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311B1 - Spine Trac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Spine Trac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311B1
KR101954311B1 KR1020180092590A KR20180092590A KR101954311B1 KR 101954311 B1 KR101954311 B1 KR 101954311B1 KR 1020180092590 A KR1020180092590 A KR 1020180092590A KR 20180092590 A KR20180092590 A KR 20180092590A KR 101954311 B1 KR101954311 B1 KR 101954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user
lower body
waist
body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5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진묵
Original Assignee
박진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묵 filed Critical 박진묵
Priority to KR1020180092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311B1/en
Priority to DE112018006892.7T priority patent/DE112018006892T5/en
Priority to JP2020561558A priority patent/JP2021511189A/en
Priority to PCT/KR2018/014464 priority patent/WO2019143013A1/en
Priority to CN201890000694.0U priority patent/CN211797559U/en
Priority to US16/963,331 priority patent/US2021036151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3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7Measuring of profi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2Traction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62Posture
    • A61H2230/625Posture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ine traction apparatus. The spine traction apparatus includes: a base frame; a waist bed part which is formed to be lifted up and down with reference to the ground surface from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to support the waist part of a user; an upper bed part supporting the upper body of the user in connection with a side of the waist bed part; and a lower upper bed part supporting the lower body of the user in connection with the other side of the waist bed part. The upper and lower bed units include: a first lower body bed member rotating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ference to the waist bed part in accordance with the lifting movement of the waist bed part while the lower bed part supports thigh parts of the user; and a second lower body bed member supporting calf parts of the user. The second lower body bed member can move horizont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body bed unit with respect to the first lower body bed member and rotate or move horizontally in a widthwis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Description

척추 견인기{Spine Traction Apparatus}{Spine Tra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척추 견인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ebral retractor.

현대사회에서 학생들은 입시경쟁으로 의자에 앉아 공부하는 시간이 늘어나고 직장과 가정에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사용으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하루 중 의자에 앉아있는 시간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In contemporary society, students spend more time sitting in chairs due to competition for entrance examination, and the time spent sitting in a chair during the day is very high due to the increasing use of computers and smart phones in the workplace and at home. to be.

그로 인해 척추의 형태가 변하는 척추측만증, 허리디스크, 거북목환자 등의 증가가 사회적으로 이슈화 되고 있다.As a result, scoliosis, spine discs, and turtle neck disease, which change the shape of the vertebrae, are becoming increasingly socially problematic.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29233호를 등록 받았으나, 척추 견인기 이용 간 사용자에 안락함을 제공하지 못해 접근성이 떨어지고, 사용자에 따른 척추 견인 정도 및 길이 등의 맞춤 조절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in the past,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29233 was registered. However, since the user can not provide comfort to the user who uses the spinal retractor, accessibility is decreas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29233호 (2013.11.15)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29233 (Nov. 15, 2013)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체 베드부의 구동 자유도를 다양화 하여 사용자의 하체 교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척추 견인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vertebral retractor capable of increasing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lower body bed to increase the effect of lower body correction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체 베드부에 구비된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맞게 허리 베드부의 승하강 정도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따라 최적의 척추 교정 효과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부상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척추 견인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optimal chiropractic effect according to the user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waist-bed portion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through the sensor unit provided in the lower body bed portion, To provide a vertebral retractor that can be deploy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척추 스캔부를 통해 사용자 척추의 측만 또는 전만 정도를 측정하는 바, 사용자에 따라 맞춤형 척추 교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척추 견인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vertebral retractor capable of measuring a side or frontal extent of a user's vertebrae through a vertebra scanning unit and providing a customized vertebral correction effect according to a us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체 베드부만 독립적으로 회전 구동시킬 수 있어 척추 견인 방식을 다양화 시킬 수 있는 척추 견인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vertebral retractor capable of independently rotating the upper body part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ereby diversifying the vertebral retraction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측에 지면을 기준으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 베드부; 상기 허리 베드부 일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체 베드부; 및 상기 허리 베드부 타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하체 베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체 베드부 및 상기 하체 베드부는 상기 허리 베드부가 승하강 됨에 따라 상기 허리 베드부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며, 상기 하체 베드부는, 사용자의 대퇴(大腿)부를 지지하는 제1 하체 베드부재; 및 사용자의 종아리 부분을 지지하는 제2 하체 베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체 베드부재는 상기 제1 하체 베드부재에 대하여 상기 하체 베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고,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폭 방향으로 수평 이동 또는 수평 회동 가능한, 척추 견인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ist-bed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frame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supporting the user's waist; An upper body bed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aist bed part and supporting the upper body of the user; And a lower body bed par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waist bed part and supporting a lower body of the user, wherein the upper body bed part and the lower body bed part ar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waist bed part as the waist bed part is raised and lowered The lower body bed part includes: a first lower body bed member supporting a thigh of a user; And a second lower body bed member supporting the user's calf portion, wherein the second lower body bed member is horizontal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lower body bed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body bed por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rtebral retractor capable of horizontally moving or horizontally rotating in a width direction.

상기 제2 하체 베드부재는, 제2 하체 베드몸체; 및 상기 제1 하체 베드부재 및 상기 제2 하체 베드몸체를 연결하는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제1 하체 베드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하체 베드부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다.The second under body bed member includes a second under body bed body; And a length adjuster connecting the first under body bed member and the second under body bed body, wherein the length adjuster is horizontally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body bed at one side of the first under body bed member .

상기 제1 하체 베드부재는, 제1 하체 베드몸체; 및 상기 제1 하체 베드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하체 베드부재의 수평 회동을 가이드하는 회전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제1 하체 베드몸체의 일단 및 상기 회전 가이드부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회전 가이드부를 따라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하체 베드부의 상기 폭 방향으로 수평 회동 가능하다.The first under body bed member may include: a first under body bed body; And a rotation guide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lower body body and guiding the horizontal rotation of the second lower body bed member, wherein the length adjuster comprises: a first lower body body, At least a part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along the rotation guide part and is horizontally rotat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body bed part.

상기 제2 하체 베드몸체는, 사용자의 종아리 각각을 지지하도록 상호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종아리 지지부재; 및 상기 길이 조절부의 일측에서 상기 한 쌍의 종아리 지지부재를 상기 하체 베드부의 상기 폭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수평 슬라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underfloor body includes a pair of calf support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upport each of the calves of the user; And a horizontal slide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so that the pair of calf support members are horizontally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body bed portion.

상기 제2 하체 베드몸체는, 상기 한 쌍의 종아리 지지부재 각각에 위치되어 상기 종아리 지지부재 및 사용자의 종아리 간의 이격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under body-bed body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part positioned at each of the pair of calf support members and sensing a degree of separation between the calf support member and a user's calf.

상기 한 쌍의 종아리 지지부재 각각의 상측면은 사용자의 종아리를 감싸도록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pair of calf support members may be recessed downwardly to surround the user's calf.

상기 한 쌍의 종아리 지지부재의 수평 위치는 지면에 대해 상기 제1 하체 베드부재의 수평 위치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pair of calf support members may be formed higher than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first underframe bed member with respect to the ground.

상기 상체 베드부는,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제1 상체 베드부재; 상기 제1 상체 베드부재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후두부(後頭部)를 지지하는 제2 상체 베드부재; 및 상기 제1 상체 베드부재를 상기 허리 베드부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upper body bed part comprises: a first upper body bed member supporting a back part of a user; A second upper body bed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body bed member and supporting the back of the user; And a driving unit rotatable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waist portion of the first upper body bed member.

