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343B1 -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343B1
KR101955343B1 KR1020170120987A KR20170120987A KR101955343B1 KR 101955343 B1 KR101955343 B1 KR 101955343B1 KR 1020170120987 A KR1020170120987 A KR 1020170120987A KR 20170120987 A KR20170120987 A KR 20170120987A KR 101955343 B1 KR101955343 B1 KR 101955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ool
air tube
clamps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채
김수철
Original Assignee
현덕산기주식회사
김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덕산기주식회사, 김수철 filed Critical 현덕산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0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5Hydraulic driv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에어공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튜브가 일체로 형성되는 공구레일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는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1에어튜브와, 상기 제1에어튜브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1에어튜브 하측에 연장되는 제1공구레일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에어공구레일;
상기 제1에어튜브 및 제1공구레일과 연통되는 제2에어튜브 및 제2공구레일과, 상기 제2에어튜브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결합돌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에어공구레일;
상기 제1 및 제2에어튜브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에어튜브중 다른 하나에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을 연결하는 제1연결조인트;
상기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의 제1 및 제2결합돌기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2편 이상의 블록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클램프;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에 형성되는 체결공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돌기에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체결부재;
상기 제1연결조인트와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에어튜브 내부에서 상기 제1연결조인트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a connecting device of tool rail having air tube}
본 명세서는 공구레일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동차 등의 조립라인에 설치되어 에어공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튜브가 일체로 형성되는 공구레일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공구레일은 자동차 조립라인에서 소형 부품을 운반 또는 조립할 수 있도록 조립라인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에어공구레일은 결합돌기가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압축공기가 이동되는 에어튜브 및 에어튜브 밑으로 연장되고 에어공구가 연결되는 트롤리가 슬라이딩이동되는 공구레일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와 같이, 자동차 조립라인 등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에어튜브 일체형 에어공구레일(A)은,
상측에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관(官)형태의 에어튜브(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하측에 수용공간부(2)가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며,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3)이 복수개 형성되는 몸체(4)와,
수용공간부(2)에 롤러(5)가 슬라이딩이동되도록 조립되는 트롤리(6)와,
슬라이딩홈(3)에 결합되는 연결구(7)에 상단이 연통되고, 트롤리(6) 하단에 연결되는 에어공구(미 도시됨)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스프링호스(8)를 구비한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종래 기술에 의한 유닛형 에어공구레일은,
자동차 등의 조립라인에서 사용되는 에어공구(일 예로서, 압축공기 공급시 작동되어 볼트 및 너트를 체결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어댑터 등을 말함)가 연결되는 트롤리를 슬라이딩이동시킬 수 있도록 임의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조립라인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결시켜 설치한다.
이때, 임의길이(일 예로서, 약 5M 정도를 말함)를 갖도록 형성되어 반복적으로 연결되는 에어공구레일 중, 좌측단 및 우측단 에어공구레일 사이에 연결된 중간측 에어공구레일을 교체해야될 경우, 중간측 에어공구레일 일단에 연결된 다수개의 에어공구레일을 먼저 분리시키는 선행작업이 요구되므로 작업시간이 증가되어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6-0055787호(2016.5.18.공개)에 배관의 연결 시스템이 게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자동차 조립라인에 에어공구레일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중간측에 위치하는 에어공구레일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고, 에어공구레일의 연결부 틈새를 통해 압축공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1에어튜브와, 상기 제1에어튜브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1에어튜브 하측에 연장되는 제1공구레일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에어공구레일;
상기 제1에어튜브 및 제1공구레일과 연통되는 제2에어튜브 및 제2공구레일과, 상기 제2에어튜브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결합돌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에어공구레일;
상기 제1 및 제2에어튜브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에어튜브중 다른 하나에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을 연결하는 제1연결조인트;
