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304B1 - 휴대용 충전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304B1
KR101959304B1 KR1020170086626A KR20170086626A KR101959304B1 KR 101959304 B1 KR101959304 B1 KR 101959304B1 KR 1020170086626 A KR1020170086626 A KR 1020170086626A KR 20170086626 A KR20170086626 A KR 20170086626A KR 101959304 B1 KR101959304 B1 KR 101959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electric conversion
conversion units
main body
conversion unit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5646A (ko
Inventor
신준오
안기태
이휘재
천현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6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304B1/ko
Priority to PCT/KR2018/007625 priority patent/WO2019009637A1/ko
Publication of KR20190005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3Containers; Encapsulations, e.g. encapsulation of photo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충전기는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들의 사이에서 밴딩 또는 힌징되는 연결유닛 및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 중 하나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과 나란하게 위치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은 상기 본체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권취되어서, 휴대가 용이하고, 대용량 충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충전기{Portable Charger}
본 발명은 태양전지를 사용한 휴대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DA, MD, CD 플레이어, MP3,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 개인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이 고갈되었거나 축전지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주간에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축전지를 충전하거나 비상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에서 필수품 또는 기호품으로 정착되어 가는 이동통신용 휴대전화, MP3, MD, 노트북 PC, 휴대용 라디오, 디지털 카메라, 무전기, 캠코더 등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축전지 또는 건전지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재충전하거나 건전지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차 축전지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용전원이나 보조전원을 이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용전원에서 이격되어 있거나 충전기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재충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휴대용 태양전지 충전기를 보면, 태양전지를 휴대용 전자제품인 휴대폰용 축전지의 뒷면에 직접 부착시키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으며, 그 미합중국 등록특허 US5,898,932 등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휴대폰용 태양전지 모듈은 태양광을 흡수하는 면적이 작아 충분한 충전이 이루어 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태양전지 충전기를 별도의 케이스에 내장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으며, 상기와 같은 케이스에 내장되는 휴대용 태양전지 충전기술은 소형화 및 경량화되고 있는 개인휴대용 전자제품에 사용시 태양광을 흡수하는 면적이 좁아짐에 따라 충분한 충전이 이루어지지 못하며, 태양전지 충전기의 크기를 확대하는 경우, 그 휴대가 불편한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대용량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고, 휴대가 용이한 휴대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들의 사이에서 밴딩 또는 힌징되는 연결유닛 및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 중 하나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과 나란하게 위치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은 상기 본체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n각형의 기둥형상이며, 상기 광전변환유닛의 수량은 n개이고, 각각의 광전변환유닛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의 각 면에 접하면서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n각형의 기둥형상이며, 상기 광전변환유닛의 수량은 적어도 n+1개이고, 제1 열을 형성하는 각각의 광전변환유닛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의 각 면에 접하고, 제2 열을 형성하는 각각의 광전변환유닛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열의 광전변환유닛의 하부면에 접하면서 권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의 권취 상태일 때,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의 상면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의 전개 상태일 때,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의 상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휴대용 충전기는 비사용 시 또는 휴대 시에는 본체에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을 권취시켜서 휴대용 충전기의 부피를 줄이고, 휴대성을 높이며, 휴대 시에 광전변환유닛의 파손을 방지하고, 사용 시에는 본체에 권취된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을 전개시켜서, 광전변환 면적을 증가시키고, 발전용량을 증가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충전기의 전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충전기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충전기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휴대용 충전기의 권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휴대용 충전기의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휴대용 충전기의 A-A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충전기의 광전변환유닛을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휴대용 충전기의 광전변환유닛을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충전기의 극성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충전기의 전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충전기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충전기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4는 도 1의 휴대용 충전기의 권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휴대용 충전기의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충전기(1)는 태양전지(150)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들의 사이에서 밴딩 또는 힌징되는 연결유닛(30) 및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 중 하나의 일단에 연결되고,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과 나란하게 위치되는 본체(20)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은 본체(20)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충전기(1)는 비사용 시 또는 휴대 시에는 본체(20)에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을 권취시켜서 휴대용 충전기(1)의 부피를 줄이고, 휴대성을 높이며, 휴대 시에 광전변환유닛(10)의 파손을 방지하고, 사용 시에는 본체(20)에 권취된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을 전개시켜서, 광전변환 면적을 증가시키고, 발전용량을 증가시킨다.
