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598B1 - Braking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 - Google Patents

Braking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598B1
KR101956598B1 KR1020180013886A KR20180013886A KR101956598B1 KR 101956598 B1 KR101956598 B1 KR 101956598B1 KR 1020180013886 A KR1020180013886 A KR 1020180013886A KR 20180013886 A KR20180013886 A KR 20180013886A KR 101956598 B1 KR101956598 B1 KR 101956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st
sector gear
braking
engine
thr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8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석수
강영선
소진환
신종필
신익환
임송수
김상규
조민영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3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5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5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01Braking or traction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15Systems characterised by having means acting on components of the drive line, e.g. retarder, clutch or differential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65Mechanical control linkage between an actuator and the flap, e.g. including levers, gears, springs, clutches, limit stops of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machine having various functions by an operation of a braking pedal. The agricultural machine comprises: a main shift lever (10) which is operated by a user; a potentiometer (12) which senses an operating direction and an operating amount of the main shift lever; a braking pedal (23) for braking; a limit switch (23b) which senses an operation of the braking pedal; an electric controlling unit (20) for operating an engine rev count of the agricultural machine and output of HST; and a controlling unit (50) which controls the electric controlling unit based on a sensing signal of the potentiometer. The electric controlling unit includes a driving motor (22); a sector gear (24); an HST connecting rod (26); a cam member (30); and a throttle lever (28). The sector gear (24) is operated by the driving motor, and is installed in a base to be able to rotate. The HST connecting rod (26) is connected to the sector gear and operates a swash plate of the HST by rotation of the sector gear. The cam member (30) is connected to the sector gear and includes a forward cam curved surface and a backward cam curved surface. The throttle lever (28) allows a lower roller to touch the forward cam curved surface and the backward cam curved surface, is rotated in the base through a center shaft, and allows an upper end unit to be connected to a throttle cable (Wa) for increasing the rev count of the engine. The controlling unit controls the HST to be a neutral state and controls an engine to be in an idle state with a sensing signal of the limit switch of the braking pedal.

Description

전동제어에 의한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농기계{Braking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ing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

본 발명은 이식기 등과 같은 농기계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동페달에서 와이어 및 링크에 의한 신호의 전달에 대신하여 전동 제어 유닛을 이용하여 제동 신호에 대하여 엔진 및 HST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제동 및 주변 기능 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농기계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ing device for an agricultural machine such as a transporter, and more particularl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gricultural machine equipped with a braking device configured to enable more stable braking and peripheral function processing.

이식기 및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의 주행에 있어서는 HST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HST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다양한 설정이 가능한데, 예를 들면 전진 및 후진을 HST에서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방식도 가능하고, 변속단수 및 전후진 자체를 트랜스미션에서 결정하고 HST에서는 사판의 경사 각도를 이용하여 출력의 크기만을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엔진의 스로틀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엔진의 회전수를 기본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은 당연하고, 정해진 환경 하에서 주변속레버를 통한 HST 제어를 통하여 출력 회전수를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It is common to use HST for driving farm machinery such as transporters and tractors. For example, forward and reverse can be determined by HST, transmission gear ratio and forward / reverse gear itself are determined by transmission, and in HST, using slope angle of swash plate,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such that only the size of the output can be determined.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ngine can be basically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throttle valve of the engine, and the output revolution speed can be controlled within a certain range through the HST control through the peripheral speed lever under a predetermined environment.

종래 기술에 의하면, 주변속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HST 및 엔진의 스로틀 제어는 각각 별도의 링크 및 와이어에 의하여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기구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조작시 반력에 의한 조작의 어려움 및 불편함이 있을 수밖에 없고, 농기계의 부하에 따라서 HST에 대한 제어가 원활하지 못한 단점도 기적되고 있다.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by the operation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the HST and the throttle control of the engine are mechanically connected by separate links and wires, respectively. However, it is difficult to manipulate by reaction force and inconvenience when it is connected mechanically, and the disadvantage that the control on HST is not smooth according to the load of farm machinery is also a miracle.

그리고 와이어 및 링크를 통하여 전체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 예를 들면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서 실제 제동이 이루어지거나 HST의 중립 상태가 구현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정확하면서도 신속한 반응에 불만족할 수밖에 없음은 물론이고, 특정 페달 또는 레버의 조작시 반력에 의하여 정확한 동작이 어려운 경우도 발생하기도 한다. When the entire connection is made through the wire and the link, for example, it takes time until the braking pedal is actually depressed or the neutral state of the HST is realized. Therefore, it is not only dissatisfied with the accurate and quick response, but also sometimes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operate due to the reaction force when operating the specific pedal or lever.

또한 주변속레버의 조작에 기초하여 엔진의 스로틀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기술에 있어서도, 전진과 후진의 경우 각각의 가속도는 별도로 제어되는데, 이러한 가속도의 제어는 전자적 제어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전진 및 후진의 경우 가속도를 각각 상이하게 설정하는 것이 기구적으로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면, 전자적 제어에 비하여 신뢰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lso, in the technique in which the throttle valve of the engine is controlled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levers in the vicinity, the accelera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s separately controlled, and such acceleration is generally controlled through electronic control. However, it is expected that if the acceleration and the acceleration are set differentl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reliability can be sufficien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electronic control.

본 발명의 목적은, 제동 페달의 조작시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반응을 일으키는 농기계의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aking device for an agricultural machine which can promptly and precisely react upon operation of a brake ped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출발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속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농기계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gricultural machine in which acceleration can be progressively performed so as to prevent a sudden start and / or the lik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주변속레버, 상기 주변속레버의 조작 방향 및 조작량을 감지하기 위한 포텐셔미터, 제동을 위한 제동페달, 제동페달의 작동 여부를 r감지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 농기계의 엔진 회전수 조작 및 HST의 출력 조작을 위한 전동제어유닛, 그리고 상기 포텐셔미터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전동제어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 peripheral lever for operating a user; a potentiometer for sensing an operation direction and an operation amount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a braking pedal for brak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control unit on the basis of the detection signal of the potentiometer.

