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199B1 -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199B1
KR101958199B1 KR1020180150421A KR20180150421A KR101958199B1 KR 101958199 B1 KR101958199 B1 KR 101958199B1 KR 1020180150421 A KR1020180150421 A KR 1020180150421A KR 20180150421 A KR20180150421 A KR 20180150421A KR 101958199 B1 KR101958199 B1 KR 101958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plant
mode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진상
김정욱
김윤희
Original Assignee
(주)부품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품디비 filed Critical (주)부품디비
Priority to KR1020180150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설계, 운영 관련 도면 및 문서와 3D 모델을 기반으로 구축된 중소형 플랜트의 3D가시화정보(모델링정보)와 사진으로 획득되어 출력되는 파노라마 형식의 물리형상가시화정보(사진정보)를 종합적으로 추적, 관리 및 활용하여, 중소형 플랜트의 형상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Configuration management system by the 3D model, The system for maintenance of small and mediun-sized plant}
본 발명은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설계, 운영 관련 도면 및 문서와 3D 모델을 기반으로 구축된 중소형 플랜트의 3D가시화정보(모델링정보)와 사진으로 획득되어 출력되는 파노라마 형식의 물리형상가시화정보(사진정보)를 종합적으로 추적, 관리 및 활용하여, 중소형 플랜트의 형상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플랜트란, 생산용의 기계, 장치, 그 일체, 공장 설비 혹은 공장 전체 등을 총괄하는 의미로서, 통상적으로 생산 설비 혹은 제조 설비 일체를 지칭한다.
이러한 플랜트를 관리하기 위하여 최초에는 운용정보와 도면에 기반하여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관리를 수행하고 있었다.
이는 등록특허공보 제10-1329395호의 발전설비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근래에 이르러 기술이 발전하고, 각 정보들 간의 취합 및 연동이 쉬워짐에 따라, 맵핑 기술을 도입하여 플랜트의 형상관리를 수행하고 있는데, 종래 형상관리를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공보 제10-1600257호의 원자력발전소 형상관리 장치가 그 예이다.
그러나 종래 형상관리 기술은, 부적절한 형상관리로 인해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확한 정보를 적기에 획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정확한 정보가 적기에 정확한 형태로 설계담당자나 운전원에게 전달되지 못할 때 인적실수를 유발하여 플랜트의 안전에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또한, 설비 문제 발생 시 문제점 분석, 변경 시 영향도 파악이 어려워 시간/비용 측면의 의사결정이 늦어지고 정확한 의사결정의 근거 제공이 어렵고, 플랜트 산업은 설계사-시공사-운영사가 분리되어 있어 유지보수 단계에서 운영사가 설계 및 운전요건, 설계기준, 계산서 등의 정보 추적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기존 형상관리기술은 최초 형상정보의 구축에 주안점을 두었으나, 최근 유지보수 단계에서는 기기나 설비의 형상 변경이 발생할 경우 인허가 및 설계 상위요건과의 부합성 확인을 위한 추적성과 설계 및 운전, 물리형상 간의 일치성 보장을 위해 전체 플랜트의 생애주기 단계별로 프로세스 기반(Process-driven) 형상관리와 MRO(Maintenance, Repair & Overhaul) 관리를 지원하는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관련된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831397호에는 배관 형상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선행기술 1)가 기재되어 있다.
선행기술 1은, 복수의 배관 설계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캐드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 시공이 완료된 배관 그룹에 대한 제1 레이저 스캐닝을 통하여 상기 배관 그룹의 3차원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3차원 캐드 모델과 상기 제1 레이저 스캐닝 결과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레이저 스캐닝을 통해 획득된 상기 3차원 위치정보 중 상기 3차원 캐드 모델과 일치하지 않는 정보에 대한 응력 해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응력 해석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배관 그룹에 대한 재시공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즉, 모델링된 정보를 기반으로 형상관리를 수행하는 기술에 관련된다.
다른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733424호에는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 기반 형상관리방법 및 시스템(선행기술 2)이 기재되어 있다.
