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582B1 - 편안한 착용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 - Google Patents

편안한 착용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582B1
KR102248582B1 KR1020210020596A KR20210020596A KR102248582B1 KR 102248582 B1 KR102248582 B1 KR 102248582B1 KR 1020210020596 A KR1020210020596 A KR 1020210020596A KR 20210020596 A KR20210020596 A KR 20210020596A KR 102248582 B1 KR102248582 B1 KR 102248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ar
ear tip
wear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즈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즈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즈라
Priority to KR1020210020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582B1/ko
Priority to US17/668,669 priority patent/US113687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2Ear tips; Ear mou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1Hearing devices using active noise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9Non-occlusive ear tips, i.e. leaving the ear canal open, for both custom and non-custom tips

Abstract

편안한 착용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은, 이어폰의 일측에 장착되고 착용자의 외이도 내로 삽입되어 이어폰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이어팁으로서, 이어폰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중공형 실린더 구조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방사형태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착용자의 외이도 내부면과 접촉하는 외이도 접촉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과 외이도 접촉부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장착되고, 하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다수의 중공형 다각기둥이 인접한 구조의 압력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자의 귀에 착용 시 이어팁에 의해 착용자의 외이도 피부 표면에 가해지는 부분압력을 분산압력을 변경함으로써 압박감과 이물감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착용자의 외이도 피부 표면에 밀착함으로써 액티브 노이즈 켄슬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안한 착용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안한 착용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Eartip Having Comfortable Fit Structure}
본 발명은 이어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귀에 착용 시 압박감을 분산시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편안한 착용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에 관한 것이다.
요즘 많은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으로 음악을 감상하거나 전화 통화를 하는 경우 핸즈프리 기능에 의한 일반 이어폰 또는 블루투스 이어폰을 사용한다.
보통 스마트폰을 처음 구입하는 경우 번들용 이어폰이 제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헤드폰과 비교하여 이어폰은 음량에 있어서 조금 떨어질 수 있으나, 작은 크기로 인하여 휴대하기 간편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대중적인 보급과 함께 생활의 필수품이 되어버린 것이 현실이다.
이어폰을 형태로 분류를 하면 크게 개방형과 커널형 이어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초기 모델의 경우 개방형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요즘은 개방형과 커널형 모두 비슷한 비율로 사용되고 있다.
개방형 이어폰의 장점이라면 이어폰의 하우징 내에 있는 스피커 모듈이 귓구멍에 완전히 밀폐되지 않고, 직접 음향이 전달되지 않아 음향의 일부가 새어나가서 편안한 개방감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이다. 커널형 이어폰의 장점은 소음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고 사람마다 개성적인 외이의 모양에 상관없이 내이의 폭에 맞는 이어팁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귀구멍과 밀착이 잘되어서 고정력이 강하다는 점이다.
상기 개방형 이어폰과 커널형 이어폰은 상호 보완적인 면이 있는데, 개방형 이어폰의 단점인 고정력 및 음샘으로 인한 저음역 재생능력 저하와 외부소음 유입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만들어진 이어폰이 커널형 이어폰이며, 반대로 커널형 이어폰은 개방형 이어폰과는 반대로 고정력 및 소음차단의 기능은 있으나 귓구멍과 밀착되어서 공기의 순환이 잘되지 않아 저음의 음역이 강하나, 사람마다 이물감 내지는 답답함, 그리고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커널형 이어폰은 밀폐형 헤드폰처럼 스피커와 귀 사이를 최대한 밀착시켜서 외부의 소음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주변 소리로 인한 방해가 적고 진동판에서 발생하는 음향이 외부로 새어 나가지 않기 때문에 외부환경이 열악한 장소, 즉 외부소음이 심한 장소에서 음악 등의 청취가 가능하고 주변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장시간 사용할 경우 귀에 밀착된 이어팁의 압력 때문에 개방형 이어폰에 비해 착용감은 상대적으로 좋지 않으며 진동판의 소리가 직접 고막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공기의 압력에 의한 충격으로 인해 고막이 충격을 받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팁의 내부 공간에 충진재(200)를 삽입하여 귓구멍과 밀착되도록 하였으나, 충진재의 압력으로 인해 오히려 착용상의 불편함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23805호 (등록일자: 2013년10월24일)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귀에 착용 시 이어팁에 의해 착용자의 외이도 피부 표면에 가해지는 부분압력을 분산압력을 변경함으로써 압박감과 이물감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착용자의 외이도 피부 표면에 밀착함으로써 액티브 노이즈 켄슬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안한 착용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어팁은, 이어폰의 일측에 장착되고 착용자의 외이도 내로 삽입되어 이어폰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이어팁으로서, 이어폰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중공형 실린더 구조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방사형태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착용자의 