인의 걸림구를 설치용 브래킷의 통과홀로 삽입하여 통과시켜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의 위치 및 거리를 조정한 후 상기 체인의 연결부로 상기 통과홀에 인접한 연통로를 통과하여 고정홀에 위치시키고, 상기 체인의 걸림구가 고정홀의 하부면에 맞닿아 걸리면서 고정되어 샤워기가 절곡된 형태 및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설치용 브래킷에 원호 형태의 홀을 형성하되, 원호 형태의 홀이 내벽 일측에 거치홈을 형성시키고, 빗 형태의 갈고리를 원호 형태의 홀에 배치시켜 원호 형태의 홀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되, 갈고리에 형성되는 치형부 중 하나가 거치홈에 거치됨에 따라 샤워기가 절곡된 형태 및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샤워 헤드를 원하는 방향과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해당 위치에서의 고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동작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설치용 브래킷 영역의 제품 이미지이다.
도 6은 도 5에서 토션 스프링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회전 구속부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에 적용되는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와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의 분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조립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에 적용될 수 있는 제3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에 적용되는 설치용 브래킷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체인의 변형예들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설치용 브래킷 및 체인이 설치된 샤워기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에 적용될 수 있는 제5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도 18의 변형예이다.
도 20 및 도 21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중공 사각덕트의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동작도, 도 4는 도 3의 A 영역의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설치용 브래킷 영역의 제품 이미지, 도 6은 도 5에서 토션 스프링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7은 도 5의 정면도, 도 8은 도 6의 정면도, 도 9는 도 6의 배면도, 도 10은 도 6의 B 영역의 확대도, 그리고 도 11 및 도 12는 각각 회전 구속부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100)는 샤워 헤드(10)를 원하는 방향과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해당 위치에서의 고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100)는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110), 설치용 브래킷(130),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140),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150), 그리고 회전 가능식 연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110)는 샤워 헤드(10)가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는 장소를 이룬다.
도 2에 확대 도시된 것처럼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110)는 회전 가능식 연결부(120)가 결합되는 걸이 헤드부(111)와, 걸이 헤드부(111)의 일측에 고리 형태로 마련되는 걸이용 고리부(112)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걸이용 고리부(112)에 샤워 헤드(10)를 끼우는 형태로 샤워 헤드(1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회전 가능식 연결부(120)에 대해 먼저 살펴보면, 회전 가능식 연결부(120)는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150)와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11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모든 부분을 가리킨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회전 가능식 연결부(120)는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150) 측으로부터 제1 연결대(121), 제1 구즈넥 파이프(122), 제2 연결대(123), 제2 구즈넥 파이프(124)의 구조를 갖는다. 제1 및 제2 연결대(121,123)는 일정한 길이와 강성 기능을 제공하고, 제1 및 제2 구즈넥 파이프(122,124)는 휘어짐에 의한 각도 조절 기능을 제공한다.
물론, 회전 가능식 연결부(120)가 반드시 제1 연결대(121), 제1 구즈넥 파이프(122), 제2 연결대(123), 제2 구즈넥 파이프(124)의 구조를 가져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형태의 조합으로도 얼마든지 회전 가능식 연결부(120)를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내용대로 예컨대, 스프링 봉, 파이프, 자바라, 코브라 등을 모두 혹은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방식으로 회전 가능식 연결부(120)를 조합할 수도 있다. 이때, 파이프, 자바라, 코브라 등으로 이루어질 경우, 그 내부에는 동봉, 신주봉, 알루미늄봉, 연질봉, 스테인레스봉, 합성수지봉, 동파이프, 신주파이프, 알루미늄파이프, 연질파이프, 스테인레스파이프, 합성수지재파이프, 고무호스, 주름관, 압축스프링, 인장스프링, 토션스프링, 와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강도유지부재(미도시)가 내삽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그 외부에는 동파이프, 신주파이프, 알루미늄파이프, 연질파이프, 스테인레스파이프, 합성수지재파이프, 고무호스, 주름관, 압축스프링, 인장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강도유지튜브(미도시)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설치용 브래킷(130)은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110)의 반대편에 배치되며, 소정의 설치벽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물이다.
