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791A - 사용영역 제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사용영역 제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791A
KR20140028791A KR1020120095882A KR20120095882A KR20140028791A KR 20140028791 A KR20140028791 A KR 20140028791A KR 1020120095882 A KR1020120095882 A KR 1020120095882A KR 20120095882 A KR20120095882 A KR 20120095882A KR 20140028791 A KR20140028791 A KR 20140028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ap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4018B1 (ko
Inventor
김대규
Original Assignee
(주)아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젠텍 filed Critical (주)아젠텍
Priority to KR1020120095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018B1/ko
Publication of KR20140028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4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user or terminal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moving direction,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를 지원하면서 사용영역 제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GPS 수신기와, GPS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표정보를 설정된 사용허용영역이 이미지값으로 저장된 지정영역 이미지 내에 맵핑시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사용허용영역 이내인지를 판별하고, 사용허용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영역제한기능의 수행을 차단하는 영역제한 수행모듈이 설치된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사용영역 제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사용허용영역을 지도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 정보로서 보관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좌표정보를 이미지 정보내에 맵핑시켜 사용허용영역 인지 유무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허용영역 판별을 위한 연산 처리가 용이하고, 사용허용영역의 설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영역 제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phone limited use area}
본 발명은 사용영역 제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설정된 사용허용영역을 벗어나면 설정된 제한기능의 수행이 차된되게 처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통신 기술에 발전으로 휴대폰, 스마트폰으로 불리우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모든 사람들의 필수품이 되었으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화와 고성능화에 따른 사생활 침해 및 정보유출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는 지역에서도 벨이 울리거나 통화를 하는 사람들도 부지기수이다. 예를 들어, 카메라폰을 이용하여 다른 사람을 몰래 촬영하거나 각종 기밀문서 촬영, 휴대폰 안의 메모리에 데이터 저장 등이 가능하며, 콘서트나 연극, 영화관에서도 벨이 울리거나 통화를 하는 사람들은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안을 요하는 특정 지역이나 건물에서는 출입 시마다 일일이 핸드폰을 잠시 보관시키거나 카메라 모듈이 부착된 모든 핸드폰 마다 카메라 렌즈부분을 봉해주고 있다.
그리고 콘서트나 연극, 영화관에서는 관람 전 핸드폰을 꺼두도록 요청하지만 모두가 지키지는 않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제한 구역과 비제한 구역에 대해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국내 공개특허 제10-2007-0004390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장치는 의사잡음 신호를 발생하는 송출장치를 제한구역의 경계영역에 설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한 구역내에서는 특정기능의 수행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기업 영역 내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상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기업영역을 벗어난 경우 사용이 제한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적으로 위치를 파악하여 설정된 사용허용영역을 벗어나면 설정된 특정기능의 수행이 차단되도록 처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영역 제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은 통화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GPS 수신기와; 상기 GPS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표정보를 설정된 사용허용영역이 이미지값으로 저장된 지정영역 이미지 내에 맵핑시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사용허용영역 이내인지를 판별하고, 사용허용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영역제한기능의 수행을 차단하는 영역제한 수행모듈이 설치된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영역제한 수행모듈은 상기 GPS수신기에서 수신된 좌표정보를 상기 사용허용 영역 이미지에 맵핑시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사용허용영역 이내인지를 판별하는 단말기 영역 판별부와; 상기 단말기 영역 판별부로부터 사용허용영역을 벗어낫다는 신호가 수신되면 설정된 영역제한기능의 수행이 차단되게 처리하는 기능제한 처리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영역제한 수행모듈은 상기 사용허용 영역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고, 제공된 메뉴의 실행에 의해 설정된 사용허용영역 이미지 정보를 상기 단말기 영역 판별부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영역지정 지원부;와 상기 제어부에 제어되어 표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의 표시 화면영역에 대해 터치 조작에 의해 입력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터치스크린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영역지정 지원부는 사용자의 실행조작신호가 수신되면 통신망을 통해 설정된 지도정보 제공서버로부터 지도를 수신받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게 로딩시키는 지도로딩처리부와; 상기 지도로딩 처리부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지도 