상기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의 제1 및 제2 결합돌기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2편 이상의 블록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클램프;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에 형성되는 체결공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돌기에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체결부재;
상기 제1연결조인트와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에어튜브 내부에서 상기 제1연결조인트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1에어튜브와, 상기 제1에어튜브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1에어튜브 하측에 연장되는 제1공구레일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에어공구레일;
상기 제1에어튜브 및 제1공구레일과 연통되는 제2에어튜브 및 제2공구레일과, 상기 제2에어튜브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결합돌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에어공구레일;
상기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공구레일과 연통되는 공구레일과, 상기 제1 및 제2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관통공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에어튜브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에어튜브중 다른 하나에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의 좌측 및 우측에 상기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을 연결하는 제1연결조인트;
상기 커넥터의 결합돌기와, 상기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의 제1 및 제2결합돌기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2편 이상의 블록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클램프;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에 형성되는 체결공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제1 및 제2 결합돌기에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체결부재;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을 상기 제1연결조인트에 의해 연결시킬 경우,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 내부에서 상기 제1연결조인트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명세서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자동차 조립라인에 임의길이를 갖는 에어공구레일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좌측단 또는 우측단 에어공구레일을 해체시키지않고도 중간측 에어공구레일을 간편하게 교체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 단축으로 인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공구레일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연결조인트가 결합후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연결조인트와 에어튜브사이에 장착된 씰링용 오링의 파손이 방지되므로 결합틈새를 통해 압축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실용성 및 신뢰성을 갖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어튜브 일체형 에어공구레일의 도면,
도 2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구레일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구레일에서, 연결조인트의 변형예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공구레일에서, 공구레일을 교체하기 위해 분리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b,c,d)는 도 2에 도시된 공구레일에서, 에어공구레일을 교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연결장치의 개략적인 결합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7(a,b,c,d)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는,
에어공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1에어튜브(11)와, 제1에어튜브(11)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10)와, 제1에어튜브(11) 하측에 연장되는 제1공구레일(13)(에어공구가 연결되는 트롤리(trolley)(미 도시됨)를 슬라이딩이동시킬 수 있음)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에어공구레일(14);
제1에어튜브(11) 및 제1공구레일(13)과 연통되는 제2에어튜브(15) 및 제2공구레일(16)과, 제2에어튜브(15)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결합돌기(10a)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에어공구레일(17);
제1 및 제2에어튜브(11,15)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결합되고, 제1 및 제2에어튜브(11,15)중 다른 하나에 타단이 결합되며,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14,17)을 연결하며, 제1 및 제2에어튜브(11,15)에 연통되는 관통공(도면부호 미 표기)이 형성되는 제1연결조인트(18);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14,17)의 제1 및 제2결합돌기(10,10a)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2편 이상의 블록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클램프(19,20);
제1 및 제2클램프(19,20)에 형성되는 체결공(도면부호 미 표기)에 결합되고, 제1 및 제2 결합돌기(10,10a)에 제1 및 제2클램프(19,20)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체결부재(12);
제1연결조인트(18)와 제1 및 제2클램프(19,20)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제1 및 제2에어튜브(11,15) 내부에서 제1연결조인트(18)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구(21);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2 및 도 6에서와 같이, 유동방지구(21)는
제1연결조인트(18)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요홈(22);
요홈(22)에 대응되게 제1 및 제2클램프(19,2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14,17)의 제1,2결합돌기(10,10a)에 관통형성되는 슬롯(slot)(23)을 통과하여 요홈(22)에 안착되는 제1 및 제 2스토퍼(24,25);를 구비한다.
