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762B1 -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 - Google Patents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762B1
KR101956762B1 KR1020180132438A KR20180132438A KR101956762B1 KR 101956762 B1 KR101956762 B1 KR 101956762B1 KR 1020180132438 A KR1020180132438 A KR 1020180132438A KR 20180132438 A KR20180132438 A KR 20180132438A KR 101956762 B1 KR101956762 B1 KR 101956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machine room
unit
storage unit
distribu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삼
Original Assignee
(유)전일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전일기술단 filed Critical (유)전일기술단
Priority to KR1020180132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실 및 수납부가 구획되고, 상기 수납부 일측으로부터 상기 기계실로 연결되는 통로가 구비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상기 수납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수 개의 케이블이 안착되는 선반부재; 상기 선반부재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기계실에 설치되는 승강구동부;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에 이물질 또는 우수가 설정치를 초과하여 누적되는 경우에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에 누적되는 이물질 및 우수를 배출구 측으로 가압하여 제거하는 제거부; 및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상기 선반부재를 상승시킬 때에 상기 제거부를 구동시켜 이물질 또는 우수를 제거토록 하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 {INSULATION CONNECTING DEVICE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에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이물질 또는 우수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물질 또는 우수에 의한 누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이물질 또는 우수가 감지되면 별도의 수작업 없이 이물질 또는 우수를 콘크리트 구조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가공배전선지중화는 간선 도로변의 전주를 뒷골목에 이설, 저압케이블을 사용 주상변압기로부터 인근 수용가를 공급함으로써 시작되었으며, 지속적으로 확장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우수 또는 오수가 유입되어 차오르는 경우 미연에 감지하여 제대로 방출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지중배전선로에 우수 또는 오수가 접촉되면서 합선 및 누전 등의 전기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한다.
또한, 지중배전선로는 겨울철이나 장마철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습기가 차면서 내부 구리선이 합선이나 단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05061호(2015.03.25.)에는 '지중배전선로 절연성 연결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중배전선로 절연성 연결대장치는 좌,우측 통로의 표면에 적체되는 오물을 쉽게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적체되는 오물에 의해 좌,우측 통로가 좁아지면서 오물이나 오수가 제1,2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결대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연결대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내설되어 상부에 배치되는 회동축, 회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맞물려 고정되는 상부 연결부, 상부 연결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지중배전선로를 지지하는 받침판을 구비한 선반과, 선반의 받침판의 하부면에 하우징, 하우징의 하부면에 'X'자 형태로 결합된 링크, 링크의 하단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에 형성된 지지판, 하우징의 하부면에 연결된 수직으로 결합된 피스톤로드, 피스톤로드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피스톤로드가 상하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고 피스톤로드의 하부끝단에 결합된 피스톤을 내부에 구비한 메인실린더, 피스톤로드의 상부 끝단에 상부링크와 상부링크의 반대측 메인실린더의 하부 끝단에 하부링크와 유압펌프가 형성된 유압실린더를 구비하여 선반을 승강과 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01667호(2018년 09월 27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연결대장치는, 선반을 승강시키기 위한 기술구성이 복잡하고, 승강작동의 구현이 쉽기 않기 때문에 연결대장치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점감하기 어렵고,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누적되는 이물질 또는 우수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지중에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이물질 또는 우수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물질 또는 우수에 의한 누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이물질 또는 우수가 감지되면 별도의 수작업 없이 이물질 또는 우수를 콘크리트 구조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기계실 및 수납부가 구획되고, 상기 수납부 일측으로부터 상기 기계실로 연결되는 통로가 구비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상기 수납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수 개의 케이블이 안착되는 선반부재; 상기 선반부재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기계실에 설치되는 승강구동부;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에 