이미지 내에 사용자가 선택한 지점들을 상호 선분으로 연결한 폐궤도 영역을 상기 사용허용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포인트 지정처리부와; 상기 지도로딩 처리부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지도 이미지에 오버랩시켜 사용허용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다양한 모양의 영역마커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선택된 영역마커를 상기 지도 이미지 내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오버랩시켜 확정한 오버랩영역을 상기 사용허용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문양 지정 처리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양 지정 처리부는 상기 지도 이미지는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영역마커의 크기가 확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사용허용 영역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상기 영역제한 수행모듈은 상기 기능제한 처리부에 의해 설정된 영역제한기능의 수행이 차단된 상태에서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와 일회용 암호를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영역제한기능의 차단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오티피 처리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영역 제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사용허용영역을 지도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 정보로서 보관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좌표정보를 이미지 정보내에 맵핑시켜 사용허용영역 인지 유무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허용영역 판별을 위한 연산 처리가 용이하고, 사용허용영역의 설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적용된 사용영역 제한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느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영역제한 수행 모듈의 상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영역제한 수행모듈의 수행과정을 나타내 보인 플로우도이고,
도 5는 도 3의 영역제한 수행모듈의 영역지정 지원부의 실행시 제공되는 초기화면의 예를 나타내 보인 표시부의 화면이고,
도 6은 도 5의 스크린샷 메뉴를 선택하였을 때 지도가 로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표시부의 화면이고,
도 7은 메뉴키의 조작에 의해 영역지정 지원부에 의해 제공되는 메뉴를 나타내 보인 표시부의 화면이고,
도 8은 도 7의 영역지정 메뉴를 선택하였을 때 제공되는 메뉴를 나타내 보인 화면이고,
도 9는 도 8의 포인트지정메뉴를 선택한 후 사용허용영역을 포인트 지정에 의해 확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표시부의 화면이고,
도 10은 도 8의 사용자 지정메뉴를 선택하여 리스트된 영역마커들 중 선택된 영역마커가 지도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표시부의 화면이고,
도 11 내지 도 13은 영역마커를 확대, 축소 및 이동하여 사용허용영역을 지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표시부의 화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영역 제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적용된 사용영역 제한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느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영역제한 수행 모듈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통신망(10)을 통해 지도정보 제공서버(300) 및 관리서버(400)와 통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통신망(10)은 인터넷을 포함한 유무선 통신망을 말한다.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통화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입력부(212), 표시부(214), GPS수신기(220), 무선통신부(230), 마이크로폰(241), 스피커(243), 기억부(250), 제어부(260)를 구비한다.
입력부(212)는 메뉴키(212a), 홈키(212b), 되돌림키(212c) 등 입력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표시부(214)는 표시정보를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260)에 제어되어 표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14)의 표시 화면영역에 대해 터치 조작에 의해 입력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터치스크린(210)을 적용한다.
GPS수신기(220)는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여 제어부(260)에 제공한다.
무선 통신부(230)는 제어부(260)에 제어되어 통신망(10)을 통해 신호의 송수신을 처리한다.
기억부(250)에는 각종 응용프로그램(APP1, APPn) 및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260)는 통화, 데이터 송수신을 포함한 일반적인 통신단말기의 제어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가 사용허용영역인지의 여부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제공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허용 및 차단하는 영역제한 수행모듈(270)이 탑재되어 있다.
영역제한 수행모듈(270)은 GPS 수신기(220)로부터 수신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현재 좌표정보를 설정된 사용허용영역이 이미지값으로 저장된 지정영역 이미지 내에 맵핑시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가 사용허용영역 이내인지를 판별하고, 사용허용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영역제한기능의 수행을 차단한다.
여기서, 설정된 영역제한기능이란 사용허용영역 이내에서는 정상적인 기능수행이 이루어지고, 사용허용영역을 벗어나면 기능수행이 차단되도록 설정된 기능을 말하며, 영역제한기능의 대상으로서는 일 예로서, 기억부(250)에 저장된 특정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또는 실행차단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영역제한 수행모듈(270)은 영역제한 수행모듈(270)에서 지원되는 기능을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실행 아이콘 형태로 표시부(214)에 표시되게 제공되게 설정된 경우 사용자가 실행 아이콘을 조작하면 지원되는 기능을 설정 및 실행할 수 있도록 메뉴를 제공하고, 제공된 메뉴의 선택에 대응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축되어 있다.
영역제한 수행모듈(270)은 단말기 영역 판별부(271), 영역지정 지원부(273), 기능제한 처리부(275) 및 오피티(OTP)처리부(277)를 구비한다.
