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859B1 - 약액 토출 장치 - Google Patents

약액 토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859B1
KR101954859B1 KR1020160113265A KR20160113265A KR101954859B1 KR 101954859 B1 KR101954859 B1 KR 101954859B1 KR 1020160113265 A KR1020160113265 A KR 1020160113265A KR 20160113265 A KR20160113265 A KR 20160113265A KR 101954859 B1 KR101954859 B1 KR 101954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sensor
stroke
cylinder
piston
chemical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6206A (ko
Inventor
정종욱
김재진
Original Assignee
이오플로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오플로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오플로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3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859B1/ko
Publication of KR20180026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27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07Communication with implanted devices, e.g. external control
    • A61M2205/3515Communication with implanted devices, e.g. external control using magnetic mea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약액의 충전을 위한 공간 및 공간과 연결된 토출구를 포함하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피스톤과, 피스톤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부와, 실린더의 외측에 배치되며 자기장부가 이동하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자기 센서부, 및 자기 센서부와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약액 토출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약액 토출 장치{Device for ejecting medical liqui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약액 토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이자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중 하나인 인슐린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대사 이상에 근거한 질환이다. 당뇨병 환자의 적극적인 치료 방법 중 하나로써 인슐린을 인체 내에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환자의 혈당 변화에 적합하게 인슐린이 체내에 주입될 수 있도록, 인슐린 주입을 위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인슐린과 같은 약액을 사용자에게 토출하는 장치는 사용자(환자)의 몸에 부착되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일정 기간 동안 휴대하고 있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약액 토출 장치의 경우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형의 컴팩트한 디자인이 필요하며, 소형화됨에 따라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소형화 에 따라 전원부도 소형화되면서 전력의 낭비를 줄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약액 토출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약액의 충전을 위한 공간 및 상기 공간과 연결된 토출구를 포함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부;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자기장부가 이동하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자기 센서부; 및 상기 자기 센서부와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약액 토출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부는, 상기 피스톤 상에 배치된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및 상기 자기장부는, 일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자기 센서부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자기장부의 이동에 관한 센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은 상기 토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기 센서부는 상기 자기장부의 이동에 관한 센싱 신호를 생성한 후에 비활성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자기 센서부의 센싱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며, 상기 약액의 토출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내부에 약액의 충전을 위한 공간 및 상기 공간과 연결된 토출구를 포함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의 상기 공간에 위치하며, 제1행정에서 제1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제2행정에서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 상에 배치된 자기장부;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행정에서 상기 자기장부의 이동을 센싱하는 자기 센서부; 및 상기 자기 센서부와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약액 토출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상기 토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고, 상기 제2방향은 상기 토출구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기 센서부는 상기 제2행정에서 비활성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자기 센서부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활성화되며 상기 제2행정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원부의 전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비교적 소형이며 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는 자기장부와 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컨트롤러를 웨이크-업하므로 별도의 웨이크-업을 위한 구조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디자인적 제약없이 소형의 약액 토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토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토출 장치의 실린더 및 그 주변의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토출 장치 중 약액 저장조 및 자기 센서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로서, 약액 저장조의 충전 행정에서의 피스톤의 이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센서부 및 컨트롤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저장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약액 저장조에 변위 센서부가 배치된 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토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토출 장치의 실린더 및 그 주변의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약액 토출 장치는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케이싱은 서로 결합되는 제1케이싱(110)과 제2케이싱(12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의 내부에는 약액 저장조(150), 약액 저장조(150)와 유체적으로 연결된 펌프(160), 및 바늘부(170), 컨트롤러(180), 자기장부(191), 및 자기 센서부(193)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의 내부에는 전원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약액 저장조(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30) 및 피스톤(140)을 포함한다. 실린더(130)는 내부가 중공인 형상으로, 약액이 저장되는 내부 공간(I)을 구비한다. 약액은 예컨대 인슐린과 같은 약물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다.
