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037B1 -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 Google Patents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037B1
KR101962037B1 KR1020170149148A KR20170149148A KR101962037B1 KR 101962037 B1 KR101962037 B1 KR 101962037B1 KR 1020170149148 A KR1020170149148 A KR 1020170149148A KR 20170149148 A KR20170149148 A KR 20170149148A KR 101962037 B1 KR101962037 B1 KR 101962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rainwater
housing
pipe
stor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김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현 filed Critical 김종현
Priority to KR1020170149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03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빗물 투수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로서,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전달받아 저장 후 배출관을 통해 배출시키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체크밸브가 설치된 유출관부가 형성된 관로 하우징과, 상기 관로 하우징의 일단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단부에 월류구가 형성된 월류관부로 이루어진 맨홀 본체; 및 상기 월류관부를 통해 상기 맨홀 본체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우수를 전달받도록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맨홀 본체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저장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저장하우징의 베이스패널에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우수를 지반으로 배출시키도록 투수공들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천시 빗물이 수용되고 배출되는 맨홀 본체의 관로 하우징에 월류관부를 더 형성하고, 폭우시 월류관부를 통해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이 수용된 후 지반으로 배출하여 침투되거나 재차 맨홀 본체로 유출시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빗물의 체류시간을 늘려고 유입되는 빗물을 양을 줄여 역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홍수를 예방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Manhole of rain water with flood control function of infiltr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천시 빗물이 수용되고 배출되는 맨홀 본체의 관로 하우징에 월류관부를 더 형성하고, 폭우시 월류관부를 통해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이 수용된 후 지반으로 배출하여 침투되거나 재차 맨홀 본체로 유출시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빗물의 체류시간을 늘려고 유입되는 빗물을 양을 줄여 역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홍수를 예방하게 되는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여름 장마철에 집중적으로 비가 오고, 지형적으로는 경사가 급한 산악 지형이 많고, 최근 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지면에 불투수층의 포장공사를 한 곳이 많다. 이에 따라 짧은 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내린 비는 지면으로 충분히 스며들지 못하여 지하수를 보충하지도 못하고, 또한 경제활동에 이용할 시간도 없이 일시에 하천과 강을 통하여 바다로 흘러가면서 홍수 피해를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여름철에 집중되는 강수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홍수피해를 줄이려면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류시키는 저류시설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저류시설의 필요에 따라, 최근에 다양한 저류기술이 개발되고 또한 특허출원이 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731773호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저류조", 제10-0582121호 "우수저류조", 제10-0485742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50476호 등에서는 특별한 구조의 사각형 콘크리트 블록을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우수 저류조를 구성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우수가 저장되는 저류조가 단일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저장공간이 협소하여 홍수시 저류조로 유입되는 우수 및 하수가 저류조의 저장 용량에 비해 월등히 늘어나게 되므로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우수 및 하주에 의해 저류조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없어, 하수가 역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천시 빗물이 수용되고 배출되는 맨홀 본체의 관로 하우징에 월류관부를 더 형성하고, 폭우시 월류관부를 통해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이 수용된 후 지반으로 배출하여 침투되거나 재차 맨홀 본체로 유출시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빗물의 체류시간을 늘려고 유입되는 빗물을 양을 줄여 역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홍수를 예방하게 되는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빗물 투수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로서,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전달받아 저장 후 배출관을 통해 배출시키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체크밸브가 설치된 유출관부가 형성된 관로 하우징과, 상기 관로 하우징의 일단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단부에 월류구가 형성된 월류관부로 이루어진 맨홀 본체; 및
상기 월류관부를 통해 상기 맨홀 본체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우수를 전달받도록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맨홀 본체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저장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저장하우징의 베이스패널에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우수를 지반으로 배출시키도록 투수공들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널은 상기 관로 하우징의 양측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맨홀 본체의 양측과 상기 관로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로 하우징에는 저면부에 배출공들이 더 형성되어, 상기 관로 하우징의 수용되는 빗물을 상기 배출공을 통해 지반으로 배출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맨홀 본체의 상부에는 우수 맨홀구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하우징의 상부에는 투수맨홀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은 우천시 빗물이 수용되고 배출되는 맨홀 본체의 관로 하우징에 월류관부를 더 형성하고, 폭우시 월류관부를 통해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이 수용된 후 지반으로 배출하여 침투되거나 재차 맨홀 본체로 유출시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빗물의 체류시간을 늘려고 유입되는 빗물을 양을 줄여 역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홍수를 예방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을 나타낸 좌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을 나타낸 우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좌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우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을 나타낸 좌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을 나타낸 우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좌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우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10)은 폭우시 유입되는 빗물을 수용하여 지반에 침투시킴과 아울러 체류시간을 늘려 빗물이 역류하여 홍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빗물 투수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10)로서, 이에 이와 같은 우수 맨홀(10)은 맨홀 본체(20)와 저장하우징(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맨홀 본체(20)는 관로 하우징(21)과 월류관부(22)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로 하우징(21)은 유입관(100)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전달받아 저장 후 배출관(200)을 통해 배출시키도록 수용공간(211)이 형성되고, 상기 관로 하우징(21)의 하부에는 체크밸브(212a)가 설치된 유출관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월류관부(22)는 상기 관로 하우징(21)의 일단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211)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단부에 월류구(221)가 형성된다.