단말기 영역 판별부(271)는 GPS수신기(220)에서 수신된 좌표정보를 사용허용 영역 이미지에 맵핑시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가 사용허용영역 이내인지를 판별하고, 사용허용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이탈정보를 기능제한 처리부(275)에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허용 영역 이미지는 이미지 형태로 보관되되 현재 좌표정보를 이미지 내에 맵핑시킬 수 있도록 하나의 특정 픽셀점의 위도, 경도 정보와 픽셀간격에 대응한 거리정보를 산출할 수 있는 지도 배율정보를 갖고 있어, 사용허용 영역 이미지 내에 현재 좌표를 대응되는 픽셀에 마킹되도록 처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별도의 지도 데이터베이스 없이도 현재 위치가 사용허용영역인지를 유무를 쉽게 판단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영역지정 지원부(273)는 사용허용 영역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고, 제공된 메뉴의 실행에 의해 설정된 사용허용영역 이미지 정보를 단말기 영역 판별부(271)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도 5는 영역지정 지원부(273)의 실행을 선택하는 메뉴를 클릭하였을 때 제공되는 초기화면의 예로서, 스크린샷버튼(501)을 클릭하면 후술되는 지도로딩 처리부(273a)가 실행되어 구글(Google) 맵 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 제공서버(300)로부터 지도정도를 받도록 설정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를 표시하고, 이후 메뉴키(212a)를 클릭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하단에 메뉴창(502)을 표시하고, 영영지정메뉴(503)를 클릭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트 지정메뉴와, 사용자 지정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허용영역을 지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영역지정 지원부(273)의 지도로딩 처리부(273a), 포인트 지정처리부(273b), 문양지정 처리부(273c)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도로딩 처리부(273a)는 사용자의 실행조작신호인 스크린샷(501) 조작 수신되면 통신망(10)을 통해 설정된 지도정보 제공서버(300)로부터 지도를 수신받아 터치스크린(210)의 표시부(214)의 화면에 표시되게 로딩시킨다.
여기서 로딩되는 지도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조작에 의해 위치 이동 및 배율 축소 또는 확대되도록 되어 있어 설정하고자 하는 사용허용 영역이 표시부(214)화면 내에 모두가 나타나도록 배율을 적절히 조작한 후 후술되는 영역지정 지원부(273)에 의해 사용허용 영역을 지정하면 된다.
포인트 지정처리부(273b)는 도 8에서 제공된 포인트지정 메뉴를 선택하면 실행되며, 지도로딩 처리부(273a)에 의해 터치스크린(210)에 표시된 지도 이미지 내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위에 사용자가 터치스크린(210) 화면상에 터치 입력하여 선택한 지점들을 상호 선분으로 연결한 폐궤도 영역을 사용허용 영역으로 지정하면 해당영역을 사용허용영역 이미지로 지정 처리한다. 여기서, 사용허용 영역은 사용자가 지정한 좌표의 경도, 위도와 지도의 배율정보를 파일이름으로 하여 사용허용영역 이미지 파일로 저정처리된다. 일 예로서, 참조부호 512 지점이 맨처음 선택한 지점이고, 이 지점의 경도가 36.123456이고, 위도가 127.123456이며 배출이 18인 경우 사용허용영역 이미지 파일은 36.123456&127.123456(18).png 라는 파일명으로 대응되는 폐궤도 영역 이미지가 저장처리된다.
문양지정 처리부(273)는 도 8에서 사용자 지정메뉴를 선택하면 실행되며, 지도로딩 처리부(273a)에 의해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210)에 표시된 지도 이미지에 오버랩시켜 사용허용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다양한 모양의 영역마커(520)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부(214)에 표시되게 지원하고, 리스트된 영역마커(420)들 중 선택된 영역마커(520)를 지도 이미지 내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오버랩되게 확정된 오버랩영역을 사용허용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여기서 문양마커(520)는 도시된 별모양 이외에도 원모양, 사각모양 등 사용자가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문양 지정 처리부(273c)는 지도 이미지가 고정된 상태에서 도 11 내지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영역마커(520)의 크기가 확장 또는 축소 및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허용 영역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기능제한 처리부(275)는 단말기 영역 판별부(271)로부터 사용허용영역을 벗어 낫다는 신호가 수신되면 설정된 제한기능의 수행이 차단되게 처리한다.
여기서 제한기능은 앞서 설명된 것 처럼 기억부(250)에 저장된 특정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차단, 기억부(250)에 저장된 문서의 열람차단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오티피(OTP)처리부(277)는 기능제한 처리부(275)에 의해 설정된 영역제한기능의 수행이 차단된 상태에서 통신망(10)을 통해 관리서버(400)와 일회용 암호(OTP;one time password)를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영역제한 기능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여기서 관리서버(4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사용허용 영역 범위를 벗어난 경우 설정된 영역제한 기능의 차단을 일시적으로 해제시키고자 할 때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통신망(10)을 통해 수신된 일회용 암호의 인증을 통해 일시적 해제시키는 것을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지시하여 처리될 수 있도록 구축된 것이다.
이러한 영역제한 수행모듈(270)의 도 4를 통해 설명하면, 단말기 현재 좌표값을 GPS수신기(220)로 수신하고(단계 610), 지정영역 이미지에 현재 좌표 포인트를 매칭시켜(단계 620), 사용허용영역안 인지를 판단한다(단계 630).
단계 630에서 현재 위치가 사용허용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영역제한기능의 실행이 차단되게 수행하고(단계 660), 단계 650에서 일시해제 요청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오티피 처리부(277)를 실행시켜 발생된 일회용 암호인 비밀번호를 관리서버(400)로 송신하고, 관리서버(400)에서 비밀번호가 일치되는지를 판단하여(단계 670), 비밀번호가 일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60)로 일시 해제신호를 송신하여 차단했던 영역제한기능을 설정된 해제시간동안 실행될 수 있게 해제한다(단계 680).
