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283B1 - 건축 골조의 프레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건축 골조의 프레임 연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0283B1 KR101960283B1 KR1020160162601A KR20160162601A KR101960283B1 KR 101960283 B1 KR101960283 B1 KR 101960283B1 KR 1020160162601 A KR1020160162601 A KR 1020160162601A KR 20160162601 A KR20160162601 A KR 20160162601A KR 101960283 B1 KR101960283 B1 KR 1019602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fixing
- coupling
- coupled
- buil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5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nodes and str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골조의 프레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골조를 이루는 프레임의 끝단에서 끼움 결합구조를 통해 설계에 따라 편리하게 결합하여 다양한 구조를 이루는 건축물의 골조에 맞춰 손쉽게 구축할 수 있는 건축 골조의 프레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 골조의 프레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골조를 이루는 프레임의 끝단에서 끼움 결합구조를 통해 설계에 따라 편리하게 결합하여 다양한 구조를 이루는 건축물의 골조에 맞춰 손쉽게 구축할 수 있는 건축 골조의 프레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건축물은 축조기간을 단축하고 건물을 간편하게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간이숙소, 간이사무소, 창고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골조를 설치한 후 외/내부벽체와, 지붕, 창문, 문 등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최근에는 건축물의 내부에 수도, 전기 시설 등을 편의시설을 완비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은 건축물의 골조를 이루는 프레임을 조립하여 기본적인 외형을 형성한 후 외부 및 내부에 판재를 통해 지붕과 벽체를 결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프레임과 프레임을 설계에 따라 변경하여 조립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상호 결합되는 프레임의 거리, 간격 및 설계에 의한 다양한 요소에 맞춰 결합할 때, 이탈, 비틀림 등의 문제를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숙련자의 기술이 필요하다.
아울러 종래에 제시된 공지 기술로 대한민국공개틀허 제10-2015-0123482호 "조립식 건축물용 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이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프레임의 끝단에 연결구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는 프레임의 상부, 수직에서 각각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하지만, 건축물의 끝단 모서리에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중앙, 천장, 바닥 등 중간에 들어가는 골조를 설치할 수 없으며, 설계변경, 구조변경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골조를 결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축물의 크기 및 구조에 따라 연장이 어려우며, 프레임을 보강하기 위해서는 숙련자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기본골조를 이루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결합, 적층 및 연장할 때 각각의 프레임의 끝단을 용이하고 조립할 수 있는 건축 골조의 프레임 연결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축물의 설계에 따라 프레임의 각도 및 방향을 자유롭게 결합하여 설계 및 구조변경이 용이한 건축 골조의 프레임 연결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규격화되어 비틀림 및 이탈을 방지하고, 손쉽게 결합할 수 있어 초보자도 편리하게 결합이 가능하고, 다양한 장소에 설치가 가능한 건축 골조의 프레임 연결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골조를 이루는 프레임; 건축물의 골조를 이루도록 상기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결합하는 연결수단;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수단는, 상기 프레임의 끝단에 결합되며, 돌출된 고정돌기를 가지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기 고정돌기가 결합되는 제 1삽입공이 형성된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고정판과,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제 1삽입공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판은 상기 프레임보다 상대적으로 큰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된 노출부를 가지며, 상기 노출부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부면에 위치하는 결합판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판과 상기 결합판의 사이에 위치하여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제 2완충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된 후 상기 제 1삽입공을 통해 내부에 충진되는 충전재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와 상기 고정판 사이에 위치하여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제 1완충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는 상기 결합부가 끝단에 결합된 상기 프레임이 삽입되는 제 2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골조의 프레임 연결장치에 따르면, 건축물의 골조인 프레임과 프레임의 끝단을 끼움결합을 통해 결합, 적층 및 연장이 용이하며, 프레임의 결합되는 각도 및 방향 변경이 용이하여 설계변경 및 구조변경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물의 내부에 충전제를 충진하여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가해지는 충격은 완화시키고, 외벽 및 내벽 설계에 맞춰 파넬을 설치하여 단열성 및 전열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의 결합이 용이하여 비틀림 및 이탈을 방지하고 초보자도 손쉽게 