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820B1 -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820B1
KR101961820B1 KR1020170149516A KR20170149516A KR101961820B1 KR 101961820 B1 KR101961820 B1 KR 101961820B1 KR 1020170149516 A KR1020170149516 A KR 1020170149516A KR 20170149516 A KR20170149516 A KR 20170149516A KR 101961820 B1 KR101961820 B1 KR 101961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on inspection
information
inspection equipment
temperature
local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르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르기술
Priority to KR1020170149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83Predictive maintenance, e.g. involving the monitoring of a system an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s, taking decisions on the maintenance schedule of the monitored system; Estimating remaining useful life [RU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Alarm generation, e.g. communication protocol; Forms of ala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전검사장비의 유지보수정보를 사전에 예측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피검사체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피검사체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복수의 비전검사장비 및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복수의 비전검사장비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비전검사장비로부터 가동과 관련한 로그 정보와 센싱 정보를 전송받아 수집하고, 수집된 로그 정보와 센싱 정보를 기계학습을 통해 분석하여 유지보수 예측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유지보수 예측 정보에 대응하는 로컬 알람 정보를 상기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등록되어 있는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로컬 네트워크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많은 수의 비전검사장비들을 운용하는 고객사에게 비전검사장비의 현재 상황에 대한 정보 및 유지보수를 위한 정보를 미리 예측하여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MAINTENANCE FORECAST SYSTEM FOR VISION INSP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많은 수의 비전검사장비들을 운용하는 고객사에게 비전검사장비의 현재 상황에 대한 정보 및 유지보수를 위한 정보를 미리 예측하여 제공할 수 있는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량생산이 요구되는 산업현장에서는 부품의 이송, 처리, 조립 등의 일련의 과정이 자동화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각 공정의 중간단계나 최종단계에서 수행되는 품질검사도 자동화되는 추세에 있다.
예를 들어, 전자부품을 회로기판에 솔더링 접합에 의하여 실장하는 전자부품의 실장장치는 실장공정 후 인쇄된 솔더 페이스트의 위치와, 형태 등을 비전검사장비(vision inspection apparatus)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취득하고, 취득된 이미지를 미리 저장된 기준이미지와 비교하여 실장상태의 불량 여부를 자동으로 검사하고 있다.
한편, 산업현장의 당사자인 고객사들은 매우 많은 수의 비전검사장비를 운용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장비 운용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파악할 필요가 있으나, 종래의 기술들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전검사장비를 구성하는 광학계 등의 부품들은 온도, 습도, 진동 등에 취약하며, 이에 따른 적정한 유지보수를 위한 관리 및 교체 주기가 존재하지만, 장비를 운용하는 고객사들이 이러한 유지보수를 위한 관리 및 교체 주기를 특정하여 적절한 대응을 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매우 많은 수의 장비들을 운용하는 고객사의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들이 더욱 가중되어 검사 불량, 지연 등을 포함하여 전체적인 운용 효율 저하가 유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4760호(공개일자: 2015년 09월 16일, 명칭: 검사공정에서의 원격 모니터링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3772호(공개일자: 2015년 09월 14일, 명칭: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표시 패널 검사 방법)
본 발명은 많은 수의 비전검사장비들을 운용하는 고객사에게 비전검사장비의 현재 상황에 대한 정보 및 유지보수를 위한 정보를 미리 예측하여 제공할 수 있는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비 운용 로그 및 센서들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을 통해 분석하여 고객에게 비전검사 악조건 경고 및 장비 유지보수 시기를 사전에 미리 예측하여 제공함으로써, 비전검사공정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빅데이터 분석 기반으로 고객사에게 비전검사장비의 부품 교체 및 유지보수 시점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미리 제공함으로써, 고객사가 장비 고장 발생 이전에 선제적으로 미리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전검사장비의 유지보수정보를 사전에 예측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피검사체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피검사체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복수의 비전검사장비 및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복수의 비전검사장비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비전검사장비로부터 가동과 관련한 로그 정보와 센싱 정보를 전송받아 수집하고, 수집된 로그 정보와 센싱 정보를 기계학습을 통해 분석하여 유지보수 예측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유지보수 예측 정보에 대응하는 로컬 알람 정보를 상기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등록되어 있는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로컬 네트워크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컬 네트워크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상기 