즉, 제1 및 제2에어튜브(11,15)사이에 제1연결조인트(18)를 결합하고, 제1 및 제2결합돌기(10,10a)에 결합된 제1 및 제2클램프(19,20)를 체결부재(12)에 의해 고정시켜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14,17)을 연결시킬 경우, 슬롯(23)을 통과하여 제1연결조인트(18)의 요홈(22)에 안착된 제1 및 제 2스토퍼(24,25)에 의해 제1 및 제2에어튜브(11,15) 내부에서 제1연결조인트(18)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에어튜브(11,15) 내부에서 제1연결조인트(18)가 유동함에 따라 제1연결조인트(18)의 기밀용 씰(28,29)이 스크래치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유동방지구(21)는
제1연결조인트(18)의 외주연에 대향되게 결합홈(26)(일 예로서, 180도 위상차를 갖도록 2개의 결합홈이 형성됨);
결합홈(26)에 대응되게 제1 및 제2클램프(19,2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14,17)의 제1 및 제2결합돌기(10,10a)에 관통형성되는 슬롯(slot)(23)을 통과하여 결합홈(26)에 안착되는 제1,2스토퍼(24,25);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에어튜브(11,15)사이에 제1연결조인트(18)를 결합하고, 제1 및 제2결합돌기(10,10a)에 결합된 제1 및 제2클램프(19,20)를 체결부재(12)에 의해 고정시켜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14,17)을 연결시킬 경우, 슬롯(23)을 통과하여 제1연결조인트(18)의 결합홈(26)에 결합된 제1 및 제 2스토퍼(24,25)에 의해 제1 및 제2에어튜브(11,15) 내부에서 제1연결조인트(18)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조인트(18)의 좌측 및 우측 외주연에 형성되는 씰홈(27)에 장착되고, 제1연결조인트(18)의 외주연과 제1 및 제2에어튜브(11,15)의 내주연사이의 틈새를 통해 제1 및 제2에어튜브(11,15)로부터 압축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용 씰(28,29);을 더 구비한다.
또한, 제1,2에어공구레일(14,17)의 제1 및 제2결합돌기(10,10a)는 도브테일(dovetail)형태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클램프(19,20)의 내측면에는 도브테일홈이 형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클램프(19,20)가 상하 방향으로 3편 이상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1 및 제2클램프(19,20)의 외측면에 체결부재(12)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14,17)의 제1 및 제2결합돌기(10,10a)를 따라 제1 및 제2클램프(19,20)가 낱개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판(30);을 더 구비한다.
또한, 제1 및 제2결합돌기(10,10a)에 형성되는 슬롯(23)의 좌우폭(L1)은
제1 및 제2클램프(19,20)의 외측단에서 제1 및 제2스토퍼(24,25)까지의 거리(L2)보다 크거나 동일(L2 ≤ L1)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클램프(19,20)를 제1 및 제2결합돌기(10,10a)를 따라 제2에어공구레일(17)쪽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키되, 제1 및 제2클램프(19,20)에 형성된 제1 및 제2스토퍼(24,25)가 슬롯(23) 안쪽(개구부 반대쪽을 말함)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킬 경우, 제1 및 제2클램프(19,20)에 의해 제1에어튜브(11)로부터 제2에어튜브(15)쪽으로 동시에 이동되는 제1연결조이트(18)의 좌측단이 제2에어공구레일(17) 좌측단에 일치된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14,17)을 연결시킨 로킹상태는 해제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31은 제1, 제2 및 제3공구레일(13,16,16a)을 따라 슬라이딩이동되고 에어공구가 하단에 연결되는 트롤리이고, 32는 제1 및 제2결합돌기(10 또는 10a)에 장착되고 제1 및 제2에어튜브(11,15) 내의 압축공기를 에어공구에 공급하기 위한 밸브어셈블리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의 사용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a,b,c,d)에서와 같이, 자동차 조립라인에서 사용되는 에어공구(미 도시됨)가 하단에 연결되는 트롤리(31)를 제1, 제2 및 제3공구레일(13,16,16a)을 따라 슬라이딩이동시키거나, 압축공기를 제1, 제2 및 제3에어튜브(11,15,15a)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제1에어튜브(11) 및 제1공구레일(13)로 이루어진 제1에어공구레일(14)과, 제2에어튜브(15) 및 제2공구레일(16)로 이루어진 제2에어공구레일(17)과, 제3에어튜브(15a) 및 제3공구레일(16a)로 이루어진 제3에어공구레일(17a)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치하게 된다.