상기 상체 베드부는, 상기 제1 상체 베드부재 상에 사용자의 척추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척추의 측만 또는 전만 정도를 감지하는 척추 스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body bed unit may further include a vertebra scan unit configured to detect movement of only the side of the vertebrae as the lower body part is formed on the first upper body bed member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vertebrae of the user.

상기 척추 스캔부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척추를 따라 이동 가능한 스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rtebra scanning unit includes: a guide groove; And a scan member movable along the user's spine through the guide groove.

상기 스캔부재는, 상기 제1 상체 베드부재의 평면 상에 상호 직교하는 x축과 y축 방향 및 상기 제1 상체 베드부재의 평면과 직교하는 z축 방향으로 3차원 이동 가능하다.The scanning member is three-dimensionally movable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orthogonal to the plane of the first upper body bed member and in the z-axis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lane of the first upper body bed member.

상기 허리 베드부는, 허리 베드몸체; 및 상기 허리 베드몸체 상에 형성되어, 상기 허리 베드부가 승강 됨에 따라 사용자의 골반 측으로 이동되는 골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istband portion includes: a waistcoat body; And a pelvis supporting part formed on the waist-down body and being moved toward the user's pelvis as the waist-bed part is lifted and lower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하체 베드부의 구동 자유도를 다양화 하여 사용자의 하체 교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versify the driving degrees of freedom of the lower body bed portion, thereby enhancing the user's lower body correcting effec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하체 베드부에 구비된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맞게 허리 베드부의 승하강 정도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따라 최적의 척추 교정 효과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부상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timal chiropractic effect according to the user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ascending / descending of the waist-bed portion according to the body condition of the user through the sensor unit provided in the lower-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척추 스캔부를 통해 사용자 척추의 측만 또는 전만 정도를 측정하는 바, 사용자에 따라 맞춤형 척추 교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or only the degree of the user's vertebrae is measured through the vertebra scan unit, and a customized vertebra correction effect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체 베드부만 독립적으로 회전 구동시킬 수 있어 척추 견인 방식을 다양화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upper body part can be rotated independently of the user's needs, thereby diversifying the vertebral trac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를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의 허리 베드부가 승하강 됨에 따라 상체 베드부 및 하체 베드부가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의 하체 베드부의 구동 자유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의 하체 베드부의 제1 구동을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의 하체 베드부의 제2 구동을 상측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의 하체 베드부의 제3 구동을 전방(도 3의 y축 방향)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의 상체 베드부 구동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의 상체 베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의 사용 상태의 예시를 나타낸 사진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의 사용 전 척추 상태를 나타낸 x-ray 사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를 누운 자세에서 사용 시의 척추 상태를 나타낸 x-ray 사진이며,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를 엎드린 자세에서 사용 시의 척추 상태를 나타낸 x-ray 사진
Figure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ide view of a spinal retracto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and 2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bed part and the lower body bed part are rotated as the waist portion of the spine retractor is lifted and low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degree of freedom of driving a lower body part of a vertebral retr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schematic view of a first drive of a lower body part of a vertebral body retr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B schematically shows a second drive of a lower body bed portion of a vertebral body retr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bove;
4C schematically shows a third drive of a lower body bed part of a spinal telesc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ward (y-axis direction in Fig. 3)
5 is a view illustrating driving of an upper body part of a vertebral retr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body part of a vertebral retr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a) - (c) illustrate photographs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use state of a spinal retr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a) is an x-ray photograph showing a vertebra state before use of the vertebral retr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b) FIG. 8 (c) is an x-ray photograph showing the spinal state of the vertebra when the vertebral retra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prone position;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a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10)를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vertebral retractor 1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10)는 베이스 프레임(100),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 베드부(200),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체 베드부(300) 및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하체 베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상체 베드부(300)는 허리 베드부(200)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제1 상체 베드부재(310) 및 제1 상체 베드부재(31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후두부(後頭部)를 지지하는 제2 상체 베드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술한 하체 베드부(400)는 허리 베드부(200)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사용자의 대퇴(大腿)부를 지지하는 제1 하체 베드부재(410) 및 사용자의 종아리 부분을 지지하는 제2 하체 베드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1, a spinal retrac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rame 100, a waist-bed unit 200 for supporting a user's waist, an upper body bed unit 300 for supporting a user's upper body And a lower body part 400 supporting the lower body of the user. Specifically, the upper body bed part 300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body bed member 310 and the first upper body bed member 310 which are positioned adjacent to the waist bed part 200 and support the user's back part The lower body bed portion 400 described above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waist bed portion 200 to support the user's thigh portion And a second lower body bed member 420 supporting the user's calf portion.

이 때, 상술한 허리 베드부(200)는 페이스 프레임 상측에 지면을 기준으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체 베드부(300) 및 하체 베드부(400)는 허리 베드부(200)가 승하강 됨에 따라 허리 베드부(200)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The upper body bed part 300 and the lower body bed part 400 may be formed so that the waist bed part 200 can be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can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waist portion 200 as it ascends and descends.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10)의 허리 베드부(200)가 승하강 됨에 따라 상체 베드부(300) 및 하체 베드부(400)가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2A and 2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bed part 300 and the lower body part 400 are rotated as the waist part 200 of the spinal retracto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aised and lowered to be.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상술한 베이스 프레임(100)은 지면에 안착되어 척추 견인기(10) 구조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10), 각각의 일단에서 제1 상체 베드부재(310) 및 제1 하체 베드부재(410) 각각과 결합되고, 타단에서 지지 프레임(110) 상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링크부재(113), 복수개의 링크부재(113) 각각의 타단에 결합된 롤러(112) 및 지지 프레임(110) 상에 형성되어 상술한 롤러(112)를 안내하는 레일 홈(111)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A and 2B, the above-described base frame 100 includes a support frame 110 that is seated on the ground and supports the structure of the vertebral retractors 10, a first upper body bed member 310 and a second upper body bed member 310, A plurality of link members 113 coupled to the lower body bed member 410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110 at the other end, a roller 112 coupled to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113, And a rail groove 111 formed on the roller 110 to guide the roller 112 described above.

이 때, 링크부재(113)의 일단은 제1 상체 베드부재(310) 또는 제1 하체 베드부재(41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링크부재(113)의 타단은 롤러(112)를 통해 지지 프레임(110) 상의 레일 홈(111)을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link member 113 may be hinged to one side of the first upper body bed member 310 or the first lower body bed member 410. The other end of the link member 113 can be positioned horizontally along the rail groove 111 on the support frame 110 through the roller 112. [

한편, 베이스 프레임(100)은 허리 베드부(200)의 하측에 위치된 승하강 구동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승하강 구동부(120)는 내부에 실린더(1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실린더(121)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될 수 있고, 상단에서 허리 베드부(200)와 결합됨으로써 실린더(121) 구동에 따라 허리 베드부(200)는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다. The base frame 100 may further include a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120 positioned below the waist portion 200 and a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120 may include a cylinder 121 therein . The cylinder 121 can be exten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and coupled to the waistbee part 200 at the upper end thereof, so that the waistbee part 200 can be lifted or lowered according to driving of the cylinder 121 have.

이 때, 상술한 실린더(121)는 전동모터 회전에 의해 스크류(나사축)가 왕복 운동하는 스크류잭(Screw jack), 유압 또는 공압 방식의 실린더(121)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cylinder 121 described above can be formed of a screw jack (screw jack) in which a screw (screw shaft) reciprocates by the rotation of an electric motor,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121,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술한 허리 베드부(200)는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할 수 있는 허리 베드부재(210), 허리 베드부재(210) 하측에서 상술한 실린더(121)의 상단과 결합되어 실린더(121)가 구동됨에 따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는 승하강부재(220) 및 승하강부재(220) 상에 형성되어 제1 상체 베드부재(310) 및 제1 하체 베드부재(410) 각각과 힌지 결합된 경첩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ist portion 200 includes a waist bed member 210 capable of supporting the waist of the user and a lower portion of the waist supporting portion 210 joined to the upper end of the above-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220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220 can be moved up and down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by driving the first and second lower body bed members 310 and 410, And may include a hinged member 230 hinged thereto.

