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616B1 -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616B1
KR101955616B1 KR1020177017543A KR20177017543A KR101955616B1 KR 101955616 B1 KR101955616 B1 KR 101955616B1 KR 1020177017543 A KR1020177017543 A KR 1020177017543A KR 20177017543 A KR20177017543 A KR 20177017543A KR 101955616 B1 KR101955616 B1 KR 101955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station
personal mobile
connection
body device
accor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7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1668A (ko
Inventor
시준 쉐
타오 황
잉타오 리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91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25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ers or reflectors or a plurality of detectors forming a reference frame from which to derive the orientation of the object, e.g. by triangulation or on the basis of reference deformation in the picked up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0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geographic position 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개인 이동국에 의해, 신체 장치의 식별자, 및 신체 장치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 및 환경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개인 이동국에 의해 신체 장치의 식별자에 따라서,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를 획득하는 단계; 개인 이동국에 의해 사용자의 식별자에 따라서,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를 획득하는 단계; 개인 이동국에 의해, 시나리오 및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개인 이동국에 의해,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시나리오 및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는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고, 이로 인해 신체 장치들 사이의 통신 조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BODY DEVICES FOR COMMUNICATION}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body device)를 조정하기(coordinating)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학과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신체 장치가 끊임없이 등장하고 있다. 신체 장치는 주로 착용형 장치(wearable device)와 이식형 장치(implantable device)를 포함한다. 통상적인 착용형 장치는 스마트 밴드(smart bands), 스마트글래스(smartglasses), 및 스마트시계(smartwatches)와 같은 장치를 포함한다. 이식형 장치는 인체에 이식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심박 조정기(cardiac pacemaker), 바이오닉 아이(bionic eye), 및 센서와 같은 장치이다. 이들 신체 장치의 일부는 신분 확인을 위해 사용되고, 일부는 질병 치료를 위해, 일부는 원격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그리고 일부는 신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장래, 생활 수준의 개선과 더불어, 사람마다 수백의 신체 장치를 휴대할 것이다. 이들 신체 장치들이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 통신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들 신체 장치들은 동일한 통신 모드를 갖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많은 신체 장치들이 통신을 확실하게 통신을 수행하도록 조정하는 방법이 장치 휴대자의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이것은 통신을 위한 다수의 신체 장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은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을 개시하며,
개인 이동국(mobile personal station)에 의해, 신체 장치의 식별자, 및 상기 신체 장치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 및 환경 파라미터(ambient parameter)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신체 장치의 식별자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위치 파라미터 및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따라서, 상기 개인 이동국의 시나리오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시나리오와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을 참고한,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시나리오와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통신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생리 파라미터(physiological parameter)와 행동 파라미터(behavior parameter)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시나리오와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시나리오,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 및 상기 사용자의 생리 파라미터 및 행동 파라미터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1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후에,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네트워크 위상(network topology), 네트워크 최적화 알고리즘, 및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의 네트워크 역할(network role)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네트워크 역할은 로컬 게이트웨이 또는 단말임 -; 및
상기 신체 장치가 로컬 게이트웨이인 경우,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단말이 상기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할 수 있도록,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상기 단말에게 명령을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신체 장치가 단말인 경우,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신체 장치가 상기 신체 장치에 가장 가까운 게이트웨이에 대한 연결을 구축할 수 있도록, 상기 신체 장치에게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는 상기 신체 장치의 방향과 위치에 따라서 결정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로컬 게이트웨이 또는 상기 개인 이동국을 나타내며, 상기 개인 이동국은 상기 신체 장치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가장 가까운 게이트웨이를 결정한다.
제1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1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후에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구축된 연결을 사용하여 상기 신체 장치의 작동 상태(working status)를 감시하는 단계;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신체 장치의 작동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위상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의 네트워크 역할을 재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신체 장치의 상기 네트워크 위상 및 상기 재결정된 네트워크 역할에 따라서 네트워크 최적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 또는 제1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예 또는 제1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1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전에,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a most power saving connection mode)를 포함함 -; 및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에 따라서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킹 모드가 상기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와 상이한 경우 상기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재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은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장치를 개시하며,
신체 장치의 식별자, 및 상기 신체 장치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 및 환경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유닛 - 상기 획득 유닛은, 상기 신체 장치의 식별자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됨 -;
상기 사용자의 상기 위치 파라미터 및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따라서, 상기 개인 이동국의 시나리오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유닛 - 상기 제1 결정 유닛은 상기 시나리오와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됨 -; 및
상기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 제1 연결 유닛을 포함한다.
제2 측면을 참고한,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획득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생리 파라미터 및 행동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시나리오,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 및 상기 사용자의 생리 파라미터 및 행동 파라미터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2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개인 이동국이 상기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한 후에,
제2 결정 유닛 및 전송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정 유닛은, 네트워크 위상, 네트워크 최적화 알고리즘, 및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의 네트워크 역할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네트워크 역할은 로컬 게이트웨이 또는 단말이며,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신체 장치가 로컬 게이트웨이인 경우, 상기 개인 이동국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단말이 상기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할 수 있도록,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상기 단말에게 명령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는 상기 신체 장치의 방향과 위치에 따라서 결정되며,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신체 장치가 단말인 경우, 상기 신체 장치가 상기 신체 장치에 가장 가까운 게이트웨이에 대한 연결을 구축할 수 있도록, 상기 신체 장치에게 명령을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로컬 게이트웨이 또는 상기 개인 이동국을 나타내며, 상기 개인 이동국은 상기 신체 장치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가장 가까운 게이트웨이를 결정한다.