유지보수 예측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상기 유지보수 예측 정보에 대응하는 원격 알람 정보를 상기 로컬 네트워크의 커버리지를 이탈한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원격지 서비스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전검사장비는, 하우징에 구비된 인입부와 인출부를 통해 상기 피검사체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피검사체를 촬영하여 검사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비전검사가 수행되는 환경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부, 상기 이미지 획득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미지 획득부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 센서 및 상기 이미지 획득부로부터 전달받은 검사 이미지에 미리 설정된 검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획득한 상기 피검사체에 대한 검사 결과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로그 정보, 상기 온습도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온도 측정치와 습도 측정치 및 상기 진동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진동 측정치를 상기 로컬 네트워크 모니터링 서버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온습도 센서부는, 상기 피검사체가 인입되는 인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체 인근의 제1 온도와 제1 습도를 측정하는 제1 온습도 센서 및 상기 제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 인근의 제2 온도와 제2 습도를 측정하는 제2 온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전검사장비는,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한 상기 이송부의 하부에 설치된 제1 냉각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된 제2 냉각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습도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온도 측정치와 습도 측정치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냉각팬 동작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제1 냉각팬과 상기 제2 냉각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컬 네트워크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비전검사장비로부터 전송받은 제1 온도 측정치와 제1 습도 측정치의 누적 데이터 및 로그 정보에 포함된 장비 누적 가동시간에 따라 상기 이미지 획득부를 구성하는 렌즈의 청소주기 추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컬 네트워크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비전검사장비로부터 전송받은 제2 온도 측정치와 제2 습도 측정치의 누적 데이터 및 로그 정보에 포함된 장비 누적 가동시간에 따라 상기 비전검사장비를 구성하는 부품의 교체주기 추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컬 네트워크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비전검사장비로부터 전송받은 진동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진동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로 진동 위험을 통지하고 상기 비전검사장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많은 수의 비전검사장비들을 운용하는 고객사에게 비전검사장비의 현재 상황에 대한 정보 및 유지보수를 위한 정보를 미리 예측하여 제공할 수 있는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비 운용 로그 및 센서들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을 통해 분석하여 고객에게 비전검사 악조건 경고 및 장비 유지보수 시기를 사전에 미리 예측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비전검사공정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빅데이터 분석 기반으로 고객사에게 비전검사장비의 부품 교체 및 유지보수 시점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미리 제공하기 때문에, 고객사가 장비 고장 발생 이전에 선제적으로 미리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비전검사장비의 예시적인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비전검사장비의 예시적인 정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비전검사장비의 예시적인 단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비전검사장비의 예시적인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비전검사장비의 예시적인 정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비전검사장비의 예시적인 단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비전검사장비의 유지보수정보를 사전에 예측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비전검사장비(10), 로컬 네트워크 모니터링 서버(20) 및 원격지 서비스 서버(4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비전검사장비(10)와 로컬 네트워크 모니터링 서버(20)가 하나의 로컬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도면상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로컬 네트워크 수는 고객사의 수에 대응하는 수일 수 있다.
하나의 로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비전검사장비(10)는 피검사체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피검사체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장비이다.
예를 들어, 피검사체는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전자부품일 수 있으나, 피검사체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비전검사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임의의 대상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비전검사장비(10)는, 하우징(110), 이송부(120), 이미지 획득부(130), 이미지 획득부(130), 진동 센서(150), 제어부(160), 제1 냉각팬(182) 및 제2 냉각팬(18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비전검사장비(10)의 몸체를 구성하며 비전검사가 수행되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이송부(120)에 의해 이송되는 피검사체가 장비 내부로 인입되는 통로인 인입부(112)가 구비되어 있고, 하우징(110)의 타측에는 이송부(120)에 의해 이송되는 피검사체가 장비 외부로 인출되는 통로인 인출부(114)가 구비되어 있다.