상술한 경첩부재(230)는 복수개 구비되어 승하강부재(220)의 수평 방향 양측에서 각각 제1 상체 베드부재(310) 및 제1 하체 베드부재(410) 각각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허리 베드부재(210)의 상면은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상측으로 볼록하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hinge members 230 may be hinged to the first body bed member 310 and the first under body bed member 410 on both si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lifting member 220. [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ist bed member 210 may be curved so as to be convex upward so that the user may feel comfortable.

구체적으로, 상술한 허리 베드부(200)의 승하강에 따른 상체 베드부(300) 및 하체 베드부(400)의 회전 구동을 설명하면, 최초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체 베드부재(410) 및 제1 상체 베드부재(310)가 지면에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10) 작동에 따라 상술한 승하강 구동부(120)의 실린더(121)가 작동될 수 있고, 실린더(121) 구동에 의해 승하강부재(220)가 승강되면 링크부재(113)의 타단에 체결된 롤러(112)가 레일 홈(111)을 따라 중심부의 승하강 구동부(120) 측으로 이동되며, 링크부재(113)의 일단에 힌지 결합된 제1 상체 베드부재(310) 및 제1 하체 베드부재(410) 각각은 상술한 경첩부재(230)의 힌지 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 하강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 of the upper body bed part 300 and the lower body bed part 400 according to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waist bed part 200 will be described. First, as shown in FIG. 2A, 410 and the first upper body bed member 310 may be positioned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The cylinder 121 of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120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pine retracto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220 may be moved by the driving of the cylinder 121 The roller 112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link member 113 is moved along the rail groove 111 to the center of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120 side and the first upper body Each of the bed member 310 and the first under body bed member 410 may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hinge axis of the hinge member 230 described above.

즉, 승하강부재(220) 승강에 따라 허리 베드부재(210) 역시 승강되고, 제1 상체 베드부재(310) 및 제1 하체 베드부재(410) 각각은 일측에서 베이스 프레임(100)에 구속된 상태로 경첩부재(230)를 통해 허리 베드부(200)에 대해 소정 각도 회전 하강될 수 있다. 이 때, 도면상 제2 상체 베드부재(320) 및 제2 하체 베드부재(420)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상체 베드부재(310) 및 제1 하체 베드부재(410)가 하강 회전됨에 따라 제1 상체 베드부재(310) 및 제1 하체 베드부재(410) 각각에 연결된 제2 상체 베드부재(320) 및 제2 하체 베드부재(420) 각각 역시 함께 회전 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That is, when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220 is lifted and lowered, the waistcoat 210 is also lifted and lowered, and the first and the first under body bed members 310 and 410 are each restrained from the base frame 100 And can be rotat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waist portion 200 through the hinge member 230 in the state of FIG. In this case, although the second upper and lower body bed members 320 and 420 are not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upper and lower body bed members 310 and 410 may be rotate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econd body bed member 320 and the second body bed member 420 connected to the first body bed member 310 and the first under body bed member 410 may be rotated together .

한편, 상술한 경첩부재(230)는 힌지 축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으로 소정 탄성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실린더(121) 구동으로 승하강부재(220)가 하강됨에 따라 제1 상체 베드부재(310) 및 제1 하체 베드부재(410) 각각을 용이하게 회전 승강시킬 수 있다.The hinge member 23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elasticity in the radial direction around the hinge axis and the lifting member 220 may be lowered by driving the cylinder 121 so that the first upper body bed member 310 And the first underfloor bed member 410 can be easily lifted and lower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10)의 하체 베드부(400)의 구동 자유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이다.FIG. 3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the degree of freedom of driving the lower body part 400 of the vertebral retrac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10)의 하체 베드부(400)는 허리 베드부(200)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사용자의 대퇴(大腿)부를 지지하는 제1 하체 베드부재(410) 및 제1 하체 베드부재(41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종아리 부분을 지지하는 제2 하체 베드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제2 하체 베드부재(420)는 제1 하체 베드부재(410)에 대하여 하체 베드부(400)의 길이 방향(도면상 y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d1 - 하체 베드부(400)의 제1 구동) 가능하게 형성되거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폭 방향(도면상 x축 방향)으로 수평 회동(d2 - 하체 베드부(400)의 제2 구동) 가능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폭 방향(x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d3 - 하체 베드부(400)의 제3 구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3, the lower body part 400 of the vertebral retrac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waist part 200 to support the thigh of the user, And a second lower body bed member 420 connected to the first lower body bed member 410 and supporting the user's calf portion. At this time, the second lower body bed member 420 described above is horizontally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body bed part 400 with respect to the first lower body bed member 410 (figure the y-axis direction) (d 1 - Lower bed section (The second drive of the lower body bed portion 400), or horizontally pivoting (d 2 - second drive of the lower body bed portion 400) in the width direction (the x-axis direction in the figur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D 3 - third drive of the underfloor portion 400) i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상술한 하체 베드부(400)의 제1 구동(d1), 제2 구동(d2) 및 제3 구동(d3)은 어느 하나의 구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 이상의 구동 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하체 베드부(400)의 제1 구동(d1), 제2 구동(d2) 및 제3 구동(d3) 방식이 모두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구동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first drive (d 1 ), the second drive (d 2 ) and the third drive (d 3 ) of the lower body bed part 400 are not limited to any one of the drive methods, The first drive (d 1 ), the second drive (d 2 ) and the third drive (d 3 ) of the lower body bed part 400 may be all provided. Details of each driving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구체적으로, 상술한 하체 베드부(4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면, 상술한 제2 하체 베드부재(420)는 제1 하체 베드부재(410)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사용자의 종아리 부분을 지지하는 제2 하체 베드몸체 및 제1 하체 베드부재(410)와 제2 하체 베드몸체를 연결하는 길이 조절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underfloor bed member 42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underfloor bed member 410 and supports the user's calf portion. The second underfloor bed member 42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underfloor bed member 410, 2 lower body body and a length adjuster 422 connecting the first lower body bed member 410 and the second lower body bed body.

이 때, 제2 하체 베드몸체는 사용자의 종아리 각각을 지지하도록 상호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종아리 지지부재(4211) 및 길이 조절부(422)의 일측에서 한 쌍의 종아리 지지부재(4211)를 하체 베드부(400)의 폭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수평 슬라이드부(4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한 쌍의 종아리 지지부재(4211)는 일단이 수평 슬라이드부(4212)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될 수 있고, 수평 슬라이드부(4212)는 길이 조절부(422)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lower body body has a pair of calf support members 42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upport each of the user's calves, and a pair of calf support members 4211 at one side of the length adjuster 422, And a horizontal slide part 4212 formed to be horizontally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d part 400. [ The pair of calf support members 4211 may be coupled at one en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horizontal slide portion 4212 and the horizontal slide portion 4212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length adjustment portion 422. [

