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549A - 보일러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일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549A
KR20210036549A KR1020190118639A KR20190118639A KR20210036549A KR 20210036549 A KR20210036549 A KR 20210036549A KR 1020190118639 A KR1020190118639 A KR 1020190118639A KR 20190118639 A KR20190118639 A KR 20190118639A KR 20210036549 A KR20210036549 A KR 20210036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groove
heating
hot water
groov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석대
Original Assignee
임석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석대 filed Critical 임석대
Priority to KR1020190118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6549A/ko
Publication of KR20210036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5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10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 F24H1/105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formed by the tube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수구(41)에서부터 출수구(42)에 이르기까지 일측내부히팅홈(45) 및 타측내부히팅홈(46)과 더불어 일측내부히팅홈(45) 및 타측내부히팅홈(46) 그리고 그 사이에 센터내부히팅홈(47)이 서로 병렬되도록 함과 동시에 입수연결홀(48a) 및 출수연결홀(48b) 그리고 센터연결홀(48c)로 서로 연통되도록 하고, 그 중 하나, 예를 들면 센터내부히팅홈(47) 및 타측내부히팅홈(46)을 서로 연통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센터내부히팅홈(47)으로부터 온수를 받아들여 타측내부히팅홈(46)으로 펌핑시켜 발열체(40) 내의 온수의 순환과정 속에서 온수의 히팅 온도 대로 순환시키는 센터링펌프(70)를 개재시켜 열에너지의 낭비없이 열효율의 극대화로서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보일러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보일러 시스템{BOILER SYSTEM}
본 발명은 보일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터링펌프로 하여금 발열봉들을 내장한 발열체 내의 온수의 순환과정 속에서 온수의 히팅 온도 그대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열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보일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보일러는 각 가정에서부터 축산농장, 화훼농장 등과 같은 산업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고, 이러한 보일러는 가스를 활용한 보일러,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 또는 연탄이나 목재를 이용한 보일러 등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이 중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일 경우 물탱크 속에 발열코일이나 발열봉을 침수시켜 물을 데워줄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고, 발열봉으로서 선행기술문헌에 소개된 탄소 발열체, 즉 카본히터를 예로 들 수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29403호)에 따른 일측형 리드선이 구비된 탄소 발열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탄소 발열체의 상단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1c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탄소 발열체의 하단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일측형 리드선이 구비된 탄소 발열체는 도 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자형으로 형성되며 상측과 하측이 밀봉된 투명한 유리재질의 석영관(10)이 구비되며, 특히 석영관(10)의 하측에는 내부에 제1연결편(21) 및 제2연결편(21a)이 삽입된 상태에서 가열 압착에 의해 밀봉된 압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압착부(11)의 제1연결편(21) 및 제2연결편(21a)의 일측에는 몰리브덴 등의 도전성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리드선(20)이 연결되어 석영관(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타측에는 석영관(10)의 내측에 구비된 제1내열전원선(22)과 제2내열전원선(22a)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제1내열전원선(22)과 제2내열전원선(22a)은 직접적으로 고열에 노출되므로 용융온도가 2600℃ 이상인 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지며, 제1연결편(21) 및 제2연결편(21a) 역시 몰리브덴을 압연 등을 통해 얇게 편(일 실시례로 0.01∼0.05T) 몰리브덴 포일(foil)로 이루질 수 있다.
제1내열전원선(22)은 탄소섬유(30)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제1속관(4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나선형으로 형성된 탄소섬유(30)의 내부공간을 관통하여 탄소섬유(30)의 끝단에 연결되고, 제2내열전원선(22a)은 제2속관(40a)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소섬유(30)의 전단에 연결된다.
외부로 돌출된 1쌍의 리드선(2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탄소섬유(30)가 발열을 하게 되어 종 가열 난방 또는 건조 장치 등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선행기술문헌에서는 제1내열전원선(22)과 제2내열전원선(22a)을 탄소섬유(30)에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해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1단자(31)와 제2단자(31a)가 구비되어 있다.
즉, 탄소섬유(30)의 상측 끝단과 제1내열전원선(22)의 일측은 제1단자(31)에 의해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되며, 탄소섬유(30)의 하측 전단과 제2내열전원선(22a)의 일측은 제2단자(31a)에 의해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이때, 제1내열전원선(22)의 상측의 끝단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지름을 갖는 반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지지부(24)를 이루고, 지지부(24)의 선단은 석영관(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탄소섬유(30)가 석영관(10)의 내주면에 밀착되지 않고 중심부에 안정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제1속관(40)은 석영관(10)의 바닥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선행기술문헌에서는 제1속관(40)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 1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내열전원선(22)의 하단부를 절곡하여 반원 형상을 이룬 하강방지부(23)를 형성한다.
또한, 탄소발열체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탄소섬유(30)의 흑연가루(30a)가 낙하하여 석영관(10)의 내부 하측에 침전되면 이격된 두 개의 내열전원선(22, 22a)이 서로 통전되어 탄소 발열체가 고장나는 일이 종종 발생하게 되는데, 선행기술문헌에서는 제2내열전원선(22a)의 하측부에 제2속관(40a)을 결합시켜 흑연가루(30a)에 의해 제1내열전원선(22) 및 제2내열전원선(22a)이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일측형 리드선이 구비된 탄소 발열체는 제1내열전원선(22)의 상측 끝단을 반원 형상으로 절곡시켜 지지부(24)를 부여하여 지지부(24)의 선단이 석영관(1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탄소섬유(30)가 석영관(10)의 내주면에 닿지 않고 중심부에 안정된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오히려 반원 형상의 지지부(24)에 의해 탄소섬유(30)가 한쪽으로 편심되면서 석영관(10)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수명을 단축시키는 현상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낳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1연결편(21) 및 제2연결편(21a)을 삽입시킨 상태로 압착부(11)를 부여할 때 석영관(30)을 세운 상태로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 탄소섬유(30), 제1속관(40) 및 열전원선(22)의 자체 무게에 의해 석영관(30)으로부터 하강되어 떨어져 압착부(11)의 부여 작업을 수월하게 구현치 못하는 한계를 안고 있다.