선행기술 2는, 법령과 규제요건, 규격이나 표준에서 준수가 요구되는 설계기준요건을 추출 및 규정하는 설계기준요건 추출부와; 원자력발전소의 운전 편의성이나 안전성 강화, 운전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사업주의 강화된 요건으로부터 필수요건을 추출 및 규정하는 필수요건 추출부와; 상기 설계기준요건 및 상기 필수요건을 기본 형상관리 요건으로 하여 하위 체계의 설계도서를 확인 및 정의하는 설계도서 확인부와; 상기 설계기준요건 및 상기 필수요건을 기본 형상관리 요건으로 하여 하위 체계의 설계변수를 확인 및 정의하는 설계변수 확인부와; 상기 설계기준요건 및 상기 필수요건을 기본 형상관리 요건으로 하여 하위 체계의 발전소 운전정보를 확인 및 정의하는 운전정보 확인부와; 상기 설계도서, 상기 설계변수 및 상기 발전소 운전정보를 기본으로 원자력발전소의 구조물 정보, 계통 정보 및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발전소 상태의 상호 일치성을 확인하는 SSC부와; 원자력 발전소의 구조물, 계통, 기기 등에 대하여 보수 혹은 교체를 한 이력을 관리하는 정비 이력부와; 그리고 원자력 발전소에 소요되는 구조물, 계통, 기기 등에 대하여 구매한 이력을 관리하는 구매 정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즉, 설계 도면을 기반으로 형상관리를 수행하는 기술에 관련된다.
그러나 상술된 기술들을 비롯한 종래 형상관리 기술을 보면, 모델링된 도면정보 혹은 실사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엔지니어에 의한 분석을 통해 형상관리를 수행하고 있는데, 각각의 모델링된 도면정보 혹은 실사정보 중 어느 하나만으로 분석을 수행함에 따라, 도면정보에서는 생략된 세부부품의 형상관리가 미흡한 문제점이 있고, 실사에서는 촬영방향의 생략에 따른 사각지대가 발생되는 문제점 등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29395호(2013.11.14.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600257호(2016.03.04.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831397호(2018.02.22.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733424호(2017.05.24.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3D 모델을 기반 구축된 중소형 플랜트의 3D가시화정보(모델링정보)와 사진으로 획득되어 출력되는 파노라마 형식의 물리형상가시화정보(사진정보)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중소형 플랜트의 형상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은,
플랜트의 형상관리시스템에 있어서,
플랜트에 대한, 촬영된 사진형태의 물리형상가시화정보; 및
플랜트에 대한, 3D 모델링을 기반으로 획득된 모델링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물리형상가시화정보와 모델링정보를 연동시켜 통합 제공하여 형상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형상관리시스템은,
설계규격, 규제요건, 모델링, 문서, 계산서, 구매/품질 정보, 절차서, 매뉴얼, 사양서, 플랜트 상태정보를 항상 실제와 일치하게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여기서, 구매/품질 정보는 플랜트를 이루는 부품에 대한 정보이다. 뿐만 아니라, 모든 규격, 규제요건, 문서, 계산서, 절차서, 매뉴얼, 사양서, 상태정보는 플랜트를 운용하기 위한 정보들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형상관리시스템은,
3D모델, 도면, 사진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기초자료로부터, 물리형상가시화정보 및 모델링정보를 포함하는 플랜트 모델정보로 변환하여 생성하는 모델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형상관리시스템은,
상기 모델생성부에 의해 이미 생성된 플랜트 모델정보에 대하여, 변경 적용이 요구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정보에 기반하여 플랜트 모델정보를 변경 관리하는 유지보수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형상관리시스템은,
상기 모델생성부에서 생성된 플랜트 모델정보를 기반하여,
플랜트의 현장실사 촬영된 사진을 3차원 공간에 맵핑처리하여 물리형상가시화정보를 생성하고, 실사로 가시화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물리형상가시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형상관리시스템은,
상기 모델생성부에서 생성된 플랜트 모델정보를 기반하여,
플랜트의 3D모델을 통해 모델링정보를 생성하고, 가시화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3D가시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형상관리시스템은,
물리형상가시화부와 3D가시화부에 의해 가시화된 정보를 연동시켜 별도의 디스플레이에 통합 출력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형상관리시스템은,