본체(20)는 외면에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을 권취되게 하고,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이 권취되는 모양과 형상을 결정한다. 본체(20)는 축방향(Z축)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축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다각기둥형상이다. 구체적으로, 본체(20)는 n각형의 기둥형상이고, 본체(20)의 길이는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의 길이와 대응될 수 있다. 제조의 편의성, 휴대의 편의성을 고려하면, 본체(20)는 3각형 내지 8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20)는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에서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80)와, 외부의 전원장치와 연결되는 충전포트(27)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20)는 내부가 빈 다각형의 기둥형상이며, 광전변환유닛(1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의 하우징(21) 및 하우징(21)의 내부에 구비되며, 연결부재(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태양전지(150)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80)와,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 및 축전지(8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축전지(80)는 전기적 에너지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축전지(80)는 충전포트(27)를 통해 공급된 태양전지(150)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축전지(80)는 커패시터 또는 충전식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포트(27)는 축전지(80) 또는 회로부(70)에서 공급된 전원을 외부의 전자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충전포트(27)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포트(27)는 축전지(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20)의 일면에 노출되게 설치된다.
충전포트(27)는 본체(20)의 외면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될 수 있으나,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의 권취 및 전개 시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은 본체(20)의 중심축에 나란한 본체(20)의 일면(21a)에 권취되고, 충전포트(27)는 본체(20)의 중심축과 교차되는 본체(20)의 다른 일면(21b)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이 본체(20)의 외면에 권취될 때,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해 본체(20)에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에 제1 자석(40)이 배치되고, 본체(20)의 제1 자석(4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자석(60)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석의 자력에 의한 오작동의 방지하고, 태양전지(150)의 발전 면적을 줄이지 않기 위해, 제2 자석(60)은 광전변환유닛(10)의 길이방향(Z축)에서 태양전지(150)가 배치되는 않는 영역(구체적으로, 프레임(11)의 길이방향 양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자석(60)은 본체(20)의 길이방향(Z축)(축방향)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체(20)는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 중 하나의 일단에 연결되고,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과 나란하게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본체(20)는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이 전개 상태일 때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광전변환유닛(10)의 일단에 연결된다.
연결부재(90)는 본체(20)와 광전변환유닛(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본체(20)와 광전변환유닛(10) 사이에서 밴딩 또는 힌징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90)는 본체(20)의 외면과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이 전개 상태일 때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광전변환유닛(10)의 일단에 연결된다. 연결부재(90)는 전개와 권취가 용이하도록, 본체(20)의 2개의 변이 만나는 지점에 연결된다. 연결부재(90)는 광전변환유닛(10) 및 본체(2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연결부재(90)는 본체(20)와 광전변환유닛(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밴딩될 수 있도록 전도성과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90)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은 복수 개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본체(20)에 권취상태가 되거나, 전개상태가 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의 권취 상태는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이 본체(20)의 외면에 말려(Rolling)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의 권취 상태일 때,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의 상면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이 권취 상태일 때 본체(20)의 형상을 따라 말려서 휴대성이 증가하고 부피가 줄어들게 된다. 도 4에는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의 권취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의 전개 상태는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이 펼쳐진 상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의 전개 상태일 때,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의 상면은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의 광전변환 면적은 증가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 에는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의 전개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은 일정한 강성을 가져서, 본체(20)에 권취될 때 변형되지 않고,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유닛(30) 및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 중 본체(20)에 인접하여 위치된 광전변환유닛(10)과 본체(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90)가 변형되거나, 접히거나, 힌징되어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이 본체(20)에 권취되게 한다.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은 연결부재(90) 및 연결유닛(30) 보다 낮은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4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의 수량은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본체(20)는 n각형의 기둥형상일 때, 광전변환유닛(10)의 수량은 n개이고, 각각의 광전변환유닛(10)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본체(20)의 각 면에 접하면서 권취된다. 이 때,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은 본체(20)의 각면을 1 열(列)로 감싸게 된다.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은 본체(20)의 중심축에 나란한 본체(20)의 일면에 권취된다.
