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524B1 -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524B1
KR102287524B1 KR1020190052831A KR20190052831A KR102287524B1 KR 102287524 B1 KR102287524 B1 KR 102287524B1 KR 1020190052831 A KR1020190052831 A KR 1020190052831A KR 20190052831 A KR20190052831 A KR 20190052831A KR 102287524 B1 KR102287524 B1 KR 102287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tial information
image data
laser scanning
information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8827A (ko
Inventor
강병두
경동욱
Original Assignee
(주)씨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소 filed Critical (주)씨소
Priority to KR1020190052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524B1/ko
Publication of KR20200128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06T3/003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06Topological mapping of higher dimensional structures onto lower dimensional su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21Depth or shape recovery from laser ranging, e.g. using interferometry; from the projection of structured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8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all processing steps from image acquisition to 3D model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04Mark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04Architectural design, interior 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3D 공간 정보로 재구성된 현장 정보를 바탕으로 건축 현장 관리자의 원격 관리, 감독이 가능하도록 하는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방법은 실내 현장을 피사체로 하는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와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융합하여 3D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3D 공간 정보의 재생 및 제어가 가능한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현장에 대한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융합하여 생성하는 3D 공간 정보를 구성함으로써, 상당한 수준의 정밀도를 유지하는 동시에, 비전문가가 작업하더라도 작은 용량으로 3D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3D 공간 정보로 재구성된 현장에 대한 3D 공간 정보를 바탕으로 건축 현장 관리자의 원격 관리, 감독이 가능하도록 하고, 건축 현장 관리자와 작업자 간의 업무 지시 및 상호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on-site based on 3D laser scanning data and 360VR image data}
본 발명은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융합하여, 재구성된 현장 정보를 바탕으로 건축 현장 관리자의 원격 관리, 감독이 가능하도록 하는 현장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 건설 현장에서 전화통화와 도면 또는 영상 통화만을 이용하여, 세부 사항을 공유하고 현장 작업자와 소통하기 어려워, 이를 극복하고자 다양한 시도가 되고 있지만,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과 연계한 관리차원에서 접근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며, 이는 IT솔루션에 익숙하지 않은 현장 작업자에게 또 다른 부가적인 업무 부담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기존의 상용화된 저가 공간 스캐너 제품은 엔터테인먼트 및 게임용 인터페이스를 목적으로, 대부분 확산형 IR(Infrared) 광원을 토대로 한 삼각측량방식(Kinect센서) 또는 TOF방식(Mesa센서)이 주를 이루고 있어 수cm 이상의 오차범위를 가지고 있어 건축현장의 측량센서로는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건축현장에서는 Leica, Trimble 사의 정밀한 건축용 공간스캐너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건축용 공간스캐너는 수억 원대의 가격과 7kg 이상의 무게로 현장에서 간편한 이동이 어려우며, 한번 스캐닝 할 때 장시간의 보정 및 스캐닝 시간, 후처리 과정이 필요하여 운용교육을 받은 전문가가 아니면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에 대한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융합하여 3D 공간 정보를 구성함으로써, 상당한 수준의 정밀도를 유지하는 동시에, 비전문가가 작업하더라도 작은 용량으로 3D 모델을 생성할 수 있는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D 공간 정보로 재구성된 현장에 대한 3D 공간 정보를 바탕으로 건축 현장 관리자의 원격 관리, 감독이 가능하도록 하고, 건축 현장 관리자와 작업자 간의 업무 지시 및 상호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방법은 실내 현장을 피사체로 하는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와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융합하여 3D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3D 공간 정보의 재생 및 제어가 가능한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특정 촬영 지점에서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동시에 획득하되, 촬영 지점에 대한 촬영 좌표 정보도 함께 획득하여, 획득된 각각의 데이터들이 매칭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3D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특징점들을 포함하며 서로 구분되는 이미지를 가지는 복수의 마커들이 피사체 중 일부가 되도록 하여, 획득된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와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융합하여, 3D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획득된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와 360VR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마커들이 인식되면, 인식된 마커들을 기반으로 3D 공간 정보의 오융합점들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방법은 실내 현장에 대한 3D 도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3D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3D 도면 정보가 획득되면, 3D 도면 정보를 이용하여, 3D 공간 정보의 위치 인식을 수행하는 단계; 및 3D 도면 정보를 이용하여, 3D 공간 정보에 대한 모의 계측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방법은, 현장 관리자가 재생되는 3D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현장의 공정 결과가 적합하게 수행된 것인지 검토하여,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검토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는, 검토 정보의 입력단계에서, 3D 도면 정보와 위치 인식 및 모의 계측 작업의 결과가 포함된 3D 공간 정보가 동시에 재생될 수 있다.