여기서 본 발명의 전동제어유닛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작동되고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섹터기어, 상기 섹터기어와 연결되어 섹터기어의 회전에 따라서 HST의 사판을 조작하는 HST 연결로드, 상기 섹터기어와 같이 연동하고 전진캠곡면과 후진캠곡면을 구비하는 캠부재, 그리고 하단롤러가 상기 전진캠곡면 또는 후진캠곡면에 접촉하고 중심축을 통하여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단부가 엔진 회전수를 높이는 스로틀케이블과 연결되는 스로틀레버로 구성된다. Here, the electric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e motor, a sector gear that is operated by the drive motor a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and an HST connec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sector gear and operates the swash plate of the HST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sector gear. A cam member interlocked with the sector gear and having a forward cam surface and a backward cam surface, and a lower roller contacting the forward cam surface or the backward cam surface and pivotally connected to the base through a central shaft, And a throttle lever connected to the throttle cable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상술한 리미트스위치의 감지신호에 의하여, 제어부는 HST가 중립상태가 됨과 동시에 엔진이 아이들상태가 되도록, 구동모터를 통하여 섹터기어를 제어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ector gear through the drive motor so that the HST becomes the neutral state and the engine becomes the idle stat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limit switch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동페달과 엔진의 스로틀밸브를 연결하는 제2스로틀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제동페달을 밟으면 제2스로틀케이블은 이완되고 상기 하단롤러는 캠부재의 오목홈에 결합되어 엔진의 로우 아이들 상태로 되는 제어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king pedal further includes a second throttle cable connecting the throttle valve of the engine to the throttle valve. When the braking pedal is depressed, the second throttle cable is relaxed and the lower roller is engaged with the concave groove of the cam member And is controlled to be brought into the low idle state of the engin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동페달을 밟으면 일측으로 이동하도록 제동페달과 연결되는 연동로드와, 농기계의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 그리고 상기 제동페달의 동작에 의한 연동로드의 움직임을 상기 클러치의 단속을 수행하는 포크의 동작으로 연동시키는 전달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comprising: an interlocking rod connected to a braking pedal to move to one side when the braking pedal is depressed; a clutch for interrupting power of an agricultural machine; And a transmitting means for interlocking with the operation of the fork for interrupting the clutch.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전동제어유닛의 섹터기어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송함으로써,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포텐셔미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otentiometer for controlling the drive motor by sensing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sector gear of the electric control unit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trol unit.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동모터에 의하여 일정 구간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섹터기어에 의하여, 스로틀레버를 통한 엔진의 회전수 조절 및 HST 연결로드를 통하여 HST의 출력제어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tor gear which is rotated forward or reverse by a predetermined section by the above-mentioned drive motor has the feature that the output of the HST is simultaneously controlled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ngine through the throttle lever and the HST connection rod.

그리고 본 발명 캠부재의 전진캠곡면과 후진캠곡면은, 스로틀레버를 통하여 스로틀케이블을 잡아당기는 양을 다르게 할 수 있도록, 곡면이 상이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the forward cam surface and the backward cam surface of the cam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different curved surfaces so that the amount of pulling the throttle cable through the throttle lever can be different.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하나의 구동모터가 섹터기어 및 캠부재를 통하여 스로틀레버를 조작과 동시에 HST 연결로드를 통하여 HST의 제어도 동시에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농기계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ne of the driving motors, which is basic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simultaneously controls the throttle lever via the sector gear and the cam member and also controls the HST through the HST connecting rod Able to know.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agricultural machinery can be controlled more efficiently with a simple configuration.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제동페달의 누름 여부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모든 출력 부분을 아이들 또는 중립 상태로 신속하게 전환하도록 설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동이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동페달이 밟혀지 회동하게 되면 이러한 제동페달의 회동에 따라서, 엔진은 아이들 상태보다 더 낮은 회전수를 가지는 로우 아이들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그 외에도 제동패달의 조작에 의하여 메인 클러치의 동력도 같이 단속되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제동패달의 조작에 의한 다양한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control unit is designed to quickly switch all the output portions to the idle state or the neutral state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f the limit switch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brake pedal is depress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braking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accurately.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rake pedal is tilted, the engine can be switched to the low idle state having a lower rotation speed than the idle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brake pedal. In addition, since the power of the main clutch is also controlled to be interrupted by the operation of the braking pedal, various advantages by the operation of the braking pedal can be expected.

본 발명에 의하면, 캠부재의 전진캠곡면과 후진캠곡면의 형상을 달리 설계함으로써, 동일 구간 내에서 캠부재의 회전에 대하여 전진시 및 후진시의 엔진 회전수의 상승률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이식기에서 전진시에 비하여 후진시 보다 신속하게 회전수를 상승시켜 식부부를 신속하게 들어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signing the shapes of the forward cam surface and the backward cam surface of the cam member differently, the rate of increase of the engine speed during forward and reverse can be set differently for the rotation of the cam member in the same section . Therefor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advantage that the number of revolutions is increased faster than that in the case of forward movement in the transplanting machine, so that the recipient can be quickly picked up to prevent damage.

