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271B1 - 액체 용기 배출 구조 - Google Patents

액체 용기 배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271B1
KR101957271B1 KR1020180037788A KR20180037788A KR101957271B1 KR 101957271 B1 KR101957271 B1 KR 101957271B1 KR 1020180037788 A KR1020180037788 A KR 1020180037788A KR 20180037788 A KR20180037788 A KR 20180037788A KR 101957271 B1 KR101957271 B1 KR 101957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discharge
present
liquid container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일
Original Assignee
이홍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일 filed Critical 이홍일
Priority to KR1020180037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65D25/44Telescopic or retractable nozzles or spo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002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 F15D1/0065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using active means, e.g. supplying external energy or injecting fluid
    • F15D1/008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using active means, e.g. supplying external energy or injecting fluid comprising fluid injection or su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액체를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액체를 담아서 보관하는 몸체부로 구성되는 액체 용기의 배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배출부는, 주름부와 평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주름부는, 주름이 있는 관(Pipe) 모양으로 상기 배출부의 단부에 연접되어 내측에 보관되며, 액체를 배출할 때는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평면부는, 주름부의 가운데 소정 폭으로 형성되어, 원주를 따라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평면부에는, 상기 평면부의 홀과 같은 크기의 흡기공이 하나있는 고무 밴드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배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정 또는 산업현장에서 액체를 부어서 사용하는 용기의 배출 구조를 개선함으로서, 액체배출 시 맥동현상에 의한 흘림 및 분산 현상으로 인한 자원낭비를 막을 수 있고,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체 용기 배출 구조{Liquid container discharge structure}
본 발명은 액체 용기 배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 또는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액체 용기를 기울여 부어서 사용할 때 공기를 유입시켜 맥동현상을 방지하여 기름을 흘리거나 분산되지 않도록 하는 액체 용기 배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산업현장에서 액체(기름)를 용기에서 배출할 때 펌프 등 전용장치를 이용하여 배출하지만, 이러한 시설이나 기계장치는 항상 비치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사용자는 주로 용기를 기울여 부어서 사용하는데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량을 붓기가 매우 어렵다. 특히 기름 종류는 위험물이나 인화물질이므로 화재 및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관리 및 사용에 만전을 기해야 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를 기울여 액체를 배출할 때는 공기의 유입으로 맥동현상이 일어나서 기름을 흘리거나 분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출원인은 액체 용기에 배출 구조를 개선하는 연구를 하면서 배출부에 주름부와 평면부를 구비하고, 맥동현상을 없애기 위해 흡기공을 개설하는 등 구조를 개선하는 연구를 거듭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5030호(2006.04.26.)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1087호(2008.05.15.)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 또는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액체 용기의 배출 구조로서, 액체(기름)은 주로 용기를 기울여 부어서 사용할 때 공기를 유입시켜 맥동현상을 방지하여 기름을 흘리거나 분산되지 않도록 하는 액체 용기 배출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에 액체를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액체를 담아서 보관하는 몸체부로 구성되는 액체 용기 배출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출부가 주름부와 평면부를 가지는 액체 용기 배출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주름부는, 주름이 있는 관(Pipe) 모양으로 상기 배출부의 단부에 연접되어 내측에 보관되며, 액체를 배출할 때는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액체 용기 배출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평면부는, 주름부의 가운데 소정 폭으로 형성되어, 원주를 따라 다수 개의 홀을 형성되는 액체 용기 배출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홀은 용기의 형상에 따라 위치가 달라지며, 용기를 기울여 액체를 배출시킬 때 상 방향이 될 수 있는 위치 위주로 홀이 형성되는 액체 용기 배출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평면부에는, 동일한 폭의 고무 밴드가 끼워지는 액체 용기 배출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무 밴드에는, 상기 평면부의 홀과 같은 크기의 흡기공 하나만 형성되어, 평면부의 다수 개의 홀 중에서 상 방향으로 향해있는 홀과 일치하도록 고무 밴드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액체 용기 배출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체 용기 배출 구조는, 가정 또는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액체 용기의 배출 구조로서, 액체(기름)은 주로 용기를 기울여 부어서 사용할 때 공기를 유입시켜 맥동현상을 방지하여 기름을 흘리거나 분산되지 않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용기 배출 구조의 다른 특징은, 상부에 액체를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액체를 담아서 보관하는 몸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액체 용기 배출 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배출부가 주름부와 평면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액체 용기 배출 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주름부는, 주름이 있는 관(Pipe) 모양으로 상기 배출부의 단부에 연접되어 내측에 보관되며, 액체를 배출할 때는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액체 용기 배출 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평면부는, 주름부의 가운데 소정 폭으로 형성되어, 원주를 따라 다수 개의 홀을 형성된다.
