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276B1 - Combine - Google Patents

Comb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276B1
KR101954276B1 KR1020120073966A KR20120073966A KR101954276B1 KR 101954276 B1 KR101954276 B1 KR 101954276B1 KR 1020120073966 A KR1020120073966 A KR 1020120073966A KR 20120073966 A KR20120073966 A KR 20120073966A KR 101954276 B1 KR101954276 B1 KR 101954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ing
standing device
combine
free end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9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06591A (en
Inventor
김상우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3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276B1/en
Publication of KR20140006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5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2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22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for standing stal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6Combines with hea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곡물 수확을 위한 콤바인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은, 예취부가 기체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장치되며, 상기 예취부는 좌, 우로 병렬 배치되는 복수의 기립장치와, 기립장치 후방으로 배치되는 반송장치를 포함하고, 기립장치 중 일부 기립장치가 그 하단의 힌지연결부를 기준으로 하향 여닫이식으로 개방됨으로써 그 후방으로 배치되는 반송장치에 대한 점검 및 정비가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된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A combine for grain harvesting is disclosed. The comb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off portion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front of the gas, the cut-off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tanding devices arranged in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and a transport device arranged behind the standing devic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is facilitated so that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the transfer device arranged rearward can be easily performed.

Description

콤바인{Combine}Combine {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예취부를 구성하는 기립장치가 하향 여닫이식으로 개방되는 구조를 갖고, 따라서 기립장치 후방으로 배치되는 구성품 예컨대, 반송장치에 대한 점검 및 정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bin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tanding device constituting a cut-off portion is opened by a hinged-down manner, so that a component to be arranged rearward of the standing device, Lt; / RTI >

이동하면서 벼, 보리 등의 예취-탈곡-선별-짚처리 등을 한번에 처리하는 능률적인 농작업 기구를 자탈형 콤바인이라 한다. 자탈형 콤바인은 예취부의 기립장치에 의해 소정의 자세로 기립한 복수조의 작물 밑동을 예취날을 이용해 베어내고, 반송장치를 통해 베어진 작물줄기의 아래쪽을 기계적으로 붙든 채 탈곡통과 평행하게 이송시키면서 탈곡부에 이삭만이 투입되도록 되어 있다.An efficient agricultural equipment that treats rice, barley, and other cutting, threshing, sorting, and straw processing at the same time is called a self-defoliating combine. The decapitating combine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ets of base roots rising in a predetermined posture are cut off using a cutting blade and the bottom of the crop stems is mechanically held while being transported in a threshing and passing direction, Only the ears are to be inserted.

자탈형 콤바인에서 작물줄기의 합류 반송경로를 구현하는 상기 반송장치는 예취부를 구성하는 기립장치의 배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반송장치에 걸린 작물줄기 제거작업이나 예취부의 전반적인 점검, 정비 작업을 행함에 있어 구조적으로 어려움이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4-81006호에는 예취부 전면부에 병렬로 경사 배치된 복수의 기립장치 중 중앙 일부를 들어올림 요동이 가능하도록 된 콤바인이 개시되어 있다.The conveying device that implements the confluent conveying path of the crop stems in the self-destructing combine is located at the back side of the stand-up device constituting the cut-out portion. Therefore, there has been a structural difficulty in carrying out the work of removing the stem of the crop hanging on the conveying device, the overall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the pre-installation part.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81006 discloses a combine capable of lifting and swinging a central portion of a plurality of stand-up devices arranged in parallel on a front portion of a pre-loading portion.

상기 일본 선행특허문헌에 개시된 콤바인은 기립장치의 들어올림에 의해 확보된 넓은 개방공간을 통해 걸림 제거작업이나 반송장치에 대한 점검 또는 정비 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처럼 기립장치를 들어올려 개방하는 구조는 작물줄기의 반송경로 포함, 예취부에 대한 점검, 정비를 행함에 있어 유용하지만, 각 기립장치를 1대씩 들어 올려 개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상 번거로움이 있다.The combine disclosed in the above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can easily perform a latching operation or a checking or repair operation on a conveying device through a wide open space ensured by the lifting of the standing device. Such a structure for lifting up and standing up the standing device is useful for carrying out the transportation path of the crop stem, checking and repairing the preliminary part, but it is troublesome in operation because each standing device is lifted up one by one and opened .

