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875B1 -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875B1
KR102257875B1 KR1020200134060A KR20200134060A KR102257875B1 KR 102257875 B1 KR102257875 B1 KR 102257875B1 KR 1020200134060 A KR1020200134060 A KR 1020200134060A KR 20200134060 A KR20200134060 A KR 20200134060A KR 102257875 B1 KR102257875 B1 KR 102257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l area
pipe
information
image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종호
안화수
Original Assignee
니브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브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니브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4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8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26Organic contamination in wa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수처리용 배관을 직접 육안 확인 없이 효율적으로 계측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정보를 빅데이터로 이용하여 능동적인 배관의 스마트 계측 관리가 가능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관리자 단말이, 배관 내의 환경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배관 내의 환경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배관 내의 상태 정보를 계측하는 계측기기에 연동되고, 배관 외부의 노출 공간에 근거리 통신망을 형성하는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으로부터 관리자 단말이 근거리 통신망 내에 위치되어 근거리 통신망을 통한 신호 송수신 기능이 활성화됨을 감지하는 활성화 감지 단계; 활성화 감지 단계의 수행에 따라서 신호 송수신 기능이 활성화됨이 감지되고, 관리자 계정의 입력에 따라서 신호 송수신 기능이 활성화된 근거리 통신망에 대한 접속 요청이 감지된 경우,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관리자 계정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단계; 및 인증 단계가 유효하게 완료되는 경우, 근거리 통신망과 관리자 단말의 연결을 활성화하고, 인증 단계에 의하여 인증된 관리자 계정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성되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한 계측기기의 제어 및 계측기기를 통해 계측된 상태 정보의 확인이 가능한 계측 인터페이스가 관리자 단말에서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앱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PROVIDING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REMOTE MEASUREMENT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PIPES}
본 발명은 수처리 공정 및 이송을 위한 파이프 내의 수질, 수위 및 유량 등의 환경 정보를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으로 원격 계측하고, 계측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관리되는 빅 데이터(Big Data)를 활용하여 능동형 스마트 계측제어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배관(PIPE)은, 보통 상하수도 설비에 있어서 수처리 및 공급을 위해서 매설되어, 상하수의 이송에 이용된다. 배관은 소형 배관부터 인체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배관까지 다양한 배관이 사용되며, 상하수도 및 수처리에 사용되어 인프라 구축에 필수적인 수단이다.
이러한 배관은 수처리 특성 상, 다양한 이물질이 쌓일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처가 필요한 동시에, 호우 등의 경우 배관을 통해 배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침수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관리는 지역 사회 내 안전문제에도 직결되어 필수적으로 지적되고 있다.
배관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 보통은 관리자가 맨홀 등을 열고 직접 진입하여 이에 대한 점검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배관에서 발생하는 유독가스 등에 의하여, 작업자가 다치거나 사망하는 등의 사고가 매년 발생하고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로는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10-1676348호 등이 있다. 언급된 선행기술들에서는 상수도관에 부착되어 상수도관에서 발생하는 검지신호에 따라서 누수를 판단하고, 전체 상수도관에서 발생되는 검지신호를 취합하여 누수량을 관리하는 기술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선행 기술을 고려하거나, 이를 전체 배관의 모니터링 기술에 적용하더라도, 배관의 모니터링을 위해서 센서 사이의 통신망을 복잡하게 구축해야 하는 문제 및 해당 통신망을 서버까지 구축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관리자가 직접 해당 배관의 상태를 외관에서 확인하는 동시에, 편리하게 해당 배관에 직접 진입하지 않고도 근처에서 배관의 종합적인 수위, 수질, 유량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배관에 최적화되어, 배관의 유지 보수 등에 대한 필요성 및 사고 발생 가능성에 대한 통합적인 관리를 실질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아, 이에 대한 필요성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된 발명으로서, 배관의 모니터링을 위해서 복잡한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근처에서 배관의 종합적인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를 관리 서버를 통해서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배관 상태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구축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배관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에서 취합된 배관의 상태 정보에 대한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수 배관의 유지 보수에 대한 가능성 및 사고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여, 지역 내 등에서 통합적인 배관 상태 관리가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관리자 단말이, 배관 내의 환경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배관 내의 환경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배관 내의 상태 정보를 계측하는 계측기기에 연동되고, 배관 외부의 노출 공간에 근거리 통신망을 형성하는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으로부터 상기 관리자 단말이 상기 근거리 통신망 내에 위치되어 