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382B1 - 뚜껑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컵 - Google Patents

뚜껑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382B1
KR101954382B1 KR1020187026106A KR20187026106A KR101954382B1 KR 101954382 B1 KR101954382 B1 KR 101954382B1 KR 1020187026106 A KR1020187026106 A KR 1020187026106A KR 20187026106 A KR20187026106 A KR 20187026106A KR 101954382 B1 KR101954382 B1 KR 101954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lid
circumferential surface
cap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향숙
Original Assignee
한길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길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길산업주식회사
Priority claimed from PCT/KR2018/009570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09362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이 수용되며 밀봉을 위한 실링부를 구비한 컵 본체; 상기 실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컵 본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뚜껑; 상기 컵 본체의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뚜껑이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컵 체결부; 및 상기 컵 체결부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컵 본체의 내부 수축에 따른 상기 컵 체결부의 변형으로부터 상기 뚜껑의 이탈을 방지하는 뚜껑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 이탈방지부는, 상기 컵 본체의 내부 수축에 따른 상기 컵 체결부의 변형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위치 변화됨으로써 상기 뚜껑이 상기 컵 체결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뚜껑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컵
본 발명은 뚜껑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이 컵의 입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뚜껑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컵에 관한 것이다.
차가운 식음료(커피나, 과즙음료 등) 등을 포장하여 판매하기 위한 일회용 컵은 다양한 소재로 제작된다. 이러한 일회용 컵은 주로 플라스틱, 종이 등으로 만들어져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일회용 컵은 컵의 상측 입구를 커버하는 뚜껑을 구비하여 컵 내부로 이물질이 혼입되거나 컵 안의 내용물이 흔들려서 컵 밖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컵 본체의 입구부는 컵 내부에 식음료 등의 내용물을 담은 후에, 컵내부를 외부의 공기와 완전히 차단하기 위해 입구의 둘레를 따라 열과 압력을 가하여 실링부를 형성하여 완전히 밀봉한다. 뚜껑은 실링부를 덮게 된다.
사용자는 대부분의 경우 뚜껑을 벗기지 않은 상태에서 빨대를 뚜껑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실링부를 관통시킴으로써 컵 내부의 음료를 취할 수 있다.
기존의 내용물이 담긴 일회용 컵은 내용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또는 음료의 냉장/냉동을 위해 이동 중에 또는/및 판매처에서 냉동 및/또는 냉장 보관된다. 냉동 및/또는 냉장 보관된 일회용 컵은, 컵 내부에 잔존하는 기체가 수축하여 실링부가 중앙을 중심으로 수축내지 변형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실링부(1)가 수축함에 따라 컵 입구(2)가 수축하여 뚜껑(3)과 컵 입구(2)가 밀착되지 못하고, 컵의 외곽단부와 뚜껑(3)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여 보관 장소에서 컵을 쌓거나 옮기고 꺼낼 때, 아주 약한 충격에도 컵에서 뚜껑(3)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즉, 수축 전 컵 입구(2)의 지름 D1보다 수축 후 컵 입구(2)의 지름 D2가 작아지므로 뚜껑(3)이 컵의 입구와 긴밀하게 결합되지 못하고, 컵 입구(2)와 뚜껑(3) 사이에 소정의 틈이 발생하게 되어 컵에서 뚜껑(3)이 분리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동, 냉장용 식음료 등을 밀봉(진공)포장하여 판매하는 컵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 진열할 때 저온에 의해 컵 내부가 수축함에 따라 실링부의 수축으로 컵의 입구가 같이 수축함에 따라 컵과 뚜껑사이에 갭이 발생하여 뚜껑을 잡고 컵을 꺼낼 때, 컵을 쌓거나 꺼낼 때 등 컵에서 뚜껑이 쉽게 이탈해 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뚜껑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컵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뚜껑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컵은, 내용물이 수용되며 밀봉을 위한 실링부를 구비한 컵 본체; 상기 실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컵 본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뚜껑; 상기 뚜껑이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컵 체결부; 및 상기 컵 본체의 내부 수축에 따른 상기 컵 체결부의 변형으로부터 상기 뚜껑의 이탈을 방지하는 뚜껑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컵 체결부는 상기 컵 본체의 상단부에 플랜지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플랜지 형상의 컵 체결부의 외주 단부에서 