결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장소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골조의 프레임 연결장치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를 이용한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를 이용한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골조의 프레임 연결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골조의 프레임 연결장치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를 이용한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 골조의 프레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골조를 이루는 프레임의 끝단에서 끼움 결합구조를 통해 설계에 따라 편리하게 결합하여 다양한 구조를 이루는 건축물의 골조에 맞춰 손쉽게 구축할 수 있는 건축 골조의 프레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기볼골조를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을 상호 결합할 수 있는 연결수단(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은 건축물의 골조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을 상호 연결하여 건축물에 전체적인 형상과 작용하는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골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프레임(10)은 원형, 사각 등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수단(20)는 건축물의 골조를 이루도록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을 결합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수단(20)는 결합부(20a)와 고정부(20b)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20a)는 상기 프레임(10)의 끝단에 결합되며, 돌출된 고정돌기(22)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20a)는 중앙에 결합공(21a)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되는 돌출부(23)를 가지는 고정판(21)과, 상기 결합공(21a)에 결합되어 상기 제 1삽입공(25)에 삽입되는 고정돌기(2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20b)는 상기 고정돌기(22)가 결합되는 제 1삽입공(2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삽입공(25)은 상기 고정돌기(22)가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0b)는 건축물에 맞춰 다양한 설계가 가능하도록 다음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0b)는 정육면체로 이루어지며, 각 면에 제 1삽입공(25)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이 결합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0b)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며, 각 면에 하나 이상의 제 1삽입공(25)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이 결합된다.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0b)는 직육면체의 중앙이 절곡되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각 면에 하나 이상의 제 1삽입공(25)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고정부(20b)를 건축물의 설계에 맞춰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10)을 다양한 방향에서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프레임(10)의 결합되는 방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건축물의 설계시 다양한 형상의 골조를 가질 수 있어 설계 및 구조변경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0b)에는 상기 고정돌기(22)가 삽입된 후 상기 제 1삽입공(25)을 통해 내부에 충진되는 충전재(40)가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충전재(40)는 폴리우레탄, 우레탄 등을 이용한 발포체로써, 발포시켜 기포와 격막으로 구성된 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단열성, 절연성이 뛰어나고 강도를 증대시켜 상기 고정부(20b)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0b)와 상기 고정판(21) 사이에 위치하여 가해지는 충격을 완하시키는 제 1완충부재(50)가 더 포함된다.
즉, 상기 제 1완충부재(50)는 상기 고정돌기(22)가 돌출되도록 상기 고정판(21)에 밀착되며, 상기 프레임(10)을 결합시 상기 고정부(20b)와 접촉하여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판(21)과 상기 고정부(20b)의 접촉면에 상기 제 1완충부재(50)가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결합부재(27)에 가해진 충격을 용이하게 완화할 수 있어, 지진에 의해 발생하는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은 상기 프레임(10)보다 상대적으로 큰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의 외부로 노출된 노출부(24)를 가지며, 상기 노출부(24)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외부면에 위치하는 결합판(3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판(30)은 상기 프레임(10)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10)에 결합부 및 외벽, 내벽을 설치시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결합판(30)은 축열을 통해 내부 단열성 및 내화성이 우수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판(21)과 상기 결합판(30)의 사이에 위치하여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제 2완충부재(6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제 2완충부재(60)는 상기 고정판(21)과 상기 결합판(3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완충부재(50)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충격을 완화사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측면에는 상기 결합부가 결합된 상기 프레임(10)이 삽입되는 제 2삽입공(1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 2삽입공(11)은 상기 프레임(10)의 측면에 상기 프레임(10)을 결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0)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제 