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789B1 - 이어팁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어팁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789B1
KR101960789B1 KR1020170161761A KR20170161761A KR101960789B1 KR 101960789 B1 KR101960789 B1 KR 101960789B1 KR 1020170161761 A KR1020170161761 A KR 1020170161761A KR 20170161761 A KR20170161761 A KR 20170161761A KR 101960789 B1 KR101960789 B1 KR 101960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phase change
ear
cover
external stimu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우석
박래범
Original Assignee
(주) 파켐코리아
박래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파켐코리아, 박래범 filed Critical (주) 파켐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161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7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팁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은, 제1 외부 자극에 의해 액체 상태 또는 겔(gel)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상전이가 일어나고, 제2 외부 자극에 의해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 또는 겔 상태로 상전이가 일어나는 상변환부; 및 상기 상변환부에 상전이가 일어나도록 제어하는 상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제어부는 상기 상변환부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상기 상변환부의 형상이 귀의 형상에 맞게 유지되도록 상기 상변환부에 제1 외부 자극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상 또는 점성이 있는 액상의 물질을 빠르게 경화시켜 사용자의 귀에 맞춰 이어팁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경화된 이어팁을 연화시킬 수 있어, 사용자는 언제든 자신의 귀 형상에 맞춰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어팁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EAR TIP AND EARPHO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어팁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귀에 맞춰 사용할 수 있는 이어팁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은 사용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전자기기로, 소형화된 스피커 유닛을 내장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귀에 착용하여 스피커 유닛에서 발생된 음향을 사용자의 귓속으로 직접 방출하는 전자기기이다. 이러한 이어폰의 종류는 다양한데, 최근 사용자의 귓속인 외이도 내부로 삽입되는 인이어 이어폰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이어 이어폰에는 탄성체 소재의 이어팁이 이용되는데, 이러한 이어팁은 사용자의 귀에 밀착되어 내이도 내에 밀폐된 공간을 만드는데, 밀폐된 정도에 따라 이어폰에서 방출된 음향 성능이 달라지는 등 이어폰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에 맞는 이어팁을 이용할 필요가 있는데, 사용자마다 귀의 형상이 다르고, 이어팁이 일부 삽입되는 외이도 입구의 크기도 다르기 때문에 제조사는 수 개의 이어팁을 별도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에게 맞는 이어팁을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귀에 맞는 이어팁을 사용하여 인이어 이어폰을 사용하더라도 운동과 같은 격한 동작을 하는 경우, 이어폰이 귀에서 빠지는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이어폰에 C자 형상의 부품을 추가하여, 이어폰이 귀에서 빠지는 현상을 줄이는 제품도 상용화되어 있다.
한편, 기존의 일부 제조사에서는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이어폰을 제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맞춤형 이어폰은 상당한 고가이고, 제작 시간도 상당 기간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인이어 이어폰에 이용되는 이어팁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12487호(이하, 종래기술)는 사용자에게 맞춤형 이어폰을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종래기술은 광경화 물질을 이용하여 사용자 귀에 이어팁의 형상을 맞춰 경화시키는 기술이 개시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한 번 자신에 맞게 경화시키면, 그 형상이 그대로 고정되어 다시 형상을 변형할 수 없다. 즉, 사용자가 실수로 잘못된 형상으로 경화시킨 이후에는 형상을 변형할 수 없어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12487호 (2017.02.0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맞춰 사용할 수 있는 이어팁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은, 제1 외부 자극에 의해 액체 상태 또는 겔(gel)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상전이가 일어나고, 제2 외부 자극에 의해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 또는 겔 상태로 상전이가 일어나는 상변환부; 및 상기 상변환부에 상전이가 일어나도록 제어하는 상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제어부는 상기 상변환부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상기 상변환부의 형상이 귀의 형상에 맞게 유지되도록 상기 상변환부에 제1 외부 자극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외부 자극은 전기 자극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제어부는 상기 상변환부에 제1 외부 자극을 가하기 위한 경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부는 공급된 전원에 의해 상기 상변환부에 제1 외부 자극을 가하기 위한 전극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변환부는 과냉각 물질 및 상기 과냉각 물질을 상전이시키기 위한 핵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변환부를 감싸며, 상기 상변환부를 수용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를 지지하고, 상기 상제어부가 배치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는 제1 커버 및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양측이 개방된 중공 형상을 갖는 결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결속부의 일 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결속부의 