상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한 신호 송수신 기능이 활성화됨을 감지하는 활성화 감지 단계; 상기 활성화 감지 단계의 수행에 따라서 신호 송수신 기능이 활성화됨이 감지되고, 관리자 계정의 입력에 따라서 신호 송수신 기능이 활성화된 근거리 통신망에 대한 접속 요청이 감지된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관리자 계정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단계; 및 상기 인증 단계가 유효하게 완료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망과 상기 관리자 단말의 연결을 활성화하고, 상기 인증 단계에 의하여 인증된 관리자 계정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성되며, 상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한 상기 계측기기의 제어 및 상기 계측기기를 통해 계측된 상태 정보의 확인이 가능한 계측 인터페이스가 관리자 단말에서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앱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관 내의 상태 정보는, 상기 배관의 유량, 수위 및 수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치 및 이미지 촬영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측기기에는 상기 배관 내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앱 실행 단계의 수행 전까지 미구동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앱 실행 단계는, 상기 인증 단계가 유효하게 완료되는 경우, 상기 영상 촬영 장치의 구동을 활성화하는 영상 촬영 요청 단계; 및 상기 계측 인터페이스에 상기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된 배관 내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영상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촬영 장치는 촬영 영역의 제어가 가능한 장치이며, 상기 계측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영상 촬영 장치의 영상 촬영 영역을 제어할 수 있는 촬영 제어 메뉴가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앱 실행 단계의 수행 후, 관리 서버가, 관리자 단말로부터 관리자 단말에 기 수집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집 단계; 상기 계측기기의 상태 정보를 계측기기 및 상태 정보의 타입별로 그룹핑하고, 각 그룹마다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정보 갱신 단계; 및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된 상태 정보에 따라서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정보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배관의 상태 정보에 따른 사고 발생 가능성 수치를 수집된 상태 정보 및 사고 발생 이력에 따라서 학습된 사고 예측 함수를 통해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배관의 상태 정보에 따른 점검 필요성 수치 및 수리 필요성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된 상태 정보, 점검 이력 및 수리 이력에 따라서 학습된 관리 수치 함수를 통해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상기 정보 수집 단계는, 상기 앱 실행 단계에 의하여 어느 한 근거리 통신망에 대한 관리자 단말의 접속이 활성화된 경우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관 내의 환경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배관 내의 상태 정보를 계측하는 계측기기에 연동되고, 배관 외부의 노출 공간에 근거리 통신망을 형성하는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으로부터 상기 관리자 단말이 상기 근거리 통신망 내에 위치되어 상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한 신호 송수신 기능이 활성화됨을 감지하는 활성화 감지부; 상기 활성화 감지부에 따라서 신호 송수신 기능이 활성화됨이 감지되고, 관리자 계정의 입력에 따라서 신호 송수신 기능이 활성화된 근거리 통신망에 대한 접속 요청이 감지된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관리자 계정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망과 관리자 단말의 통신 모듈의 연결을 활성화하고, 상기 인증부에 의하여 인증된 관리자 계정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성되며, 상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한 상기 계측기기의 제어 및 상기 계측기기를 통해 계측된 상태 정보의 확인이 가능한 계측 인터페이스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앱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관의 모니터링 시 센서에 배관 내 센서 등에 연동된 근거리 통신망을 구성하는 통신 모듈의 간단한 구성만을 부가하여, 관리자가 해당 통신 모듈 근처에 진입 시 센서로부터 배관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서버에 전송하여 배관의 상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배관의 모니터링을 하는 데 있어서 관리자가 직업 맨홀 등을 통해서 배관에 진입하여 배관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는 동시에, 복잡한 센서 네트워크의 구성이 없이도, 매우 정밀하고 효율적으로 배관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를 서버를 통해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버를 통해서 통합적으로 관리되는 배관의 모니터링에 대한 이력 정보를 빅데이터로 활용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배관의 유지 보수의 필요성 및 사고 발생 가능성을 효율적으로 예측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관의 관리에 활용하여, 지역 내 등에서 통합적인 배관의 상태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배관 인근에서 관리가 이루어지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관리자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서버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배관 인근에서 관리가 이루어지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관리자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서버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방법의 수행 주체는, 도 10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될 컴퓨팅 장치에 포함되는 단말들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컴퓨팅 장치에는, 배관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관리자가 소유 또는 보유하는 단말서, 모바일 단말에 속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휴대용 PC, 모니터링 전용 휴대 단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적어도 컴퓨팅 장치에는, 입력, 출력 수단, 저장 수단, 프로세서 및 통신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먼저 관리자 단말은,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을 보유한 채로 이동하는 도중에 활성화 감지 단계(S10)를 수행하게 된다. S10 단계는 구체적으로, 관리자 단말이, 배관 내의 환경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배관 내의 상태 정보를 계측하는 계측기기에 연동되고, 배관 외부의 노출 공간에 근거리 통신망을 형성하는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으로부터 관리자 단말이 근거리 통신망 내에 위치되어 근거리 통신망을 통한 신호 송수신 기능이 활성화됨을 감지하는 단계이다.