물론,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은 본체(20)의 각면을 복수 열(列)로 감싸게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휴대성과 전개 상태의 부피를 고려하면,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은 본체(20)의 각면을 2 열로 감싸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20)는 n각형의 기둥형상이며, 광전변환유닛(10)의 수량은 적어도 n+1개이고, 제1 열을 형성하는 각각의 광전변환유닛(10)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본체(20)의 각 면에 접하고, 제2 열을 형성하는 각각의 광전변환유닛(10)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열의 광전변환유닛(10)의 하부면에 접하면서 권취된다. 실시예에서는 본체(20)가 5 각형이고, 광전변환유닛(10)의 수량은 10개이다.
여기서, 제1 열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을 제1 열 광전변환유닛(10-1)으로, 제2 열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을 제2 열 광전변환유닛(10-2)으로 통칭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 중 본체(20)에 가장 가깝게 위치된 광전변환유닛(10)은 제1 광전변환유닛(10a)으로 정의하고, 순서대로 제2 내지 제10 광전변환유닛(10b ~ 10j)으로 정의한다.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의 복수의 열로 본체(20)에 권취되는 경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의 폭이 동일하면 복수의 열 사이가 이격되면서, 권취상태의 부피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제2 열의 각 광전변환유닛(10-2)의 폭은 제1 열의 각 광전변환유닛(10-1)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제2 열의 각 광전변환유닛(10-2)의 폭은 제1 열의 각 광전변환유닛(10-1)의 폭과, 제1 열의 각 광전변환유닛(10-1)을 연결하는 연결유닛(30)의 폭을 합한 값과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이 본체(20)에 권취될 때, 서로 일정한 각을 형성하게 되므로,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은 상부 폭은 하부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은 하부에서 상부로 진행될 수록 폭이 줄어드는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하, 각 광전변환유닛(10)의 구조를 상술한다.
광전변환유닛(10)은 태양전지(150)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광전변환유닛(10)은 복수 개의 태양전지(150)와 이를 수용하는 프레임(11)으로 구성되거나, 광전변환유닛(10)은 태양 전지 패널(100)의 후면기판이 프레임(11)의 역할을 대신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광전변환유닛(10)은 태양전지(150)와 태양전지(150)를 수용하는 프레임(11)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각각의 광전변환유닛(10)은 복수 개의 태양전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광전변환유닛(10)은 복수의 태양전지(150)를 가지는 태양 전지 패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광전변환유닛(10)이 태양 전지 패널(100)을 포함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100)은 복수의 태양 전지(150)와, 복수의 태양 전지(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재(142)를 포함한다. 그리고 태양 전지 패널(100)은 복수의 태양 전지(150)와 이를 연결하는 배선재(142)를 둘러싸서 밀봉하는 밀봉재(130)와, 밀봉재(130) 위에서 태양 전지(150)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면 기판(110)과, 밀봉재(130) 위에서 태양 전지(150)의 하면에 위치하는 하면 기판(120)을 포함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태양 전지(150)는, 태양 전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부와, 광전 변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수집하여 전달하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태양 전지(150)는 배선재(142)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선재(142)는 복수 개의 태양 전지(150) 중에서 이웃한 두 개의 태양 전지(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버스 리본(미도시)은 배선재(142)에 의하여 연결되어 하나의 열(列)을 형성하는 태양 전지(150)(즉, 태양 전지 스트링)의 배선재(142)의 양끝단을 교대로 연결한다. 버스 리본은 태양 전지 스트링의 단부에서 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버스 리본은, 서로 인접하는 태양 전지 스트링들을 연결하거나, 태양 전지 스트링 또는 태양 전지 스트링들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정션 박스(미도시)에 연결할 수 있다.
