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004Y1 - 3방 밸브를 이용한 무선 난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3방 밸브를 이용한 무선 난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004Y1
KR200407004Y1 KR2020050032356U KR20050032356U KR200407004Y1 KR 200407004 Y1 KR200407004 Y1 KR 200407004Y1 KR 2020050032356 U KR2020050032356 U KR 2020050032356U KR 20050032356 U KR20050032356 U KR 20050032356U KR 200407004 Y1 KR200407004 Y1 KR 2004070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boiler
way valve
heating water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3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인옥
Original Assignee
(주)토바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바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토바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500323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0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0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0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24D19/102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a multiple 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2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with forced circulation, e.g. by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07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35Three-way-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92Fluid distribu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방구역을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난방할 수 있는 난방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난방구역에 독립적으로 장착되어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검출하는 서브 콘트롤러; 상기 서브 콘트롤러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테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서브 콘트롤러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보일러의 동작 제어신호와 분배기의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콘트롤러; 상기 메인 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보일러의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난방수를 가열하는 보일러; 상기 메인 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분배기의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보일러의 난방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난방구역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관 및 상기 난방구역으로부터 공급된 난방수가 상기 보일러로 환수되도록 하는 환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난방구역으로 공급되는 난방수의 유입을 제어하는 분배기; 및 상기 환수관에 장착되어 상기 보일러로 환수되는 난방수가 상기 공급관으로 바이패스 되도록 제어하는 3방 밸브를 포함하여, 보일러가 중지된 상태에서도 가열된 난방수를 원하는 난방구역의 난방에 사용할 수 있어, 불필요한 보일러의 사용시간을 줄이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무선, 난방 시스템, 3방 밸브

Description

3방 밸브를 이용한 무선 난방 시스템{Heating system for wireless thermostatic using three-way valv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난방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난방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서브 콘트롤러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메인 콘트롤러의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메인 콘트롤러 110: 마이컴
120: 표시부 130: 입력부
140: 통신모듈 200: 서브콘트롤러
210: 마이컴 220: 표시부
230: 입력부 240: 통신모듈
250: 온도센서 300: 분배기
310: 제어밸브 320: 공급관
330: 환수관 350: 3방 밸브
360: 순환펌프 400: 보일러
410: 마이컴 420: 수온센서
430: 통신모듈 440: 열교환장치
450: 안전장치
본 고안은 무선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수관의 일측에 3방 밸브를 구비하여 보일러의 가동이 중지된 상태에서도 난방수가 난방구역을 순환할 수 있도록 하여 보일러의 불필요한 가동시간을 줄이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3방 밸브를 이용한 무선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 시스템은 하나의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 연결되어 보일러에서 가열 생성되는 온수를 여러 개의 방들로 분배하여 공급하고 다시 보일러로 회수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의 분배 공급관들에 접속되어 각방으로 분배되는 온수량을 조절하는 온수조절밸브와, 여러 개의 방들 중의 하나에 설치되는 온도조절기로 구성되어서, 사용자가 온도조절기에 설정하는 설정온도에 따라서 보일러와 온수순환펌프의 가동이 콘트롤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난방 시스템은 각방의 난방 수준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분배기의 분배공급관들에 접속되는 온수조절밸브의 개폐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보일러에서 각방으로 공급되는 온수량을 조절할 수가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온수조절밸브는 보일러가 설치되어 있는 보일러실 또는 다용도실 등 각방들과 어느 정도의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곳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각방에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방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직접 온수조절밸브가 배치된 곳까지 이동하여 온수조절밸브를 조절하여야 했다.
또한, 종래의 난방 시스템은 여러 개의 방들이 모두 온도조절기의 설정온도에 따라 획일적으로 온도가 설정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메인 콘트롤러(100)와 각 방에 설치되는 서브 콘트롤러(200)와, 분배기(300) 등을 포함하여 무선으로 각방의 난방을 제어하도록 하는 무선 각방 제어 난방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각방 제어 난방 시스템은 각각의 방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해당 방의 온도를 설정하도록 하는 서브 콘트롤러(200)에 희망온도를 입력하게 되면, 메인 콘트롤러(100)에서 상기 서브 콘트롤러(200)의 신호를 전달받아 분배기(300)의 제어밸브(310)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보일러(400)에서 공급되는 온수를 원하는 방으로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일러(400)는 마이컴, 수온센서, 무선통신회로, 열교환장치 및 안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이컴은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전기신호에 따른 또 다른 전기 신호를 발생하여 전송하도록 되며, 각 데이터를 분석, 비교 및 설정된 사항에 따라 저장, 전송, 해당 데이터에 따른 또 다른 데이터의 출력, 전송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온센서는 상기 보일러(400)에서 가열되는 난방수의 수온을 측정하도록 된 통상의 온도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마이컴으로 전송하고, 해당 수온 데이터에 따른 마이컴의 작용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마이컴과 회로구성으로 연결된다.
