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901B1 -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8901B1 KR102528901B1 KR1020220082636A KR20220082636A KR102528901B1 KR 102528901 B1 KR102528901 B1 KR 102528901B1 KR 1020220082636 A KR1020220082636 A KR 1020220082636A KR 20220082636 A KR20220082636 A KR 20220082636A KR 102528901 B1 KR102528901 B1 KR 1025289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wage
- sewage treatment
- treatment housing
- support frame
- foreign substance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8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2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70 biolog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06010063659 Aver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7 persistent organic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53 phys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출되는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처리하도록 된 하수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하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정화된 하수를 배출시키도록 배출구가 형성되며, 유입된 하수가 충진되도록 내부에 하수충진공간이 형성된 하수처리하우징와, 상기 하수처리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 1 바닥면부와 제 2 바닥면부로 이루어진 바닥부와, 상기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제 2 바닥면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수처리하우징의 내부를 제 1 충진공간과 제 2 충진공간으로 분할하는 분할격벽과, 상기 분할격벽에 형성되는 월류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바닥면부는 상기 제 1 바닥면부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하수처리하우징에는 유입된 하수의 이물질을 처리함과 아울러 이물질이 분리된 하수를 투수시키도록 이물질여과투수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이물질여과투수수단은 상기 제 1 바닥면부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수처리하우징의 내면에 체결되는 지지틀과, 상기 지지틀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지지망과, 상기 하수처리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폐도어와, 상기 하수처리하우징의 저면에 상기 제 2 바닥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투수공들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망에 의해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고 상기 투수공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하수가 투수되도록 함으로써,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처리하우징의 내부를 제 1 충진공간과 제 2 충진공간으로 구획,분할하고, 이물질여과투수수단에 의해 이물질을 걸러냄과 아울러 이물질이 걸러진 하수의 일부가 외부로 투수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이고, 투수되는 하수에 의해 우천시 이동되는 하수가 정체되는 것을 완화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처리 기술분야 중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처리하우징의 내부를 제 1 충진공간과 제 2 충진공간으로 구획,분할하고, 이물질여과투수수단에 의해 이물질을 걸러냄과 아울러 이물질이 걸러진 하수의 일부가 외부로 투수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이고, 투수되는 하수에 의해 우천시 이동되는 하수가 정체되는 것을 완화시키게 되는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으로부터 생활하수가 배출되며 이들 하수에는 심미적 혐오감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에서부터 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발생한 생활하수는 방류기준에 적합하도록 적절한 방법을 통해 정화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
이러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의 처리방법으로는 물리적 방법, 화학적 방법 그리고 생물학적 방법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이중 생물학적 처리방법은 생활하수를 정화함에 있어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기술이고 이는 생활하수에 포함된 오염물질 대부분이 미생물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유기성 오염물질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의 하수처리 시스템에는 물리적 방법, 화학적 방법 그리고 생물학적 방법으로 하수를 정화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이 없어, 하수관이 빈번하게 막혀 유지보수비용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투수기능이 없어 우천시 홍수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처리하우징의 내부를 제 1 충진공간과 제 2 충진공간으로 구획,분할하고, 이물질여과투수수단에 의해 이물질을 걸러냄과 아울러 이물질이 걸러진 하수의 일부가 외부로 투수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이고, 투수되는 하수에 의해 우천시 이동되는 하수가 정체되는 것을 완화시키게 되는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배출되는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처리하도록 된 하수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하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정화된 하수를 배출시키도록 배출구가 형성되며, 유입된 하수가 충진되도록 내부에 하수충진공간이 형성된 하수처리하우징와, 상기 하수처리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 