이물질 또는 우수가 설정치를 초과하여 누적되는 경우에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에 누적되는 이물질 및 우수를 배출구 측으로 가압하여 제거하는 제거부; 및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상기 선반부재를 상승시킬 때에 상기 제거부를 구동시켜 이물질 또는 우수를 제거토록 하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선반부재는, 상기 수납부의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직립되게 배치되는 중앙축부재; 상기 중앙축부재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패널; 및 상기 중앙축부재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수납부의 지면에 안착되는 균형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중앙축부재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기계실로 연장되는 와이어부재; 상기 와이어부재가 권취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에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드럼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서 상기 선반부재를 승강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거부는, 상기 승강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에 의해 전달되는 압력이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수납부 바닥면까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관에 압력이 충진되면 상기 수납부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주름관; 및 상기 제1주름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이물질 또는 우수를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거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누적되는 이물질 또는 우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거부가 구비되고, 제거부의 작동와 동시에 배전선이 안착되는 선반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제거부와 선반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동부가 구비되므로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이물질 또는 우수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고, 이물질 또는 우수 제거 작동 중에 선반이 유동되거나 파손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의 연결관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의 제거작동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의 복귀작동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의 연결관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의 제거작동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의 복귀작동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는, 기계실(12) 및 수납부(14)가 구획되고, 상기 수납부(14) 일측으로부터 상기 기계실(12)로 연결되는 통로(16)가 구비되는 콘크리트 구조물(10)과, 수납부(14)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수 개의 케이블이 안착되는 선반부재(30)와, 선반부재(30)를 승강시키도록 기계실(12)에 설치되는 승강구동부(50)와, 수납부(14)의 바닥면에 이물질 또는 우수가 설정치를 초과하여 누적되는 경우에 수납부(14)의 바닥면에 누적되는 이물질 및 우수를 배출구(91) 측으로 가압하여 제거하는 제거부(70)와, 승강구동부(50)에 의해 선반부재(30)를 상승시킬 때에 제거부(70)를 구동시켜 이물질 또는 우수를 제거토록 하는 연동부(80)를 포함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수납부(14) 바닥면에 이물질 또는 우수가 설정치를 초과하여 누적되면 수납부(14) 바닥면에 구비되는 센서로부터 청소신호가 송신되고, 승강구동부(50)에 전원이 인가되어 선반부재(30)가 상승되면서 이물질 또는 우수가 배전선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승강구동부(50)의 작동에 의해 선반부재(30)가 상승되면 연동부(80)의 작동에 의해 제거부(70)가 동시에 구동되면서 수납부(14) 바닥면에 누적되는 이물질 또는 우수를 배출구(91) 측으로 가압하면서 수납부(14) 외측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선반부재(30)는, 수납부(14)의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직립되게 배치되는 중앙축부재(32)와, 중앙축부재(32)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패널(36)과, 중앙축부재(32)의 하단에 구비되고, 수납부(14)의 지면에 안착되는 균형유지부(34)를 포함한다.
중앙축부재(32)의 하단에는 삼발이 모양의 균형유지부(34)가 구비되므로 승강구동부(50)의 작동에 의해 선반부재(30)를 승강시킬 때에 선반부재(30)가 기울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수납부(14) 내벽에 선반부재(30)를 지지하면서 수납부(14) 내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되어 선반부재(30)가 안전하게 승강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승강구동부(50)는, 중앙축부재(32)의 상단에 연결되어 기계실(12)로 연장되는 와이어부재(56)와, 와이어부재(56)가 권취되는 드럼(54)과, 드럼(54)에 동력을 제공하여 드럼(54)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서 선반부재(30)를 승강시키는 모터(5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드럼(54)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드럼(54)의 일단부로부터 권취되는 와이어부재(56)는 드럼(54)에 다수 차례 권취된 후에 드럼(54)의 타단부로 배출되어 연동부(80)에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52)의 구동에 의해 드럼(54)이 일측으로 회전되면 드럼(54)으로부터 풀리는 와이어부재(56)가 수납부(14) 측으로 풀리면서 선반부재(30)를 하강시키게 되고, 이때, 드럼(54)의 타측으로부터 드럼(54)에 권취되는 와이어부재(56)에 의해 통로(16)에 구비되는 연동부(80)가 상측으로 상승하는 연동작동을 행하게 된다.
