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936B1 - 난방 배관 시스템 - Google Patents

난방 배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936B1
KR101955936B1 KR1020170143169A KR20170143169A KR101955936B1 KR 101955936 B1 KR101955936 B1 KR 101955936B1 KR 1020170143169 A KR1020170143169 A KR 1020170143169A KR 20170143169 A KR20170143169 A KR 20170143169A KR 101955936 B1 KR101955936 B1 KR 101955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ipe
circulation
water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원근
임석대
정원철
위인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핫
임석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핫, 임석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핫
Priority to KR1020170143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2/00Oth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12/02Other central heating systems having more than one hea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10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 F24H1/105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formed by the tube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5Check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환관(Pb)들 중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Pb)들이 존재할 경우 그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Pb)들에 해당하는 체크밸브(Vc)들을 개별적으로 순차 개방시켜 난방수를 순차 순환토록 함으로써 결국 한 방에 해당하는 순환관(Pb)으로만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구조가 되어 작은 용량의 보일러(B)로도 충분히 실내온도를 상승케 할 수 있도록 한 난방 배관 시스템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난방 배관 시스템{PIPING OF HEATING SYSTEM}
본 발명은 난방 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순환관들 중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들이 존재할 경우 그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들에 해당하는 체크밸브들을 개별적으로 순차 개방시켜 난방수를 순차 순환토록 하여 결국 한 방에 해당하는 순환관으로만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구조가 되어 작은 용량의 보일러로도 충분히 실내온도를 상승케 할 수 있도록 하는 난방 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 배관 시스템은 보일러로부터 데워진 온수를 배관을 통해 순환시켜 실내를 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일컫는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4-0022008호)에 소개된 난방 온수 겸용 보일러의 배관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b는 선행기술문헌에 소개된 난방 온수 겸용 보일러의 배관 시스템의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소개된 난방 온수 겸용 보일러의 배관 시스템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밸브(10)로 공급되는 연료가스가 버너(11)에 의해 연소되고, 열교환기(5)를 순환하는 순환수가 연소실(12)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가열된 후 난방배관(6) 또는 온수배관(7)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3-1은 삼방변(3)의 밸브 및 볼을 지시하고, 3-2는 모터를 지시하며, 13은 역풍감지기, 14는 바이패스관, 15는 난방부하, 16은 온수, 17은 출수관, 18은 환수관을 지시하고, 19는 바이패스구멍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문헌의 난방 온수 겸용 보일러는 난방을 사용할 경우에는 삼방변(3)이 환수관(18) 쪽으로 열리고 바이패스관(14) 쪽은 막힌 상태에서 순환펌프(4)가 난방배관(6) 내부의 순환수를 열교환기(5)로 보낸다. 여기서 순환수는 연료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받아들인 후, 출수관(17)을 통해 난방부하(15)로 공급되어지고, 방열된 순환수는 환수관(18)을 통해서 삼방변(3)을 경유하여 다시 순환펌프(4)로 들어가서 열교환기(5)에서 가열되어지는 폐회로를 형성한다.
온수 사용시는 열교환기(5)에서 공급되어지는 열량이 효율적으로 온수(16)로 공급되기 위해서는 난방부하(15)에서 열량의 손실이 일어나면 안되므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방변(3)의 볼(3-1)로 환수관(18) 쪽을 막아주게 되며, 이때 순환수는 바이패스관(14)을 통해서 삼방변(3)에 곧 바로 유입도어 순환펌프(4)로 흡입되고 열교환기(5)에 보내어져 재 가열되는 짧은 순환회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에 소개된 난방 온수 겸용 보일러의 배관 시스템은 난방시 열교환기(5)에 의해 데워진 순환수가 출수관(17), 난방부하(15), 환수관(18) 및 난방배관(6)의 한쪽 방향으로 순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인하여 열교환기(5)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곳과 거리가 먼 곳의 난방부하(15)의 온도가 각각 달라 실내바닥의 온도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5)로부터 거리가 먼 곳의 난방부하(15)로부터 환수되는 순환수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이 순환수를 다시 데우기까지의 시간 및 연료가스의 낭비를 감내해야만 하고, 나아가 열교환기(5)의 용량까지 더 키워야만 하는 한계를 안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4-0022008호 - 난방 온수 겸용 보일러의 배관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순환관들 중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들이 존재할 경우 그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들에 해당하는 체크밸브들을 개별적으로 순차 개방시켜 난방수를 순차 순환토록 함으로써 결국 한 방에 해당하는 순환관으로만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구조가 되어 작은 용량의 보일러로도 충분히 실내온도를 상승케 할 수 있도록 하는 난방 배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들에 해당하는 체크밸브들을 분 단위로 개별 순차 개방시켜 난방수를 순차 순환토록 제어하여 작은 용량의 보일러로도 각 방을 충분히 효율적으로 데울 수 있는 난방 배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들에 해당하는 체크밸브들을 선택된 순서에 따라 개별 순차 개방시켜 난방수를 순차 순환토록 제어하여, 각 방으로의 난방수의 공급에 대한 우선순위를 용이하게 결정케 할 수 있는 난방 배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희망온도의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들에 해당하는 체크밸브들을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들의 실제온도가 희망온도가 될 때까지 개별 순차 개방시켜 난방수를 순차 순환토록 제어하여, 각 방마다의 실내바닥 온도를 일거에 희망온도까지 맞춘 다음 다른 방으로의 난방수를 공급케 할 수 있는 난방 배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들에 해당하는 체크밸브들을 선택된 순서에 따라 개별 순차 개방시켜 난방수를 순차 순환토록 제어하여, 각 방으로의 난방수의 공급에 대한 우선순위를 용이하게 결정케 할 수 있는 난방 배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3웨이관, 타측3웨이관, 일측3웨이밸브, 타측3웨이밸브, 제1크로스관 및 제2크로스관을 공급관 및 회수관에 크로스되도록 설치하여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른 일측3웨이밸브 및 타측3웨이밸브의 간단한 