1 바닥면부와 제 2 바닥면부로 이루어진 바닥부와, 상기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제 2 바닥면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수처리하우징의 내부를 제 1 충진공간과 제 2 충진공간으로 분할하는 분할격벽과, 상기 분할격벽에 형성되는 월류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바닥면부는 상기 제 1 바닥면부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하수처리하우징에는 유입된 하수의 이물질을 처리함과 아울러 이물질이 분리된 하수를 투수시키도록 이물질여과투수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이물질여과투수수단은 상기 제 1 바닥면부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수처리하우징의 내면에 체결되는 지지틀과, 상기 지지틀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지지망과, 상기 하수처리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폐도어와, 상기 하수처리하우징의 저면에 상기 제 2 바닥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투수공들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망에 의해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고 상기 투수공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하수가 투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출되는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처리하도록 된 하수 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으로서, 지면을 굴착하여 지중에 굴착공을 형성시키는 굴착공 형성단계와, 상기 굴착공의 바닥면을 롤러 또는 다짐기를 이용하여 평편하게 평탄화 시키는 굴착공 바닥면 평탄화단계와, 상기 굴착공의 바닥면에 상기 하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정화된 하수를 배출시키도록 배출구가 형성되며, 유입된 하수가 충진되도록 내부에 하수충진공간이 형성된 하수처리하우징을 배치시키는 굴착공 하수처리하우징 배치단계와, 상기 하수처리하우징의 유입구로 하수가 공급되도록 유입하수관을 관 연결하는 하수처리하우징 유입하수관 연결단계와, 상기 하수처리하우징의 배출구에 배출하수관을 연결하는 하수처리하우징 배출하수관 연결단계와, 상기 굴착공과 상기 하수처리하우징 사이의 틈에 자갈 및 흙을 충진하여 메우는 굴착공 충진마감단계로 이루어져, 상기 하수처리하우징으로 유입된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정화한 후 배출시키도록 되며, 상기 하수처리하우징의 상면이 외부에 노출되게 상기 굴착공에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은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처리하우징의 내부를 제 1 충진공간과 제 2 충진공간으로 구획,분할하고, 이물질여과투수수단에 의해 이물질을 걸러냄과 아울러 이물질이 걸러진 하수의 일부가 외부로 투수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이고, 투수되는 하수에 의해 우천시 이동되는 하수가 정체되는 것을 완화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의 지지틀과 지지망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의 개폐도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의 지지틀과 지지망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의 개폐도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의 지지틀과 지지망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의 개폐도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수 처리 시스템이라 명명함)는 배출되는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처리하도록 된 하수 처리 시스템(10)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하수 처리 시스템(10)은 하수처리하우징(20)과 바닥부(30)와 분할격벽(40)과 월류관(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수처리하우징(20)은 상기 하수가 유입되도록 일측면에 유입구(21)가 형성되고 정화된 하수를 배출시키도록 타측면에 배출구(22)가 형성되며, 유입된 하수가 충진되도록 내부에 하수충진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하수처리하우징(20)은 콘크리트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육면체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22)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유입구(21) 보다 낮게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30)는 상기 하수처리하우징(20)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 1 바닥면부(31)와 제 2 바닥면부(3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 2 바닥면부는 상기 제 1 바닥면부 보다 낮게 형성된다.
상기 분할격벽(40)은 상기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제 2 바닥면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수처리하우징(20)의 내부를 제 1 충진공간(23)과 제 2 충진공간(24)으로 분할하게 된다.
상기 분할격벽(40)은 콘크리트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분할격벽(40)의 저면은 상기 바닥면의 중앙부분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내면에 양측면이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분할격벽(40)은 상기 하수처리하우징(20)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시키거나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월류관(50)은 상기 분할격벽(40)에 형성되는 월류관(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월류관(50)은 상기 분할격벽(40)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끼움된 후 접착고정된다.
상기 월류관(50)은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유입구(21) 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22)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월류관(50)을 통해 상기 제 2 충진공간(24)에 배치되는 하수가 상기 제 1 충진공간(23)으로 이동 후 배출된다.
