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511B1 - 극초단파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롤러 복원 장치 - Google Patents

극초단파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롤러 복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511B1
KR101956511B1 KR1020180091785A KR20180091785A KR101956511B1 KR 101956511 B1 KR101956511 B1 KR 101956511B1 KR 1020180091785 A KR1020180091785 A KR 1020180091785A KR 20180091785 A KR20180091785 A KR 20180091785A KR 101956511 B1 KR101956511 B1 KR 101956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
restoration
roller
mdr
pc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준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손과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손과손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손과손
Priority to KR1020180091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 G03G15/02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Manufacturing or assembling, recycling, reuse, transportation, packaging or stor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lasma & Fusion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하우징에 내장된 장착부에 복원대상물을 장착하고, 본체 하우징에 내장된 웨이브 복원부에 의하여 생성된 극초단파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복원대상물의 표면을 고주파 가열시킴으로써 복원하는 구조로부터, 극초단파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간단히 사용 완료된 대전 롤러 또는 현상 롤러를 재사용 가능한 상태로 복원할 수 있도록 한 극초단파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롤러 복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극초단파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롤러 복원 장치{ROLLER RECOVERY APPARATUS OF TONER CATRIDGE USING MICROWAVE}
본 발명은 극초단파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롤러 복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극초단파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간단히 사용 완료된 대전 롤러 또는 현상 롤러를 재사용 가능한 상태로 복원할 수 있도록 한 극초단파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롤러 복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로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 등에 사용되는 필수 핵심부품인 토너 카트리지는 매우 고가이고 소모품이기 때문에 한 번 쓰고 버려지면 자원낭비뿐만 아니라 자연환경에도 악영향을 끼치므로 될 수 있는 한 재활용 하여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으로나 환경적으로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는 감광드럼에 음전하를 균일하게 대전시키고 레이저를 상기 감광드럼의 인쇄하고자 하는 부분에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각종 롤러에 의해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으로 현상하고, 이를 다시 용지에 전사하고 융착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이다.
보통 상기 감광드럼과 토너 및 각종 롤러를 일체로 하여 토너 카트리지를 구성하며, 한 번 사용된 토너 카트리지는 분해 후 토너를 재충전하고 감광드럼의 상태에 따라 교체하여 다시 재활용한다.
이중에서 카트리지에 내장된 롤러중 대전 롤러(Primary Charge Roller, 이하 PCR)는 감광 드럼(OPC Drum)에 음전하를 대전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사용량이 많거나 미사용에 따른 방치 시간이 길어질수록 롤러 표면의 실리콘층이 거칠어지거나 감광 드럼에 의한 눌림 현상으로 인하여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눌림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감광 드럼에 음전하가 대전되지 않아 인쇄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카트리지에 내장된 롤러중 현상 롤러(Magnetic Developer Roller, 이하 MDR)는 공급롤러로부터 공급받은 토너를 감광 드럼의 표면에 공급하여 이미지를 현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매우 중요한 부품으로, 역시 표면에 실리콘이 특수 코팅 처리되어 있다.
이러한 MDR은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에 의하여 표면에 눌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일정한 두께의 토너가 고착되지 못하고 눌린 부분에 토너가 두껍게 묻어 인쇄 불량이 발생하게 되며, 그 정도가 심할 경우 토너가 새는 현상도 일어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0906117호의 "전도성 탄성 롤러의 성능 복원 방법"(이하 선행기술)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폐카트라지 내의 전도성 탄성 롤러 표면을 고주파 처리 또는 연마공정에 의하여 개질한 다음, 전도성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초기 성능과 유사한 수준으로 복원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표면 처리용의 고주파 주파수가 5 내지 100 kHz 정도이므로, 표면 개질 정도는 가능할지 모르나, 눌림 현상이 일어나 울퉁불퉁해진 PCR이나 MDR의 표면을 평탄하게 초기 상태와 같이 되돌리는 수준의 주파수 대역으로는 매우 모자란 한계가 있다.