개폐만으로 순환관에 순환되는 난방수를 순방향으로 순환시킨 후 다시 역방향으로 순환시켜 보일러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순환관이든 보일러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순환관이든 동일한 온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실내바닥 전체를 균일한 온도로 데울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일러의 용량 역시 크게 줄일 수 있으면서 가스에너지 또는 전기에너지의 낭비 또한 최소화시킬 수 있는 난방 배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일러의 난방수의 순방향 순환 및 역방향 순환의 주기를 분 단위로 반복될 수 있도록 일측3웨이밸브 및 타측3웨이밸브를 간단히 시간에 의해 제어토록 하여 겨울철 실내온도의 신속하고도 균일한 상승을 가능케 할 수 있는 난방 배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일러의 난방수의 순방향 순환 및 역방향 순환을 간단히 온도차에 의해 반복 체인지시키도록 제어하여 겨울철 실내온도의 신속하고도 균일한 상승을 가능케 할 수 있는 난방 배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수구를 통해 발열체의 공동홈으로 냉수가 유입될 경우 발열봉들에 의해 다중으로 신속 가열시켜 공급구로 온수를 빠르게 보낼 수 있도록 하여 간편 간단 구성에 의한 생산성과 신속 가열에 따른 효율성 나아가 전기에너지의 절감까지 보장케 할 수 있는 난방 배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열체의 공동홈 속에 길이방향으로 한꺼번에 발열봉들이 내장되면서 냉수를 일거에 다중 가열시켜 온수로 전환시켜 열효율의 극대화를 가능케 할 수 있는 난방 배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외선차단 코팅부에 의해 카본섬유사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이 차단되어 고무나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된 오링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본연의 유연함과 더불어 쿠션을 유지케 하여 내열유리관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누수현상 등을 더욱 철저하게 방지하여 수명을 보장케 할 수 있는 난방 배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외선차단 코팅부로서 40∼50wt%의 아크릴수지와, 10∼15wt%의 이산화티타늄과, 3∼7wt%의 그라파이트와, 10∼15wt%의 실리카비드와, 6∼8wt%의 탄산칼슘과, 4∼7wt%의 규산나트륨과, 5∼8wt%의 카본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적외선의 차단을 통한 고무나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오링의 수명을 보장케 할 수 있는 난방 배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격부재로서 절연관을 파지하면서 연결선을 고정토록 하여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 상호간의 간격을 균일하게 벌려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난방 배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열유리관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텐션지지부에 의해 중심선이 내열유리관 속에 편심되지 않고 센터링될 수 있게 되어 카본섬유사가 내열유리관의 내주연에 직접적인 접촉을 하지 않도록 하여 카본섬유사의 발열시 접촉에 의한 훼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텐션지지부를 통해 중심선이 좌우는 물론이거니와 상하방향으로까지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를 중심에 두고 압착부를 부여할 때 내열유리관을 세운 상태로 작업을 하더라도 카본섬유사, 절연관 및 중심선의 무게에 의해 내열유리관으로부터 하강되려는 현상을 이겨낼 수 있도록 하여 압착부의 부여 작업을 훨씬 더 수월하게 구현케 함으로써 생산성을 보장하는 난방 배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심선을 중심에 두고 일측와이어 및 타측와이어가 내열유리관에 지지되면서 중심선을 탄성적으로 센터링 지지케 하여, 카본섬유사, 절연관 및 중심선을 내열유리관 속으로 넣을 때 일측와이어 및 타측와이어의 탄성적인 수축을 통해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압착부의 부여 작업시 텐션지지부에 의한 탄성적인 지지력으로 카본섬유사, 절연관 및 중심선의 하강 현상을 철저히 방지케 할 수 있는 난방 배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일러로부터 난방수를 공급받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난방수를 공급받아 제1순환관, 제2순환관 … 제n순환관으로 된 순환관들로 순환시키는 공급분배기와, 상기 순환관들로부터 난방수를 퇴수하는 퇴수분배기와, 상기 퇴수분배기로부터 난방수를 회수하여 순환펌프를 통해 상기 보일러로 주입하는 회수관을 포함하는 난방 배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급분배기는 상기 제1순환관, 제2순환관 … 제n순환관을 각각 개폐시키는 제1체크밸브, 제2체크밸브 … 제n체크밸브로 된 체크밸브들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순환관들 중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들이 존재할 경우 그 난방으로 선택된 상기 순환관들에 해당하는 상기 체크밸브들을 개별적으로 순차 개방시켜 난방수를 순차 순환토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순환관들 중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들이 존재할 경우 그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들에 해당하는 체크밸브들을 개별적으로 순차 개방시켜 난방수를 순차 순환토록 함으로써 결국 한 방에 해당하는 순환관으로만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구조가 되어 작은 용량의 보일러로도 충분히 실내온도를 상승케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들에 해당하는 체크밸브들을 분 단위로 개별 순차 개방시켜 난방수를 순차 순환토록 제어하여 작은 용량의 보일러로도 각 방을 충분히 효율적으로 데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들에 해당하는 체크밸브들을 선택된 순서에 따라 개별 순차 개방시켜 난방수를 순차 순환토록 제어하여, 각 방으로의 난방수의 공급에 대한 우선순위를 용이하게 결정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희망온도의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들에 해당하는 체크밸브들을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들의 실제온도가 희망온도가 될 때까지 개별 순차 개방시켜 난방수를 순차 순환토록 제어하여, 각 방마다의 실내바닥 온도를 일거에 희망온도까지 맞춘 다음 다른 방으로의 난방수를 공급케 하여, 예를 들면 자녀의 방 또는 노부모의 방을 더욱 빠르게 데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들에 해당하는 체크밸브들을 선택된 순서에 따라 개별 순차 개방시켜 난방수를 순차 순환토록 제어하여, 각 방으로의 난방수의 공급에 대한 우선순위를 용이하게 결정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일측3웨이관, 타측3웨이관, 일측3웨이밸브, 타측3웨이밸브, 제1크로스관 및 제2크로스관을 공급관 및 회수관에 크로스되도록 설치하여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른 일측3웨이밸브 및 타측3웨이밸브의 간단한 개폐만으로 순환관에 순환되는 난방수를 순방향으로 순환시킨 후 다시 역방향으로 순환시켜 보일러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순환관이든 보일러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순환관이든 동일한 온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실내바닥 전체를 균일한 온도로 데울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일러의 용량 역시 크게 줄일 수 있으면서 가스에너지 또는 전기에너지의 낭비 또한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일러의 난방수의 순방향 순환 및 역방향 순환의 주기를 분 단위로 반복될 수 있도록 일측3웨이밸브 및 타측3웨이밸브를 간단히 시간에 의해 제어토록 하여 겨울철 실내온도의 신속하고도 균일한 상승을 가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일러의 난방수의 순방향 순환 및 역방향 순환을 간단히 온도차에 의해 반복 체인지시키도록 제어하여 겨울철 실내온도의 신속하고도 균일한 상승을 가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회수구를 