본 발명에서는 HST 연결로드를 섹터기어와 착탈 가능하게 설계함으로써, 비상시 별도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 작용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제어부의 알고리듬에 따라서 구동모터의 적절한 제어를 통하여, 레버 조작에 의한 급출발 등을 방지하고, 보다 안전한 출발 등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도 기대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ST connecting rod is designed to be detachable from the sector gear, so that it is expected that the HST connecting rod can be separately operated in an emergenc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lgorithm of the control uni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dden start and stop of the lever operation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drive motor, and to provide a safer start.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농기계의 요부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농기계의 제동페달 및 가속페달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동제어유닛의 예시도.
도 4은 본 발명이 적용된 농기계의 다른 요부를 보인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n agricultural machin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Fig. 2 is an illustration of a braking pedal and an accelerator pedal of an agricultural machin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3 is an exemplary view of the electric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ssential part of an agricultural machin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농기계는, HST의 사판 제어 및 엔진의 회전수 제어와 관련되는 주변속레버(10)와, 제동을 위한 제동페달(23), 그리고 가속을 위한 가속페달(2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주변속레버(10)는, 사용자가 HST 및 엔진의 스로틀밸브의 제어를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고, 이러한 주변속레버(10)에는 포텐셔미터(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포텐셔미터(12)는 사용자가 주변속레버(10)를 어느 정도 밀었는가 또는 어느 정도 당겼는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고 할 수 있다. 1, an agricultural machin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cludes a peripheral lever 10 associated with swash plate control of HST and engine speed control, a braking pedal 23 for braking, And an accelerator pedal (22). The peripheral speed lever 10 is used by the user for controlling the HST and the throttle valve of the engine. The peripheral speed lever 10 is provided with a potentiometer 12. The potentiometer 12 may be a sensor capable of sensing to what extent the user has pushed the peripheral lever 10 or how much the user has pulled the peripheral lever 10.

이렇게 감지되는 포텐셔미터(12)의 감지값은 농기계의 제어부(50)로 입력되고, 제어부(50)는 포텐셔미터(12)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동제어유닛(20)으로 보낸다. 즉, 본 발명에서는, 주변속레버(10)의 이동량을 포텐셔미터(12)가 감지하여 제어부(50)로 송신하고, 제어부(50)는 이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동제어유닛(20)으로 송신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주변속레버(10)의 조작에 대응하는 처리가 와이어 및 링크에 의존하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 The sensed value of the potentiometer 12 thus sensed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50 of the agricultural machine system and the control unit 50 sends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otentiometer 12 to the electric control unit 20.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tentiometer 12 senses the movement amount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1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50, and the control unit 50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electric control unit 20 .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basically, the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10 does not depend on the wire and the link.

그리고 제동페달(23)에는 제동페달(23)의 조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리미트스위치(23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미트스위치(23b)는 제동페달(23)을 밟았는지의 여부만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동페달(23)을 밟게 되면, 제동페달(23)의 회전량과는 무관하게 제동페달을 밟았다는 사실 자체가 제어부(50)로 전달된다. The brake pedal 23 is provided with a limit switch 23b for detecting whether the brake pedal 23 is operated or not. The limit switch 23b is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brake pedal 23 is depressed. 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the brake pedal 23, the fact that the brake pedal is depressed regardless of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brake pedal 23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50.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전동제어유닛(2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전동제어유닛(20)은, 제어부(50)에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구동모터(22)와, 상기 구동모터(22)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기초하여 일정 구간 회전 하는 섹터기어(24), 상기 섹터기어(24)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캠부재(3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각각의 구성부품은 베이스(20a)에 설치되어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control uni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electric control uni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e motor 22 that operates on the basis of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50 and a sector that rotates for a predetermined period based on forward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22. [ A gear 24, and a cam member 30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sector gear 24. Each of these component parts is provided on the base 20a.

여기서 구동모터(22)의 회전에 따라서 베이스(20a)에 지지되는 섹터기어(24)가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성에는 감속기를 포함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다. 그리고 섹터기어(24)와 캠부재(30)는 동일한 지지축(21)을 가지고 있고, 서로 연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22)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은,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하는 섹터기어(24) 및 캠부재(3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structure in which the sector gear 24 supported on the base 20a is rotated about the support shaft 21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22 may include various reducers including a speed reducer. The sector gear 24 and the cam member 30 have the same support shaft 21 and are designed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The forward rotation or the revers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22 will be represented by the forward rotation or the reverse rotation of the sector gear 24 and the cam member 30 about the support shaft 21. [

그리고 스로틀레버(28)의 일단부(28c)는 캠부재(30)와 접촉되면서 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스로틀레버(28)의 타단부(28a)는 제1스로틀케이블(Wb)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캠부재(30)와 접촉하는 스로틀레버(28)의 일단부(28c)에는 롤러가 장착되어 구름접촉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은 당연하다. 이러한 스로틀레버(28)도 중간 부분의 중심축(28a)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의 아이들 상태에서 제1스로틀케이블(Wb)은 도면상 상방으로 당겨진 상태 때문에, 상기 제1스로틀케이블(Wb)이 하방으로 당겨지면 제1스로틀케이블(Wb)에 의하여 엔진의 스로틀밸브가 열리게 되면서 엔진의 회전수가 높아지게 된다. The other end 28a of the throttle lever 28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throttle cable Wb and the other end 28c of the throttle lever 28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throttle cable Wb. . It is natural that it is preferable that a roller is mounted on one end 28c of the throttle lever 28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am member 30 to induce the rolling contact. The throttle lever 28 is also provided so as to rotate around the central axis 28a of the intermediate portion. When the first throttle cable Wb is pulled downward, the throttle valve of the engine is opened by the first throttle cable Wb because the first throttle cable Wb is pulled upward in the drawing in the idling state of the engin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ngine is increased.

상기 섹터기어(24)에는 HST(40)와 연결되는 HST 연결로드(26)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HST 연결로드(26)는 HST(40)와 연결되어 있고, 사판의 방향 및 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HST 연결로드(40)와 섹터기어(24)는 자체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로드(40)가 섹터기어(24)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면, 비상시(고장시) 연결로드(40)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어서 비상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ector gear 24 is provided with an HST connection rod 26 connected to the HST 40. The HST connection rod 26 is connected to the HST 40 and can be said to operate so as to control the direction and angle of the swash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ST connecting rod 40 and the sector gear 24 are preferably detachably assembled. When the connecting rod 40 is assembled in a detachable state to the sector gear 24, the connecting rod 40 can be operated manually in case of an emergency (failure), so that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pe with an emergency situation can be expected.

