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598B1 -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장치 - Google Patents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598B1
KR101811598B1 KR1020160151972A KR20160151972A KR101811598B1 KR 101811598 B1 KR101811598 B1 KR 101811598B1 KR 1020160151972 A KR1020160151972 A KR 1020160151972A KR 20160151972 A KR20160151972 A KR 20160151972A KR 101811598 B1 KR101811598 B1 KR 101811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inlet
frame
underground distribution
concret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람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람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람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151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5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오물이나 누수로 인한 지중배전선로의 수명 단축 및 전기 안전 사고가 미연에 방지되고 지진이나 진동 등의 외부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진이나 진동의 외부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충격을 흡수하거나 완화하여 선반이 벽체로부터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오수 및 우수가 내부로 유입되거나 지하 내부의 열기로 습기가 발생하는 경우를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여 지중배전선로의 전기 안전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장치{Insulating Frame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와 소방 기술 분야 중 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오물이나 누수로 인한 지중배전선로의 수명 단축 및 전기 안전 사고가 미연에 방지되고 지진이나 진동 등의 외부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가공배전선지중화는 간선 도로변의 전주를 뒷골목에 이설, 저압케이블을 사용 주상변압기로부터 인근 수용가에 공급함으로써 시작되었으며, 지속적으로 확장되는 추세이다.
지중배전선로 공사 방식은 크게 직매식과, 관로식, 전력구식 및 교량 첨가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 전력구식은 암거식 또는 동도식이라고도 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지중에 가로, 세로 각각 2미터 정도의 콘크리트 구조물(H)을 관처럼 이어붙여서 만들어진 콘크리트 구조물(H) 내부의 좌우 양측벽에 밀착시켜 바닥면과 수직하게 선반(10)이 고정 배치되는데, 선반(10)을 포함해 연결대라고 한다. 그리고 선반(10)에 지중배전선로(C)들이 설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전력구식 공사에서는 단순히 선반(10)이 콘크리트 구조물(H)의 내측에서 그 양측벽에 층을 이루면서 고정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H)에 누수가 발생하면 양측벽에 설치된 선반(10)을 따라 수분이 이동하여 지중배전선로(C)를 적시게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상황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산화가 촉진되어 지중배전선로(C)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지중배전선로(C)가 젖으면 지하의 밀폐된 공간에 설치된 그 특성상 쉽게 마르지 않는 문제도 있었다.
이렇게 산화된 지중배전선로(C)의 산화된 부위를 통해 전류가 흐르는 도선이 노출되는 가능성이 커지므로 정전 또는 감전사고 등의 전기사고의 발생률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지중배전선로는 내부에 우수 또는 오수가 유입되거나 지하 내부의 열기로 습기가 발생하는 경우 미연에 감지하여 제대로 방출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지중배전선로에 우수 또는 오수가 접촉되면서 합선 및 누전 등의 전기 안전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며 겨울철과 같이 지면이 쉽게 냉각되는 경우 지중배전선로의 내부 구리선과 외면의 피복선이 급속도로 냉각되면서 수축되어 과도한 연장이 발생되고 이러한 과도한 연장에 의해 상호 연결된 이음부분이 쉽게 단락되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종래에는 선반(10)이 콘크리트 구조물(H)의 양측벽에 단단하게 고정되므로 지진이나 진동이 발생하면 선반(10)이 벽체로부터 분리될 뿐만 아니라 휘거나 절단되는 등 기타 선반(10)이 파손이 야기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48258호(공고일: 2007년 8월 9일), 발명의 명칭: "트로이관을 이용한 고압 케이블 지중선 관로 시공방법"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오물이나 누수로 인한 지중배전선로의 수명 단축 및 전기 안전 사고가 미연에 방지되고 지진이나 진동 등의 외부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장치(100)는 콘크리트 구조물(102)에 내설되어 상부에 배치되는 회동축(112)과, 상기 회동축(112)에 회전 가능하게 맞물려 고정되는 상부 연결부(114)와, 상기 상부 연결부(114)의 하부에 연결되어 지중배전선로(118)를 지지하는 복수의 받침판(116)을 구비한 선반(110); 상기 받침판(116)과 상기 지중배전선로(118)를 둘러싸서 내부에 내설하는 프레임(115); 상기 프레임(115)의 좌측프레임(115a)의 일면에 결합된 제1 충격흡수장치(120); 상기 프레임(115)의 우측프레임(115b)의 일면에 결합된 제2 충격흡수장치(140); 상기 제1, 2 충격흡수장치(120, 140)는 수직으로 세워진 기둥 형태의 제1, 2 기둥부(120a, 140a)와, 상기 제1, 2 기둥부(120a, 140a)의 전면에 제1, 2 래크기어부(121, 141)를 형성하고, 상기 제1, 2 래크기어부(121, 141)에 맞물려 결합되는 제1, 2 상부피니언기어(123, 143)와, 제1, 2 하부피니언기어(124, 144)와, 상기 제1, 2 상부피니언기어(123, 143)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2 