이송부(120)는 하우징(110)에 구비된 인입부(112)와 인출부(114)를 통해 피검사체를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인송부는 컨베이어 벨트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피검사체를 이송할 수 있는 임의의 수단이 이송부(120)에 적용될 수 있다.
이미지 획득부(130)는 이송부(120)에 의해 이송되는 피검사체를 촬영하여 검사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이미지 획득부(130)는 피검사체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 수단, 촬영을 위한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온습도 센서부(140)는 비전검사가 수행되는 환경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온습도 센서부(140)는, 피검사체가 인입되는 인입부(112)에 설치되어 피검사체 인근의 제1 온도와 제1 습도를 측정하는 제1 온습도 센서(142) 및 발열이 심한 제어부(160)에 설치되어 제어부(160) 인근의 제2 온도와 제2 습도를 측정하는 제2 온습도 센서(144)를 포함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진동 센서(150)는 이미지 획득부(130)에 설치되어 이미지 획득부(130)의 진동을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냉각팬(182)은 하우징(110) 외부에 위치한 이송부(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그 동작이 결정된다.
제2 냉각팬(184)은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한 이송부(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그 동작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제1 냉각팬(182)과 제2 냉각팬(184)은 인입부(112) 인근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이미지 획득부(130)로부터 전달받은 검사 이미지에 미리 설정된 검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피검사체에 대한 검사 결과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검사 결과 정보를 표시부(170)에 표시하고, 로그 정보, 온습도 센서부(140)로부터 전달받은 온도 측정치와 습도 측정치 및 진동 센서(150)로부터 전달받은 진동 측정치를 로컬 네트워크 모니터링 서버(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온습도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온도 측정치와 습도 측정치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냉각팬 동작 기준치와 비교하여 제1 냉각팬(182)과 제2 냉각팬(184)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장비 내부의 온도 또는 습도가 적정 수준에서 벗어난 경우, 제어부(160)의 제어 동작을 통해 장비 자체적으로 제1 냉각팬(182)과 제2 냉각팬(184)을 동작시켜 온도 또는 습도를 적정한 수준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동보정 기능으로서, 고온/고습의 인쇄회로기판이 유입되는 경우, 온습도 센서부(140)로 감지해 인입부(112) 인근에 설치된 별도의 냉각팬들을 동작시켜 인쇄회로기판의 온도/습도를 낮추어 인쇄회로기판 자체 열팽창으로 인한 비전검사시 소프트웨어적 검사기준 보정을 최소화하고, 인쇄회로기판에 정전기가 발생하는 환경적 요인을 변화시켜 정전기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며, 인쇄회로기판에서 기화되는 플럭스(Flux) 발생량을 줄여 검사시의 렌즈 표면 이물 흡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로컬 네트워크 모니터링 서버(20)는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비전검사장비(10)와 연결되어 있으며, 복수의 비전검사장비(10)로부터 가동과 관련한 로그 정보와 센싱 정보를 전송받아 수집하고, 수집된 로그 정보와 센싱 정보를 기계학습을 통해 분석하여 유지보수 예측 정보를 생성하고, 유지보수 예측 정보에 대응하는 로컬 알람 정보를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등록되어 있는 관리자 단말(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로그 정보는 장비 누적 가동시간, 알람 로그, 검사 보드 총 개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로컬 네트워크 모니터링 서버(20)는, 비전검사장비(10)로부터 전송받은 제1 온도 측정치와 제1 습도 측정치의 누적 데이터 및 로그 정보에 포함된 장비 누적 가동시간에 따라 이미지 획득부(130)를 구성하는 렌즈의 청소주기 추천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3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이유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온/고습은 전자기기 부품의 수명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특히, 리플로우 오븐(Reflow Oven)을 통해 비전검사장비(10)에 유입되는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피검사체 자체 온도/습도는, 비전검사장비(10)의 광학계 유지보수 주기에 큰 영향을 준다. 고온의 인쇄회로기판에서 발생되는 플럭스(Flux)로 인하여 검사시의 렌즈 표면에 이물이 흡착됨으로 인하여 렌즈 표면에 대한 청소(Cleaning) 작업의 주기가 빨라진다. 이에 따라, 인송부에 의해 인입부(112)를 통해 인입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장착된 제1 온습도 센서(142)를 통해 측정된 장기간의 누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렌즈표면 청소주기를 추천해 줄 수 있다.