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계측기기에 상술한 근거리 통신망 또는 이외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어 계측기기로부터 계측기기가 계측한 배관 내의 환경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배관 내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임시 저장하고 있는 동시에, 근거리 통신망을 형성하여 이에 연결된 단말, 즉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관리자 단말에 임시 저장하고 있는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근거리 통신망이란,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및 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으로서, Wifi의 예에서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은 Wifi 공유기 등 단말의 주위에 Wifi망을 형성하여, 해당 망에 근접된 단말과의 페어링 또는 통신 연결 프로세스를 통해서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연결하게 된다. WLAN의 예에서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은 WLAN 전용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WLAN과 Wifi는 혼동될 수 있으나, WLAN은 유선 LAN을 무선화 하기 위해 전기전자기술자협회에서 IEEE802.11을 발표했고, IEEE802.11 기술규격의 브랜드 명이 wireless fidelity, 즉 Wifi이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은, 계측기기와 동일한 외부 전원 라인을 통해 구동되어, 일정 범위 내에 통신망을 형성하게 된다. S10 단계에서 관리자 단말은 해당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되는 단말로서, 이동 중에 특정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 가능한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게 된다. 판단 도중 상술한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에 의하여 형성된 상태의 통신망의 범위 내에 위치되면, 해당 근거리 통신망을 통한 신호(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이 활성화됨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S10 단계의 수행이 완료되면, 관리자 단말은 신호 송수신 기능이 활성화됨이 감지되고, 관리자 계정의 입력에 따라서 신호 송수신 기능이 활성화된 근거리 통신망에 대한 접속 요청이 감지된 경우,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관리자 계정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단계(S20)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은 컴퓨팅 장치에 포함되며, 이에 따라서 관리자는 자신의 계정을 이용하는 관리자 단말의 출력 수단에 표시되는 팝 업(Pop-Up) 화면 등을 통해서 S10 단계의 수행에 따라서 특정 근거리 통신망에 속하게 되어 해당 근거리 통신망을 통한 신호 송수신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음을 인지하게 된다. 이에 대한 화면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관리자 단말의 출력 수단(모니터, 터치 스크린 등)에 출력되는 화면(100)의 예이다. 해당 화면(100)을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이 이동하는 도중, 상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이 형성하는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가능함을 감지하게 되면, 팝업 화면(100) 등이 출력되어, 특정 계측기기(P1)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D1)에 연결 가능함을 알리는 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D1이 형성하는 근거리 통신망에 관리자 단말이 그 유효범위 영역에 위치되어 접속 가능함을 알리는 정보인 동시에, D1과 P1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서 D1이 형성하는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시 P1이 계측한 특정 배관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이때 관리자는, 계정에 따라서 접속한 도구인 관리자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해서, 해당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하여 그 신호 송수신 기능의 활성화를 구현하기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그 요청은 상술한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에 전송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과 연결된 서버에 그 요청 신호를 전송함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이 인증이 수행되는데, 해당 인증은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 일반적인 서비스 이용을 위한 계정 인증과 동일/유사한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인증 프로세스 역시,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에 인증 정보가 전송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과 연결된 서버에 그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서버 단말에서 인증이 수행되거나,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에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서버 단말로부터 인증에 유효한 인증 프로세스에 대한 데이터가 수신되어 저장되고 있으며, 관리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서 인증 프로세스가 수행됨을 의미할 수 있다.
S20 단계의 수행이 완료되면, 상술한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 및/또는 서버 단말과의 인증 정보 교환 및 인증 프로세스의 수행이 완료되며, 이때 S20 단계가 유효하게 완료되어 적법한 관리자로 인증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은 근거리 통신망과 관리자 단말 사이의 연결을 활성화하고, S20 단계에 의하여 인증된 관리자 계정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성되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한 계측기기의 제어 및 계측기기를 통해 계측된 상태 정보의 확인이 가능한 계측 인터페이스가 관리자 단말에서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앱 실행 단계(S30)를 수행하게 된다.