특히, 선행기술은 간단한 고주파 처리후 광 경화형 전도성 코팅액을 도포하여 전도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추가적인 공정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번거롭고 시간과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등록특허 제10-090611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극초단파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사용 완료된 대전 롤러 또는 현상 롤러를 재사용 가능한 상태로 간단히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극초단파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롤러 복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잡하고 번거로운 추가 공정의 투입없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복원대상물의 표면을 최초 출고시와 유사한 상태로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극초단파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롤러 복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한 작업 챔버와, 상기 작업 챔버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컨트롤 챔버를 구비한 본체 하우징; 상기 컨트롤 챔버에 내장되어 극초단파 전자기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진된 고주파를 상기 작업 챔버로 분산시키는 웨이브 복원부; 및 상기 작업 챔버 내에 투입된 복원대상물인 사용완료된 대전 롤러(Primary Charge Roller, 이하 PCR) 또는 현상 롤러(Magnetic Developer Roller, 이하 MDR)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기파는 상기 장착부에 지지된 상기 복원대상물의 표면에 형성된 실리콘층을 가열시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초단파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롤러 복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복원대상물인 상기 PCR 또는 상기 MDR의 회전축이 상기 작업 챔버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상기 복원대상물의 양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운트와, 상기 마운트가 장착되고 상기 작업 챔버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장착부는, 상기 복원대상물인 상기 PCR 또는 상기 MDR의 회전축을 지지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과 직교하는 가상선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복원대상물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작업 챔버의 바닥면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 상에 장착되어 상기 복원대상물인 상기 PCR 또는 상기 MDR의 회전축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마운트와, 상기 PCR 또는 상기 MDR의 길이에 따라 상기 테이블 상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마운트와,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마운트와 상기 제2 마운트 각각의 하단부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마운트 안내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장착부는, 상기 테이블과 상기 작업 챔버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테이블의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전달 어셈블리와, 상기 제1 구동전달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상기 테이블과 상기 제2 마운트에 형성되어 상기 복원대상물의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전달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한 작업 챔버와, 작업 챔버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컨트롤 챔버를 구비한 본체 하우징; 컨트롤 챔버에 내장되어 극초단파 전자기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며,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진된 고주파를 작업 챔버로 분산시키는 웨이브 복원부; 및 작업 챔버 내에 투입된 복원대상물인 사용완료된 대전 롤러(Primary Charge Roller, 이하 PCR) 또는 현상 롤러(Magnetic Developer Roller, 이하 MDR)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전자기파는 장착부에 지지된 복원대상물의 표면에 형성된 실리콘층을 가열시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복잡하고 번거로운 추가 공정의 투입없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복원대상물의 표면을 최초 출고시와 유사한 상태로 복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작업자가 숙련도에 관계없이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복원대상물을 장착부에 마운트시키고 장치를 가동시키는 것만으로도 복원 작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시간과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의 편의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선행기술에 비하여 불필요한 원자재 사용을 일절 없앨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매우 효율적인 발명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는, 복원대상물인 PCR 또는 MDR의 회전축이 작업 챔버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복원대상물의 양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운트와, 마운트가 장착되고 작업 챔버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테이블을 포함함으로써, 복원대상물의 표면 전체에 걸쳐 균일하고 안정적인 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는, 복원대상물인 PCR 또는 MDR의 회전축을 지지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회전축과 직교하는 가상선을 중심축으로 하여 복원대상물을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고주파가 복원대상물의 표면 전체에 균일하고 확실하게 침투되어 확실하고 우수한 복원 결과물을 획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는, 작업 챔버의 바닥면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테이블과, 테이블 상에 장착되어 복원대상물인 PCR 또는 MDR의 회전축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마운트와, PCR 또는 MDR의 길이에 따라 테이블 상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축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마운트와, 테이블의 상면에 형성되고, 제1 마운트와 제2 마운트 각각의 하단부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마운트 안내 레일을 포함함으로써, 제조사마다 다른 길이를 가진 PCR과 MDR에 대응하여 장착 지지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범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는, 테이블과 작업 챔버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어 테이블의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전달 어셈블리와, 제1 구동전달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테이블과 제2 마운트에 형성되어 복원대상물(400)의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전달 어셈블리를 더 구비함으로써, 복원대상물이 두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토록 하여 고주파 가열이 복원대상물의 표면에 걸쳐 균일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동 메카니즘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초단파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롤러 복원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정면 개념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극초단파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롤러 복원 장치의 주요부인 장착부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초단파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롤러 복원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정면 개념도이다.
