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728B1 - 보안성이 향상된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안성이 향상된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728B1
KR101956728B1 KR1020180144941A KR20180144941A KR101956728B1 KR 101956728 B1 KR101956728 B1 KR 101956728B1 KR 1020180144941 A KR1020180144941 A KR 1020180144941A KR 20180144941 A KR20180144941 A KR 20180144941A KR 101956728 B1 KR101956728 B1 KR 101956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remote
smartphone
control
g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규선
Original Assignee
김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근 filed Critical 김병근
Priority to KR1020180144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리자 이외의 허가되지 않은 제3자가 임의로 수처리 시설을 원격 감시 및 제어할 수 없도록 높은 보안성을 갖춘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성이 향상된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은, 중앙제어부; 및 원격제어앱을 포함하고, 상기 원격제어앱은, 관리자가 접속하면 자동으로 스마트폰의 GPS 위치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GPS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된 원격제어영역 내에 있으면 원격 제어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로 접속되어, 상기 복수 개의 계측기기 및 상기 제어장치의 실시간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획득된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GPS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된 원격제어영역 밖에 있으면 원격 제어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로 접속되어, 상기 복수 개의 계측기기 및 상기 제어장치의 실시간 감시만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안성이 향상된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of Water Treatment Plant with Improved Security}
본 발명은 보안성이 향상된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처리 시설을 원격지에서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스템에 있어서 악의적으로 외부의 원격 제어 기능을 이용하여 수처리 시설을 무단 제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안성이 향상된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취수장, 가압장, 배수지 등의 상수도 시설과, 중계펌프장, 빗물펌프장과 같은 하수도 시설 및 댐, 저수지 등(이하 '수처리 시설'로 통칭 한다)에는 물의 온도, 수위, 수압, 유량, 유속, 펌프 및 밸브의 동작상태 등과 같이 다양한 조건들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기 위해 다양한 계측기기와 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따라서 수처리 시설 내에는 다양한 계측기기와 제어장치를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실이 구축되어 관리자가 다양한 계측기기와 제어장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근래에는 수처리 시설에 설치된 중앙제어실 또는 원격감지 제어기로부터 계측기기 및 제어장치의 감시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가 원격으로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314089호의 제어설비 무인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제어설비 무인 관리 시스템은 동작 설정값에 따라 해당 제어설비의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각 제어설비들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각 센서부를 통해 수집되는 현재 동작 상태와 사전에 설정된 동작 설정값을 비교하여 이상동작이 발생되는지를 감시하고, 이상동작 발생 시 경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사전에 설정 저장된 동작 상태값과 현재 동작 상태값을 비교하여 제어설비의 정상동작이 가능한 최저값과 최대값 각각의 허용 오차 범위에 근접하였을 때, 각 최저값과 최대값을 넘기기 전까지의 동작 상태인 준정상 동작 상태로 조절하는 신호를 출력한 후, 현장제어모드와 원격제어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양 모드 중 선택 신호를 입력받아 조작신호에 대한 제어설비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제어부; 상기 경보신호 및 제어설비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현장입/출력부와 관리자휴대단말부로 전송하고, 조작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현장입/출력부와 관리자 휴대단말부에 탑재되어 제어설비의 조작환경을 제공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조작상태에 따라 메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해당 제어설비의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의 제어설비 무인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의 휴대단말기(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등)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설비를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나, 제어대상이 댐, 상하수도 시설과 같은 국가기반시설인 경우 제3자가 원격 제어 프로그램을 위변조하거나 해킹을 통해 시스템의 제어 권한을 탈취하여 악의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이 경우 국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원격으로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의해 원격 감시 및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제어시스템이라 하더라도 실제로는 그 사용이 크게 제한되거나, 또는 원격 제어기능이 빠진 상태로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관리자의 빠른 대처를 위해서는 원격 감시 및 제어기능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원격 감시 및 제어기능을 가지면서도 제3자가 악의적으로 시스템의 제어권한을 쉽게 탈취할 수 없도록 보안성이 향상된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1314089 B1 (2013. 09. 26.) KR 10-1737524 B1 (2017. 05. 12.) KR 10-1896509 B1 (2018. 09. 