통해 발열체의 공동홈으로 냉수가 유입될 경우 발열봉들에 의해 다중으로 신속 가열시켜 공급구로 온수를 빠르게 보낼 수 있도록 하여 간편 간단 구성에 의한 생산성과 신속 가열에 따른 효율성 나아가 전기에너지의 절감까지 보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발열체의 공동홈 속에 길이방향으로 한꺼번에 발열봉들이 내장되면서 냉수를 일거에 다중 가열시켜 온수로 전환시켜 열효율의 극대화를 가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발열체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체에 의해 발열봉들이 발열체에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조립될 수 있음과 동시에 푸싱링에 의한 오링의 푸싱으로 발열봉과 탑홀 사이의 틈새를 더욱 밀착 실링시킬 수 있게 되어 회수구를 통해 냉수를 유입시킨 후 온수로 전환시켜 공급구로 내보내는 과정에서의 누수의 철저한 방지로서 안전하고도 정확한 동작을 보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적외선차단 코팅부에 의해 카본섬유사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이 차단되어 고무나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된 오링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본연의 유연함과 더불어 쿠션을 유지케 하여 내열유리관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누수현상 등을 더욱 철저하게 방지하여 수명을 보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압착부의 표면을 비롯하여 압착부를 따라 열압착되어 포개어진 내열유리관의 틈새와 내열유리관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제1리드선 및 제2리드선 주변의 틈새에 이르기까지 적외선차단 코팅부를 부여하여 고무나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된 오링의 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적외선차단 코팅부로서 40∼50wt%의 아크릴수지와, 10∼15wt%의 이산화티타늄과, 3∼7wt%의 그라파이트와, 10∼15wt%의 실리카비드와, 6∼8wt%의 탄산칼슘과, 4∼7wt%의 규산나트륨과, 5∼8wt%의 카본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적외선의 차단을 통한 고무나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오링의 수명을 보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격부재로서 절연관을 파지하면서 연결선을 고정토록 하여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 상호간의 간격을 균일하게 벌려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연결선이 원형단면 형상의 직경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타측펼침판의 끝단과 일측펼침판이 만나는 경계에 은폐되면서 자신의 원호면을 따라 용접될 수 있게 되어 더욱 간결하고 더욱 견고한 고정을 가능케 하여 수명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전원케이블 및 제2전원케이블의 와인딩 접속시 용이토록 함과 동시에 제1리드선 및 제2리드선 상호간의 접촉에 의한 쇼트현상까지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내열유리관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텐션지지부에 의해 중심선이 내열유리관 속에 편심되지 않고 센터링될 수 있게 되어 카본섬유사가 내열유리관의 내주연에 직접적인 접촉을 하지 않도록 하여 카본섬유사의 발열시 접촉에 의한 훼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텐션지지부를 통해 중심선이 좌우는 물론이거니와 상하방향으로까지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를 중심에 두고 압착부를 부여할 때 내열유리관을 세운 상태로 작업을 하더라도 카본섬유사, 절연관 및 중심선의 무게에 의해 내열유리관으로부터 하강되려는 현상을 이겨낼 수 있도록 하여 압착부의 부여 작업을 훨씬 더 수월하게 구현케 함으로써 생산성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중심선을 중심에 두고 일측와이어 및 타측와이어가 내열유리관에 지지되면서 중심선을 탄성적으로 센터링 지지케 하여, 카본섬유사, 절연관 및 중심선을 내열유리관 속으로 넣을 때 일측와이어 및 타측와이어의 탄성적인 수축을 통해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압착부의 부여 작업시 텐션지지부에 의한 탄성적인 지지력으로 카본섬유사, 절연관 및 중심선의 하강 현상을 철저히 방지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에 소개된 난방 온수 겸용 보일러의 배관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b는 선행기술문헌에 소개된 난방 온수 겸용 보일러의 배관 시스템의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 시스템에 적용된 보일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 시스템에 적용된 보일러를 나타내는 요부 절개를 포함한 분해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 시스템에 적용된 보일러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 시스템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B)로부터 난방수를 공급받는 공급관(Pa)과, 공급관(Pa)으로부터 난방수를 공급받아 제1순환관(Pb1), 제2순환관(Pb2) … 제n순환관(Pbn)으로 된 순환관(Pb)들로 순환시키는 공급분배기(D1)와, 순환관(Pb)들로부터 난방수를 퇴수하는 퇴수분배기(D2)와, 퇴수분배기(D2)로부터 난방수를 회수하여 순환펌프(H)를 통해 보일러(B)로 주입하는 회수관(Pc)을 포함한다.
보일러(B)에서 난방수가 가열되어 공급관(Pa)을 통해 공급될 경우 공급분배기(D1)를 경유하여 순환관(Pb)들로 분배되고, 순환관(Pb)에서는 난방수로 각 방의 실내바닥 등을 데워준 후 퇴수분배기(D2)를 통해 퇴수되도록 하면서 회수관(Pc)을 경유하여 보일러(B)로 다시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순환펌프(H)는 공급관(Pa) 또는 회수관(Pc)에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공급분배기(D1)는 제1순환관(Pb1), 제2순환관(Pb2) … 제n순환관(Pbn)을 각각 개폐시키는 제1체크밸브(Vc1), 제2체크밸브(Vc2) … 제n체크밸브(Vcn)로 된 체크밸브(Vc)들을 각각 구비하고, 순환관(Pb)들 중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Pb)들이 존재할 경우 그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Pb)들에 해당하는 체크밸브(Vc)들을 개별적으로 순차 개방시켜 난방수를 순차 순환토록 제어하는 컨트롤러(C)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종래 기술은 순환관(Pb)들 중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Pb)들이 존재할 경우 그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Pb)들을 일거에 개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할 경우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Pb)들로 보일러(B)의 난방수가 일거에 순환됨으로 인하여 각 방의 실내바닥을 데우기 위한 보일러(B)의 용량을 큰 것을 사용하여야만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순환관(Pb)들 중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Pb)들이 존재할 경우 그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Pb)들에 해당하는 체크밸브(Vc)들을 개별적으로 순차 개방시켜 난방수를 순차 순환토록 함으로써 결국 한 방에 해당하는 순환관(Pb)으로만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구조가 되어 작은 용량의 보일러(B)로도 충분히 실내온도를 상승케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컨트롤러(C)는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Pb)들에 해당하는 체크밸브(Vc)들을 분 단위(예를 들면 5분 간격)로 개별 순차 개방시켜 난방수를 순차 순환토록 제어하여 작은 용량의 보일러(B)로도 각 방을 충분히 효율적으로 데울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컨트롤러(C)는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Pb)들에 해당하는 체크밸브(Vc)들을 선택된 순서에 따라 개별 순차 개방시켜 난방수를 순차 순환토록 제어하여, 각 방으로의 난방수의 공급에 대한 우선순위를 용이하게 결정케 한다.