배선재(142)는 서로 이웃한 광전변환유닛(10)들의 태양 전지 패널(10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터 커넥터(50)(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밀봉재(130)는, 배선재(142)에 의하여 연결된 태양 전지(150)의 상면에 위치하는 제1 밀봉재(131)와, 태양 전지(150)의 하면에 위치하는 제2 밀봉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밀봉재(131)와 제2 밀봉재(132)는 수분과 산소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태양 전지 패널(100)의 각 요소들을 화학적으로 결합한다. 제1 및 제2 밀봉재(131, 132)는 투광성 및 접착성을 가지는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밀봉재(131)와 제2 밀봉재(132)로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EVA), 폴리비닐부티랄, 규소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밀봉재(131, 132)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공정 등에 의하여 하면 기판(120), 제2 밀봉재(132), 태양 전지(150), 제1 밀봉재(131), 상면 기판(110)이 일체화되어 태양 전지 패널(100)을 구성할 수 있다.
상면 기판(110)은 제1 밀봉재(131) 상에 위치하여 태양 전지 패널(100)의 상면을 구성하고, 하면 기판(120)은 제2 밀봉재(132) 상에 위치하여 태양 전지(150)의 하면을 구성한다. 상면 기판(110) 및 하면 기판(120)은 각기 외부의 충격, 습기, 자외선 등으로부터 태양 전지(150)를 보호할 수 있는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면 기판(110)은 광이 투과할 수 있는 투광성 물질로 구성되고, 하면 기판(120)은 투광성 물질, 비투광성 물질, 또는 반사 물질 등으로 구성되는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면 기판(110)이 유리 기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하면 기판(120)이 TPT(Tedlar/PET/Tedlar) 타입을 가지거나, 또는 베이스 필름(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폴리불화비닐리덴(poly vinylidene fluoride, PVDF)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밀봉재(131, 132), 상면 기판(110), 또는 하면 기판(120)이 상술한 설명 이외의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면 기판(110) 또는 하면 기판(120)이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기판, 필름, 시트 등) 또는 물질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11)은 태양전지(150) 또는/및 태양 전지 패널(100)을 수용한다. 프레임(11)은 이정한 강성을 가지는 수지재질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1)은 상부 방향으로 태양전지(150)의 상면을 노출하는 수용홈(1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홈(13)에 태양 전지 패널(100)이 안착된다. 물론, 프레임(11)은 태양전지(150)의 상면을 덮는 구조를 가지고, 프레임(11)이 투명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프레임(11)은 수용홈(13)에 안착된 태양 전지 패널(100)을 외부의 충격에서 보호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1)의 상면은 태양전지(150)의 상면 보다 상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1)의 상부는 수용홈(13)에 안착된 태양 전지 패널(100)이 이탈을 방지하고, 외부의 충격에서 보호하는 보호돌기(12)가 형성된다. 보호돌기(12)는 수용홈(13)의 상부에서 태양 전지 패널(100)의 상면 보다 상부로 돌출되고, 태양 전지 패널(100)의 중앙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의 길이는 본체(2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11)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태양 전지 패널(100)이 위치되지 않고, 제1 자석(40)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자석(40)은 제2 자석(60)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며, 권취상태에서 고정력을 제공하고, 자력에 의해 태양 전지 패널(100)의 오작동을 줄일 수 있다.
