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908B1 -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 Google Patents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908B1
KR101956908B1 KR1020160165289A KR20160165289A KR101956908B1 KR 101956908 B1 KR101956908 B1 KR 101956908B1 KR 1020160165289 A KR1020160165289 A KR 1020160165289A KR 20160165289 A KR20160165289 A KR 20160165289A KR 101956908 B1 KR101956908 B1 KR 101956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buckle
pair
open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4874A (ko
Inventor
주기철
Original Assignee
주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철 filed Critical 주기철
Priority to KR1020160165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908B1/ko
Publication of KR20180064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1Belt sorting accessories, e.g. devices keeping the belts in comfortable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안전벨트가 고정되는 결착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전방으로 테이퍼진 걸림턱이 상하 대향 되도록 형성된 걸고리 수단과, 일측에 안전벨트가 고정되는 결착공이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걸림턱이 인출입되어 잠그거나 열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잠금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은,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와, 중앙에 이격 형성된 한 쌍의 고정핀홀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 쌍이 마주보며 대향되게 결합되는 케이싱; 일측에 두 번 절곡된 걸림부와, 타측에 내측으로 접힌 누름부와, 중앙에 형성된 장공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한 쌍이 마주보며 대향되게 배치되는 걸림편; 상기 각 고정핀홀 및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싱을 조립하는 고정핀; 'V' 형상을 이루면서 일단이 상기 각 고정핀에 탄성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각 누름부 측에 탄성지지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싱 각각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편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턱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A buckle of industrial safety belt}
본 발명은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현장에서 작업자들이 신체에 착용하는 안전벨트를 착탈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잠그거나 열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 강도가 우수한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안전벨트는 사용자가 착용한 후 안전로프에 연결하여 사용자에게 있을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예방코자 하는 것으로 상기 안전벨트의 단부에는 버클을 고정하여 안전벨트를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할 시 사용된다.
종래 안전벨트의 버클은 그 구조가 단순한 슬라이드식과 구조가 복잡한 버튼식으로 대분되며, 상기 슬라이드식 버클의 경우 벨트결착공과 탈착공이 형성된 본체에 개략 'ㄷ'자 형상의 조임구를 핀을 사용하여 결합하되, 본체나 조임구에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에 의하여 조임구가 본체 상에서 슬라이드되도록 하여 조임구에 형성된 이빨(=톱니)이나 칼날과 같은 조임부에 의해 벨트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하였으나, 상기한 슬라이드식 버클의 경우 가공 시 불량이 많고, 벨트의 밀림현상(=슬립현상)이 있어 높은 인장력이 발생할 시 안전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벨트의 착용 시 버클의 반대편 단부를 본체의 탈착공에 관통시킨 후 조임구의 관통공을 통과시키고 다시 본체의 탈착공으로 통과시켜야함으로 안전벨트의 탈착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탈착방식이 버튼의 원터치 누름방식으로 되어 있어 탈착이 용이하게 되는 버튼식 버클이 개발되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상승되고, 조립공정이 늘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이 아래 선행특허문헌 1인데, 도 1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1은 종래 안전벨트의 버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버클의 작동상태도를 나타낸다.