물리형상가시화부와 3D가시화부에 의해 가시화된 정보 상에 특정영역을 분류시켜 클릭조작되도록 하는 핫스팟 등록관리부; 및
상기 핫스팟 등록관리부를 통해 등록된 영역을 사용자의 클릭조작이 있는 경우, 해당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핫스팟 정보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형상관리시스템은,
물리형상가시화부 또는 3D가시화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물리형상가시화정보 또는 모델링정보 상에 별도의 미니맵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기능하는 미니맵 제공 및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형상관리시스템은,
상기 3D가시화부를 통해 출력된 모델링정보 상에 데이터가 연동되도록 하고, 연동된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뷰어-데이터 연동 및 편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에 의하면,
첫째, 3D 모델을 기반 구축된 중소형 플랜트의 3D가시화정보(모델링정보)와 사진으로 획득되어 출력되는 파노라마 형식의 물리형상가시화정보(사진정보)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중소형 플랜트의 형상관리를 수행할 수 있고,
둘째, 실사와 모델링 정보를 모두 제공하는 한편, 동시에 연동 출력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실제 플랜트의 모습을 보면서 사각 지역이 절감되고, 동시에 모델링만으로 확인 불가능한 세부부품의 확인까지 가능하도록 하며,
셋째, 실사와 모델링 정보를 연동시켜 확인하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방향과 위치를 쉽게 확인하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을 블록도로 표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의 파노라마 사진, 핫스팟등록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의 물리형상(사진) 및 모델링정보가 연동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의 뷰어와 데이터의 연동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3D 모델을 기반 구축된 중소형 플랜트의 3D가시화정보(모델링정보)와 사진으로 획득되어 출력되는 파노라마 형식의 물리형상가시화정보(사진정보)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중소형 플랜트의 형상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기재된 형상관리란, 실제 플랜트를 구성하는(이루는) 구조물, 계통, 기기의 상태가 시스템에 의해 구현된 정보(설계규격, 규제요건, 모델링, 문서, 계산서, 구매/품질 정보, 절차서, 매뉴얼, 사양서, 플랜트 상태정보 등)와 항상 일치성을 유지하도록 통합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은, 단말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 응용프로그램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별도의 서버로 구성되어 기능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어느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에 의해 선택되어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이하, '형상관리시스템'으로 지칭함)은 다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델생성부는, 기초자료(Data Publisher 설비구조 3D모델, 기기 3D모델, 도면, 사진, 멀티미디어 콘텐츠, 기술문서, 파노라마사진 및 동영상 등)가 형상관리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모델이되도록 표준화시켜 변환하여 플랜트 모델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3D 모델 Viewer에서 3D 형상파일을 표기하기 위해서는 먼저 3D Data Publisher를 이용하고, 3D 형상파일을 데이터 로딩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처리 하고 동시에 설비/기기의 Tag/구조/속성정보를 분석하고 획득처리 한 후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atabase) 또는 저장수단(Storage)에 저장 관리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형상관리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나 저장수단을 별도로 구성할 수 있음이 당연하다.
또 다른 예로, 파노라마 콘텐츠에서 사진 파일을 공간형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파노라마 Publisher를 이용하되, 각 영상파일을 적합한 형식으로 공간좌표에 Wrapping 변환처리하고 동시에 Tag/Hotspot/속성정보를 분석하고 획득 처리 한 후 데이터베이스(Database) 또는 저장수단(Storage)에 저장 관리하도록 한다.