계측 인터페이스는 관리자 단말 등에 미리 설치되어 있거나, 상술한 바와 같이 S20 단계의 수행이 완료되면 임시 설치 또는 설치 및 기능 수행 후 삭제 등과 같은 프로세스와 같이 S20 단계의 수행이 완료될 시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으로부터 수신하여 설치되는 등의 다양한 설치 프로세스를 통해서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 또는 S20 단계의 수행이 완료된 경우 임시로 할당되는 어드레스 등을 통해서 접속 가능한 웹, 인트라넷 등의 실행에 따라서 관리자 단말의 출력 수단에 출력되는 정보 출력 및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이에 대한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화면(110)은 상술한 계측 인터페이스의 예로서, 해당 화면(110)에는, 측정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D1)에 접속되었음을 알리는 정보, 확인 가능한 계측기기 또는 계측기기가 설치된 배관 영역(P1)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을 배관 영역의 상태 정보(F1, H1, Q1)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육안 관찰 또는 해당 상태 정보의 확인에 따라서 해당 배관 영역에 대한 점검, 수리 및 사고 발생을 알릴 필요가 있는 경우, 수리 요청 메뉴(114) 또는 알림 요청 메뉴(115)를 통해서 이에 대한 정보를 서버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나머지 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이러한 계측 인터페이스의 화면은 관리자 계정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의 직급, 직무 등에 따라서 서로 다른 계측 인터페이스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낮은 직급인 경우, 수리 요청 등에 대해서는 이용할 수 없고, 상태 정보의 확인 및 서버로의 전송만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가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관리자가 배관의 수질 관리자인 경우, 수위 및 유량에 대한 정보에 대한 수리 요청 또는 사고 발행에 의한 알림 요청 등은 이용할 수 없으며, 수질에 대한 정보에 대한 모든 메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에서 확인할 수 있듯, 본 발명에서 배관 내의 상태 정보는, 배관의 상태에 대한 유지/보수 등에 필요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배관의 유량, 수위 및 수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치 및 이미지 촬영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핵심적인 목적은, 관리자가 맨홀 등을 통해서 배관에 직접 진입하지 않고도, 배관의 내부 상태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관리자의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계측 기기에는, 배관 내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S30 단계에 의하여 관리자 단말에서 실행 및 출력되는 계측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영상 촬영 장치에 대한 제어가 가능한 다수의 메뉴 및 영상 촬영 장치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영상 촬영 장치는 예를 들어 일반적인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등 구동 시 많은 전력이 소모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 영상 촬영 장치는 S30 단계의 수행 전까지 미구동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S30 단계는 도 2에 도시된 서브 단계를 포함하여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은 먼저, S20 단계가 유효하게 완료되는 경우, 상술한 S30 단계의 기능 수행 이외에, 영상 촬영 장치의 구동을 활성화하는 영상 촬영 요청 단계(S31)를 수행하게 된다. S31 단계는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이 특정 컴퓨팅 장치로 구성되어 상술한 계측기기 및 영상 촬영 장치의 전원 공급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관리자 단말이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에, 영상 촬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그 구동을 활성화시켜, 영상 촬영 장치가 설치된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해될 수 있다.
이후 관리자 단말은,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을 거쳐 촬영된 배관 내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계측 인터페이스의 출력 시, 이를 출력하도록 하는 영상 출력 단계(S32)를 수행한다.
한편, 예를 들어 영상 촬영 장치가 회전형 장치로 구성되고, 이에 따라서 카메라의 회전 또는 이동 등에 따라서 촬영 영역의 제어가 가능한 장치인 경우, 계측 인터페이스에는 영상 촬영 장치의 영상 촬영 영역을 제어할 수 잇는 촬영 제어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S31 내지 S32 단계가 수행되면, 계측 인터페이스의 일 화면에는, 영상 촬영 장치(C1)의 식별 정보 및 C1이 촬영한 이미지(I1)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계측 인터페이스에는 촬영 제어 메뉴(113)가 출력되어, 촬영 영역을 예를 들어 카메라를 회전함을 통해서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본 발명에서는 관리자 단말에 수집된 계측기기에 의하여 계측된 배관의 상태 정보를 상술한 서버 단말과 같은 특정 단말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30 단계의 수행이 완료된 후, 관리 서버는, 먼저 관리자 단말에 기 수집되어 저장된 상태인 상술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집 단계(S40)를 수행한다.