나아가, 컨트롤러(C)는 희망온도의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Pb)들에 해당하는 체크밸브(Vc)들을 그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Pb)들의 실제온도가 희망온도가 될 때까지 개별 순차 개방시켜 난방수를 순차 순환토록 제어하여, 각 방마다의 실내바닥 온도를 일거에 희망온도까지 맞춘 다음 다른 방으로의 난방수를 공급케 하여, 예를 들면 자녀의 방 또는 노부모의 방을 더욱 빠르게 데울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컨트롤러(C)는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Pb)들에 해당하는 체크밸브(Vc)들을 선택된 순서에 따라 개별 순차 개방시켜 난방수를 순차 순환토록 제어하여, 각 방으로의 난방수의 공급에 대한 우선순위를 용이하게 결정케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 시스템은 공급관(Pa) 및 공급분배기(D1)를 연통시키는 일측순방향통로(W11)를 비롯한 일측역방향통로(W12)를 지닌 일측3웨이관(W10)과, 퇴수분배기(D2) 및 회수관(Pc)을 연통시키는 타측순방향통로(W21)를 비롯한 타측역방향통로(W22)를 지닌 타측3웨이관(W20)과, 공급관(Pa) 및 일측3웨이관(W10) 사이를 개폐시키는 일측순방향밸브구(V11) 및 타측역방향통로(W22)에 연통되는 제1크로스관(G1)을 개폐시키는 일측역방향밸브구(V12)를 지닌 일측3웨이밸브(V10)와, 타측3웨이관(W20) 및 회수관(Pc) 사이를 개폐시키는 타측순방향밸브구(V21) 및 일측역방향통로(W12)에 연통되는 제2크로스관(G2)을 개폐시키는 타측역방향밸브구(V22)를 지닌 타측3웨이밸브(V20)를 구비하고, 컨트롤러(C)는 난방시 일측순방향밸브구(V11) 및 타측순방향밸브구(V21)를 개방시키는 반면 일측역방향밸브구(V12) 및 타측역방향밸브구(V22)를 폐쇄시켜 보일러(B)의 난방수로 하여금 공급관(Pa), 일측순방향통로(W11), 공급분배기(D1), 순환관(Pb)들, 퇴수분배기(D2), 타측순방향통로(W21) 및 회수관(Pc)을 거쳐 순환펌프(H)로 순방향 순환되도록 한 후 일측순방향밸브구(V11) 및 타측순방향밸브구(V21)를 폐쇄시키는 반면 일측역방향밸브구(V12) 및 타측역방향밸브구(V22)를 개방시켜 보일러(B)의 난방수로 하여금 공급관(Pa), 제1크로스관(G1), 타측역방향통로(W22), 퇴수분배기(D2), 순환관(Pb)들, 공급분배기(D1), 일측역방향통로(W12), 제2크로스관(G2) 및 회수관(Pc)을 거쳐 순환펌프(H)로 역방향 순환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 시스템은 일측3웨이관(W10), 타측3웨이관(W20), 일측3웨이밸브(V10), 타측3웨이밸브(V20), 제1크로스관(G1) 및 제2크로스관(G2)을 공급관(Pa) 및 회수관(Pc)에 크로스되도록 설치하여 컨트롤러(C)의 제어에 따른 일측3웨이밸브(V10) 및 타측3웨이밸브(V20)의 개폐만으로 순환관(Pb)에 순환되는 난방수를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방향으로 순환시킨 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으로 순환시켜 보일러(B)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순환관(Pb)이든 보일러(B)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순환관(Pb)이든 동일한 온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실내바닥 전체를 균일한 온도로 데울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일러(B)의 용량 역시 크게 줄일 수 있으면서 가스에너지 또는 전기에너지의 낭비 또한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컨트롤러(C)는 보일러(B)의 난방수의 순방향 순환 및 역방향 순환의 주기를 분 단위, 예를 들면 5~10분 간격으로 반복될 수 있도록 일측3웨이밸브(V10) 및 타측3웨이밸브(V20)를 간단히 시간에 의해 제어토록 하여 겨울철 실내온도의 신속하고도 균일한 상승을 가능케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 시스템에 적용된 보일러(B)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 시스템에 적용된 보일러(B)를 나타내는 요부 절개를 포함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 시스템에 적용된 보일러(B)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 시스템에 적용된 보일러(B)는 도 3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관(Pc)에 연통되는 회수구(41) 및 공급관(Pa)에 연통되는 공급구(42)를 지니면서 길이방향으로 공동홈(40b)을 구비함과 동시에 공동홈(40b)에 각각 연통되는 탑홀(40a)들을 지닌 발열체(40)와, 탑홀(40a)들에 각각 끼워져 공동홈(40b) 속으로 내장되어 난방수를 다중 가열시키는 발열봉(10)들, 그리고 발열봉(10)들을 가압하여 탑홀(40a)들에 긴밀하게 실링되도록 발열체(40)에 고정되는 고정수단(50)을 포함한다.
회수구(41)를 통해 난방수가 발열체(40)의 공동홈(40b)으로 유입될 경우 발열봉(10)들에 의해 다중으로 신속 가열시켜 공급구(42)로 난방수를 빠르게 보낼 수 있도록 하여 간편 간단 구성에 의한 생산성과 신속 가열에 따른 효율성 나아가 전기에너지의 절감까지 보장케 할 수 있다.
이때, 발열봉(10)들은 발열체(40)의 공동홈(40b) 속에 길이방향으로 한꺼번에 내장되면서 난방수를 일거에 다중 가열하여 열효율의 극대화를 가능케 한다.
그리고, 고정수단(50)은 탑홀(40a)의 내주연에 형성된 단턱(51)과, 발열봉(10)에 끼워지면서 탑홀(40a) 속으로 진입되어 단턱(51)에 맞닿는 오링(52)과, 발열봉(10)에 끼워지면서 탑홀(40a) 속으로 진입되어 오링(52)에 맞닿는 푸싱링(53)과, 발열봉(10)들을 각각 통과시키는 쓰루홀(55)들을 지니면서 푸싱링(53)을 가압하여 오링(52)을 진입방향으로 축소시키는 반면 외향으로 확대시켜 발열봉(10)의 외주연 및 탑홀(40a)의 내주연 사이를 밀착 실링시키도록 발열체(40)에 나사(56) 결합되는 고정체(54)를 포함한다.