그리고 검토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는, 검토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3D 공간 정보의 용량이 절감되도록, 실내 현장을 피사체로 생성된 전체 3D 공간 정보 중 현장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재생된 3D 공간 정보만 선별하여, 입력된 검토 정보와 함께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검토 정보는, 현장의 공정 결과 중 특이사항에 대한 코멘트 또는 마크업(markup) 표시가 포함되고, 3D 공간 정보의 촬영 날짜, 촬영 장소 또는 공정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는, 실내 현장 중 특정 영역이 선택되면, 선택된 영역에 대한 3D 공간 정보가 재생되도록 하는 키 맵(key map)이 표시되는 키 맵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는, 실내 현장 중 특정 영역이 촬영되면, 촬영되는 영역이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촬영되는 영역이 3D 공간 정보 중 어느 지점에 해당하는 것인지 표시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피사체를 향하여 레이저 광을 출사하고,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레이저 광을 수신하여 깊이 정보가 포함된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를 생성하며, 전방, 후방, 상방, 하방, 좌측방 및 우측방 이미지 중 둘 이상을 이용하여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에 융합 가능한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시스템은 실내 현장을 피사체로 하는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와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융합하여 3D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3D 공간 정보의 재생 및 제어가 가능한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현장에 대한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융합하여 3D 공간 정보를 구성함으로써, 상당한 수준의 정밀도를 유지하는 동시에, 비전문가가 작업하더라도 작은 용량으로 3D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3D 공간 정보로 재구성된 현장에 대한 3D 공간 정보를 바탕으로 건축 현장 관리자의 원격 관리, 감독이 가능하도록 하고, 건축 현장 관리자와 작업자 간의 업무 지시 및 상호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시스템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2는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3D 공간 정보를 보정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복수의 마커의 설명에 제공한 도면,
도 5는 현장관리 인터페이스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6은 현장관리 인터페이스의 키 맵(key map) 영역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7은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검토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방법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시스템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며, 도 2는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시스템은,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융합하여 생성하는 3D 공간 정보로 현장에 대한 3D 공간 정보를 구성함으로써, 상당한 수준의 정밀도를 유지하는 동시에, 비전문가가 작업하더라도 작은 용량으로 3D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시스템은,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100), 프로세서(200), 저장부(300), 스트리밍 서버(400) 및 디스플레이(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100)는, 실내 현장을 피사체로 하는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100)는, 복수의 카메라와 레이저 거리 측정기(Laser Range Finder, LRF)가 구비되며,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향하여 레이저 광을 출사하고,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레이저 광을 수신하여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깊이 정보가 포함된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10)를 생성하며, 복수의 이미지 중 둘 이상을 스티치하여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에 융합 가능한 360VR 이미지 데이터(20)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100)는, 전후,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방, 후방, 상방, 하방, 좌측방 및 우측방 이미지 중 둘 이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들을 스티치하여 360VR 이미지 데이터(20)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100)는, 특정 촬영 지점에서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동시에 획득하되, 촬영 지점에 대한 촬영 좌표 정보도 함께 획득하여, 획득된 각각의 데이터들이 매칭되도록 하여, 3D 공간 정보의 위치 인식 및 모의 계측 작업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와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융합하여 3D 공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00)는, 복수의 특징점들을 포함하며 서로 구분되는 이미지를 가지는 복수의 마커들이 피사체 중 일부가 되도록 하여, 획득된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10)와 