이때 상태 정보는 상술한 관리자 단말의 상술한 근거리 통신망 이외의 통신 수단의 활성화에 의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관리 서버에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배관의 상태 정보들은 지역 내에서 해당 배관 들의 관리 주체 및 행정 기관에 의하여만 관리될 필요가 있는 보호가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관리 서버는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컴퓨팅 장치에 포함되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때 근거리 통신망을 형성하는 기능뿐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계측기기의 제어 기능과 함께 유무선 네트워크가 가능한 통신 모듈이 탑재되어, 관리 서버와 보안이 확보된 통신망을 통해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S40 단계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관리 서버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데 있어서, S30 단계에 의하여 어느 한 근거리 통신망에 대한 관리자 단말의 접속이 활성화된 경우 수행되도록 하여, 일정한 프로토콜을 형성하면서 보안성이 높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보안상의 목적 이외에, S40 단계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한 관리자 단말로부터의 상태 정보의 전송을 통해 관리자 단말의 원거리 통신 기능의 탑재 여부에 관계없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 수행의 안정성 및 편의성에 대한 목적으로부터 도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S40 단계는 도 7의 화면(110)에 있어서, 우측 하단의 서버에 데이터 전송하기 메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예의 구현을 위해서 화면(110)은 상술한 S40 단계의 수행에 따라서 어느 한 근거리 통신망에 대한 관리자 단말의 접속이 활성화된 경우에만 선택 가능하도록 그 활성화가 제어될 수 있다.
S40 단계가 완료되면 관리 서버는 계측기기의 상태 정보를 계측기기 및 상태 정보의 타입별로 그룹핑하고, 각 그룹마다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정보 갱신 단계(S50)를 수행한다.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함은, S40 단계에 의하여 새롭게 수신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최신 상태 정보를 교환하거나, 상태 정보의 이력을 축적하는 프로세스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관리 서버 단말의 출력 수단에 출력되는 화면(120)의 예이다. 해당 화면(120)을 참조하면, 그룹화된 상태 정보를 각 그룹의 타입에 따라서 조회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어느 한 상태 정보는 다수의 타입의 그룹화마다 어느 한 그룹에 속하도록 관리될 수 있다.
즉, 어느 한 배관 영역(P2, P4)은, 지역별로 L1, L2 등으로 그룹핑되는 그릅들 중, L1 지역이 의미하는 그룹에 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맨홀의 타입에 따라서 다양한 타입에 대응되는 그룹 중 어느 한 그룹에 속하도록, 상수도 영역, 하수도 영역 별로 어느 한 그룹에 속하도록 관리될 수 있다. 또는 각 개별 영역별로 관리되어, 해당 관리되는 그룹에 대한 유저의 선택에 따라서 서로 다른 그룹에 상태 정보가 반영되어 조회될 수 있다.
이때 L1 지역의 그룹에 대한 상태 정보의 조회가 화면(120)에 그 예로서 도시되어 있는데, 상태 정보의 평균값, 사고 이력, 검검 이력, 수리 이력 등이 통합적으로 조회될 수 있어, 수집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배관의 환경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3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S50 단계가 수행되면 관리 서버는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된 상태 정보에 따라서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정보 생성 단계(S60)를 수행한다. S60 단계는 예를 들어 S50 단계에 의하여 관리되는 상태 정보에 대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예측 정보 등을 관리 정보로서 생성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이때 관리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태 정보의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가공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S60 단계의 수행은, 배관의 상태 정보에 따른 사고 발생 가능성 수치를 수집된 상태 정보 및 사고 발생 이력에 따라서 학습된 사고 예측 함수를 통해 생성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7의 화면에는 알림 요청 메뉴(115)가 신고 발생 시 관리 서버에 해당 신고의 발생에 대해서 알릴 수 있는 메뉴로서 존재한다. 이때 상태 정보는 상태 정보가 수집된 디바이스, 즉 계측기기의 정보, 계측기기의 계측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상술한 알림 요청 메뉴(115)의 선택 또는 기타 행정 기관에 대한 사고 발생 신고에 포함된 사고 위치 및 시점에 대한 정보와 상술한 계측기기의 식별 정보(위치 정보) 및 계측 시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어떤 상태 정보에서 사고 발생이 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머신 러닝(인공지능)에 따라 학습하도록 하고, 그 학습 결과를 사고 예측 함수로 도출 및 지속적인 학습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상태 정보에 따라서 언제 또는 어떤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며, 그 가능성 수치가 일정 확률을 초과 시 자동으로 관리 서버의 관리자 계정에 알림 신호를 전송하여 이에 대한 대비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사고 발생과 유사하게, 예를 들어 S60 단계의 수행은, 배관의 상태 정보에 따른 점검 필요성 수치 및 수리 필요성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된 상태 정보, 점검 이력 및 수리 이력에 따라서 학습된 관리 수치 함수를 통해 생성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이는, 