또한,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극초단파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롤러 복원 장치의 주요부인 장착부(300)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100)에 내장된 장착부(300)에 복원대상물(400)을 장착하고 웨이브 복원부(200)에 의하여 생성된 극초단파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복원대상물(400)의 표면을 고주파 가열시킴으로써 복원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본체 하우징(100)은 개폐 가능한 도어(이하 미도시)를 구비한 작업 챔버(110)와, 작업 챔버(110)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컨트롤 챔버(120)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웨이브 복원부(200)는 컨트롤 챔버(120)에 내장되어 극초단파 전자기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210)을 포함하며, 마그네트론(210)으로부터 발진된 고주파를 작업 챔버(110)로 분산시키는 것이다.
또한, 장착부(300)는 작업 챔버(110) 내에 투입된 복원대상물(400)인 사용완료된 대전 롤러(Primary Charge Roller, 이하 PCR) 또는 현상 롤러(Magnetic Developer Roller, 이하 MDR)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자기파는 장착부(300)에 지지된 복원대상물(400)의 표면에 형성된 실리콘층을 가열시켜 복원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웨이브 복원부(200)는,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컨트롤 챔버(120)에 내장되어 마그네트론(210)과 함께 고주파를 발진시키는 고압 트랜스포머(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웨이브 복원부(200)는, 컨트롤 챔버(120)에 내장되어 고압 트랜스포머(220)의 고전압을 축전시키는 고압 커패시터(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웨이브 복원부(200)는, 컨트롤 챔버(120)에 내장되어 마그네트론(210)의 상부측에 연결되고, 고주파를 방사하는 안테나(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웨이브 복원부(200)는, 컨트롤 챔버(120) 및 작업 챔버(110)의 상측에 내장되어 마그네트론(210)의 상부측에 연결되고 안테나(240)로부터 발진된 고주파를 작업 챔버(110)로 분산시키는 웨이브 가이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이브 복원부(200)는, 작업 챔버(110)의 상측에 내장되어 웨이브 가이드(250)로부터 고주파를 작업 챔버(110) 전체에 분산시키는 웨이브 스터러(260, wave stirr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웨이브 복원부(200)는, 컨트롤 챔버(120)에 내장되어 작업 챔버(110)에 투입된 복원대상물(400)을 냉각시키거나 작업 챔버(110) 내부로 에어를 송풍시키는 팬(270)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컨트롤 챔버(120)의 마그네트론(210)으로부터 고주파가 발진되어 웨이브 가이드(250)를 통하여 작업 챔버(110)로 분산되면서 복원대상물(400)의 복원이 이루어지고, 고압 트랜스포머(220)의 고전압은 고압 커패시터(230)에 의하여 축전되는 것이다.
한편, 장착부(300)는, 복원대상물(400)인 PCR 또는 MDR의 회전축(410, 이하 도 2 내지 도 4 참조)이 작업 챔버(11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복원대상물(400)의 양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운트(321, 322)와, 마운트(321, 322)가 장착되고 작업 챔버(110)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테이블(310)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300)는, 도 2와 같이 복원대상물(400)인 PCR 또는 MDR의 회전축(410)을 지지하여 회전축(410)을 중심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회전축(410)과 직교하는 가상선(ℓ)을 중심축으로 하여 복원대상물(400)을 회전시키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장착부(300)는 복원대상물(400)의 두 방향 동시 회전을 가능케 함으로써, 웨이브 스터러(260)로부터 분산되는 전자기파를 복원대상물(400)의 표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장착부(300)는, 도 3과 같이 테이블(310) 상에 장착되어 복원대상물(400)인 PCR 또는 MDR의 회전축(410)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마운트(321)와, PCR 또는 MDR의 길이에 따라 테이블(310) 상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축(410)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마운트(322)와, 마운트 안내 레일(330)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마운트 안내 레일(330)은 테이블(310)의 상면에 형성되고, 제1 마운트(321)와 제2 마운트(322) 각각의 하단부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함으로써, 