예컨대, [표 1]에서 P3D Publisher, M3D Publisher, 파노라마 Publisher 및 지능형 도면(3D 도면) Publisher의 처리를 위한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18119306777-pat00001
P3D Publisher 처리흐름 예시화면
Figure 112018119306777-pat00002
M3D Publisher 처리흐름 예시화면
Figure 112018119306777-pat00003
파노라마 Publisher의 처리흐름 예시화면
Figure 112018119306777-pat00004
지능형 도면 Publisher의 처리흐름 예시화면
유지보수정보 관리부는, 상기 모델생성부에 의해 이미 생성된 플랜트 모델정보에 대하여, 부품의 신규 구매, 설치 또는 폐기 등에 의해 플랜트 상에 변경 적용이 필요한 경우, 이를 사용자의 입력정보에 기반하여 플랜트 모델정보를 변경하여 적용하는 등의 관리를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물리형상가시화부는, 상기 모델생성부에서 생성된 플랜트 모델정보를 기반하여, 플랜트의 현장실사 촬영된 사진을 3차원 공간에 맵핑처리하여 파노라마뷰어를 이용하여 물리형상을 실사로 가시화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파노라마뷰어는 방위가 표시되어 방향감각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확대, 축소, 회전 기능이 가능한 것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파노라마뷰어는 네이버 지도 등의 종래 다양한 기술에서 공지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물리형상가시화부를 통해 출력되는 물리형상(사진)은 첨부된 도면의 도 2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3D가시화부는, 상기 모델생성부에서 생성된 플랜트 모델정보를 통해, 플랜트의 3D모델 기반의 모델링정보를 가시화를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3을 참조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연동부를 설명하면서 함께 참조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연동부는, 상기 물리형상가시화부와 3D가시화부에 의해 가시화된 정보를 연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연동부에 의하면 플랜트의 특정 위치에 대하여 사진 기반의 물리형상과 3D모델링 기반의 모델링정보를 연동하여 별도의 디스플레이(모니터 등 화면)에, 물리형상에 따른 사진정보와 3D모델링에 따른 모델링정보가 통합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3을 참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3D모델링의 경우, 작은 부품 등이 모델링 당시 생략되는 경우가 있어서 모든 설비를 표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사진의 경우 파노라마로 표현됨에 따라 촬영된 자료가 적을수록 사각지역이 많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를 취합시켜 동시에 출력함으로써, 동일 시점 상에서 상술된 단점을 보완하는 한편, 실제와 동일한 정보를 제공받음과 동시에 생략된 세부구성의 확인까지 가능해지는 장점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핫스팟 등록관리부는, 상기 물리형상가시화부를 통해 출력되는 물리형상(사진)에 대하여 관심영역(핫스팟, Hotspot)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참조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과 같이 영상을 픽셀 등으로 영역 분류 가능하도록 하여 일정영역을 클릭조작할 수 있도록 등록시키는 것이다.
핫스팟 정보제공부는, 상기 핫스팟 등록관리부를 통해 등록된 영역을 사용자의 클릭조작이 있는 경우, 해당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영역의 구체 설계, 부품관련 등의 정보를 확인하려는 경우, 사용자는 물리형상으로 출력된 사진(또는 영상) 내에서 클릭조작을 통해 핫스팟으로 등록된 영역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특정 영역에 대한 정보가 기저장되도록 하고, 분류된 특정영역의 구분값(픽셀정보)을 저장하도록 하며, 특정영역을 클릭하였을 때 특정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사용자의 클리조작 발생시, 클릭영역의 구분값을 판단하고, 해당 구분값에 기저장된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기능할 수 있다.
미니맵 제공 및 생성부는, 상기 물리형상가시화부 또는 3D가시화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물리형상 또는 모델링정보 상에 별도의 미니맵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생성 및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보면서 물리형상 또는 모델링정보 상의 위치와 방향을 인식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위하여 각 물리형상 또는 모델링정보 상의 좌표정보와 방위각정보를 설정/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본 발명에 따른 형상관리시스템은 미니맵 제공 및 생성부를 통해 출력된 미니맵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의 클릭조작이 있으면, 해당 지역에 해당하는 물리형상가시화정보 또는 모델링정보를 변경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술된 바와 같이 좌표와 방위각을 미리 저장하는 것으로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형상관리시스템은 출력정보변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니맵 인터페이스를 확장하여 미니맵 상에 n개의 화면이 더 표시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형상관리시스템은 확장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n개의 화면에는 미니맵 클릭을 통해 변경출력되기 이전의 출력(화면)정보를 형상관리시스템이 가저장하도록 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가저장의 형태는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정보를 캡처하거나 시스템 로그(Log)를 임시 가저장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형상관리시스템은 이전출력정보 가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전의 출력정보는 확장출력부를 통해 