다음에는 제동장치와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동페달(23)을 밟게 되면 리미트스위치(23b)는 이를 제어부(50)에 알린다. 여기서 리미트스위치(23b)는 단순히 제동페달(23)이 밟힌 상태라는 것만 제어부(50)에 통지하는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제동페달(23)이 밟힌 상태임을 인지한 제어부(50)는 구동모터(22)를 제어하게 된다. 제어부(50)의 구동모터(22) 제어는, 상기 섹터기어(24)를 도 2의 (b)에 도시한 중립상태로 하는 것이다. 즉 제어부(50)는 구동모터(22)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도 3의 (a) 또는 (c)에 도시한 후진 또는 전진 상태에서 (b)에 도시한 중립상태로 컨트롤한다. Next,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braking device will be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rake pedal 23 is depressed, the limit switch 23b informs the control unit 50 of this. 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limit switch 23b notifies the control section 50 that the brake pedal 23 is simply in a depressed state. The controller 50 recognizes that the brake pedal 23 is in a depressed state, and controls the drive motor 22. The control of the drive motor 22 of the control unit 50 sets the sector gear 24 to the neutral state shown in Fig. 2 (b). That is,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drive motor 22 to rotate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o the neutral state shown in (b) in the reverse or forward state shown in (a) or (c) of FIG.

도 2의 (b) 및 도 3에 도시한 상태는, 캠부재(30)의 중앙 부분에 스로틀레버(28)의 하단롤러(28c)가 위치하기 때문에, 제1스로틀케이블(Wb)이 당겨지지 않는 엔진 상태 즉 엔진의 아이들임과 동시에, 섹터기어(24)가 중앙에 위치함으로써 HST 연결로드(26)도 움직이지 않은 중립상태이다. 따라서 리미트스위치(23b)의 감지신호에 의하여, 제어부(50)는 엔진이 아이들상태가 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HST(40)도 중립상태로 제어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어는 실질적으로 보다 신속하고 신뢰도 높은 제동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b) and Fig. 3, since the lower roller 28c of the throttle lever 28 is locat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cam member 30, the first throttle cable Wb is pulled The HST connecting rod 26 is also in an unmoving neutral state as the sector gear 24 is centered.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engine to be in the idle state and the HST 40 in the neutral state by the sensing signal of the limit switch 23b. It is believed that such control can provide substantially faster and more reliable braking.

이상의 제어는 제동페달(23)에 부착된 리미트스위치(23b)의 감지에 기초한 제어부(50)의 제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제동페달(23)이 눌러지면서 그것과 연결된 제2스로틀케이블(Wa)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본다. 제동페달(23)이 사용자에 의하여 밟히면, 복원스프링(23A)이 지지되는 지지축(23B)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2스로틀케이블(Wa)는 지지축(23B)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동페달(23)이 밟히게 되면 제2스로틀케이블(Wa)는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풀리게 된다.The above control can be said to be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 based on the detection of the limit switch 23b attached to the brake pedal 23. [ Next, the operation of the second throttle cable Wa connected to the brake pedal 23 as it is depressed will be described. When the brake pedal 23 is depressed by the user, the restoring spring 23A is rotated clockwise about the support shaft 23B on which the restoring spring 23A is supported. Since the second throttle cable Wa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shaft 23B, when the brake pedal 23 is depressed, the second throttle cable Wa is disengaged as shown by an arrow.

즉 제동페달(23)이 밟히게 되면, 와이어(Wa)는 약간의 텐션상태(엔진의 아이들상태)에서 텐션이 완화되는 방향으로 풀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스로틀케이블(Wa)는 가속페달(22)과도 연결되어 있고, 더 나가서는 케이블(Wc)를 통하여 엔진의 스로틀밸브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동페달(23)이 밟히면 제2스로틀케이블(Wa)는 이완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가속페달(22)이 밟히면 제2스로틀케이블(Wa)는 텐션이 증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속페달(22)을 밟으면 제2스로틀케이블(Wa)는 스로틀밸브를 통하여 엔진 회전수가 증가하도록 반응하는 반면, 제동페달(23)을 밟으면 제2스로틀케이블(Wa)의 텐션이 완화되기 때문에 엔진 회전수는 아이들 상태로 돌아가도록 반응한다. That is, when the brake pedal 23 is depressed, the wire Wa is relea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ension is relaxed in a slight tension state (idle state of the engine). The second throttle cable Wa is also connected to the accelerator pedal 22 and further connected to the throttle valve of the engine via the cable Wc. Here, if the brake pedal 23 is depressed, the second throttle cable Wa is configured to be relaxed. However, when the accelerator pedal 22 is depressed, the second throttle cable Wa is provided so as to increase the tension. Therefore, when the accelerator pedal 22 is depressed, the second throttle cable Wa responds to increase the engine speed through the throttle valve. On the other hand, when the braking pedal 23 is depressed, the tension of the second throttle cable Wa is relaxed, The number of revolutions reacts to return to the idle state.

이와 같은 제동페달(23)과 제2스로틀케이블(Wa)의 움직임은 로우 아이들 상태로 엔진을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엔진의 일반적인 아이들 상태에서는 엔진의 스로틀밸브와 연결되어 있는 상술한 제2스로틀케이블(Wa)는 스프링에 의하여 가벼운 텐션이 걸려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가속페달(22)에 의하여 제2스로틀케이블(Wa)가 당겨지면 스로틀밸브를 통하여 엔진의 회전수가 올라간다. The movement of the braking pedal 23 and the second throttle cable Wa is meaningful in that the engine can be controlled in a low idle state. In the normal idle state of the engine, the above-described second throttle cable Wa connected to the throttle valve of the engine is in a state in which a light tension is applied by a spring. In this state, when the second throttle cable Wa is pulled by the accelerator pedal 22,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ngine is increased through the throttle valve.