제조사마다 규격이나 길이가 다른 PCR 또는 MDR을 포함한 복원대상물(400)의 종류에 관계없이 다양한 복원대상물들을 그 길이에 맞게 장착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장착부(300)는, 복원대상물(400)을 도 2에서 도시된 두 방향 동시 회전이 가능하도록 도 4와 같이 제1 구동전달 어셈블리(340)와 제2 구동전달 어셈블리(3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 구동전달 어셈블리(340)는 테이블(310)과 작업 챔버(110)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어 테이블(310)의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이때, 제2 구동전달 어셈블리(350)는 제1 구동전달 어셈블리(340)와 연결되고, 테이블(310)과 제2 마운트(322)에 형성되어 복원대상물(400)의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우선, 제1 구동전달 어셈블리(340)는,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테이블(310)의 하부에 정, 역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작업 챔버(110)의 바닥면에 대하여 구름 접촉 지지되고, 내주면을 따라 내접 기어이(341a)가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 외접 기어이(341b)가 형성된 링 형상의 메인 링 기어(34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구동전달 어셈블리(340)는, 메인 링 기어(341)의 외측에 배치된 구동 모터(3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구동전달 어셈블리(340)는, 구동 모터(342)의 구동축 단부에 장착되어 외접 기어이(341b)와 맞물리는 제1 피니언(34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구동전달 어셈블리(340)는, 테이블(310)의 하부에 배치되어 내접 기어이(341a)와 맞물리는 제2 피니언(34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전달 어셈블리(340)는, 제2 피니언(344)의 중심부로부터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테이블(310)을 관통하여 제2 피니언(344)과 일체로 회전하며, 테이블(3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지지되는 제1 구동전달 축(345)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제2 구동전달 어셈블리(350)는 제2 마운트(322)를 통하여 제1 구동전달 축(345)과 연결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1 구동전달 어셈블리(340)와 함께 후술할 제2 구동전달 어셈블리(350)에 의하여 회전하게 될 테이블(310)의 지지 구조를 마련하기 위하여, 테이블(310)의 하면 중심부로부터 작업 챔버(110)의 바닥면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지지되는 중심축(311)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링 기어(340)의 하면 지지 구조 마련을 위하여, 메인 링 기어(341)의 하면을 따라 복수로 장착되는 이동지지 롤러(341c)와, 메인 링 기어(341)의 하면과 마주보는 작업 챔버(110)의 바닥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동지지 롤러(341c)의 구름 접촉을 안내하는 롤러 가이드(341d)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2 구동전달 어셈블리(350)는, 테이블(3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구동전달 축(345)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제1 구동전달 축(345)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1 원추기어(351)와, 제2 마운트(32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구동전달 축(352)과, 제2 구동전달 축(352)의 단부에 형성되어 제1 원추기어(351)와 직교되게 맞물리는 제2 원추기어(3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제1, 2 구동전달 어셈블리(340, 350)의 구성 부품들 중 축과 모터 및 기어 등 금속재로 이루어져 작업 챔버(110) 내에서 전자기파에 노출될 경우 스파크가 일어나 화재의 요인이 될 수 있는 소재로 된 것들을 전자기파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한 커버 박스(이하 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복원대상물(400)을 장착부(300)의 제1, 2 마운트(321, 322) 사이에 회전 지지되도록 장착한 다음, 도어를 닫고 컨트롤러(이하 미도시)를 조작하여 장치를 가동시키면 웨이브 복원부(200)와 장착부(300)의 제1, 2 구동전달 어셈블리(340, 350)가 가동을 시작하게 된다.
즉, 웨이브 복원부(200)는 마그네트론(210)으로부터 고주파를 발진시켜 웨이브 가이드(250)를 통하여 작업 챔버(110)로 분산되면서 복원대상물(400)의 복원이 이루어지고, 이때 고압 트랜스포머(220)의 고전압은 고압 커패시터(230)에 의하여 축전된다.
이와 동시에 제1 구동전달 어셈블리(340)의 구동모터(342)로부터 구동력은 제1 피니언(343)과 메인 링 기어(341)와 제2 피니언(344)을 거쳐 제1 구동전달 축(345)을 통하여 제2 구동전달 어셈블리(350)로 전달된다.
이때, 테이블(310)의 회전이 시작될 것이다.