나아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일측형 리드선이 구비된 탄소 발열체는 제1연결편(21) 및 제2연결편(21a)을 삽입시킨 상태로 압착부(11)를 부여할 때 제1연결편(21) 및 제2연결편(21a) 상호간의 거리가 서로 가까워져 쇼트로 인한 불량을 초래하거나 오히려 제1연결편(21) 및 제2연결편(21a) 상호간의 거리가 멀어져 석영관(10)의 한쪽으로 편심되는 문제점을 낳고 있다.
본원 출원인은 선행기술문헌을 더욱 개량 발전시켜 단점을 보완하면서 더욱 향상된 본 발명의 보일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29403호 - 일측형 리드선이 구비된 탄소 발열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931131호 - 집적 가열 카본히터 온수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센터링펌프로 하여금 발열봉들을 내장한 발열체 내의 온수의 순환과정 속에서 온수의 히팅 온도 그대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열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보일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라인으로 온수를 공급하고자 할 때 열효율의 극대화로서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보일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수구에서부터 출수구에 이르기까지 일측내부히팅홈 및 타측내부히팅홈과 더불어 일측내부히팅홈 및 타측내부히팅홈 그리고 그 사이에 센터내부히팅홈이 서로 병렬되도록 함과 동시에 입수연결홀 및 출수연결홀 그리고 센터연결홀로 서로 연통되도록 하고, 그 중 하나, 예를 들면 센터내부히팅홈 및 타측내부히팅홈을 서로 연통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센터내부히팅홈으로부터 온수를 받아들여 타측내부히팅홈으로 펌핑시켜 발열체 내의 온수의 순환과정 속에서 온수의 히팅 온도 대로 순환시키는 센터링펌프를 개재시켜 열에너지의 낭비없이 열효율의 극대화로서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일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열체와 센터링펌프의 구조를 통한 열효율의 극대화 나아가 온수의 정방향 및 역방향 순환을 통한 실내바닥으로의 균일한 온기의 공급을 실현할 수 있는 보일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수구에서부터 출수구에 이르기까지 일측내부히팅홈 및 타측내부히팅홈과 더불어 일측내부히팅홈 및 타측내부히팅홈 그리고 그 사이에 센터내부히팅홈이 서로 병렬되도록 함과 동시에 입수연결홀 및 출수연결홀로 일측내부히팅홈 및 일측내부히팅홈 그리고 타측내부히팅홈 및 타측내부히팅홈을 서로 연통시키고, 그 중 센터내부히팅홈 및 일측내부히팅홈 그리고 센터내부히팅홈 및 타측내부히팅홈을 서로 연통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센터내부히팅홈으로부터 온수를 받아들여 발열체 내의 온수의 순환과정 속에서 온수의 히팅 온도 대로 순환시키는 센터링펌프를 개재시킴과 동시에 센터링펌프, 일측내부히팅홈, 타측내부히팅홈, 센터내부히팅홈에 각각 연통되며, 정방향 단속시 센터링펌프의 온수를 타측내부히팅홈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일측내부히팅홈의 온수를 센터내부히팅홈으로 이어주는 한편 역방향 단속시 센터링펌프의 온수를 일측내부히팅홈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타측내부히팅홈의 온수를 센터내부히팅홈으로 이어주는 4웨이밸브를 개재시킴으로써 배관라인의 초입과 말단의 온도차를 없애 실내바닥에 균일한 온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보일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열체로부터 히팅된 온수를 받아들여 채우면서 에어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온수/에어 탱크를 마련하여 온수의 충분한 공급과 더불어 에어의 신속한 배출로서 온수의 원활한 흐름을 보장함과 동시에 온수의 부족 현상까지 방지케 하는 보일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열체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체에 의해 발열봉들이 입수히팅홈, 출수히팅홈, 일측내부히팅홈, 타측내부히팅홈 및 센터내부히팅홈들 속으로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조립될 수 있음과 동시에 푸싱링에 의한 패킹의 푸싱으로 발열봉과 단턱 사이의 틈새를 더욱 밀착 실링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입수히팅홈을 통해 온수를 유입시킨 후 히팅시켜 출수히팅홈으로 내보내는 과정에서의 누수의 철저한 방지로서 보다 안전하고도 정확한 동작을 보장케 할 수 있는 보일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체의 나사 결합으로 내소외대의 테이퍼진 두께를 지닌 면접촉부가 내협외광의 테이퍼진 직경으로 된 단턱의 내주연을 향해 진입하면 할수록 밀착력을 높여 보다 강력한 실링을 통한 누수의 철저한 방지를 가능케 하는 보일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체에 의한 나사 결합시 면접촉부에 의한 단턱의 내주연과의 밀착력뿐만 아니라 원형링에 의한 단턱의 걸쳐지는 부분까지의 밀착력으로 실링을 더욱 강력하게 보장할 수 있는 보일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열유리관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텐션지지부에 의해 중심선이 내열유리관 속에 편심되지 않고 센터링될 수 있게 되어 카본섬유사가 내열유리관의 내주연에 직접적인 접촉을 하지 않도록 하여 카본섬유사의 발열시 접촉에 의한 훼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텐션지지부를 통해 중심선이 좌우는 물론이거니와 상하방향으로까지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를 중심에 두고 압착부를 부여할 때 내열유리관을 세운 상태로 작업을 하더라도 카본섬유사, 절연관 및 중심선의 무게에 의해 내열유리관으로부터 하강되려는 현상을 이겨낼 수 있도록 하여 압착부의 부여 작업을 훨씬 더 수월하게 구현케 하는 보일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열유리관 속의 중심선의 센터링을 더욱 정밀하게 할 수 있는 보일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열유리관 속으로 카본섬유사를 초기 삽입할 때의 용이함과 더불어 카본섬유사의 삽입 후의 하강으로 인한 분리현상을 더욱 더 저항케 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보일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시스템은,