설치용 브래킷(130)이 설치벽체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이를 매개로 해서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110),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140),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150), 그리고 회전 가능식 연결부(120) 등의 위치별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설치용 브래킷(130)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설치용 브래킷(130)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설치용 브래킷(130)의 단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조립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더미 조립부(135)에 비누각 등의 구성물이 조립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140)는 일측이 설치용 브래킷(130)에 결합되는 구조물이다.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150)와 달리,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140)는 위치 고정된 상태를 취한다.
이러한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140)는 설치용 브래킷(130)에 고정되는 고정 베이스(141)와, 고정 베이스(141)의 일측에서 고정 베이스(141)의 판면에 교차되게 연장되는 네크부(142)와, 네크부(142)의 단부에 형성되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각도 조절홀(144)이 마련되는 고정 원판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171)에 의해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140)의 고정 베이스(141)가 설치용 브래킷(1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150)는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14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140)와 함께 샤워 헤드(10)의 사용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140)와 달리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150)는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150)는 고정 원판부(143)와 형합되는 회전 원판부(151)와, 회전 원판부(151)에 마련되며, 각도 조절홀(144)들과의 상호작용으로 고정 원판부(143)에 대한 회전 원판부(151)의 회전을 구속시키는 다수의 회전 구속부(160)와, 회전 원판부(151)의 일측에 연결되되 회전 가능식 연결부(120)와 결합되는 결합 날개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나사에 의해 결합 날개부(152)가 회전 가능식 연결부(120)의 제1 연결대(121)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체결부(172)에 의해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140)의 고정 원판부(143)와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150)의 회전 원판부(15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설치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150)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은 조작을 위하여 각도 조절홀(144)들과 상호작용하는 다수의 회전 구속부(160)가 마련된다. 이때, 각도 조절홀(144)의 개수가 회전 구속부(160)의 개수보다 적어도 2배 이상 많게 형성된다. 따라서 미세한 각도 조정이 가능해질 수 있다.
다수의 회전 구속부(160) 각각은 회전 원판부(151)의 일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되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162)이 형성되는 회전 구속 하우징(161)과, 회전 구속 하우징(161) 내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각도 조절홀(144)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고정 원판부(143)에 대한 회전 원판부(151)의 회전을 구속시키는 볼(163, ball)과, 회전 구속 하우징(161) 내에 마련되며, 볼(163)이 각도 조절홀(144)로 삽입되게 탄성바이어스되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16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샤워 헤드(10)에 대한 각도 조절을 위하여 회전 가능식 연결부(120)를 통해 회전 원판부(151)를 도 10의 R1 방향 혹은 R2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도 11에서 도 12처럼 볼(163)이 각도 조절홀(144)에 배치되는 경우, 그 각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특히,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볼(163)의 개수보다 각도 조절홀(144)의 개수가 2배수 또는 3배수 이상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세밀한 각도 조절이 가능해질 수 있다.