계속하여 제2 구동전달 어셈블리(350)는, 제1 구동전달 축(345)으로부터 구동력을 제1 원추기어(351)와 제2 원추기어(353) 및 제2 구동전달 축(352)을 통해 복원대상물(400)의 회전축(410)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복원대상물(400)이 회전축(410)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이후, 작업자가 설정한 온도 및 주파수로 설정 시간동안 제1, 2 구동전달 어셈블리(340, 350)와 웨이브 복원부(200)를 가동시킴으로써 복원 작업이 수행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극초단파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롤러 복원 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한 작업 챔버(110)와, 작업 챔버(110)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컨트롤 챔버(120)를 구비한 본체 하우징(100); 컨트롤 챔버(120)에 내장되어 극초단파 전자기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210)을 포함하며, 마그네트론(210)으로부터 발진된 고주파를 작업 챔버(110)로 분산시키는 웨이브 복원부(200); 및 작업 챔버(110) 내에 투입된 복원대상물(400)인 사용완료된 PCR 또는 MDR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착부(300)를 포함하며, 전자기파는 장착부(300)에 지지된 복원대상물(400)의 표면에 형성된 실리콘층을 가열시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복잡하고 번거로운 추가 공정의 투입없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복원대상물(400)의 표면을 최초 출고시와 유사한 상태로 복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작업자가 숙련도에 관계없이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복원대상물(400)을 장착부(300)에 마운트시키고 장치를 가동시키는 것만으로도 복원 작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시간과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의 편의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선행기술에 비하여 불필요한 원자재 사용을 일절 없앨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매우 효율적인 발명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300)는, 복원대상물(400)인 PCR 또는 MDR의 회전축이 작업 챔버(11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복원대상물(400)의 양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운트(321, 322)와, 마운트(321, 322)가 장착되고 작업 챔버(110)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테이블(310)을 포함함으로써, 복원대상물(400)의 표면 전체에 걸쳐 균일하고 안정적인 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300)는, 복원대상물(400)인 PCR 또는 MDR의 회전축을 지지하여 회전축(410)을 중심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회전축(410)과 직교하는 가상선(ℓ)을 중심축으로 하여 복원대상물(400)을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고주파가 복원대상물(400)의 표면 전체에 균일하고 확실하게 침투되어 확실하고 우수한 복원 결과물을 획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300)는, 작업 챔버(110)의 바닥면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테이블(310)과, 테이블(310) 상에 장착되어 복원대상물(400)인 PCR 또는 MDR의 회전축(410)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마운트(321)와, PCR 또는 MDR의 길이에 따라 테이블(310) 상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축(410)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마운트(322)와, 테이블(310)의 상면에 형성되고, 제1 마운트(321)와 제2 마운트(322) 각각의 하단부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마운트 안내 레일(330)을 포함함으로써, 제조사마다 다른 길이를 가진 PCR과 MDR에 대응하여 장착 지지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범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300)는, 테이블(310)과 작업 챔버(110)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어 테이블(310)의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전달 어셈블리(340)와, 제1 구동전달 어셈블리(340)와 연결되고, 테이블(310)과 제2 마운트(322)에 형성되어 복원대상물(400)의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전달 어셈블리(350)를 더 구비함으로써, 복원대상물(400)이 두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토록 하여 고주파 가열이 복원대상물(400)의 표면에 걸쳐 균일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동 메카니즘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극초단파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간단히 사용 완료된 대전 롤러 또는 현상 롤러를 재사용 가능한 상태로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극초단파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롤러 복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복원대상물(400)을 2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웨이브 복원부(200)를 가동시키거나, 도 3과 같이 복원대상물(400)이 지지되는 제1, 2 마운트(321, 322)의 거리 조절 가능하며 1방향 회전 가능한 구조 이외에도, 단순히 복원대상물(400)의 회전축(410) 양단부를 단순히 거치만 할 수 있도록 고정된 마운트의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는 등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본체 하우징
110...작업 챔버
120...컨트롤 챔버
200...웨이브 복원부
210...마그네트론
220...고압 트랜스포머
230...고압 커패시터
240...안테나
250...웨이브 가이드
260...웨이브 스터러
270...팬
300...장착부
310...테이블
311...중심축
321...제1 마운트
322...제2 마운트
330...마운트 안내 레일
340...제1 구동전달 어셈블리
341...메인 링 기어
341a...내접 기어이
341b...외접 기어이
341c...이동지지 롤러
341d...롤러 가이드
342...구동 모터
343...제1 피니언
344...제2 피니언
345...제1 구동전달 축
350...제2 구동전달 어셈블리
351...제1 원추기어
352...제2 구동전달 축
353...제2 원추기어
400...복원대상물

Claims (5)

  1.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한 작업 챔버와, 상기 작업 챔버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컨트롤 챔버를 구비한 본체 하우징;
    상기 컨트롤 챔버에 내장되어 극초단파 전자기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진된 고주파를 상기 작업 챔버로 분산시키는 웨이브 복원부; 및
    상기 작업 챔버 내에 투입된 복원대상물인 사용완료된 대전 롤러(Primary Charge Roller, 이하 PCR) 또는 현상 롤러(Magnetic Developer Roller, 이하 MDR)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기파는 상기 장착부에 지지된 상기 복원대상물의 표면에 형성된 실리콘층을 가열시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초단파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롤러 복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복원대상물인 상기 PCR 또는 상기 MDR의 회전축이 상기 작업 챔버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상기 복원대상물의 양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운트와,