온수의 통로가 되는 배관라인과;
상기 배관라인의 양단에 각각 연통되는 입수구 및 출수구와, 상기 입수구에 연통된 입수히팅홈과, 상기 출수구에 연통된 출수히팅홈과, 상기 입수히팅홈 및 출수히팅홈 사이에서 서로 이웃하여 각각 병렬 뚫려짐과 동시에 입수연결홀 및 출수연결홀을 통해 상기 입수히팅홈 및 출수히팅홈에 각각 연통되는 일측내부히팅홈 및 타측내부히팅홈과, 상기 일측내부히팅홈 및 타측내부히팅홈 사이에 뚫려짐과 동시에 센터연결홀을 통해 상기 일측내부히팅홈에 연통되는 센터내부히팅홈을 구비한 발열체와;
상기 입수히팅홈, 출수히팅홈, 일측내부히팅홈, 타측내부히팅홈 및 센터내부히팅홈에 각각 내장되어 온수를 가열하는 발열봉들과;
상기 발열봉들을 가압하여 긴밀하게 실링되도록 상기 발열체에 고정되는 고정수단들과;
상기 센터내부히팅홈으로부터 온수를 받아들여 상기 타측내부히팅홈으로 펌핑시켜 상기 발열체 내의 온수의 순환과정 속에서 온수의 히팅 온도 대로 순환시키는 센터링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시스템은,
온수의 통로가 되는 배관라인과;
상기 배관라인의 양단에 각각 연통되는 입수구 및 출수구와, 상기 입수구에 연통된 입수히팅홈과, 상기 출수구에 연통된 출수히팅홈과, 상기 입수히팅홈 및 출수히팅홈 사이에서 서로 이웃하여 각각 병렬 뚫려짐과 동시에 입수연결홀 및 출수연결홀을 통해 상기 입수히팅홈 및 출수히팅홈에 각각 연통되는 일측내부히팅홈 및 타측내부히팅홈과, 상기 일측내부히팅홈 및 타측내부히팅홈 사이에 뚫려진 센터내부히팅홈을 구비한 발열체와;
상기 입수히팅홈, 출수히팅홈, 일측내부히팅홈, 타측내부히팅홈 및 센터내부히팅홈에 각각 내장되어 온수를 가열하는 발열봉들과;
상기 발열봉들을 가압하여 긴밀하게 실링되도록 상기 발열체에 고정되는 고정수단들과;
상기 센터내부히팅홈으로부터 온수를 받아들여 상기 발열체 내의 온수의 순환과정 속에서 온수의 히팅 온도 대로 순환시키는 센터링펌프와;
상기 센터링펌프, 일측내부히팅홈, 타측내부히팅홈, 센터내부히팅홈에 각각 연통되며, 정방향 단속시 상기 센터링펌프의 온수를 상기 타측내부히팅홈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일측내부히팅홈의 온수를 상기 센터내부히팅홈으로 이어주는 한편 역방향 단속시 상기 센터링펌프의 온수를 상기 일측내부히팅홈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타측내부히팅홈의 온수를 상기 센터내부히팅홈으로 이어주는 4웨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다음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센터링펌프로 하여금 발열봉들을 내장한 발열체 내의 온수의 순환과정 속에서 온수의 히팅 온도 그대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열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배관라인으로 온수를 공급하고자 할 때 열효율의 극대화로서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입수구에서부터 출수구에 이르기까지 일측내부히팅홈 및 타측내부히팅홈과 더불어 일측내부히팅홈 및 타측내부히팅홈 그리고 그 사이에 센터내부히팅홈이 서로 병렬되도록 함과 동시에 입수연결홀 및 출수연결홀 그리고 센터연결홀로 서로 연통되도록 하고, 그 중 하나, 예를 들면 센터내부히팅홈 및 타측내부히팅홈을 서로 연통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센터내부히팅홈으로부터 온수를 받아들여 타측내부히팅홈으로 펌핑시켜 발열체 내의 온수의 순환과정 속에서 온수의 히팅 온도 대로 순환시키는 센터링펌프를 개재시켜 열에너지의 낭비없이 열효율의 극대화로서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발열체와 센터링펌프의 구조를 통한 열효율의 극대화 나아가 온수의 정방향 및 역방향 순환을 통한 실내바닥으로의 균일한 온기의 공급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입수구에서부터 출수구에 이르기까지 일측내부히팅홈 및 타측내부히팅홈과 더불어 일측내부히팅홈 및 타측내부히팅홈 그리고 그 사이에 센터내부히팅홈이 서로 병렬되도록 함과 동시에 입수연결홀 및 출수연결홀로 일측내부히팅홈 및 일측내부히팅홈 그리고 타측내부히팅홈 및 타측내부히팅홈을 서로 연통시키고, 그 중 센터내부히팅홈 및 일측내부히팅홈 그리고 센터내부히팅홈 및 타측내부히팅홈을 서로 연통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센터내부히팅홈으로부터 온수를 받아들여 발열체 내의 온수의 순환과정 속에서 온수의 히팅 온도 대로 순환시키는 센터링펌프를 개재시킴과 동시에 센터링펌프, 일측내부히팅홈, 타측내부히팅홈, 센터내부히팅홈에 각각 연통되며, 정방향 단속시 센터링펌프의 온수를 타측내부히팅홈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일측내부히팅홈의 온수를 센터내부히팅홈으로 이어주는 한편 역방향 단속시 센터링펌프의 온수를 일측내부히팅홈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타측내부히팅홈의 온수를 센터내부히팅홈으로 이어주는 4웨이밸브를 개재시킴으로써 배관라인의 초입과 말단의 온도차를 없애 실내바닥에 균일한 온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발열체로부터 히팅된 온수를 받아들여 채우면서 에어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온수/에어 탱크를 마련하여 온수의 충분한 공급과 더불어 에어의 신속한 배출로서 온수의 원활한 흐름을 보장함과 동시에 온수의 부족 현상까지 방지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발열체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체에 의해 발열봉들이 입수히팅홈, 출수히팅홈, 일측내부히팅홈, 타측내부히팅홈 및 센터내부히팅홈들 속으로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조립될 수 있음과 동시에 푸싱링에 의한 패킹의 푸싱으로 발열봉과 단턱 사이의 틈새를 더욱 밀착 실링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입수히팅홈을 통해 온수를 유입시킨 후 히팅시켜 출수히팅홈으로 내보내는 과정에서의 누수의 철저한 방지로서 