제2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2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예에서, 감시 유닛, 제3 결정 유닛, 및 네트워크 최적화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감시 유닛은 상기 제1 연결 유닛에 의해 구축된 상기 연결을 사용하여 상기 신체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감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결정 유닛은 상기 신체 장치의 작동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위상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의 네트워크 역할을 재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네트워크 최적화 유닛은 상기 신체 장치의 상기 네트워크 위상 및 상기 재결정된 네트워크 역할에 따라서 네트워크 최적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 또는 제2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예 또는 제2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2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예에서, 수신 유닛 및 제2 연결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연결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 유닛은 상기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에 따라서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연결 유닛은 상기 네트워킹 모드가 상기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와 상이한 경우 상기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재구축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하여, 개인 이동국이 신체 장치의 식별자, 신체 장치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 및 환경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개인 이동국이, 신체 장치의 식별자에 따라서,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를 획득하며, 개인 이동국이,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 및 환경 파라미터에 따라서, 개인 이동국의 시나리오를 결정하고, 개인 이동국이 시나리오와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며, 개인 이동국이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의 시나리오 및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는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며, 이것은 신체 장치들 사이의 통신 조정을 구현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욱 명확히 기술하기 위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할 때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분명한 것은, 이어질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창작 능력 없이도 다른 도면을 도출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최적화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욱 명확하고 완전하게 기술한다. 분명한 것은,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부가 아니라 단지 일부일 뿐이다. 창작 능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획득되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자동차, 컴퓨터, 인터넷 및 스마트폰이 가져온 혁신 및 변화에 대응하여, 탄생부터 성숙되어 간단한 생산과 판매량을 사용하여 신체 장치의 통용에 이르기까지 소요된 구체적인 시간을 이해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신체 장치들은 확실히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장래 놀랍고 비교할 수 없는 충격을 가져올 것이 확실하다.
신체 장치는 주로 착용형 장치들과 이식형 장치들을 포함한다. 통상적인 착용형 장치는 스마트 밴드, 스마트글래스, 및 스마트시계와 같은 장치를 포함한다. 이식형 장치는 인체에 이식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심박 조정기, 바이오닉 아이, 및 센서와 같은 장치이다. 이들 신체 장치의 일부는 신분 확인을 위해 사용되고, 일부는 질병 치료를 위해, 일부는 원격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그리고 일부는 신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결국에는, 신체 장치의 성숙과 대중화와 함께, 사람마다 수백의 신체 장치를 휴대할 것 같다. 이러한 수많은 신체 장치들과 함께, 따라서, 이렇게 많은 신체 장치들이 통신을 확실하게 통신을 수행하도록 조정하는 방법이 장치 휴대자의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이것은 통신을 위해 복수의 신체 장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이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의 단계 101 내지 단계 104를 포함한다.
단계 101: 개인 이동국(mobile personal station, MPS)은 신체 장치의 식별자, 신체 장치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 및 환경 파라미터(ambient parameter)를 획득한다.
개인 이동국(MPS)은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장치이다. 개인 이동국은 일종의 신체 장치로서 간주될 수 있다. 개인 이동국은 사용자가 휴대하기 위해 작고 휴대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그것을 손목에 착용할 수 있고, 허리 주위에 그것을 묶거나, 또는 가방안에 그것을 넣어둘 수 있다. 개인 이동국을 인체에 부착하기 위한 많은 방식이 있으나, 여기에서 일일이 열거하지는 않는다.
신체 장치의 식별자는 신체 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신체 장치의 식별자는 신체 장치의 출고시 할당된 시리얼 번호(serial number)일 수 있다.
신체 장치의 식별자는 사용자에 의해 개인 이동국으로 입력될 수 있다.
신체 장치는 연결 요청을 개인 이동국에게 전송한다. 연결 요청은 신체 장치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개인 이동국은 연결 요청으로부터 신체 장치의 식별자를 획득한다.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는 사용자의 위치인 위도, 경도, 및 고도와 같은 파라미터를 말한다.
사용자의 환경 파라미터는 사용자의 위치에서의 온도, 습도, 공기질, 이산화탄소 농도, 자외선 강도, 및 풍력 계급(wind scale)과 같은 파라미터를 말한다.
개인 이동국은 위치 센서 또는 네트워크 맵(network map)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 센서는 신체 장치, 또는 개인 이동국 자체의 기능일 수 있다.
개인 이동국은, 환경 센서 또는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의 환경 파라마티를 획득할 수 있다. 환경 센서는 신체 장치, 또는 개인 이동국 자체의 기능일 수 있다.
신체 장치의 모든 파라미터들은, 신체 장치의 식별자, 이름, 카테고리, 배터리 전력 상태, 지원 통신 모드와 같은, 신체 장치의 식별자를 사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식별자는 시리얼 번호일 수 있다. 이름은 제조업체에 의해 지정된 이름일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이름일 수 있다.
개인 이동국은 통신을 위해 다량의 신체 장치들을 조정함에 있어 사용자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개인 이동국은 자동적으로 신체 장치의 통신 모드를 결정하고, 네트워크 조작을 유지하며 최적화한다.
단계 102: 개인 이동국은, 신체 장치의 식별자에 따라서,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를 획득한다.
개인 이동국은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를 획득하기 위해 개인 이동국 내에 내장된 신체 장치 리스트를 트래버스(traverse)할 수 있다. 신체 장치 리스트는 신체 장치들의 일부 파라미터들 또는 모든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신체 장치 리스트는 신체 장치들의 브랜드에 따라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신체 장치들의 유형에 따라서 구성될 수 있다. 신체 장치 리스트의 구체적인 구성 방식은 여기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개인 이동국은 신체 장치 리스트로부터 신체 장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신체 장치의 식별자에 따라서 신체 장치 리스트를 트래버스한다. 신체 장치에 대한 통상의 정보는 신체 장치의 통신 모드, 통신 우선순위, 배터리 전력 상태, 장치 카테고리, 장치 유형 등을 포함한다.