상기 무선통신회로는 메인 콘트롤러(200)와 전기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된 통상의 무선통신회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회로는 상기 마이컴과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회로로 연결된다.
상기 열교환장치는 난방수를 가열하도록 된 통상의 열교환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컴에 기 설정된 명령에 따라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 등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마이컴의 기 설정된 명령에 따라 상기 열교환장치의 이상 가열현상 및 보일러(400) 회로의 이상 여부를 수시로 점검하여 이상발생 시에 상기 마이컴에 기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열교환장치의 작동을 제어함은 물론, 외부로 소리 또는 불빛 등의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난방 시스템은 각방 및 거실에 난방 배관이 설치되고, 이 난방 배관의 선단 또는 끝단에 모터의 구동력으로 상기 난방배관의 통로를 개폐하도록 된 제어밸브(310)가 설치되며, 이 제어밸브(310)가 보일러(400)와 연결된 메인 콘트롤러(100)에 연결된다. 또, 상기 난방배관은 상기 보일러(400)의 열교환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400)에서 가열된 난방수가 상기 난방배관을 통해 유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콘트롤러(100)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서브 콘트롤러(200)가 사용자가 원하는 방 및 거실 등의 위치에 이동 자유롭게 위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난방 시스템은 서브 콘트롤러(200)로 통해 원하는 방의 온도를 설정하면, 서브 콘트롤러(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메인 콘트롤러(100)로 송신하고, 메인 콘트롤러(100)는 상기 서브콘트롤러(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따라 분배기(300)에 연결된 제어밸브(3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방을 선택적으로 난방할 수가 있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난방 시스템은 수온센서에 의해 감지된 난방수의 온도가 기 설정된 보일러의 온도보다 높아지면 안전장치가 작동하여 보일러의 가동을 중지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보일러의 가동이 중지되면, 난방수의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난방수를 다시 순환시키기 위해서는 보일러를 재가동해야 하는데, 보일러의 점화시 전력 및 난방에너지의 소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일러의 가동이 중지된 상태에서도 난방수가 난방구역을 순환할 수 있도록 하여 보일러의 불필요한 가동시간을 줄이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3방 밸브를 이용한 무선 난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난방구역을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난방할 수 있는 난방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난방구역에 독립적으로 장착되어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검출하는 서브 콘트롤러; 상기 서브 콘트롤러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테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서브 콘트롤러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보일러의 동작 제어신호와 분배기의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콘트롤러; 상기 메인 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보일러의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난방수를 가열하는 보일러; 상기 메인 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분배기의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보일러의 난방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난방구역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관 및 상기 난방구역으로부터 공급된 난방수가 상기 보일러로 환수되도록 하는 환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난방구역으로 공급되는 난방수의 유입을 제어하는 분배기; 및 상기 환수관에 장착되어 상기 보일러로 환수되는 난방수가 상기 공급관으로 바이패스 되도록 제어하는 3방 밸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배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난방구역에 상기 난방수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배기 및 3방 밸브 사이의 환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환수관으로부터 공급관으로 바이패스 되는 난방수가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보일러가 중지된 상태에서도 가열된 난방수를 원하는 난방구역의 난방에 사용할 수 있어, 불필요한 보일러의 사용시간을 줄이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3방 밸브를 이용한 무선 난방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난방시스템의 개략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수의 난방구역에 각각 독립적으로 장착되어 사용자가 실내온도 및 작동시간 등의 설정사항을 입력할 수 있는 서브 콘트롤러(200)와, 상기 서브 콘트롤러(200)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서브 콘트롤러(20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사항 등의 입력정보를 검출하여 보일러(400) 및 분배기(30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콘트롤러(100)와, 상기 메인 콘트롤러(1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하여 메인 콘트롤러(1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난방수를 가열하는 보일러(400)와, 상기 보일러(400)에 의해 가열된 난방수가 순환하도록 하는 공급관(320) 및 환수관(330)과 연결되고, 상기 메인 콘트롤러(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각 난방구역 내로 난방수의 유입을 조절하는 분배기(300)와 상기 환수관(330)에 장착되어 상기 각 난방구역으로부터 분배기(300)를 통해 보일러(400)로 환수되는 난방수가 상기 보일러(400)롤 거치지 않고 상기 공급관(320)을 통해 다시 분배기(300)로 유입되도록 하는 3방 밸브(350) 및 상기 3방 밸브(350)를 통해 공급관(320)과 환수관(330) 으로 난방수가 강제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펌프(360)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 콘트롤러(20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마이컴(210)과, 사용자가 조작한 설정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20)와, 온도 및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230)와, 상기 마이컴(210)의 설정정보를 상기 메인 콘트롤러(100)와 무선통신을 통해 송수신하도록 하는 통신모듈(240), 및 실내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50)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컴(210)은 각 데이터를 분석, 비교 및 설정된 정보에 따라 저장, 전송, 해당 데이터에 따른 또 다른 데이터의 출력 및 전송을 이루도록 된 통상의 장치이다.