한편, 상술한 제1 하체 베드부재(410)는 사용자의 대퇴부 지지하는 제1 하체 베드몸체(411) 및 제1 하체 베드몸체(4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2 하체 베드부재(420)의 수평 회동을 가이드하는 회전 가이드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lower body bed member 410 includes a first lower body body 411 and a second lower body bed body 411. The first lower body body 411 supports the fingers of the user, And a rotation guide portion 412 for guiding the rotation.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10)의 제2 하체 베드몸체는 한 쌍의 종아리 지지부재(4211) 각각에 위치되어 종아리 지지부재(4211) 및 사용자의 종아리 간의 이격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부(4213) 및 종아리 지지부재(4211) 각각의 일단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발목 부분을 종아리 지지부재(4211) 측으로 고정 지지하는 발목 고정부(4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lower body bed body of the vertebral body retrac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in each of the pair of calf support members 4211 to sense the degree of separation between the calf support member 4211 and the calf of the user And an ankle fixing part 423 positioned at one end of each of the sensor part 4213 and the calf supporting member 4211 for fixing the user's ankle part to the calf supporting member 4211 side.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이기를 사용하는 경우, 허리 베드부(200)가 승강됨에 따라 사용자의 상체 및 하체는 하강하게 되는데, 신체 구조상 사용자 하체는 발목 부분이 발목 고정부(423)에 고정된 상태에서 종아리 부분이 종아리 지지부재(421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허리 베드부(200)가 사용자의 신체에 무리가 생길 정도로 과하게 승강되는 경우 예기치 못한 척추 디스크 손상 등의 부상이 발생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10)는 상술한 센싱부를 통해 사용자의 종아리 이격 정도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종아리가 기 설정된 간격 이상으로 이격되는 경우, 허리 베드부(200)의 승강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uses the spinal takeov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waist portion 200 is lifted and lowered,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of the user are lowered. The calf portion can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alf support member 4211 while being fixed to the portion 423. [ In this case, when the waist portion 200 is excessively lift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user's body becomes unreasonable, an injury such as an unexpected injury of the spinal disc may occur. Thus, the vertebral retracto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s calf is separated from the calf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by sensing the user's calf separation through the sensing unit,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waistcoat 200 can be stopped.

즉, 센싱부에 따른 허리 베드부(200)의 승하강 제어가 가능한 바, 사용자에 따라 맞춤형 척추 교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척추 견인기(10) 사용 간 예기치 않게 발생할 수 있는 부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waist portion 200 according to the sensing unit,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stomized chiropractic effect according to the user and to prevent injury or the like which may occur unexpectedly during use of the vertebral retractor 10 .

또한, 위와 같이 상술한 종아리 지지부재(4211)가 사용자의 종아리 각각에 대응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종아리 지지부재(4211) 각각에 상술한 센서부(4213) 각각이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양 종아리 각각의 종아리 지지부재(4211) 각각으로부터의 이격 정도를 측정할 수 있고, 측정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자세 비틀림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bove-described calf support members 4211 are formed in pairs in correspondence with respective calves of the user, and each of the above-described sensor units 4213 is formed on each of the pair of calf support members 4211,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degree of separation from each of the calf support members 4211 of the calf of the user and the degree of posture distor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한편, 한 쌍의 종아리 지지부재(4211)의 수평 위치는 지면에 대하여 상술한 제1 하체 베드부재(410)의 수평 위치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pair of calf support members 4211 can be formed higher than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first underfloor bed member 410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paper surface.

구체적으로, 제1 하체 베드부재(410) 및 제2 하체 베드부재(420)가 지면에 평행하게 위치된 경우 제2 하체 베드부재(420)의 종아리 지지부재(4211) 높이는 제1 하체 베드부재(41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지면에 평행하게 누웠을 때, 사람의 신체 구조상 자연적으로 종아리 부분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데, 한 쌍의 종아리 지지부재(4211)가 제2 하체 베드부재(420)의 지면에 대해 더 높게 형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10) 이용 간 사용자에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first under body bed member 410 and the second under body bed member 420 are positioned in parallel to the ground, the height of the calf support member 4211 of the second under body bed member 420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under body bed member 410, respectively. In general, when a person lies down parallel to the ground, the calf portion naturally separates from the ground in the body structure of the person, so that the pair of calf support members 4211 is higher than the floor of the second underfloor bed member 420 It is possible to provide comfort to the user of the vertebral retrac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10)의 하체 베드부(400)의 제1 구동을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4A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drive of a lower body bed part 400 of a spinal tract retrac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를 참조하면, 상술한 길이 조절부(422)는 제1 하체 베드몸체(411)의 일측에서 하체 베드부(40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 이동부는 소정 길이를 갖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고, 수평 이동부의 일단은 제2 하체 베드몸체와 결합되고, 타측은 제1 하체 베드몸체(411) 내에 형성된 슬라이드 레일(미도시 됨)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the length adjuster 422 may be horizontally movab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lower body bed part 400 from one side of the first lower body bed body 411. Specifically, the horizontal moving part may be formed in a fram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be positioned parallel to the ground, one end of the horizontal moving part is coupled to the second lower body body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in the first lower body body 411 Can be horizontally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along the slide rail (not shown).

이를 통해, 상용자의 신장에 따라 제2 하체 베드부(400)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second lower body bed part 400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elongation of the user.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10)의 하체 베드부(400)의 제2 구동을 상측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4B is a top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cond drive of the lower body part 400 of the spinal tract retrac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를 참조하면, 상술한 길이 조절부(422)는 제1 하체 베드몸체(411)의 일측 적어도 일부 및 회전 가이드부(412)의 적어도 일부에 체결되어 상기 하체 베드부(400)의 상기 폭 방향으로 수평 회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4B, the length adjuster 422 is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one side of the first lower body body 411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rotation guide 412, so that the width of the lower body bed 400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상술한 회전 가이드부(412)는 길이 조절부(422)의 수평 회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레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회전 가이드부(412) 상에는 슬라이딩 블록(미도시 됨)이 형성되며 슬라이딩 블록과 길이 조절부(422)는 힌지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otation guide portion 412 may be formed in a rail shape to guide the horizontal rotation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422, and a sliding block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rotation guide portion 412 And the sliding block and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422 can be hinged together.

더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하체 베드몸체(411)의 일측 내부에는 상술한 길이 조절부(422)의 회동 영역에 대응되는 크기의 마름모꼴 회동홈(미도시 됨)이 형성될 수 있고, 상술한 슬라이드 레일은 회동홈 내의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 diamond-shaped rotation groove (not shown)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rea of the length adjuster 422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first lower body body 411 And the slide rail described above can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ivot groove.

나아가, 상술한 길이 조절부(422)는 상호 포개어진 상태의 2개의 프레임(미도시 됨)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하측의 프레임(미도시 됨)은 일단이 회동홈 내부에서 힌지 결합되고 타측 일부가 상술한 슬라이딩 블록에 힌지 결합되어 지면에 평행하게 소정 각도 회동될 수 있고, 상측의 프레임(미도시 됨)은 하측의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 될 수 있다. Further, the length adjuster 422 may be composed of two mutually superimposed frames (not shown), and the lower frame (not shown) may have one end hinged to the inside of the pivot groove, (Not shown) is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lower frame, and is horizontally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

다만, 이는 하체 베드부(400)의 제1 구동 및 제2 구동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조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하체 베드부재(420)가 폭 방향(x축 방향)으로 수평 회동할 수 있고, 동시에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 할 수 있는 구조이면 충분하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cond underfloor bed member 420 may b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A structure capable of horizontally pivoting and horizontally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is sufficient.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10)의 하체 베드부(400)의 제3 구동을 전방(도 3의 y축 방향)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4C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third drive of the lower body bed part 400 of the vertebral body retractor 10 forward (the y-axis direction of FIG.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c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하체 베드몸체는 한 쌍의 종아리 지지부재(4211) 및 한 쌍의 종아리 지지부재(4211)를 하체 베드부(400)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수평 슬라이드부(4212)를 포함할 수 있다.4C, the second lower body bed body includes a pair of calf support members 4211 and a pair of calf support members 4211 i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lower body bed portion 400 And a horizontal slide unit 4212 formed to be horizontally movable.