상기 하수처리하우징(20)에는 유입된 하수의 이물질을 처리함과 아울러 이물질이 분리된 하수를 투수시키도록 이물질여과투수수단(60)이 더 마련되된다.
상기 이물질여과투수수단(60)은 상기 제 1 바닥면부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수처리하우징(20)의 내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지지틀(61)과, 상기 지지틀(61)의 내면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유입되는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지지망(62)과, 상기 하수처리하우징(20)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폐도어(63)와, 상기 하수처리하우징(20)의 저면에 상기 제 2 바닥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투수공(64)들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망(62)에 의해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고 상기 투수공(64)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하수가 투수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틀(61)은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유입구(21) 보다는 낮고, 상기 월류관(50) 보다는 높을 위치에 배치된다.
즉,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상기 지지망(62)에 의해 걸러낸 후 이물질이 제거된 하수는 상기 월류관(50)을 통해 상기 제 2 충진공간(24)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 2 충진공간(24)으로 이동된 하수는 일부가 상기 투수공(64)들을 통해 지반으로 유입되고 일부는 상기 배출구(2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망(62)에 걸림된 이물질은 상기 개폐도어(63)를 통해 외부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약품을 사용하여 하수의 이물질을 분해하거나 제거하지 않고, 지지망(62)에 의해 걸러내는 방식으로 분리하여 친환경적이다.
이때, 상기 하수처리하우징(20)의 상면은 지면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개폐도어(63)를 통해 걸러진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수처리하우징(20)에는 내면에 바이브레이터인 투수진동기을 더 나사체결하여, 상기 투수공(64)에 끼인 이물질을 탈거시켜, 투수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틀(61)에는 외면에 바이브레이터인 탈거진동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상기 지지틀(61) 및 상기 지지망(62)에 달라붙은 이물질이나 부유물을 탈거시키도록 함으로써, 이물질 탈거를 위한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수처리하우징(20)에는 내면에 승강실린더를 더 나사체결하고, 상기 승강실린더의 승강축에 상기 지지틀(61)을 나사체결하여 연결함으로써, 상기 승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지지틀(61)과 상기 지지망(62)을 상기 개폐도어(63)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하수처리하우징(20)으로 상기 지지망(62)에 배치되는 이물질을 상기 하수처리하우징(20) 내부로 작업자가 들어오지 않고, 외부에서 손쉽게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틀(61)에는 상면에 교반모터를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교반모터의 회전축에 교반스크류를 체결하여, 상기 교반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스크류가 상기 지지망(62)에 배치되는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을 교반하여, 상기 지지망(6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수의 이송효율을 높이며,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출되는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처리하도록 된 하수 처리 시스템(10)의 시공방법은 지면을 굴착하여 지중에 굴착공을 형성시키는 굴착공 형성단계(S1)와, 상기 굴착공의 바닥면을 롤러 또는 다짐기를 이용하여 평편하게 평탄화 시키는 굴착공 바닥면 평탄화단계(S2)와, 상기 굴착공의 바닥면에 상기 하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21)가 형성되고 정화된 하수를 배출시키도록 배출구(22)가 형성되며, 유입된 하수가 충진되도록 내부에 하수충진공간이 형성된 하수처리하우징(20)을 배치시키는 굴착공 하수처리하우징 배치단계(S3)를 거치게 된다.