360VR 이미지 데이터(20)를 융합하여, 3D 공간 정보를 생성하고, 획득된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10)와 360VR 이미지 데이터(20)에 포함된 마커들이 인식되면, 인식된 마커들을 기반으로 3D 공간 정보의 오융합점들을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00)는, 통신수단(미도시)을 통하여, 실내 현장에 대한 3D 도면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획득된 3D 도면 정보를 이용하여, 3D 공간 정보의 위치 인식 작업 및 3D 공간 정보에 대한 모의 계측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0)는, 획득된 3D 도면 정보를 이용하여, 3D 공간 정보가 논리적 공간상에 물리적 좌표값을 갖도록 함으로써, 3D 공간 정보의 위치 인식 작업 및 3D 공간 정보에 대한 모의 계측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보정 작업까지 완료된 3D 공간 정보는, 통신수단(미도시)을 통하여, 스트리밍 서버(400)에 전달되거나, 저장부(300)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300)는, 프로세서(200)가 동작함에 있어 필요한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매체이다. 예를 들면, 3D 공간 정보가 생성되어, 보정 과정이 수행되면, 3D 공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스트리밍 서버(400)는, 프로세서(200)의 통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된 3D 공간 정보를 실내 현장별, 촬영 날짜별, 촬영 장소별과 같이 계층(hierarchy)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500)를 통해 현장 관리자가 요청하는 경우, 현장 관리자의 디스플레이(500)에 해당 3D 공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서버(400)는, 현장 관리자를 통해, 특정 3D 공간 정보에 검토 정보가 부가된 경우, 해당 실내 현장의 현장 작업자의 디스플레이(500)에 검토 정보가 부가된 3D 공간 정보를 전달하여, 현장 관리자의 현장 공정의 검토 결과를 현장 작업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리밍 서버(400)는, 특정 실내 현장을 피사체로 생성된 전체 3D 공간 정보 중 현장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재생된 3D 공간 정보만 선별하여, 입력된 검토 정보와 함께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저장되는 3D 공간 정보의 용량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3D 공간 정보의 재생 및 제어가 가능한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500)는, 개인용 컴퓨터(PC) 또는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으로 구현되어, 스트리밍 서버(400)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접속되어, 스트리밍 서버(400)로부터 3D 공간 정보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500)는, 수신된 3D 공간 정보가 재생되는 과정에서 현장 관리자가 현장의 공정 결과가 적합하게 수행된 것인지 검토하여,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토 정보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3D 공간 정보를 보정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복수의 마커의 설명에 제공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특징점들을 포함하며 서로 구분되는 이미지를 가지는 복수의 마커들(31-1 내지 31-N)이 피사체 중 일부가 되도록 하여, 획득된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와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융합하여, 3D 공간 정보를 생성하고, 획득된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와 360VR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마커들이 인식되면, 인식된 마커들을 기반으로 3D 공간 정보의 오융합점들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특징점들을 포함하며 서로 구분되는 이미지를 가지는 복수의 마커들(31-1 내지 31-N)은, 개별적으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식별자가 구비되며, 프로세서(200)는 복수의 마커들(31-1 내지 31-N)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피사체로 하여,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와 360VR 이미지 데이터가 획득되면,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에 포함된 마커들 중 인식된 마커들의 식별자와 360VR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마커들 중 인식된 마커들의 식별자를 비교하여, 특징점의 좌표를 보정하여, 오융합점들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0)는,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10)에 포함된 마커들 중 인식된 마커들의 식별자와 360VR 이미지 데이터(20)에 포함된 마커들 중 인식된 마커들의 식별자를 비교하여, 특징점의 좌표를 보정하는 보정 알고리즘을 저장부(3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200)는,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100)가, 실내 현장을 피사체로 하는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10)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20)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특징점들을 포함하며 서로 구분되는 이미지를 가지는 복수의 마커들(31-1 내지 31-N)이 피사체 중 일부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도, 저장부(300)에 저장된 보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3D 공간 정보의 오융합점들을 보정할 수 있다.