상기 맨홀 본체(20)는 콘크리트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 ㄴ "자 형상의 관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맨홀 본체(2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로 하우징(21)은 도 1에서와 같이 도면상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월류관부(22)는 상기 관로 하우징(21)의 일단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관(200)의 하부에는 자갈층(300)을 더 형성시켜, 후술되는 투수공(321)을 통해 빗물이 배출시 흙에 비해 원활히 투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로 하우징(21)의 일단에는 상기 유입관(100)의 단부가 관연결되도록 유입구(213)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출관(200)이 단부가 관연결되도록 배출구(214)가 형성된다.
상기 유출관부(212)의 체크밸브(212a)에 의해 상기 관로 하우징(21)과 상기 월류관부(22)의 빗물은 후술될 저장공간(31)으로 이동이 차단되고, 상기 저장공간(31)의 빗물은 상기 유출관부(212)를 통해 상기 관로 하우징(21)으로 유입된다.
상기 저장하우징(30)은 상기 월류관부(22)를 통해 상기 맨홀 본체(20)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우수를 전달받도록 저장공간(31)이 형성되고, 상기 맨홀 본체(20)를 감싸면서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저장하우징(30)은 콘크리트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저장하우징(30)의 베이스패널(32)에는 상기 저장공간(31)에 저장된 우수를 지반으로 배출시키도록 투수공(321)들이 더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패널(32)은 상기 관로 하우징(21)의 양측면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31)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맨홀 본체(20)의 양측과 상기 관로 하우징(21)의 상부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폭우시 상기 맨홀 본체(20)로 유입되는 빗물이 상기 월류구(221)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31)으로 이동하여 체류시간을 늘릴 수 있게 되며, 상기 투수공(321)을 통해 외부로 지반으로 배출하여 빗물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맨홀 본체(20)의 상부에는 우수 맨홀구(216)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하우징(30)의 상부에는 투수맨홀구(33)가 더 형성되어, 외부에서 작업자가 상기 맨홀 본체(20)와 상기 저장하우징(30)의 내부로 인입하여 유지보수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우수 맨홀구(216)와 상기 투수맨홀구(33)에는 탈착가능하게 커버를 더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1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우천시 빗물이 유입관(100)을 통해 관로 하우징(21)으로 유입되는데 폭우로 인해 빗물의 유입량이 많아지게 되면 순차적으로 관로 하우징(21)의 수위가 상승하면서 월류관부(22)로 빗물이 이동하게 되고, 월류관부(22)의 수위가 상승하면서 월류구(221)를 통해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이 상기 저장하우징(30)의 저장공간(31)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빗물이 저장공간(31)으로 이동하면서 폭우로 인한 유입되는 빗물의 체류시간을 늘릴 수 있어 역류나 홍수를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저장하우징(30)에 형성된 투수구를 통해 빗물의 일부를 배출시킬 수 있어 빗물을 양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후, 유입되는 빗물의 양이 줄어들게 되면 저장공간(31)의 빗물은 상기 투수공(321)으로 배출됨과 아울러 상기 유출관부(212)를 통해 상기 관로 하우징(21)으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관(20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저장공간(31)의 빗물을 모두 비운 상태가 되므로 재차 폭우로 인한 홍수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관로 하우징(21)에는 저면부에 배출공(215)들이 더 형성되어, 상기 관로 하우징(21)의 수용되는 빗물을 상기 배출공(215)을 통해 지반으로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폭우시 유입되는 빗물을 일부 배출시켜 빗물을 양을 줄임으로서, 역류나 홍수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관로 하우징(21)과 상기 저장하우징(30)의 내측면에는 내측면과 볼트체결되는 모터와 펜으로 이루어진 압출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펜은 상기 관로 하우징(21)과 상기 저장하우징(30)의 하부를 바라보도록 배치하여, 폭우시 유입되는 빗물을 상기 투수공(321) 및 상기 배출공(215)으로 압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로 하우징(21)과 상기 저장하우징(30)에는 내부에 수위감지센서를 더 마련하고 상기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모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수위감지센서가 빗물의 수위를 감지한 후 상기 모터로 신호를 보내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하우징(21)의 내측면에는 나선의 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월류관부(22)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상기 홈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소용돌이를 형성하여 정체되지 않고 상기 투수공으로 빗물이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은, 폭우시 월류관부를 통해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이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을 마련하고, 배출구를 형성하여 빗물을 지반으로 배출하여 침투되거나 재차 맨홀 본체로 유출시켜, 빗물의 체류시간을 늘리고 유입되는 빗물을 양을 줄여 종래기술에서 발생되는 맨홀에서 빗물이 역류하여 홍수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우수 맨홀 20 : 맨홀 본체
30 : 저장하우징
21 : 관로 하우징 211 : 수용공간
212 : 유출관부 212a : 체크밸브
213 : 유입구 214 : 배출구
215 : 배출공 216 : 우수 맨홀구
22 : 월류관부 221 : 월류구
31 : 저장공간 32 : 베이스패널
321 : 투수공 33 : 투수맨홀구
100 : 유입관 200 : 배출관
300 : 자갈층

Claims (5)