외이도 내부면과 접촉하는 외이도 접촉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과 외이도 접촉부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장착되고, 하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다수의 중공형 다각기둥이 인접한 구조의 압력분산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력분산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과 외이도 접촉부의 내주면을 하나의 평면 또는 절곡된 평면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제1측벽; 및 상기 다수의 제1측벽을 서로 연결하여 중공형 다각기둥 구조를 형성하는 다수의 제2측벽;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력분산부의 제1측벽과 제2측벽은, 사용자의 손가락 압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변형될 수 있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력분산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중공형 다각기둥의 밀집도는, 상기 외이도 접촉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본체부의 외주면 방향으로 높아지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력분산부의 중공형 다각기둥은, 사용자의 손가락 압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변형될 수 있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된 다수의 측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력분산부의 측벽은, 내부에 유체를 수납할 수 있도록 측벽의 연장면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측벽 내부와 연통되는 유체수납공간; 및 상기 유체수납공간 내부에 충진되고, 외부 전기자극에 의해 겔(gel) 상태와 고체상태로 상전이가 일어나는 상변환유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변환유체는, 과냉각 물질; 및 상기 과냉각 물질을 상전이시키기 위한 핵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핵입자는, 상기 상변환유체에 전기 자극이 전달되도록 과냉각 물질과 혼합된 그라파이트 또는 전도성 입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유체수납공간 내부로 진입한 다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전력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유체수납공간 내부에 전기자극을 가하는 고상전이 자극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유체수납공간 내부로 진입한 다수의 열전소자를 포함하며, 전력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유체수납공간 내부에 열을 가하는 액상전이 자극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착용자의 외이도 피부와 접촉한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착용검출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무선충전 가능한 2차전지를 포함하며 저장된 전력을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고상전이 자극부 및 액상전이 자극부에 제공하는 전력공급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착용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고상전이 자극부 및 액상전이 자극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어팁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부, 외이도 접촉부 및 압력분산부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귀에 착용 시 이어팁에 의해 착용자의 외이도 피부 표면에 가해지는 부분압력을 분산압력을 변경함으로써 압박감과 이물감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착용자의 외이도 피부 표면에 밀착함으로써 액티브 노이즈 켄슬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안한 착용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팁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측벽 및 제2측벽으로 구성된 압력분산부를 구비하고, 압력분산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중공형 다각기둥의 밀집도를 특정 위치에 따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착용자의 귀에 착용 시 이어팁에 의해 착용자의 외이도 피부 표면에 가해지는 부분압력을 분산압력을 변경함으로써 압박감과 이물감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착용자의 외이도 피부 표면에 밀착함으로써 액티브 노이즈 켄슬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안한 착용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팁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유체수납공간을 압력분산부를 구성하는 측벽 내부에 형성하고, 유체수납공간 내부에 상변환유체를 충진함으로써, 경우에 따라 압력분산부를 구성하는 측벽의 유연한 정도를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이어팁의 착용감을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외이도 내부에 착용한 후 압력분산부의 유연한 정도를 변경하여 밀착 고정시킬 수 있어, 착용자의 외이도 피부 표면에 밀착함으로써 액티브 노이즈 켄슬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안한 착용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팁에 따르면,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고상전이 자극부, 액상전이 자극부, 착용검출부, 전력공급부 및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이어팁의 착용 여부에 따라 압력분산부를 구성하는 측벽의 유연한 정도를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이어팁의 착용감을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외이도 내부에 착용한 후 압력분산부의 유연한 정도를 변경하여 밀착 고정시킬 수 있어, 착용자의 외이도 피부 표면에 밀착함으로써 액티브 노이즈 켄슬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안한 착용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의 압력분산부를 구성하는 중공형 다각기둥의 밑면 형상을 나타내는 여러 실시예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밑면 형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다각형을 조합하여 압력분산부를 구성한 여러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은 도 8에 도시된 이어팁을 착용자의 외이도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A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100)은, 특정 구조의 본체부(110), 외이도 접촉부(120) 및 압력분산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귀에 착용 시 이어팁에 의해 착용자의 외이도 피부 표면에 가해지는 부분압력을 분산압력을 변경함으로써 