개인 이동국은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를 위한 네트워크를 탐색하기 위해 신체 장치의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인 통신 모드는 블루투스 연결, Wi-Fi(Wireless Fidelity) 연결, 적외선 연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연결, 테라헤르츠(terahertz) 연결 등을 포함한다.
단계 103: 개인 이동국은,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와 환경 파라미터에 따라서, 개인 이동국의 시나리오를 결정한다.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는 사용자의 위치의 위도, 경도, 및 고도와 같은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사용자의 위치에서의 도시 및 기후는 사용자의 위치의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환경 파라미터는 사용자의 위치에서의 온도, 습도, 풍력 계급, 자외선 강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산소 농도와 같은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위치한 생활 환경은 사용자의 위치에서의 온도, 습도, 및 풍력 계급과 같은 파라미터들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개인 이동국은 계산을 위해 시나리오 모델 내로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와 환경 파라미터를 입력한다. 시나리오 모델은 많은 시나리오들을 포함하고, 각 시나리오는 대응하는 파라미터 범위를 갖는다.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와 환경 파라미터가 사니리오 모델 내로 입력된 후, 개인 이동국은,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와 환경 파라미터에 따라서, 매칭에 의해 적절한 시나리오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습도가 매우 높고, 산소 농도가 매우 낮으며, 사용자가 해변 도시에 있는 경우, 사용자의 시나리오는 수영장에서 수영하는 중이거나 또는 바다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시나리오 모델은 미리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이력 데이터를 사용하여 훈련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단계 104: 개인 이동국은 시나리오와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networking mode)를 결정한다.
네트워킹 모드는 어떤 통신 모드가 개인 이동국에게 연결되는 데 사용되는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시나리오는 수영장이고,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는 와이파이(Wi-Fi)와 블루투스를 포함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아마 신체 장치를 사용 중이지 않으며, 개인 이동국은, 블루투스가 Wi-Fi와 비교하여 보다 전력 절감형이기 때문에, 신체 장치에 연결하기 위해 블루투스를 사용할 수 있다.
개인 이동국은 게이트웨이와 같이 기능한다. 신체 장치는 개인 이동국을 사용하여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단계 105: 개인 이동국은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개인 이동국에는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하기 위해 여러 모드가 있으며, 이들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모드를 포함하지만 이들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모드: 개인 이동국은 신체 장치에게 연결 요청을 전송하며, 여기서 연결 요청은, 신체 장치가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개인 이동국에 대한 연결을 구축할 수 있도록, 네트워킹 모드를 포함한다.
제2 모드: 개인 이동국은 신체 장치에게 지시 정보를 전송하며, 여기서 지시 정보는, 신체 장치가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개인 이동국에게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도록, 네트워킹 모드를 포함한다. 개인 이동국은 연결 요청에 따라서 연결을 구축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개인 이동국이 신체 장치의 식별자,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 및 환경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개인 이동국이, 신체 장치의 식별자에 따라서,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를 획득하며, 개인 이동국이,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 및 환경 파라미터에 따라서, 개인 이동국의 시나리오를 결정하고, 개인 이동국이 시나리오와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며, 개인 이동국이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의 시나리오 및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는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며, 이것은 신체 장치들 사이의 통신 조정을 구현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 104 전에, 다음의 단계가 추가로 포함된다.
단계 201: 개인 이동국은 사용자의 생리 파라미터(physiological parameter)와 행동 파라미터(behavior parameter)를 획득한다.
사용자의 생리 파라미터는 혈압, 심박수와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행동 파라미터는 사용자의 기상 시간, 사용자의 취침 시간, 사용자의 수면 기간, 사용자의 인터넷 검색 시작 시간, 및 사용자의 인터넷 검색 기간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개인 이동국이 시나리오와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104는 구체적으로,
개인 이동국은 시나리오,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 및 사용자의 생리 파라미터 및 행동 파라미터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네트워킹 모드는 어떤 통신 모드가 개인 이동국에게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시나리오는, 사용자가 집에서 수면 중이고,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가 Wi-Fi와 블루투스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아마 신체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있고, 개인 이동국은, 블루투스가 Wi-Fi와 비교하여 보다 전력 절감형이기 때문에 신체 장치에 연결하기 위해 블루투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나리오는, 사용자가 인터넷을 검색 중이고,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는 Wi-Fi와 블루투스를 포함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아마 고속의 네트워크를 필요로하고, 개인 이동국은, Wi-Fi가 블루투스와 비교하여 보다 높은 전송 속도를 갖기 때문에, 신체 장치에 연결하기 위해 Wi-Fi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개인 이동국은 사용자의 생리 파라미터와 행동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개인 이동국은 시나리오,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 및 사용자의 생리 파라미터 및 행동 파라미터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가 보다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고, 네트워킹 모드를 사용하여 또한 신체 장치가 개인 이동국과 통신하기 보다 편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 105 후에, 다음과 같은 단계가 더 포함된다.
단계 301 : 개인 이동국은 네트워크 위상(network topology), 네트워크 최적화 알고리즘, 및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크 역할(network role)을 결정하며, 여기서 네트워크 역할은 로컬 게이트웨이(local gateway) 또는 단말(terminal)이다.