이것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1)에 관한 것으로서, 산업현장에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착용하는 안전벨트(4)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결착공(6)을 갖는 걸고리(2)와 잠금장치(3)로 이루어진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2)는 일측에 전측으로 경사진 걸림턱(5)을 상하 대향되게 형성하고, 상기 잠금장치(3)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좌우 케이싱(7)을 상하 고정핀(10)으로 조립하되, 상기 케이싱(7)의 일측으로 개구부(14)를 형성하고, 내측으로 스프링(9)에 탄지되며 동일한 형상을 마주보며 대향되게 배치한 걸림편(8)을 고정핀(10)이 관통되도록 내입 설치하며, 상기 걸림편(8)의 일측으로는 걸고리(2)의 걸림턱(5)이 걸림 지지되는 걸림부(11)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걸고리(2)를 해리하기 위한 수단인 버튼부(12)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걸림부(11)와 버튼부(12) 상간에는 고정핀(10)에서 걸림편(8)이 슬라이드 가능토록 장공(13)을 형성하며, 상기 스프링(9)의 일측은 케이싱(7)에 탄지되도록 하고, 타측은 걸림편(8)의 걸림부(11) 외측에 탄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걸고리(2)를 잠금장치(3) 내로 밀어 넣으면 체결이 이루어지고, 잠금장치(3)에 내설된 걸림편(8)의 상하 버튼부(12)를 엄지와 검지를 사용하여 가볍게 눌러주면 잠금장치(3)에서 걸고리(2)가 해리되는 것으로 버클(1)의 탈착이 간편하고, 상기 케이싱(7)과 걸림편(8)은 동일한 형상으로 각각 하나의 금형만을 필요로 함으로써, 금형 제작비를 줄이고 제작단가를 낮추며 가공이 용이하며, 또한, 상하 버튼부(12)를 동시에 누르지 않는 이상에는 걸고리(2)가 잠금장치(3)로부터 해리되지 않고, 벨트(4)에 인장력이 발생 시 벨트(4)의 밀림현상(=슬립현상)이 없어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종래 버클의 경우 체결이나 해제를 위해 버튼부를 누를 때 걸림편이 좌우로 요동하고 심지어 외부 충격시 코일형태 압축스프링이 이탈하여 고장나는 문제들이 있었다. 또 케이싱을 조립하는 고정핀의 인장강도, 전단강도가 약해서 파손되는 경우도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58446(2004.7.30)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38450(2008.2.11)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95662(2002.11.05)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체결이나 해제를 위해 걸림편 작동시 요동하지 않고 슬라이딩 되게 하는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외부 충격시 스프링이 이탈되지 않고 안정된 탄성 지지역할을 할 수 있는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도가 보강된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은, 일측에 안전벨트가 고정되는 결착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전방으로 테이퍼진 걸림턱이 상하 대향 되도록 형성된 걸고리 수단과, 일측에 안전벨트가 고정되는 결착공이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걸림턱이 인출입되어 잠그거나 열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잠금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은,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와, 중앙에 이격 형성된 한 쌍의 고정핀홀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 쌍이 마주보며 대향되게 결합되는 케이싱; 일측에 두 번 절곡된 걸림부와, 타측에 내측으로 접힌 누름부와, 중앙에 형성된 장공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한 쌍이 마주보며 대향되게 배치되는 걸림편; 상기 각 고정핀홀 및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싱을 조립하는 고정핀; 'V' 형상을 이루면서 일단이 상기 각 고정핀에 탄성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각 누름부 측에 탄성지지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싱 각각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편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턱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케이싱의 개구부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핀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핀홀에는 상기 걸림턱이 상기 개구부에 가이드 되면서 인입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케이싱이 더 견고하게 조립되게 하는 가이드핀이 관통,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고리 수단의 걸림턱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핀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케이싱 일측에는 결착공이 형성된 벨트연결부재가 연결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싱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턱에 의해 걸림편의 슬라이딩이 이동이 안정되어 버클의 탈착이 간편하다.
그리고 고정핀 외에 보강된 가이드핀과 연결핀에 의해 버클의 파손에 대한 저항강도가 우수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비틀림 코일스프링이 이탈하지 않기 때문에 고장의 위험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안전벨트의 버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버클의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안전벨트에 장착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걸고리 수단(100)과 잠금 수단(200)으로 구성되어, 띠 형상의 안전벨트 양단부에 각각 걸고리 수단과 잠금 수단을 고정하고 상기 걸고리 수단을 잠금 수단에 체결시켜 사용한다.