도 5는 현장관리 인터페이스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며, 도 6은 현장관리 인터페이스의 키 맵(key map) 영역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고, 도 7은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검토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500)는, 3D 공간 정보를 재생하되, 재생되는 3D 공간 정보를 제어하여, 현장 관리자가 재생되는 3D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현장의 공정 결과가 적합하게 수행된 것인지 검토하기 위한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500)는, 현장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3D 공간 정보가 재생되되, 위치 인식 작업의 결과 또는 모의 계측 작업의 결과가 3D 공간 정보에 함께 포함되어 재생되도록 할 수 있으며,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생하고자 하는 영역의 위치 및 방위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현장 중 특정 영역이 선택되면, 선택된 영역에 대한 3D 공간 정보가 재생되도록 하는 키 맵(key map)이 표시되는 키 맵 영역(51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500)는, 현장에 마련되지 않은 가상의 객체정보(32)가 포함된 3D 공간 정보가 재생되도록 하여, 현장 관리자가 향후 현장의 공정상 필요한 공정들의 준비과정이 원활하게 수행되고 있는지 검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500)는, 3D 도면 정보가 획득된 경우, 3D 도면 정보와 위치 인식 및 모의 계측 작업의 결과가 포함된 3D 공간 정보가 동시에 재생되도록 하여, 현장 관리자가 3D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현장의 공정 결과가 적합하게 수행된 것인지 검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이때, 현장 관리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의 공정 결과 중 특이사항에 대한 코멘트 또는 마크업(markup) 표시가 포함된 검토 정보를 생성하여, 3D 공간 정보에 부가할 수 있다.
3D 공간 정보에 부가된 검토 정보는, 스트리밍 서버(400)에 의해, 3D 공간 정보의 촬영 날짜, 촬영 장소 또는 공정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며, 현장 작업자의 요청시, 현장 작업자의 디스플레이(500)에 검토 정보가 부가된 3D 공간 정보를 전달하여, 현장 관리자의 현장 공정의 검토 결과를 현장 작업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스트리밍 서버(400)는, 3D 공간 정보의 용량이 절감되도록 하기 위해, 실내 현장을 피사체로 생성된 전체 3D 공간 정보 중 현장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재생된 3D 공간 정보만 선별하여, 입력된 검토 정보와 함께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500)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로 구현되어, 3D 공간 정보가 재생되는 과정에서, 현장 관리자와 현장 작업자 간의 영상통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현장 관리자의 디스플레이(500)는, 영상통화 시,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검토 정보들이 스트리밍 서버(400)를 통해, 현장 작업자의 디스플레이(50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으며, 현장 작업자는, 자신의 디스플레이(500)를 통해, 검토 정보들을 확인하여, 보다 용이하게 업무 지시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현장 관리자의 디스플레이(500)는 현장 작업자의 디스플레이(500) 또는 별도의 촬영 기능이 탑재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실내 현장 중 특정 영역을 촬영하는 경우, 촬영되는 영역과 촬영되는 영역이 3D 공간 정보 중 어느 지점에 해당하는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동시에 재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현장관리 인터페이스에는 촬영되는 영역이 표시되는 제1 영역(미도시)과 촬영되는 영역이 3D 공간 정보 중 어느 지점에 해당하는 것인지 표시되는 제2 영역(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스트리밍 서버(400)는, 현장 관리자의 디스플레이(500)와 현장 작업자의 디스플레이(500) 간의 영상통화 시, 현장 작업자의 디스플레이(500) 또는 별도의 모바일 단말을 통해 촬영되는 영역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촬영 영역이 3D 공간 정보 중 어느 지점에 해당하는 것인지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현장 관리자의 디스플레이(5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방법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방법은,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100)가, 실내 현장을 피사체로 하는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면(S810), 프로세서(200)가,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와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융합하여 3D 공간 정보를 생성하고(S820), 획득된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와 360VR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마커들이 인식되면, 인식된 마커들을 이용하거나 또는 기저장된 보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3D 공간 정보의 오융합점들을 보정할 수 있다(S830).