프레임(11)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각 태양전지(150)와 연결된 배선재와 연결되는 인터 커넥터(50)가 위치될 수 있다. 인터 커넥터(50)는 서로 인접한 태양 전지 패널(100)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물론, 인터 커넥터(50)는 이웃한 광전변환유닛(10)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유닛(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광전변환유닛(10)의 원활한 권취를 위해, 프레임(11)의 상부 폭(W5) (W6)은 프레임(11)의 하부 폭(W1) (W2) 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1)은 하부에서 상부로 진행될 수록 폭이 줄어드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11)의 상부 폭(W5) (W6) 및 하부 폭(W1) (W2)은 태양 전지 패널(100)의 폭(W3) (W4)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의 복수의 열로 본체(20)에 권취되는 경우, 제2 열의 각 프레임(11)의 폭은 제1 열의 각 프레임(11)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열의 각 프레임(11)의 상부 폭(W6)은 제1 열의 각 프레임(11)의 하부 폭(W1) 보다 클 수 있다. 제2 열의 각 프레임(11)의 상부 폭(W6)은 제1 열의 각 프레임(11)의 하부 폭(W1)과 제1 열의 각 프레임(11)을 연결하는 연결유닛(30)의 폭을 합한 값과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의 복수의 열로 본체(20)에 권취되는 경우, 제2 열의 태양 전지 패널(100)의 상면 면적은 제1 열의 태양 전지 패널(100)의 상면 면적 보다 큰 면적을 가진다. 제2 열의 태양 전지 패널(100)의 발전용량은 제1 열의 태양 전지 패널(100)의 발전용량 보다 크다.
연결유닛(30)은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들의 사이에서 밴딩 또는 힌징된다. 연결유닛(30)은 가요성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결유닛(30)은 광전변환유닛(10) 보다 큰 유연성과 탄성을 가지는 재질 또는 힌지를 가지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 중 전개 상태일 때, 본체(20)와 가장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광전변환유닛(10)에는 전개용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0 광전변환유닛(10)의 일단에는 전개용 손잡이가 연결된다.
도 7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충전기(1)의 광전변환유닛(10)을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도시한 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휴대용 충전기(1)의 광전변환유닛(10)을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광전변환유닛(10)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프레임(11)이 생략되고, 복수 개의 태양전지(150) 모듈의 후면 기판(120)이 프레임(11)의 역할을 대신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각각의 광전변환유닛(10)은 복수의 태양전지(150)를 가지는 태양 전지 패널(1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광전변환유닛(10)은 복수의 태양 전지(150)와, 복수의 태양 전지(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재(142)를 포함한다. 그리고 태양 전지 패널(100)은 복수의 태양 전지(150)와 이를 연결하는 배선재(142)를 둘러싸서 밀봉하는 밀봉재(130)와, 밀봉재(130) 위에서 태양 전지(150)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면 기판(110)과, 밀봉재(130) 위에서 태양 전지(150)의 하면에 위치하는 하면 기판(120)을 포함한다.
상면 기판(110), 밀봉재(130), 배선재(142), 하면 기판(120)에 대한 설명은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하면 기판(120)은 태양 전지(150)의 하면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태양 전지(150)의 하면 및 측면을 감싸게 위치될 수도 있다. 하면 기판(120)의 폭은 제한이 없지만, 하면 기판(120)의 폭은 상면 기판(110)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상면 기판(110)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1)는 상면 기판(110)과 동일한 재질 또는 상면 기판(110) 보다 연성의 재질로 구성되어서 상면 기판(110)과 본체(20) 사이에서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면 기판(110) 및 하면 기판(120)의 길이는 본체(2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면 기판(11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태양전지(150)가 위치되지 않고, 제1 자석(40)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자석(40)은 제2 자석(60)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며, 권취상태에서 고정력을 제공하고, 자력에 의해 태양전지(150)의 오작동을 줄일 수 있다.