2삽입공(11)에 상기 고정판(21)이 결합된 상기 프레임(10)을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형을 이루는 상기 프레임(10)의 사이에 상기 프레임(10)을 결합하여 건축물을 이루는 벽체, 지붕, 바닥의 이루는 골조를 보강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0b)와 상기 고정부(20b)는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20b)의 면과 면이 만나는 끝면에 각각 형성된 연결홈(26)과,상기 연결홈(26)이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하는 결합부재(27)가 더 포함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20b)의 상기 제 1삽입공(25)에 양측이 결합되는 결합돌기(28)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20b)는 상기 결합돌기(28)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 맞춰 결합이 가능하고,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홈(26)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7)를 통해 상기 고정부(20b)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하며,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부(20b)를 연장할 수 있어 상기 프레임(10)의 구조변경이 용이하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골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끝단에는 상기 고정부(20b)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고정판(21)을 상기 프레임(10)에 결합하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부를 상기 프레임(10) 내측에 억지끼움 또는 용접을 통해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21)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결합공(21a)에 상기 고정돌기(22)를 나사결합, 끼움결합 및 용접결합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렇게 상기 프레임(10)에 상기 고정부(20b)를 결합하여 상기 고정부(20b)의 제 1삽입공(25)에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20b)에 상기 고정돌기(22)가 결합되면 상기 고정돌기(22)가 결합되지 않은 상기 제 1삽입공(25)을 통해 충전제를 충진시켜 상기 고정돌기(22)를 고정하며, 상기 고정부(20b)에 하중을 증대시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1삽입공(25)에 상기 고정돌기(22)가 전부 결합될 경우, 마지막에 결합되는 제 1삽입공(25)을 통해 충전제를 충진시킨 후 상기 고정돌기(22)를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충전재(40)는 폼으로 이루어져 충전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 후 굳어지는 특징을 통해 일정 시간내에 상기 제 1삽입공(25)에 상기 고정돌기(22)를 결합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부(20b)는 단열성과 절연성이 우수하고 프레임(1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을 결합하거나 완성된 상기 프레임(10)에 가해지는 충격은 상기 제 1완충부재(50)를 통해 가해지는 충격이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연결수단(20)에 전달되는 걱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판(30)은 상기 프레임(10)에 위치하도록 다음과 같이 상기 고정판(21)에 다양하게 결합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고정판(21)에 상기 프레임(10)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결합판(30)을 결합한다.
이렇게 결합된 상기 고정판(21)은 상기 결합판(3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프레임(1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21)에 한면 내지 두면을 결합한 후 상기 프레임(10)에 고정키고 상기 고정판(21)과 상기 프레임(10)의 위치에 맞춰 나머지 상기 결합판(30)을 고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판(21)과 상기 프레임(10)을 결합한 후 상기 프레임(10)의 위치에 맞춰 상기 결합판(30)을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판(30)은 상기 프레임(10)의 외부면에 위치하도록 다양하게 결합할 수 있어 결합판(30)의 크기를 상기 프레임(10)에 맞춰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0)의 외벽과 내벽의 위치에 맞춰 다양한 재질 및 특징을 통해 단열성, 절연성을 가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프레임 11: 제 2삽입공
20: 연결수단 20a: 결합부
20b: 고정부 21: 고정판
21a: 결합공 22: 고정돌기
23: 돌출부 24: 노출부
25: 제 1삽입공 26: 연결홈
27: 결합부재 28: 결합돌기
30: 결합판 40: 충전재
50: 제 1완충부재 60: 제 2완충부재
20: 연결수단 20a: 결합부
20b: 고정부 21: 고정판
21a: 결합공 22: 고정돌기
23: 돌출부 24: 노출부
25: 제 1삽입공 26: 연결홈
27: 결합부재 28: 결합돌기
30: 결합판 40: 충전재
50: 제 1완충부재 60: 제 2완충부재
Claims (7)
- 건축물의 골조를 이루는 프레임(10);
건축물의 골조를 이루도록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을 결합하는 연결수단(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수단(20)는,
상기 프레임(10)의 끝단에 결합되며, 돌출된 고정돌기(22)를 가지는 결합부(20a)와,
상기 결합부(20a)의 상기 고정돌기(22)가 결합되는 제 1삽입공(25)이 형성된 고정부(20b)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20a)는,
중앙에 결합공(21a)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되는 돌출부(23)를 가지는 고정판(21)과,
상기 결합공(21a)에 결합되어 상기 제 1삽입공(25)에 삽입되는 고정돌기(22)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판(21)은 상기 프레임(10)보다 상대적으로 큰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의 외부로 노출된 노출부(24)를 가지며, 상기 노출부(24)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외부면에 위치하는 결합판(30)이 포함되고,