즉, 도 7b에서와 같이, 제1에어공구레일(14)의 좌측 및 우측에 제2에어공구레일(17) 및 제3에어공구레일(17a)을 맞대어 연결시킬 수 있도록 제1에어공구레일(14)과 제2에어공구레일(17) 사이에 제1연결조인트(18)가 결합되고, 제1에어공구레일(14)과 제3에어공구레일(17a) 사이에 제2연결조인트(18a)가 결합된다.
이때, 도 7a에서와 같이, 제1, 제2 및 제3결합돌기(10,10a,10b)에 끼워맞춤된 제1 및 제2클램프(19,20)를 체결부재(12)에 의해 체결한다. 이로 인해 제1및제2클램프(19,20)의 제1 및 제2스토퍼(24,25)가 제1 및 제2연결조인트(18,18a)의 요홈(22)에 안착된다.
따라서, 제1, 제2 및 제3에어공구레일(14,17,17a) 내부에서 제1 및 제2연결조인트(18,18a)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제1, 제2 및 제3에어공구레일(14,17,17a)의 연결부에 결합된 제1 및 제2연결조인트(18,18a)의 기밀용 씰(28,29)에 의해 제1, 제2 및 제3에어튜브(11,15,15a)내의 압축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제2 및 제3에어공구레일(14,17,17a)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중간측에 위치한 제1에어공구레일(14)을 제2 및 제3에어공구레일(17,17a)로부터 간편하게 교체시킬 수 있다(이때 제2 및 제3에어공구레일(17,17a)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제2 및 제3결합돌기(10,10a,10b)에 제1 클램프(19) 및 제2 클램프(20)를 고정시킨 체결부재(12)를 어느 정도 푼다. 이때 체결부재(12)를 완전하게 풀지 않아 제1 클램프(19) 및 제2 클램프(20)는 제1, 제2 및 제3결합돌기(10,10a)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제2 및 제3에어공구레일(14,17,17a)을 따라 슬라이딩이동될 수 있다.
도 7b에서와 같이, 제1 및 제3에어공구레일(14,17a) 사이에 결합된 제2연결조인트(18a)의 요홈(22)에 제1,2스토퍼(24,25)가 결합된 제1 및 제2클램프(19,20)를 제3에어공구레일(17a)의 제3결합돌기(10b)를 따라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슬라딩이동시킨다.
즉, 제1,2클램프(19,20)의 제1,2스토퍼(24,25)를 제3에어공구레일(17a)의 슬롯(23)의 우측단으로 이동시킬 경우, 제2연결조인트(18a)의 좌측 반쪽이 제1에어공구레일(14)으로부터 이탈되어 제3에어공구레일(17a)의 제3에어튜브(15a)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연결조인트(18a)의 좌측단이 제3에어공구레일(17a)의 좌측단과 일치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에어공구레일(14)로부터 이탈되는 제1 및 제2클램프(19,20)의 좌측단이 제3에어공구레일(17a)의 제3결합돌기(10b)의 좌측단과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 3에어공구레일(14,17a)의 로킹상태는 해제된다.
한편, 도 7c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14,17) 사이에 결합된 제1연결조인트(18)를 제1에어공구레일(14)의 제1에어튜브(11)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클램프(19,20)를 제1에어공구레일(14)의 제1결합돌기(10)를 따라 슬라이딩이동시키는 과정은, 제1 및 제3에어공구레일(14,17a) 사이에 결합된 제2연결조인트(18a)를 제3에어공구레일(17a)의 제3에어튜브(15a)로 이동시키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제1 및 제 2에어공구레일(14,17)의 로킹상태는 해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및 제3에어공구레일(17,17a)에 대해 제1에어공구레일(14)의 로킹상태가 해제되므로, 이웃한 에어공구레일(미 도시됨)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2 및 제3에어공구레일(17,17a)로부터 제1에어공구레일(14)을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에어공구레일(14)을 제2 및 제3에어공구레일(17,17a)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제1에어공구레일(14) 내부로 이동된 제1연결조인트(18)를 분리시켜제1연결조인트(18)의 좌측 및 우측에 장착된 기밀용 씰(28,29)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되, 파손된 경우 새것으로 교체시킨다.