특히, 설치용 브래킷(130),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140) 및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150)에 토션 스프링(180)이 적용됨에 따라 각도 조절 시 부드럽게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또한 볼(163)의 동작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샤워 헤드(10)를 원하는 방향과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해당 위치에서의 고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에 적용되는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와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의 분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조립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 역시,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240)와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250)를 포함하며, 이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샤워 헤드(10)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240)는 고정 원판부(243)와, 고정 원판부(243)의 둘레벽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각도 조절홈(24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홀(hole) 대신 같은 개념의 홈(groove)이 적용되는데, 이때 각도 조절홈(244)들은 고정 원판부(243)의 둘레벽면, 즉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대응될 수 있도록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250)는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은 차폐되는 회전 원판부(251)와, 각도 조절홈(244)들 중 일부에 대응되도록 회전 원판부(251)의 단부에 마련되되 볼(263)을 포함하는 다수의 회전 구속부(260)를 포함한다. 회전 구속부(260)의 구조와 작용은 도 11 및 도 12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13처럼 분리된 상태에서 도 14처럼 조립한 후,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250)를 회전시키면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250)의 볼(263)이 각도 조절홈(244)들 중 선택된 곳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샤워 헤드(10)를 원하는 방향과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해당 위치에서의 고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에 적용될 수 있는 제3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가능식 연결부(620)의 회전 구동을 위하여 도 15와 같은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즉, 메인 브래킷(670)에 라쳇(650)이 센터축(671)을 축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되, 라쳇(650)의 일부에 기어(651)가 형성되도록 하고, 기어(651)의 주변으로 걸고리(660)를 결합시키되 걸고리(660)의 일측에는 기어(65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걸이부(661)가 형성된다.
이에, 회전 가능식 연결부(620)를 회전시키면 그 힘으로 라쳇(650)이 회전되면서 라쳇(650)의 기어(651)가 걸고리(660)의 걸이부(661)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회전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라켓 방식으로 회전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메인 브래킷(67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식 연결부(620) 및 상기 회전 가능식 연결부(620)에 구비되는 샤워기 거치대를 상부로 회전시킬 경우, 부드럽게 회동되고, 사용자의 손, 발을 씻거나, 반려견 및 반려묘 등을 샤워시키기 위하여 샤워기 거치대를 하부로 회전시킬 경우, 원하는 각도만큼만 회동시킨 후 고정됨으로써 샤워기 거치대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 및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어(651)에 걸고리(660)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푸쉬버튼(미도시)이 더 구비되어 기어(651)에 결합된 걸고리(660)의 단부를 가압하여 기어(651)와 걸고리(660)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기어(651)에서 걸고리(660)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라쳇 방식으로 회전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때의 라쳇 방식은 기어의 외부에서 기어를 핀으로 잡아주기 위하여 핀을 갖는 걸고리가 구비되어 회전을 조절하는 외부형 라쳇, 원형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기어 형태의 홈이 형성되고, 홈 내에 핀을 갖는 걸고리가 구비되어 회전을 조절하는 내부형 라쳇 및 원판형태로 형성되되, 일측면에 다수개의 돌부가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각 돌부가 핀을 갖는 걸고리에 의해 걸리면서 회전을 조절하는 접시형 라쳇 등 다양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라쳇(650)에 그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측면에만 다수개의 홀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홀 중에 특정 홀에 핀 또는 볼을 결합시키거나, 특정 홀에 결합된 핀 또는 볼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라쳇(650)의 회전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또한, 기타 공구 및 자전거에 적용되는 라쳇 방식으로 본 발명에 의한 샤워기 거치대의 회전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
(제4 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에 적용되는 설치용 브래킷의 평면도이고, 도 17은 체인의 변형예들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설치용 브래킷 및 체인이 설치된 샤워기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110)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 자바라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1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 자바라 형태의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110) 하단에 설치용 브래킷(330)이 설치되되, 상기 설치용 브래킷(330)은 판면에 연통로(333)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연통로(333)에 큰 직경을 갖는 통과홀(331)와 상기 통과홀(331)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고정홀(332)이 원호 형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관통형성된다.