상부모터(123a, 143a)와 상기 제1, 2 하부피니언기어(124, 14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2 하부모터(124a, 144a)와, 상기 제1, 2 상부피니언기어(123, 143), 상기 제1, 2 상부모터(123a, 143a), 상기 제1, 2 하부피니언기어(124, 144), 상기 제1, 2 하부모터(124a, 144a)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는 제1, 2 이동하우징(122, 14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하우징(122)의 중앙부 일측과 상기 좌측프레임(115a)의 중앙부 일측에 제1 중간흡수부재(130)가 결합하고, 상기 제2 이동하우징(142)의 중앙부 일측과 상기 우측프레임(115b)의 중앙부 일측에 제2 중간흡수부재(150)가 결합하고, 상기 제1, 2 중간흡수부재(130, 150)는 제1, 2 주름부재(131, 151)와, 상기 제1, 2 주름부재(131, 151)의 내부에서 상기 제1, 2 이동하우징(122, 142)의 중앙 일면에 형성된 제1 고정대(132, 142)와, 좌측프레임(115a), 우측프레임(115b)의 중앙 일면에 형성된 제2 고정대(133, 143)와, 상기 제1 고정대(132, 142)와 상기 제2 고정대(133, 143)의 사이에 제1, 2 스프링(134, 154)이 결합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내부에는 일측 측면부에 형성되는 배출장치(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장치(20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내부 천장면에 공기배출구(230)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230)의 하부에 측면격벽(200a)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격벽(200a)의 하부에 송풍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부(210)는 제1 공기유입구(215)와, 상기 제1 공기유입구(215)의 상부에 형성된 제2 공기유입구(213)와, 상기 제2 공기유입구(213)의 상부에 형성된 제3 공기유입구(211)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공기유입구(215)의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제1 송풍장치(218)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공기유입구(213)의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제2 송풍장치(217)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공기유입구(213)의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제3 송풍장치(216)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장치(200)의 내부에 외부의 공기의 유입과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내부 직경이 좁아졌다 넓어졌다 다시 좁아지는 형태를 반복하는 우측관로(221)와 좌측관로(222)를 형성하는 공기이동로(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누수가 발생해도 지중배전선로를 바닥면에서 상승시켜 합선 및 누전 등의 전기 안전 사고를 예방하여 지중배전선로의 수명 단축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진이나 진동의 외부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충격을 흡수하거나 완화하여 선반이 벽체로부터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오수 및 우수가 내부로 유입되거나 지하 내부의 열기로 습기가 발생하는 경우를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여 지중배전선로의 전기 안전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오수가 유입되어 습기가 발생하는 경우, 습한 공기를 배출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지중배전선로의 온도 변화에 따른 단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장치에서 선반과 공기통과부재의 이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재와 중간흡수부재의 확대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의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우수 또는 오수가 유입되거나 지하 내부의 열기로 습기가 발생하는 경우를 미연에 감지하여 제대로 습기를 방출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지중배전선로에 우수 또는 오수가 접촉되면서 합선 및 누전 등의 전기 안전 사고가 빈번히 발생한다.
지중배전선로는 겨울철이나 장마철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습기가 차서 내부 구리선이 합선이나 단락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종래에는 선반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측벽에 단단하게 고정되므로 지진이나 진동이 발생하면 선반이 벽체로부터 분리될 뿐만 아니라 휘거나 절단되는 등 기타 선반이 파손이 야기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우수 또는 오수가 차오르는 경우, 지중배전선로가 거치된 선반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합선 및 누전을 예방하고 주기적으로 내부 공간부에 존재하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지중배전선로의 전기 안전 사고를 방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장치에서 선반과 공기통과부재의 이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재와 중간흡수부재의 확대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장치(100)는 콘크리트 구조물(102)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내부에 지중배전선로(118)가 거치된 선반(110)과, 선반(11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충격을 흡수하는 제1 충격흡수장치(120), 제2 충격흡수장치(140)와,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내부 공간부의 습한 공기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장치(200)를 포함한다.