반대로 드럼(54)이 타측으로 회전되면 선반부재(30)가 상승되면서 연동부(80) 측으로 하중이 가해지므로 연동부(80)의 작동에 의해 제거부(70)가 구동되면서 수납부(14)에 누적되는 이물질 또는 우수를 배출구(91) 측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거부(70)는, 승강구동부(50)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에 의해 전달되는 압력이 통로(16)를 통해 수납부(14) 바닥면까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연결관(76)과, 연결관(76)에 설치되고, 연결관(76)에 압력이 충진되면 수납부(14)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주름관(72)과, 제1주름관(72)의 단부에 설치되고, 수납부(14)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이물질 또는 우수를 배출구(91)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거패널(74)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연동부(80)는, 드럼(54)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부재(56)에 연결되고, 통로(16)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중량물(82)과, 연결관(76)의 상단으로부터 통로(16)를 따라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고, 중량물(82)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주름관(84)을 포함한다.
따라서 모터(52)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드럼(54)이 타측으로 회전되면 와이어부재(56)가 통로(16) 측으로 풀리면서 중량물(82)이 하강하게 되고, 이때, 중량물(82)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주름관(84)은 하측으로 압축되면서 연결관(76) 및 제1주름관(72)에 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관(76)으로부터 제1주름관(72)이 수납부(14)의 바닥면을 따라 배출구(91) 측으로 팽창되면서 수납부(14) 바닥면에 누적되는 이물질 및 우수를 배출구(91) 측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드럼(54)으로부터 통로(16) 측으로 풀리는 와이어부재(56)는 수납부(14)로부터 기계실(12) 측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중앙축부재(32)에 설치되는 안착패널(36) 및 케이블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수납부(14)의 바닥면을 따라 팽창되는 제1주름과 및 제거패널(74)이 선반부재(3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배출구(91) 외측에 이물질 또는 우수가 수납되는 케이스(96)가 설치되고, 케이스(96)의 하단에는 수납부(14)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 또는 우수를 케이스(96) 내부로 모으는 제1배풍팬(92)이 설치되고, 케이스(96) 상단에는 케이스(96)에 충진되는 이물질을 케이스(96)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배풍팬(94)이 설치된다.
따라서 수납부(14)의 제거작동을 행할 때에는 제1배풍팬(92) 및 제2배풍팬(94)이 콘크리트 구조물(10) 및 케이스(96) 외부로 바람을 배출시키면서 이물질 또는 우수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배출작업이 장기간 지속되면 케이스(96) 상부에 설치되는 필터부재(99)가 막히거나 설정치 이상으로 이물질이 누적될 수 있게 되는데, 본 실시예는, 제1배풍팬(92)과 제2배풍팬(94)을 모두 케이스(96) 내측 방향으로 바람을 공급하도록 구동시키고, 케이스(96)에 설치되는 도어부재(98)를 개방하면 케이스(96) 내부에 누적되는 이물질 및 우수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지중에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이물질 또는 우수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물질 또는 우수에 의한 누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이물질 또는 우수가 감지되면 별도의 수작업 없이 이물질 또는 우수를 콘크리트 구조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연결대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콘크리트 구조물 12 : 기계실
14 : 수납부 16 : 통로
30 : 선반부재 32 : 중앙축부재
34 : 균형유지부 36 : 안착패널
50 : 승강구동부 52 : 모터
54 : 드럼 56 : 와이어부재
70 : 제거부 72 : 제1주름관
74 : 제거패널 76 : 연결관
80 : 연동부 82 : 중량물
84 : 제2주름관 90 : 이물질제거부
91 : 배출구 92 : 제1배풍팬
94 : 제2배풍팬 96 : 수납케이스
98 : 도어부재 99 : 필터부재

Claims (4)

  1. 기계실 및 수납부가 구획되고, 상기 수납부 일측으로부터 상기 기계실로 연결되는 통로가 구비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상기 수납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수 개의 케이블이 안착되는 선반부재;
    상기 선반부재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기계실에 설치되는 승강구동부;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에 이물질 또는 우수가 설정치를 초과하여 누적되는 경우에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에 누적되는 이물질 및 우수를 배출구 측으로 가압하여 제거하는 제거부; 및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상기 선반부재를 상승시킬 때에 상기 제거부를 구동시켜 이물질 또는 우수를 제거토록 하는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부재는,