실린더(130)는 수지재와 같은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130)는 내경이 일정한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타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사각기둥과 같은 다각 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로, 실린더(130)는 약 30mm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실린더(130)는 내부 공간(I)을 둘러싸는 측부(side portion, 131), 측부(131)와 연결되어 측부(131)와 함께 내부 공간(I)을 정의하는 전면부(front portion, 133), 전면부(133)에 위치하고 내부 공간(I)에 연결된 토출구(135)를 포함한다. 실린더(100)는 수지재와 같은 절연성 소재로 형성된다.
실린더(130)는 내부 공간(I)의 일측에 구비된 충전구(137) 및 충전구(137)를 밀폐하는 밀폐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부(138)는 재밀폐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실린더(130)의 내부 공간(I)에 약액을 충전을 위해 충전용 바늘이 밀폐부(138)를 침습한 후 제거되는 경우되더라도, 밀폐부(138)를일부 영역(143)을 통해 약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비제한적인 실시예로서 밀폐부(138)는 피스톤(140)의 적어도 일부 영역(143)은 폴리프로필렌,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식물성 오일 등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140)은 실린더(130)의 내측에 배치된다. 피스톤(140)은 실린더(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피스톤(140)은 실린더(130)의 측부(131)의 내측면과 접촉한 상태로 이동한다.
피스톤(140)은 소정의 강성을 갖는 고무 또는/및 실리콘과 같은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저장조(150), 예컨대 실린더(130)의 토출구(135)는 제1튜브(TU1)를 통해 펌프(160)에 연결될 수 있다. 펌프(160)는 실린더(130) 내의 약액을 바늘부(170)를 향해 펌핑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정한 주기에 따라 일정한 양의 약액을 펌핑할 수 있다. 펌프(160)는 별도의 전원부(200, 예컨대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1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180)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펌프(160)는 전기에 의해 약액 흡입력과 약액 토출력을 갖는 모든 종류의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계변위형 마이크로펌프와 전자기운동형 마이크로펌프 등의 모든 종류의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기계변위형 마이크로펌프는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압력차를 일으키도록 기어나 다이어그램과 같은 고체 혹은 유체의 운동을 이용하는 펌프로서, 다이어프람 변위 펌프(Diaphragm displacement pump), 유체 변위 펌프(Fluid displacement pump), 회전 펌프(Rotary pump) 등이 있다. 전자기운동형 마이크로펌프는 전기적 또는 자기적 형태의 에너지를 바로 유체의 이동에 이용하는 펌프로서, 전기유체역학 펌프(Electro hydrodynamic pump, EHD), 전기삼투식 펌프(Electro osmotic pump), 자기유체역학 펌프(Magneto hydrodynamic pump), 전기습식 펌프(Electro wetting pump) 등이 있다.
바늘부(170)는 제2튜브(TU2)를 통해 펌프(160)에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펌프(160)의 약액 흡인력에 의해 약액 저장조(150)로부터 펌프(160)를 향해 이동한 약액은 펌프(160)의 약액 토출력에 의해 제2튜브(TU2)를 지나 바늘부(170)를 향해 이동한다.
바늘부(170)는 제2케이싱(120)의 개구(121)를 향하는 바늘(171) 및 바늘 홀더(17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로, 바늘부(170)의 바늘(171)은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하다가 컨트롤러(180)의 신호에 따라 제2케이싱(120)의 개구(121)를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약액 저장조(150)의 약액을 바늘부(170)를 통해 외부(예컨대, 외부 사용자)로 토출하는 약액 토출 행정을 제어한다. 컨트롤러(180)는 전원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펌프(160), 및 바늘부(17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최초에 비활성 상태에 있다가 자기 센서부(193)의 센싱 신호에 의해 웨이크-업되어 활성화되며, 활성화된 이후에 전술한 바와 같이 펌프(160), 및 바늘부(17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자기 센서부(19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회로기판(FPCB)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컨트롤러(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자기 센서부(193)는 약액 저장조(150)의 외측, 예컨대 실린더(130)의 외측에 배치된다. 자기 센서부(193)는 피스톤(140)과 함께 이동하는 자기장부(191)의 이동을 센싱한다. 자기 센서부(193)의 센싱 신호는 컨트롤러(180)에 제공되며, 컨트롤러(180)는 자기 센서부(193)의 센싱 신호에 의해 웨이크-업된다.