본 발명의 액체 용기 배출 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홀은 용기의 형상에 따라 위치가 달라지며, 용기를 기울여 액체를 배출시킬 때 상 방향이 될 수 있는 위치 위주로 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액체 용기 배출 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평면부에는, 동일한 폭의 고무 밴드가 끼워진다.
본 발명의 액체 용기 배출 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고무 밴드에는, 상기 평면부의 홀과 같은 크기의 흡기공 하나만 형성되어, 평면부의 다수 개의 홀 중에서 상 방향으로 향해있는 홀과 일치하도록 고무 밴드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액체 용기 배출구조는 상부에 액체를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액체를 담아서 보관하는 몸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부는, 주름부와 평면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주름이 있는 관 모양의 주름부가 배출부의 단부에 연접되어 평소에는 내측에 보관되며, 액체를 배출할 때는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구조가 간단하며, 액체를 흘리거나 분산을 방지하여 자원낭비를 막고,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 배출구조의 평면부는, 주름부의 가운데 소정 폭으로 형성되어, 원주를 따라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용기를 기울여 액체를 배출시킬 때 상 방향이 될 수 있는 위치에 홀이 형성되어 용기를 기울여 액체를 배출할 때 외부로부터 공기가 인입되어 맥동현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 배출구조의 평면부에는, 상기 평면부의 홀과 같은 크기의 흡기공이 하나 있는 고무 밴드가 끼워진다. 따라서 평소에는 고무밴드에 의해 평면부의 홀이 모두 막혀 있다가, 사용자가 액체 용기를 기울여 액체를 배출 시키고자 할 때, 고무 밴드의 흡기공을 평면부의 다수 개의 홀 중에서 상 방향으로 향해있는 홀과 일치하도록 고무 밴드를 회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 배출 구조의 배출부를 전개한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 배출 구조의 배출부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 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 배출 구조의 배출부를 전개한 개략적인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 배출 구조의 배출부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가정 또는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액체 용기의 배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액체(기름)은 주로 용기를 기울여 부어서 사용하는데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량을 붓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공기의 유입으로 맥동현상이 일어나서 기름을 흘리거나 분산되면 위험할 수도 있고 청결성을 유지할 수 없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 배출구조는, 상부에 액체를 배출시키는 배출부(10)와, 액체를 담아서 보관하는 몸체부(11)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 배출구조의 상기 배출부(10)는, 주름부(101)와 평면부(102)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 배출구조의 상기 주름부(101)는, 주름이 있는 관(Pipe) 모양으로 상기 배출부(10)의 단부에 연접되어 내측에 보관되며, 액체를 배출할 때는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 배출구조의 상기 평면부(102)는, 주름부(101)의 가운데 소정 폭으로 형성되어, 원주를 따라 다수 개의 홀(102.1)을 형성한다. 이때 홀은 용기의 형상에 따라 홀의 위치가 달라 질 수 있다. 즉 용기를 기울여 액체를 배출시킬 때 상 방향이 될 수 있는 위치 위주로 홀(102.1)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다수 개의 홀(102.1)은 평소에는 고무밴드에 의해 모두 막혀 있다가, 용기를 기울여 액체를 배출할 때 고무밴드의 흡기공(201)과 평면부의 홀(102.1)을 일치시켜 외부로부터 공기가 인입되어 맥동현상을 방지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평면부(102)에는, 동일한 폭의 고무 밴드(20)가 끼워진다. 이때 끼워지는 고무 밴드(20)에는, 상기 평면부(102)의 홀(102.1)과 같은 크기의 흡기공(201) 하나만 형성되어, 사용자가 액체 용기를 기울여 액체를 배출 시키고자 할 때, 고무 밴드(20)의 흡기공(201)을 평면부의 다수 개의 홀(102.1) 중에서 상 방향으로 향해있는 홀(102.1)과 일치하도록 고무 밴드(20)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액체 용기 배출구조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액체 용기 배출구조는 상부에 액체를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액체를 담아서 보관하는 몸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부는, 주름부와 평면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주름이 있는 관 모양의 주름부가 배출부의 단부에 연접되어 평소에는 내측에 보관되며, 액체를 배출할 때는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구조가 간단하며, 액체를 흘리거나 분산을 방지하여 자원낭비를 막고,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평면부는, 주름부의 가운데 소정 폭으로 형성되어, 원주를 따라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용기를 기울여 액체를 배출시킬 때 상 방향이 될 수 있는 위치에 홀이 형성되어 용기를 기울여 액체를 배출할 때 외부로부터 공기가 인입되어 맥동현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평면부에는, 상기 평면부의 홀과 같은 크기의 흡기공이 하나 있는 고무 밴드가 끼워진다.
따라서 평소에는 고무밴드에 의해 평면부의 홀이 모두 막혀 있다가, 사용자가 액체 용기를 기울여 액체를 배출 시키고자 할 때, 고무 밴드의 흡기공을 평면부의 다수 개의 홀 중에서 상 방향으로 향해있는 홀과 일치하도록 고무 밴드를 회전할 수 있다.
1 : 액체 용기
10 : 배출부
101 : 주름부
102 : 평면부
102.1 : 홀
104 : 속뚜껑
11 : 몸체부
12 : 캡
20 : 고무 밴드
201 : 흡기공