미니맵 상에 표시되는 n개의 화면수에 대응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미니맵 상에 표시되는 변경 전 화면의 출력개수가 3개라면, 이전의 출력정보는 3개까지 가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형상관리시스템은 보조출력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함으로써, 미니맵 상에 표시된 n개의 화면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클릭하면 보조화면을 출력하여 클릭된 화면 상의 정보를 보조화면에 띄워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화면과 보조출력되는 화면의 비교가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다방향 확인 및 비교가 필요한 경우, 쉽게 비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리형상가시화정보와 모델링정보를 연동시켜 출력하는 경우, 하나의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됨에 따라 1/n 만큼 화면이 좁아지게 되는데, 위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물리가시화정보를 띄우고, 보조화면에 모델링정보를 띄움으로써, 보다 확대된 정보의 확인을 줌 동작없이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뷰어-데이터 연동 및 편집부는, 상기 3D가시화부를 통해 출력된 모델링정보 상에 데이터가 연동되도록 하고, 연동된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첨부된 도면의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모터의 구동원리 혹은 관련 회로의 확인과 이를 수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술된 데이터베이스 등에는 중소형 플랜트의 각 부품의 구동이나 회로적용을 위한 데이터가 축척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기저장된 데이터와 뷰어를 연동시키는 기능을 뷰어-데이터 연동 및 편집부가 수행함으로써, 모델링정보 상에서 데이터의 확인 및 편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Claims (9)

  1. 플랜트의 형상관리시스템에 있어서,
    플랜트에 대한, 촬영된 사진형태의 물리형상가시화정보; 및
    플랜트에 대한, 3D 모델링을 기반으로 획득된 모델링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물리형상가시화정보와 모델링정보를 연동시켜 통합 제공하여 형상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형상관리시스템은,
    (a) 설계규격, 규제요건, 모델링, 문서, 계산서, 구매/품질 정보, 절차서, 매뉴얼, 사양서 및 플랜트 상태정보를 항상 일치하게 관리하고,
    (b) 3D모델, 도면, 사진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기초자료로부터, 물리형상가시화정보 및 모델링정보를 포함하는 플랜트 모델정보로 변환하여 생성하는 모델생성부와,
    상기 모델생성부에 의해 이미 생성된 플랜트 모델정보에 대하여, 변경 적용이 요구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정보에 기반하여 플랜트 모델정보를 변경 관리하는 유지보수정보 관리부와,
    상기 모델생성부에서 생성된 플랜트 모델정보를 기반하여, 플랜트의 현장실사 촬영된 사진을 3차원 공간에 맵핑처리하여 물리형상가시화정보를 생성하고, 실사로 가시화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물리형상가시화부와,
    상기 모델생성부에서 생성된 플랜트 모델정보를 기반하여, 플랜트의 3D모델을 통해 모델링정보를 생성하고, 가시화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3D가시화부와,
    물리형상가시화부와 3D가시화부에 의해 가시화된 정보를 연동시켜 별도의 디스플레이에 통합 출력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연동부와,
    물리형상가시화부와 3D가시화부에 의해 가시화된 정보 상에 특정영역을 분류시켜 클릭조작되도록 하는 핫스팟 등록관리부와,
    상기 핫스팟 등록관리부를 통해 등록된 영역을 사용자의 클릭조작이 있는 경우, 해당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핫스팟 정보제공부와,
    물리형상가시화부 또는 3D가시화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물리형상가시화정보 또는 모델링정보 상에 별도의 미니맵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기능하는 미니맵 제공 및 생성부와,
    상기 3D가시화부를 통해 출력된 모델링정보 상에 데이터가 연동되도록 하고, 연동된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뷰어-데이터 연동 및 편집부를 포함하되,
    상기 형상관리시스템은,
    상기 미니맵 제공 및 생성부를 통해 출력된 미니맵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의 클린조작에 기반하여 해당 영역에 해당하는 물리형상가시화정보 또는 모델링정보를 변경 출력하도록 하는 출력정보변경부와,
    상기 미니맵 인터페이스를 확장하여 미니맵 상에 n개의 화면이 더 표시되도록 하는 확장출력부와,
    n개의 화면 상에, 미니맵 인터페이스 클릭을 통해 변경출력되기 이전의 출력정보를 출력하기 위하여 가저장하는 이전출력정보 가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150421A 2018-11-29 2018-11-29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 KR101958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421A KR101958199B1 (ko) 2018-11-29 2018-11-29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421A KR101958199B1 (ko) 2018-11-29 2018-11-29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199B1 true KR101958199B1 (ko) 2019-03-14

Family

ID=65759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421A KR101958199B1 (ko) 2018-11-29 2018-11-29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1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827A (ko) * 2019-05-07 2020-11-17 (주)씨소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9680A (ko) * 2012-04-24 2013-11-01 윤재민 사고 및 위험 방지 시스템