그리고 3D 공간 정보의 생성 및 보정이 완료되면, 프로세서(200)가, 실내 현장에 대한 3D 도면 정보를 획득하면(S840), 획득된 3D 도면 정보를 이용하여, 3D 공간 정보의 위치 인식 작업 및 3D 공간 정보에 대한 모의 계측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850).
또한, 3D 공간 정보의 위치 인식 작업 및 모의 계측 작업이 완료되면, 프로세서(200)가 작업 결과가 부가된 3D 공간 정보를 스트리밍 서버(400)에 전달하고, 스트리밍 서버(400)는, 디스플레이(500)를 통해 현장 관리자가 요청하는 경우, 현장 관리자의 디스플레이(500)에 해당 3D 공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3D 공간 정보가 제공되면, 디스플레이(500)가, 3D 공간 정보를 재생하되, 재생되는 3D 공간 정보를 제어하여, 현장 관리자가 재생되는 3D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현장의 공정 결과가 적합하게 수행된 것인지 검토하기 위한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860).
그리고 현장 관리자가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장의 공정 결과 중 특이사항에 대한 코멘트 또는 마크업(markup) 표시가 포함된 검토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S870), 디스플레이(500)는, 검토 정보가 입력되면, 검토 정보가 3D 공간 정보에 부가되도록 하여, 스트리밍 서버(400)에 전달할 수 있다.
검토 정보가 부가된 3D 공간 정보가 전달되면, 스트리밍 서버(400)는, 3D 공간 정보의 용량이 절감되도록 하기 위해, 실내 현장을 피사체로 생성된 전체 3D 공간 정보 중 현장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재생된 3D 공간 정보만 선별하여, 입력된 검토 정보와 함께 저장되도록 함으로써(S880), 저장되는 3D 공간 정보의 용량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서버(400)는, 현장 관리자를 통해, 특정 3D 공간 정보에 검토 정보가 부가된 경우, 해당 실내 현장의 현장 작업자의 디스플레이(500)에 검토 정보가 부가된 3D 공간 정보를 전달하여, 현장 관리자의 현장 공정의 검토 결과를 현장 작업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3D 공간 정보로 재구성된 현장에 대한 3D 공간 정보를 바탕으로 건축 현장 관리자의 원격 관리, 감독이 가능하도록 하고, 건축 현장 관리자와 작업자 간의 업무 지시 및 상호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
200 : 프로세서
300 : 저장부
400 : 스트리밍 서버
500 : 디스플레이

Claims (11)

  1.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가, 실내 현장을 피사체로 하는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획득된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와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융합하여 3D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된 3D 공간 정보의 재생 및 제어가 가능한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특정 촬영 지점에서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동시에 획득하되, 촬영 지점에 대한 촬영 좌표 정보도 함께 획득하여, 획득된 각각의 데이터들이 매칭되도록 하며,
    3D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특징점들을 포함하며 서로 구분되는 이미지를 가지는 복수의 마커들이 피사체 중 일부가 되도록 하여, 획득된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와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융합하여, 3D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획득된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와 360VR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마커들이 인식되면, 인식된 마커들을 기반으로 3D 공간 정보의 오융합점들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현장관리 방법은,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가, 실내 현장에 대한 3D 도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3D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3D 도면 정보가 획득되면, 프로세서가, 3D 도면 정보를 이용하여, 3D 공간 정보의 위치 인식을 수행하는 단계; 및
    프로세서가, 3D 도면 정보를 이용하여, 3D 공간 정보에 대한 모의 계측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현장관리 방법은,
    재생되는 3D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현장의 공정 결과가 적합하게 수행된 것인지 검토되면,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토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는,
    검토 정보의 입력단계에서, 3D 도면 정보와 위치 인식 및 모의 계측 작업의 결과가 포함된 3D 공간 정보가 동시에 재생되며,
    검토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는,
    검토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저장되는 3D 공간 정보의 용량이 절감되도록, 실내 현장을 피사체로 생성된 전체 3D 공간 정보 중 현장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재생된 3D 공간 정보만 선별하여, 입력된 검토 정보와 함께 저장되도록 하고,
    검토 정보는,
    현장의 공정 결과 중 특이사항에 대한 코멘트 또는 마크업(markup) 표시가 포함되고,