콘크리트 구조물(102)은 일정한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고,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118)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사각 관체 형상을 이루어 다수개가 일렬로 연결되어 지중에 매설된다.
회동축(112)은 둘레부가 원 형상의 봉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102)에 내설되며 상부 중앙에 고정체를 매개로 고정되어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선반(110)은 전기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해 절연 처리되며 회동축(112)에 고정되는 상부 연결부(114)와 상부 연결부(114)로부터 하부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바(116a)와 수직바(116a)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지중배전선로(118)가 거치되는 받침판(116)가 복수개 형성된다.
단면이 정사각형 형태의 프레임(115)의 내부에는 받침판(116)과 지중배전선로(118)를 둘러싸서 내설한다.
프레임(115)은 좌측프레임(115a)과 우측프레임(115b)으로 이루어져 있고, 좌측프레임(115a)의 일면에 제1 충격흡수장치(120)이 결합되며, 우측프레임(115b)의 일면에 제2 충격흡수장치(140)이 결합된다.
프레임(115)의 하부면에는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받침대(105)와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받침대(105)를 지지하며 는 제1 수직기둥(103)과 제2 수직기둥(104)이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1 충격흡수장치(120)는 수직으로 세워진 기둥 형태의 제1 기둥부(120a)와, 상기 제1 기둥부(120a)의 전면에 제1 래크기어부(121)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래크기어부(121)에 맞물려 결합되는 제1 상부피니언기어(123)와, 제1 하부피니언기어(124)와, 상기 제1 상부피니언기어(123)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상부모터(123a)와 상기 제1 하부피니언기어(12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하부모터(124a)와, 상기 제1 상부피니언기어(123), 상기 제1 상부모터(123a), 상기 제1 하부피니언기어(124), 상기 제1 하부모터(124a)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는 제1 이동하우징(122)을 포함한다.
제1 충격흡수장치(120)는 제1 이동하우징(122)의 상부 일측과 상기 좌측프레임(115a)의 상부 일측에 제1 상부슬라이드부재(125)가 결합되고, 제1 이동하우징(122)의 하부 일측과 상기 좌측프레임(115a)의 하부 일측에 제1 하부슬라이드부재(128)가 결합되며, 제1 이동하우징(122)의 중앙부 일측과 상기 좌측프레임(115a)의 중앙부 일측에 제1 중간흡수부재(130)가 결합된다.
제1 상부슬라이드부재(125)는 제1 이동하우징(122)의 상단 일측에 제1 상부결합부재(126)와 좌측프레임(115a)의 상단 일측에 제1 상부슬라이드(125a)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1 상부결합부재(126)의 내부에 제1 상부충격흡수물질(127)이 충진되어 있다.
제1 상부슬라이드(125a)는 상기 제1 상부결합부재(126)보다 직경이 작아서 제1 상부결합부재(126)의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제1 상부충격흡수물질(127)이 충격을 더욱 흡수하게 된다.
제1 하부슬라이드부재(128)는 제1 이동하우징(122)의 하단 일측에 제1 하부결합부재(129)와 좌측프레임(115a)의 하단 일측에 제1 하부슬라이드(128a)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1 하부결합부재(129)의 내부에 제1 하부충격흡수물질(129a)이 충진되어 있다.
제1 하부슬라이드(125a)는 상기 제1 하부결합부재(129)보다 직경이 작아서 제1 하부결합부재(129)의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제1 하부충격흡수물질(129a)이 충격을 더욱 흡수하게 된다.
제1 상부충격흡수물질(127)와 제1 하부충격흡수물질(129a)은 충격 흡수 능력이 뛰어난 다공성 발포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중간흡수부재(130)는 제1 이동하우징(122)의 중앙부 일측과 좌측프레임(115a)의 중앙부 일측에 형성된 제1 주름부재(131)와, 상기 제1 주름부재(131)의 내부에서 제1 이동하우징(122)의 중앙 일면에 형성된 제1 고정대(132)와, 좌측프레임(115a)의 중앙 일면에 형성된 제2 고정대(133)와, 상기 제1 고정대(132)와 상기 제2 고정대(133)의 사이에 제1 스프링(134)이 결합된다.