그리고 제동페달(23)을 깊이 밟게 되면, 그것과 연결된 제2스로틀케이블(Wa)는 더욱 느슨하게 되는데, 이는 일반적인 엔진의 아이들 상태에 비하여 더욱 느슨한 상태로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렇게 제2스로틀케이블(Wa)가 충분히 느슨하게 되면서, 스로틀밸브의 토션스프링에 의하여 제2스로틀케이블(Wa)가 당겨지면, 스로틀레버(28)의 하단롤러(28c)는 캠부재(30)의 중앙에 성형된 오목홈(33)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되면, 제2스로틀케이블(Wa)가 충분히 느슨해진 상태인데 일반적인 엔진의 아이들 상태보다 더욱 낮은 회전수를 가지는 로우 아이들 상태이다. When the brake pedal 23 is depressed, the second throttle cable Wa connected thereto is further loosened, which means that it can be more looser than the idle state of a general engine. When the second throttle cable Wa is pulled by the torsion spring of the throttle valve while the second throttle cable Wa is sufficiently loosened as shown in Fig. 2, the lower roller 28c of the throttle lever 28 is rotated,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33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am member 30. [ In this case, the second throttle cable Wa is in a state of sufficiently loosened, which is a low idle state having a lower rotational speed than the idle state of a general engine.

일반적인 아이들 상태에서, 스로틀밸브 주의의 토션스프링에 의하여 제2스로틀케이블(Wa)가 당겨지는 상태이기 때문에, 스로틀레버(28)의 하단롤러(28c)는 오목홈(33) 속으로는 들어가지 못하는 상태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제동페달(23)에 의하여 제2스로틀케이블(Wa)이 더욱 느슨해지면서 토션스프링에 의하여 당겨지면, 엔진의 회전수는 더욱 낮아지고(예를 들면 900rpm 정도), 이러한 상태는 스로틀레버(28)의 하단롤러(28c)가 오목홈(33) 속으로 들어가면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The lower roller 28c of the throttle lever 28 can not enter the concave groove 33 because the second throttle cable Wa is pulled by the torsion spring of the throttle valve in the normal idle state State. When the second throttle cable Wa is further loosened by the brake pedal 23 and pulled by the torsion spr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ngine becomes lower (for example, about 900 rpm) So that the lower roller 28c of the lower roller 28 can be retain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recessed groove 33.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동페달의 조작은 실질적인 제동 이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로우 아이들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제동페달(23)의 조작과 클러치(50)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페달(23)에는 연동로드(51)가 연결되어 있는데, 연동로드(51)는 제동페달(23)을 밟으면 전방으로 당겨지도록(도면상 우측으로) 설치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operation of the brake ped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low idle function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substantial braking.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on of the brake pedal 23 and the clutch 50 will be described. 1 and 4, an interlocking rod 51 is connected to the braking pedal 23 so that the interlocking rod 51 is pulled forward by pushing the braking pedal 23 (to the right in the drawing) Is installed.

그리고 연동로드(51)는 대략 수평으로 지지되어 있는 전달판(56)과 연동하도록 구성되는데, 예를 들면 전달판(56)의 일측에 성형된 아암(56a)이 연동로드(51)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와셔(W) 사이에 개재되어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판(56)은 연동레버(58)와 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동레버(58)는 연동축(59) 상단의 연동판(59a)와 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연동로드(51)가 전방으로 당겨지면, 전달판(56)은 반시계 방향을 회전하고, 이어서 연동레버(58)는 연동축(59)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동판(59a)을 밀어준다. The interlocking rod 51 is configured to interlock with the transfer plate 56 support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For example, the arm 56a form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plate 56 is fixed to the interlocking rod 51 And can be interposed and interlocked between the pair of washers (W). The transmission plate 56 is connected to the interlocking lever 58 and the interlocking lever 58 is connected to the interlocking plate 59a at the upper end of the interlocking shaft 59 by a pin. Therefore, when the interlocking rod 51 is pulled forward, the transmission plate 56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n the interlocking lever 58 pushes the interlocking plate 59a so that the interlocking shaft 59 rotates clockwise give.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연동축(59)이 회전하게 되면, 연동축(59)에 설치되어 있는 포크(52)는 클러치(50)를 오픈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포크(52)에 의하여 클러치(50)가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오픈 상태로 구성하는 기구적 구성에는 다양한 실시 예가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포크(52)가 조작홈 내부에서 클러치(50)를 일측(HST 방향)으로 미는 것에 의하여 클러치는 오픈 상태가 되고, 포크(52)가 반대방향으로 조작되면 클러치(50)가 클로즈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 자체는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성이다. When the interlocking shaft 59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the fork 52 provided on the interlocking shaft 59 can switch the clutch 50 to the open state. There may be various embodiments in a mechanical structure in which the fork 52 is configured to open the clutch 50 in such a manner that the clutch 50 is not transmitted. For example, when the fork 52 rotates the clutch 50 The clutch itself is in an open state by pushing in one direction (HST direction), and the clutch 50 is brought into a closed state when the fork 52 is ope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도 4에서 상기 연동로드(51)에 의하여 운동하는 브레이크암(54)은 제동 기능을 수행하는 브레이크패드(55)를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클러치(50)는 실질적으로 농기계(이식기)의 메인클러치이고, HST(40)에서 출려되는 동력을 다른 부품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클러치(50)가 오픈 상태로 되면 농기계의 전체적인 동력이 차단되는 것을 의미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제동패달(23)의 조작에 의하여 클러치(50)도 차단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n FIG. 4, the brake arm 54 which is moved by the interlocking rod 51 is for operating the brake pad 55 which performs the braking function. The clutch 50 described above is substantially the main clutch of the agricultural machine (transporter) and transmits or blocks the power output from the HST 40 to other components. Thus, when the clutch 50 is in an open state, the entire power of the agricultural machinery is cut of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clutch 50 can be also shut off by the operation of the brake pedal 23. [