    3D 공간 정보의 촬영 날짜, 촬영 장소 또는 공정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며,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는,
    실내 현장 중 특정 영역이 선택되면, 선택된 영역에 대한 3D 공간 정보가 재생되도록 하는 키 맵(key map)이 표시되는 키 맵 영역이 포함되며,
    복수의 마커들은,
    개별적으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식별자가 구비되며,
    3D 공간 정보의 오융합점들을 보정하는 단계는,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와 360VR 이미지 데이터가 획득되면, 프로세서가, 복수의 마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피사체로 하여,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에 포함된 마커들 중 인식된 마커들의 식별자와 360VR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마커들 중 인식된 마커들의 식별자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특징점의 좌표를 보정하고, 오융합점들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는,
    실내 현장 중 특정 영역이 촬영되면, 촬영되는 영역이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촬영되는 영역이 3D 공간 정보 중 어느 지점에 해당하는 것인지 표시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피사체를 향하여 레이저 광을 출사하고,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레이저 광을 수신하여 깊이 정보가 포함된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를 생성하며,
    전방, 후방, 상방, 하방, 좌측방 및 우측방 이미지 중 둘 이상을 이용하여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에 융합 가능한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방법.
  11. 실내 현장을 피사체로 하는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와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융합하여 3D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3D 공간 정보의 재생 및 제어가 가능한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는,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 시, 특정 촬영 지점에서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동시에 획득하되, 촬영 지점에 대한 촬영 좌표 정보도 함께 획득하여, 획득된 각각의 데이터들이 매칭되도록 하며,
    프로세서는,
    3D 공간 정보의 생성 시, 복수의 특징점들을 포함하며 서로 구분되는 이미지를 가지는 복수의 마커들이 피사체 중 일부가 되도록 하여, 획득된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와 360VR 이미지 데이터를 융합하여, 3D 공간 정보를 생성하고,
    획득된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와 360VR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마커들이 인식되면, 인식된 마커들을 기반으로 3D 공간 정보의 오융합점들을 보정하며,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는,
    실내 현장에 대한 3D 도면 정보를 획득하며,
    프로세서는,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를 통해, 3D 도면 정보가 획득되면, 3D 도면 정보를 이용하여, 3D 공간 정보의 위치 인식을 수행하고, 3D 공간 정보에 대한 모의 계측 작업을 수행하며,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는,
    재생되는 3D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현장의 공정 결과가 적합하게 수행된 것인지 검토되면, 검토 정보가 입력되도록 하고,
    검토 정보 입력 과정에서, 3D 도면 정보와 위치 인식 및 모의 계측 작업의 결과가 포함된 3D 공간 정보가 동시에 재생되도록 하며,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는,
    검토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별도로 마련되는 스트리밍 서버와 연결되어, 저장되는 3D 공간 정보의 용량이 절감되도록, 실내 현장을 피사체로 생성된 전체 3D 공간 정보 중 현장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재생된 3D 공간 정보만 선별되어, 입력된 검토 정보와 함께 저장되도록 하고,
    검토 정보는,
    현장의 공정 결과 중 특이사항에 대한 코멘트 또는 마크업(markup) 표시가 포함되고,
    3D 공간 정보의 촬영 날짜, 촬영 장소 또는 공정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며,
    현장관리 인터페이스는,
    실내 현장 중 특정 영역이 선택되면, 선택된 영역에 대한 3D 공간 정보가 재생되도록 하는 키 맵(key map)이 표시되는 키 맵 영역이 포함되며,
    복수의 마커들은,
    개별적으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식별자가 구비되며,
    프로세서는,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와 360VR 이미지 데이터가 획득되면, 복수의 마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피사체로 하여,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에 포함된 마커들 중 인식된 마커들의 식별자와 360VR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마커들 중 인식된 마커들의 식별자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특징점의 좌표를 보정하고, 오융합점들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시스템.