타 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상변환부는 상기 제1 커버, 제2 커버, 결속부 및 지지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귀에 접촉되며, 상기 상변환부의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은, 내부에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이어팁을 포함하고, 제1 외부 자극에 의해 액체 상태 또는 겔(gel)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상전이가 일어나고, 제2 외부 자극에 의해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 또는 겔 상태로 상전이가 일어나는 상변환부; 및 상기 상변환부에 상전이가 일어나도록 제어하는 상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제어부는 상기 상변환부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상기 상변환부의 형상이 귀의 형상에 맞게 유지되도록 상기 상변환부에 제1 외부 자극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상 또는 점성이 있는 액상의 물질을 빠르게 경화시켜 사용자의 귀에 맞춰 이어팁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경화된 이어팁을 연화시킬 수 있어, 사용자는 언제든 자신의 귀 형상에 맞춰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변환부가 액상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어팁을 포함하는 이어폰을 귀에 장착하고, 전기 자극을 이용하여 액상 상태의 상변환부를 경화시킬 수 있어, 자신의 귀에 딱 맞는 이어팁을 빠르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이 포함된 이어폰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100)은, 상변환부(110) 및 상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상변환부(110)는 외부 자극에 의해 액체 상태(또는 겔(gel)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상전이가 일어나고, 다른 외부 자극에 의해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상전이가 일어나는 물질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변환부(110)는 과냉각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과냉각 물질은 아세트산나트륨 삼수화물(sodium acetate trihydrat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른 종류의 과냉각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변환부(110)는 과냉각 물질과 함께 과냉각 물질을 고체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는 핵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핵제는, 외부에서 자극이 발생할 때, 액체 상태의 과냉각 물질을 고체 상태로 상전이시킬 수 있는 물질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핵제는 그라파이트(graphite) 또는 전도성 나노입자(conductive nano particle)가 이용될 수 있다.
상변환부(110)는 과냉각 물질과 핵제가 혼합된 상태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다른 물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제어부(120)는 상변환부(110)에 외부 자극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제어부(120)는 경화부(122) 및 연화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경화부(122)는 액체 상태의 상변환부(110)를 경화시켜 고체 상태로 상전이가 이루어지도록 외부 자극을 상변환부(110)에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경화부(122)는 전기 자극을 상변환부(110)에 제공하기 위한 전극일 수 있다.
경화부(122)는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전원이 공급되면 전극을 통해 방전되어 상변환부(110)에 자극을 가할 수 있다.
연화부(124)는 고체 상태의 상변환부(110)를 연화시켜 액체 상태로 상전이가 이루어지도록 외부 자극을 상변환부(110)에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화부(124)는 상변환부(110)에 열을 가할 수 있는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연화부(124)는 상변환부(110)에 열을 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실시예에서, 외부 전원에 의해 상변환부(110)에 열을 가하기 위해 구비되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연화부(124)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변환부(110)는 외부 자극에 의해 액체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경화되며, 과냉각 물질이 이용됨에 따라 경화된 상변환부(110)는 열에 의해 다시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상전이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경화된 상변환부(110)를 액체 상태로 상전이가 일어날 수 있게 외부에서 열을 가하여 액체 상태로 연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필요에 따라 연화부(124)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화부(124)는 열을 상변환부(110)에 가하기 위한 것으로, 상변환부(110)와 접촉되어 외부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열전 소자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100)은, 상변환부(110) 및 상제어부(120)를 포함하고, 결속링(130), 커버부(140) 및 지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속링(130)은 후술하겠지만, 이어폰(200)에 결합되기 위해 구비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관의 형상을 갖는다. 결속링(130)은 탄력이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관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커버부(140)는 결속링(130)과 결합되며, 상변환부(110)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구비되며, 제1 커버(142) 및 제2 커버(144)를 포함한다.
제1 커버(142)는 결속링(130)의 일 측에서 연장되며, 결속링(130)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커버(142)는 이어팁(100)의 외측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커버(142)는 상변환부(110)가 액체(또는 겔(gel)) 상태일 때, 상변환부(110)의 형상이 달라지면서 그에 따라 형상이 달라질 수 있도록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부드러운 소재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제1 커버(142)는 실리콘 러버로 제조될 수 있다.