네트워크 최적화 알고리즘은 계층화된 라우팅 프로토콜(layered routing protocol) 또는 계획 기반 라우팅 프로토콜(plan-based routing protocol)을 사용할 수 있다. 많은 구체적인 알고리즘이 있지만, 이들은 모두, 고속의 컨버전스(fast convergence), 루프리스 라우팅(loopless routing)의 제공, 무산 계산의 방지, 낮은 제어 관리 오버헤드, 및 단방향 채널 지원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 한다. 계층화된 라우팅 프로토콜 또는 계획 기반의 라우팅 프로토콜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네트워크의 세 가지 기본 특징, 즉 이동 노드의 전체 밀도, 노드간 위상, 및 네트워크의 작동 모드를 채택해야 한다.
신체 장치들은 소형화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장래 사람들을 위한 신체 장치들은 크기에 있어 다양화될 것이다. 또한 단거리 통신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무선 주파수 대역이 있을 것이다. 마이크로 크기 또는 나노미터 크기의 신체 장치가 다른 신체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테라헤르츠 주파수 대역에서만 주파수 스펙트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전력 소모에 의해 제한되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 크기 또는 나노미터 크기의 신체 장치는 매우 한정된 전송 거리를 가질 것이다. 따라서, 다중 홉(multi-hop) 무선 전송이 필요한 선택이 될 것이다. 장래의 신체 장치들과 통신은 크기, 다중 홉 및 단일 홉 네트워크의 공존, 통신에서 사용되는 상이한 스펙트럼들, 및 유선 통신과 무선 통신의 공존에서 다양화된 신체 장치와의 생태(ecology)를 제공할 것이여, 여기서 유선 통신에서, 인체는 통신의 진행자로서 사용된다.
다중 홉 네트워크 상에서, 로컬 게이트웨이가 요구된다. 일부 신체 장치들은 매우 적은 수의 통신 모드들을 지원하고 비교적 강한 계산 능력을 갖는다. 이들 신체 장치들은 네트워크 최적화 알고리즘 및 네트워크 위상에 따라서 로컬 게이트웨이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 302: 신체 장치가 로컬 게이트웨이인 경우, 개인 이동국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단말이 신체 장치와 연결을 구축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단말에게 명령을 전송하며, 여기서 미리 설정된 범위는 신체 장치의 방향과 위치에 따라서 결정된다.
개인 이동국은 신호의 강도에 기반하여 신체 장치의 방향 및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신체 장치의 방향과 위치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신호 커버리지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커버리지 범위는 미리 설정된 범위이다.
인체의 구조는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무선 다중 홉 네트워크 상의 노드들은 인체의 구조에 따라서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PS가 인체의 허리에 위치하는 경우, MPS와 직접 통신할 수 있는 다중 홉 노드들은 MPS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범위 내에만 위치될 수 있다.
단계 303: 신체 장치가 단말인 경우, 개인 이동국은, 신체 장치가 신체 장치에 가장 가까이 있는 게이트웨이와 연결을 구축할 수 있도록, 신체 장치에게 명령을 전송하며, 여기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는 로컬 게이트웨이 또는 개인 이동국을 나타내고, 개인 이동국은 신체 장치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서 신체 장치에 가장 가까이 있는 게이트웨이를 결정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들을 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개인 이동국이 네트워크 위상, 네트워크 최적화 알고리즘, 및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크 역할을 결정하며, 여기서 네트워크 역할은 로컬 게이트웨이 및 단말을 포함하고, 신체 장치가 로컬 게이트웨이인 경우, 개인 이동국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단말이 신체 장치와 연결을 구축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단말에게 명령을 전송하며, 여기서 미리 설정된 범위는 신체 장치의 방향과 위치에 따라서 결정되거나, 또는 신체 장치가 단말인 경우, 개인 이동국은, 신체 장치가 신체 장치에 가장 가까이 있는 게이트웨이와 연결을 구축할 수 있도록, 신체 장치에게 명령을 전송하며, 여기서 게이트웨이는 로컬 게이트웨이 또는 개인 이동국을 나타내고, 개인 이동국은 신체 장치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서 신체 장치에 가장 가까이 있는 게이트웨이를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연결이 신체 장치의 네트워크 역할에 따라서 구축됨으로써, 신체 장치들 사이의 통신 조정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 105 후에, 다음의 단계들이 더 포함된다.
단계 401: 개인 이동국은 구축된 연결을 사용하여 신체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감시한다.
작동 상태는 휴면, 전원 오프, 과부하(overloaded), 부하 부족(under-loaded), 및 정상 부하(norma-loaded)와 같은 상태들을 포함한다.
단계 402: 개인 이동국은 신체 장치의 작동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네트워크 위상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크 역할을 재결정한다.
신체 장치들이 상이한 계산 능력을 갖기 때문에, 계층화된 라우팅 방식이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계층화된 라우팅은 네트워크 상의 노드들의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필요로 하고, 각 클러스터(cluster)는 라우팅 서브넷(subnet)을 형셩한다. 사용자와 사용자의 시나리오의 동작 습관에 따라서, 신체 장치가 사용중이 아닌 경우, 신체 장치는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가능한한 휴면 상태가 된다. 따라서, 신체 네트워크의 위상은 항상 변경된다. MPS는 모든 신체 장치들을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MPS는 모든 신체 장치들의 작동 상태에 따라서 클러스터링을 최적화하고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삼각형에 의해 표현되는 신체 장치가 있다. 신체 장치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와 테라헤르츠 인터페이스 둘다 제공된다. 신체 장치는 휴면 상태에 있다. 현재, 전체 다중 홉 네트워크는 두 개의 클러스터로 분리되어 있다. 휴면 상태인 삼각형 형상의 장치가 기동되는 경우, MPS는, 두 개의 클러스터 헤드의 현재 부하와 다른 상태들에 따라서, 세 개의 클러스터가 설정될 필요가 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세 개의 클러스터가 필요한 경우, 장치는 세 번째 클러스터의 클러스터 헤드로 설정되고, 일부 노드들이 장치에 의해 관리되어야 할 다른 두 개의 클러스터들로부터 할당된다.