보다 안전하고도 정확한 동작을 보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정체의 나사 결합으로 내소외대의 테이퍼진 두께를 지닌 면접촉부가 내협외광의 테이퍼진 직경으로 된 단턱의 내주연을 향해 진입하면 할수록 밀착력을 높여 보다 강력한 실링을 통한 누수의 철저한 방지를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정체에 의한 나사 결합시 면접촉부에 의한 단턱의 내주연과의 밀착력뿐만 아니라 원형링에 의한 단턱의 걸쳐지는 부분까지의 밀착력으로 실링을 더욱 강력하게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내열유리관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텐션지지부에 의해 중심선이 내열유리관 속에 편심되지 않고 센터링될 수 있게 되어 카본섬유사가 내열유리관의 내주연에 직접적인 접촉을 하지 않도록 하여 카본섬유사의 발열시 접촉에 의한 훼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텐션지지부를 통해 중심선이 좌우는 물론이거니와 상하방향으로까지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를 중심에 두고 압착부를 부여할 때 내열유리관을 세운 상태로 작업을 하더라도 카본섬유사, 절연관 및 중심선의 무게에 의해 내열유리관으로부터 하강되려는 현상을 이겨낼 수 있도록 하여 압착부의 부여 작업을 훨씬 더 수월하게 구현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내열유리관 속의 중심선의 센터링을 더욱 정밀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내열유리관 속으로 카본섬유사를 초기 삽입할 때의 용이함과 더불어 카본섬유사의 삽입 후의 하강으로 인한 분리현상을 더욱 더 저항케 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일측형 리드선이 구비된 탄소 발열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탄소 발열체의 상단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1c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탄소 발열체의 하단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시스템을 각각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시스템을 각각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시스템에 적용된 고정수단 및 발열봉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분해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시스템에 적용된 고정수단 및 발열봉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시스템을 각각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시스템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의 통로가 되는 배관라인(B)과; 배관라인(B)의 양단에 각각 연통되는 입수구(41) 및 출수구(42)와, 입수구(41)에 연통된 입수히팅홈(43)과, 출수구(42)에 연통된 출수히팅홈(44)과, 입수히팅홈(43) 및 출수히팅홈(44) 사이에서 서로 이웃하여 각각 병렬 뚫려짐과 동시에 입수연결홀(48a) 및 출수연결홀(48b)을 통해 입수히팅홈(43) 및 출수히팅홈(44)에 각각 연통되는 일측내부히팅홈(45) 및 타측내부히팅홈(46)과, 일측내부히팅홈(45) 및 타측내부히팅홈(46) 사이에 뚫려짐과 동시에 센터연결홀(48c)을 통해 일측내부히팅홈(45)에 연통되는 센터내부히팅홈(47)을 구비한 발열체(40)와; 입수히팅홈(43), 출수히팅홈(44), 일측내부히팅홈(45), 타측내부히팅홈(46) 및 센터내부히팅홈(47)에 각각 내장되어 온수를 가열하는 발열봉(10)들과; 발열봉(10)들을 가압하여 긴밀하게 실링되도록 발열체(40)에 고정되는 고정수단(50)들과; 센터내부히팅홈(47)으로부터 온수를 받아들여 타측내부히팅홈(46)으로 펌핑시켜 발열체(40) 내의 온수의 순환과정 속에서 온수의 히팅 온도 대로 순환시키는 센터링펌프(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의 보일러 시스템은 보일러의 앞단 또는 뒷단에 펌프를 설치하여 온수를 펌핑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할 경우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가 펌프를 거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온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발생한다.
즉, 보일러에서 충분히 가열된 온수일지라도 펌프를 거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떨어진 채로 각 방으로 온수를 공급하여 열효율의 극대화를 실현치 못하는 한계를 안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센터링펌프(70)로 하여금 발열봉(10)들을 내장한 발열체(40) 내의 온수의 순환과정 속에서 온수의 히팅 온도 그대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열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배관라인(B)은 온수의 통로가 되어 실내의 바닥을 데워줄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배관라인(B)으로 온수를 공급하고자 할 때 열효율의 극대화로서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최소화하고자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발열체(40)와 센터링펌프(70)의 구조에 그 핵심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발열체(40)는 배관라인(B)의 양단에 각각 연통되는 입수구(41) 및 출수구(42)와, 입수구(41)에 연통된 입수히팅홈(43)과, 출수구(42)에 연통된 출수히팅홈(44)과, 입수히팅홈(43) 및 출수히팅홈(44) 사이에서 서로 이웃하여 각각 병렬 뚫려짐과 동시에 입수연결홀(48a) 및 출수연결홀(48b)을 통해 입수히팅홈(43) 및 출수히팅홈(44)에 각각 연통되는 일측내부히팅홈(45) 및 타측내부히팅홈(46)과, 일측내부히팅홈(45) 및 타측내부히팅홈(46) 사이에 뚫려짐과 동시에 센터연결홀(48c)을 통해 일측내부히팅홈(45)에 연통되는 센터내부히팅홈(47)을 구비한다.