제2 커버(144)는 결속링(130)의 타 측에서 연장되며, 결속링(130)의 중공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커버(144)는 이어팁(100)의 음향홀(H) 내측벽의 일부일 수 있다. 이때, 제2 커버(144)는 제1 커버(142)와 마찬가지로, 부드러운 소재를 가질 수 있으며, 실리콘 러버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이때, 제2 커버(144)는 제1 커버(142)보다 강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제1 커버(142)와 제2 커버(144)의 내부에 수용된 상변환부(110)가 액체(또는 겔(gel)) 상태에서 형상이 변형되더라도 제2 커버(144)가 일정 이상으로 음향홀(H)의 내측벽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지부(150)는 제1 커버(142) 및 제2 커버(144)와 결합되고, 이어팁(100)의 각 구성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지지부(150)는 제1 커버(142), 제2 커버(144) 및 결속링(130)과 함께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수용공간에 상변환부(110)가 수용된다. 지지부(15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반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 음향홀(H)이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50)는 합성수지와 같은 강성이 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50)에 경화부(122) 및 연화부(124)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경화부(12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극일 수 있으며,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상변환부(110)에 전기 자극을 가하기 위해 경화부(122)의 일부가 상변환부(110)와 접촉될 수 있다.
연화부(124)는 상변환부(110)에 열을 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상변환부(110)에 열을 가할 수 있다. 연화부(1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변환부(110)와 접속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지지부(150)에는 경화부(122) 및 연화부(124)에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가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지지부(150)에 경화부(122) 및 연화부(124)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가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이 포함된 이어폰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어팁(100)은 이어폰(200)의 결속부(220)에 결합되어 이용될 있다. 이어폰(200)은 내부에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는 몸체부(210)와, 스피커 유닛에서 발생된 음향을 외부로 방출하고 이어팁(100)이 결합되기 위한 결속부(2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어팁(100)은 결속부(2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이어폰(200)의 몸체부(210) 또는 결속부(220)에는 이어팁(100)의 경화부(122) 및 연화부(12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이어팁(100)에 배치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어팁(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이어팁
110: 상변환부 120: 상제어부
122: 경화부 124: 연화부
130: 결속링 140: 커버부
142: 제1 커버 144: 제2 커버
150: 지지부 H: 음향홀
200: 이어폰
210: 몸체부 220: 결속부

Claims (8)

  1. 제1 외부 자극에 의해 액체 상태 또는 겔(gel)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상전이가 일어나고, 제2 외부 자극에 의해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 또는 겔 상태로 상전이가 일어나는 상변환부; 및
    상기 상변환부에 상전이가 일어나도록 제어하는 상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제어부는 상기 상변환부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상기 상변환부의 형상이 귀의 형상에 맞게 유지되도록 상기 상변환부에 제1 외부 자극을 가하고,
    상기 제1 외부 자극은 전기 자극이며,
    상기 상변환부는 과냉각 물질 및 상기 과냉각 물질을 상전이시키기 위한 핵제를 포함하고,
    상기 핵제는 상기 상변환부에 상기 전기 자극이 전달되도록 상기 과냉각 물질과 혼합된 그라파이트 또는 전도성 입자인 이어팁.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제어부는 상기 상변환부에 제1 외부 자극을 가하기 위한 경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부는 공급된 전원에 의해 상기 상변환부에 제1 외부 자극을 가하기 위한 전극인 이어팁.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변환부를 감싸며, 상기 상변환부를 수용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를 지지하고, 상기 상제어부가 배치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이어팁.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제1 커버 및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양측이 개방된 중공 형상을 갖는 결속링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결속링의 일 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결속링의 타 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상변환부는 상기 제1 커버, 제2 커버, 결속링 및 지지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 이어팁.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귀에 접촉되며, 상기 상변환부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는 이어팁.
  8. 내부에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이어팁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팁은,
    제1 외부 자극에 의해 액체 상태 또는 겔(gel)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상전이가 일어나고, 제2 외부 자극에 의해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 또는 겔 상태로 상전이가 일어나는 상변환부; 및
    상기 상변환부에 상전이가 일어나도록 제어하는 상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제어부는 상기 상변환부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상기 상변환부의 형상이 귀의 형상에 맞게 유지되도록 상기 상변환부에 제1 외부 자극을 가하고,
    상기 제1 외부 자극은 전기 자극이며,
    상기 상변환부는 과냉각 물질 및 상기 과냉각 물질을 상전이시키기 위한 핵제를 포함하고,
    상기 핵제는 상기 상변환부에 상기 전기 자극이 전달되도록 상기 과냉각 물질과 혼합된 그라파이트 또는 전도성 입자인 이어폰.