이하, 자기장부(191)와 자기 센서부(193) 및 그에 따른 컨트롤러(180)의 웨이크-업 동작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토출 장치 중 약액 저장조 및 자기 센서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로서, 약액 저장조의 충전 행정에서의 피스톤의 이동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센서부 및 컨트롤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최초에 약액 저장조(150)의 실린더(130)의 내부 공간(I)은 약액이 충전되지 않은 빈 공간일 수 있다. 약액 저장조(150)에 약액을 충전하는 충전 행정(이하, 제1행정이라 함)에 따라, 실린더(130)의 내부 공간(I)에는 약액이 충전된다. 예컨대, 실린더(130)의 내부 공간(I)은 피스톤(140)밀폐부(138)을를 관통한 약액 충전기(LF)에 의해 약액으로 충전될 수 있다. 약액 충전기(LF)의 바늘은 충전구(137)의 피스톤(140)의 일부 영역(143)밀폐부(138)를을 통해지나 내부 공간(I)으로 진입할 수 있다. 피스톤(140)의 일부 영역(143)밀폐부(138)는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재밀폐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므로, 약액 충전기(LF)가 제거된 이후에 피스톤(140)밀폐부(138)를을 통해 약액이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행정에서, 내부 공간(I)은 약액으로 충전된다. 약액의 충전에 의해 피스톤(140)은 제1방향을 따라 밀려 이동하고, 피스톤(140)의 이동에 따라 피스톤(140) 상의 자기장부(191)도 제1방향으로 이동한다. 자기장부(191)는 예컨대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장부(191)의 이동에 따라 자기 센서부(193)에 대한 자기장부(191)의 위치가 달라진다. 자기 센서부(193)는 자기장부(191)의 이동에 따라 달라지는 자계를 검출하여 자기장부(191)의 이동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자기 센서부(193)는 코일형 자기 센서, 또는 고체 자기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자기 센서부(193)에서의 센싱 신호(WS)는 자기장부(191)가 이동하였는지 여부에 관한 것으로, 자기 센서부(193)에서의 센싱 신호(WS)는 컨트롤러(180)의 웨이크업 신호로서, 컨트롤러(180)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 센서부(193)는 자기장부(191)의 이동여부, 즉 이동하였는지 아니며 이동하지 않았는지에 관한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자기장부(191)가 얼마나 이동하였는지, 즉 피스톤(140)이 얼마나 이동하였는지에 관한 변위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와 구별된다.
비활성 상태에 있던 컨트롤러(180)는 자기 센서부(193)에서의 센싱 신호(WS)를 수신한 후 웨이크-업되어 활성화된다. 그리고, 자기 센서부(193)는 센싱 신호(WS)를 생성한 후에 비활성화된다. 즉, 컨트롤러(180)는 비활성 상태이다가 센싱 신호(WS)를 수신한 이후 활성화되는 반면, 자기 센서부(193)는 센싱 신호(WS)를 생성한 후에 비활성된다.
활성화된 컨트롤러(180)는 약액 토출 행정(이하, 제2행정이라 함)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컨트롤러(180)는 제1프로세서(181)와 제2프로세서(1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행정에서, 제1프로세서(181)는 펌프(160)를 제어할 수 있고 제2프로세서(182)는 바늘부(17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행정에서 펌프(160)는 제1프로세서(181)의 제어에 의해 약액 흡인력을 생성하여 약액 저장조(150)로부터 소정의 약액을 흡인하고, 이 후 약액 토출력을 생성하여 흡인한 약액을 바늘부(170)로 제공할 수 있으며, 바늘부(170)는 제2프로세서(182)의 제어에 의해 제2케이싱(120, 도 1참조)의 개구(121)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약액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제3프로세서(1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프로세서(183)는 제2행정에서 후술할 변위 센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변위 센서부의 구성을 설명한 후 제3프로세서(183)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저장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약액 저장조에 변위 센서부가 배치된 구조를 개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약액 토출 장치는 변위 센서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변위 센서부(230)는 제2행정에서 토출구를 향하는 방향(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140)의 변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변위 센서부(230)는 이동 전극(210) 및 복수의 전극(221a, 222a, 223a, 224a, 221b, 222b, 223b, 224b, 221c, 222c, 223c, 224c)들을 포함하는 전극 그룹(2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변위 센서부(230)는 제2행정에서 제3프로세서(183)의 제어에 의해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이동 전극(210)은 피스톤(140)에 배치되며, 제2행정에서 피스톤(14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전극(221a-221c, 222a-222c, 223a-223c, 224a-224c)들은 실린더(130)의 측부(131)의 외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221a-221c, 222a-222c, 223a-223c, 224a-224c)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서브-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전극(221a, 221b, 221c)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응답신호(Rx1)를 생성하고,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다른 전극(222a, 222b, 222c)들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응답신호(Rx2)를 생성하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다른 전극(223a, 223b, 223c)들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응답신호(Rx3)를 생성하고,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다른 전극(224a, 224b, 224c)들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응답신호(Rx4)를 생성할 수 있다.