단계 403: 개인 이동국은 신체 장치의 네트워크 위상과 재결정된 네트워크 역할에 따라서 네트워크 최적화를 수행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개인 이동국이 신체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감시하고, 개인 이동국이 신체 장치의 작동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네트워크 위상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크 역할을 재결정하며, 개인 이동국이 신체 장치의 네트워크 위상과 재결정된 네트워크 역할에 따라서 네트워크 최적화를 수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최적화가 신체 장치의 상태에 따라서 수행되며, 이로 인해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 105 후에, 다음의 단계가 더 포함된다.
단계 501: 개인 이동국은 신체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연결 요청을 수신하며, 여기서 연결 요청은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a most power-saving connection mode)를 포함한다.
단계 502: 개인 이동국은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에 따라서 연결을 구축한다.
개인 이동국이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와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105는 구체적으로,
개인 이동국이, 네트워킹 모드가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와 상이한 경우,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와 연결을 재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개인 이동국이 신체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연결 요청을 수신하며, 여기서 연결 요청은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를 포함하고, 개인 이동국이 가장 전력을 절감하는 연결 모드에 따라서 연결을 구축하며, 개인 이동국이, 네트워킹 모드가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와 상이한 경우,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와 연결을 재구축한다. 현재의 연결 모드가 현재의 시나리오에 어울리는 지의 여부는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결정되고, 현재의 연결 모드가 현재의 시나리오와 어울리지 않는 경우, 연결은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재구축된다. 이것은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효율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은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장치,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개인 이동국을 도시한다. 개인 이동국은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장치이다. 개인 이동국은 한 유형의 신체 장치로서 고려될 수 있다. 개인 이동국은 사용자가 휴대하기 위해 작고 휴대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그것을 허리에 착용하거나, 허리 주위에 묶거나, 또는 가방 안에 넣을 수 있다. 개인 이동국을 인체에 부착하기 위한 많은 방식이 있으나, 여기에서는 일일이 열거하지 않는다. 개인 이동국(6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개인 이동국(60)은 획득 유닛(601), 제1 결정 유닛(602), 및 제1 연결 유닛(603)을 포함한다.
획득 유닛(601)은 신체 장치의 식별자, 신체 장치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 및 환경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신체 장치의 식별자는 신체 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신체 장치의 식별자는 신체 장치의 출고시 할당된 시리얼 번호일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는 사용자의 위치인 위도, 경도, 및 고도와 같은 파라미터를 말한다.
사용자의 환경 파라미터는 사용자의 위치에서의 온도, 습도, 공기질, 이산화탄소 농도, 자외선 강도, 및 풍력 계급과 같은 파라미터를 말한다.
획득 유닛(601)은, 신체 장치의 식별자에 따라서,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통상적인 통신 모드는 블루투스 연결, Wi-Fi 연결, 적외선 연결, NFC 연결, 테라헤르츠 연결 등을 포함한다.
제1 결정 유닛(602)은,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와 환경 파라미터에 따라서, 개인 이동국의 시나리오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인 시나리오는 사용자가 수면 중인 시나리오, 사용자가 작업 중인 시나리오, 사용자가 여흥을 위해 인터넷을 검색 중인 시나리오, 사용자가 외부에서 운동 중인 시나리오 등을 포함한다.
제1 결정 유닛(602)은 시나리오와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통상적인 네트워킹 모드는 Wi-Fi, 블루투스, 테라헤르츠 등을 포함한다.
제1 연결 유닛(603)은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와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개인 이동국이 신체 장치의 식별자,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 및 환경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개인 이동국이, 신체 장치의 식별자에 따라서,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를 획득하며, 개인 이동국이,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 및 환경 파라미터에 따라서, 개인 이동국의 시나리오를 결정하고, 개인 이동국이 시나리오와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며, 개인 이동국이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와 연결을 구축한다. 사용자의 시나리오 및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는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며, 이것은 신체 장치들 사이의 통신 조정을 구현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전술한 장치에 기초하여,
획득 유닛(601)은 사용자의 생리 파라미터와 행동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사용자의 생리 파라미터는 혈압, 심박수와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행동 파라미터는 사용자의 기상 시간, 사용자의 취침 시간, 사용자의 수면 기간, 사용자의 인터넷 검색 시작 시간, 및 사용자의 인터넷 검색 기간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제1 결정 유닛(602)은 구체적으로, 시나리오,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 및 사용자의 생리 파라미터 및 행동 파라미터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개인 이동국은 사용자의 생리 파라미터와 행동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개인 이동국은 시나리오,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 및 사용자의 생리 파라미터 및 행동 파라미터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가 보다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고, 네트워킹 모드를 사용하여 또한 신체 장치가 개인 이동국과 통신하기 보다 편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장치에 기초하여, 본 장치는 제2 결정 유닛(701) 및 전송 유닛(702)를 포함한다.
제2 결정 유닛(701)은 네트워크 위상, 네트워크 최적화 알고리즘, 및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크 역할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네트워크 역할은 로컬 게이트웨이 또는 단말이다.
제2 결정 유닛(701)은 제1 연결 유닛(603)에 연결된다.
전송 유닛(702)은, 신체 장치가 로컬 게이트웨이인 경우, 개인 이동국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단말이 신체 장치와 연결을 구축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단말에게 명령을 전송하며, 여기서 미리 설정된 범위는 신체 장치의 방향과 위치에 따라서 결정되도록 구성된다.