입수구(41)에서부터 출수구(42)에 이르기까지 일측내부히팅홈(45) 및 타측내부히팅홈(46)과 더불어 일측내부히팅홈(45) 및 타측내부히팅홈(46) 그리고 그 사이에 센터내부히팅홈(47)이 서로 병렬되도록 함과 동시에 입수연결홀(48a) 및 출수연결홀(48b) 그리고 센터연결홀(48c)로 서로 연통되도록 하고, 그 중 하나, 예를 들면 센터내부히팅홈(47) 및 타측내부히팅홈(46)을 서로 연통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센터내부히팅홈(47)으로부터 온수를 받아들여 타측내부히팅홈(46)으로 펌핑시켜 발열체(40) 내의 온수의 순환과정 속에서 온수의 히팅 온도 대로 순환시키는 센터링펌프(70)를 개재시켜 열에너지의 낭비없이 열효율의 극대화로서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이때, 입수연결홀(48a)에 연통되는 일측내부히팅홈(45) 및 출수연결홀(48b)에 연통되는 타측내부히팅홈(46)은 도면에서 각각 1개씩 마련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러한 개수의 증가는 자유롭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온수를 가열시키는 발열봉(10)들은 고정수단(50)들에 의해 입수히팅홈(43), 출수히팅홈(44), 일측내부히팅홈(45), 타측내부히팅홈(46) 및 센터내부히팅홈(47)에 각각 실링된 상태로 내장된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시스템을 각각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시스템은 도 3a 내지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의 통로가 되는 배관라인(B)과; 배관라인(B)의 양단에 각각 연통되는 입수구(41) 및 출수구(42)와, 입수구(41)에 연통된 입수히팅홈(43)과, 출수구(42)에 연통된 출수히팅홈(44)과, 입수히팅홈(43) 및 출수히팅홈(44) 사이에서 서로 이웃하여 각각 병렬 뚫려짐과 동시에 입수연결홀(48a) 및 출수연결홀(48b)을 통해 입수히팅홈(43) 및 출수히팅홈(44)에 각각 연통되는 일측내부히팅홈(45) 및 타측내부히팅홈(46)과, 일측내부히팅홈(45) 및 타측내부히팅홈(46) 사이에 뚫려진 센터내부히팅홈(47)을 구비한 발열체(40)와; 입수히팅홈(43), 출수히팅홈(44), 일측내부히팅홈(45), 타측내부히팅홈(46) 및 센터내부히팅홈(47)에 각각 내장되어 온수를 가열하는 발열봉(10)들과; 발열봉(10)들을 가압하여 긴밀하게 실링되도록 발열체(40)에 고정되는 고정수단(50)들과; 센터내부히팅홈(47)으로부터 온수를 받아들여 발열체(40) 내의 온수의 순환과정 속에서 온수의 히팅 온도 대로 순환시키는 센터링펌프(70)와; 센터링펌프(70), 일측내부히팅홈(45), 타측내부히팅홈(46), 센터내부히팅홈(47)에 각각 연통되며, 정방향 단속시 센터링펌프(70)의 온수를 타측내부히팅홈(46)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일측내부히팅홈(45)의 온수를 센터내부히팅홈(47)으로 이어주는 한편 역방향 단속시 센터링펌프(70)의 온수를 일측내부히팅홈(45)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타측내부히팅홈(46)의 온수를 센터내부히팅홈(47)으로 이어주는 4웨이밸브(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발열체(40)와 센터링펌프(70)의 구조를 통한 열효율의 극대화 나아가 온수의 정방향 및 역방향 순환을 통한 실내바닥으로의 균일한 온기의 제공에 그 핵심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발열체(40)는 배관라인(B)의 양단에 각각 연통되는 입수구(41) 및 출수구(42)와, 입수구(41)에 연통된 입수히팅홈(43)과, 출수구(42)에 연통된 출수히팅홈(44)과, 입수히팅홈(43) 및 출수히팅홈(44) 사이에서 서로 이웃하여 각각 병렬 뚫려짐과 동시에 입수연결홀(48a) 및 출수연결홀(48b)을 통해 입수히팅홈(43) 및 출수히팅홈(44)에 각각 연통되는 일측내부히팅홈(45) 및 타측내부히팅홈(46)과, 일측내부히팅홈(45) 및 타측내부히팅홈(46) 사이에 뚫려진 센터내부히팅홈(47)을 구비한다.
입수구(41)에서부터 출수구(42)에 이르기까지 일측내부히팅홈(45) 및 타측내부히팅홈(46)과 더불어 일측내부히팅홈(45) 및 타측내부히팅홈(46) 그리고 그 사이에 센터내부히팅홈(47)이 서로 병렬되도록 함과 동시에 입수연결홀(48a) 및 출수연결홀(48b)로 일측내부히팅홈(45) 및 일측내부히팅홈(45) 그리고 타측내부히팅홈(46) 및 타측내부히팅홈(46)을 서로 연통시키고, 그 중 센터내부히팅홈(47) 및 일측내부히팅홈(45) 그리고 센터내부히팅홈(47) 및 타측내부히팅홈(46)을 서로 연통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센터내부히팅홈(47)으로부터 온수를 받아들여 발열체(40) 내의 온수의 순환과정 속에서 온수의 히팅 온도 대로 순환시키는 센터링펌프(70)를 개재시킴과 동시에 센터링펌프(70), 일측내부히팅홈(45), 타측내부히팅홈(46), 센터내부히팅홈(47)에 각각 연통되며, 정방향 단속시 센터링펌프(70)의 온수를 타측내부히팅홈(46)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일측내부히팅홈(45)의 온수를 센터내부히팅홈(47)으로 이어주는 한편 역방향 단속시 센터링펌프(70)의 온수를 일측내부히팅홈(45)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타측내부히팅홈(46)의 온수를 센터내부히팅홈(47)으로 이어주는 4웨이밸브(80)를 개재시킴으로써[프로그램에 의해 시차를 두고 4웨이밸브(80)를 정방향 단속 및 역방향 단속시킬 수 있음] 배관라인(B)의 초입과 말단의 온도차를 없애 실내바닥에 균일한 온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이때, 입수연결홀(48a)에 연통되는 일측내부히팅홈(45) 및 출수연결홀(48b)에 연통되는 타측내부히팅홈(46)은 도면에서 각각 1개씩 마련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러한 개수의 증가는 자유롭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온수를 가열시키는 발열봉(10)들은 고정수단(50)들에 의해 입수히팅홈(43), 출수히팅홈(44), 일측내부히팅홈(45), 타측내부히팅홈(46) 및 센터내부히팅홈(47)에 각각 실링된 상태로 내장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시스템은 도 2a 내지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내부히팅홈(47)으로부터 온수를 받아들여 채우면서 에어를 배출시킴과 동시에 센터링펌프(70)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에어 탱크(60)를 포함한다.