  1. 빗물 투수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로서,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전달받아 저장 후 배출관을 통해 배출시키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체크밸브가 설치된 유출관부가 형성된 관로 하우징과, 상기 관로 하우징의 일단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단부에 월류구가 형성된 월류관부로 이루어진 맨홀 본체; 및
    상기 월류관부를 통해 상기 맨홀 본체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우수를 전달받도록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맨홀 본체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저장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저장하우징의 베이스패널에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우수를 지반으로 배출시키도록 투수공들이 더 형성된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널은 상기 관로 하우징의 양측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맨홀 본체의 양측과 상기 관로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관로 하우징에는 저면부에 배출공들이 더 형성되어, 상기 관로 하우징의 수용되는 빗물을 상기 배출공을 통해 지반으로 배출시키도록 되며,
    상기 맨홀 본체의 상부에는 우수 맨홀구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하우징의 상부에는 투수맨홀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우수 맨홀구와 상기 투수맨홀구에는 탈착가능하게 커버가 마련되며,
    상기 관로 하우징과 상기 저장하우징의 내측면에는 내측면과 볼트체결되는 모터와 펜으로 이루어진 압출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펜은 상기 관로 하우징과 상기 저장하우징의 하부를 바라보도록 배치하여, 폭우시 유입되는 빗물을 상기 투수공 및 상기 배출공으로 압출되도록 하고,
    상기 관로 하우징과 상기 저장하우징에는 내부에 수위감지센서를 더 마련하고 상기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모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수위감지센서가 빗물의 수위를 감지한 후 상기 모터로 신호를 보내 구동되도록 하며,
    상기 저장하우징의 내측면에는 나선의 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월류관부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상기 홈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소용돌이를 형성하여 정체되지 않고 상기 투수공으로 빗물이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49148A 2017-11-10 2017-11-10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Expired - Fee Related KR101962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148A KR101962037B1 (ko) 2017-11-10 2017-11-10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148A KR101962037B1 (ko) 2017-11-10 2017-11-10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037B1 true KR101962037B1 (ko) 2019-03-26

Family

ID=65949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148A Expired - Fee Related KR101962037B1 (ko) 2017-11-10 2017-11-10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0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6391A (zh) * 2020-03-09 2020-06-05 广州市环境保护工程设计院有限公司 一种智能截污检查井
KR102528901B1 (ko) * 2022-07-05 2023-05-08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9931A (ja) * 2003-12-17 2005-07-07 Hokukon Co Ltd 複合型雨水一時貯留槽
KR101388870B1 (ko) * 2013-04-12 2014-04-23 주식회사 태명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JP2016079763A (ja) * 2014-10-22 2016-05-16 タキロン株式会社 雨水貯溜管路構造とそれに用いる雨水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9931A (ja) * 2003-12-17 2005-07-07 Hokukon Co Ltd 複合型雨水一時貯留槽
KR101388870B1 (ko) * 2013-04-12 2014-04-23 주식회사 태명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JP2016079763A (ja) * 2014-10-22 2016-05-16 タキロン株式会社 雨水貯溜管路構造とそれに用いる雨水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6391A (zh) * 2020-03-09 2020-06-05 广州市环境保护工程设计院有限公司 一种智能截污检查井
KR102528901B1 (ko) * 2022-07-05 2023-05-08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9568A (en) System for draining land areas through siphoning from a permeable catch basin
US4620817A (en) Underground discharge for downspouts and sump pumps
KR101962037B1 (ko)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US12203258B2 (en)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CN206245444U (zh) 雨水渗透系统
JP2008267023A (ja) 雨水貯留システム
US8919382B2 (en) Drainage system and a vortex brake
JP3888857B2 (ja) 雨水流出抑制処理施設
CN217973895U (zh) 透水铺装排水系统
KR101945130B1 (ko) 하수역류차단기능을 갖는 홍수방지용 빗물저류시스템
CN207512863U (zh) 雨水渗透系统
CN105863031A (zh) 一种高效雨水跌水弃流集水装置
CN109706816A (zh) 一种湿陷性黄土地区用城市绿地地基
KR102290677B1 (ko)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
CN206328833U (zh) 用于土壤蓄水保水的回灌井和地下建筑空间结构
KR20050036221A (ko) 빗물의 저류 및 저감용 맨홀설비장치
CN105888037A (zh) 一种雨水跌水弃流集水装置
JPH0613870Y2 (ja) 雨水浸透桝
KR100771586B1 (ko) 터널형 빗물 처리 시스템
CN105862969B (zh) 集水构件及用于坡体道路的雨水收集净化系统
CN206360052U (zh) 一种海绵式雨水渗透收排系统
JPH0340952Y2 (ko)
KR102540453B1 (ko) 친환경 빗물 재활용 우수 유출 저감 저류조 시스템
JPH11222883A (ja) 雨水貯留浸透装置
JP6391008B2 (ja) 雨水貯溜管路構造とそれに用いる雨水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03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32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