다른 예로, 로컬 네트워크 모니터링 서버(20)는, 비전검사장비(10)로부터 전송받은 제2 온도 측정치와 제2 습도 측정치의 누적 데이터 및 로그 정보에 포함된 장비 누적 가동시간에 따라 비전검사장비(10)를 구성하는 부품의 교체주기 추천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3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전검사장비(10)에서 열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제어부(160) 주변의 제2 온습도 센서(144)가 측정하는 값은 장비 내부의 온습도 값을 대표하는 것으로써 장비 부품의 교체주기를 가늠하는 척도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로컬 네트워크 모니터링 서버(20)는, 비전검사장비(10)로부터 전송받은 진동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진동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30)로 진동 위험을 통지하고 비전검사장비(10)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이유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전검사장비(10) 자체 진동 및 주변 타장비의 진동은 인쇄회로기판 비전검사 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광학계, 즉, 이미지 획득부(130)에 진동 센서(150)를 부착하여 진동 정도를 모니터링 및 데이터를 수집하고, 광학계의 진동이 심할 경우(상한치 이상), 작업자에게 알림/검사장비 알람 울림/검사장비 구동정지 등의 제어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자동보정 기능으로서는 광학계가 비전검사를 위한 목포지점 가까이 근접시 구간 감속 로봇이동을 적용하여 최종 목표지점 도달 시에 광학계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원격지 서비스 서버(40)는 로컬 네트워크 모니터링 서버(20)로부터 유지보수 예측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유지보수 예측 정보에 대응하는 원격 알람 정보를 로컬 네트워크의 커버리지(coverage)를 이탈한 관리자 단말(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원격지 서비스 서버(40)는 이러한 기능 이외에도 로컬 네트워크 모니터링 서버(2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가공하여 고객사로 다양한 형태의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지 서비스 서버(40)는 독립적인 물리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많은 수의 비전검사장비들을 운용하는 고객사에게 비전검사장비의 현재 상황에 대한 정보 및 유지보수를 위한 정보를 미리 예측하여 제공할 수 있는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비 운용 로그 및 센서들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을 통해 분석하여 고객에게 비전검사 악조건 경고 및 장비 유지보수 시기를 사전에 미리 예측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비전검사공정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빅데이터 분석 기반으로 고객사에게 비전검사장비의 부품 교체 및 유지보수 시점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미리 제공하기 때문에, 고객사가 장비 고장 발생 이전에 선제적으로 미리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10: 비전검사장비
20: 로컬 네트워크 모니터링 서버
30: 관리자 단말
40: 원격지 서비스 서버
110: 하우징
112: 인입부
114: 인출부
120: 이송부
130: 이미지 획득부
140: 온습도 센서부
142: 제1 온습도 센서
144: 제2 온습도 센서
150: 진동 센서
160: 제어부
170: 표시부
182: 제1 냉각팬
184: 제2 냉각팬

Claims (8)

  1. 피검사체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피검사체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복수의 비전검사장비;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복수의 비전검사장비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비전검사장비로부터 가동과 관련한 로그 정보와 센싱 정보를 전송받아 수집하고, 수집된 로그 정보와 센싱 정보를 기계학습을 통해 분석하여 유지보수 예측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유지보수 예측 정보에 대응하는 로컬 알람 정보를 상기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등록되어 있는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로컬 네트워크 모니터링 서버; 및
    상기 로컬 네트워크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상기 유지보수 예측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상기 유지보수 예측 정보에 대응하는 원격 알람 정보를 상기 로컬 네트워크의 커버리지를 이탈한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원격지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비전검사장비는,
    하우징에 구비된 인입부와 인출부를 통해 상기 피검사체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피검사체를 촬영하여 검사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비전검사가 수행되는 환경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부;