일본 선행특허문헌에 개시된 콤바인에서의 조작상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88365호를 통해 제안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88365호에 개시된 기술은, 예취부를 이루는 복수의 기립장치 중 좌, 우측 최외곽에 배치된 기립장치를 제외하고 상호 인접하는 복수의 기립장치를 일체로 하여 들어올림 요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Japanese Patent No. 0688365 discloses a technique for solving operational troubles in the combine disclosed in the Japanese prior art document. The techniqu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0688365 is a technique in which a plurality of standing-up devices adjacent to each other except a standing device disposed at the leftmost and rightmost outermost one of a plurality of standing devices constituting a cutting portion are integrated .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및 전술한 일본 선행특허문헌에서 개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기립 장치를 들어올림 형태로 개방 가능하도록 구현하기 위해서는, 길이방향으로 다분할된 구조의 고가의 카운터 케이스가 요구되며, 들어올림 개방 시 카운터 축의 역회전 방지를 위해 기어 연동부에 한 방향으로만 회전동력을 전달되도록 하는 부품이 개입되는 등 구성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order to realize the stand-up device so as to be able to be lifted up in the lifting manner a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Korean and the above-mentioned Japanese prior art documents, an expensive counter case having a structure di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equir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such that a par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power to only one direction is interposed in the gear interlocking part for preventing reverse rotation of the counter shaft.

일본 특허공개 제2004-81006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8100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88365호Korean Patent No. 10-068836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송장치에 대한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는 여닫이 형태의 개방형 구조를 구현함에 있어 예취부 구성이 복잡해 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void the complication of the pre-installation structure in realizing an open-type, hinged-type structure in which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transfer device can be easily performed.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예취부가 기체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장치된 콤바인이며, 상기 예취부는 좌, 우로 병렬 배치되는 복수의 기립장치와, 기립장치 후방으로 배치되는 반송장치를 포함하고, 기립장치 중 일부 기립장치가 그 하단의 힌지연결부를 기준으로 하향 여닫이식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을 제공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bine machine in which a cut-off portion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front of a gas, the cut-off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tanding devices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carrying device arranged behind the stan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ome of the stand-up devices are opened in a hinged-down manner with respect to the hinge connection at the lower en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립장치는 상방의 구동 스프로킷, 구동 스프로킷 측방의 텐션 휠, 하방의 아이들 휠에 걸쳐서 감겨진 체인에 곡물을 기립시키는 러그(Lug)가 이 체인의 오름 방향에 대해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일정 간격에 걸쳐 피봇 장착된 구성을 갖고, 상기 구동 스프로킷 배면과 기립장치 상방으로 횡 배치된 카운터 축에서 하향 분기된 분기 구동축 단부에는 각각, 개방 후 기립장치를 닫았을 때 동력전달 가능하게 상호 맞물리는 전동수단이 장치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nding device includes a driving sprocket in an upper portion, a tension wheel in a side of a driving sprocket, and a lug for raising a grain in a chain wound around the lower idle wheel, And a branch drive shaft end portion branched downward from a counter shaft horizontally disposed above the drive sprocket above the standup device is provided with a drive shaft which is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when the stand- An engaging transmission means may be provided.

이때, 상기 전동수단은 상호 대면하는 면에 서로 맞물림 가능한 요철형 계합면을 갖는 한 쌍의 도그기어 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means may be a pair of dog gears having a concave-and-convex engagement surface that can engage with each other on surfaces facing each other.

또한, 지면과 인접한 콤바인 최전방에 배치되어 곡물의 줄을 갈라주는 분초판을 선단에 갖는 분초 프레임 상에 상기 힌지연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Further,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half frame having a first half plate disposed at the forefront of the combine adjacent to the ground and dividing a line of the grai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립장치는 두 개 이상이 조를 이뤄 일체로 하향 여닫이식 개방이 이루어지는 구성일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nding device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wo or more pairs of the standing devices are integrally formed in a downward hinged opening.