제2 충격흡수장치(140)는 수직으로 세워진 기둥 형태의 제2 기둥부(140a)와, 상기 제2 기둥부(140a)의 전면에 제2 래크기어부(141)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래크기어부(141)에 맞물려 결합되는 제2 상부피니언기어(143)와, 제2 하부피니언기어(144)와, 상기 제2 상부피니언기어(143)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상부모터(143a)와 상기 제2 하부피니언기어(14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하부모터(144a)와, 상기 제2 상부피니언기어(143), 상기 제2 상부모터(143a), 상기 제2 하부피니언기어(144), 상기 제2 하부모터(144a)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는 제2 이동하우징(142)을 포함한다.
제2 충격흡수장치(140)는 제2 이동하우징(142)의 상부 일측과 상기 우측프레임(115b)의 상부 일측에 제2 상부슬라이드부재(145)가 결합되고, 제2 이동하우징(142)의 하부 일측과 상기 우측프레임(115b)의 하부 일측에 제2 하부슬라이드부재(148)가 결합되며, 제2 이동하우징(142)의 중앙부 일측과 상기 우측프레임(115b)의 중앙부 일측에 제2 흡수부재(150)가 결합된다.
제2 상부슬라이드부재(145)는 제2 이동하우징(142)의 상단 일측에 제2 상부결합부재(146)와 우측프레임(115b)의 상단 일측에 제2 상부슬라이드(145a)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2 상부결합부재(146)의 내부에 제2 상부충격흡수물질(147)이 충진되어 있다.
제2 상부슬라이드(145a)는 상기 제2 상부결합부재(146)보다 직경이 작아서 제2 상부결합부재(146)의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제2 상부충격흡수물질(147)이 충격을 더욱 흡수하게 된다.
제2 하부슬라이드부재(148)는 제2 이동하우징(142)의 하단 일측에 제2 하부결합부재(149)와 우측프레임(115b)의 하단 일측에 제2 하부슬라이드(148a)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2 하부결합부재(149)의 내부에 제2 하부충격흡수물질(149a)이 충진되어 있다.
제2 하부슬라이드(148a)는 상기 제2 하부결합부재(149)보다 직경이 작아서 제2 하부결합부재(149)의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제2 하부충격흡수물질(149a)이 충격을 더욱 흡수하게 된다.
제2 상부충격흡수물질(147)와 제2 하부충격흡수물질(149a)은 충격 흡수 능력이 뛰어난 다공성 발포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중간흡수부재(150)는 제2 이동하우징(142)의 중앙부 일측과 우측프레임(115b)의 중앙부 일측에 형성된 제2 주름부재(151)와, 상기 제2 주름부재(151)의 내부에서 제2 이동하우징(142)의 중앙 일면에 형성된 제1 고정대(152)와, 우측프레임(115b)의 중앙 일면에 형성된 제2 고정대(153)와, 상기 제1 고정대(152)와 상기 제2 고정대(153)의 사이에 제2 스프링(154)이 결합된다.
제1 충격흡수장치(120)과 제2 충격흡수장치(140)은 지중배전선로(118)가 거치된 선반(110)과 프레임(115)이 지진이나 진동 등이 발생하여 외부 충격으로 힘이 가해지면, 프레임(115)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충격을 최대한 흡수하여 선반(110)과 프레임(11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배출장치(200)는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내부에 일측 측면부에 형성되고,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내부 천장면 일측에 공기배출구(230)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230)의 하부에 측면격벽(200a)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격벽(200a)의 하부에 송풍부(210)가 형성된다.
측면격벽(200a)은 외주면을 따라 기어탑재수단(201)이 형성되고, 상기 기어탑재수단(201)의 전면에 래크기어(202)가 형성되며, 래크기어(202)에 맞물려 결합되는 피니언기어(204)와, 상기 피니언기어(20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05)와, 상기 피니언기어(204)와 상기 모터(205)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는 외부 하우징인 이동하우징(203)을 포함한다.
이동하우징(203)의 하부면에는 일정한 길이의 막대 형상의 연결대(206)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대(206)의 하부에 공기통과부재(207)가 결합된다.
모터(205)가 구동하면, 피니언기어(204)가 래크기어(202)를 따라 이동하고, 이에 따라 래크기어(202)가 구비된 이동하우징(203), 연결대(206) 및 공기통과부재(207)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다.