이후, 상기 하수처리하우징(20)의 유입구(21)로 하수가 공급되도록 유입하수관을 관 연결하는 하수처리하우징(20) 유입하수관 연결단계(S4)와, 상기 하수처리하우징(20)의 배출구(22)에 배출하수관을 연결하는 하수처리하우징 배출하수관 연결단계(S5)와, 상기 굴착공과 상기 하수처리하우징(20) 사이의 틈에 자갈 및 흙을 충진하여 메우는 굴착공 충진마감단계(S6)를 거침으로써, 일련의 과정을 마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수처리하우징(20)으로 유입된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정화한 후 배출시키도록 되며, 상기 하수처리하우징(20)의 상면이 외부에 노출되게 상기 굴착공에 끼움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하수 처리 시스템 20 : 하수처리하우징
21 : 유입구 22 : 배출구
23 : 제 1 충진공간 24 : 제 2 충진공간
30 : 바닥부 31 : 제 1 바닥면부
32 : 제 2 바닥면부 40 : 분할격벽
50 : 월류관 60 : 이물질여과투수수단
61 : 지지틀 62 : 지지망
63 : 개폐도어 64 : 투수공
S1 : 굴착공 형성단계 S2 : 굴착공 바닥면 평탄화단계
S3 : 굴착공하수처리하우징 배치단계
S4 : 하수처리하우징 유입하수관 연결단계
S5 : 하수처리하우징 배출하수관 연결단계
S6 : 굴착공 충진마감단계
21 : 유입구 22 : 배출구
23 : 제 1 충진공간 24 : 제 2 충진공간
30 : 바닥부 31 : 제 1 바닥면부
32 : 제 2 바닥면부 40 : 분할격벽
50 : 월류관 60 : 이물질여과투수수단
61 : 지지틀 62 : 지지망
63 : 개폐도어 64 : 투수공
S1 : 굴착공 형성단계 S2 : 굴착공 바닥면 평탄화단계
S3 : 굴착공하수처리하우징 배치단계
S4 : 하수처리하우징 유입하수관 연결단계
S5 : 하수처리하우징 배출하수관 연결단계
S6 : 굴착공 충진마감단계
Claims (2)
- 배출되는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처리하도록 된 하수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하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정화된 하수를 배출시키도록 배출구가 형성되며, 유입된 하수가 충진되도록 내부에 하수충진공간이 형성된 하수처리하우징;
상기 하수처리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 1 바닥면부와 제 2 바닥면부로 이루어진 바닥부;
상기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제 2 바닥면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수처리하우징의 내부를 제 1 충진공간과 제 2 충진공간으로 분할하는 분할격벽; 및
상기 분할격벽에 형성되는 월류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바닥면부는 상기 제 1 바닥면부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하수처리하우징에는 유입된 하수의 이물질을 처리함과 아울러 이물질이 분리된 하수를 투수시키도록 이물질여과투수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이물질여과투수수단은,
상기 제 1 바닥면부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수처리하우징의 내면에 체결되는 지지틀과,
상기 지지틀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지지망과,
상기 하수처리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폐도어와,
상기 하수처리하우징의 저면에 상기 제 2 바닥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투수공들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망에 의해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고 상기 투수공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하수가 투수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틀에는 외면에 바이브레이터인 탈거진동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진동에 의해 상기 지지틀 및 상기 지지망에 달라붙은 이물질이나 부유물을 탈거시키도록 하며,
상기 하수처리하우징에는 내면에 승강실린더를 더 나사체결하고, 상기 승강실린더의 승강축에 상기 지지틀을 나사체결하여 연결함으로써, 상기 승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지지틀과 상기 지지망을 상기 개폐도어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되며,
상기 지지틀에는 상면에 교반모터를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교반모터의 회전축에 교반스크류를 체결하여, 상기 교반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스크류가 상기 지지망에 배치되는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을 교반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2636A KR102528901B1 (ko) | 2022-07-05 | 2022-07-05 |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2636A KR102528901B1 (ko) | 2022-07-05 | 2022-07-05 |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8901B1 true KR102528901B1 (ko) | 2023-05-08 |