상기 고정판(21)과 상기 결합판(30)의 사이에 위치하여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제 2완충부재(6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골조의 프레임 연결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b)에는 상기 고정돌기(22)가 삽입된 후 상기 제 1삽입공(25)을 통해 내부에 충진되는 충전재(4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골조의 프레임 연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b)와 상기 고정판(21) 사이에 위치하여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제 1완충부재(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골조의 프레임 연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측면에는 상기 결합부(20a)가 끝단에 결합된 상기 프레임(10)이 삽입되는 제 2삽입공(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골조의 프레임 연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2601A KR101960283B1 (ko) | 2016-12-01 | 2016-12-01 | 건축 골조의 프레임 연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2601A KR101960283B1 (ko) | 2016-12-01 | 2016-12-01 | 건축 골조의 프레임 연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2664A KR20180062664A (ko) | 2018-06-11 |
KR101960283B1 true KR101960283B1 (ko) | 2019-03-20 |
Family
ID=62600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2601A KR101960283B1 (ko) | 2016-12-01 | 2016-12-01 | 건축 골조의 프레임 연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028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1364A (ko) | 2021-02-25 | 2022-09-01 | 이승석 | 프레임 연결구와 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연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4232B1 (ko) * | 2019-05-17 | 2019-12-10 | 주식회사 주상산업 | 각파이프 연결부재 |
GB2625395A (en) * | 2022-12-16 | 2024-06-19 | Nostos Homes | Modular joints and beam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1346B1 (ko) * | 2005-11-29 | 2007-06-25 | 일 광 하 | 조립식 구조물 |
KR101065333B1 (ko) * | 2011-06-21 | 2011-09-16 | (주)원진스페이스테크 | 스페이스 프레임 |
US20120009013A1 (en) * | 2006-11-23 | 2012-01-12 | Jonathan Henry Stevens Evitt | Connector for use in display frames |
KR101295346B1 (ko) | 2011-07-05 | 2013-08-09 | 강현구 | 스페이스 프레임 |
-
2016
- 2016-12-01 KR KR1020160162601A patent/KR10196028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1346B1 (ko) * | 2005-11-29 | 2007-06-25 | 일 광 하 | 조립식 구조물 |
US20120009013A1 (en) * | 2006-11-23 | 2012-01-12 | Jonathan Henry Stevens Evitt | Connector for use in display frames |
KR101065333B1 (ko) * | 2011-06-21 | 2011-09-16 | (주)원진스페이스테크 | 스페이스 프레임 |
KR101295346B1 (ko) | 2011-07-05 | 2013-08-09 | 강현구 | 스페이스 프레임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1364A (ko) | 2021-02-25 | 2022-09-01 | 이승석 | 프레임 연결구와 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연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2664A (ko) | 2018-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0283B1 (ko) | 건축 골조의 프레임 연결장치 | |
US4038796A (en) | Wall panel assembly | |
KR101822591B1 (ko) | 조립식 건축물 | |
KR102151243B1 (ko) |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 | |
KR101808504B1 (ko) | 커튼월의 수직바 연결재 | |
KR101826888B1 (ko) |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지지바 및 이를 구비한 건물구조체 | |
KR101427240B1 (ko) | 이중 마루 내진 보강장치 | |
KR101706038B1 (ko) |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 및 방파판유닛 설치방법 | |
EP3635187B1 (en) | A structural module and a tie for the structural module | |
KR101672469B1 (ko) | 브래킷을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접합구조, 이에 의한 모듈러 시스템 시공방법 및 모듈러 시스템 | |
AU2018300705A1 (en) |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 |
KR20130024101A (ko) |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 | |
JP2013108231A (ja) | 貯水槽用壁ユニット | |
KR20160001541U (ko) | 고차음 방음판 및 이를 갖는 방음벽 | |
KR101656270B1 (ko) |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에서의 단열재 결합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가 결합된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 |
KR102264317B1 (ko) |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 | |
KR200377456Y1 (ko) | 중공단면의 조립식 복합소재 패널용 코너 커넥터 및 이를이용한 구조물 | |
JP6489662B2 (ja) | 軽量盛土用側壁 | |
JP5912465B2 (ja) | 建物及び建物の製造方法 | |
KR200459774Y1 (ko) | 건축용 조립 판넬의 연결구조 | |
KR101744405B1 (ko) | 조립식 건축물 | |
KR101276644B1 (ko) | 벽체 패널을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 |
KR101021514B1 (ko) |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식 시공 방법 | |
EP3430211B1 (en) | Construction assembly in the form of free-standing cold rooms comprised of modular construction units | |
KR20120009744A (ko) | 건축용 그린팀버웰 내력벽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