이동 전극(210)과 복수의 전극(221a-224a, 221b-224b, 221c-224c)들은, 실린더(130)의 측부(131)를 사이에 개재한 채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측부(131)는 일종의 유전체로서, 이동 전극(210)과 복수의 전극(221a-224a, 221b-224b, 221c-224c)들 사이에는 커패시턴스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이동 전극(210)에 펄스(Tx)를 인가하는 경우, 복수의 전극(221a, 222a, 223a, 224a, 221b, 222b, 223b, 224b, 221c, 222c, 223c, 224c)들 각각에서의 응답펄스(Rx1, Rx2, Rx3, Rx4)는 이동 전극(210)과 복수의 전극(221a, 222a, 223a, 224a, 221b, 222b, 223b, 224b, 221c, 222c, 223c, 224c)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며, 피스톤(140)의 이동, 예컨대 이동 전극(210)의 이동 변위에 따라 각각의 응답펄스(Rx, Rx2, Rx3, Rx4)는 변한다. 제3프로세서(183, 도 4참조)는 제2행정에서 변위 센서부(2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3프로세서(183)는 변위 센서부(230)에 인가되는 펄스 신호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3프로세서(183)는 변위 센서부(23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피스톤(140)의 변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변위 정보에 기초하여 약액의 토출량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약액 토출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행정에서, 컨트롤러(180)의 동작에 의해 소정의 주기 및 소정의 횟수에 걸쳐 인슐린과 같은 약액을 사용자에게 토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전원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부(200)의 전력을 지속적으로 소모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약액 토출 장치는 자기장부(191) 및 자기 센서부(193)를 이용하여 컨트롤러(180)를 웨이크-업하여 활성화시키므로, 제2행정이 이뤄지지 않는 동안에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컨트롤러(180)는 실린더(130) 내측의 피스톤(140) 상에 위치하는 자기장부(191) 및 실린더(130) 외측에 비교적 좁은 공간을 차지하는 자기 센서부(193)를 이용하여 웨이크-업(활성화)되므로, 컨트롤러(180)를 활성화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디자인적인 제약없이 소형의 컴팩트한 약액 토출 장치를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약액 토출 장치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 센서부(230)를 포함하는 경우, 피스톤(140)의 변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변위 센서부(230)에 소정의 신호(예컨대, 펄스신호)를 계속 인가하여야 하므로, 변위 센서부(230)에 의한 전력의 소모량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기장부(191) 및 자기 센서부(193)를 이용하여 컨트롤러(180)를 웨이크-업하고, 컨트롤러(180)는 웨이크-업 이후에 변위 센서부(230)를 구동하므로, 약액 토출 장치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제1케이싱
120: 제2케이싱
130: 실린더
140: 피스톤
150: 약액 저장조
160: 펌프
170; 바늘부
180: 컨트롤러
191: 자기장부
193: 자기 센서부
200: 전원부
210: 이동 전극
220: 전극 그룹
230: 변위 센서부

Claims (10)

  1. 내부에 약액의 충전을 위한 공간 및 상기 공간과 연결된 토출구를 포함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과 함께 이동하는 자기장부;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자기 센서부; 및
    상기 자기 센서부와 연결된 컨트롤러;
    를 포함하되,
    상기 자기 센서부는 상기 자기장부의 이동 유무를 센싱하되, 상기 피스톤과 상기 토출구 사이에 구비된 상기 실린더의 내부공간으로 약액이 충전되면서 상기 피스톤이 상기 토출구로부터 멀어지는 제1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제1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제공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웨이크업되는, 약액 토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부는, 상기 피스톤 상에 배치된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약액 토출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센서부는 상기 자기장부의 이동에 관한 센싱 신호를 생성한 후에 비활성화되는, 약액 토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자기 센서부의 센싱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며, 상기 약액의 토출을 제어하는, 약액 토출 장치.