송풍부(210)는 제1 공기유입구(215)와, 상기 제1 공기유입구(215)의 상부에 형성된 제2 공기유입구(213)와, 상기 제2 공기유입구(213)의 상부에 형성된 제3 공기유입구(211)를 포함하고, 제1 공기유입구(215)와 제2 공기유입구(213)의 사이에 제1 격벽(214)으로 구획되며, 제2 공기유입구(213)와 제3 공기유입구(211)의 사이에 제2 격벽(212)으로 구획된다.
송풍부(210)는 상기 제1 공기유입구(215)의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제1 송풍장치(218)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공기유입구(213)의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제2 송풍장치(217)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공기유입구(213)의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제3 송풍장치(216)가 설치된다.
제1 송풍장치(218), 제2 송풍장치(217) 및 제3 송풍장치(216)는 높이에 따라 설치되어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습한 공기나 이물질을 흡입시킬 수 있다.
제1 송풍장치(218), 제2 송풍장치(217) 및 제3 송풍장치(216)는 동시에 구동할 수 있으며, 별개로 각각 구동시킬 수 있다.
공기통과부재(207)는 이동하우징(203)의 하방으로 이동에 따라 제1 공기유입구(215), 제2 공기유입구(213) 및 제3 공기유입구(211) 중 하나의 개방된 입구부에 위치에 하게 된다.
공기통과부재(207)는 내측 상부에 상부돌출부(208)와 내측 하부에 하부돌출부(209)로 인하여 직경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서서히 축소되었다가 확대되는 벤츄리 관 형태로 형성된다.
공기통과부재(207)는 내부 공간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좁아진 통로에서 낮아진 압력과의 압력 차이로 인해 공기가 좁은 통로 쪽으로 빨려 들어가서 고속으로 배출된다. 공기통과부재(207)의 내부 공간은 넓은 공간에서 압력이 높고 공기의 속도가 느리며 좁은 공간에서 압력이 낮고 공기의 속도가 빨라진다.
배출장치(200)의 내부에는 외부의 공기의 유입과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내부 직경이 좁아졌다 넓어졌다 다시 좁아지는 형태를 반복하는 우측관로(221)와 좌측관로(222)를 형성하는 공기이동로(220)를 포함한다.
우측관로(221)와 좌측관로(222)는 돌출되는 볼록부와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부를 반복하게 된다.
우측관로(221)의 볼록부와 좌측관로(222)의 볼록부의 사이에는 공간이 좁아지며, 우측관로(221)의 오목부와 좌측관로(222)의 오목부의 사이에는 공간이 넓어지는 패턴을 반복한다.
공기이동로(220)는 공간이 좁아지는 위치에서 압력이 낮고 유입 공기의 속도가 빨라지고 공간이 커지는 위치에서 압력이 높고 유입 공기의 속도가 느려진다.
공기이동로(220)를 이동하는 공기는 볼록부와 오목부에 의해 내부 직경이 좁아졌다 넓어졌다 다시 좁아지는 형태를 반복하여 압력 차이로 인해 공기의 흐름을 빠르게 하여 공기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내부 공간부의 바닥면 또는 측벽 일측에 설치된 습도센서(미도시)를 센싱하여 일정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1 상부모터(123a), 상기 제1 하부모터(124a), 상기 제2 상부모터(143a), 상기 제2 하부모터(144a)를 구동시켜 제1 이동하우징(122)과 제2 이동하우징(142)과 이에 결합된 프레임(115)을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바닥면과 멀어지도록 하여 상부 방향으로 상승시켜 지중배전선로(118)가 오물이나 오수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제어부는 습도센서(미도시)를 센싱하여 일정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습도량에 따라 제1 송풍장치(218), 제2 송풍장치(217) 및 제3 송풍장치(216)를 동시에 구동하거나 별개로 각각 구동시켜 내부의 습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록 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내부를 건조시킨다.
제어부는 습도량에 따라 모터(205)를 구동시켜 래크기어(202)가 구비된 이동하우징(203), 연결대(206) 및 공기통과부재(207)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공기유입구(215), 제2 공기유입구(213), 제3 공기유입구(211) 중 한 곳의 입구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공기통과부재(207)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바닥면에 습기가 많은 경우, 제1 공기유입구(215)의 입구에 배치하여 좀 더 강한 흡입력으로 오염물질, 습한 공기를 흡입하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바닥면이 아닌 일정 높이에 습기가 많은 경우, 제2 공기유입구(213) 또는 제3 공기유입구(211)의 입구에 배치한다.