발열체(40)에 나사(56) 결합되는 고정체(54)에 의해 발열봉(10)들이 발열체(40)에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조립될 수 있음과 동시에 푸싱링(53)에 의한 오링(52)의 푸싱으로 발열봉(10)과 탑홀(40a) 사이의 틈새를 더욱 밀착 실링시킬 수 있게 되어 회수구(41)를 통해 냉수를 유입시킨 후 온수로 전환시켜 공급구(42)로 내보내는 과정에서의 누수의 철저한 방지로서 안전하고도 정확한 동작을 보장케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난방 배관 시스템에 적용된 보일러(B)의 구성으로서 발열봉(10)에 끼워지면서 탑홀(40a) 속으로 진입되어 푸싱링(53)에 맞닿는 추가의 오링(52)과, 발열봉(10)에 끼워지면서 탑홀(40a) 속으로 진입되어 추가의 오링(52)에 맞닿는 추가의 푸싱링(53)을 더 포함하여 실링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 시스템에 적용된 발열봉(10)은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 발산하는 직조된 카본섬유사(11)와, 카본섬유사(11)를 내장하는 내열유리관(12)[예를 들면 석영유리관]과, 카본섬유사(11)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연결된 제1접속단자(13a) 및 제2접속단자(13b)[예를 들어 열에 의한 변형이 극히 작은 몰리브덴(Molybdenum) 단자]에 접속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1리드선(14a) 및 제2리드선(14b)과, 내열유리관(12)의 끝단에서 제1접속단자(13a) 및 제2접속단자(13b)를 중심에 두고 열압착된 압착부(12a)를 포함한다.
이때, 제1리드선(14a) 및 제2리드선(14b)에는 제1전원케이블(31a) 및 제2전원케이블(31b)이 각각 접속된 후 세라믹캡(32)으로 커버링되어 절연 및 내열을 기할 수 있도록 하며, 제1전원케이블(31a) 및 제2전원케이블(31b)을 통해 공급된 전기에너지를 내열유리관(12)[불활성가스로 채워진 내열유리관(12)] 속의 카본섬유사(11)가 열에너지로 변환 발산시켜 공동홈(40b) 속에서 물을 다중으로 일거에 가열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고정수단(50)은 내열유리관(12)의 성질상 깨질 수 있다는 점과 누수되지 않도록 긴밀한 실링(Sealing)을 유지시켜야 한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고무나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된 오링(52)을 구비하는데, 이러할 경우 카본섬유사(11)로부터 발산 및 조사되는 열 및 적외선에 의해 오링(52)이 경화되거나 단단하게 굳어버리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탑홀(40a)에 대향되는 내열유리관(12)의 표면에 코팅되어 카본섬유사(11)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차단 코팅부(15)를 핵심 구성으로 포함한다.
적외선차단 코팅부(15)에 의해 카본섬유사(11)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이 차단되어 고무나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된 오링(52)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오링(52) 본연의 유연함과 더불어 쿠션을 유지케 하여 내열유리관(12)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누수현상 등을 더욱 철저하게 방지하여 수명을 보장케 한다.
바람직하게, 적외선차단 코팅부(15)는 압착부(12a)의 표면을 비롯하여 압착부(12a)를 따라 열압착되어 포개어진 내열유리관(12)의 틈새와 내열유리관(12)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제1리드선(14a) 및 제2리드선(14b) 주변의 틈새에 이르기까지 코팅될 수 있도록 한다.
블로워(blower) 성형 또는 금형 성형으로 제작된 내열유리관(12)은 일측이 개방된 상태에서 카본섬유사(11) 등을 받아들이고 진공 후 불활성가스로 채운 다음 제1접속단자(13a) 및 제2접속단자(13b)를 중심에 두고 개방된 일측을 열압착시켜 압착부(12a)를 부여하게 되는데, 이때 열압착된 압착부(12a)는 틈새가 발생할 수밖에 없고 마찬가지로 외부로 노출되는 제1리드선(14a) 및 제2리드선(14b) 주변 역시 틈새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할 경우 빛샘, 즉 적외선이 틈새로 빠져나올 수밖에 없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적외선까지 철저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압착부(12a)의 표면을 비롯하여 그 틈새와 제1리드선(14a) 및 제2리드선(14b) 주변의 틈새까지 코팅된 적외선차단 코팅부(15)로서 고무나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된 오링(52)의 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차단 코팅부(15)는 40∼50wt%의 아크릴수지와, 10∼15wt%의 이산화티타늄과, 3∼7wt%의 그라파이트와, 10∼15wt%의 실리카비드와, 6∼8wt%의 탄산칼슘과, 4∼7wt%의 규산나트륨과, 5∼8wt%의 카본으로 이루어진다.
아크릴수지는 아크릴산 및 그 유도체의 중합에 의해서 얻어지는 합성수지의 총칭으로 아크릴산 메틸, 메타아크릴산 메틸의 중합체가 실용화되고 있으며, 내약품성이 좋고, 물·산·알칼리에 강하고, 전기절연성·내수성이 모두 양호하여 도료·접착제로서 활용되어 본 발명의 주 조성물로 적용되며, 40wt% 이하일 경우 전기절연성 및 내수성이 떨어질 수 있고, 50wt% 이상일 경우 적외선을 오히려 투과시켜 바람지하지 않아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수지 40∼50wt%로 적용하는 것이다.
이산화티타늄은 비타르계 색소로 코팅재료로 쓰이며, 물 염산 묽은 황산 알코올 및 다른 유기용매에도 녹지 않으며 특히 산에 녹지 않는 은폐력이 매우 크고, 매우 안정된 물질로서 내후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생물학적으로 반응을 하지 않아 환경 및 인체에 무해하고, 산화력이 커서 향균 작용이 크고, 악취 제거 및 살균작용이 있으며, 절연체로서 작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산화티타늄 10∼15wt%로 적용되며, 10wt% 이하일 경우 산에 녹지 않는 은폐력이 떨어지고 15wt% 이상일 경우 아크릴수지와의 혼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본 발명에서는 이산화티타늄 10∼15wt%로 적용하는 것이다.
그라파이트는 흑색에서 철회색을 띠며 금속광택을 가지며 내열성 내열충격성 및 내식성이 강하고 적외선을 차단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그라파이트 3∼7wt%로 적용되며, 3wt% 이하일 경우 적외선 차단이 어렵고 7wt% 이상일 경우 전도체로 작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그라파이트 3∼7wt%로 적용하는 것이다.
실리카는 이산화규소 또는 규산 무수물이라고도 하며 유리 원료로서 내열유리관(12)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어 본 발명에서는 실리카비드 10∼15wt%로 적용되며, 10wt% 이하일 경우 내열유리관(12)과의 결합력이 떨어지고 15wt% 이상일 경우 오히려 실리카비드가 석출되어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실리카비드 10∼15wt%로 적용한다.