0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처리 시설을 원격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자 이외의 허가되지 않은 제3자가 임의로 시설을 원격 감시 및 제어할 수 없도록 높은 보안성을 갖춘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성이 향상된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은, 수처리 시설 내에 설치되면서 복수 개의 계측기기와 제어장치로부터 실시간 감시 정보가 수신되고, 관리자의 제어신호를 상기 복수 개의 계측기기와 상기 제어장치로 전달하며, 웹서버로 감시 및 제어정보가 송수신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중앙제어부; 및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되면서 상용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상기 웹서버를 통해 실시간 감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관리자가 원격으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원격제어앱을 포함하고, 상기 원격제어앱은, 상기 관리자가 접속하면 자동으로 상기 스마트폰의 GPS 위치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GPS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된 원격제어영역 내에 있으면 원격 제어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로 접속되어, 상기 복수 개의 계측기기 및 상기 제어장치의 실시간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획득된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GPS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된 원격제어영역 밖에 있으면 원격 제어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로 접속되어, 상기 복수 개의 계측기기 및 상기 제어장치의 실시간 감시만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원격제어앱이 상기 관리자가 특정 위치의 GPS 좌표 또는 주소를 직접 입력하여 서브원격제어영역의 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서브원격제어영역은,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원격제어영역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만 추가, 삭제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격제어영역 및 상기 서브원격제어영역이 상기 중앙제어부의 GPS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반경 500M 이내, 상기 관리자가 입력한 GPS 좌표 또는 주소를 기준으로 반경 50M 이내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의 상기 원격제어앱은 상기 관리자의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원격제어영역 밖에 위치되어 원격 제어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로 접속된 경우, 미리 입력된 상기 중앙제어부의 상기 GPS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스마트폰의 실시간 위치와 상기 중앙제어부와의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제어영역까지의 거리와 방위각을 상기 관리자에게 안내하며, 상기 관리자의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원격제어영역 내에 위치되어 원격 제어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로 접속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의 실시간 위치가 상기 원격제어영역을 벗어나더라도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 동안 원격 제어기능이 활성화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원격제어앱이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GPS 위치정보가 실시간 또는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자동 획득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원격제어영역까지의 직선거리와 방위각이 자동 갱신되고, 상기 원격제어영역을 벗어난 후 설정된 상기 대기시간 동안 상기 원격제어영역 내로 복귀하지 않는 경우에는, 경고음 또는 경고문구가 출력되거나 또는 원격 제어기능이 자동으로 비활성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 개의 계측기기와 상기 제어장치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중앙제어부와 상기 웹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중앙제어부 또는 상기 웹서버를 통해 상기 원격제어앱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전달하는 원격감시 제어기가 더 구비되며, 상기 원격감시 제어기는, 상용의 인터넷망과 연결되는 유,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원격제어앱이 OTP, 지문, 홍채, 음성,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블루투스 등에 의해 스마트폰과 통신되도록 구성된 물리적인 키블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웹서버에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처리 시설과 같은 국가기반시설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관리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제어영역 내에서 시설을 감시 및 제어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빠른 조치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관리자가 중앙제어부로 이동하지 않더라도 빠르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허가되지 않은 제3자가 원격제어앱을 위변조하거나 관리자의 스마트폰을 탈취하더라도 쉽게 접속할 수 없고, 가사 접속하더라도 미리 설정된 원격제어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원격 제어기능이 비활성화되게 되면서 제3자가 수처리 시설을 제어하지 못하도록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성이 향상된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앱이 구동되는 예를 보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의 GPS 위치정보와 중앙처리부를 중심으로 설정된 원격제어영역 간의 거리와 방위각을 구하여 안내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의 GSP 위치정보와 중앙처리부를 중심으로 설정된 원격제어영역 및 사용자가 설정한 서브원격제어영역 간의 거리와 방위각을 구하여 안내하는 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처리 시설을 원격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자 이외의 허가되지 않은 제3자가 임의로 시설을 원격 감시 및 제어할 수 없도록 높은 보안성을 갖춘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제어부(100), 원격제어앱(200) 및 원격감시 제어기(300)를 포함한다.