다음에는 주변속레버(10)과 관련된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HST 연결로드(26)와 섹터기어(24)는 연결되어 있고, 캠부재(30)와 섹터기어(24)도 같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섹터기어(24)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HST 연결로드(26)와 스로틀레버(28)가 같이 연동하여 동작하게 됨을 알 수 있다.  Next,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peripheral lever 10 will be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e HST connecting rod 26 and the sector gear 24 are connected, and the cam member 30 and the sector gear 24 are also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sector gear 24 rotates in any direction, it can be seen that the HST connecting rod 26 and the throttle lever 28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엔진의 아이들상태에서, 제1스로틀케이블(Wb)은 스프링에 의하여 상방으로 적절한 인장력으로 당겨지고 있기 때문에, 스로틀레버(28)의 하단부(28c)는 섹터기어(30)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고, 도 2의 (b)는 이와 같은 아이들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주변속레버(10)를 조작하게 되면 그 변위가 포텐셔미터(12)에 의하여 감지되어 제어부(50)로 전송된다. The lower end portion 28c of the throttle lever 28 comes into elastic contact with the sector gear 30 because the first throttle cable Wb is pulled upwardly by the spring with an appropriate tensile force in the idling state of the engine , And Fig. 2 (b) shows such an idle state. In this state,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peripheral lever 10, the displacement is sensed by the potentiometer 12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50.

그리고 도 2에서 (b)상태는 실질적으로 아이들상태이고, (a)는 후진 상태, 그리고 (c)는 전진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후진 상태(a) 또는 전진 상태(c)는 주변속레버(10)의 조작에 의한 것이다. 그리고 주변속레버(10)의 조작에 의한 변위량은 포텐셔미터(12)에 의하여 감지되어 제어부(50)로 전송된다. In FIG. 2, the state (b) is substantially the idle state, (a) is the reverse state, and (c) is the forward state. The backward state (a) or the forward state (c) is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10. The amount of displacement by the operation of the peripheral lever 10 is sensed by the potentiometer 12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50.

이와 같이 제어부(50)는 주변속레버(10)의 이동방향 및 이동량에 비례하여, 전동제어유닛(20)의 구동모터(22)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주변속레버(10)가 앞으로 밀리게 되면, 이식기의 전진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구동모터(22)를 전진에 해당하는 방향(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구동모터(22)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서, 섹터기어(24)는 지지축(2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A)으로 회전하게 된다. In this manner,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drive motor 22 of the electric control unit 20 in proportion to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movement amount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10. [ For example, when the peripheral lever 10 is pushed forward, it means forward movement of the implanted device, so that the driving motor 22 is rotated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orward direction (forward direction). As the drive motor 22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sector gear 24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 about the support shaft 21.

그리고 섹터기어(24)에 고정되어 있는 캠부재(30)도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캠부재(30)의 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서, 스로틀레버(28)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단롤러(28c)는 캠부재(30)의 전진캠곡면(34)에 접촉하게 되는데 이는 도 3의 (a)에 도시한 상태이다. 즉, 스로틀레버(28)는 중심축(28a)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단부 또는 하단롤러(28c)는 전진캠곡면(34)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Then, the cam member 30 fixed to the sector gear 24 also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lower roller 28c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throttle lever 28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dvancing cam curved surface 34 of the cam member 30 in accordance with the clockwise rotation of the cam member 30, a). That is, the throttle lever 28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center shaft 28a, and the lower end portion or the lower roller 28c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dvancing cam curved surface 34.

전진캠곡면(34)은 돌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스로틀레버(28)의 상단부(28b)는 하강하는 운동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제1스로틀케이블(Wb)을 하방으로 끌어내리는 움직임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스로틀케이블(Wb)이 하방으로 당겨지면, 실질적으로 스로틀밸브가 열리게 되면서 엔진의 회전수가 높아지게 된다. Since the forward cam surface 34 is in a protruded state, the upper end 28b of the throttle lever 28 performs a downward movement, which is represented by a downward movement of the first throttle cable Wb. When the first throttle cable Wb is pulled downward as described above, the throttle valve is substantially opened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engine is increased.

여기서 섹터기어(24)에는 HST 연결로드(26)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데, 섹터기어(24)의 A방향 회전에 따라서 HST 연결로드(26)는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HST 연결로드(26)의 우방향 이동은, HST(40)의 사판을 전진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HST 연결로드(26)의 회전 정도는, 사용자의 주변속레버(10)의 조작량에 대응하여 포텐셔미터(12)에서 감지되는 감지값의 크기에 기초하여 HST의 출력이 제어될 것이다. Here, the HST connecting rod 26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ctor gear 24, and the HST connecting rod 26 moves to the right in the drawing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ector gear 24 in the A direction. The rightward movement of the HST connecting rod 26 causes the swash plate of the HST 40 to rotate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orward movement. The output of the HST will be controlled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sensed value sensed by the potentiometer 12 corresponding to the manipulated variable of the lever 10 in the vicinity of the user.

즉, 제어부(50)는 주변속레버(10)의 포텐셔미터(12)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구동모터(22)를 제어하여 섹터기어(24)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전동제어유닛(20)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또 하나의 포텐셔미터(25)(도 1 참조)는 섹터기어(24)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제어부(50)로 송신하게 된다. 제어부(50)는 섹터기어(24)의 위치를 감지하는 포텐셔미터(25)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주변속레버(10)의 조작량에 대응하는 섹터기어(24)의 회전량을 제어하게 된다. That is,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drive motor 22 based on the detection value of the potentiometer 12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10 to rotate the sector gear 24. The other potentiometer 25 (see FIG. 1)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electric control unit 20 senses the rotation amount of the sector gear 24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50.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rotation amount of the sector gear 24 corresponding to the manipulated variable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10 based on the detection value of the potentiometer 25 sensing the position of the sector gear 24. [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변속레버(10)를 밀어서 전진 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섹터기어(24) 및 캠부재(30)의 A방향 회전에 따라서, 전진 방향으로 HST(40)가 제어됨과 동시에 엔진의 회전수도 빨라지도록 연동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주변속레버(10)를 당겨서 후진 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는 경우에도 위에서 설명한 바와 대응하는 처리가 진행된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when the peripheral speed lever 10 is pushed and oper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HST 4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ector gear 24 and the cam member 30 in the A direct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engine is controlled to be rotated and the rotation of the engine is accelerated. Also, when the user pulls the peripheral lever 10 to operate in the backward direction, the process corresponding to that described above proceeds.