이때, 상기 통과홀(331)과 고정홀(332)는 교번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도 1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자바라 형태의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110) 하부에는 상기 설치용 브래킷(330)의 연통로(333), 통과홀(331) 및 고정홀(332)에 결합 및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 및 고정되도록 구슬 형태(a), 다각 형태(b), 톱니 형태(c) 등의 걸림구(391)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각 걸림구(391) 사이에 연결부(393)가 연결되어 연장되는 형태의 체인(39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통과홀(331)의 크기 및 직경은 구슬 형태(a), 다각 형태(b), 톱니 형태(c) 등으로 형성되는 체인(390)의 걸림구(391)가 통과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걸림구(391)의 크기 및 직경과 동일 또는 조금 크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332)은 체인(390)의 걸림구(391)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걸림구(391)의 크기 및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연통로(333)는 체인(390)의 각 걸림구(391)를 연결하는 연결부(393)가 이동되도록 상기 연결부(393)의 크기 및 직경과 동일 또는 조금 크게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가 스프링 자바라 형태의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110)를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조절할 경우, 탄성에 의해 스프링 자바라 형태의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110)가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고, 조절된 위치에 위치 및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18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자바라 형태의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11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절곡시킨 다음,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체인(390)의 걸림구(391)를 설치용 브래킷(330)의 연통로(333)에 형성되는 통과홀(331)로 삽입하여 통과시켜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110)의 위치 및 거리를 조정한 후 상기 체인(390)의 연결부(393)로 상기 통과홀(331)에 인접한 연통로(333)를 통과하여 고정홀(332)에 위치시키고, 상기 체인(390)의 걸림구(391)가 상기 걸림구(391)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 및 직경을 갖는 고정홀(332)의 하부면에 맞닿아 걸리면서 고정됨으로써 샤워기 거치대가 절곡된 형태 및 위치에 고정된다.
이렇게, 샤워 헤드(10)를 원하는 위치로 절곡시킨 후 그 위치에 예컨대, 구슬 형태(a)로 걸림구(391)가 형성되는 체인(390)을 위치시킬 경우, 고정홀(332)에 걸림구(391)가 걸려서 고정되며, 샤워 헤드(10)를 아래 혹은 위 방향으로 위치시킬 경우,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걸림구(391) 중 상단 또는 하단의 걸림구(391)를 통과홀(331)에 삽입한 후 연통로(333)로 이동시켜 고정홀(332)에 위치시킴으로써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치용 브래킷(330) 연통로(333), 통과홀(331) 및 고정홀(332)이 방사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110)를 상, 하 방향 및 좌, 우 방향으로 다양하게 절곡하여 변경위치시킬 수 있으며,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110)의 절곡된 위치 및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근접하는 통과홀(331) 및 고정홀(332)에 걸림구(391)를 삽입 및 결합을 통하여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110)를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샤워 헤드(10)를 원하는 방향과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해당 위치에서의 고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누곽 등을 설치용 브래킷(330)과 같이 제작한 후 상기한 바와 같이, 걸림구(391)의 상단 또는 걸림구의 하단을 통과홀(331)에 결합시킨 후 고정홀(332)을 통해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여기서, 상기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110)가 스프링 자바라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 그 내부에는 동봉, 신주봉, 알루미늄봉, 연질봉, 스테인레스봉, 합성수지봉, 동파이프, 신주파이프, 알루미늄파이프, 연질파이프, 스테인레스파이프, 합성수지재파이프, 고무호스, 주름관, 압축스프링, 인장스프링, 토션스프링, 와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강도유지부재(미도시)가 내삽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그 외부에는 동파이프, 신주파이프, 알루미늄파이프, 연질파이프, 스테인레스파이프, 합성수지재파이프, 고무호스, 주름관, 압축스프링, 인장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강도유지튜브(미도시)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제5 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에 적용될 수 있는 제5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도 18의 변형예이다.
샤워기가 절곡된 형태 및 위치에 고정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19와 같은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알아보면, 설치용 브래킷(530)에 원호 형태의 홀(531)을 형성하되 원호 형태의 홀(531)이 내벽 일측에 거치홈(532)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예컨대 빗 형태의 갈고리(535)를 원호 형태의 홀(531)에 배치시켜 원호 형태의 홀(531)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되 갈고리(535)에 형성되는 치형부(536) 중 하나가 거치홈(532)에 거치됨에 따라 샤워기가 절곡된 형태 및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빗 형태의 상기 갈고리(535)는 스프링(미도시) 등에 의해 샤워기 거치대에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도 16 내지 도 18의 걸림구(391)의 작용과 동일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20 및 도 21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중공 사각덕트의 예시도이다.