중앙제어부(100)는 수처리 시설 내에 설치되어 온도, 압력, 수위, 유량, 유속 등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계측기기(10)와 모터, 펌프 등의 제어장치(20)의 동작을 감시하고, 관리자가 필요에 따라 제어장치(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중앙제어부(100)는 수처리 시설 내에 설치된 계측기기(10)와 제어장치(2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모니터와 제어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제어부(100)는 감시 대상의 이상 여부를 시각적, 청각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경고발생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중앙제어부(100)는 후술되는 원격감시 제어기(300)로부터 계측기기(10)와 제어장치(20)의 정보가 송신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계측기기(10)와 제어장치(20)의 정보가 중앙제어부(100)로 직접 송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계측기기(10)와 제어장치(20)의 정보가 중앙제어부(100)로 직접 송신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중앙제어부(100)에 유, 무선인터넷 통신모듈(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고, 상기 유,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웹서버(30)로 감시 정보가 전달되도록 구성되며, 스마트폰(40)을 이용한 관리자의 원격 제어정보가 웹서버(30)를 통해 중앙제어부(100) 쪽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중앙제어부(100)가 원격감시 제어기(300)로부터 계측기기(10)와 제어장치(20)의 정보가 수신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원격감시 제어기(300)에 유, 무선통신모듈(310, 320)이 설치되고, 이러한 유, 무선통신모듈(310, 320)을 통해 웹서버(30)로 감시 정보가 전달되도록 구성되며, 스마트폰(40)을 이용한 관리자의 원격 제어정보가 웹서버(30)를 통해 원격감시 제어기(300)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원격제어앱(200)은 관리자의 스마트폰(40)에 설치되어 수처리 시설에 설치된 계측기기(10)와 제어장치(20)를 원격으로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원격제어앱(200)은 상용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지정된 웹서버(30)에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 중앙제어부(100) 또는 원격감시 제어기(300)를 통해 전달되는 실시간 감시 정보가 그래픽 및 문자 등으로 출력되도록 구성되며, 관리자의 원격 제어정보는 웹서버(30)를 통해 중앙제어부(100) 또는 원격감시 제어기(300)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원격제어앱(200)은 허가된 관리자 이외의 제3자가 실행하더라도 쉽게 웹서버(30)에 접속(login)하지 못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원격제어앱(200)은 접속시 사용자 아이디(ID), 비밀번호(password)를 요구함과 동시에 OTP, 지문, 홍채, 음성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정보를 추가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추가 입력 대상은 OTP, 지문, 홍채, 음성 중에서 적절하게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관리자가 스마트폰(40)을 분실하거나 악의적으로 탈취당하더라도 원격제어앱(200)을 쉽게 접속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더해 추가 입력 대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블루투스 등에 의해 스마트폰(40)과 통신되도록 구성된 물리적인 키블록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키블록은 원격 제어를 허용하는 관리자에게만 지급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앱(200)은 기본적으로 제3자가 쉽게 접속할 수 없도록 높은 보안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럼에도 원격제어앱(200)의 위변조 등을 통해 비정상적으로 접속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따라서 본 발명은 관리자 이외의 허가되지 않은 제3자가 웹서버(30)에 접속하더라도 미리 설정된 영역 밖에서는 수처리 시설이 제어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원격제어앱(200)에 접속하면 자동으로 스마트폰(40)의 GPS 위치정보(PGPS)를 획득하고, 획득된 실시간 GPS 위치정보(PGPS)를 통해 웹서버(30)에 미리 입력된 중앙제어부(100)의 GPS 위치정보(CGPS)를 기준으로 설정된 원격제어영역(A) 내 위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스마트폰(40)의 위치 판단은 원격제어앱(200), 웹서버(40), 중앙제어부(100) 및 원격감시 제어부(30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스마트폰(40)이 원격제어영역(A) 내에 위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해당 관리자가 원격제어앱(200)을 통해 수처리 시설을 감시함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기능이 모두 활성화된 상태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스마트폰(40)의 GPS 위치정보(PGPS)가 실시간 또는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자동 획득되어 갱신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 원격제어앱(200)의 감시 및 제어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로 접속되었다 하더라도 획득된 GPS 위치정보(PGPS)가 원격제어영역(A)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제어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관리자가 실수로 원격제어영역(A)을 벗어난 경우가 있을 수 있고, 따라서 GPS 위치정보(PGPS)가 원격제어영역(A)을 벗어나더라도 소정 대기시간 동안 제어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더해 관리자에게 위치이탈을 경고음 또는 경고문구를 통해 안내하도록 구성되고,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관리자가 원격제어영역(A)으로 복귀하지 않는 경우에 제어기능이 자동으로 비활성화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관리자의 접속시 스마트폰(40)이 원격제어영역(A) 내에 위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원격제어앱(200)을 통해 수처리 시설의 감시 기능만이 활성화된 상태 즉, 감시는 가능하되 제어는 할 수 없도록 제어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원격제어앱(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40)의 GPS 위치정보(PGPS)와 중앙제어부(100)의 GPS 위치정보(CGPS)를 직선으로 연결하여 이격된 거리(L)를 계산하고, 계산된 거리(L)와 중앙제어부(100)로의 방향을 방위각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원격제어앱(200)은 관리자가 거주하는 집과 같이 특정 위치의 GPS 좌표 또는 주소를 직접 입력하여 서브원격제어영역(ASUB)을 추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제3자가 서브원격제어영역(ASUB)을 임의로 추가할 수 없도록 스마트폰(40)이 원격제어영역(A)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만 추가, 삭제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더해 원격제어앱(200)을 통해 서브원격제어영역(ASUB)이 추가, 삭제 및 수정될 때에는 원격제어영역(A)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의 범위로 더욱 제한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원격제어영역(A)이 중앙제어부(100)를 기준으로 반경 500M 이내로 설정된 경우, 서브원격제어영역(ASUB)이 추가, 삭제 및 수정 가능한 원격제어영역(A)은 원격제어영역(A)의 1/10 ~ 1/5에 해당하는 반경 50~100M로 설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3자가 서브원격제어영역(ASUB)을 임의로 추가, 삭제 및 수정하기가 더욱 어렵게 된다.