하면 기판(12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각 태양전지(150)와 연결된 배선재(142)와 연결되는 인터 커넥터(50)가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인터 커넥터(50)는 밀봉재(130)의 길이 방향 양단에 위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연결유닛(30)은 하면 기판(120)에 연결된다.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10)의 복수의 열로 본체(20)에 권취되는 경우, 제2 열의 각 상면 기판(110)의 폭은 제1 열의 각 하면 기판(120)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열의 각 상면 기판(110)의 폭은 제1 열의 각 하면 기판(120)의 폭 과 제1 열의 각 하면 기판(1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유닛(30)의 폭을 합한 값과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충전기(1)의 극성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열의 광전변환유닛(10)에서 수집된 전기의 전류 값은 제1 열의 광전변환유닛(10)에서 수집된 전기의 전류 값 보다 크고, 제2 열의 광전변환유닛(10)에서 수집된 전기의 전압 값은 제1 열의 광전변환유닛(10)에서 수집된 전기의 전압 값 과 동일하다.
제2 열의 태양 전지 패널(100)의 상면 면적은 제1 열의 태양 전지 패널(100)의 상면 면적 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제1 열의 각 광전변환유닛(10-1)들과 제2 열의 각 광전변환유닛(10-2)들이 병렬로 연결되므로, 수집된 전기의 전류 값은 제1 열의 광전변환유닛(10)에서 수집된 전기의 전류 값 보다 크고, 제2 열의 광전변환유닛(10)에서 수집된 전기의 전압 값은 제1 열의 광전변환유닛(10)에서 수집된 전기의 전압 값 과 동일하다.
각 광전변환유닛(10)의 복수 개의 태양전지(150)들은 직렬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각 태양전지(150)는 후면에 제1전극과 제2전극이 모두 형성된 태양전지(150)를 사용하므로, 원하는 사이즈로 절단된 복수개의 태양전지(150)를 직렬로 연결하는 연결배선을 태양전지(150)의 후면에 배치하고, (+) (-) 출력단을 인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들의 사이에서 밴딩 또는 힌징되는 연결유닛; 및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 중 하나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과 나란하게 위치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은 상기 본체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는 n각형의 기둥형상이며, 상기 광전변환유닛의 수량은 적어도 n+1개이고,
    제1 열을 형성하는 각각의 광전변환유닛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의 각 면에 접하고, 제2 열을 형성하는 각각의 광전변환유닛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열의 광전변환유닛의 하부면에 접하면서 권취되며, 상기 제2 열의 광전변환유닛의 폭은 상기 제1 열의 광전변환유닛의 폭 보다 크고, 각 광전변환유닛의 상부 폭은 하부 폭 보다 작으며,
    상기 각각의 광전변환유닛은, 상기 태양전지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태양전지가 수용되고, 상부 방향으로 상기 태양전지의 상면을 노출하는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상면은 상기 태양전지의 상면 보다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휴대용 충전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의 광전변환유닛의 폭은 상기 제1 열의 광전변환유닛의 폭과 상기 제1 열의 연결유닛의 폭을 합한 값과 대응되는 크기의 휴대용 충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의 광전변환유닛에서 수집된 전기의 전류 값은 상기 제1 열의 광전변환유닛에서 수집된 전기의 전류 값 보다 크고,
    상기 제2 열의 광전변환유닛에서 수집된 전기의 전압 값은 상기 제1 열의 광전변환유닛에서 수집된 전기의 전압 값 과 동일한 휴대용 충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가요성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하는 휴대용 충전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폭은 하부 방향에서 상부 방향으로 진행될수록 감소하는 휴대용 충전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광전변환유닛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태양 전지와,
    상기 복수의 태양 전지를 둘러싸서 밀봉하는 밀봉재와,
    상기 밀봉재 위에서 상기 태양 전지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면 기판과,
    상기 밀봉재 위에서 상기 태양 전지의 하면에 위치하는 하면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하면 기판에 연결되는 휴대용 충전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 기판의 폭은 상기 상면 기판의 폭 보다 큰 휴대용 충전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광전변환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광전변환유닛 사이에서 밴딩 또는 힌징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충전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가 빈 다각형의 기둥형상이며, 상기 광전변환유닛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를 포함하는 휴대용 충전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일면에 노출되는 충전 포트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충전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은 상기 본체의 중심축에 나란한 상기 본체의 일면에 권취되고,
    상기 충전포트는 상기 본체의 중심축과 교차되는 상기 본체의 다른 일면에 배치되는 휴대용 충전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 각각에 구비되는 제1 자석과,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이 상기 본체의 외면에 권취될 때, 상기 제1 자석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본체에 구비된 제2 자석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충전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의 권취 상태일 때,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의 상면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의 전개 상태일 때,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의 상면은 외부로 노출되는 휴대용 충전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광전변환유닛 중 전개 상태일 때, 상기 본체와 가장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광전변환유닛에 구비되는 전개용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충전기.