Claims (5)

  1. 주름부(101)와 평면부(102)를 가지며, 상부에 액체를 배출시키는 배출부(10)와, 액체를 담아서 보관하는 몸체부(11)로 구성되는, 가정 또는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액체 용기의 배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주름부(101)는, 주름이 있는 관(Pipe) 모양으로 상기 배출부(10)의 단부에 연접되어 내측에 보관되며, 액체를 배출할 때는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름부(101)의 가운데 소정 폭으로 형성되는 상기 평면부(102)에는, 원주를 따라 다수 개의 홀(102.1)이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102)와 같은 폭의 고무 밴드(20)가 끼워지며,
    상기 고무 밴드(20)에는, 상기 평면부(102)의 홀(102.1)의 크기와 같은 흡기공(201) 하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배출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37788A 2018-03-31 2018-03-31 액체 용기 배출 구조 KR101957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788A KR101957271B1 (ko) 2018-03-31 2018-03-31 액체 용기 배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788A KR101957271B1 (ko) 2018-03-31 2018-03-31 액체 용기 배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271B1 true KR101957271B1 (ko) 2019-03-13

Family

ID=65762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788A KR101957271B1 (ko) 2018-03-31 2018-03-31 액체 용기 배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2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737Y1 (ko) * 2000-06-22 2001-01-15 이우춘 공기흡입부재가 구비된 액체용기의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737Y1 (ko) * 2000-06-22 2001-01-15 이우춘 공기흡입부재가 구비된 액체용기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49169A1 (en) Vented closure for container
US5472124A (en) Small engine fluid dispensing containers
US20090108006A1 (en) Beverage container lid having liquid cooling effect
US3279638A (en) Drip proof container
US5389253A (en) Funnels for use with large drums
KR101957271B1 (ko) 액체 용기 배출 구조
US20170251853A1 (en) Device for receiving condensation
US933881A (en) Oil-can.
US20010003953A1 (en) Variable volume container
US811801A (en) Oil-cup.
JP2007145352A (ja) キャップ
US4934548A (en) Liquid container
CN209209458U (zh) 一种盒体
JP2012101813A (ja) 内容液の液だれによる容器の汚れを抑えた注出キャップ
JP2004026230A (ja) 液体排出補助具及び容器
JP2000118552A (ja) 液体注ぎ容器
KR200179890Y1 (ko) 액체용기의 공기흡입구
JP2020026306A (ja) 注ぎ口付バケツ
KR200365965Y1 (ko) 액체용기 뚜껑
JP3019095U (ja) 排出機構付きシャンプー等容器
JP2018167840A (ja) スポイト付きキャップ、およびこれを備えたスポイト付き容器
CN215246396U (zh) 防倾倒泄漏的液体物料容器
KR200353830Y1 (ko) 액체 흡입이 용이한 용기구조
JP4801898B2 (ja) 排水容器
EP0027283B1 (en) Method for increasing the smooth pouring rate of liquid from a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