그리고 원격제어영역(A) 및 서브원격제어영역(ASUB)은 중앙제어부(100)의 GPS 위치정보(CGPS)를 기준으로 반경 500M 이내, 관리자가 입력한 GPS 좌표(ASUB1) 또는 주소(ASUB2)를 기준으로 반경 50M 이내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통상 수처리 시설이 반경 500M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자택의 경우 반경 50M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기인되며, 이러한 원격제어영역(A) 및 서브원격제어영역(ASUB)의 반경은 중앙제어부(100) 또는 원격감시 제어기(300)를 통해서만 확장 또는 축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실시간 스마트폰(40)의 GPS 위치정보(PGPS)가 원격제어영역(A) 및 서브원격제어영역(ASUB)의 어디에도 위치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40)의 GPS 위치정보(PGPS)와 중앙제어부(100)의 GPS 위치정보(CGPS) 간의 직선거리(L1)와, 인접한 서브원격제어영역(ASUB1) 간의 직선거리(L2) 및 또 다른 인접한 서브원격제어영역(ASUB2) 간의 직선거리(L3)가 각각 계산하고, 계산된 직선거리(L1, L2, L3) 중에서 가장 짧은 거리와 방위각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직선거리(L1, L2, L3)를 대신하여 실제 맵에 나타나는 도로의 이동 경로를 따라 차량, 도보를 기준으로 이동하는 속도로 도착 예상시간을 계산하여 직선거리가 짧더라도 도로의 여건 등에 따라 실제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길게 소요될 것으로 계산되는 경우,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상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위치로 안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격감시 제어기(300)는 복수 개의 계측기기(10)와 제어장치(2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중앙제어부(100)와 웹서버(30)로 송신하고, 중앙제어부(100) 또는 웹서버(30)를 통해 원격제어앱(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를 제어장치(20)로 전달하여 제어장치(20)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원격감시 제어기(300)에는 중앙제어부(100)와 연결되거나 상용의 인터넷망과 연결되는 유, 무선통신모듈(310, 320)을 포함하고, 이러한 원격감시 제어기(300)에 웹서버(30)의 구성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원격감시 제어기(300)는 중앙제어부(100)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와, 원격제어앱(200)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가 함께 수신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중앙제어부(100)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가중치를 설정하여 제어장치(20)가 중앙제어부(100)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더해 원격제어앱(200)을 통해 짧은 시간에 반복적으로 제어신호가 입력되거나 과거의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대적으로 과도한 변화(또는 급격한 변화)를 주는 비정상 제어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원격제어앱(200)을 통해 제어장치(20)를 제어하기에 앞서 중앙제어부(100)로 비정상 제어정보에 의한 제어의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해당 원격제어앱(200)의 관리자 이외에 등록된 또 다른 관리자의 스마트폰(40)으로 해당 비정상 제어정보를 문자 또는 원격제어앱(200)의 알림 기능 등을 이용하여 안내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 해당 비정상 제어정보의 복수 승인 여부에 따라 제어 여부가 결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관리자의 스마트폰(40)으로만 설명되고 도시되었으나, 이와 달리 태블릿 PC, PDA, 탭, 등의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 기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변경 실시될 수 있고, 수처리 시설에 국한되지 않고 높은 보안이 요구되는 다양한 국가기반시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보안성이 향상된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은 관리자가 원격제어영역(A) 또는 서브원격제어영역(ASUB) 내에서 스마트폰(40)에 설치된 원격제어앱(200)을 통해 웹서버(30)에 접속하면, 수처리 시설에 설치된 중앙제어부(100) 또는 원격감시 제어기(300)로부터 감시 정보가 전달되어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고, 이에 더해 중앙제어부(100) 또는 원격감시 제어기(300)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원격으로 제어장치(2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리자가 원격제어영역(A)과 서브원격제어영역(ASUB) 밖에서 스마트폰(40)에 설치된 원격제어앱(200)을 통해 웹서버(30)에 접촉하면, 수처리 시설에 설치된 중앙제어부(100) 또는 원격감지제어기(300)로부터 감시 정보가 전달되어 실시간으로 감시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원격제어앱(200)을 통해 원격제어영역(A)과 서브원격제어영역(ASUB)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의 거리와 방위각 및 도착 예상시간 등이 안내되고, 이에 의해 관리자는 필요시 안내되는 방향을 참고하여 원격제어영역(A) 또는 서브원격제어영역(ASUB) 내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0: 계측기기 20: 제어장치
30: 웹서버 40: 스마트폰
100: 중앙제어부 200: 원격제어앱
300: 원격감시 제어기 310: 유선통신모듈
320: 무선통신모듈 A: 원격제어영역
ASUB, ASUB1, ASUB2: 서브원격제어영역
CGPS: 중앙제어부의 GPS 위치정보
PGPS: 스마트폰의 GPS 위치정보

Claims (7)