압박감과 이물감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착용자의 외이도 피부 표면에 밀착함으로써 액티브 노이즈 켄슬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안한 착용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100)을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100)은, 이어폰의 일측에 장착되고 착용자의 외이도 내로 삽입되어 이어폰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구조로서, 특정 구조의 본체부(110), 외이도 접촉부(120) 및 압력분산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100)의 본체부(110)는, 이어폰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중공형 실린더 구조로서, 이어폰의 일측 외주면과 결속되는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외이도 접촉부(120)는, 본체부(110)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방사형태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로서, 착용자의 외이도 내부면과 접촉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분산부(130)는, 본체부(110)의 외주면과 외이도 접촉부(120)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하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다수의 중공형 다각기둥(P)이 인접한 구조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분산부(130)는, 특정 위치에 특정 구조로 형성된 제1측벽(131) 및 제2측벽(132)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1측벽(131)은, 본체부(110)의 외주면과 외이도 접촉부(120)의 내주면을 하나의 평면 또는 절곡된 평면으로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제2측벽(132)은, 다수의 제1측벽(131)을 서로 연결하여 중공형 다각기둥(P) 구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분산부(130)의 제1측벽(131)과 제2측벽(132)은, 사용자의 손가락 압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변형될 수 있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압력분산부(130)를 구성하는 다수의 중공형 다각기둥(P)의 밀집도는, 외이도 접촉부(120)의 내주면으로부터 본체부(110)의 외주면 방향으로 높아지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100)은, 특정 구조의 제1측벽(131) 및 제2측벽(132)으로 구성된 압력분산부를 구비하고, 압력분산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중공형 다각기둥(P)의 밀집도를 특정 위치에 따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착용자의 귀에 착용 시 이어팁에 의해 착용자의 외이도 피부 표면에 가해지는 부분압력을 분산압력을 변경함으로써 압박감과 이물감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착용자의 외이도 피부 표면에 밀착함으로써 액티브 노이즈 켄슬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안한 착용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의 압력분산부를 구성하는 중공형 다각기둥의 밑면 형상을 나타내는 여러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밑면 형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다각형을 조합하여 압력분산부를 구성한 여러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분산부(130)의 중공형 다각기둥(P)은, 사용자의 손가락 압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변형될 수 있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된 다수의 측벽(W)에 의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분산부(130)의 중공형 다각기둥(P)의 밑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 구조의 정다각형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분산부(130)는 도 4에 도시된 여러 정다각형을 밑면으로하는 다수의 중공형 다각기둥(P)의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여러 다각형이 조합되어 압력분산부(13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여러 실시예 중 조밀한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부분을 특정 위치에 배치하고, 조밀한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부분을 나머지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이어팁(100)의 유연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조자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유연한 정도 또는 강도를 가지는 이어팁(100)를 제조할 수 있고, 이어팁의 특정 위치별로 유연한 정도 또는 강도가 다른 이어팁(100)을 제조할 수 있다. 이어팁의 특정 위치별로 유연한 정도 또는 강도를 달리하게 되면, 이어팁이 외이도 내부 피부에 착용되는 착용감이 달라지게 된다. 이때, 소비자는 본인의 취향에 따라 제조된 이어팁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100)은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특정 위치별로 유연한 정도를 달리하여 착용감을 다양화할 수 있는 이어팁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B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에 도시된 이어팁을 착용자의 외이도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분산부(130)의 측벽(W)은, 특정 구조의 유체수납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체수납공간(S)은, 내부에 유체를 수납할 수 있도록 측벽(W)의 연장면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측벽 내부와 연통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유체수납공간(S) 내부에는 상변환유체(F)가 충진될 수 있다. 상변환유체(F)는, 외부 전기자극에 의해 겔(gel) 상태와 고체상태로 상전이가 일어나는 물질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언급한 상변환유체(F)는, 과냉각 물질 및 과냉각 물질을 상전이시키기 위한 핵입자를 포함하는 유체일 수 있다. 이때, 핵입자는, 상기 상변환유체(F)에 전기 자극이 전달되도록 과냉각 물질과 혼합된 그라파이트 또는 전도성 입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1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고상전이 자극부(141), 액상전이 자극부(142), 착용검출부(143), 전력공급부(144) 및 제어부(145)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상전이 자극부(141)는,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유체수납공간(S) 내부로 진입한 다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전력공급부(14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유체수납공간(S) 내부에 전기자극을 가할 수 있다.