그리고, 상기 기립장치의 상부 자유단과, 기립장치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자유단에 대응되는 위치의 분기 구동축 케이스에는, 상기 기립장치의 상부 자유단을 탈착 가능하게 구속시키는 록킹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A locking means for detachably restraining the upper free end of the standing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free end of the standing device and the branch driving shaft cas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ee end when the standing device is in the closed position have.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예취부를 구성하는 기립장치가 하향 여닫이식으로 개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반송장치에 대한 유지, 보수가 용이한 여닫이 형 개방구조를 구현함에 있어 구조가 복잡해 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래 들어올림 개방형에 채택되던 다분할 카운터 케이스나 카운터 축 역회전 방지를 위한 별도의 부품이 요구되지 않아 구조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고, 비용절감 및 생산성 향상 또한 기대할 수 있다.
The 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tanding device constituting the cut-off portion is opened by a hinged-down manner, thereby avoiding the complication of the structure in realizing the hinged-type opening structure which is easy to maintain and repair on the conveying device .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tructure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 multi-division counter case, which has conventionally been adopted for the up-open type, and a separate component for preventing the counter shaft reverse rot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cost reduction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콤바인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콤바인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에 적용된 예취부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난 예취부의 정면도.
도 6은 도 4에 나타난 예취부의 기립장치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따른 측면도.
도 8은 예취부의 기립장치를 개방하기 전 기립장치가 분기 구동축에 전동 가능하게 연결된 모습을 확대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난 주요부의 측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ight side view of the combine according to Fig. 1; Fig.
Figure 3 is a left side view of the combine according to Figure 1;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applied to a 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protruding portion shown in Fig. 4;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and-by device of the pre-loading portion shown in Fig. 4 is opened.
Figure 7 is a side view according to Figure 6;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 substantial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anding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ranch drive shaft before opening the standing device of the preliminary part.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shown in Fig.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먼저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right side view of a combine according to FIG. And Fig. 3 is a left side view of the combine according to Fig. Referring to these drawings, a general structure of a 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firs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은 기체(1) 전방에 작물을 베어내기 위한 예취부(3)가 승강 가능하게 장치된 구성을 이루고 있다. 기체(1)는 무한궤도식 주행륜(2)를 갖고, 예취부(3)에 의해 베어진 작물은 기체 일 측면(우측면)을 따라 장치된 공급체인(40)을 통해 기체 측부 후방에 위치한 탈곡장치(미도시)로 반송된다. 그리고 탈곡장치에서 작물의 이삭에 대한 탈곡이 행해진다.1 to 3, the 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reliminary loading section 3 for lifting a crop in front of the base 1 is vertically movable. The base 1 has a caterpillar 2 and the crops cut by the caterpillar 3 are fed through a feed chain 40 arranged along one side of the base (right side) (Not shown). Then, the threshing of the crop against the ears is performed in the threshing device.

탈곡 후의 작물 이삭은 탈곡장치 하부에 배치되는 선별장치(미도시)로 반송된다. 선별장치를 거치면서 이삭에 포함되어 있던 나락과 지푸라기 등이 걸러지게 된다. 그 중 선별 처리된 이삭은 기체의 다른 측방 안쪽에 마련된 곡물탱크(5)로 반송되어 임시 저장되고 오거(auger, 6)를 통해 기체(10) 밖으로 배출된다. 기체 조작은 기체 조작부(7, 또는 운전석)에 장치되는 여러 레버조작을 통해 행해진다.After the threshing, the crop ears are transported to a sorting device (not shown)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threshing device. Through the screening device, the horses and straws contained in the ears are filtered. Among them, the picked spike is transported to the grain tank 5 provided inside the other side of the gas, temporarily stored, and discharged out of the gas 10 through the auger 6. The gas manipulation is performed through various lever manipulations provided on the gas control section 7 (or the driver's seat).