200: 이동통신 단말기 270: 영역제한 수행모듈
271: 단말기 영역 판별부 273: 영역지정 지원부
275: 기능제한 처리부 277: 오티피 처리부

Claims (6)

  1. 통화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GPS 수신기와;
    상기 GPS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표정보를 설정된 사용허용영역이 이미지값으로 저장된 지정영역 이미지 내에 맵핑시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사용허용영역 이내인지를 판별하고, 사용허용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영역제한기능의 수행을 차단하는 영역제한 수행모듈이 설치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제한 수행모듈은
    상기 GPS수신기에서 수신된 좌표정보를 상기 사용허용 영역 이미지에 맵핑시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사용허용영역 이내인지를 판별하는 단말기 영역 판별부와;
    상기 단말기 영역 판별부로부터 사용허용영역을 벗어낫다는 신호가 수신되면 설정된 영역제한기능의 수행이 차단되게 처리하는 기능제한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제한 수행모듈은
    상기 사용허용 영역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고, 제공된 메뉴의 실행에 의해 설정된 사용허용영역 이미지 정보를 상기 단말기 영역 판별부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영역지정 지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제어되어 표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의 표시 화면영역에 대해 터치 조작에 의해 입력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터치스크린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영역지정 지원부는
    사용자의 실행조작신호가 수신되면 통신망을 통해 설정된 지도정보 제공서버로부터 지도를 수신받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게 로딩시키는 지도로딩처리부와;
    상기 지도로딩 처리부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지도 이미지 내에 사용자가 선택한 지점들을 상호 선분으로 연결한 폐궤도 영역을 상기 사용허용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포인트 지정처리부와;
    상기 지도로딩 처리부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지도 이미지에 오버랩시켜 사용허용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다양한 모양의 영역마커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선택된 영역마커를 상기 지도 이미지 내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오버랩시켜 확정한 오버랩영역을 상기 사용허용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문양 지정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 지정 처리부는 상기 지도 이미지는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영역마커의 크기가 확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사용허용 영역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제한 수행모듈은
    상기 기능제한 처리부에 의해 설정된 영역제한기능의 수행이 차단된 상태에서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와 일회용 암호를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영역제한기능의 차단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오티피 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120095882A 2012-08-30 2012-08-30 사용영역 제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454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882A KR101454018B1 (ko) 2012-08-30 2012-08-30 사용영역 제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882A KR101454018B1 (ko) 2012-08-30 2012-08-30 사용영역 제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791A true KR20140028791A (ko) 2014-03-10
KR101454018B1 KR101454018B1 (ko) 2014-10-27

Family

ID=50642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882A KR101454018B1 (ko) 2012-08-30 2012-08-30 사용영역 제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728B1 (ko) * 2018-11-21 2019-03-11 김병근 보안성이 향상된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560A (ko)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바이널익스피리언스 사용자 위치정보를 이용한 스마트폰 잠금과 잠금해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510B1 (ko) * 2010-12-07 2012-12-18 주식회사 씽크풀 위치기반의 서비스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12096B1 (ko) * 2010-05-04 2012-02-22 주식회사 에스원 지정된 위치와 시간에 따른 통화 대상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701812B1 (ko) * 2010-09-30 2017-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728B1 (ko) * 2018-11-21 2019-03-11 김병근 보안성이 향상된 수처리 시설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4018B1 (ko) 201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40571A1 (en) Method and device for editing virtual scen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8903359B2 (en) Mobile device and NFC service protection method of the mobile device
CN110035180B (zh) 卡片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9258715B2 (en) Proactive security for mobile devices
US10638319B2 (en) Wi-Fi connection method,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20050202832A1 (en) Privacy features for a cellular telephone location identification system
JP2017518598A (ja) 権限管理方法、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3534705A (zh) 私密和公开应用
US8660587B2 (en)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using time period
EP3686736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pplication interface
KR20150032963A (ko)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장치 및 방법
US20180121057A1 (en) Method and device for hiding application icon
JP2013074499A (ja) 情報処理端末、アイコン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80241724A1 (en) Wi-fi connection method,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101454018B1 (ko) 사용영역 제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140107909A (ko) 가상 키패드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50248565A1 (en) Information system, control program for management server, and control program for mobile device
US9706347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position
EP2843918B1 (en) Restricting the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CN107071008B (zh) 终端设备的定位方法、装置和设备
EP3255575A1 (en) Application triggering method and device
KR101944447B1 (ko) 아이콘을 이용한 화면 잠금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
KR10172870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배경 이미지 활용 방법
CN112685733A (zh) 安全检测方法、安全检测装置及存储介质
JP570377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