    상기 이미지 획득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미지 획득부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 센서; 및
    상기 이미지 획득부로부터 전달받은 검사 이미지에 미리 설정된 검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획득한 상기 피검사체에 대한 검사 결과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로그 정보, 상기 온습도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온도 측정치와 습도 측정치 및 상기 진동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진동 측정치를 상기 로컬 네트워크 모니터링 서버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습도 센서부는,
    상기 피검사체가 인입되는 인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체 인근의 제1 온도와 제1 습도를 측정하는 제1 온습도 센서; 및
    상기 제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 인근의 제2 온도와 제2 습도를 측정하는 제2 온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전검사장비는,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한 상기 이송부의 하부에 설치된 제1 냉각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된 제2 냉각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습도 센서 로부터 전달받은 온도 측정치와 습도 측정치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냉각팬 동작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제1 냉각팬과 상기 제2 냉각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네트워크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비전검사장비로부터 전송받은 제1 온도 측정치와 제1 습도 측정치의 누적 데이터 및 로그 정보에 포함된 장비 누적 가동시간에 따라 상기 이미지 획득부를 구성하는 렌즈의 청소주기 추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네트워크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비전검사장비로부터 전송받은 제2 온도 측정치와 제2 습도 측정치의 누적 데이터 및 로그 정보에 포함된 장비 누적 가동시간에 따라 상기 비전검사장비를 구성하는 부품의 교체주기 추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네트워크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비전검사장비로부터 전송받은 진동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진동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로 진동 위험을 통지하고 상기 비전검사장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
KR1020170149516A 2017-11-10 2017-11-10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 KR101961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516A KR101961820B1 (ko) 2017-11-10 2017-11-10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516A KR101961820B1 (ko) 2017-11-10 2017-11-10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820B1 true KR101961820B1 (ko) 2019-03-25

Family

ID=6590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516A KR101961820B1 (ko) 2017-11-10 2017-11-10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8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947A (ko) * 2018-08-27 2020-03-06 아이솔루션(주)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한 비전검사장비와 생산장비 제어시스템
KR102174424B1 (ko) * 2019-05-24 2020-11-0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서버 기반 부품 검사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2470006B1 (ko) * 2022-06-08 2022-11-23 주식회사 아이씨티솔루션스 수질 측정 장비의 유지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지능형 데이터 로거 시스템 및 방법
WO2023101969A1 (en) * 2021-11-30 2023-06-08 Aveva Software, Llc Server, systems and methods for industrial process visual anomaly reporting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090A (ja) * 1996-07-03 1998-01-23 Unitec:Kk 電子部品処理装置における静電気対策方法
JP2003186531A (ja) * 2001-12-14 2003-07-04 Nec San-Ei Instruments Ltd 産業用機器の遠隔監視システム及びその装置
KR20050083491A (ko) * 2004-02-23 2005-08-26 주식회사 미르기술 표면실장설비용 비전검사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원격제어방법