액상전이 자극부(142)는,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유체수납공간(S) 내부로 진입한 다수의 열전소자를 포함하며, 전력공급부(14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유체수납공간(S) 내부에 열을 가할 수 있다.
착용검출부(143)는, 본체부(110)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착용자의 외이도 피부와 접촉한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를 제어부(145)에 전달할 수 있다.
전력공급부(144)는,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무선충전 가능한 2차전지를 포함하며 저장된 전력을 제어부(145)의 제어신호에 따라 고상전이 자극부(141) 및 액상전이 자극부(142)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5)는,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무선충전 가능한 2차전지를 포함하며 저장된 전력을 제어부(145)의 제어신호에 따라 고상전이 자극부(141) 및 액상전이 자극부(142)에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고상전이 자극부(141)와 액상전이 자극부(142)에 의해 상변화를 일으키는 상변환유체(F)의 배치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이도의 특정 위치와 접촉하는 부분만 고상으로 상전이시키거나, 액상으로 상전이시켜 다양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변환유체(F)의 배치를 사용자로 하여금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와 취향에 맞도록 착용감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100)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유체수납공간(S)을 압력분산부(130)를 구성하는 측벽 내부에 형성하고, 유체수납공간(S) 내부에 상변환유체(F)를 충진함으로써, 경우에 따라 압력분산부(130)를 구성하는 측벽의 유연한 정도를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이어팁의 착용감을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외이도 내부에 착용한 후 압력분산부(130)의 유연한 정도를 변경하여 밀착 고정시킬 수 있어, 착용자의 외이도 피부 표면에 밀착함으로써 액티브 노이즈 켄슬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안한 착용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고상전이 자극부(141), 액상전이 자극부(142), 착용검출부(143), 전력공급부(144) 및 제어부(145)를 구비함으로써, 이어팁의 착용 여부에 따라 압력분산부(130)를 구성하는 측벽의 유연한 정도를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이어팁의 착용감을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외이도 내부에 착용한 후 압력분산부(130)의 유연한 정도를 변경하여 밀착 고정시킬 수 있어, 착용자의 외이도 피부 표면에 밀착함으로써 액티브 노이즈 켄슬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안한 착용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이어팁
110: 본체부
120: 외이도 접촉부
130: 압력분산부
131: 제1측벽
132: 제2측벽
141: 고상전이 자극부
142: 액상전이 자극부
143: 착용검출부
144: 전력공급부
145: 제어부
P: 중공형 다각기둥
W: 측벽
S: 유체수납공간
F: 상변환유체

Claims (5)

  1. 이어폰의 일측에 장착되고 착용자의 외이도 내로 삽입되어 이어폰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이어팁으로서,
    이어폰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중공형 실린더 구조의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방사형태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착용자의 외이도 내부면과 접촉하는 외이도 접촉부(120); 및
    상기 본체부(110)의 외주면과 외이도 접촉부(120)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장착되고, 하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다수의 중공형 다각기둥(P)이 인접한 구조의 압력분산부(130);
    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분산부(130)는, 사용자의 손가락 압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변형될 수 있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110)의 외주면과 외이도 접촉부(120)의 내주면을 하나의 평면 또는 절곡된 평면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제1측벽(131); 및
    상기 다수의 제1측벽(131)을 서로 연결하여 중공형 다각기둥(P) 구조를 형성하는 다수의 제2측벽(13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분산부(130)를 구성하는 다수의 중공형 다각기둥(P)의 밀집도는,
    상기 외이도 접촉부(120)의 내주면으로부터 본체부(110)의 외주면 방향으로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분산부(130)의 측벽(W)은,
    내부에 유체를 수납할 수 있도록 측벽(W)의 연장면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측벽 내부와 연통되는 유체수납공간(S); 및
    상기 유체수납공간(S) 내부에 충진되고, 외부 전기자극에 의해 겔(gel) 상태와 고체상태로 상전이가 일어나는 상변환유체(F);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유체수납공간(S) 내부로 진입한 다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전력공급부(14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유체수납공간(S) 내부에 전기자극을 가하는 고상전이 자극부(141);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유체수납공간(S) 내부로 진입한 다수의 열전소자를 포함하며, 전력공급부(14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유체수납공간(S) 내부에 열을 가하는 액상전이 자극부(142);