  7. 내부에 약액의 충전을 위한 공간 및 상기 공간과 연결된 토출구를 포함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1행정에서 제1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제2행정에서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 상에 배치된 자기장부;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행정에서 상기 자기장부의 이동 유무를 센싱하는 자기 센서부; 및
    상기 자기 센서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행정에서 비활성 상태에 있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행정은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약액이 충전되는 행정이고, 상기 제2행정은 상기 약액이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행정이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행정에서 상기 자기 센서부가 제1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활성화되는, 약액 토출 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센서부는 상기 제2행정에서 비활성화되는, 약액 토출 장치.
  10. 삭제
KR1020160113265A 2016-09-02 2016-09-02 약액 토출 장치 KR101954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265A KR101954859B1 (ko) 2016-09-02 2016-09-02 약액 토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265A KR101954859B1 (ko) 2016-09-02 2016-09-02 약액 토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206A KR20180026206A (ko) 2018-03-12
KR101954859B1 true KR101954859B1 (ko) 2019-03-07

Family

ID=61729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265A KR101954859B1 (ko) 2016-09-02 2016-09-02 약액 토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8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6566A2 (ko) * 2019-10-04 2021-04-08 이오플로우(주) 약액 주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3752A1 (en) * 2005-09-19 2007-04-26 Lifescan, Inc. Infusion Pumps With A Position Detector
JP2016185243A (ja) 2015-03-27 2016-10-27 大和製罐株式会社 薬液注入アシス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5700A1 (en) * 2006-11-29 2008-05-29 Moberg Sheldon B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cting medical device accelera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KR20100108015A (ko) * 2009-03-27 2010-10-0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피스톤로드의 변위측정을 위한 실린더 외측 장착형 변위센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3752A1 (en) * 2005-09-19 2007-04-26 Lifescan, Inc. Infusion Pumps With A Position Detector
JP2016185243A (ja) 2015-03-27 2016-10-27 大和製罐株式会社 薬液注入アシス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206A (ko) 201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5816B2 (ja) 薬液注入装置
US7407490B2 (en) Delivery device and cartridge therefore
JP2009522032A (ja) 圧潰可能なリザーバを利用する薬物送達装置
JP2023161011A (ja) 低液量センサを有するリザーバ
US10894123B2 (en) Fluid delivery system
JP2019022678A (ja) 物質送達装置
US20160206811A1 (en) Implantable Electrolytic Diaphragm Pumps
KR101954859B1 (ko) 약액 토출 장치
US20140214010A1 (en) Drug delivery device with compressible fluid chambers
CN115554520A (zh) 贴片式药物输注装置
KR102250698B1 (ko) 약물 주입 장치 및 방법
US20140107580A1 (en) Fluid injecting apparatus
JP2007127086A (ja) ポンプ
JP6098250B2 (ja) 液体輸送装置
KR101828049B1 (ko) 약액 주입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925589B1 (ko) 약액 토출기
JP2004275466A (ja) 薬液注入装置
WO2003045474A1 (en) Portable delivery device, pressurised by a pumped liquid, and cartridge therefore
KR101807582B1 (ko) 탄성력 및 삼투압을 이용한 휴대용 약물주입기
JP2003180826A (ja) 薬液注入装置
KR102564963B1 (ko) 약액 주입 장치
JP2014200363A (ja) 薬液投与装置及び薬液投与方法
KR20230064864A (ko) 약액 주입 장치
KR20240031286A (ko) 레저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20230105625A (ko) 약액 주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