상기 뚜껑 이탈방지부가 하부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뚜껑 이탈방지부는, 상기 컵 체결부 하부방향으로 직각 배치되며 상기 뚜껑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외주면과, 상기 외주면에 대해 경사진 내주면을 포함하여 상기 외주면과 내주면에 의해 그 하단부에 뾰족한 단면 삼각 구조의 에지가 마련되고, 상기 뚜껑 이탈방지부는, 상기 컵 체결부를 포함한 컵 입구의 상기 컵 체결부의 변형에 따른 수축 전 컵 입구의 최외곽 지름 D1과 수축 후 컵 입구의 최외곽 지름 D2가 상응하도록 하여, 상기 뚜껑 이탈방지부가 상기 컵 본체의 내부 수축에 따라 소정의 각도로 위치 변화시 상기 뚜껑 이탈방지부의 단부가 상기 뚜껑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컵 본체의 상단부에서 상기 뚜껑이 분리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컵 체결부의 상면에서 상기 뚜껑의 저면까지의 거리를 a라 하고, 상기 컵 체결부의 상면에서 상기 뚜껑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내주면의 하단부까지의 거리를 b라 하며, 상기 뚜껑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내주면의 하단부까지의 거리를 c라 하고, 상기 컵 체결부의 플랜지 형상 연장 거리를 d라 할 때, 상기 a = b 이고, a + b = c 이며, c > d 인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냉동, 냉장용 식음료 등을 밀봉(진공)포장하여 판매하는 컵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 및 진열할 때 저온에 의해 진공상태의 컵 내부가 수축함에 따른 실링부의 수축으로 컵의 입구가 같이 수축함에 따라 뚜껑과 갭이 발생하여 뚜껑을 잡고 컵을 꺼낼 때 컵에서 뚜껑이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뚜껑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컵을 제공할 수 있으며, 컵 체결부 하부로 돌출되는 뚜껑 이탈방지부를 마련하여 컵의 입구가 수축되어도 뚜껑 이탈방지부가 일정각도 상승함으로써 수축전의 원주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뚜껑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기존 액상 내용물을 수용하는 일회용 컵의 수축 전후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뚜껑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컵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뚜껑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컵의 수축 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뚜껑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컵의 수축 전과 후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냉동, 냉장용 식음료 등을 밀봉 포장하여 컵 내부를 거의 진공 상태로 한 후에 판매하는 제품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 할 때 저온에 의해 밀봉상태의 컵 내부가 수축함에 따라 컵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형성한 실링부의 수축으로 컵의 입구가 같이 수축함에 따라 컵 입구의 원주부가 들리면서 뚜껑과 컵 입구 사이에 갭이 발생하여 뚜껑이 컵에서 이탈할 수 있는 현상을 상정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뚜껑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뚜껑(20)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컵의 수축 전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뚜껑(20)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컵의 수축 전과 후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뚜껑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컵은, 내용물이 수용되며 밀봉을 위한 실링부(11)를 구비한 컵 본체(10), 실링부(11)를 커버하도록 컵 본체(10)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뚜껑(20), 컵 본체(10)의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뚜껑(20)이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컵 체결부(30), 및 상기 컵 체결부(30)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컵 본체(10)의 내부 수축에 따른 컵 체결부(30)의 변형으로부터 뚜껑(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뚜껑 이탈방지부(40)를 포함한다.
상기의 뚜껑 이탈방지부(40)는, 컵 본체(10)의 내부 수축에 따른 컵 체결부(30)의 변형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위치 변화됨으로써 뚜껑(20)이 컵 체결부(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뚜껑(20)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컵은, 컵 체결부(30)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된 뚜껑 이탈방지부(40)가 컵의 내부 수축에 따라 컵 체결부(30)와 뚜껑(20)의 느슨한 결합이나 이격이 발생되더라도 뚜껑(20)에 대한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컵 체결부(30)는 컵의 상단부에 플랜지 형상으로 마련되며 플랜지 형상의 컵 체결부(30)의 외주 단부에서 뚜껑 이탈방지부(40)가 하부로 연장 형성된다.
뚜껑 이탈방지부(40)는 컵 체결부(30)에 하부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직각 배치되며 뚜껑(20)의 내주면(43)에 접촉되는 외주면(41)과 이 외주면(41)에 대해 경사진 내주면(42)을 포함하며, 외주면(41)과 내주면(42)에 의해 하단부에 에지(45)가 마련된다.
컵 체결부(30)의 외주부가 변형되면 뚜껑 이탈방지부(40)는 컵 상단부의 수축에 따른 컵 체결부(30)의 지름 수축 현상에 의해 상방으로 상승되도록 각도 변화된다.