상기 표시부(220)는 상기 마이컴(210)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정보 즉, 설정온도 및 설정시간 또는 서브 콘트롤러(2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도록 된 통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통신모듈(240)은 메인 콘트롤러(100)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된 알 에프(RF : radio frequency)방식의 통신회로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콘트롤러(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컴(110)과 사용자가 조작한 설정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20)와, 온도 및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130)와, 상기 서브 콘트롤러(200) 및 보일러(400)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통신모듈(140)을 포함하여, 후술되는 제어밸브(310)와 3방 밸브(350) 및 순환펌프(360)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보일러(40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마이컴(410)과, 수온센서(420) 와, 통신모듈(430)과, 열교환장치(440) 및 안전장치(450)를 포함한다.
상기 수온센서(420)는 상기 보일러(400)에서 가열되는 난방수의 수온을 측정하고, 상기 통신모듈(430)은 메인 콘트롤러(100)와 전기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된 통상의 통신회로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컴(410)과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회로로 연결된다.
상기 열교환장치(440)는 난방수를 가열하며, 상기 마이컴(410)에 설정된 명령에 따라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 등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전장치(450)는 상기 마이컴(410)의 기 설정된 명령에 따라 상기 열교환장치(440)의 이상 가열현상 및 보일러(400) 회로의 이상 여부를 점검하여 이상발생시 마이컴(410)에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열교환장치(440)의 작동을 제어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분배기(300)는 각 난방구역과 연결되는 난방배관을 통해 난방수의 유입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밸브(310)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기(300)로부터 보일러(400)로 환수되는 난방수가 보일러(400)를 거치지 않고 상기 공급관(320)을 통해 분배기(300)로 다시 유입되도록 하는 3방 밸브(350)가 환수관(330)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3방 밸브(350)가 장착된 환수관(330)과 공급관(320)을 바이패스 시킨다.
또한, 상기 분배기(300)와 3방 밸브(350) 사이에 순환펌프(360)가 장착되어 보일러(400)의 작동에 의하지 않고도 상기 분배기(300), 환수관(330), 3방 밸브(350) 및 공급관(320)을 거치는 경로를 통해 난방수가 강제 순환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3방 밸브를 이용한 무선 난방 시스템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각 난방구역 중 난방을 원하는 난방구역에 설치된 서브 콘트롤러(200)에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온도 및 설정시간을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하게 되면, 마이컴(210)은 상기 온도센서(250)를 가동하여 상기 서브 콘트롤러(200)가 설치된 난방구역의 실내온도를 측정하고, 이 측정된 데이터를 마이컴(210)에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마이컴(210)은 표시부(220)를 통해 온도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온도정보에 따라 설정된 보일러(400)의 가동 또는 제어밸브(310)의 개폐정보를 생성하여 마이컴(210)에 연결된 통신모듈(240)을 통해 메인 콘트롤러(100)로 무선 전송한다.