구체적으로, 상술한 수평 슬라이드부(4212)는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호 상하 포개어져 위치된 상측의 제1 슬라이드부재(4212a) 및 하측의 제2 슬라이드부재(4212b)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슬라이드부재(4212a)는 제2 슬라이드부재(4212b) 상에서 하체 베드부(400)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한 쌍의 종아리 지지부재(4211)는 제2 슬라이드부재(4212b) 상에 결합되어 제2 슬라이드부재(4212b)가 수평 이동됨에 따라 함께 수평 이동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horizontal slide portion 4212 may include an upper first slide member 4212a and a lower second slide member 4212b, which are positioned above and below each oth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aper, One slide member 4212a can be formed to be horizontally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lower body bed part 400 on the second slide member 4212b. In addition, the pair of calf support members 4211 described above can be coupled on the second slide member 4212b and horizontally moved together as the second slide member 4212b is horizontally moved.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10)의 하체 베드부(400)는 폭 방향(x축 방향)의 단순 수평 이동이 아닌 수평 회동(d2) 및 수평 이동(d3)의 두 가지의 폭 방향 구동 자유도를 구비하고 있는 바, 회전 각도 및 이동 범위를 확대할 수 있고, 두 가지 구동 자유도의 조합으로 세밀한 회전 각도 및 이동 거리의 조절이 가능한 바, 사용자의 하체 교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The lower body bed part 400 of the vertebral body retrac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imple horizontal movement i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but the horizontal movement d 2 and horizontal movement d 3 , It is possible to enlarge the rotation angle and the movement range,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otation angle and the movement distance by a combination of the two driving degrees of freedom. As a result, Can be increased.

한편, 상술한 한 쌍의 종아리 지지부재(4211) 각각의 상측면은 사용자의 종아리를 감싸도록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종아리 지지부재(4211) 각각의 상측면은 사용자의 종아리 외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하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종아리 척추 교정 과정에서 종아리 안착 간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pair of calf support members 4211 may be recessed downward to enclose the user's calf.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pair of calf support members 4211 may be curved downwar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the calf of the user, thereby providing comfort between the calf seats in the user's calf correction process can do.

또한, 상술한 제2 하체 베드부재(420)는 한 쌍의 종아리 지지부재(4211) 각각의 말단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할 수 있는 발목 고정부(4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발목 고정부(423)는 종아리 지지부재(4211) 각각의 말단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z축 방향)으로 기립 형성된 한 쌍의 높이 조절축(4231) 및 한 쌍의 높이 조절축(4231)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된 고정부재(42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underfloor bed member 420 may further include an ankle fixing portion 423 formed at a distal end of each of the pair of calf support members 4211 to fix the ankle of the user. 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ankle fixing part 423 includes a pair of height adjustment shafts 4231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z-axis direction) formed at the distal ends of the respective calf support members 4211, And a fixing member 4232 form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shaft 4231.

상술한 고정부재(4232)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척추 견인기(10)의 자동 조작에 의해 하강되어 종아리 지지부재(4211) 상에 안착된 사용자의 종아리 하측 발목 부분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Described fixing member 4232 can be fixed and supported by a user's operation or an automatic operation of the vertebral retractor 10 to support the calf lower ankle portion of the user resting on the calf support member 4211. [

한편, 상술한 하체 베드부(400)의 제1 구동, 제2 구동 및 제3 구동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10)는 제1 모터, 제2 모터 및 제3 모터를 구비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3 모터 각각은 하체 베드부(400)의 제1 구동, 제2 구동 및 제3 구동 각각을 구현하기 위해 위치되어 사용자의 척추 교정 목적에 따라 각각이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For the first drive, the second drive, and the third drive of the lower body bed part 400, the spine retrac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tor, a second motor, And each of the first to third motors is positioned to implement each of the first drive, the second drive and the third drive of the lower body bed part 400 so that each of them is independently driven .

즉,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10)는 상술한 하체 베드부(400)의 제1 구동, 제2 구동 및 제3 구동의 독립적 조작이 가능한 바, 하체 베드부(400)의 구동 범위 및 조작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고, 사용자의 척추 교정 효과가 크게 증대될 수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vertebra retrac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ependently operate the first drive, the second drive, and the third drive of the lower body bed part 400, Can be improved and the effect of the user's spine correction can be greatly increas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10)의 상체 베드부(300) 구동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driving of the upper body part 300 of the vertebral retrac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상체 베드부(300)는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제1 상체 베드부재(310), 제1 상체 베드부재(31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후두부(後頭部)를 지지하는 제2 상체 베드부재(320) 및 제1 상체 베드부재(310)를 허리 베드부(200)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한 구동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5, the upper body bed unit 300 includes a first upper body bed member 310 supporting a back portion of a user, a second upper body bed member 310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body bed member 310 to support the back of the user, And a driving unit 330 that rotates the first upper body bed member 310 and the second upper body bed member 320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waist bed part 200. [

구체적으로, 상술한 구동부(330)는 일단에서 베이스 프레임(100)의 지지 프레임(110) 상에 결합될 수 있고, 타단에서 제1 상체 베드부재(310)의 하측 적어도 일부와 체결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330)는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 등으로 형성되어 구동됨에 따라 길이가 신축(伸縮)될 수 있고, 구동부(330)의 길이가 수축되어 줄어드는 경우, 구동부(330)의 타단에 구속된 제1 하체 베드부재(410)는 경첩부재(230)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어 하강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riving unit 330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10 of the base frame 100 at one end and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portion of the lower body of the first upper body bed member 310 at the other end. . In addition, when the length of the driving unit 330 is reduced by shrinking, the driving unit 330 may be formed of a hydraulic cylinder, a pneumatic cylinder, or the like, The first underfloor bed member 410 may be lowered by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hinge axis of the hinge member 230.

이 때, 구동부(330)는 상술한 승하강 구동부(120)와는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즉, 척추 견인 목적 등의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구동부(330) 구동을 통해 하체 베드부(400)는 회전시키지 않은 채 상체 베드부(300)만 하측으로 회전시켜 척추를 견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330 can be operated independently of the up / down driving unit 120 described above. That is, according to the need for the purpose of traction of the vertebrae, the user can pull the spine by rotating only the upper body bed part 300 downward without rotating the lower body part 400 by driving the driving part 330.

한편, 상술한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방식의 구동부(330)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캠 구조, 회전 모터 및 슬라이딩 방식 등 일단에서 지지 프레임(110) 일측과 고정되고, 타단에서 제1 상체 베드부재(310)의 적어도 일부와 체결되어 구동됨에 따라 제1 상체 베드부재(310)를 허리 베드부(200)에 대해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충분하다.The driving unit 330 of the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type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ix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110 at one end such as a cam structure, It is sufficient that the first upper body bed member 310 can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waist bed portion 200 by being coupled with at least a part of the bed member 310 and being drive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10)의 상체 베드부(3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body part 300 of the vertebral retrac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체 베드부(300)는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제1 상체 베드부재(310) 및 사용자의 후두부(後頭部)를 지지하는 제2 상체 베드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체 베드부(300)는 제1 상체 베드부재(310) 상에 사용자의 척추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척추의 측만 또는 전만 정도를 감지하는 척추 스캔부(3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6, the upper body bed part 300 includes a first upper body bed member 310 for supporting a back portion of a user and a second upper body bed member 320 for supporting a rear head portion of a user, . ≪ / RTI > The upper body bed part 300 includes a vertebra scanning part 311 for sensing the degree of the side of the vertebrae as it is moved along the spine of the user on the first upper body bed member 310 .