사고 발생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게, 상술한 도 7의 화면(110)에서의 수리(점검) 요청(114)에 대한 선택, 실체 수리 시점 등에 대한 로그 정보와 계측기기의 식별 정보(위치 정보) 및 계측 시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어떤 상태 정보에서 점검 또는 수리 이력 발생이 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머신 러닝(인공지능)에 따라 학습하도록 하고, 그 학습 결과를 점검 필요성 수치 및 수리 필요성 수치를 도출하는 관리 수치 함수로 도출 및 지속적인 학습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도 9과 같은 화면(130)이 관리 서버 단말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P1 영역에 점검이 필요함을 알리는 화면이 출력되면서, 관리 서버 단말을 통해서 통합적인 배관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자는, 해당 P1 영역의 상태 정보 등의 세부 정보를, 상세 정보 확인하기 메뉴(131)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는 관리자가 행정 기관의 담당자인 경우, 실제 배관의 관리 업체 등에 점검 의뢰하기 메뉴(132)를 통해서 배관에 대한 점검을 의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를 통해서 통합적으로 관리되는 배관의 모니터링에 대한 이력 정보를 빅데이터로 활용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배관의 유지 보수의 필요성 및 사고 발생 가능성을 효율적으로 예측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관의 관리에 활용하여, 지역 내 등에서 통합적인 배관의 상태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장치(10, 이하 장치라 함)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배관 인근에서 관리가 이루어지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면들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장치(10)는 활성화 감지부(11), 인증부(12), 앱 실행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술한 도 3의 실시예에 대응하여, 관리 서버(40)는 정보 수집부(미도시), 정보 갱신부(미도시) 및 관리 정보 생성부(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활성화 감지부(11)는 배관(1) 내의 환경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배관(1) 내의 상태 정보를 계측하는 계측기기(50, 51, 52, 53)에 연동되고, 배관(1) 외부의 노출 공간(2)에 근거리 통신망을 형성하는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30)으로부터 관리자 단말(20)이 근거리 통신망 내에 위치되어 근거리 통신망을 통한 신호 송수신 기능이 활성화됨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계측기기(50, 51, 52, 53)는 상술한 유량 센서, 수위 센서, 수질 센서(50, 51, 52) 및 상술한 영상 촬영 기기(53)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고, 상술한 P1 등의 영역은, 배관(1) 상부 또는 맨홀(3) 등의 설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활성화 감지부(11)는 상술한 S10 단계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인증부(12)는 활성화 감지부(11)에 따라서 신호 송수신 기능이 활성화됨이 감지되고, 관리자 계정의 입력에 따라서 신호 송수신 기능이 활성화된 근거리 통신망에 대한 접속 요청이 감지된 경우,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관리자 계정의 인증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S20 단계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앱 실행부(13)는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되는 경우, 근거리 통신망과 관리자 단말(20)의 통신 모듈의 연결을 활성화하고, 인증부(12)에 의하여 인증된 관리자 계정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성되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한 계측기기(50, 51, 52, 53)의 제어 및 계측기기(50, 51, 52, 53)를 통해 계측된 상태 정보의 확인이 가능한 계측 인터페이스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S30 단계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정보 수집부는 앱 실행부(13)의 기능 수행 후, 관리자 단말(20)로부터 관리자 단말(20)에 기 수집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S40 단계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정보 갱신부는 계측기기(50, 51, 52, 53)의 상태 정보를 계측기기(50, 51, 52, 53) 및 상태 정보의 타입별로 그룹핑하고, 각 그룹마다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S50 단계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관리 정보 생성부는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된 상태 정보에 따라서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S60 단계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9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0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10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0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0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배관 내의 환경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배관 내의 상태 정보를 계측하는 계측기기에 연동되고 배관 외부의 노출 공간에 근거리 통신망을 형성하는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으로부터, 관리자 단말이 상기 근거리 통신망 내에 위치되어 상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한 신호 송수신 기능이 활성화됨을 감지하는 활성화 감지 단계;