상기 서브 콘트롤러(200)와 메인 콘트롤러(100)가 상호 무선통신을 하는 상태에서 상기 서브 콘트롤러(200)에서 실내온도를 측정하여 해당 제어정보 또는 온도정보를 상기 메인 콘트롤러(100)에 전송하고, 상기 메인 콘트롤러(100)는 상기 온도정보에 따라 제어밸브(310)의 개폐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서브 콘트롤러(200)에서 전송된 온도정보에 따라 상기 메인 콘트롤러(100)의 마이컴(110)에서 기 설정된 정보를 상기 보일러(400)로 전송하여 상기 보일러(400)의 가동을 제어하면서 상기 서브 콘트롤러(200)가 설치된 난방구역의 온도를 조절한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난방구역과 연결된 제어밸브(310)만을 개방하고, 난방을 원치 않는 구역과 연결된 제어밸브(310)는 폐쇄함으로써, 난방이 필요한 구역만을 효과적으로 난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서브 콘트롤러(200)에서 설정사항을 입력하지 않고, 메인 콘트롤러(100)를 통해 원하는 난방구역을 지정하여 설정사항을 입력함으로써, 제어밸브(310) 및 보일러(400)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보일러(400)는 일반적으로 수온센서(420)에 의해 감지된 난방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안전장치(450)가 작동하여 보일러(400)의 가동이 중지되고, 난방배관을 순환하던 난방수의 순환도 멈추게 된다.
따라서, 실제 실내온도가 보일러(400)의 설정온도보다 낮더라도 난방수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보일러(400)의 가동이 중지되어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미치지 못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각 난방구역의 서브 콘트롤러(200)에 구비되어 실내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50)를 통해 메인 콘트롤러(100)와 실시간으로 RF 무선 양방향 통신을 함으로써, 온도정보를 교환하여 보일러(400)에서 공급된 난방수에 의해 각 난방구역의 온도가 설정 온도와 차이가 없도록 비례제어한다.
또한, 보일러(400)의 가동을 중지하더라도 원하는 난방구역에 일정시간 난방수가 순환되도록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 환수관(330)의 일측에 3방 밸브(350)를 장착하고, 상기 3방 밸브(350)가 장착된 환수관(330)과 이에 인접한 공급관(320)을 바이패스시켜 상기 환수관(330)을 통해 보일러(400) 측으로 향하던 난방수가 공급관(32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배기(300)와 3방 밸브(350) 사이에는 순환펌프(360)가 장착되어 보일러(400)의 가동이 중지된 상태에서도 난방수가 '난방구역 → 환수관(330) → 3방 밸브(350) → 공급관(320) → 난방구역'을 강제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3방 밸브(350)와 순환펌프(360)는 사용자의 입력정보에 따라 메인 콘트롤러(100)의 제어에 따라 보일러(400)가 중지되면, 3방 밸브(350)의 보일러(400) 측으로 향하는 환수관(330)을 폐쇄하고, 바이패스된 공급관(320) 측을 개방한 후, 순환펌프(360)를 작동하여 이미 가열된 난방수를 원하는 난방구역을 난방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3방 밸브(350)를 구비함으로써 불필요한 보일러 사용시간을 줄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무선 난방 시스템은 3방 밸브(35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보일러(400)의 가동이 중지된 상태에서 이미 가열된 난방수가 '난방구역 → 환수관(330) → 3방 밸브(350) → 공급관(320) → 난방구역'의 경로를 통하여 순환되도록 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지만, 필요한 경우(난방온도를 소량 상승시키고자 하는 경우), 3방 밸브(350)의 개폐를 제어하여 보일러(400)를 가동한 상태에서 3방 밸브(350)로부터 보일러(400)로 환수되는 방향으로 난방수의 일부를 순환시키고, 나머지 난방수는 다시 공급관(320) 측으로 순환시켜, 일부의 난방수만을 가열함으로써, 보일러(400)의 소비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방 밸브(350)의 보일러(400)측 밸브는 순환되는 난방수의 20%만이 유동되도록 개방하고, 3방 밸브(350)의 공급관(320)측 밸브는 순환되는 난방수의 80%가 유동되도록 개방하여, 보일러(400)는 전체 난방수의 20%만을 가열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3방 밸브를 이용한 무선 난방 시스템은 난방시 보일러를 효율적으로 가동하여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에 따른 3방 밸브를 이용한 무선 난방 시스템은 3방 밸브 및 순환펌프를 구비함으로써, 보일러가 중지된 상태에서도 가열된 난방수를 원하는 난방구역의 난방에 사용할 수 있어, 불필요한 보일러의 사용시간을 줄이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난방구역을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난방할 수 있는 난방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난방구역에 독립적으로 장착되어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검출하는 서브 콘트롤러;
    상기 서브 콘트롤러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테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서브 콘트롤러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보일러의 동작 제어신호와 분배기의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콘트롤러;
    상기 메인 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보일러의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난방수를 가열하는 보일러;
    상기 메인 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분배기의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보일러의 난방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난방구역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관 및 상기 난방구역으로부터 공급된 난방수가 상기 보일러로 환수되도록 하는 환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난방구역으로 공급되는 난방수의 유입을 제어하는 분배기; 및
    상기 환수관에 장착되어 상기 보일러로 환수되는 난방수가 상기 공급관으로 바이패스 되도록 제어하는 3방 밸브를 포함하는 3방 밸브를 이용한 무선 난방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난방구역에 상기 난방수가 선택적으로 유 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 밸브를 이용한 무선 난방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 및 3방 밸브 사이의 환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환수관으로부터 공급관으로 바이패스 되는 난방수가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 밸브를 이용한 무선 난방 시스템.