예를 들면 섹터기어(24) 및 캠부재(30)의 반시계방향(B) 회전에 따라서 스로틀레버(28)의 하단롤러(28c)는 돌출 성형된 후진캠곡면(32)에 접촉하게 되어, 상단부(28b)는 제1스로틀케이블(Wb)를 하방으로 당기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의 회전수가 빨라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연결로드(26)에 의하여 HST(40)도 후진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사판이 제어될 것이다. The bottom roller 28c of the throttle lever 28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rotruded backward cam curved surface 32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ector gear 24 and the cam member 30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upper end portion 28b pulls down the first throttle cable Wb. Therefore, the rotation speed of the engine is increased as described above, and at the same time, the swash plate is controlled by the connecting rod 26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HST 40 as well.

여기서 캠부재(30)에는 전진을 위한 전진캠곡면(34)와 후진을 위한 후진캠곡면(34)이 각각 성형되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즉 주변속레버(10)의 조작에 의하여 전진 또는 후진 조작이 수행되면, HST 연결로드(26)의 조작방향은 반대방향이지만, 제1스로틀케이블(Wb)을 통하여 엔진의 회전수가 높아지는 것은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진진시와 후진시의 엔진 회전수의 상승률은 상이하다. Here, the cam member 30 is formed with the forward cam surface 34 for forward movement and the backward cam surface 34 for backward movement,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That is, when the forward or backward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peripheral lever 10,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HST connecting rod 26 is the opposite direction, but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ngine through the first throttle cable Wb is the same .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e of increase of the engine speed during advancement and reverse is different.

본 발명의 캠부재(30)에서 전진캠곡면(34)과 후진캠곡면(32)은 각각 상이한 곡률 또는 곡면을 가지고 있다. 즉, 전진캠곡면(34)과 후진캠곡면(32)의 돌출된 곡면 형상이 상이하기 때문에, 전진시의 엔진 회전수 상승률과 후진시의 엔진 회전수 상승률이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동일한 회전각도를 가정하면, 전진캠곡면(34)은 후진캠곡면(32)에 비하여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성형함으로써, 전진시의 엔진 회전수 상승은 후진시의 엔진 회전수 상승에 비하여 완만하게 상승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cam memb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ward cam surface 34 and the backward cam surface 32 have different curvatures or curved surfaces, respectively. In other words, since the protruded curved shapes of the forward cam surface 34 and the backward cam surface 3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engine speed increase rate at the time of forward movement and the engine speed increase rate at the time of backward movement are set differently. For example, assuming the same rotation angle, the forward cam curved surface 34 is formed so as to have a gentle inclination relative to the backward cam curved surface 32, so that the increase in the engine revolutions at the time of forward movement It can be set to rise gently.

이는 주변속레버(10)의 후진 조작시, 엔진 회전수의 상승이 더욱 급격하게 진행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제1스로틀케이블(Wb)이 더욱 빨리 당겨진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점은, 후진캠곡면(32)이 전진캠곡면(34)에 비하여 더욱 급격한 돌출 형상을 가짐으로써, 제1스로틀케이블(Wb)을 상대적으로 더욱 빨리 잡아당길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과도 동일하다. This means that the increase in the engine speed rises more rapidly during the backward operation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10, which is equivalent to the fact that the first throttle cable Wb is drawn faster. This is because the rearward cam surface 32 has a shape that is capable of pulling the first throttle cable Wb relatively quickly by having a more abrupt protruding shape as compared with the forward cam surface 34 same.

예를 들면 이식기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후진캠곡면(32)이 더욱 신속한 회전수 상승을 가능하게 하는 캠곡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식기에는 묘종을 이식하는 식부장치가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데, 후진시 이러한 식부부를 보다 신속하게 들어올리는 것이 손상 방지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따라서 후진캠곡면(32)이 전진캠곡면(34)에 비하여, 돌출량을 크게 함으로써 같은 회전량으로도 엔진의 회전수를 더욱 신속하게 올림으로써 식부부를 빠르게 상승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For exampl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grafting machine, it is preferable that the backward cam surface 32 has a cam curved surface that allows a mor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revolutions. In the transplanting machine, there is a feeding device for transplanting seedlings in the rear, and it is preferable to lift these feeding parts more quickly in backward movement in order to prevent damag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rearward cam surface 32 so as to increase the protruding amount larger than the forward cam surface 34 so that the speed of the engine can be raised quickly by in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ngine even with the same amount of rotation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특허법의 규정 취지상 당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on the basis of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and it is obvious that the purpose of the patent law is obvious.

10 ..... 주변속레버
12 ..... 주변속레버의 포텐셔미터
20 ..... 전동제어유닛
21 ..... 지지축
22 ..... 가속페달
24 ..... 섹터기어
25 ..... 섹터기어의 포텐셔미터
26 ..... HST 연결로드
28a ...... 중심축
28b ..... 스로틀레버의 상단부
28c ..... 스로틀레버의 하단롤러
30 ..... 캠부재
32 ..... 후진캠곡면
33 ..... 캠부재의 오목홈
34 ..... 전진캠곡면
40 ..... HST
50 ..... 클러치
51 ..... 연동로드
Wa ..... 제2스로틀케이블
Wb ..... 제1스로틀케이블
10 ..... Lever in the vicinity
12 ..... Potentiometer of the lever in the vicinity
20 ..... Motor control unit
21 ..... Support shaft
22 ..... accelerator pedal
24 ..... sector gear
25 ..... Sector gear potentiometer
26 ..... HST connection load
28a ...... center axis
28b ..... upper end of the throttle lever
28c ..... Lower roller of throttle lever
30 ..... cam member
32 ..... Reverse cam surface
33 ..... concave groove of cam member
34 ..... Forward cam surface
40 ..... HST
50 ..... clutch
51 ..... interlocking rod
Wa ..... 2nd throttle cable
Wb ..... First throttle cable