    상기 수납부의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직립되게 배치되는 중앙축부재;
    상기 중앙축부재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패널; 및
    상기 중앙축부재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수납부의 지면에 안착되는 균형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중앙축부재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기계실로 연장되는 와이어부재;
    상기 와이어부재가 권취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에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드럼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서 상기 선반부재를 승강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거부는,
    상기 승강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에 의해 전달되는 압력이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수납부 바닥면까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관에 압력이 충진되면 상기 수납부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주름관; 및
    상기 제1주름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이물질 또는 우수를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거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132438A 2018-10-31 2018-10-31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 KR101956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438A KR101956762B1 (ko) 2018-10-31 2018-10-31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438A KR101956762B1 (ko) 2018-10-31 2018-10-31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762B1 true KR101956762B1 (ko) 2019-03-11

Family

ID=65758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438A KR101956762B1 (ko) 2018-10-31 2018-10-31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7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827B1 (ko) * 2019-12-04 2020-08-06 (주)금강엔지니어링 습기제거장치가 구비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감지시스템
KR102153715B1 (ko) * 2020-04-17 2020-09-09 주식회사 안성감리 안전성이 향상된 지중배전선 배치 트레이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768B1 (ko) * 2014-04-11 2014-08-13 (주)부영이엔지 지중배전선 접속전용 커넥터
KR101811598B1 (ko) * 2016-11-15 2017-12-26 주식회사 기람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768B1 (ko) * 2014-04-11 2014-08-13 (주)부영이엔지 지중배전선 접속전용 커넥터
KR101811598B1 (ko) * 2016-11-15 2017-12-26 주식회사 기람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827B1 (ko) * 2019-12-04 2020-08-06 (주)금강엔지니어링 습기제거장치가 구비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감지시스템
KR102153715B1 (ko) * 2020-04-17 2020-09-09 주식회사 안성감리 안전성이 향상된 지중배전선 배치 트레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762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
US6254350B1 (en) Automatic sub-floor pumping system
US11220406B2 (en) Bin sweep with weight-sensitive link
KR101505061B1 (ko) 지중배전선로 절연성 연결대 장치
JP4290127B2 (ja) 雨水浸入防水板
US5642967A (en) Crawl space moisture control method
KR100952069B1 (ko) 맨홀 보수공사용 원형절단기
US20170233230A1 (en) Precast concrete pit
CN101155529B (zh) 升降式存放装置
US11142430B2 (en) Attic lift system
KR102299388B1 (ko)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
CA2894360C (en) Under car power unit
KR101018534B1 (ko) 수동식 맨홀 프레임 인상장치
US20070220846A1 (en) Enclosed portable work station
CN108454736A (zh) 一种自行车停车装置
KR101884288B1 (ko) 지중배전선로의 맨홀 배수와 환풍 시스템
KR102508185B1 (ko) 변압기에 연결 설치되는 지중배전선로 관로의 환풍 시스템
US9884656B2 (en) Mud flap lifter
JP3021404B2 (ja) 舞台装置
CN208069876U (zh) 一种自行车停车装置
JP4048984B2 (ja) 地下設置型制御盤の設置装置
CN106427923A (zh) 整体式洗车房
KR102255696B1 (ko)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JPH03156035A (ja) マンホール管理システム並びにこれに用いるマンホール蓋構造
US5363922A (en)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ing a submerged water pump in an artesian w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