배관라인(B)을 경유한 온수를 발열체(40)의 발열봉(10)으로 히팅시킬 경우 기포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기포는 센터링펌프(70)를 통해 순화되는 과정에서 온수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센터링펌프(70)의 수명까지 단축시킨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열체(40)로부터 히팅된 온수를 받아들여 채우면서 에어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온수/에어 탱크(60)를 마련하여 온수의 충분한 공급과 더불어 에어의 신속한 배출로서 온수의 원활한 흐름을 보장함과 동시에 온수의 부족 현상까지 방지케 한 것이다.
즉, 발열체(40)의 온수를 배관라인(B)을 경유하여 순환시키기 전에 온수/에어 탱크(60)에서 에어를 적극적으로 배출시켜 배관라인(B) 또는 발열체(40) 나아가 센터링펌프(70)에 머무를 수 있는 에어로 인한 온수의 순환 흐름의 저해 요인을 철저히 없애 난방효율을 높이면서 자체 수명까지 보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온수/에어 탱크(60)는 온수 속에 함유된 에어를 상향 배출시키는 에어홀(61)을 구비하여, 온수로부터 에어의 분출을 용이하게 하면서 에어홀(61)을 통해 적극적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수의 순환흐름을 보장케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시스템에 적용된 고정수단(50) 및 발열봉(10)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시스템에 적용된 고정수단(50) 및 발열봉(10)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시스템에 적용된 고정수단(50)은 도 2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히팅홈(43), 출수히팅홈(44), 일측내부히팅홈(45), 타측내부히팅홈(46) 및 센터내부히팅홈(47)의 내주연에 각각 형성된 단턱(51)과, 발열봉(10)에 끼워지면서 입수히팅홈(43), 출수히팅홈(44), 일측내부히팅홈(45), 타측내부히팅홈(46) 및 센터내부히팅홈(47) 속으로 각각 진입되어 단턱(51)의 내주연에 맞닿는 패킹(52)과, 발열봉(10) 끼워지면서 입수히팅홈(43), 출수히팅홈(44), 일측내부히팅홈(45), 타측내부히팅홈(46) 및 센터내부히팅홈(47) 속으로 각각 진입되어 패킹(52)에 맞닿는 푸싱링(53)과, 발열봉(10)들을 각각 통과시키는 쓰루홀(54a)들을 지니면서 푸싱링(53)을 가압하여 패킹(52)을 진입방향으로 축소시키는 반면 외향으로 확대시켜 발열봉(10)의 외주연 및 단턱(51)의 내주연 사이를 밀착 실링시키도록 발열체(40)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체(54)를 포함한다.
발열체(40)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체(54)에 의해 발열봉(10)들이 입수히팅홈(43), 출수히팅홈(44), 일측내부히팅홈(45), 타측내부히팅홈(46) 및 센터내부히팅홈(47)들 속으로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조립될 수 있음과 동시에 푸싱링(53)에 의한 패킹(52)의 푸싱으로 발열봉(10)과 단턱(51) 사이의 틈새를 더욱 밀착 실링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입수히팅홈(43)을 통해 온수를 유입시킨 후 히팅시켜 출수히팅홈(44)으로 내보내는 과정에서의 누수의 철저한 방지로서 보다 안전하고도 정확한 동작을 보장케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단턱(51)은 내협외광(內狹外廣)의 테이퍼진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패킹(52)은 내소외대(內小外大)의 테이퍼진 두께로 이루어진 면접촉부(52a)를 가지도록 하여, 고정체(54)의 나사 결합으로 내소외대의 테이퍼진 두께를 지닌 면접촉부(52a)가 내협외광의 테이퍼진 직경으로 된 단턱(51)의 내주연을 향해 진입하면 할수록 밀착력을 높여 보다 강력한 실링을 통한 누수의 철저한 방지를 가능케 한다.
나아가, 패킹(52)은 면접촉부(52a)의 끝단에 마련되어 단턱(51)에 걸쳐지면서 밀착되는 원형링(52b)을 더 포함하여, 고정체(54)에 의한 나사 결합시 면접촉부(52a)에 의한 단턱(51)의 내주연과의 밀착력뿐만 아니라 원형링(52b)에 의한 단턱(51)의 걸쳐지는 부분까지의 밀착력으로 실링을 더욱 강력하게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발열봉(10)은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 발산하는 직조된 카본섬유사(11)와, 카본섬유사(11)를 내장하는 내열유리관(12)과, 카본섬유사(11)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연결된 제1접속단자(13a) 및 제2접속단자(13b)에 접속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1리드선(14a) 및 제2리드선(14b)과, 내열유리관(12)의 끝단에서 제1접속단자(13a) 및 제2접속단자(13b)를 중심에 두고 열압착된 압착부(12a)와, 제1접속단자(13a)에 접속되면서 카본섬유사(11)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선(16a)과, 제2접속단자(13b)에 접속되면서 내열유리관(12) 내부에 세워진 절연관(17) 속으로 끼워져 카본섬유사(11)의 타단에 연결되는 중심선(16b)과, 카본섬유사(11)의 타단에 연결되는 중심선(16b)에 고정된 후 내열유리관(12)의 내주연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중심선(16b)을 내열유리관(12) 속에 센터링시키는 텐션지지부(19)를 포함하고, 텐션지지부(19)는 중심선(16b)에 감겨진 와인딩부(19a)와, 와인딩부(19a)로부터 점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으로 권회되어 내열유리관(12)의 내주연에 탄성적으로 맞닿는 텐션부(19b)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리드선(14a) 및 제2리드선(14b)에는 제1전원케이블(31a) 및 제2전원케이블(31b)이 각각 접속된 후 세라믹캡(32)으로 커버링되어 절연 및 내열을 기할 수 있도록 하며, 제1전원케이블(31a) 및 제2전원케이블(31b)을 통해 공급된 전기에너지를 내열유리관(12)[불활성가스로 채워진 내열유리관(12)] 속의 카본섬유사(11)가 열에너지로 변환 발산시켜 히팅모듈의 발열장홈 속에서 온수를 히팅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발열장홈 속에서 내열유리관(12)의 안전한 보호까지 가능하게 한다.