탄산칼슘은 칼슘의 탄산염으로 안료 도료 등에 사용되며, 고무에도 보강제로서 배합되는데 특히 아크릴수지와 결합되어 보강제로서 활용되도록 하여 본 발명에서는 탄산칼슘 6∼8wt%로 적용되며, 6wt% 이하일 경우 아크릴수지와 결합되더라고 보강제로서의 기능이 충분치 아니하고 8wt% 이상일 경우 지나치게 단단하여 경화 후 균열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탄산칼슘 6∼8wt%로 적용한다.
규산나트륨은 아크릴수지, 이산화티타늄, 그라파이트, 실리카비드, 탄산칼슘 및 카본 상호간의 혼합 점도를 맞추어 주는데, 예를 들어 농도가 높아지면 점도를 올리고 혼합시 온도를 상승시킬 경우 점도를 낮추어 석영유리관의 표면에 더욱 원활하게 코팅되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규산나트륨 4∼7wt%로 적용되며, 4wt% 이하일 경우 점도를 약화시켜 코팅 후 경화를 느리게 하고 7wt% 이상일 경우 점도를 강화시켜 석영유리관 표면으로의 코팅이 잘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본 발명에서는 규산나트륨 4∼7wt%로 적용한다.
카본은 내열성이 강하면서 흑색으로 적외선 차단이 탁월하여 본 발명에서는 카본 5∼7wt%로 적용되며, 5wt% 이하일 경우 적외선 차단이 어렵고 8wt% 이상일 경우 전도체로서 작용하여 바람직하지 않아 본 발명에서는 카본 5∼8wt%로 적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열봉(10)은 내열유리관(12)의 성질상 깨질 수 있다는 점과 누수되지 않도록 긴밀한 실링(Sealing)을 유지시켜야 한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고무나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오링(52)이 적외선에 치명적이라는 것을 감안하여 탑홀(40a)에 대향되는, 즉 오링(52)에 대향되는 내열유리관(12)의 표면에 코팅되어 카본섬유사(11)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차단 코팅부(15)를 구비시키고, 이러한 적외선차단 코팅부(15)로서 40∼50wt%의 아크릴수지와, 10∼15wt%의 이산화티타늄과, 3∼7wt%의 그라파이트와, 10∼15wt%의 실리카비드와, 6∼8wt%의 탄산칼슘과, 4∼7wt%의 규산나트륨과, 5∼8wt%의 카본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적외선의 차단을 통한 고무나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오링(52)의 수명을 보장케 하는 것이다.
나아가, 발열봉(10)은 제1접속단자(13a)에 접속되면서 카본섬유사(11)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선(16a)과, 제2접속단자(13b)에 접속되면서 내열유리관(12) 내부에 세워진 절연관(17) 속으로 끼워져 카본섬유사(11)의 타단에 연결되는 중심선(16b)을 포함한다.
카본섬유사(11)의 일단 및 타단이 연결선(16a) 그리고 절연관(17) 속으로 끼워져 세워진 중심선(16b)에 각각 연결되어 제1접속단자(13a) 및 제2접속단자(13b)를 내열유리관(12)의 한쪽방향으로 배치시킬 수 있게 되어 제1전원케이블(31a) 및 제2전원케이블(31b)의 접속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간결한 구조까지 실현케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이때, 발열봉(10)은 절연관(17)을 파지하면서 연결선(16a)을 고정하여 제1접속단자(13a) 및 제2접속단자(13b) 상호간의 간격을 벌려주는 이격부재(18)를 포함한다.
내열유리관(12)의 끝단에서 제1접속단자(13a) 및 제2접속단자(13b)를 중심에 두고 열압착시킬 때 제1접속단자(13a) 및 제2접속단자(13b)가 상호 안전한 간격(쇼트되지 않는 안전한 간격)으로 이격되어야 하나, 때론 절연관(17)의 무게에 의해 때론 열압착시 내열유리관(12)의 쏠림에 의해 제1접속단자(13a) 및 제2접속단자(13b)가 서로 접촉되거나 상호 지나치게 이격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제작시의 불량을 초래하곤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격부재(18)로서 절연관(17)을 파지하면서 연결선(16a)을 고정토록 하여 제1접속단자(13a) 및 제2접속단자(13b) 상호간의 간격을 균일하게 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격부재(18)는 절연관(17)을 휘감는 와인드판(18a)과, 와인드판(18a)으로부터 각각 펼쳐져 상호 용접됨과 동시에 연결선(16a)을 고정하는 일측펼침판(18b) 및 타측펼침판(18c)을 포함한다.
절연관(17)은 카본섬유사(11) 및 중심선(16b) 상호간의 절연을 기하면서 내열을 위하여 내열유리관(12)과 마찬가지로 석영유리관으로 제작될 수 있고, 이렇게 석영유리관으로 제작된 절연관(17)을 와인드판(18a)으로 면접촉될 수 있도록 휘감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고정토록 하고, 나아가 일측펼침판(18b) 및 타측펼침판(18c) 상호간의 용접과 동시에 연결선(16a)까지 용접 고정토록 하여, 이격부재(18)에 의한 절연관(17) 및 연결선(16a) 상호간의 벌어진 간격으로 제1접속단자(13a) 및 제2접속단자(13b) 상호간의 균일한 벌림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격부재(18)는 일측펼침판(18b)의 길이보다 타측펼침판(18c)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작은 상태로 일측펼침판(18b)의 중간에 타측펼침판(18c)이 용접됨과 동시에 타측펼침판(18c)의 끝단과 일측펼침판(18b)이 만나는 경계에 연결선(16a)이 용접될 수 있도록 하여, 연결선(16a)이 원형단면 형상의 직경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타측펼침판(18c)의 끝단과 일측펼침판(18b)이 만나는 경계에 은폐되면서 자신의 원호면을 따라 용접될 수 있게 되어 더욱 간결하고 더욱 견고한 고정을 가능케 하여 수명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리드선(14a) 및 제2리드선(14b)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절곡되는 제1절곡부(a) 및 제2절곡부(b)를 가지도록 하여 제1전원케이블(31a) 및 제2전원케이블(31b)의 와인딩 접속시 용이토록 함과 동시에 제1리드선(14a) 및 제2리드선(14b) 상호간의 접촉에 의한 쇼트현상까지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발열봉(10)은 카본섬유사(11)의 타단에 연결되는 중심선(16b)에 고정된 후 양방향으로 펼쳐져 내열유리관(12)의 내주연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중심선(16b)을 내열유리관(12) 속에 센터링시킴과 동시에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텐션지지부(19)를 핵심 구성으로 포함한다.