    상기 활성화 감지 단계의 수행에 따라서 신호 송수신 기능이 활성화됨이 감지되고, 관리자 계정의 입력에 따라서 신호 송수신 기능이 활성화된 근거리 통신망에 대한 접속 요청이 감지된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관리자 계정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단계; 및
    상기 인증 단계가 유효하게 완료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망과 상기 관리자 단말의 연결을 활성화하고, 상기 인증 단계에 의하여 인증된 관리자 계정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성되며, 상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한 상기 계측기기의 제어 및 상기 계측기기를 통해 계측된 상태 정보의 확인이 가능한 계측 인터페이스가 관리자 단말에서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앱 실행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기기에는 상기 배관 내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앱 실행 단계의 수행 전까지 미구동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앱 실행 단계는,
    상기 인증 단계가 유효하게 완료되는 경우, 영상 촬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그 구동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영상 촬영 요청 단계; 및
    상기 계측 인터페이스에 상기 영상 촬영 요청 단계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구동이 활성화된 상기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된 배관 내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영상 출력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촬영 장치는 촬영 영역의 제어가 가능한 장치이며,
    상기 계측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영상 촬영 장치의 영상 촬영 영역을 제어할 수 있는 촬영 제어 메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내의 상태 정보는,
    상기 배관의 유량, 수위 및 수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치 및 이미지 촬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 실행 단계의 수행 후,
    관리 서버가, 관리자 단말로부터 관리자 단말에 기 수집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집 단계;
    상기 계측기기의 상태 정보를 계측기기 및 상태 정보의 타입별로 그룹핑하고, 각 그룹마다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정보 갱신 단계; 및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된 상태 정보에 따라서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정보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배관의 상태 정보에 따른 사고 발생 가능성 수치를 수집된 상태 정보 및 사고 발생 이력에 따라서 학습된 사고 예측 함수를 통해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배관의 상태 정보에 따른 점검 필요성 수치 및 수리 필요성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된 상태 정보, 점검 이력 및 수리 이력에 따라서 학습된 관리 수치 함수를 통해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상기 정보 수집 단계는,
    상기 앱 실행 단계에 의하여 어느 한 근거리 통신망에 대한 관리자 단말의 접속이 활성화된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방법,
  9.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관 내의 환경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배관 내의 상태 정보를 계측하는 계측기기에 연동되고 배관 외부의 노출 공간에 근거리 통신망을 형성하는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으로부터, 관리자 단말이 상기 근거리 통신망 내에 위치되어 상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한 신호 송수신 기능이 활성화됨을 감지하는 활성화 감지부;
    상기 활성화 감지부에 따라서 신호 송수신 기능이 활성화됨이 감지되고, 관리자 계정의 입력에 따라서 신호 송수신 기능이 활성화된 근거리 통신망에 대한 접속 요청이 감지된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관리자 계정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망과 관리자 단말의 통신 모듈의 연결을 활성화하고, 상기 인증부에 의하여 인증된 관리자 계정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성되며, 상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한 상기 계측기기의 제어 및 상기 계측기기를 통해 계측된 상태 정보의 확인이 가능한 계측 인터페이스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앱 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기기에는 상기 배관 내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앱 실행 단계의 수행 전까지 미구동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앱 실행부는,
    상기 인증에 의하여 관리자 계정의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되는 경우, 영상 촬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그 구동을 활성화하도록 하고,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구동이 활성화된 상기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된 배관 내 영상이 상기 계측 인터페이스에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영상 촬영 장치는 촬영 영역의 제어가 가능한 장치이며,
    상기 계측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영상 촬영 장치의 영상 촬영 영역을 제어할 수 있는 촬영 제어 메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장치.