KR1020170161761A 2017-11-29 2017-11-29 이어팁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KR101960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761A KR101960789B1 (ko) 2017-11-29 2017-11-29 이어팁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761A KR101960789B1 (ko) 2017-11-29 2017-11-29 이어팁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789B1 true KR101960789B1 (ko) 2019-03-21

Family

ID=66036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761A KR101960789B1 (ko) 2017-11-29 2017-11-29 이어팁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7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583B1 (ko) * 2021-02-16 2021-05-06 주식회사 아즈라 액티브 노이즈 켄슬링 기능을 향상시킨 격벽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
KR102248582B1 (ko) * 2021-02-16 2021-05-06 주식회사 아즈라 편안한 착용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
KR102316908B1 (ko) * 2020-09-11 2021-10-22 이희수 사용자 맞춤형의 이어플러그
KR20230090512A (ko) 2021-12-15 2023-06-22 홍이준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이어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68379A1 (en) * 2009-05-29 2012-03-22 Siemens Medical Instruments Pte. Ltd. Reusable ear fitting piece for creating an ear impression
US20150038774A1 (en) * 2013-08-01 2015-02-05 Oticon A/S Bone-sealed audio device
KR20170012487A (ko) 2014-05-30 2017-02-02 레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맞춤형 귀 삽입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68379A1 (en) * 2009-05-29 2012-03-22 Siemens Medical Instruments Pte. Ltd. Reusable ear fitting piece for creating an ear impression
US20150038774A1 (en) * 2013-08-01 2015-02-05 Oticon A/S Bone-sealed audio device
KR20170012487A (ko) 2014-05-30 2017-02-02 레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맞춤형 귀 삽입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908B1 (ko) * 2020-09-11 2021-10-22 이희수 사용자 맞춤형의 이어플러그
KR102248583B1 (ko) * 2021-02-16 2021-05-06 주식회사 아즈라 액티브 노이즈 켄슬링 기능을 향상시킨 격벽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
KR102248582B1 (ko) * 2021-02-16 2021-05-06 주식회사 아즈라 편안한 착용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
US11363368B1 (en) 2021-02-16 2022-06-14 Azla Inc. Ear tip including partition wall structure with improved active noise canceling function
US11368774B1 (en) 2021-02-16 2022-06-21 Azla Inc. Ear tip including comfortable wearing structure
KR20230090512A (ko) 2021-12-15 2023-06-22 홍이준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이어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789B1 (ko) 이어팁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US20220217460A1 (en) Earbud stability anchor feature
US11272292B2 (en) Loudspeaker apparatus
TWI364887B (en) Connectors designed for ease of use
US11303987B2 (en) Loudspeaker apparatus
TWI679828B (zh) 耳芽及耳芽系統
JP2014087054A (ja) イヤチ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とイヤチップを備えるイヤホン
KR101620371B1 (ko) 맞춤형 이어폰
JP2007228508A (ja) 受話装置
JP2009524971A (ja) アンテナスピーカ組立体及び無線通信装置
CN106331968A (zh) 用于听力装置的插入件
CN104349257A (zh) 骨密封音频装置
KR101614380B1 (ko) 셀프 튜닝 기능을 갖는 골전도식 청력보조장치
JP6544671B1 (ja) イヤホン
KR101039107B1 (ko) 골전도 이어폰
CN109714687B (zh) 骨传导扬声装置
JP2023096092A (ja) 音響出力装置
US11363368B1 (en) Ear tip including partition wall structure with improved active noise canceling function
CN108496373B (zh) 声音输出装置
US11368774B1 (en) Ear tip including comfortable wearing structure
JP2009165155A (ja) イヤホン装置
JPWO2018051453A1 (ja) 耳栓およびイヤーセット
GB2375000A (en) Adaptable moulded radio/telephone ear piece
CN116528103A (zh) 一种灌封式耳机制造工艺及耳机
CN114007161B (zh) 骨传导振子固定件及骨传导振子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