내열유리관(12)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텐션지지부(19)에 의해 중심선(16b)이 내열유리관(12) 속에 편심되지 않고 센터링될 수 있게 되어 카본섬유사(11)가 내열유리관(12)의 내주연에 직접적인 접촉을 하지 않도록 하여 카본섬유사(11)의 발열시 접촉에 의한 훼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텐션지지부(19)를 통해 중심선(16b)이 좌우는 물론이거니와 상하방향으로까지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제1접속단자(13a) 및 제2접속단자(13b)를 중심에 두고 압착부(12a)를 부여할 때 내열유리관(12)을 세운 상태로 작업을 하더라도 카본섬유사(11), 절연관(17) 및 중심선(16b)의 무게에 의해 내열유리관(12)으로부터 하강되려는 현상을 이겨낼 수 있도록 하여 압착부(12a)의 부여 작업을 훨씬 더 수월하게 구현케 함으로써 생산성을 보장한다.
구체적으로, 텐션지지부(19)는 중심선(16b)에 감겨진 와인딩부(19a)와, 와인딩부(19a)의 하단으로부터 사선방향으로 펼쳐진 후 절곡 하향된 일측와이어(19b)와, 와인딩부(19a)의 상단으로부터 사선방향으로 펼쳐진 후 절곡 하향된 타측와이어(19c)로 이루어져, 중심선(16b)을 중심에 두고 일측와이어(19b) 및 타측와이어(19c)가 내열유리관(12)에 지지되면서 중심선(16b)을 탄성적으로 센터링 지지케 하여, 카본섬유사(11), 절연관(17) 및 중심선(16b)을 내열유리관(12) 속으로 넣을 때 일측와이어(19b) 및 타측와이어(19c)의 탄성적인 수축을 통해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압착부(12a)의 부여 작업시 텐션지지부(19)에 의한 탄성적인 지지력으로 카본섬유사(11), 절연관(17) 및 중심선(16b)의 하강 현상을 철저히 방지케 한다.
본 발명은 실내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건축 관련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B : 보일러 Pa : 공급관
Pb : 순환관 Pb1 : 제1순환관
Pb2 : 제2순환관 Pbn : 제n순환관
Pc : 회수관 Vc : 체크밸브
Vc1 : 제1체크밸브 Vc2 : 제2체크밸브
Vcn : 제n체크밸브 H : 순환펌프
W10 : 일측3웨이관 W11 : 일측순방향통로
W12 : 일측역방향통로 W20 : 타측3웨이관
W21 : 타측순방향통로 W22 : 타측역방향통로
V10 : 일측3웨이밸브 V11 : 일측순방향밸브구
V12 : 일측역방향밸브구 V20 : 타측3웨이밸브
V21 : 타측순방향밸브구 V22 : 타측역방향밸브구
G1 : 제1크로스관 G2 : 제2크로스관
C : 컨트롤러 D1 : 공급분배기
D2 : 퇴수분배기
10 : 발열봉 11 : 카본섬유사
12 : 내열유리관 12a : 압착부
13a : 제1접속단자 13b : 제2접속단자
14a : 제1리드선 a : 제1절곡부
14b : 제2리드선 b : 제2절곡부
15 : 적외선차단 코팅부 16a : 연결선
16b : 중심선 17 : 절연관
18 : 이격부재 18a : 와인드판
18b : 일측펼침판 18c : 타측펼침판
19 : 텐션지지부 19a : 와인딩부
19b : 일측와이어 19c : 타측와이어
31a : 제1전원케이블 31b : 제2전원케이블
32 : 세라믹캡 40 : 발열체
40a : 탑홀 40b : 공동홈
41 : 회수구 42 : 공급구
50 : 고정수단 51 : 단턱
52 : 오링 53 : 푸싱링
54 : 고정체 55 : 쓰루홀
56 : 나사

Claims (13)

  1. 보일러로부터 난방수를 공급받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난방수를 공급받아 제1순환관, 제2순환관 … 제n순환관으로 된 순환관들로 순환시키는 공급분배기와, 상기 순환관들로부터 난방수를 퇴수하는 퇴수분배기와, 상기 퇴수분배기로부터 난방수를 회수하여 순환펌프를 통해 상기 보일러로 주입하는 회수관을 포함하는 난방 배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급분배기는 상기 제1순환관, 제2순환관 … 제n순환관을 각각 개폐시키는 제1체크밸브, 제2체크밸브 … 제n체크밸브로 된 체크밸브들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순환관들 중 난방으로 선택된 순환관들이 존재할 경우 그 난방으로 선택된 상기 순환관들에 해당하는 상기 체크밸브들을 개별적으로 순차 개방시켜 난방수를 순차 순환토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관 및 공급분배기를 연통시키는 일측순방향통로를 비롯한 일측역방향통로를 지닌 일측3웨이관과, 상기 퇴수분배기 및 회수관을 연통시키는 타측순방향통로를 비롯한 타측역방향통로를 지닌 타측3웨이관과, 상기 공급관 및 일측3웨이관 사이를 개폐시키는 일측순방향밸브구 및 상기 타측역방향통로에 연통되는 제1크로스관을 개폐시키는 일측역방향밸브구를 지닌 일측3웨이밸브와, 상기 타측3웨이관 및 회수관 사이를 개폐시키는 타측순방향밸브구 및 상기 일측역방향통로에 연통되는 제2크로스관을 개폐시키는 타측역방향밸브구를 지닌 타측3웨이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난방시 상기 일측순방향밸브구 및 타측순방향밸브구를 개방시키는 반면 상기 일측역방향밸브구 및 타측역방향밸브구를 폐쇄시켜 상기 보일러의 난방수로 하여금 상기 공급관, 일측순방향통로, 공급분배기, 순환관들, 퇴수분배기, 타측순방향통로, 회수관 및 순환펌프를 거쳐 상기 보일러로 순방향 순환되도록 한 후 상기 일측순방향밸브구 및 타측순방향밸브구를 폐쇄시키는 반면 상기 일측역방향밸브구 및 타측역방향밸브구를 개방시켜 상기 보일러의 난방수로 하여금 상기 공급관, 제1크로스관, 타측역방향통로, 퇴수분배기, 순환관들, 공급분배기, 일측역방향통로, 제2크로스관, 회수관 및 순환펌프를 거쳐 상기 보일러로 역방향 순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배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난방으로 선택된 상기 순환관들에 해당하는 상기 체크밸브들을 분 단위로 개별 순차 개방시켜 난방수를 순차 순환토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배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난방으로 선택된 상기 순환관들에 해당하는 상기 체크밸브들을 선택된 순서에 따라 개별 순차 개방시켜 난방수를 순차 순환토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배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희망온도의 난방으로 선택된 상기 순환관들에 해당하는 상기 체크밸브들을 난방으로 선택된 상기 순환관들의 실제온도가 희망온도가 될 때까지 개별 순차 개방시켜 난방수를 순차 순환토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배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난방으로 선택된 상기 순환관들에 해당하는 상기 체크밸브들을 선택된 순서에 따라 개별 순차 개방시켜 난방수를 순차 순환토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배관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보일러의 난방수의 순방향 순환 및 역방향 순환의 주기를 분 단위로 반복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배관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는 상기 회수관에 연통되는 회수구 및 상기 공급관에 연통되는 공급구를 지니면서 길이방향으로 공동홈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공동홈에 각각 연통되는 탑홀들을 지닌 발열체와, 상기 탑홀들에 각각 끼워져 상기 공동홈 속으로 내장되어 난방수를 다중 가열시키는 발열봉들과, 상기 발열봉들을 가압하여 상기 탑홀들에 긴밀하게 실링되도록 상기 발열체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봉은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 발산하는 직조된 카본섬유사와, 상기 카본섬유사를 내장하는 내열유리관과, 상기 