  10.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배관 내의 환경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배관 내의 상태 정보를 계측하는 계측기기에 연동되고 배관 외부의 노출 공간에 근거리 통신망을 형성하는 근거리 통신망 형성 수단으로부터, 관리자 단말이 상기 근거리 통신망 내에 위치되어 상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한 신호 송수신 기능이 활성화됨을 감지하는 활성화 감지 단계;
    상기 활성화 감지 단계의 수행에 따라서 신호 송수신 기능이 활성화됨이 감지되고, 관리자 계정의 입력에 따라서 신호 송수신 기능이 활성화된 근거리 통신망에 대한 접속 요청이 감지된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관리자 계정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단계; 및
    상기 인증 단계가 유효하게 완료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망과 상기 관리자 단말의 연결을 활성화하고, 상기 인증 단계에 의하여 인증된 관리자 계정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성되며, 상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한 상기 계측기기의 제어 및 상기 계측기기를 통해 계측된 상태 정보의 확인이 가능한 계측 인터페이스가 관리자 단말에서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앱 실행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기기에는 상기 배관 내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앱 실행 단계의 수행 전까지 미구동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앱 실행 단계는,
    상기 인증 단계가 유효하게 완료되는 경우, 영상 촬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그 구동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영상 촬영 요청 단계; 및
    상기 계측 인터페이스에 상기 영상 촬영 요청 단계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구동이 활성화된 상기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된 배관 내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영상 출력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촬영 장치는 촬영 영역의 제어가 가능한 장치이며,
    상기 계측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영상 촬영 장치의 영상 촬영 영역을 제어할 수 있는 촬영 제어 메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00134060A 2020-10-16 2020-10-16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257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060A KR102257875B1 (ko) 2020-10-16 2020-10-16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060A KR102257875B1 (ko) 2020-10-16 2020-10-16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875B1 true KR102257875B1 (ko) 2021-05-28

Family

ID=76140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060A KR102257875B1 (ko) 2020-10-16 2020-10-16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8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662B1 (ko) * 2022-04-04 2022-11-28 김상준 하수처리장 통합관리 서버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KR102541611B1 (ko) * 2022-12-15 2023-06-13 주식회사 아이티엠건축사사무소 배수관 수위센서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7248A (ko) * 2012-04-18 2013-10-25 인덕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하상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56728B1 (ko) * 2018-11-21 2019-03-11 김병근 보안성이 향상된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KR102024707B1 (ko) * 2019-03-14 2019-09-25 (주)단엔지니어링 상하수 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 구조
KR102101625B1 (ko) * 2019-11-27 2020-04-17 (주)케이엠에스 스마트 워터 시티 구축을 위한 ict 통합 모니터링 물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통합관제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7248A (ko) * 2012-04-18 2013-10-25 인덕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하상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56728B1 (ko) * 2018-11-21 2019-03-11 김병근 보안성이 향상된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KR102024707B1 (ko) * 2019-03-14 2019-09-25 (주)단엔지니어링 상하수 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 구조
KR102101625B1 (ko) * 2019-11-27 2020-04-17 (주)케이엠에스 스마트 워터 시티 구축을 위한 ict 통합 모니터링 물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통합관제서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662B1 (ko) * 2022-04-04 2022-11-28 김상준 하수처리장 통합관리 서버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KR102541611B1 (ko) * 2022-12-15 2023-06-13 주식회사 아이티엠건축사사무소 배수관 수위센서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875B1 (ko) 배관 내 환경 정보의 원격 계측 및 통합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386591B1 (ko) 감시카메라 통합관리시스템
JP2009135892A (ja) 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位置依存制御アクセス
JP2015529869A5 (ko)
CN102457716A (zh) 监视摄像机装置及监视摄像机装置的控制方法
KR101727530B1 (ko)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
CN103985008A (zh) 一种城市地下管道智能监控系统
KR10231908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화재예방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31640B1 (ko) 스마트 건물 시공 현장 및 건물 관제 시스템
KR102584863B1 (ko)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
KR20200041473A (ko)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05368A (ko) 태양광 발전기의 운용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9118179A1 (en) Role-based locking system for plants unattended premises
KR102260321B1 (ko) 토목 시공 현장의 관리 시스템 구축 및 이를 이용한 토목 시공 현장 관리 장치
KR102231648B1 (ko)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549245B1 (ko) IoT 기반 전기차 급속/완속 충전기 원격 차단기 제어시스템
Kang et al. Automate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embedded robot type smart car based on wireless sensors
KR101217674B1 (ko) 수배전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116748B2 (ja) 船舶内の復旧作業管理の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方法
KR102039032B1 (ko) 차단기 트립 감지 장치 및 lpwa 통신 방식을 이용한 차단기 모니터링 방법
JP2015018477A (ja) 電子計量システム及び電子計量器のプログラム改竄処理方法
KR102541264B1 (ko) 지역 내 공사 현장 주변의 주민 참여형 환경 관리 시스템
KR102465619B1 (ko) 디지털 마커를 이용한 판넬 내부 공간 별 화재예측 시스템
KR102614763B1 (ko) 층간소음 측정 장치, 및 스마트 중재 서버와 층간소음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스마트 중재 방법
KR102672221B1 (ko) 시공 현장의 작업자 상태 정보를 이용한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