    상기 본체부(110)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착용자의 외이도 피부와 접촉한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를 제어부(145)에 전달하는 착용검출부(143);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무선충전 가능한 2차전지를 포함하며 저장된 전력을 제어부(145)의 제어신호에 따라 고상전이 자극부(141) 및 액상전이 자극부(142)에 제공하는 전력공급부(144); 및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착용검출부(143)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고상전이 자극부(141) 및 액상전이 자극부(14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
KR1020210020596A 2021-02-16 2021-02-16 편안한 착용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 KR102248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596A KR102248582B1 (ko) 2021-02-16 2021-02-16 편안한 착용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
US17/668,669 US11368774B1 (en) 2021-02-16 2022-02-10 Ear tip including comfortable wear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596A KR102248582B1 (ko) 2021-02-16 2021-02-16 편안한 착용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582B1 true KR102248582B1 (ko) 2021-05-06

Family

ID=75915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596A KR102248582B1 (ko) 2021-02-16 2021-02-16 편안한 착용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368774B1 (ko)
KR (1) KR1022485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95827A (zh) * 2021-11-24 2022-02-25 日月光半导体制造股份有限公司 耳机装置及其制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989B1 (ko) * 2012-01-20 2012-10-18 (주)알파정밀 이어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이어폰
KR101323805B1 (ko) 2012-10-24 2013-10-31 주식회사 에이피케이 이어 팁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어 팁을 구비하는 이어 폰
KR101960789B1 (ko) * 2017-11-29 2019-03-21 (주) 파켐코리아 이어팁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49956A (en) * 2006-05-22 2013-11-15 Audio Pixels Holdings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generating pressure waves
US8457338B2 (en) * 2006-05-22 2013-06-04 Audio Pixels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generating pressure waves
KR101359059B1 (ko) * 2006-05-22 2014-02-05 오디오 픽셀즈 리미티드 다이렉트 디지털 스피커의 음량 및 음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506320B1 (en) * 2019-01-10 2019-12-10 Phillip Dale Lott Dynamic earphone ti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989B1 (ko) * 2012-01-20 2012-10-18 (주)알파정밀 이어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이어폰
KR101323805B1 (ko) 2012-10-24 2013-10-31 주식회사 에이피케이 이어 팁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어 팁을 구비하는 이어 폰
KR101960789B1 (ko) * 2017-11-29 2019-03-21 (주) 파켐코리아 이어팁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95827A (zh) * 2021-11-24 2022-02-25 日月光半导体制造股份有限公司 耳机装置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68774B1 (en)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7062B2 (en) Earphones
US11259111B2 (en) Earpiece positioning and retaining
US10212525B2 (en) Universal earpiece
CN101188873B (zh) 耳机
US11503394B2 (en) TWS bone conduction earphone
CN102378077A (zh) 耳机定位和保持
KR20120006071A (ko) 이어피스 시스템
CN107172512A (zh) 耳机耳翼
CN111527645A (zh) 声音输出装置
KR102248582B1 (ko) 편안한 착용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
US20200060373A1 (en) Cap mounted with bone conduction module
CN111903140A (zh) 声音输出装置
KR102248583B1 (ko) 액티브 노이즈 켄슬링 기능을 향상시킨 격벽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
KR102442793B1 (ko) 하이브리드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
WO2018120467A1 (zh) 耳套式耳机
CN206389504U (zh) 一种耳塞式和入耳式一体的耳机
JP2020061602A (ja) イヤホン
KR20200136592A (ko) 세미 커널 타입 이어셋
KR101601859B1 (ko) 인 이어 이어폰
KR101730179B1 (ko) 골전도 장치
KR102315063B1 (ko) 세미 커널 타입 무선 이어셋
KR20020066528A (ko) 헤드폰 구조
KR20230087873A (ko) 골전도 모듈을 장착한 스포츠용 헤어밴드
WO2020061819A1 (zh) 蓝牙耳塞、蓝牙耳机及充电盒
JP2019140546A (ja) 音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