  1. 수처리 시설 내에 설치되면서 복수 개의 계측기기(10)와 제어장치(20)로부터 실시간 감시 정보가 수신되고, 관리자의 제어신호를 상기 복수 개의 계측기기(10)와 상기 제어장치(20)로 전달하며, 웹서버(30)로 감시 및 제어정보가 송수신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중앙제어부(100);
    관리자의 스마트폰(40)에 설치되면서 상용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상기 웹서버(30)를 통해 실시간 감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관리자가 원격으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원격제어앱(200);
    을 포함하고,
    상기 원격제어앱(200)은,
    상기 관리자가 접속하면 자동으로 상기 스마트폰(40)의 GPS 위치정보(PGPS)를 획득하며,
    획득된 상기 스마트폰(40)의 상기 GPS 위치정보(PGPS)가 미리 설정된 원격제어영역(A) 내에 있으면 원격 제어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로 접속되어, 상기 복수 개의 계측기기(10) 및 상기 제어장치(20)의 실시간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획득된 상기 스마트폰(40)의 상기 GPS 위치정보(PGPS)가 미리 설정된 원격제어영역(A) 밖에 있으면 원격 제어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로 접속되어, 상기 복수 개의 계측기기(10) 및 상기 제어장치(20)의 실시간 감시만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원격제어앱(200)은,
    상기 관리자가 특정 위치의 GPS 좌표 또는 주소를 직접 입력하여 서브원격제어영역(ASUB)의 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서브원격제어영역(ASUB)은,
    상기 스마트폰(40)이 상기 원격제어영역(A)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만 추가, 삭제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성이 향상된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영역(A) 및 상기 서브원격제어영역(ASUB)은,
    상기 중앙제어부(100)의 GPS 위치정보(CGPS)를 기준으로 반경 500M 이내, 상기 관리자가 입력한 GPS 좌표(ASUB1) 또는 주소(ASUB2)를 기준으로 반경 50M 이내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성이 향상된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앱(200)은,
    상기 관리자의 상기 스마트폰(40)이 상기 원격제어영역(A) 밖에 위치되어 원격 제어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로 접속된 경우, 미리 입력된 상기 중앙제어부(100)의 상기 GPS 위치정보(CGPS)를 기준으로 상기 스마트폰(40)의 실시간 위치와 상기 중앙제어부(100)와의 거리(L)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거리(L)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제어영역(A)까지의 거리와 방위각을 상기 관리자에게 안내하며,
    상기 관리자의 상기 스마트폰(40)이 상기 원격제어영역(A) 내에 위치되어 원격 제어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로 접속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40)의 실시간 위치가 상기 원격제어영역(A)을 벗어나더라도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 동안 원격 제어기능이 활성화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성이 향상된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앱(200)은,
    상기 스마트폰(40)의 상기 GPS 위치정보(PGPS)가 실시간 또는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자동 획득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원격제어영역(A)까지의 직선거리와 방위각이 자동 갱신되고,
    상기 원격제어영역(A)을 벗어난 후 설정된 상기 대기시간 동안 상기 원격제어영역(A) 내로 복귀하지 않는 경우에는, 경고음 또는 경고문구가 출력되거나 또는 원격 제어기능이 자동으로 비활성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성이 향상된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계측기기(10)와 상기 제어장치(2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중앙제어부(100)와 상기 웹서버(30)로 전달하고, 상기 중앙제어부(100) 또는 상기 웹서버(30)를 통해 상기 원격제어앱(200)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장치(20)로 전달하는 원격감시 제어기(3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원격감시 제어기(300)는,
    상용의 인터넷망과 연결되는 유, 무선통신모듈(310, 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성이 향상된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7.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앱(200)은,
    OTP, 지문, 홍채, 음성,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블루투스 등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40)과 통신되도록 구성된 물리적인 키블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웹서버(30)에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성이 향상된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KR1020180144941A 2018-11-21 2018-11-21 보안성이 향상된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KR101956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941A KR101956728B1 (ko) 2018-11-21 2018-11-21 보안성이 향상된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941A KR101956728B1 (ko) 2018-11-21 2018-11-21 보안성이 향상된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728B1 true KR101956728B1 (ko) 2019-03-11