KR1020170086626A 2017-07-07 2017-07-07 휴대용 충전기 KR101959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626A KR101959304B1 (ko) 2017-07-07 2017-07-07 휴대용 충전기
PCT/KR2018/007625 WO2019009637A1 (ko) 2017-07-07 2018-07-05 휴대용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626A KR101959304B1 (ko) 2017-07-07 2017-07-07 휴대용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646A KR20190005646A (ko) 2019-01-16
KR101959304B1 true KR101959304B1 (ko) 2019-07-04

Family

ID=64950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626A KR101959304B1 (ko) 2017-07-07 2017-07-07 휴대용 충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9304B1 (ko)
WO (1) WO20190096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713B1 (ko) * 2019-11-20 2022-09-20 한국재료연구원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KR102538958B1 (ko) * 2022-07-18 2023-06-01 주식회사 솔란드 롤러블 태양광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5829A (ja) * 2009-09-16 2011-03-31 Nec Lighting Ltd 携帯型照明装置
KR101299004B1 (ko) * 2012-11-16 2013-08-23 정 욱 한 휴대용 태양전지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8237A (ja) * 2001-06-04 2002-12-20 Sony Corp 光充電式二次電池
KR101040027B1 (ko) * 2008-11-10 2011-06-09 주식회사 엘 앤 에프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
JP2010259302A (ja) * 2009-04-28 2010-11-11 Tokyo Coil Engineering Kk フレキシブル蓄電太陽電池搭載充電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5829A (ja) * 2009-09-16 2011-03-31 Nec Lighting Ltd 携帯型照明装置
KR101299004B1 (ko) * 2012-11-16 2013-08-23 정 욱 한 휴대용 태양전지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09637A1 (ko) 2019-01-10
KR20190005646A (ko)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4887B2 (en) Construction of non-rectangular batteries
EP2639849B1 (en) Battery module case
KR101106324B1 (ko) 파우치형 전지
JP5168406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WO2019181536A1 (ja) 電力配線装置
US20160204293A1 (en) Photoelectric conversion apparatus and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used in photoelectric conversion apparatus
KR101984314B1 (ko) 이차전지
US10978991B2 (en) Panel connected body, power generation module connected body, photoelectric conversion module connected body, and power generation device
US20160268649A1 (en) Battery pack
US20140044995A1 (en) Battery pack
KR20190016353A (ko) 배터리 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US11784267B2 (en) CIGS lamination structure and portable solar charger using same
EP2709190A1 (en) Battery Pack
KR101959304B1 (ko) 휴대용 충전기
US20230238916A1 (en) Panel connected body, power generation module connected body, and power generation device
EP3926706A1 (en)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H0951118A (ja) シート状太陽電池
KR20080112622A (ko) 태양광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
KR20180017934A (ko) 이차 전지
JPWO2019202960A1 (ja) 電池モジュール
US8230685B2 (en) Portable solar power generator
KR101726770B1 (ko) 전극단자들의 위치가 겹치지 않는 전지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팩
JP2003017020A (ja) パック電池
JP2005123128A (ja) 電池パック
TWI536592B (zh) 光伏打裝置及其相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