컵 체결부(30)의 하부에 있는 에지(45)가 회전되면서 뚜껑(20)과 컵 체결부(30)에서 연장된 뚜껑 이탈방지부(40)가 뚜껑(20)의 내주면(43)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컵 상단부와 뚜껑(20) 사이의 느슨함이나 이격이 방지되며, 뚜껑(20)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컵 체결부(30)의 변형에 의해 컵 체결부(30)의 뚜껑(20)에 대한 최외곽 지름이 좁아지는 현상을 뚜껑 이탈방지부(40)가 소정의 각도로 위치 변화되어 컵 상단의 외경 수축을 보상할 수 있다.
이때는, 컵 체결부(30)를 포함한 컵 입구의 컵 체결부(30)의 변형에 따른 수축 전 최외곽의 지름 D1에 수축 후 컵 입구 최외곽의 지름 D2가 상응하도록 뚜껑 이탈방지부(40)가 각도 변화된다. 실질적으로 뚜껑 이탈방지부(40)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컵 상단의 외경이 줄어드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뚜껑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컵은, 뚜껑 이탈방지부(40)의 단부가 컵의 외곽으로 확장되면서 수축 전의 컵 입구 최외곽의 지름 D1과 수축 후의 컵 입구 최외곽의 지름 D2가 대체로 동일 내지 증가하게 되면서, 뚜껑 이탈방지부(40)와 뚜껑(20)의 접촉이 유지된다. 이에 따라 컵의 상단부에서 뚜껑(20)의 분리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냉동, 냉장용 식음료 등을 밀봉(진공)포장하여 판매하는 컵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 및 진열할 때 저온에 의해 진공상태의 컵 내부가 수축함에 따른 실링부(11)의 수축으로 컵의 입구가 같이 수축함에 따라 뚜껑(20)과 갭이 발생하여 뚜껑(20)을 잡고 컵을 꺼낼 때, 또는 컵을 쌓거나 이동할 때 컵끼리 서로 부딪혀서 컵에서 뚜껑(20)이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뚜껑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컵 체결부(30) 하부로 돌출되는 뚜껑 이탈방지부(40)를 마련하여 컵의 입구가 수축되어도 뚜껑 이탈방지부(40)가 일정각도 상승함으로써 수축전의 원주와 동일 내지 증가하도록 하여 뚜껑(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뚜껑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컵의 뚜껑 이탈방지부의 작용 상태에 대해서 좀 더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컵은 수용부에 식음료 등을 수용한 후 냉동 및 냉장 보관될 때 내부 압력이 줄어들면서 수축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온도에 따른 내부 압력의 변화에 의해 컵 내부가 수축함에 따라 컵 입구를 막고 있는 실링부(11)도 같이 컵 내측으로 수축된다. 이에 따라 실링부(11)가 컵 체결부(30)를 컵 내부로 당김에 따라 컵의 입구가 수축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컵 체결부(30)가 컵 본체(10)에서 절곡되는 절곡점(P1)에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부로 상승하는 것에 대응하여 컵 체결부(30)에서 하부로 절곡 형성되는 뚜껑 이탈방지부(40)도 같이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뚜껑 이탈방지부(40)의 단부가 컵의 외곽으로 넓어지면서 수축 전 컵입구 최외곽의 지름 D1과 수축 후 컵 입구 최외곽의 지름 D2가 거의 동일하게 되어 뚜껑(20)과 밀착 또는 상당 부분 접촉이 유지되어 컵 상단에서 뚜껑(20)에서 분리(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컵 체결부(30) 하부로 돌출되도록 뚜껑 이탈방지부(40)를 형성함으로써 컵의 입구가 수축할 때 뚜껑 이탈방지부(40)가 일정각도 상승하여 수축전의 컵 입구의 원주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뚜껑(20)의 컵 상단의 갭 발생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컵은 커피음료 등과 같은 식음료의 일회용 컵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

  1. 내용물이 수용되며 밀봉을 위한 실링부를 구비한 컵 본체;
    상기 실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컵 본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뚜껑;
    상기 뚜껑이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컵 체결부; 및
    상기 컵 본체의 내부 수축에 따른 상기 컵 체결부의 변형으로부터 상기 뚜껑의 이탈을 방지하는 뚜껑 이탈방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컵 체결부는 상기 컵 본체의 상단부에 플랜지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플랜지 형상의 컵 체결부의 외주 단부에서 상기 뚜껑 이탈방지부가 하부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뚜껑 이탈방지부는, 상기 컵 체결부 하부방향으로 직각 배치되며 상기 뚜껑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외주면과, 상기 외주면에 대해 경사진 내주면을 포함하여 상기 외주면과 내주면에 의해 그 하단부에 뾰족한 단면 삼각 구조의 에지가 마련되고,
    상기 뚜껑 이탈방지부는, 상기 컵 체결부를 포함한 컵 입구의 상기 컵 체결부의 변형에 따른 수축 전 컵 입구의 최외곽 지름 D1과 수축 후 컵 입구의 최외곽 지름 D2가 상응하도록 하여, 상기 뚜껑 이탈방지부가 상기 컵 본체의 내부 수축에 따라 소정의 각도로 위치 변화시 상기 뚜껑 이탈방지부의 단부가 상기 뚜껑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컵 본체의 상단부에서 상기 뚜껑이 분리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컵 체결부의 상면에서 상기 뚜껑의 저면까지의 거리를 a라 하고,