제1연결조인트(18) 및 기밀용 씰(28,29)이 교체되고, 제1 및 제2클램프(19,20)가 제1결합돌기(10)에 결합된 제1에어공구레일(14)을 제2 및 제3에어공구레일(17,17a) 사이에 들어 올려 밀착시킨다.
제1 및 제2클램프(19,20) 이동에 의해 제1에어공구레일(14)로부터 제1연결조인트(18) 좌측 반쪽을 제2에어공구레일(17)쪽으로 이동시킨 후, 제1 및 제2결합돌기(10,10a)에 결합된 제1 및 제2클램프(19,20)를 체결부재(12)에 의해 체결함에 따라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14,17)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클램프(19,20) 이동에 의해 제3에어공구레일(17a)으로부터 제2연결조인트(18a) 좌측 반쪽을 제1에어공구레일(14)쪽으로 이동시킨 후, 제1 및제3결합돌기(10,10b)에 결합된 제1 및 제2클램프(19,20)를 체결부재(12)에 의해 체결함에 따라 제1 및 제3에어공구레일(14,17a)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및 제3에어공구레일(17,17a)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2 및 제3 에어공구레일(17,17a)사이에 제1에어공구레일(14)을 교체시키는 작업이 종료된다.
전술한 제1, 제2 및 제3공구레일(13,16,16a)을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는 트롤리(31)에 에어공구를 연결시키고, 제1, 제2 및 제 3에어공구레일(14,17,17a)의 제1, 제2 및 제3에어튜브(11,15,15a)내의 압축공기를 밸브어셈블리(32)를 통해 에어공구에 공급하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는,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1에어튜브(11)와, 제1에어튜브(11)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10)와, 제1에어튜브(11) 하측에 연장되는 제1공구레일(1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에어공구레일(14);
제1에어튜브(11) 및 제1공구레일(13)과 연통되는 제2에어튜브(15) 및 제2공구레일(16)과, 제2에어튜브(15)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결합돌기(10a)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에어공구레일(17);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14,17)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에 관통공(40)이 형성되며, 제1 및 제2공구레일(13,16)과 연통되는 공구레일(41)과, 제1 및 제2결합돌기(10,10a)와 대응되는 결합돌기(42)가 형성되는 커넥터(43);
커넥터(43)의 관통공(40)에 결합되고, 제1 및 제2에어튜브(11,15)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결합되고 제1 및 제2에어튜브(11,15)중 다른 하나에 타단이 결합되며, 커넥터(43)의 좌측 및 우측에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14,17)을 연결하며, 제1 및제2에어튜브(14,17)에 연통되는 관통공(도면부호 미 표기)이 형성되는 제1연결조인트(18);
커넥터(43)의 결합돌기(42)와,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14,17)의 제1 및 제2결합돌기(10,10a)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2편 이상의 블록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클램프(19,20);
제1 및 제2클램프(19,20)에 형성되는 체결공에 결합되고, 결합돌기(42)와 제1 및 제2 결합돌기(10,10a)에 제1 및 제2클램프(19,20)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체결부재(12);
커넥터(43)의 좌측 및 우측에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14,17)을 제1연결조인트(18)에 의해 연결시킬 경우, 커넥터(43)와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14,17) 내부에서 제1연결조인트(18)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구(21);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유동방지구(21)는
제1연결조인트(18)의 외주연에 이격되고,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요홈(22,22a);
요홈(22,22a)에 대응되게 커넥터(43)의 결합돌기(42)에 관통되는 슬롯(44)(slot);
슬롯(44) 내에 위치하도록 제1 및 제2클램프(19,20)에 관통되는 제1 및 제2나사공(45,46)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슬롯(44)을 통과하여 요홈(22,22a)에 안착되는 제1 및 제2체결부재(47,48);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조인트(18)의 좌측 및 우측 외주연에 형성되는 씰홈(도면부호 미 표기됨)에 장착되고, 제1연결조인트(18)의 외주연과 제1 및 제2에어튜브(11,15)의 내주연 사이의 틈새를 통해 압축공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용 씰(28,29);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에 의하면, 전술한 커넥터(43)의 관통공(40)에 결합된 제1연결조인트(18)의 좌측 및 우측을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14,17)의 제1 및 제2에어튜브(11,15)에 결합시킨다.