구체적으로, 상술한 척추 스캔부(311)는 제1 상체 베드몸체(312) 상에서 사용자의 척추가 안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척추 견인기(10) 이용 간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제1 상체 베드몸체(312) 내측(즉,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는 위치)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vertebra scanning unit 31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user's vertebrae are seated on the first upper body bed body 312 an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user's vertebral retractor 10 is not used. And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body body 312 (i.e., the position that does not protrude to the upper surface when viewed from the side).

더 구체적으로, 상술한 척추 스캔부(311)는 제1 상체 베드몸체(312) 내측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가이드홈(311a) 및 한 쌍의 제1 가이드홈(311a) 사이에 위치되어 제1 가이드홈(311a)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사용자의 척추 측만 또는 전만 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스캔부재(311b)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vertebra scanning unit 311 includes a pair of first guide grooves 311a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side of the first upper body body 312 and a pair of first guide grooves 311b formed between the pair of first guide grooves 311a And may include a scanning member 311b that is movable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311a and can detect only the spine side or the front side of the user.

이 때, 상술한 스캔부재(311b)는 제1 가이드홈(311a)을 통해 사용자의 척추에 인접한 위치에서 사용자의 척추 형상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척추 부분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사용자의 척추 측만 또는 전만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bove-mentioned scanning member 311b is movable along the spine shape of the user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user's spine through the first guide groove 311a, and preferably, So that only the spine side or the front side of the user can be detected.

한편, 상술한 스캔부재(311b)는 제1 상체 베드부재(310)의 평면 상에 상호 직교하는 x축과 y축 방향 및 제1 상체 베드부재(310)의 평면과 직교하는 z축 방향으로 3차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스캔부재(311b)는 한 쌍의 제1 가이드홈(311a) 사이에서 3차원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 상체 베드부재(310)의 평면을 기준으로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바, 측만 및 전만으로 3차원 만곡된 사용자의 척추를 따라 용이하게 밀착 이동하며 척추의 측만 및 전만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scanning member 311b is disposed in the x and y axis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on the plane of the first upper body bed member 310 and in the z axis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lane of the first upper body bed member 310 And can be formed to be dimensionally movable. That is, the scanning member 311b can be formed to be three-dimensionally movable between the pair of first guide grooves 311a, and the x, y, and z axes of the first upper body bed member 310, It is easy to move along the vertebra of the user who is three-dimensionally curved with the bar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only the side only and the front side, and the degree of the side of the vertebra can be sensed.

이 때, 스캔부재(311b)의 스캔 방식으로는 초음파 센싱, 3차원 카메라 모듈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ultrasonic sensing, a three-dimensional camera module,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scanning method of the scanning member 311b,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술한 3차원 이동을 위해, 제1 상체 베드몸체(312) 내에는 제1 상체 베드부재(31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수평 레일(미도시 됨)이 배치될 수 있고, 수평 레일 상에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z축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수직 레일(미도시 됨)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수직 레일은 한 상의 수평 레일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술한 스캔부재(311b)는 한 쌍의 수직 레일상에 배치되어 수직 레일을 따라 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스캔부재(311b)는 한 쌍의 수직 레일에 연결된 스캔부재(311b)의 중심 축 상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For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described above, a pair of horizontal rails (not shown)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first upper body bed member 310 are disposed in the first upper body bed body 312 And a pair of vertical rails (not shown) formed in a direction (z-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may be disposed on the horizontal rails. At this time, the pair of vertical rails can be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along the horizontal rail of one phase, and the above-mentioned scanning member 311b is disposed on the pair of vertical rails and moved in the z- . In addition, the scanning member 311b can be moved in the x-axis direction on the central axis of the scanning member 311b connected to the pair of vertical rails.

다만, 상술한 스캔부재(311b)의 3차원 이동 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three-dimensional moving structure of the above-mentioned scanning member 311b is illustrative and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easily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한편, 상술한 제2 상체 베드부재(320)는 사용자의 후두부가 안착될 수 있는 제2 상체 베드몸체(322), 제2 상체 베드몸체(322) 내에 위치된 한 쌍의 제2 가이드홈(321a) 및 제2 가이드홈(321a)을 따라 소정 거리 수평 이동 가능한 머리 받침부재(321b)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받침부재는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이용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가이드홈(321a)을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바,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조절되어 이용될 수 있다. The second upper body bed member 320 includes a second upper body bed body 322 on which a back of the user can be seated, a pair of second guide grooves 321a positioned in the second upper body body 322 And a head supporting member 321b which can be horizontally moved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321a. The headrest member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can provide convenience for the user and can be horizontally moved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321a. The headrest memb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10)의 허리 베드부(200)는 골반 지지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골반 지지부(240)는 허리 베드부재(210)의 폭 방향(x축 방향) 양측에 위치될 수 있고, 승하강 구동부(120)에 의해 허리 베드부재(210)가 승강되는 경우 사용자의 골반 측으로 폭 방향(x축 방향) 수평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umbar bed portion 200 of the vertebral retrac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elvic support portion 240. The pelvis support member 240 may be position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waistcoat member 210. When the waistcoat member 210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 lowering driving unit 120, (X-axis direction).

구체적으로, 골반 지지부(240)는 허리 베드부재(210)의 폭 방향 양측 각각에서 허리 베드부재(210)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함입 형성된 한 쌍의 안내홈(242) 및 안내홈(242) 상측에 쿠션 등의 탄성 소재로 형성된 한 쌍의 골반 지지부재(2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골반 지지부(240)는 별도의 구동 모터(미도시 됨)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승하강 구동부(120)의 구동과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승하강 구동부(120)의 작동으로 허리 베드부재(210)가 승강됨에 따라 한 쌍의 골반 지지부재(241)가 자동으로 사용자의 골반 측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골반 지지부(240)를 통해 척추 견인 간 사용자의 골반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고, 단순한 허리 베드부재(210) 승강에 의한 척추 견인과 달리, 사용자의 골반 고정과 동시에 척추를 견인하는 바, 사용자의 척추 견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pelvic support portion 240 includes a pair of guide grooves 242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waist-bed member 210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waist-bed member 210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aist- And a pair of pelvis supporting members 241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cushion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groove 242. In this case, the pelvic support unit 240 may include a separate driving motor (not shown) and may be independent of the driving of the up-and-down driv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However, The pair of pelvis support members 241 may be automatically moved to the pelvis side of the user.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fix and support the user's pelvis through the pelvis supporting portion 240, and unlike the spinal traction by simply lifting and lowering the waist-down member 210, , The user's spinal traction effect can be improved.

한편, 상술한 골반 지지부재(241)의 y축 방향 폭은 현재 도면상 허리 베드부재(210)와 유사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약 50~200mm 정도의 폭으로 허리 베드부재(210)의 y축 방향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허리 베드부(200) 승강 시 사용자의 골반을 넓은 영역에서 용이하게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The width of the pelvis support member 241 in the y-axis direc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waistband member 210 in the present drawing. However, the width of the pelvic support member 241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bout 50 to 200 mm. Axis direction in the y-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user's pelvis can be easily fixed and supported in a wide area when the waist portion 200 is lifted or lowered.