전술한 각 실시예의 회전 가능식 연결부(120) 중에서 일부는 도 20 및 도 21과 같은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술한 제1 내지 5실시예의 회전 가능식 연결부(120)가 원통형 파이프의 다단 절첩식 구조였다면 이는 본 실시예처럼 사각 파이프의 다단 절첩식 구조로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20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회전 가능식 연결부(420)가 3단이라고 가정할 때, 제1 내지 제3 사각 파이프(421,422,423)가 순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되어 이웃된 것에 슬라이딩 수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사각 파이프(421)에는 제2 사각 파이프(422)가 슬라이딩 수납되는 제1 중공홀(421a)이 형성되되, 판면에는 제1 가이드 장공(421b)이 형성되고, 제2 사각 파이프(422)에는 제3 사각 파이프(423)가 슬라이딩 수납되는 제1 중공홀(422a)이 형성되되 판면에는 제1 가이드 장공(421b)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제1 가이드 돌기(422c)가 형성되고 그 주변으로 제2 가이드 장공(422a)이 형성되며, 제3 사각 파이프(423)에는 제2 가이드 장공(422b)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제2 가이드 돌기(423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이 조립될 경우, 전체적인 길이가 짧아지거나 길어지게 접철될 수 있다.
또한, 도 2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회전 가능식 연결부(420')가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되되, 그 양 단부가 절곡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네루 파이프(421', 422', 423')가 순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되어 이웃된 것에 슬라이딩 수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때에도, 제1 네루 파이프(421')에는 제2 네루 파이프(422')가 슬라이딩 수납되는 제1 중공홀(421'a)이 형성되되, 판면 양 측에는 제1 가이드 장공(421'b)이 각각 형성되고, 제2 네루 파이프(422')에는 제3 네루 파이프(423')가 슬라이딩 수납되는 제1 중공홀(422'a)이 형성되되, 판면 양 측에는 제1 가이드 장공(421'b)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제1 가이드 돌기(422'c)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그 주변으로 제2 가이드 장공(422'a)이 각각 형성되며, 제3 네루 파이프(423')에는 각 제2 가이드 장공(422'b)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제2 가이드 돌기(423'a)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이 조립될 경우, 전체적인 길이가 짧아지거나 길어지게 접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각 파이프(421,422,423) 형태 또는 네루 파이프(421', 422', 423')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나, 판넬식 또는 기타 다양한 형태로 충분히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렇게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샤워 헤드(10)를 원하는 방향과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해당 위치에서의 고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샤워 헤드 100 : 샤워기 거치대
110 :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 120 : 회전 가능식 연결부
130 : 설치용 브래킷 140 :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
141 : 고정 베이스 142 : 네크부
143 : 고정 원판부 144 : 각도 조절홀
150 :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 151 : 회전 원판부
152 : 결합 날개부 160 : 회전 구속부
161 : 회전 구속 하우징 162 : 수용공간
163 : 볼 164 :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
171 : 제1 체결부 172 : 제2 체결부
180 : 토션 스프링

Claims (10)

  1. 샤워 헤드가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되, 스프링 자바라 형태로 형성되는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 및 상기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의 반대편에 배치되며, 소정의 설치벽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설치용 브래킷; 를 포함하는 샤워기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설치용 브래킷에 결합되는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
    상기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와 함께 상기 샤워 헤드의 사용 위치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 및