특히, 내열유리관(12)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텐션지지부(19)에 의해 중심선(16b)이 내열유리관(12) 속에 편심되지 않고 센터링될 수 있게 되어 카본섬유사(11)가 내열유리관(12)의 내주연에 직접적인 접촉을 하지 않도록 하여 카본섬유사(11)의 발열시 접촉에 의한 훼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텐션지지부(19)를 통해 중심선(16b)이 좌우는 물론이거니와 상하방향으로까지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제1접속단자(13a) 및 제2접속단자(13b)를 중심에 두고 압착부(12a)를 부여할 때 내열유리관(12)을 세운 상태로 작업을 하더라도 카본섬유사(11), 절연관(17) 및 중심선(16b)의 무게에 의해 내열유리관(12)으로부터 하강되려는 현상을 이겨낼 수 있도록 하여 압착부(12a)의 부여 작업을 훨씬 더 수월하게 구현케 함으로써 생산성까지 보장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텐션지지부(19)는 중심선(16b)에 감겨진 와인딩부(19a)와 마찬가지로 점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으로 권회되어 내열유리관(12)의 내주연에 탄성적으로 맞닿는 텐션부(19b)로 이루어져, 내열유리관(12) 속의 중심선(16b)의 센터링을 더욱 정밀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텐션부(19b)는 와인딩부(19a)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커지는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열유리관(12) 속으로 카본섬유사(11)를 초기 삽입할 때의 용이함과 더불어 카본섬유사(11)의 삽입 후의 하강으로 인한 분리현상을 더욱 더 저항케 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켜 주변을 따뜻하게 해주는 보일러 관련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B : 배관라인 10 : 발열봉
11 : 카본섬유사 12 : 내열유리관
12a : 압착부 13a : 제1접속단자
13b : 제2접속단자 14a : 제1리드선
14b : 제2리드선 16a : 연결선
16b : 중심선 17 : 절연관
19 : 텐션지지부 19a : 와인딩부
19b : 텐션부 31a : 제1전원케이블
31b : 제2전원케이블 32 : 세라믹캡
40 : 발열체 41 : 입수구
42 : 출수구 43 : 입수히팅홈
44 : 출수히팅홈 45 : 일측내부히팅홈
46 : 타측내부히팅홈 47 : 센터내부히팅홈
48a : 입수연결홀 48b: 출수연결홀
48c : 센터연결홀 50 : 고정수단
51 : 단턱 52 : 패킹
52a : 면접촉부 52b : 원형링
53 : 푸싱링 54 : 고정체
54a : 쓰루홀 60 : 온수/에어 탱크
61 : 에어홀 70 : 센터링펌프
80 : 4웨이밸브

Claims (9)

  1. 온수의 통로가 되는 배관라인과;
    상기 배관라인의 양단에 각각 연통되는 입수구 및 출수구와, 상기 입수구에 연통된 입수히팅홈과, 상기 출수구에 연통된 출수히팅홈과, 상기 입수히팅홈 및 출수히팅홈 사이에서 서로 이웃하여 각각 병렬 뚫려짐과 동시에 입수연결홀 및 출수연결홀을 통해 상기 입수히팅홈 및 출수히팅홈에 각각 연통되는 일측내부히팅홈 및 타측내부히팅홈과, 상기 일측내부히팅홈 및 타측내부히팅홈 사이에 뚫려짐과 동시에 센터연결홀을 통해 상기 일측내부히팅홈에 연통되는 센터내부히팅홈을 구비한 발열체와;
    상기 입수히팅홈, 출수히팅홈, 일측내부히팅홈, 타측내부히팅홈 및 센터내부히팅홈에 각각 내장되어 온수를 가열하는 발열봉들과;
    상기 발열봉들을 가압하여 긴밀하게 실링되도록 상기 발열체에 고정되는 고정수단들과;
    상기 센터내부히팅홈으로부터 온수를 받아들여 상기 타측내부히팅홈으로 펌핑시켜 상기 발열체 내의 온수의 순환과정 속에서 온수의 히팅 온도 대로 순환시키는 센터링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시스템.