도 7(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10)의 사용 상태의 예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10)의 사용 전 척추 상태를 나타낸 x-ray 사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10)를 누운 자세에서 사용 시의 척추 상태를 나타낸 x-ray 사진이며,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10)를 엎드린 자세에서 사용 시의 척추 상태를 나타낸 x-ray 사진이다.FIGS. 7 (a) to 7 (c) are photographs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state of the spinal tract retrac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a) 8 is an x-ray photograph showing the state of the vertebra before use of the vertebral retracto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b) And FIG. 8 (c) is an x-ray photograph showing the state of the vertebra when the vertebral retractors 10 are used in a prone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10)를 반듯이 누운 자세(신전운동)에서 사용 시 사용 상태의 예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10)를 엎드린 자세(굴곡운동)에서 사용 시 사용 상태의 예시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기(10)를 옆구리 자세(옆구리운동)에서 사용 시 사용 상태의 예시를 나타낸 사진이다. 7 (a)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a use state when the vertebral retracto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lying position (extension movement), FIG. 7 (b) FIG. 7C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state of the vertebral retrac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rtebral retractor 10 is used in a prone position (bending motion) This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state when used in a side posture (lateral movement).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척추 견인기(10)를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 가능하며, 실제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척추 견인기(10) 이용 시 척추 견인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척추 견인기(10) 사용 전후 척추의 상태에 대한 비교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Referring to FIGS. 7 and 8, a user may utilize the vertebral retractor 10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variety of ways, and indeed, vertebral traction is effectively performed using the vertebral retractor 10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the state of the vertebra before and after the use of the vertebral retractor 1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Table 1 below.

척 추(요추)Chuck (lumbar) 운동 전Before exercise 누운자세(신전운동) 후After the lying posture 엎드린 자세(굴곡운동) 후After prone position (flexion movement) L2~L3L2 to L3 9.5mm9.5 mm 11.3mm(1.8mm 신장)11.3 mm (1.8 mm height) 12.5mm(3mm 신장)12.5 mm (3 mm height) L3~L4L3 to L4 10.7mm10.7mm 12.4mm(1.8mm 신장)12.4 mm (1.8 mm height) 13.5mm(2.8mm 신장)13.5 mm (2.8 mm height) L4~L5L4 to L5 10.8mm10.8 mm 11.9mm(1.1mm 신장)11.9 mm (1.1 mm height) 12mm(1.2mm 신장)12 mm (1.2 mm height)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척추 견인기(10)는 만곡상태에서 자연 견인 효과로 척추를 바로 세우는 바, 각종 척추 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성장기 아이들의 키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rtebral retractor 1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various vertebra diseases and can help the growth of the children in the growing period, since the vertebra is directly built in a curved state with a natural traction effec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척추 견인기(10)는 누운 자세, 엎드린 자세 및 옆구리 자세 등 다양한 형태의 운동에 이용 가능하며, 각각의 운동 자세 별로 내장 질환 예방 및 치료(누운 자세), 복부 비만 해소(엎드린 자세), 소화 호흡 배설 작용의 촉진(옆구리 자세)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ebral retractor 1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various types of exercises such as a lying position, a prone position and a side position, (Prone position), promotion of digestive and respiratory excretion action (side posture), etc. can be obtained.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 : 척추 견인기
100 : 베이스 프레임
110 : 지지 프레임
111 : 레일 홈
112 : 롤러
113 : 링크부재
120 : 승하강 구동부
121 : 실린더
200 : 허리 베드부
210 : 허리 베드부재
220 : 승하강부재
230 : 경첩부재
240 : 골반 지지부
241 : 골반 지지부재
242 : 안내홈
300 : 상체 베드부
310 : 제1 상체 베드부재
311 : 척추 스캔부
311a : 제1 가이드홈
311b : 스캔부재
312 : 제1 상체 베드몸체
320 : 제2 상체 베드부재
321a : 제2 가이드홈
321b : 머리 받침부재
322 : 제2 상체 베드몸체
330 : 구동부
400 : 하체 베드부
410 : 제1 하체 베드부재
411 : 제1 하체 베드몸체
412 : 회전 가이드부
420 : 제2 하체 베드부재
421 : 제2 하체 베드몸체
4211 : 종아리 지지부재
4212 : 수평 슬라이드부
4212a : 제1 슬라이드부재
4212b : 제2 슬라이드부재
4213 : 센서부
422 : 길이 조절부
423 : 발목 고정부
4231 : 높이 조절축
4232 : 고정부재
10: Spine Retractor
100: base frame
110: Support frame
111: Rail groove
112: Roller
113: Link member
120: Up /
121: Cylinder
200: waistbeds
210: waist bed member
220:
230: hinge member
240: Pelvic support
241: pelvic support member
242: guide groove
300: upper body bed part
310: first upper body bed member
311:
311a: first guide groove
311b:
312: first upper body bed body
320: second upper body bed member
321a: second guide groove
321b: Headrest member
322: second upper body bed body
330:
400: Lower body bed part
410: first under body bed member
411: first under body bed body
412:
420: second under body bed member
421: second lower body bed body
4211: calf support member
4212: Horizontal slide portion
4212a: first slide member
4212b: second slide member
4213:
422:
423:
4231: Height adjustment shaft
4232: Fixing member