    상기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와 상기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가능식 연결부;
    상기 착탈식 걸이와 설치용 브래킷을 연결하여 샤워기가 절곡된 형태 및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조절하는 것으로,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에 구슬 형태, 다각 형태 및 톱니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걸림구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각 걸림구 사이에 연결부가 연결되는 체인이 구비되며, 상기 설치용 브래킷의 판면에 원호 형태로 연통로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연통로에 큰 직경을 갖되, 상기 걸림구의 크기 및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통과홀과 상기 통과홀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고정홀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교번으로 형성되고, 상기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를 일정 위치로 절곡시켜 위치시킨 다음,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에 연결되는 체인의 걸림구를 설치용 브래킷의 통과홀로 삽입하여 통과시켜 샤워 헤드 착탈식 걸이의 위치 및 거리를 조정한 후 상기 체인의 연결부로 상기 통과홀에 인접한 연통로를 통과하여 고정홀에 위치시키고, 상기 체인의 걸림구가 고정홀의 하부면에 맞닿아 걸리면서 고정되어 샤워기가 절곡된 형태 및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는,
    상기 설치용 브래킷에 고정되는 고정 베이스;
    상기 고정 베이스의 일측에서 상기 고정 베이스의 판면에 교차되게 연장되는 네크부; 및
    상기 네크부의 단부에 형성되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각도 조절홀이 마련되는 고정 원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는,
    상기 고정 원판부와 형합되는 회전 원판부;
    상기 회전 원판부에 마련되며, 상기 각도 조절홀들과의 상호작용으로 상기 고정 원판부에 대한 상기 회전 원판부의 회전을 구속시키는 다수의 회전 구속부; 및
    상기 회전 원판부의 일측에 연결되되 상기 회전 가능식 연결부와 결합되는 결합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의 고정 베이스가 제1 체결부에 의해 상기 설치용 브래킷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체결부에 의해 상기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의 고정 원판부와 상기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의 회전 원판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각도 조절홀의 개수가 상기 회전 구속부의 개수보다 적어도 2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거치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회전 구속부 각각은,
    상기 회전 원판부의 일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되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회전 구속 하우징;
    상기 회전 구속 하우징 내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각도 조절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고정 원판부에 대한 상기 회전 원판부의 회전을 구속시키는 볼(ball); 및
    상기 회전 구속 하우징 내에 마련되며, 상기 볼이 상기 각도 조절홀로 삽입되게 탄성바이어스되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용 브래킷, 상기 각도 조절용 고정판부 및 상기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에 연결되되 상기 각도 조절용 회전판부의 각도 조절이 유연해지도록 보조하는 토션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능식 연결부는 메인 브래킷에 라쳇이 센터축을 축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되 라쳇의 일부에 기어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기어의 주변으로 걸고리를 결합시키되 걸고리의 일측에는 기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걸이부가 형성하되,
    상기 회전 가능식 연결부를 회전시키면 그 힘으로 라쳇이 회전되면서 라쳇의 기어가 걸고리의 걸이부에 걸리도록 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거치대.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용 브래킷에 원호 형태의 홀을 형성하되, 원호 형태의 홀이 내벽 일측에 거치홈을 형성시키고, 빗 형태의 갈고리를 원호 형태의 홀에 배치시켜 원호 형태의 홀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되, 갈고리에 형성되는 치형부 중 하나가 거치홈에 거치됨에 따라 샤워기가 절곡된 형태 및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거치대.