JP2012048303A (ja) * 2010-08-24 2012-03-08 Nec Corp 振動対応システム、監視部品、管理用端末、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13297A (ko) * 2012-07-23 2014-02-05 주식회사 미르기술 피시비 기판의 냉각부를 포함하는 비전검사장치
KR20150103772A (ko) 2014-03-03 2015-09-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표시 패널 검사 방법
KR20150104760A (ko) 2014-03-06 2015-09-16 주식회사 미르기술 검사공정에서의 원격 모니터링 방법
KR20170097331A (ko) * 2016-02-18 2017-08-28 유도썬스(주) 예방보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090A (ja) * 1996-07-03 1998-01-23 Unitec:Kk 電子部品処理装置における静電気対策方法
JP2003186531A (ja) * 2001-12-14 2003-07-04 Nec San-Ei Instruments Ltd 産業用機器の遠隔監視システム及びその装置
KR20050083491A (ko) * 2004-02-23 2005-08-26 주식회사 미르기술 표면실장설비용 비전검사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원격제어방법
JP2012048303A (ja) * 2010-08-24 2012-03-08 Nec Corp 振動対応システム、監視部品、管理用端末、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13297A (ko) * 2012-07-23 2014-02-05 주식회사 미르기술 피시비 기판의 냉각부를 포함하는 비전검사장치
KR20150103772A (ko) 2014-03-03 2015-09-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표시 패널 검사 방법
KR20150104760A (ko) 2014-03-06 2015-09-16 주식회사 미르기술 검사공정에서의 원격 모니터링 방법
KR20170097331A (ko) * 2016-02-18 2017-08-28 유도썬스(주) 예방보전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947A (ko) * 2018-08-27 2020-03-06 아이솔루션(주)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한 비전검사장비와 생산장비 제어시스템
KR102126003B1 (ko) 2018-08-27 2020-06-23 아이솔루션(주)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한 비전검사장비와 생산장비 제어시스템
KR102174424B1 (ko) * 2019-05-24 2020-11-0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서버 기반 부품 검사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WO2023101969A1 (en) * 2021-11-30 2023-06-08 Aveva Software, Llc Server, systems and methods for industrial process visual anomaly reporting
KR102470006B1 (ko) * 2022-06-08 2022-11-23 주식회사 아이씨티솔루션스 수질 측정 장비의 유지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지능형 데이터 로거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820B1 (ko) 비전검사장비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
JP5517638B2 (ja) 実装部品検査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実装部品検査装置、およびその実装部品検査装置を備えた部品実装機
EP3102017B1 (en) Quality management apparatus and quality management method
JP2011020758A (ja) エレベータの部品改善計画システム及びその部品改善計画方法
US10610951B2 (en) Device having monitored device cooling
JP2014135425A (ja) プリント基板の品質管理システム
TW201810131A (zh) 電子零件搬送裝置及電子零件檢查裝置
JP4969664B2 (ja) 半田印刷検査装置及び半田印刷システム
CN110554302B (zh) 快速自动检测电路板故障的装置
WO2010069318A1 (en) Wear-out pattern recognition
JP2009538530A (ja) 電子機器組立て機のための組込み検査画像アーカイブ
JP2007053264A (ja) 実装品質の不良検出装置及び実装品質の不良検出方法
KR102126003B1 (ko)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한 비전검사장비와 생산장비 제어시스템
JP2007157781A (ja) 部品不良判別装置、部品不良判別方法、部品不良判別用プログラム、および部品不良判別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5228949A (ja) 検査装置、検査システム及び検査方法
KR20180059103A (ko) 시설물 예방정비 및 이상상황 탐지를 위한 열화상 장치 기반 시설물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JP2011196891A (ja) 判定装置,タイヤコード処理装置及び状態判定方法
CN212255158U (zh) 一种视觉实时检测系统
JP3856131B2 (ja) 基板実装ラインの運転支援装置
KR102484211B1 (ko) 전자부품 실장라인들의 통합유지보수방법
US20200356081A1 (en) System and a Method to Enable Zero Defect Production
JP2009169458A (ja) 生産プロセス管理システム
JP2022038020A (ja) 検査システム
JP2007017311A (ja) 外観検査システム
KR102049563B1 (ko) Pcb 제조 공정에서의 기판 겹침 검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