도면부호 8은 상기 기체 조작부를 감싸 보호함으로써, 외부 환경에 영향 없이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정숙성을 향상시켜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기체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캐빈(cabin)을 가리킨다. 이와 같은 캐빈은 콤바인의 사양에 따라 적용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 구성요소에 반드시 포함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 둔다.Reference numeral 8 denotes a cabin for enclosing and protecting the gas control unit so as to enable operation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o improve quietness to enable operation of the gas in a more pleasant environment. It should be noted that such a cabin is not necessarily included in the combine compon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t may or may not be appli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combine.

상기 예취부(3)는 도 2와 같이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예취부 프레임(32)을 매개로 기체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취부 프레임(32)은 구체적으로, 기체 선단부에 수직 설치된 지지대 상부에 기체 폭방향을 따르는 지지점(P)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승강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지지점(P)를 중심으로 한 예취부(3)의 승강은 상기 예취부 프레임(32) 중간부를 지지하는 유압 실린더(도면에서는 생략됨)에 의해 행해진다.The preload portion 3 is connected to the base by means of a preload frame 32 inclined downward forward as shown in Fig. Specifically, the preload frame 32 is rotatably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a support vertically disposed on the tip end of the base in a vertical up and down direction about a support point P along the gas width direction.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mounting portion 3 is carried out by a hydraulic cylinder (not shown) supporting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preloading frame 3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에 적용된 상기 예취부를 나타내며, 도 5는 도 4에 나타난 예취부의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적용된 예취부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되, 예취 전 곡물의 줄기를 기체 측으로 당겨 세우는 기립장치가 도면과 같이 5개 형성된 5조 예취 사양의 예취부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Fig. 4 shows the cut-away portion applied to the 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tilting portion shown in Fig.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construction of the example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an example of a five-piece cutting-off example in which the standing apparatus for pulling the stem of the pre-cutting grain to the base side is formed as shown in FIG. .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예취부(30)는 그 하단에 예취 대상 곡물을 베어내기 위한 예취수단(도시 생략, 종래와 동일)을 구비한다. 예취수단은 작동방향이 상반되는 두 개의 예취 날(종래와 동일)로 구성된다. 두 개의 예취 날은 상하로 밀착된 상태로 좌, 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상반되는 방향으로 요동하면서 곡물 줄기를 베어내며, 예취 전 곡물 줄기를 베어내기에 적합한 소정의 예취 자세로 당겨 세우는 5개의 기립장치(30)가 예취부(30) 전방으로 노출토록 경사 설치된다.Referring to Figs. 4 to 5, the pre-loading unit 30 is provided with a cutting unit (not shown in the figure) for cutting the grain to be cut. The cutting means is composed of two cutting blades (same as the conventional one) whose operating directions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e two cutting blade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the upper and lower sides pivoting in the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The cutting blade cuts the grain stem and pulls the grain in a predetermined cutting posture suitable for cutting The standing device 30 is inclined so as to be exposed forward of the preloading part 30. [

기립장치(30) 후방에는 예취수단을 통해 일정 높이로 가지런히 잘려진 곡물을 전술한 탈곡장치 측으로 반송시키도록 기능하는 반송장치(도시 생략)가 마련된다. 또한 기립장치(30) 하부에는 지면과 인접한 콤바인 최전방에 배치되어 예취 될 곡물의 줄을 갈라주는 여러 개의 분초판(34)이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분초판(34)은 예취부(3)의 뼈대를 구성하는 분초 프레임(33) 각 선단에 도면과 같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At the rear of the standing device 30, there is provided a carrying device (not shown) functioning to convey the grain, which has been cut to a predetermined height through the cutting means, to the above-described threshing device side. In addition, at the lower part of the standing device 30, a plurality of minute plates 34 are disposed at intervals in front of the combine adjacent to the ground to separate the lines of the grain to be cut. At this time, each of the minute plates 34 is provided at each of the front ends of the side frames 33 constituting the skeleton of the preload 3 as shown in the figure.