송풍장치(310)를 작동시켜 제1 소음 저감장치(320)와 제2 소음 저감장치(400)를 거쳐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내부를 건조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절연성 연결대 장치 102: 콘크리트 구조물
112: 회동축 114: 상부 연결부
115: 프레임 116: 받침판
118: 선반 120: 제1 충격흡수장치
130: 제1 중간흡수부재 140: 제2 충격흡수장치
150: 제2 중간흡수부재 200: 배출장치
210: 송풍부 211: 제3 공기유입구
213: 제2 공기유입구 215: 제1 공기유입구
216: 제3 송풍장치 217: 제2 송풍장치
218: 제1 송풍장치

Claims (1)

  1. 콘크리트 구조물(102)에 내설되어 상부에 배치되는 회동축(112)과, 상기 회동축(112)에 회전 가능하게 맞물려 고정되는 상부 연결부(114)와, 상기 상부 연결부(114)의 하부에 연결되어 지중배전선로(118)를 지지하는 복수의 받침판(116)을 구비한 선반(110);
    상기 받침판(116)과 상기 지중배전선로(118)를 둘러싸서 내부에 내설하는 프레임(115);
    상기 프레임(115)의 좌측프레임(115a)의 일면에 결합된 제1 충격흡수장치(120);
    상기 프레임(115)의 우측프레임(115b)의 일면에 결합된 제2 충격흡수장치(140);
    상기 제1, 2 충격흡수장치(120, 140)는 수직으로 세워진 기둥 형태의 제1, 2 기둥부(120a, 140a)와, 상기 제1, 2 기둥부(120a, 140a)의 전면에 제1, 2 래크기어부(121, 141)를 형성하고, 상기 제1, 2 래크기어부(121, 141)에 맞물려 결합되는 제1, 2 상부피니언기어(123, 143)와, 제1, 2 하부피니언기어(124, 144)와, 상기 제1, 2 상부피니언기어(123, 143)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2 상부모터(123a, 143a)와 상기 제1, 2 하부피니언기어(124, 14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2 하부모터(124a, 144a)와, 상기 제1, 2 상부피니언기어(123, 143), 상기 제1, 2 상부모터(123a, 143a), 상기 제1, 2 하부피니언기어(124, 144), 상기 제1, 2 하부모터(124a, 144a)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는 제1, 2 이동하우징(122, 14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하우징(122)의 중앙부 일측과 상기 좌측프레임(115a)의 중앙부 일측에 제1 중간흡수부재(130)가 결합하고, 상기 제2 이동하우징(142)의 중앙부 일측과 상기 우측프레임(115b)의 중앙부 일측에 제2 중간흡수부재(150)가 결합하고,
    상기 제1, 2 중간흡수부재(130, 150)는 제1, 2 주름부재(131, 151)와, 상기 제1, 2 주름부재(131, 151)의 내부에서 상기 제1, 2 이동하우징(122, 142)의 중앙 일면에 형성된 제1 고정대(132, 152)와, 좌측프레임(115a), 우측프레임(115b)의 중앙 일면에 형성된 제2 고정대(133, 153)와, 상기 제1 고정대(132, 152)와 상기 제2 고정대(133, 153)의 사이에 제1, 2 스프링(134, 154)이 결합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내부에는 일측 측면부에 형성되는 배출장치(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장치(20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내부 천장면에 공기배출구(230)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230)의 하부에 측면격벽(200a)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격벽(200a)의 하부에 송풍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부(210)는 제1 공기유입구(215)와, 상기 제1 공기유입구(215)의 상부에 형성된 제2 공기유입구(213)와, 상기 제2 공기유입구(213)의 상부에 형성된 제3 공기유입구(211)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공기유입구(215)의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제1 송풍장치(218)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공기유입구(213)의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제2 송풍장치(217)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공기유입구(213)의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제3 송풍장치(216)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장치(200)의 내부에 외부의 공기의 유입과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내부 직경이 좁아졌다 넓어졌다 다시 좁아지는 형태를 반복하는 우측관로(221)와 좌측관로(222)를 형성하는 공기이동로(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장치.