    상기 마운트가 장착되고 상기 작업 챔버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초단파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롤러 복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복원대상물인 상기 PCR 또는 상기 MDR의 회전축을 지지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과 직교하는 가상선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복원대상물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초단파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롤러 복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작업 챔버의 바닥면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 상에 장착되어 상기 복원대상물인 상기 PCR 또는 상기 MDR의 회전축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마운트와,
    상기 PCR 또는 상기 MDR의 길이에 따라 상기 테이블 상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마운트와,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마운트와 상기 제2 마운트 각각의 하단부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마운트 안내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초단파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롤러 복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테이블과 상기 작업 챔버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테이블의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전달 어셈블리와,
    상기 제1 구동전달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상기 테이블과 상기 제2 마운트에 형성되어 상기 복원대상물의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전달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초단파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롤러 복원 장치.
KR1020180091785A 2018-08-07 2018-08-07 극초단파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롤러 복원 장치 KR101956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785A KR101956511B1 (ko) 2018-08-07 2018-08-07 극초단파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롤러 복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785A KR101956511B1 (ko) 2018-08-07 2018-08-07 극초단파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롤러 복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511B1 true KR101956511B1 (ko) 2019-03-08

Family

ID=65801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785A KR101956511B1 (ko) 2018-08-07 2018-08-07 극초단파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롤러 복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51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0435A1 (fr) * 1994-12-28 1996-07-04 Shinozaki Manufacturing Co., Ltd. Procede et appareil de traitement de rouleaux et autres par faisceau laser
JP2004265616A (ja) * 2003-02-05 2004-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イクロ波加熱装置
KR20090047381A (ko) * 2008-12-04 2009-05-12 나노캠텍주식회사 전도성 탄성 롤러의 성능 복원 방법
KR20090107190A (ko) * 2008-04-08 2009-10-13 이화진 롤러 재생처리 지그
JP2010066480A (ja) * 2008-09-10 2010-03-25 Canon Inc 帯電部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0435A1 (fr) * 1994-12-28 1996-07-04 Shinozaki Manufacturing Co., Ltd. Procede et appareil de traitement de rouleaux et autres par faisceau laser
JP2004265616A (ja) * 2003-02-05 2004-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イクロ波加熱装置
KR20090107190A (ko) * 2008-04-08 2009-10-13 이화진 롤러 재생처리 지그
JP2010066480A (ja) * 2008-09-10 2010-03-25 Canon Inc 帯電部材
KR20090047381A (ko) * 2008-12-04 2009-05-12 나노캠텍주식회사 전도성 탄성 롤러의 성능 복원 방법
KR100906117B1 (ko) 2008-12-04 2009-07-07 나노캠텍주식회사 전도성 탄성 롤러의 성능 복원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8209B2 (en) Process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50023689A1 (en) Process cartridge capable of recovering waste toner
KR101956511B1 (ko) 극초단파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롤러 복원 장치
JP2013109209A (ja) 接触帯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01887231A (zh) 处理盒
CN101893836B (zh) 处理盒
US6195526B1 (en) Fixation roller for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nd transferr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JP2016224130A (ja) 定着装置
JP2011215327A (ja) 潤滑剤供給方法、支持部材及び回転体ユニット
US20060088350A1 (en) Fixing device i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pressing roller having a reversed crown shape
JP3267431B2 (ja) 帯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922243B2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1123171A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207895229U (zh) 出粉刀以及显影盒
KR101629675B1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6818416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77857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developing unit,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device
JP434893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2007089A (ja) 粉体収容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250297A (ja) 現像装置
JP5836702B2 (ja) 現像装置
JP613286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29726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04751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225299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