KR2020050032356U 2005-11-15 2005-11-15 3방 밸브를 이용한 무선 난방 시스템 KR2004070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356U KR200407004Y1 (ko) 2005-11-15 2005-11-15 3방 밸브를 이용한 무선 난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356U KR200407004Y1 (ko) 2005-11-15 2005-11-15 3방 밸브를 이용한 무선 난방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270A Division KR100732153B1 (ko) 2005-11-15 2005-11-15 3방 밸브를 이용한 무선 난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004Y1 true KR200407004Y1 (ko) 2006-01-24

Family

ID=49296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356U KR200407004Y1 (ko) 2005-11-15 2005-11-15 3방 밸브를 이용한 무선 난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00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937B1 (ko) * 2017-10-31 2019-03-08 주식회사 이노핫 난방 배관 시스템
KR101955407B1 (ko) * 2017-10-31 2019-03-08 주식회사 이노핫 난방 배관 시스템
KR101955936B1 (ko) * 2017-10-31 2019-03-08 주식회사 이노핫 난방 배관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937B1 (ko) * 2017-10-31 2019-03-08 주식회사 이노핫 난방 배관 시스템
KR101955407B1 (ko) * 2017-10-31 2019-03-08 주식회사 이노핫 난방 배관 시스템
KR101955936B1 (ko) * 2017-10-31 2019-03-08 주식회사 이노핫 난방 배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924B1 (ko) 각방 난방제어시스템에서의 개별 난방수 온도 제어장치
US866240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heating air with hot water
KR100963146B1 (ko) 정량비례제어 난방수 공급 시스템
RU2678888C2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для системы отопления и/или охлаждения с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им нагрузочным контуром, а такж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стемы отопления и/или охлаждения
US20150108230A1 (en) Multiple zon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KR20090108889A (ko) 유량 온도 자동 조절 시스템 및 유량 온도 자동 조절방법
US9702569B2 (en) Method for the temperature control of components
KR100732153B1 (ko) 3방 밸브를 이용한 무선 난방 시스템
KR101343863B1 (ko) 변유량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19623A (ko) 개별난방 제어 시스템에서 난방 부하 변동에 따른 보일러의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별난방 제어 시스템
KR101595371B1 (ko) 온수기능을 갖는 난방시스템
KR200407004Y1 (ko) 3방 밸브를 이용한 무선 난방 시스템
US20070084939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a fan coil unit
CN112189118A (zh) 供暖和热水兼用锅炉及其控制方法
KR20100105114A (ko) 차압정보를 이용한 비례유량조절시스템
RU2671139C1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температурой в помещении
KR101916357B1 (ko) 온수난방 시스템
KR102381765B1 (ko) 온수 난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0908413B (zh) 温控器、主控器、温度调节系统及其控制方法
JP3867771B2 (ja) 給湯装置
KR101007514B1 (ko) 실내 온도 조절기와 난방 제어 방법, 그리고 난방 제어에이용되는 난방수 분배기
KR100411561B1 (ko) 실내온도 개별 조절 시스템
KR200204229Y1 (ko) 난방시스템의 난방제어장치
KR100611899B1 (ko) 각방온도 제어시스템의 난방수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2310442A (ja) 床暖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