상기 걸고리 수단(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가 큰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두께를 가진 평판 형상의 부재 일측에 안전벨트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결착공(11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잠금 수단(200)에 인출입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면서 테이퍼진 걸림턱(1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턱(120)은 상하(or 좌우)로 대향 되도록 양측 모두 테이퍼진 형상을 가져, 대략 삼각형상을 이루며 단부는 둥글게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잠금 수단(200)은 상기 걸고리 수단(100)을 인입시켜 잠그거나, 눌러서 인출시킬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크게 케이싱(210), 걸림편(220), 고정핀(230), 비틀림 코일스프링(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케이싱(210)은 상기 걸림편(220), 고정핀(230), 비틀림 코일스프링(240) 등의 구성을 수용하는 하우징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서로 동일한 형상의 한 쌍이 마주보며 대향되게 결합되고 그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210)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턱(120)이 인출입되는 개구부(212)가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고정핀(230)이 관통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핀홀(214)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212)의 인입폭이 상기 걸고리 수단(100)의 두께 정도만 삽입되도록 상기 개구부(212) 양측에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편(2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210)의 내면에는 상기 걸림편(22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 쌍의 가이드턱(216)이 형성된다. 한 쌍의 상기 가이드턱(216)은 서로 이격되되, 상기 걸림편(220)의 너비가 수용될 정도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턱(216)은 별도의 부재가 상기 케이싱(210)의 내면에 결합될 수도 있지만, 케이싱 외면에서 일정 길이를 절개한 후 절개라인의 일측부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내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턱(216)의 어느 하나는 상기 케이싱(210)의 전방 상기 개구부(212)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케이싱(210)의 후방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걸림편(22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걸림편(220)은 대략 '┗┓'와 같은 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 절곡되어 'ㄴ'과 같은 형상을 이루는 걸림부(222)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내측으로 둥글게 접혀 'U'와 같은 형상을 이루는 누름부(224)가 형성된다. 또 상기 걸림편(220)의 중앙에는 긴 홀(hole) 형상의 장공(226)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편(220) 역시 동일한 형상으로 한 쌍이 구비되는데, 어느 하나를 뒤집은 후 각각의 누름부(224)가 상하로 대향되고, 각가의 걸림부(222)도 상하로 대향도록 상기 케이싱(210)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장공(226)은 상기 고정핀홀(214)과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걸림부(222)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양 걸림부(222) 사이로 상기 걸고리 수단(100)의 걸림턱(120)이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222)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홀(214)에 삽입된 고정핀(230)은 상기 장공(226)을 관통하기 때문에 상기 걸림편(220)은 이탈하지 않고 장공의 길이 범위 내에서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이는데, 상기 누름부(224)를 눌러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편(220)은 상기 가이드턱(216) 사이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될 때 상기 가이드턱(216)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딩되므로 실제 작동시 상기 걸림편(220)이 좌우로 요동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핀(230)은 상기 케이싱(210)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상기 고정핀홀(214)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장공(226)을 통과한 후 다른 한쪽의 케이싱(210)에 형성된 고정핀홀(214)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싱(210)을 서로 결합, 조립한다.
상기 고정핀(230)은 리벳일 수 있으며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케이싱(210)을 리벳결합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정핀(230)은 다른 형태의 체결 부재일 수 있다.
다음으로 비틀림 코일스프링(24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2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압축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비틀림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이다.