이때, 커넥터(43)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14,17)이 밀착된다.
커넥터(43) 및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14,17)의 외측면에 형성된 도브테일형태의 결합돌기(42) 및 제1 및 제2결합돌기(10,10a)에 제1 및 제2클램프(19,20)를 결합하되, 2편 이상의 블록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클램프(19,20)를 체결부재(12)에 의해 체결한다.
이로 인해, 커넥터(43)의 좌측 및 우측에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14,17)을 밀착시킬 경우, 제1연결조인트(18)에 의해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14,17)의 제1 및 제2에어튜브(11,15)가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이때, 제1연결조인트(18)의 외주연 좌측에 장착된 기밀용 씰(28)에 의해 제1에어튜브(11) 내주연과 제1연결조인트(18)의 외주연 사이의 틈새를 씰링처리함에 따라 압축공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1연결조인트(18)의 외주연 우측에 장착된 기밀용 씰(29)에 의해 제2에어튜브(15) 내주연과 제1연결조인트(18)의 외주연 사이의 틈새를 씰링처리함에 따라 압축공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클램프(19,20)의 제1 및 제2나사공(45,46)에 결합된 제1 및 제2체결부재(47,48)를 커넥터(43)의 슬롯(44)을 통과하여 제1연결조인트(18)의 외주연에 이격되게 형성된 요홈(22,22a)에 안착시킬 경우, 커넥터(43) 및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14,17) 내부에서 제1연결조인트(18)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43)의 좌측 및 우측에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14,17)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1에어공구레일(14) 또는 제2에어공구레일(17)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에어공구레일(14)을 교체시키는 것을 설명한다.
커넥터(43)의 결합돌기(42)와,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14,17)의 제1 및 제2결합돌기(10,10a)에 결합된 제1 및 제2클램프(19,20)를 고정시킨 체결부재(12)를 어느 정도 이완시킬 경우, 제1 및 제2클램프(19,20)는 제1에어공구레일(14)의 제1결합돌기(10)로부터 이탈된 후 커넥터(43)의 결합돌기(42) 및 제2에어공구레일(17)의 제2결합돌기(10a)로 슬라이딩이동될 수 있다.
제1 및 제2클램프(19,20)의 제1 및 제2나사공(45,46)에 나사결합된 제1 및 제2체결부재(47,48) 중 하나를 나사공으로부터 이탈시킨다(일 예로서, 제2에어공구레일(17)에 가까운 쪽의 체결부재를 이탈시킨다).
따라서, 제1 및 제2클램프(19,20)의 제1 및 제2나사공(45,46)에 나사결합되고, 커넥터(43)의 슬롯(44)을 통과하여 제1연결조인트(18)의 요홈(22,22a) 중 도면상, 좌측에 위치한 요홈(22a)에 안착된 제1 및 제 2체결부재(47,48)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클램프(19,20)를 결합돌기(42) 및 제2결합돌기(10a)를 따라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킨다.