    상기 컵 체결부의 상면에서 상기 뚜껑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내주면의 하단부까지의 거리를 b라 하며,
    상기 뚜껑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내주면의 하단부까지의 거리를 c라 하고,
    상기 컵 체결부의 플랜지 형상 연장 거리를 d라 할 때,
    상기 a = b 이고, a + b = c 이며, c > d 인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7026106A 2017-11-10 2018-08-21 뚜껑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컵 KR101954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729 2017-11-10
KR20170149729 2017-11-10
PCT/KR2018/009570 WO2019093629A1 (ko) 2017-11-10 2018-08-21 뚜껑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382B1 true KR101954382B1 (ko) 2019-03-05

Family

ID=65760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106A KR101954382B1 (ko) 2017-11-10 2018-08-21 뚜껑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38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2643A (ja) * 2001-04-06 2002-12-18 Fp Corp 包装用容器
KR200331129Y1 (ko) * 2003-07-29 2003-10-22 주식회사 이생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일회용 용기 뚜껑
JP3113281U (ja) * 2005-06-03 2005-09-02 有限会社サムライジング 調理済み食品収容体
JP2010195410A (ja) * 2009-02-24 2010-09-09 Toyo Aluminum Ekco Products Kk 蓋付容器
EP2735523A1 (en) * 2012-11-21 2014-05-28 Arta Plast AB Arrangement for securing/releasing of a lid to/from a contain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2643A (ja) * 2001-04-06 2002-12-18 Fp Corp 包装用容器
KR200331129Y1 (ko) * 2003-07-29 2003-10-22 주식회사 이생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일회용 용기 뚜껑
JP3113281U (ja) * 2005-06-03 2005-09-02 有限会社サムライジング 調理済み食品収容体
JP2010195410A (ja) * 2009-02-24 2010-09-09 Toyo Aluminum Ekco Products Kk 蓋付容器
EP2735523A1 (en) * 2012-11-21 2014-05-28 Arta Plast AB Arrangement for securing/releasing of a lid to/from a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01098A (en) Discardable or reusable plastic package
US20170001765A1 (en) Container
US6648163B2 (en) Package having cup with beveled sealing flange
US9340344B2 (en) Container for foodstuffs, in particular coffee,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method for packing a foodstuff
US20040096552A1 (en) Vented can overcap
US8006854B2 (en) Container
US20150298871A1 (en) Container and lid assembly
US20170283129A1 (en) Container and lid assembly
US20190106247A1 (en) Container and lid assembly
US3044610A (en) Discardable or reusable plastic package
JP4860673B2 (ja) 電子レンジ用食品包装容器
WO2014173933A1 (en) Multiple compartment container
KR20210041771A (ko) 내부 가스 배출이 용이한 컵뚜껑
US3155233A (en) Discardable or reusable plastic package
KR101417382B1 (ko) 용기
KR101954382B1 (ko) 뚜껑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컵
RU2015082C1 (ru) Упаковочн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US20150024095A1 (en) Packaging system
WO2016042126A1 (en) Multiple compartment container
US20200360769A1 (en) Opening Mechanism for a Container
US20200361666A1 (en) Cup having lid separation preventing function
US2126212A (en) Vacuum seal indicator
KR101252781B1 (ko) 표고버섯 김치의 신선도 유지용 가스배출장치가 구비된 용기
JP2009234611A (ja) 蓋体付きカップ状容器および飲食品包装体
JP5347670B2 (ja) オーバー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