대략 'V'형 또는 삼각형상을 이루면서 꼭지점에 코일이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고정핀(230)에 탄성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누름부(224) 내측에 탄성지지되도록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240)은 상기 걸림편(220)의 상면에 배치되는데, 일단이 벤딩되어 상기 장공(226)을 관통한 고정핀(230)의 외주를 둘러싸면서 결합되고, 타단도 일부 벤딩되어 상기 누름부(224) 내측 접힌 부분에 안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240)이 벌어지려는 탄성에 의해 상기 걸림편(220)은 외측으로 최대한 밀려나 상기 케이싱(210)의 외부로 돌출되지만, 상기 장공(226)의 가장자리가 상기 고정핀(230)에 걸려 슬라이딩이 방지되어 케이싱 외부로 이탈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만일, 상기 누름부(224)를 누르면 상기 각 걸림편(220)은 상기 케이싱(210) 내부로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하는데, 이로 인해 상기 각 걸림부(222)는 서로 멀어지게 되어 상기 걸림부(222)에 걸려있던 상기 걸림턱(120)이 빠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240)도 역시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각 걸림편(220)에 마주보면서 결합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싱(210)에 추가적으로 가이드핀홀(218)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싱(210)의 개구부(212) 양측에 각각 한 쌍의 가이드핀홀(218)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핀홀(218)에는 상기 케이싱(210)을 조립하면서 동시에 상기 걸림턱(120)이 상기 개구부(212)에 가이드 되면서 인입되게 하는 가이드핀(250)이 상기 고정핀(230)처럼 관통되어 상기 케이싱(210)을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좀 더 설명하자면, 종래 한 쌍의 고정핀(230)만으로 케이싱(210)을 조립했을 때 외부 충격이나 오랜 기간 사용으로 인해 고정핀의 강도가 약해져 파손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와 같이 추가적인 가이드핀(250)으로 더 보강되어 본 발명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준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핀(250)은 상기 개구부(212) 양측에 원기둥과 같이 배치되어 상기 걸림턱(120)이 인입될 때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면서 인입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걸고리 수단(100)의 걸림턱(120) 양측에는 반원형의 안착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130)에는 상기 걸림턱(120)이 개구부(212)로 완전히 삽입된 후 상기 가이드핀(250)이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120)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된다.
또 상기 케이싱(210) 일측, 다시 말해 개구부(212)의 반대측에는 별도의 연결핀홀(264)이 더 형성되고 결착공(262)이 형성된 벨트연결부재(260)를 상기 연결핀(270)으로 결합한다.
상기 연결핀(270)도 상기 고정핀(230)의 강도를 보강해주는 역할을 하므로 케이싱(210)의 강도를 향상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상기 걸고리 수단(100)을 손으로 잡고 상기 걸림턱(120)을 상기 잠금 수단의 개구부(212)로 인입시켜 밀어 넣는다.
이때, 상기 걸림턱(120)은 테이퍼진 형상이므로 상기 가이드핀(250)에 의해 이탈하지 않고 가이드 되어 안정된 인입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마주보는 걸림편(220)의 각 걸림부(222)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된다.
연이어, 상기 걸림턱(120)의 테이퍼진 측면에 의해 상기 각 걸림부(222)가 외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편(220)이 상기 케이싱(210) 내측면에서 슬라이딩될 때 양측에 돌출된 상기 가이드턱(216)에 의해 안내되어 좌우로 요동하지 않고 안정되게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240)은 벌어진 상태에서 좁혀진 상태로 줄어든다.
한편, 사용자가 힘을 더 주게 되면 상기 걸림턱(120)은 상기 걸림부(222)를 완전히 지나고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24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222)는 원위치하면서 상기 걸림턱(120)이 후단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120)은 상기 걸림부(222)에 걸려서 상기 개구부(212)로 빠지지 않고 단단히 고정된다. 이때, 상기 안착홈(130)에 상기 가이드핀(250)이 안착되어 안정된 체결이 가능하다.
만일, 사용자가 버클을 해제하려 할 경우에는 상기 각 누름부(224)를 엄지와 검지로 누르면 상기 각 걸림부(222)는 외측으로 밀려나고 상기 걸림부(222)가 벌어져 걸림턱(120)이 인출될 공간이 확보된다. 이때 상기 걸고리 수단(100)을 잡고 상기 잠금 수단(200)으로부터 빼내면 간단하게 해제된다. 따라서, 버클의 착탈이 매우 용이하다.