카본섬유사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연결된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에 접속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1리드선 및 제2리드선과, 상기 내열유리관의 끝단에서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를 중심에 두고 열압착된 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봉은 상기 제1접속단자에 접속되면서 상기 카본섬유사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선과, 상기 제2접속단자에 접속되면서 상기 내열유리관 내부에 세워진 절연관 속으로 끼워져 상기 카본섬유사의 타단에 연결되는 중심선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봉은 상기 카본섬유사의 타단에 연결되는 상기 중심선에 고정된 후 양방향으로 펼쳐져 상기 내열유리관의 내주연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상기 중심선을 내열유리관 속에 센터링시킴과 동시에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텐션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지지부는 상기 중심선에 감겨진 와인딩부와, 상기 와인딩부의 하단으로부터 사선방향으로 펼쳐진 후 절곡 하향된 일측와이어와, 상기 와인딩부의 상단으로부터 사선방향으로 펼쳐진 후 절곡 하향된 타측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배관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봉들은 상기 발열체의 공동홈 속에 길이방향으로 한꺼번에 내장되면서 난방수를 일거에 다중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배관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탑홀의 내주연에 형성된 단턱과,
    상기 발열봉에 끼워지면서 상기 탑홀 속으로 진입되어 상기 단턱에 맞닿는 오링과,
    상기 발열봉에 끼워지면서 상기 탑홀 속으로 진입되어 상기 오링에 맞닿는 푸싱링과,
    상기 발열봉들을 각각 통과시키는 쓰루홀들을 지니면서 상기 푸싱링을 가압하여 상기 오링을 진입방향으로 축소시키는 반면 외향으로 확대시켜 상기 발열봉의 외주연 및 상기 탑홀의 내주연 사이를 밀착 실링시키도록 상기 발열체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배관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봉은 상기 탑홀에 대향되는 상기 내열유리관의 표면에 코팅되어 상기 카본섬유사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차단 코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차단 코팅부는 40∼50wt%의 아크릴수지와, 10∼15wt%의 이산화티타늄과, 3∼7wt%의 그라파이트와, 10∼15wt%의 실리카비드와, 6∼8wt%의 탄산칼슘과, 4∼7wt%의 규산나트륨과, 5∼8wt%의 카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배관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봉은 상기 절연관을 파지하면서 상기 연결선을 고정하여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 상호간의 간격을 벌려주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배관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절연관을 휘감는 와인드판과, 상기 와인드판으로부터 각각 펼쳐져 상호 용접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선을 고정하는 일측펼침판 및 타측펼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배관 시스템.
KR1020170143169A 2017-10-31 2017-10-31 난방 배관 시스템 KR101955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169A KR101955936B1 (ko) 2017-10-31 2017-10-31 난방 배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169A KR101955936B1 (ko) 2017-10-31 2017-10-31 난방 배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936B1 true KR101955936B1 (ko) 2019-03-08

Family

ID=65801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169A KR101955936B1 (ko) 2017-10-31 2017-10-31 난방 배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9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2008A (ko) 1993-03-02 1994-10-19 이헌조 난방 온수겸용 보일러의 배관 시스템
KR200407004Y1 (ko) * 2005-11-15 2006-01-24 (주)토바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3방 밸브를 이용한 무선 난방 시스템
KR101583022B1 (ko) * 2014-10-30 2016-01-0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각방 난방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각방 난방온도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2008A (ko) 1993-03-02 1994-10-19 이헌조 난방 온수겸용 보일러의 배관 시스템
KR200407004Y1 (ko) * 2005-11-15 2006-01-24 (주)토바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3방 밸브를 이용한 무선 난방 시스템
KR101583022B1 (ko) * 2014-10-30 2016-01-0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각방 난방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각방 난방온도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2894B2 (en) Fluid heating device
JP2010262912A (ja) 炭素繊維発熱体及びこれを用いた加熱装置
KR100907284B1 (ko) 원적외선 난방장치
KR101955407B1 (ko) 난방 배관 시스템
KR101955936B1 (ko) 난방 배관 시스템
KR101955937B1 (ko) 난방 배관 시스템
KR20130125346A (ko) 발열케이블
KR101931129B1 (ko) 다중 가열 카본히터 온수장치
KR101940006B1 (ko) 카본히터 온수장치
KR102105486B1 (ko) 온도 맞춤 순환식 보일러 장치
KR20190037501A (ko) 온수 배관 장치
KR20070073137A (ko) 전기보일러
KR20180110767A (ko) 보일러 온수 생성장치
KR20180110769A (ko) 온수장치
KR100975142B1 (ko) 개선된 열교환구조와 발열구조를 가지는 전기보일러용온수가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0768A (ko) 온수장치용 발열세트
KR20190033229A (ko) 온수기
CN102116523A (zh) 全热型快热式电热水器
KR102131803B1 (ko) 온수탱크
CN208804750U (zh) 一种小型环路供热器
CN105972686A (zh) 一种纳米碳纤维红外电热地暖
CN202024461U (zh) 全热型快热式电热水器
KR20180110765A (ko) 카본히터
WO2011065629A1 (ko) 적외선 전구 및 가열장치
KR20210036549A (ko) 보일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