Claims (12)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측에 지면을 기준으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 베드부;
상기 허리 베드부 일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체 베드부; 및
상기 허리 베드부 타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하체 베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체 베드부 및 상기 하체 베드부는 상기 허리 베드부가 승하강 됨에 따라 상기 허리 베드부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며,
상기 하체 베드부는,
사용자의 대퇴(大腿)부를 지지하는 제1 하체 베드부재; 및
사용자의 종아리 부분을 지지하는 제2 하체 베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체 베드부재는 상기 제1 하체 베드부재에 대하여 상기 하체 베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고,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폭 방향으로 수평 이동 또는 수평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2 하체 베드부재는,
제2 하체 베드몸체; 및
상기 제1 하체 베드부재 및 상기 제2 하체 베드몸체를 연결하는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제1 하체 베드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하체 베드부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하체 베드부재는,
제1 하체 베드몸체; 및
상기 제1 하체 베드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하체 베드부재의 수평 회동을 가이드하는 회전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제1 하체 베드몸체의 일단 및 상기 회전 가이드부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회전 가이드부를 따라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하체 베드부의 상기 폭 방향으로 수평 회동 가능한, 척추 견인기.
A base frame;
A waist-bed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frame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supporting the user's waist;
An upper body bed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aist bed part and supporting the upper body of the user; And
And a lower body bed par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waist bed part to support a lower body of a user,
The upper body part and the lower body part ar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waist part as the waist part is raised and lowered,
The underbody-
A first lower body bed member for supporting a thigh of a user; And
And a second lower body bed member for supporting a calf portion of the user,
Wherein the second lower body bed member is horizontally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body bed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lower body bed member and horizontally or horizontally rotatable in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underfloor bed member comprises:
A second lower body bed body; And
And a length adjuster connecting the first under body bed member and the second under body bed body,
Wherein the length adjuster is horizontally movable from one side of the first under body bed membe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body bed,
The first underfloor bed member comprises:
A first lower body bed body; And
And a rotation guide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lower body body and guiding the horizontal rotation of the second lower body bed member,
The length-
A spine retractor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under body bed body and at least a part of the rotation guide part along the rotation guide part so as to be horizontally rotat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nder body bed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체 베드몸체는,
사용자의 종아리 각각을 지지하도록 상호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종아리 지지부재; 및
상기 길이 조절부의 일측에서 상기 한 쌍의 종아리 지지부재를 상기 하체 베드부의 상기 폭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수평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척추 견인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underfloor body may include a second body-
A pair of calf support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upport each of the user's calves; And
And a horizontal slide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so that the pair of calf supporting members are horizontally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body bed por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체 베드몸체는,
상기 한 쌍의 종아리 지지부재 각각에 위치되어 상기 종아리 지지부재 및 사용자의 종아리 간의 이격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척추 견인기.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underfloor body may include a second body-
And a sensor portion positioned at each of said pair of calf support members for sensing a degree of separation between said calf support member and a calf of a us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종아리 지지부재 각각의 상측면은 사용자의 종아리를 감싸도록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척추 견인기.
The method of claim 4,
And an upper surface of each of said pair of calf support members is recessed downwardly to enclose a user's calf.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종아리 지지부재의 수평 위치는 지면에 대해 상기 제1 하체 베드부재의 수평 위치보다 높게 형성된, 척추 견인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pair of calf support members is formed higher than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first underframe bed member with respect to the groun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체 베드부는,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제1 상체 베드부재;
상기 제1 상체 베드부재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후두부(後頭部)를 지지하는 제2 상체 베드부재; 및
상기 제1 상체 베드부재를 상기 허리 베드부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척추 견인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A first upper body bed member supporting a back portion of a user;
A second upper body bed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body bed member and supporting the back of the user; And
And a driving unit rotatable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waist portion of the first upper body bed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체 베드부는,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제1 상체 베드부재; 및
상기 제1 상체 베드부재 상에 사용자의 척추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척추의 측만 또는 전만 정도를 감지하는 척추 스캔부;를 더 포함하는, 척추 견인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A first upper body bed member supporting a back portion of a user; And
And a vertebral scan unit configured to detect movement of only or only the side of the vertebra as it is movably formed along the user's vertebrae on the first abdominal bed memb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척추 스캔부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척추를 따라 이동 가능한 스캔부재를 포함하는, 척추 견인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vertebra scanning unit includes:
Guide grooves; And
And a scanning member movable along the spine of the user through the guide groov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캔부재는,
상기 제1 상체 베드부재의 평면 상에 상호 직교하는 x축과 y축 방향 및 상기 제1 상체 베드부재의 평면과 직교하는 z축 방향으로 3차원 이동 가능한, 척추 견인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scanning member includes:
And is movable in three dimensions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on the plane of the first upper body bed member and in the z-axis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lane of the first upper body bed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리 베드부는,
허리 베드몸체; 및
상기 허리 베드몸체 상에 형성되어, 상기 허리 베드부가 승강 됨에 따라 사용자의 골반 측으로 이동되는 골반 지지부;를 포함하는, 척추 견인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ist-
Waistbeds body; And
And a pelvic support formed on the waist-down body and being moved toward the user's pelvis as the waist-bed portion is raised and lowered.
KR1020180092590A 2018-01-19 2018-08-08 Spine Traction Apparatus KR1019543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590A KR101954311B1 (en) 2018-08-08 2018-08-08 Spine Traction Apparatus
DE112018006892.7T DE112018006892T5 (en) 2018-01-19 2018-11-22 Device for traction of the spine
JP2020561558A JP2021511189A (en) 2018-01-19 2018-11-22 Spine traction machine
PCT/KR2018/014464 WO2019143013A1 (en) 2018-01-19 2018-11-22 Spinal traction device
CN201890000694.0U CN211797559U (en) 2018-01-19 2018-11-22 Vertebra tractor
US16/963,331 US20210361513A1 (en) 2018-01-19 2018-11-22 Spinal tra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590A KR101954311B1 (en) 2018-08-08 2018-08-08 Spine Traction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311B1 true KR101954311B1 (en) 2019-03-08

Family

ID=65801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590A KR101954311B1 (en) 2018-01-19 2018-08-08 Spine Trac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31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3387A (en) * 2020-09-03 2020-11-24 哈工天愈(中山)机器人有限公司 Neck and waist rehabilitation conditioning robot
KR102188342B1 (en) 2020-08-20 2020-12-09 (주)제이웰 Apparatus for spinal and pelvis traction and correction and a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210066423A (en) * 2019-11-28 2021-06-07 박일호 Waist muscles massage bed
KR20220149813A (en) * 2021-04-29 2022-11-09 (주)굿플 traction medical devi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7556A (en) * 1992-02-26 1993-09-20 최병길 Drop Calibrator
KR19990041196U (en) * 1998-05-14 1999-12-15 우기석 Physiotherapy device with exercise equipment
KR20010025977A (en) * 1999-09-02 2001-04-06 정원하 Apparatus for physiotherapy
KR100464142B1 (en) * 2001-08-17 2005-01-03 최병길 Spinal Corrector
KR101003407B1 (en) * 2008-07-10 2010-12-22 유진곤 Auto traction machine with flexion, extension, rotation function
KR101329233B1 (en) 2012-01-20 2013-11-15 박진묵 The stretching and exercise device
KR20180055624A (en) * 2016-11-16 2018-05-25 윤종규 Device for spine traction and correction accorting to spine curvatur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7556A (en) * 1992-02-26 1993-09-20 최병길 Drop Calibrator
KR19990041196U (en) * 1998-05-14 1999-12-15 우기석 Physiotherapy device with exercise equipment
KR20010025977A (en) * 1999-09-02 2001-04-06 정원하 Apparatus for physiotherapy
KR100464142B1 (en) * 2001-08-17 2005-01-03 최병길 Spinal Corrector
KR101003407B1 (en) * 2008-07-10 2010-12-22 유진곤 Auto traction machine with flexion, extension, rotation function
KR101329233B1 (en) 2012-01-20 2013-11-15 박진묵 The stretching and exercise device
KR20180055624A (en) * 2016-11-16 2018-05-25 윤종규 Device for spine traction and correction accorting to spine curvature and method thereof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423A (en) * 2019-11-28 2021-06-07 박일호 Waist muscles massage bed
KR102263477B1 (en) 2019-11-28 2021-06-10 박일호 Waist muscles massage bed
KR102188342B1 (en) 2020-08-20 2020-12-09 (주)제이웰 Apparatus for spinal and pelvis traction and correction and a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111973387A (en) * 2020-09-03 2020-11-24 哈工天愈(中山)机器人有限公司 Neck and waist rehabilitation conditioning robot
CN111973387B (en) * 2020-09-03 2023-02-28 哈工天愈(中山)机器人有限公司 Neck and waist rehabilitation conditioning robot
KR20220149813A (en) * 2021-04-29 2022-11-09 (주)굿플 traction medical device
KR102539200B1 (en) 2021-04-29 2023-06-05 (주)굿플 traction medica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311B1 (en) Spine Traction Apparatus
US5661860A (en) Eye surgery recovery apparatus
CN110573126A (en) Spinal correction and traction device
KR102188342B1 (en) Apparatus for spinal and pelvis traction and correction and a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5348375A (en) Dental patient chair with a pivotable backrest
KR101799971B1 (en) Electric bed frame for adjusting arrangement angle classified by body part
JP2605315Y2 (en) Dental patient chair
JP2013528430A (en) Seat device
CN101732147A (en) Rehabilitation mechanism
US20210361513A1 (en) Spinal traction device
KR101728714B1 (en) Backbone Stretching Device
KR101824114B1 (en) Spine correcting and traction method using spine correcting and traction device
KR20190048682A (en) Sitting posture correction chair
CN114377305A (en) Adjustable radiotherapy bed and positioning system
CN201324346Y (en) Device capable of adjusting postures
CN108392334A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omnidirectional's electric bed for medical purpose
JPH0318464B2 (en)
WO2000023029A9 (en) Sternum thoracic elevated fulcrum unit
CN107296713B (en) Operating table and backboard radian adjusting method
KR102007328B1 (en) Spine traction device
CN207590921U (en) A kind of operating bed
CN111419262A (en) Patient position adjusting device for medical CT machine scanning
JP2000201924A (en) Radiographic stand for swallowing contrast imaging for deglutition
JP2005160728A (en) Bed apparatus
CN219323638U (en) Gynecological examination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