Claims (6)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주변속레버, 상기 주변속레버의 조작 방향 및 조작량을 감지하기 위한 포텐셔미터, 제동을 위한 제동페달, 제동페달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 농기계의 엔진 회전수 조작 및 HST의 출력 조작을 위한 전동제어유닛, 그리고 상기 포텐셔미터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전동제어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제어유닛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작동되고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섹터기어, 상기 섹터기어와 연결되어 섹터기어의 회전에 따라서 HST의 사판을 조작하는 HST 연결로드, 상기 섹터기어와 같이 연동하고 전진캠곡면과 후진캠곡면을 구비하는 캠부재, 그리고 하단롤러가 상기 전진캠곡면 또는 후진캠곡면에 접촉하고 중심축을 통하여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단부가 엔진 회전수를 높이는 스로틀케이블과 연결되는 스로틀레버로 구성되며;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감지신호에 의하여, 제어부는 HST가 중립상태가 됨과 동시에 엔진이 아이들상태가 되도록, 구동모터를 통하여 섹터기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농기계.
A potentiometer for detecting an operation direction and an operation amount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a braking pedal for braking, a limit switch for detecting whether the braking pedal is operated, an engine speed control operation of an agricultural machine, and a HS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motor control unit based on the sensed signal of the potentiometer;
The electric control unit includes a drive motor, a sector gear that is operated by the drive motor and is rotatably mounted on the base, an HST connection rod that is connected to the sector gear and operates the swash plate of the HST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sector gear, A cam member interlocked with the sector gear and having a forward cam surface and a backward cam surface, and a lower roller contacting the forward cam surface or the backward cam surfac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through a center shaft, The height is composed of a throttle lever connected to the throttle cabl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ector gear through the drive motor so that the HST becomes the neutral state and the engine becomes the idle stat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limit switc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페달과 엔진의 스로틀밸브를 연결하는 제2스로틀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제동페달을 밟으면 제2스로틀케이블은 이완되고 상기 하단롤러는 캠부재의 오목홈에 결합되어 엔진의 로우 아이들 상태로 되는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농기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throttle cable connecting the braking pedal and the throttle valve of the engine so that when the braking pedal is depressed, the second throttle cable is relaxed and the lower roller is coupled to the concave groove of the cam member to be in the low idle state of the engine An agricultural machine having a brak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페달을 밟으면 일측으로 이동하도록 제동페달과 연결되는 연동로드와, 농기계의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 그리고 상기 제동페달의 동작에 의한 연동로드의 움직임을 상기 클러치의 단속을 수행하는 포크의 동작으로 연동시키는 전달수단을 더 포함하는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농기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nterlocking rod connected to the braking pedal to move to one side when the braking pedal is depressed, a clutch for interrupting the power of the agricultural machine, and an operation of the fork for interrupting the movement of the interlocking rod by the operation of the braking pedal And a braking device that further includes a transmission means for interlocking the brak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제어유닛의 섹터기어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송함으로써,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포텐셔미터를 더 포함하는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농기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otentiometer for controlling the drive motor by sensing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sector gear of the electric control unit and transmitting the sensed amount to the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일정 구간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섹터기어에 의하여, 스로틀레버를 통한 엔진의 회전수 조절 및 HST 연결로드를 통하여 HST의 출력제어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농기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raking device that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engine through the throttle lever and controls the output of the HST through the HST connecting rod at the same time by the sector gear which is rotated forward or backward by a constant speed by the driving mo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의 전진캠곡면과 후진캠곡면은, 스로틀레버를 통하여 스로틀케이블을 잡아당기는 양을 다르게 할 수 있도록, 곡면이 상이한 형상을 가지는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농기계.
The agricultural machine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forward cam surface and the backward cam surface of the cam member are provided with braking devices having different curved surfaces so that the amount of pulling the throttle cable through the throttle lever can be different.
KR1020180013886A 2018-02-05 2018-02-05 Braking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 KR1019565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886A KR101956598B1 (en) 2018-02-05 2018-02-05 Braking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886A KR101956598B1 (en) 2018-02-05 2018-02-05 Braking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598B1 true KR101956598B1 (en) 2019-06-24

Family

ID=67055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886A KR101956598B1 (en) 2018-02-05 2018-02-05 Braking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59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722A (en) * 2008-03-05 2010-11-29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KR20100125250A (en) * 2008-03-05 2010-11-30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Traveling agricultural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722A (en) * 2008-03-05 2010-11-29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KR20100125250A (en) * 2008-03-05 2010-11-30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Traveling agricultural machine
KR20160015401A (en) * 2008-03-05 2016-02-12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4810B2 (en) Working machine
KR101590434B1 (en)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US5335487A (en) Engine speed control apparatus for a working vehicle
EP2319722A2 (en) Pedal apparatus for electric motorcar or for motor vehicle having throttle mechanism
US8393240B2 (en) Instrumented control pedals for electronically shifted manual transmissions
US4129047A (en) Control arrangement
KR20100125250A (en) Traveling agricultural machine
KR101956598B1 (en) Braking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
US6347560B1 (en) Shift control system for a working vehicle having a propelling stepless transmission
KR101968088B1 (en) Braking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
KR102053016B1 (en) Pland transportation machine with function of adjusting rice seed tank
KR101968090B1 (en) Accelerating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
US10876626B2 (en) Transmission-equipped vehicle
KR102123801B1 (en) Electrical control units for agricultural machine
JP2005119466A (en) Running transmission for working vehicle
JP4423062B2 (en) Tractor shifting operation structure
JP5117844B2 (en) Shifting structure of work equipment
JP5960416B2 (en) Rice transplanter
EP0297671A1 (en) Motor control-brake device
JP4408781B2 (en) Shifting structure of work equipment
JP4041419B2 (en) Traveling speed change operation device for traveling type farm work machine
JP2014087318A (en) Combine-harvester
JP7086014B2 (en) Working machine
JPH0911767A (en) Running operation structure of working vehicle
JP4263284B2 (en) Control device for engine rotation and vehicle speed of work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