이때, 제1 및 제2체결부재(47,48)를 슬롯(44)의 우측단에 이동시킬 경우, 제1연결조인트(18)의 좌측단이 제1에어공구레일(14)의 제1에어튜브(11)로부터 이탈된 후, 커넥터(43)의 좌측면과 일치하게 된다(즉 제1연결조인트(18)는 커넥터(43)의 관통공(40) 및 제2에어공구레일(17)의 제2에어튜브(15)에 결합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 및 제2클램프(19,20)의 좌측단이 커넥터(43)의 좌측면과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에어튜브(11,15)가 연통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14,17)의 로킹상태가 해제된다.
이로 인해, 커넥터(43)의 좌측 및 우측에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14,17)이 밀착되어 연결된 상태에서 제2에어공구레일(17)을 해체시키지않고도 제1에어공구레일(14)을 간편하게 교체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1결합돌기
11; 제1에어튜브
12; 체결부재
13; 제1공구레일
14; 제1에어공구레일
15; 제2에어튜브
16; 제2공구레일
17; 제2에어공구레일
18; 제1연결조인트
19; 제1 클램프
20; 제2 클램프
21; 유동방지구
22; 요홈
23; 슬롯(slot)
24; 제1스토퍼
25; 제2스토퍼
26; 결합홈
27; 씰홈
28,29; 기밀용 씰(seal)
30; 유동방지판

Claims (10)

  1. 삭제
  2.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1에어튜브와, 상기 제1에어튜브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1에어튜브 하측에 연장되는 제1공구레일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에어공구레일;
    상기 제1에어튜브 및 제1공구레일과 연통되는 제2에어튜브 및 제2공구레일과, 상기 제2에어튜브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결합돌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에어공구레일;
    상기 제1 및 제2에어튜브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에어튜브중 다른 하나에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을 연결하는 제1연결조인트;
    상기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의 제1 및 제2결합돌기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2편 이상의 블록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클램프;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에 형성되는 체결공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돌기에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체결부재;
    상기 제1연결조인트와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에어튜브 내부에서 상기 제1연결조인트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동방지구는
    상기 제1연결조인트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요홈;
    상기 요홈에 대응되게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의 내측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2결합돌기에 관통되는 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요홈에 안착되는 제1 및 제2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
  3.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1에어튜브와, 상기 제1에어튜브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1에어튜브 하측에 연장되는 제1공구레일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에어공구레일;
    상기 제1에어튜브 및 제1공구레일과 연통되는 제2에어튜브 및 제2공구레일과, 상기 제2에어튜브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결합돌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에어공구레일;
    상기 제1 및 제2에어튜브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에어튜브중 다른 하나에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을 연결하는 제1연결조인트;
    상기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의 제1 및 제2결합돌기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2편 이상의 블록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클램프;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에 형성되는 체결공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돌기에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체결부재;
    상기 제1연결조인트와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에어튜브 내부에서 상기 제1연결조인트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동방지구는
    상기 제1연결조인트의 외주연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결합홈;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게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의 내측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2결합돌기에 관통되는 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조인트의 좌측 및 우측 외주연에 형성되는 씰홈에 장착되고, 상기 제1연결조인트의 외주연과 상기 제1 및 제2에어튜브의 내주연사이의 틈새를 통해 압축공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용 씰;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의 상기 제1 및 제2결합돌기는 도브테일(dovetail)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의 내측면에는 도브테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가 상하 방향으로 3편 이상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3편 이상의 제1 및 제2클램프의 외측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의 상기 제1 및 제2결합돌기를 따라 상기 3편 이상의 제1 및 제2클램프가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돌기에 형성되는 슬롯의 좌우폭(L1)은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의 외측단에서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까지의 거리(L2)보다 크거나 동일(L2 ≤ L1)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