KR1020180116760A 2018-10-01 2018-10-01 샤워기 거치대 KR101962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760A KR101962197B1 (ko) 2018-10-01 2018-10-01 샤워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760A KR101962197B1 (ko) 2018-10-01 2018-10-01 샤워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197B1 true KR101962197B1 (ko) 2019-03-26

Family

ID=65949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760A KR101962197B1 (ko) 2018-10-01 2018-10-01 샤워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1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239Y1 (ko) 2019-05-21 2019-10-16 우관식 샤워기헤드 고정장치
KR102110474B1 (ko) * 2019-05-15 2020-06-08 양성은 샤워기 거치대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27530A1 (de) * 1995-02-20 1996-08-21 Armaturenfabrik Wallisellen AG Handbrausen-Gelenkhalter in Verbindung mit einer Gleitstange
KR19980067214A (ko) * 1997-01-31 1998-10-15 문대원 복사기의 상부커버 개폐장치
KR200282819Y1 (ko) * 2002-04-12 2002-07-23 주식회사 중앙고분자산업 보면대의 각도조절장치
JP2009155842A (ja) * 2007-12-25 2009-07-16 Panasonic Electric Works Bath & Life Co Ltd シャワーハンガー装置
KR20100036640A (ko) * 2008-09-30 2010-04-08 정성진 관절형 샤워기
KR20110128972A (ko) 2010-05-25 2011-12-0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양면 금속화가 용이한 엘디에스 가공용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한 내장형 안테나
KR20120000882U (ko) 2010-07-27 2012-02-06 김동민 휴대용 전자 제충장치
KR20120118531A (ko) * 2011-04-19 2012-10-29 (주)파소텍 젖소 착유기용 호스홀더
KR101823621B1 (ko) * 2017-05-10 2018-03-14 양성은 샤워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27530A1 (de) * 1995-02-20 1996-08-21 Armaturenfabrik Wallisellen AG Handbrausen-Gelenkhalter in Verbindung mit einer Gleitstange
KR19980067214A (ko) * 1997-01-31 1998-10-15 문대원 복사기의 상부커버 개폐장치
KR200282819Y1 (ko) * 2002-04-12 2002-07-23 주식회사 중앙고분자산업 보면대의 각도조절장치
JP2009155842A (ja) * 2007-12-25 2009-07-16 Panasonic Electric Works Bath & Life Co Ltd シャワーハンガー装置
KR20100036640A (ko) * 2008-09-30 2010-04-08 정성진 관절형 샤워기
KR20110128972A (ko) 2010-05-25 2011-12-0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양면 금속화가 용이한 엘디에스 가공용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한 내장형 안테나
KR20120000882U (ko) 2010-07-27 2012-02-06 김동민 휴대용 전자 제충장치
KR20120118531A (ko) * 2011-04-19 2012-10-29 (주)파소텍 젖소 착유기용 호스홀더
KR101823621B1 (ko) * 2017-05-10 2018-03-14 양성은 샤워기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474B1 (ko) * 2019-05-15 2020-06-08 양성은 샤워기 거치대
KR200490239Y1 (ko) 2019-05-21 2019-10-16 우관식 샤워기헤드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197B1 (ko) 샤워기 거치대
US7926127B2 (en) Curved shower curtain rod assembly
US9271592B2 (en) Adjustable tension-mounted curved rod assembly
CA2819968A1 (en) Adjustable rod assembly
KR20170116695A (ko) 샤워 헤드용 홀더
KR102110474B1 (ko) 샤워기 거치대
US4809561A (en) Door mirror
KR101823621B1 (ko) 샤워기 거치대
JP3519685B2 (ja) シャワー用の調整可能な支持具
EP4092208A2 (en) Spray head retraction assembly
KR101911318B1 (ko) 핸드 샤워기를 거치할 수 있는 욕실용 샤워바
EP1793051A2 (en) Variable-configuration shower
KR200420162Y1 (ko) 롤 스크린의 결합구조
KR20160129534A (ko) 칸막이용 받침대
KR200440468Y1 (ko) 세움대가 설치된 샤워기 헤드
JP2006257740A (ja) 吐水装置
KR200276639Y1 (ko) 샤워기 홀딩장치
KR101922917B1 (ko) 샤워기 거치대
JP6858338B2 (ja) 水栓装置
KR101794621B1 (ko) 도어 스토퍼
JP2001032342A (ja) シャワー水栓装置
JP3756648B2 (ja) 水栓装置
CN220088726U (zh) 一种鞋带旋钮
CN216142110U (zh) 一种可调节淋浴头固定夹
JP4025988B2 (ja) 吐水具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