Family

ID=65758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941A KR101956728B1 (ko) 2018-11-21 2018-11-21 보안성이 향상된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7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875B1 (ko) * 2020-10-16 2021-05-28 니브스코리아 주식회사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089B1 (ko) 2013-02-21 2013-10-02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제어설비 무인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20140028791A (ko) * 2012-08-30 2014-03-10 (주)아젠텍 사용영역 제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737524B1 (ko) 2016-10-12 2017-05-29 주식회사 이콘 상하수도 시설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896509B1 (ko) 2017-11-30 2018-09-10 주식회사 이티씨 상하수도 처리시설 지능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8791A (ko) * 2012-08-30 2014-03-10 (주)아젠텍 사용영역 제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314089B1 (ko) 2013-02-21 2013-10-02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제어설비 무인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1737524B1 (ko) 2016-10-12 2017-05-29 주식회사 이콘 상하수도 시설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896509B1 (ko) 2017-11-30 2018-09-10 주식회사 이티씨 상하수도 처리시설 지능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875B1 (ko) * 2020-10-16 2021-05-28 니브스코리아 주식회사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260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dynamically varying a pre-alarm time of a security system
US10223896B2 (en) Operating a security system
US11240274B2 (en) Monitoring system for securing networks from hacker drones
US9858739B1 (en) Home monitoring system triggered rules
US201001278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based on estimated time of arrival
JP2017506788A (ja) スマート非常出口表示
US2016018950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in a smart home security detection system
EP32643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commissioning, testing, and maintaining a fire alarm control panel via a mobile device
CN104952223A (zh) 具有无线通信的警报系统
US10748362B2 (en)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unattended services
US201800489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pecific user location and a path to an exit
KR101956728B1 (ko) 보안성이 향상된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US11610444B2 (en) Movable barrier operator system having an imminent motion notification apparatus
EP3188148B1 (en) Intrusinon alarm system with learned and dynamic entry delays
BRPI1002465A2 (pt) método de controle de um conjunto de piscinas, centro de gestão para um conjunto de piscinas, dispositivo para controle e dispositivo de monitoramento da qualidade da água
US20220237972A1 (en) Systems and methods of a doorbell device initiating a state change of an access control device and/or a control panel responsive to two-factor authentication
KR102199969B1 (ko) 메쉬 블루투스 통신망을 활용한 스마트 기기 재난 알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WO2015073107A1 (en) Mobile user interface for security panel
JP5082810B2 (ja) 無線タグとそのプログラム
EP3669511B1 (en) Automatic building system control restrictions based on physical presence defined by access control event information and knowledge base system
US118543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orizing transmission of commands and signals to an access control device or a control panel device
JP7295137B2 (ja) クラウドベースのコントローラを備えた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EP3669238A1 (en) Method to present a user with a menu of ranked building system based upon usage of building systems
KR20190120668A (ko)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70066780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낙석 신호등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