  8.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1에어튜브와, 상기 제1에어튜브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1에어튜브 하측에 연장되는 제1공구레일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에어공구레일;
    상기 제1에어튜브 및 제1공구레일과 연통되는 제2에어튜브 및 제2공구레일과, 상기 제2에어튜브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결합돌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에어공구레일;
    상기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공구레일과 연통되는 공구레일과, 상기 제1및 제2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관통공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에어튜브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에어튜브중 다른 하나에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의 좌측 및 우측에 상기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을 연결하는 제1연결조인트;
    상기 커넥터의 결합돌기와, 상기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의 제1 및 제2결합돌기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2편 이상의 블록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클램프;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에 형성되는 체결공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제1 및 제2 결합돌기에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체결부재;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을 상기 제1연결조인트에 의해 연결시킬 경우,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제1 및 제2에어공구레일 내부에서 상기 제1연결조인트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구는
    상기 제1연결조인트의 외주연에 이격되고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요홈;
    상기 요홈에 대응되게 상기 커넥터의 결합돌기에 관통되는 슬롯;
    상기 슬롯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에 관통되는 제1 및 제2나사공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요홈에 안착되는 제1 및 제2체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조인트의 좌측 및 우측 외주연에 형성되는 씰홈에 장착되고, 상기 제1연결조인트의 외주연과 상기 제1 및 제2에어튜브의 내주연사이의 틈새를 통해 압축공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용 씰;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


KR1020170120987A 2017-09-20 2017-09-20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 KR101955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987A KR101955343B1 (ko) 2017-09-20 2017-09-20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987A KR101955343B1 (ko) 2017-09-20 2017-09-20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343B1 true KR101955343B1 (ko) 2019-03-08

Family

ID=65800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987A KR101955343B1 (ko) 2017-09-20 2017-09-20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3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2281U (ja) * 1993-02-09 1994-09-02 旭コンテナ工業株式会社 管 材
JPH11230442A (ja) * 1997-11-26 1999-08-27 Teseo Srl モジュールパイプ接続システム
KR101407217B1 (ko) * 2013-04-18 2014-06-27 유승광 에어공구레일 유닛 및 그 유닛을 포함한 에어공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2281U (ja) * 1993-02-09 1994-09-02 旭コンテナ工業株式会社 管 材
JPH11230442A (ja) * 1997-11-26 1999-08-27 Teseo Srl モジュールパイプ接続システム
KR101407217B1 (ko) * 2013-04-18 2014-06-27 유승광 에어공구레일 유닛 및 그 유닛을 포함한 에어공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7017A (en) Coupling for attachment to the end of a pipe for securement to the pipe or for joining pipes together
US20060278272A1 (en) Expandable gas or fluid distribution system
US11255474B2 (en) Tubular joint
KR101955606B1 (ko) 배관용 클램프 장치
CN103328873A (zh) 管道连接装置和使用其的管道连接方法
US20170051852A1 (en) Fluid connector with annular groove and seal
CN1043813C (zh) 维修用管接头
US7194911B2 (en) Pressure gage for an expandable gas or fluid distribution system
KR101103783B1 (ko) 클램프형 파이프 이음장치
KR101955343B1 (ko) 에어튜브 일체형 공구레일 연결장치
US20070222217A1 (en) Pipe fittings
US6193281B1 (en) Mechanism for mounting fluid pressure member in equipment-mounting frame member
TW201703835A (zh) 交換單元及使用其的流動回路系統
CN217081868U (zh) 气密性测试用快速安装随行密封堵头
US20040239117A1 (en) Coupling for pipe including an inclined flange
US10359142B2 (en) Dual duct flexible coupling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CN103867827A (zh) 专用型卡爪式连接器
US20180080483A1 (en) Fluid pressure cylinder
KR101403332B1 (ko) 관체용 패킹부재
CN216344446U (zh) 连接装置
US20060225798A1 (en) Integrated expandable gas or fluid distribution system
JP2014506540A (ja) マニホールドジョイントシール
KR20090081054A (ko) 일체형 가스배관 이음장치
US3715135A (en) Sealing means for pipes
JP5663521B2 (ja) 1次側端がフランジ式となっている水道用メーターと締付けホルダーの接続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