전송 유닛(702)은, 신체 장치가 단말인 경우, 개인 이동국이, 신체 장치가 신체 장치에 가장 가까이 있는 게이트웨이와 연결을 구축할 수 있도록, 신체 장치에게 명령을 전송하며, 여기서 게이트웨이는 로컬 게이트웨이 또는 개인 이동국을 나타내고, 개인 이동국은 신체 장치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서 신체 장치에 가장 가까이 있는 게이트웨이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들을 조정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개인 이동국이 네트워크 위상, 네트워크 최적화 알고리즘, 및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크 역할을 결정하며, 여기서 네트워크 역할은 로컬 게이트웨이 및 단말을 포함하고, 신체 장치가 로컬 게이트웨이인 경우, 개인 이동국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단말이 신체 장치와 연결을 구축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단말에게 명령을 전송하며, 여기서 미리 설정된 범위는 신체 장치의 방향과 위치에 따라서 결정되거나, 또는 신체 장치가 단말인 경우, 개인 이동국은, 신체 장치가 신체 장치에 가장 가까이 있는 게이트웨이와 연결을 구축할 수 있도록, 신체 장치에게 명령을 전송하며, 여기서 게이트웨이는 로컬 게이트웨이 또는 개인 이동국을 나타내고, 개인 이동국은 신체 장치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서 신체 장치에 가장 가까이 있는 게이트웨이를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연결이 신체 장치의 네트워크 역할에 따라서 구축됨으로써, 신체 장치들 사이의 통신 조정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장치에 기초하여, 본 장치는 감시 유닛(801), 제3 결정 유닛(802), 및 네트워크 최적화 유닛을 더 포함한다.
감시 유닛(801)은 제1 연결 유닛(603)에 의해 구축된 연결을 사용하여 신체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감시하도록 구성된다.
제3 결정 유닛(802)은 신체 장치의 작동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네트워크 위상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크 역할을 재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최적화 유닛(803)은 신체 장치의 네트워크 위상과 재결정된 네트워크 역할에 따라서 네트워크 최적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개인 이동국이 신체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감시하고, 개인 이동국이 신체 장치의 작동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네트워크 위상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크 역할을 재결정하며, 개인 이동국이 신체 장치의 네트워크 위상과 재결정된 네트워크 역할에 따라서 네트워크 최적화를 수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최적화가 신체 장치의 상태에 따라서 수행되며, 이로 인해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장치에 기초하여, 본 장치는 수신 유닛(901) 및 제2 연결 유닛(902)을 더 포함한다.
수신 유닛(901)은 신체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연결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연결 요청은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를 포함한다.
제2 연결 유닛(902)은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에 따라서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다.
제1 연결 유닛(603)은 네트워킹 모드가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와 상이한 경우,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와 연결을 재구축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개인 이동국이 신체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연결 요청을 수신하며, 여기서 연결 요청은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를 포함하고, 개인 이동국이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에 따라서 연결을 구축하며, 개인 이동국이, 네트워킹 모드가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와 상이한 경우,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와 연결을 재구축한다. 현재의 연결 모드가 현재의 시나리오에 어울리는 지의 여부는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결정되고, 현재의 연결 모드가 현재의 시나리오와 어울리지 않는 경우, 연결은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재구축된다. 이것은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효율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1)(예를 들어 CPU), 메모리(1002),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3),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버스(1004),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1005),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1006)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며, 여기서 통신 버스(1004)는 이들 장치 사이의 연결 및 통신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001)는 메모리(1002)에 저장된 실행 가능한 모듈,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1002)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어 적어도 eMMC(Embedded Multi Media Card)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3)는 네트워크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의 통신 연결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인터넷, 광역 네트워크, 로컬 영역 네트워크, 거대도시 영역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등이 사용된다. 단말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 방식에서, 메모리(1002)는 프로그램(10021)을 저장하고, 프로그램(10021)은 프로세서(100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신체 장치의 식별자, 신체 장치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 및 환경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신체 장치의 식별자에 따라서,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를 획득하며;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와 환경 파라미터에 따라서, 시나리오 상태를 결정하고;
시나리오와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며; 그리고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와 연결을 구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시나리오와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기 전에,
사용자의 생리 파라미터와 행동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시나리오와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시나리오,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 및 사용자의 생리 파라미터 및 행동 파라미터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와 연결을 구축한 후,
네트워크 위상, 네트워크 최적화 알고리즘, 및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크 역할을 결정하며, 여기서 네트워크 역할은 로컬 게이트웨이 또는 단말이며; 그리고
신체 장치가 로컬 게이트웨이인 경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단말이 신체 장치와 연결을 구축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단말에게 명령을 전송하며, 여기서 미리 설정된 범위는 신체 장치의 방향과 위치에 따라서 결정되거나, 또는 신체 장치가 단말인 경우, 신체 장치가 신체 장치에 가장 가까이 있는 게이트웨이와 연결을 구축할 수 있도록, 신체 장치에게 명령을 전송하며, 여기서 게이트웨이는 로컬 게이트웨이 또는 개인 이동국을 나타내고, 개인 이동국은 신체 장치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서 신체 장치에 가장 가까이 있는 게이트웨이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와 연결을 구축한 후,
구축된 연결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감시하고;
신체 장치의 작동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네트워크 위상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크 역할을 재결정하며; 그리고
신체 장치의 네트워크 위상과 재결정된 네트워크 역할에 따라서 네트워크 최적화를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와 연결을 구축하기 전에,
신체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연결 요청을 수신하며, 여기서 연결 요청은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를 포함하며; 그리고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에 따라서 연결을 구축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와 연결을 구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킹 모드가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와 상이한 경우,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와 연결을 재구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장치는 신체 장치의 식별자, 신체 장치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 및 환경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신체 장치의 식별자에 따라서,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를 획득하며,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와 환경 파라미터에 따라서, 개인 이동국의 시나리오를 결정하고, 시나리오와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며,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신체 장치와 연결을 구축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의 시나리오 및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는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며, 이것은 신체 장치들 사이의 통신 조정을 구현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전술한 방법 실시예는 일련의 동작으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일부 단계는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동시에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기술된 동작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실시예는 예시적인 실시예이며, 관련된 동작 및 모듈은 반드시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장치 및 시스템 내의 모듈 간의 정보 교환 및 실행 프로세스와 같은 콘텐츠는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와 동일한 아이디어에 기초한다. 따라서, 상세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며,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다시 기술하지 않는다.