KR101329395B1 (ko) 2012-06-04 2013-11-1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발전설비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59838B1 (ko) * 2014-11-19 2015-10-13 엔쓰리엔 주식회사 4d 데이터를 시각화하기 위한 시각화 방법 및 시스템, 및 통합 데이터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1600257B1 (ko) 2015-06-18 2016-03-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 형상관리 장치
KR101733424B1 (ko) 2014-10-31 2017-05-24 주식회사 오리온이엔씨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 기반 형상관리방법 및 시스템
KR101831397B1 (ko) 2016-11-09 2018-02-22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배관 형상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873289B1 (ko) * 2017-08-10 2018-07-02 이규홍 해양 플랜트의 제작 공정 관리를 위한 3d 시뮬레이션 및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9680A (ko) * 2012-04-24 2013-11-01 윤재민 사고 및 위험 방지 시스템
KR101329395B1 (ko) 2012-06-04 2013-11-1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발전설비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33424B1 (ko) 2014-10-31 2017-05-24 주식회사 오리온이엔씨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 기반 형상관리방법 및 시스템
KR101559838B1 (ko) * 2014-11-19 2015-10-13 엔쓰리엔 주식회사 4d 데이터를 시각화하기 위한 시각화 방법 및 시스템, 및 통합 데이터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1600257B1 (ko) 2015-06-18 2016-03-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 형상관리 장치
KR101831397B1 (ko) 2016-11-09 2018-02-22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배관 형상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873289B1 (ko) * 2017-08-10 2018-07-02 이규홍 해양 플랜트의 제작 공정 관리를 위한 3d 시뮬레이션 및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827A (ko) * 2019-05-07 2020-11-17 (주)씨소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287524B1 (ko) * 2019-05-07 2021-08-09 (주)씨소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lparvar-Fard et al. Visualization of construction progress monitoring with 4D simulation model overlaid on time-lapsed photographs
KR20180131471A (ko) 3d 스캐닝과 bim을 이용한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9070216B2 (en) Four-dimensional augmented reality models for interactive visualization and automated construction progress monitoring
García-Pereira et al. A collaborative augmented reality annotation tool for the inspection of prefabricated buildings
Corneli et al. Augmented reality and deep learning towards the management of secondary building assets
Vincke et al. Immersive visualisation of construction site point cloud data, meshes and BIM models in a VR environment using a gaming engine
KR20160018944A (ko) 차량의 사고부위를 인식하여 가견적 리스트를 모바일 장치에서 생성하는 방법
TWM565860U (zh) 智慧工程資訊系統
Chalhoub et al. Leveraging site survey points for mixed reality BIM visualization
KR100976829B1 (ko) 선박의 설계 디자인 리뷰 방법 및 그 서비스 시스템
KR101958199B1 (ko)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
JP2020197842A (ja) 建築物の3次元データ管理方法及びこれを実現するモバイル端末
CN117336415A (zh) 一种应用于书画扫描的高光谱扫描系统及其扫描方法
Naticchia et al. Mixed reality approach for the management of building maintenance and operation
CN116129126A (zh) 分割预测模型的构建方法、图片语义分割标注方法及装置
Georgel et al. Navigation tools for viewing augmented cad models
CN111429578B (zh) 一种火电厂机组的三维模型生成方法及三维虚拟检修系统
KR20100079625A (ko) 3차원 레이저스캔 기술을 응용한 웹기반 발전설비 통합관리시스템
CN113836337A (zh) Bim的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Potabatti Photogrammetry for 3D Reconstruction in SOLIDWORKS and its Applications in Industry
KR20100079627A (ko) 3차원 레이저스캔 기술을 응용한 웹기반 발전설비 통합관리방법
JP4949001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KR20210016730A (ko)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장비에 대한 유지관리가 가능한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Ziccarelli et al. Industry Level Feasibility of LiDAR Data into Fire Modeling Using Fire Risk Investigation in 3D (FRI3D)
WO2023074124A1 (ja) 建屋内構造物認識システム及び建屋内構造物認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