  2. 온수의 통로가 되는 배관라인과;
    상기 배관라인의 양단에 각각 연통되는 입수구 및 출수구와, 상기 입수구에 연통된 입수히팅홈과, 상기 출수구에 연통된 출수히팅홈과, 상기 입수히팅홈 및 출수히팅홈 사이에서 서로 이웃하여 각각 병렬 뚫려짐과 동시에 입수연결홀 및 출수연결홀을 통해 상기 입수히팅홈 및 출수히팅홈에 각각 연통되는 일측내부히팅홈 및 타측내부히팅홈과, 상기 일측내부히팅홈 및 타측내부히팅홈 사이에 뚫려진 센터내부히팅홈을 구비한 발열체와;
    상기 입수히팅홈, 출수히팅홈, 일측내부히팅홈, 타측내부히팅홈 및 센터내부히팅홈에 각각 내장되어 온수를 가열하는 발열봉들과;
    상기 발열봉들을 가압하여 긴밀하게 실링되도록 상기 발열체에 고정되는 고정수단들과;
    상기 센터내부히팅홈으로부터 온수를 받아들여 상기 발열체 내의 온수의 순환과정 속에서 온수의 히팅 온도 대로 순환시키는 센터링펌프와;
    상기 센터링펌프, 일측내부히팅홈, 타측내부히팅홈, 센터내부히팅홈에 각각 연통되며, 정방향 단속시 상기 센터링펌프의 온수를 상기 타측내부히팅홈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일측내부히팅홈의 온수를 상기 센터내부히팅홈으로 이어주는 한편 역방향 단속시 상기 센터링펌프의 온수를 상기 일측내부히팅홈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타측내부히팅홈의 온수를 상기 센터내부히팅홈으로 이어주는 4웨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내부히팅홈으로부터 온수를 받아들여 채우면서 에어를 배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센터링펌프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에어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에어 탱크는 온수 속에 함유된 에어를 상향 배출시키는 에어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입수히팅홈, 출수히팅홈, 일측내부히팅홈, 타측내부히팅홈 및 센터내부히팅홈의 내주연에 각각 형성된 단턱과,
    상기 발열봉에 끼워지면서 상기 입수히팅홈, 출수히팅홈, 일측내부히팅홈, 타측내부히팅홈 및 센터내부히팅홈 속으로 각각 진입되어 상기 단턱의 내주연에 맞닿는 패킹과,
    상기 발열봉 끼워지면서 상기 입수히팅홈, 출수히팅홈, 일측내부히팅홈, 타측내부히팅홈 및 센터내부히팅홈 속으로 각각 진입되어 상기 패킹에 맞닿는 푸싱링과,
    상기 발열봉들을 각각 통과시키는 쓰루홀들을 지니면서 상기 푸싱링을 가압하여 상기 패킹을 진입방향으로 축소시키는 반면 외향으로 확대시켜 상기 발열봉의 외주연 및 상기 단턱의 내주연 사이를 밀착 실링시키도록 상기 발열체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은 내협외광(內狹外廣)의 테이퍼진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킹은 내소외대(內小外大)의 테이퍼진 두께로 이루어진 면접촉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기 면접촉부의 끝단에 마련되어 상기 단턱에 걸쳐지면서 밀착되는 원형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봉은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 발산하는 직조된 카본섬유사와, 상기 카본섬유사를 내장하는 내열유리관과, 상기 카본섬유사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연결된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에 접속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1리드선 및 제2리드선과, 상기 내열유리관의 끝단에서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를 중심에 두고 열압착된 압착부와, 상기 제1접속단자에 접속되면서 상기 카본섬유사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선과, 상기 제2접속단자에 접속되면서 상기 내열유리관 내부에 세워진 절연관 속으로 끼워져 상기 카본섬유사의 타단에 연결되는 중심선과, 상기 카본섬유사의 타단에 연결되는 상기 중심선에 고정된 후 상기 내열유리관의 내주연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상기 중심선을 내열유리관 속에 센터링시키는 텐션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지지부는 상기 중심선에 감겨진 와인딩부와, 상기 와인딩부로부터 점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으로 권회되어 상기 내열유리관의 내주연에 탄성적으로 맞닿는 텐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는 상기 와인딩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커지는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시스템.
KR1020190118639A 2019-09-26 2019-09-26 보일러 시스템 KR202100365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639A KR20210036549A (ko) 2019-09-26 2019-09-26 보일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639A KR20210036549A (ko) 2019-09-26 2019-09-26 보일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549A true KR20210036549A (ko) 2021-04-05

Family

ID=75462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639A KR20210036549A (ko) 2019-09-26 2019-09-26 보일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654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403B1 (ko) 2011-09-08 2012-03-27 박재흔 일측형 리드선이 구비된 탄소 발열체
KR101931131B1 (ko) 2017-07-12 2018-12-20 주식회사 이노핫 집적 가열 카본히터 온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403B1 (ko) 2011-09-08 2012-03-27 박재흔 일측형 리드선이 구비된 탄소 발열체
KR101931131B1 (ko) 2017-07-12 2018-12-20 주식회사 이노핫 집적 가열 카본히터 온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262912A (ja) 炭素繊維発熱体及びこれを用いた加熱装置
CN106403266A (zh) 一种防爆电加热器
KR20210036549A (ko) 보일러 시스템
CN203038893U (zh) 激光打印机专用碳纤维加热灯管
KR101646228B1 (ko) 탄소발열체를 이용한 이중관 구조의 관상 발열장치가 장착된 탄소보일러
CN1040712C (zh) 导线连接方法和导线连接端部结构
CN110278621B (zh) 环绕式加热器件及加热棒、液体加热器
KR102403908B1 (ko) 탄소 섬유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보일러
CN205645746U (zh) 一种速调管烧结热子结构
KR101931131B1 (ko) 집적 가열 카본히터 온수장치
CN212305691U (zh) 一种电加热芯的优化应用结构
KR100975142B1 (ko) 개선된 열교환구조와 발열구조를 가지는 전기보일러용온수가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33229A (ko) 온수기
CN209676502U (zh) 一种ptc加热器件的组合件
KR101931129B1 (ko) 다중 가열 카본히터 온수장치
KR20190033230A (ko) 순간 온수기
KR20180110769A (ko) 온수장치
KR101940006B1 (ko) 카본히터 온수장치
CN101772226A (zh) 单头出线微细铠装电加热元件
KR20090129139A (ko) 탄소 섬유를 이용한 발열체 및 이를 적용한 보일러
KR102654849B1 (ko) 탄소 섬유 발열체
CN211084429U (zh) 一种平板式小家电电热组件
KR101008844B1 (ko) 개선된 열교환구조와 발열구조를 가지는 축열식전기보일러에 사용하는 온수가열장치
CN105742757A (zh) 锌银贮备电池用化学加热器的制备方法
CN212696230U (zh) 一种ptc电加热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