Family
ID=8638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2636A KR102528901B1 (ko) | 2022-07-05 | 2022-07-05 |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8901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6340B1 (ko) | 2005-04-28 | 2006-10-18 | 주식회사 장호 | 단일 반응조에서 생물막의 무산소 영역을 이용한하수처리장치 및 그 하수처리방법 |
KR100683914B1 (ko) | 2006-10-19 | 2007-02-20 | 금호산업주식회사 | 연속 회분식 하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
KR100893548B1 (ko) | 2008-12-10 | 2009-04-16 | (주)한솔환경건설 | 생물막 여재를 이용한 폭기조를 구비한 고도 하수처리장치 |
KR20180104939A (ko) * | 2017-03-14 | 2018-09-27 | (주)서한기술공사 |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
KR101962037B1 (ko) * | 2017-11-10 | 2019-03-26 | 김종현 |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
KR20210122428A (ko) * | 2020-04-01 | 2021-10-12 | 주식회사 명성건설 | 유지 및 침사 거름기능을 구비한 물받이 |
KR102374582B1 (ko) * | 2021-06-04 | 2022-03-14 | 천상현 | 다단 하수 분리 여과 장치 |
-
2022
- 2022-07-05 KR KR1020220082636A patent/KR10252890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6340B1 (ko) | 2005-04-28 | 2006-10-18 | 주식회사 장호 | 단일 반응조에서 생물막의 무산소 영역을 이용한하수처리장치 및 그 하수처리방법 |
KR100683914B1 (ko) | 2006-10-19 | 2007-02-20 | 금호산업주식회사 | 연속 회분식 하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
KR100893548B1 (ko) | 2008-12-10 | 2009-04-16 | (주)한솔환경건설 | 생물막 여재를 이용한 폭기조를 구비한 고도 하수처리장치 |
KR20180104939A (ko) * | 2017-03-14 | 2018-09-27 | (주)서한기술공사 |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
KR101962037B1 (ko) * | 2017-11-10 | 2019-03-26 | 김종현 |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
KR20210122428A (ko) * | 2020-04-01 | 2021-10-12 | 주식회사 명성건설 | 유지 및 침사 거름기능을 구비한 물받이 |
KR102374582B1 (ko) * | 2021-06-04 | 2022-03-14 | 천상현 | 다단 하수 분리 여과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0567B1 (ko) | 유동상 여재를 이용한 여과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우수 정화장치 | |
KR101637562B1 (ko) | 우수 처리 장치 | |
JP4521614B2 (ja) | 重力式ろ過装置 | |
KR101334884B1 (ko) |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 |
KR20230065482A (ko) | 계단식 스크린을 구비한 비점오염저감시설 | |
CN107235544B (zh) | 一种废旧高分子材料回收利用清洗废水的处理系统 | |
CN107089731A (zh) | 一种用于杂物较多的污水处理设备 | |
KR101151242B1 (ko) | 우수 처리장치 | |
KR102528901B1 (ko) |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
KR100927631B1 (ko) | 생물막 여재를 이용한 비점 오염물 저감장치 | |
KR20090033680A (ko) | 우수처리시스템 및 우수처리방법 | |
KR101083647B1 (ko) | 하상에 설치되는 다단계 수질 정화장치 | |
DE202006006753U1 (de) | Mehrstufige Filterpatrone zum Einsatz in Straßeneinläufe | |
CN205867668U (zh) | 一种斜板冲洗装置 | |
KR101151908B1 (ko) | 초기우수와 오염하천수를 동시에 처리 가능한 시설 및 그 처리방법 | |
KR101713397B1 (ko) |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 |
KR101560158B1 (ko) | 역세척 초기 우수 처리장치 | |
KR20150014097A (ko) | 초기우수 처리장치 | |
JP2006322148A (ja) | 雨水の地下貯留浸透施設 | |
KR101060739B1 (ko) | 수질정화 및 슬러지 탈수를 위한 수처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 |
KR100896056B1 (ko) | 우수 처리장치 | |
CN208898528U (zh) | 水处理快速组装活性炭过滤模块 | |
CN201082377Y (zh) | 一种纤维污水处理循环利用装置 | |
KR101431325B1 (ko) | 폐수 정화처리장치 | |
KR101884307B1 (ko) | 압축공기를 이용한 역세시스템이 구비된 침지형 여과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