여기서도, 상기 걸림편(220)의 슬라이딩시 상기 가이드턱(216)에 의해 안정된 이동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걸고리 수단 110 : 결착공
120 : 걸림턱 130 : 안착홈
200 : 잠금 수단
210 : 케이싱 212 : 개구부
213 : 절곡편 214 : 고정핀홀
216 : 가이드턱 218 : 가이드핀홀
220 : 걸림편 222 : 걸림부
224 : 누름부 226 : 장공
230 : 고정핀
240 : 비틀림 코일스프링
250 : 가이드핀
260 : 벨트연결부재 262 : 결착공
264 : 연결핀홀
270 : 연결핀

Claims (4)

  1. 일측에 안전벨트가 고정되는 결착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전방으로 테이퍼진 걸림턱이 상하 대향 되도록 형성된 걸고리 수단과, 일측에 안전벨트가 고정되는 결착공이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걸림턱이 인출입되어 잠그거나 열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잠금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은,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와, 중앙에 이격 형성된 한 쌍의 고정핀홀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 쌍이 마주보며 대향되게 결합되는 케이싱;
    일측에 두 번 절곡된 걸림부와, 타측에 내측으로 접힌 누름부와, 중앙에 형성된 장공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한 쌍이 마주보며 대향되게 배치되는 걸림편;
    상기 각 고정핀홀 및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싱을 조립하는 고정핀;
    'V' 형상을 이루고, 일단은 벤딩되어 상기 각 고정핀 외주를 둘러싸면서 결합되어 탄성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각 누름부 측에 탄성지지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싱 각각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편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한 쌍의 가이드턱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개구부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핀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핀홀에는 상기 걸림턱이 상기 개구부에 가이드 되면서 인입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케이싱이 더 견고하게 조립되게 하는 가이드핀이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 수단의 걸림턱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핀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일측에는 결착공이 형성된 벨트연결부재가 연결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KR1020160165289A 2016-12-06 2016-12-06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KR101956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289A KR101956908B1 (ko) 2016-12-06 2016-12-06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289A KR101956908B1 (ko) 2016-12-06 2016-12-06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874A KR20180064874A (ko) 2018-06-15
KR101956908B1 true KR101956908B1 (ko) 2019-03-11

Family

ID=62628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289A KR101956908B1 (ko) 2016-12-06 2016-12-06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9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7702B (zh) * 2020-04-17 2021-02-26 广州思航科技信息有限公司 一种高空作业的安全母索固定座
CN113679982B (zh) * 2021-09-29 2022-06-14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登杆保护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0Y1 (ko) 1997-10-17 2000-12-01 박해제 고소작업용 안전밸트구조
KR200358446Y1 (ko) * 2004-05-27 2004-08-09 주재황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KR200363556Y1 (ko) 2004-06-23 2004-10-06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276Y2 (ja) * 1988-02-24 1995-05-24 藤井電工株式会社 連結具
KR200295662Y1 (ko) 2002-09-04 2002-11-21 엄홍섭 버클
KR200438450Y1 (ko) 2006-11-06 2008-02-19 대하산업주식회사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0Y1 (ko) 1997-10-17 2000-12-01 박해제 고소작업용 안전밸트구조
KR200358446Y1 (ko) * 2004-05-27 2004-08-09 주재황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KR200363556Y1 (ko) 2004-06-23 2004-10-06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874A (ko) 2018-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4407B2 (en) Quick release buckle with dual release
US8869354B2 (en) Ratchet buckle for helmets
EP2641498B1 (en) Buckle
EP1466537B1 (en) Buckle
US7343651B2 (en) Buckle
KR20010087112A (ko) 높은 안전성의 버클 조립체
KR101956908B1 (ko)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TWI524856B (zh) Link with
US20130036574A1 (en) Adjustable link for use with elastomeric straps
US10588383B2 (en) Buckle
US8366089B2 (en) Lock mechanism for bar clamp
CN112515298A (zh) 绳止动工具
KR101235098B1 (ko) 벨트 락킹텅 및 이를 구비한 시트벨트
CN112105827B (zh) 可通过穿刺连接的姊妹钩
AU2015268711B2 (en) Buckle arrangement
EP1556251A4 (en) SEAT BELT WITH CHILD-SAFE BUCKLE
KR200438450Y1 (ko)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AU2002244137B2 (en) Seatbelt with child resistant buckle
KR200476926Y1 (ko) 착탈식 버클
JP5872915B2 (ja) ランヤード保持具
JP2017001132A (ja) 携帯物落下防止具
TWI730324B (zh) 插扣用的插銷以及插扣
JP7108441B2 (ja) 吊架線保護カバー
JP5355806B1 (ja) 紐係止具
CN115552134A (zh) 紧固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