KR1020160151972A 2016-11-15 2016-11-15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장치 KR101811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972A KR101811598B1 (ko) 2016-11-15 2016-11-15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972A KR101811598B1 (ko) 2016-11-15 2016-11-15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1598B1 true KR101811598B1 (ko) 2017-12-26

Family

ID=6093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972A KR101811598B1 (ko) 2016-11-15 2016-11-15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5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158B1 (ko) * 2018-01-11 2018-06-08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용 외벽 전기 케이블 안전장치
KR101956762B1 (ko) * 2018-10-31 2019-03-11 (유)전일기술단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
KR20230033921A (ko) * 2021-09-02 2023-03-09 (주)디케이이엔지 변압기에 연결 설치되는 지중배전선로 관로의 환풍 시스템
KR102532518B1 (ko) * 2021-12-29 2023-05-17 이삼종 변전소에 연결되는 지중 케이블의 고정 안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0540A (ja) 2000-01-12 2001-07-17 Toshiba Medical System Co Ltd 位置検出手段のエラー検出装置
KR100904257B1 (ko) 2008-11-18 2009-06-25 (주)경성관리단 쥐 포획을 위한 지중배선의 절연식 선로 연결대
KR101401583B1 (ko) 2014-03-04 2014-06-02 주식회사 창조기술단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구조
KR101438491B1 (ko) 2014-03-12 2014-09-12 김순자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505061B1 (ko) 2014-12-02 2015-03-25 이윤정 지중배전선로 절연성 연결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0540A (ja) 2000-01-12 2001-07-17 Toshiba Medical System Co Ltd 位置検出手段のエラー検出装置
KR100904257B1 (ko) 2008-11-18 2009-06-25 (주)경성관리단 쥐 포획을 위한 지중배선의 절연식 선로 연결대
KR101401583B1 (ko) 2014-03-04 2014-06-02 주식회사 창조기술단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구조
KR101438491B1 (ko) 2014-03-12 2014-09-12 김순자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505061B1 (ko) 2014-12-02 2015-03-25 이윤정 지중배전선로 절연성 연결대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158B1 (ko) * 2018-01-11 2018-06-08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용 외벽 전기 케이블 안전장치
KR101956762B1 (ko) * 2018-10-31 2019-03-11 (유)전일기술단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
KR20230033921A (ko) * 2021-09-02 2023-03-09 (주)디케이이엔지 변압기에 연결 설치되는 지중배전선로 관로의 환풍 시스템
KR102508185B1 (ko) * 2021-09-02 2023-03-10 (주)디케이이엔지 변압기에 연결 설치되는 지중배전선로 관로의 환풍 시스템
KR102532518B1 (ko) * 2021-12-29 2023-05-17 이삼종 변전소에 연결되는 지중 케이블의 고정 안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598B1 (ko)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장치
KR101505061B1 (ko) 지중배전선로 절연성 연결대 장치
KR101363286B1 (ko) 습기 자동 제거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US5092520A (en) Household dehumidifier
KR101753837B1 (ko) 복합 제습식 수배전반
KR102239545B1 (ko) 매립형 항온장치가 적용된 배전반
CN106102378A (zh) 一种具有散热防尘功能的电器箱
EP3263803B1 (en) Substation
KR20150040774A (ko) 방수 기능과 냉각 기능을 갖는 지하 매설식 개폐기
CN206834576U (zh) 一种新型防尘散热电力箱
KR20210104524A (ko) 자연배기가 가능한 옥외용 자가대류 수배전반 장치
CN113422300B (zh) 一种具有进水自动断电功能的微电网接入中央测控柜
JP5896659B2 (ja) グレーチングと防水板が一体化した防水装置
CN207665337U (zh) 一种电气设备的防潮装置
CN209948447U (zh) 一种防水配电箱
KR101381810B1 (ko) 방음시설용 환기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방음시설
CN213602198U (zh) 一种变电站智能除湿装置
KR20110001156U (ko) 소형 제습기
CN210959287U (zh) 一种新型电气柜
CN204809685U (zh) 防潮端子箱
CN110416892B (zh) 一种防潮型户外配电柜箱体
CN113394699A (zh) 一种驱潮式低压开关柜
US10640941B2 (en) Water conserving, secure, and environmentnt protective device
KR101158808B1 (ko) 루프 환기 제어시스템
CN218040245U (zh) 一种室内防潮配电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