KR1020190052831A 2019-05-07 2019-05-07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287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831A KR102287524B1 (ko) 2019-05-07 2019-05-07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831A KR102287524B1 (ko) 2019-05-07 2019-05-07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827A KR20200128827A (ko) 2020-11-17
KR102287524B1 true KR102287524B1 (ko) 2021-08-09

Family

ID=73642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831A KR102287524B1 (ko) 2019-05-07 2019-05-07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5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612B1 (ko) * 2020-12-08 2023-05-15 (주) 토탈소프트뱅크 사용자 중심의 복합위험상황에 대한 시나리오 편집 시스템
KR102577996B1 (ko) * 2021-12-27 2023-09-14 (주) 토탈소프트뱅크 크레인 시뮬레이터 연동 기능을 탑재한 사용자 중심의 다자참여형 산업안전 가상훈련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751B1 (ko) * 2006-06-01 2007-09-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실내 환경의 환경맵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958199B1 (ko) * 2018-11-29 2019-03-14 (주)부품디비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597B1 (ko) * 2015-04-07 2017-03-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모바일 기반 정도 관리 시스템
KR101809529B1 (ko) * 2016-04-20 2017-12-22 이동현 3차원 캘리브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751B1 (ko) * 2006-06-01 2007-09-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실내 환경의 환경맵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958199B1 (ko) * 2018-11-29 2019-03-14 (주)부품디비 중소형 플랜트의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한 모델기반의 형상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827A (ko)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67371A1 (en) Handheld portable optical scanner and method of using
US10542238B2 (en) Collaborative virtual reality online meeting platform
US8023727B2 (en) Environment map generating apparatus, environment map generating method, and environment map generating program
WO2019233445A1 (zh) 对房屋进行数据采集和模型生成的方法
CN105103542B (zh) 手持型便携式光学扫描仪和使用的方法
EP2987322A1 (en) Handheld portable optical scanner and method of using
US20180157321A1 (en) Private real-time communication between meeting attendees during a meeting using one or more augmented reality headsets
KR102287524B1 (ko) 3d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 및 360vr 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현장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329935B1 (ko) 이종 마커를 이용해서 원격으로 증강현실 서비스를 공유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00285B1 (ko) Ar 기반 컨텐츠 3d 매핑 방법 및 시스템
JP7456034B2 (ja) 複合現実表示装置および複合現実表示方法
WO2019091117A1 (en) Robotic 3d scanning systems and scanning methods
TWI764366B (zh) 基於光通信裝置的互動方法和系統
KR20220136050A (ko) 사람의 3d좌표를 생성하고 3d좌표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장치 및 방법
JP6725736B1 (ja) 画像特定システムおよび画像特定方法
CN108896035B (zh) 通过影像信息实现导航的方法、设备以及导航机器人
KR102458559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 분야 시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2055033B (zh) 基于光通信装置的交互方法和系统
JP2004348577A (ja) 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情報表示システムにおけるポインティング装置制御方法
CN113836337A (zh) Bim的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860215B1 (ko) 프로젝터 자세에 연동하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US1185415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the scanning of a scene with the viewing of the scan results relative to a live view of the scene
JP2020177490A (ja) Ar空間画像投影システム、ar空間画像投影方法及びユーザ端末
US20240112406A1 (en) Bar arrangement inspection result display system
KR102589176B1 (ko) 배경이미지를 활용한 온셋 조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