당업자는 실시예에서 방법들의 프로세스들 전부 또는 일부가 관련 하드웨어를 명령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실시예에서의 방법의 과정이 실행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OM)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 및 구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특정 예들이 사용된다. 전술 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방법 및 아이디어를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한 것일 뿐이다. 또한, 구현 방식 및 적용 범위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는 본 발명에 대해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0)

  1.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body device)를 조정(coordinating)하는 방법으로서,
    개인 이동국(mobile personal station)에 의해, 신체 장치의 식별자, 및 상기 신체 장치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 및 환경 파라미터(ambient parameter)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신체 장치의 식별자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위치 파라미터 및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따라서, 상기 개인 이동국의 시나리오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시나리오와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네트워킹 모드는 상기 개인 이동국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통신 모드를 지정하는 것임 - ; 및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시나리오와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통신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생리 파라미터(physiological parameter)와 행동 파라미터(behavior parameter)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시나리오와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시나리오,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 및 상기 사용자의 생리 파라미터 및 행동 파라미터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후에,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네트워크 위상(network topology), 네트워크 최적화 알고리즘, 및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의 네트워크 역할(network role)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네트워크 역할은 로컬 게이트웨이 또는 단말임 -; 및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단말이 상기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할 수 있도록, 상기 신체 장치가 로컬 게이트웨이인 경우에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상기 단말에게 명령을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신체 장치가 상기 신체 장치에 가장 가까운 게이트웨이에 대한 연결을 구축할 수 있도록, 상기 신체 장치가 단말인 경우에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신체 장치에게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는 상기 신체 장치의 방향과 위치에 따라서 결정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로컬 게이트웨이 또는 상기 개인 이동국을 나타내며, 상기 개인 이동국은 상기 신체 장치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가장 가까운 게이트웨이를 결정하는,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후에
    상기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대해 상기 개인 이동국이 구축한 연결을 사용하여,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신체 장치의 작동 상태(working status)를 감시하는 단계;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신체 장치의 작동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위상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의 네트워크 역할을 재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신체 장치의 상기 네트워크 위상 및 상기 재결정된 네트워크 역할에 따라서 네트워크를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전에,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a most power saving connection mode)를 포함함 -; 및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에 따라서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인 이동국에 의해, 상기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킹 모드가 상기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와 상이한 경우 상기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재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
  6.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장치로서,
    신체 장치의 식별자, 및 상기 신체 장치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위치 파라미터 및 환경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유닛 - 상기 획득 유닛은, 상기 신체 장치의 식별자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됨 -;
    상기 사용자의 상기 위치 파라미터 및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따라서, 상기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장치의 시나리오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유닛 - 상기 제1 결정 유닛은 상기 시나리오와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네트워킹 모드는 상기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장치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통신 모드를 지정하는 것임 -; 및
    상기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 제1 연결 유닛
    을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생리 파라미터 및 행동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시나리오,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 및 상기 사용자의 생리 파라미터 및 행동 파라미터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유닛이 상기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한 후에,
    제2 결정 유닛 및 전송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정 유닛은, 네트워크 위상, 네트워크 최적화 알고리즘, 및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의 네트워크 역할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네트워크 역할은 로컬 게이트웨이 또는 단말이며,
    상기 전송 유닛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단말이 상기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할 수 있도록, 상기 신체 장치가 로컬 게이트웨이인 경우에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상기 단말에게 명령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는 상기 신체 장치의 방향과 위치에 따라서 결정되며,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신체 장치가 상기 신체 장치에 가장 가까운 게이트웨이에 대한 연결을 구축할 수 있도록, 상기 신체 장치가 단말인 경우에 상기 신체 장치에게 명령을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로컬 게이트웨이 또는 개인 이동국을 나타내며, 상기 개인 이동국은 상기 신체 장치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가장 가까운 게이트웨이를 결정하는,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감시 유닛, 제3 결정 유닛, 및 네트워크 최적화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감시 유닛은 상기 제1 연결 유닛에 의해 구축된 상기 연결을 사용하여 상기 신체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감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결정 유닛은 상기 신체 장치의 작동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위상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의 네트워크 역할을 재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네트워크 최적화 유닛은 상기 신체 장치의 상기 네트워크 위상 및 상기 재결정된 네트워크 역할에 따라서 네트워크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장치.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수신 유닛 및 제2 연결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연결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신체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 유닛은 상기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에 따라서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연결 유닛은 상기 네트워킹 모드가 상기 최고 절전형 연결 모드와 상이한 경우 상기 네트워킹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체 장치에 대한 연결을 재구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을 위한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장치.
KR1020177017543A 2014-11-29 2015-03-24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556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714894.0 2014-11-29
CN201410714894.0A CN105703982B (zh) 2014-11-29 2014-11-29 一种协同人体设备进行通信的方法及装置
PCT/CN2015/074924 WO2016082390A1 (zh) 2014-11-29 2015-03-24 一种协同人体设备进行通信的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668A KR20170091668A (ko) 2017-08-09
KR101955616B1 true KR101955616B1 (ko) 2019-03-07

Family

ID=56073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543A KR101955616B1 (ko) 2014-11-29 2015-03-24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04802B2 (ko)
EP (1) EP3217600B1 (ko)
JP (1) JP6478432B2 (ko)
KR (1) KR101955616B1 (ko)
CN (1) CN105703982B (ko)
WO (1) WO20160823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47457A (zh) * 2017-01-25 2018-07-3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通信方法和通信设备
CN109145847B (zh) * 2018-08-30 2020-09-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识别方法、装置、穿戴式设备及存储介质
CN113010460A (zh) * 2019-12-19 2021-06-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装置、主机设备、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961064B (zh) * 2021-09-13 2024-04-05 武汉灏存科技有限公司 基于工作站的设备交互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8044257A (zh) * 2021-10-22 2024-05-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通信模式的确定方法及其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3100806A4 (en) 2012-06-08 2013-07-25 AL Sabbagh, Abdallah MR A Radio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Wireless Sensors in Body Area Networks
US20140292537A1 (en) 2013-03-29 2014-10-02 Olympus Corporation Emergency handling in a body area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5168B2 (en) * 2003-07-17 2014-08-05 Cadi Scientific Pte Ltd. Method and system for capturing and monitoring a physiological parameter and movement within an area of at least one person
US7144599B2 (en) * 2004-07-15 2006-12-05 Birchwood Laboratories, Inc. Hybrid metal oxide/organometallic conversion coating for ferrous metals
US7450730B2 (en) * 2004-12-23 2008-11-11 Phonak Ag Personal monitoring system for a user and method for monitoring a user
US9848058B2 (en) * 2007-08-31 2017-12-19 Cardiac Pacemakers, Inc. Medical data transport over wireless life critical network employing dynamic communication link mapping
US9026190B2 (en) * 2010-11-17 2015-05-05 Rhythm Check, Inc. Portable physiological parameter detection and monitoring device with integratable computer memory and communication disk, system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120203491A1 (en) * 2011-02-03 2012-08-0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xt-aware control of sensors and sensor data
JP5958125B2 (ja) * 2012-07-05 2016-07-27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制御方法
CN102916969B (zh) * 2012-10-29 2015-07-08 广州碧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无间断的数据通讯设备及通讯方法
CN103281669A (zh) * 2013-05-15 2013-09-04 熊廷美 一种智能安全管理装置
CN103441784B (zh) * 2013-08-26 2016-01-27 刘芳 一种电子手环装置及电子手环信息传输方法
CN103810254A (zh) * 2014-01-22 2014-05-21 浙江大学 基于云端的用户行为实时分析方法
CN103957279A (zh) * 2014-05-20 2014-07-30 大连理工大学 一种基于无线自组织网络的人员安全信息汇总系统及其工作方法
CN105635234B (zh) 2014-11-29 2020-02-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管理人体设备的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3100806A4 (en) 2012-06-08 2013-07-25 AL Sabbagh, Abdallah MR A Radio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Wireless Sensors in Body Area Networks
US20140292537A1 (en) 2013-03-29 2014-10-02 Olympus Corporation Emergency handling in a body area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668A (ko) 2017-08-09
CN105703982A (zh) 2016-06-22
EP3217600A4 (en) 2017-09-13
US10404802B2 (en) 2019-09-03
WO2016082390A1 (zh) 2016-06-02
US20170264693A1 (en) 2017-09-14
CN105703982B (zh) 2019-05-03
EP3217600A1 (en) 2017-09-13
JP2018504803A (ja) 2018-02-15
EP3217600B1 (en) 2018-12-26
JP6478432B2 (ja)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616B1 (ko) 통신을 위해 신체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07577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wearable device and mobile terminal
CN107431889B (zh) 用于控制无线传感器网络中低能量链路的方法和系统
US78264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ing short-rang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f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infrastructure
JP5866021B2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のための熱的最適アップリンクを選択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07888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ody device
CN109644493A (zh) 无许可操作
US838530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operation time in IEEE802.15.4-2006 beacon based wireless sensor network
KR101844417B1 (ko) 주변 연결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선택 방법 및 허브
KR20170057668A (ko) 전자 시스템 및 전자 장치
JP6002771B2 (ja) 無線装置、それによって制御される制御対象機器、無線装置および制御対象機器を備える制御システム、および無線装置において制御対象機器の制御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Ergeerts et al. DASH7 alliance protocol in monitoring applications
CN103347294A (zh) 无线传感器系统及数据收集方法
CN105744463A (zh) 专用网络中的数据动态分配方法和相关电子设备
US11616532B2 (en) Near-field wireless device
CN101854672A (zh) 一种业务平台子系统、信息交互系统及信息交互方法
Del Campo et al. BLE analysis and experimental evaluation in a walking monitoring device for elderly
de Groot IoT and the Cloud: a hacked personality and an empty battery head-ache or an intuitive environment to make our lives easier?
JP2018129598A (ja) 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携帯機器
KR101956276B1 (ko) 의료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서의 채널 초기화 방법
CN112437417B (zh) 电子价签、系统及数据处理方法
Peng et al. Corresponding research of android and ZigBee
US20230189056A1 (en) Target wake tim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and/or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same
GB2547315A (en) Indoor wireless positioning and navigation
CN207135286U (zh) 一种无线传感器设备管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