반송장치는 전술한 선행문헌의 반송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 도시는 생략하였음을 밝혀 둔다. 간단하게 살펴 보면, 반송장치는 베어진 곡물 줄기의 중간부분을 가볍게 모아주는 역할의 반송벨트와, 베어진 곡물 줄기 밑동을 모아 반송시키는 스플라인 형 회전체와, 반송되는 다수 조로 나뉘어진 곡물 줄기를 한 데 모으는 제1 반송장치와, 한 데 모아진 곡물들을 탈곡장치 측으로 반송시키는 제2 반송장치로 구성된다. The conveying device is the same as the conveying device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ocument.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crete illustration of the composition is omitted. In brief, the conveying device includes a conveying belt for lightly gathering the middle part of the broken grain stem, a spline type rotating body for collecting and conveying the base of the broken grain stem, and a grain stem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nveyed And a second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the collected grains to the threshing device side.

예취부(3) 전방에 자리잡은 상기 기립장치(3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좌, 우로 병렬 배치된다. 기립장치(30)는 도 4에서 케이스를 탈거한 상태의 맨 좌측 기립장치(305) 도시와 같이, 상방의 구동 스프로킷(300)과, 구동 스프로킷(300) 측방의 텐션 휠(310)과, 하방의 아이들 휠(320)에 걸쳐서 감겨진 체인(330)에 곡물을 기립시키는 러그(Lug, 340)가 이 체인(330)의 오름 방향에 대해 펼쳐짐 가능하도록 일정 간격에 걸쳐 피봇 장착된 구성을 갖는다.The standing devices (30) positioned in front of the preloading part (3) are arranged in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at regular intervals. The standing device 30 includes an upper drive sprocket 300, a tension wheel 310 on the side of the drive sprocket 300, and a downward tension spring 310, as shown in the leftmost standing device 305 with the case removed in Fig. Mounted on a chain 330 wound around the idle wheel 320 of the chain 330 such that the lug 340 can be extended in the ascending direction of the chain 330.

러그(340)는 이웃하는 기립장치(30)의 러그(340)와 쌍을 이루거나 독립적(기립장치가 5개인 5조 사양인 경우 중간에 위치한 기립장치의 러그)으로 곡물 줄기를 들어 올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구동 스프로킷(300)은 그 배면에 설치되는 전동수단(후술 됨) 및 분기 구동축(37) 통해 기립장치(30) 상방으로 횡 배치된 메인 축에 해당하는 카운터 축(36)으로부터 분기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한다. The lug 340 is paired with the lug 340 of the neighboring standing device 30 or in the direction of lifting the stalk by independent (lug of standing device in the middle if five standing devices with five standing devices) And the drive sprocket 300 is branched from the counter shaft 36 corresponding to the main shaft horizontally disposed above the stand-up device 30 via the transmission means (described later) and the branch drive shaft 37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drive sprocket 300 It receives power and rotates.

카운터 축(36)에서 분기된 동력을 제공받아 구동 스프로킷(300)이 회전하는 전동구조에 대해서는 이후 도 8 내지 도 9를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The transmission structure in which the driving sprocket 300 rotates by receiving the power branched from the counter shaft 36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9. FIG.

도 6은 도 4에 나타난 예취부의 기립장치를 하향 여닫이 방식으로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따른 측면도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and-by device of the pre-loading part shown in Fig. 4 is opened by a downward hinged method, and Fig. 7 is a side view according to Fig.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5조 기립장치(30) 중 일부 기립장치는 그 하단의 힌지연결부(H)를 기준으로 도면의 화살표 도시와 같이 하향 여닫이식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반송장치에 곡물이 걸려 이를 제거하는 작업이나 반송장치에 대한 점검, 정비함에 있어 일부 기립장치(30)를 도면과 같이 개방시키면, 기립장치(30) 조합을 일일이 분해하지 않고도 개방에 의해 확보된 넓은 개방공간을 통해 해당 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to 7, some standing devices of the five-armed standing device 30 are opened in a downward hinged manner as shown by the arrows in the drawing with reference to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H at the lower end thereof. Therefore, when some of the standing apparatus 30 is opened as shown in the drawing for the purpose of removing the grains from the carrying apparatus and checking and repairing the carrying apparatus, the arrangement of the standing apparatus 30 can be ensured by opening The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through the wide open space.

기립장치(30)가 하향 여닫이식으로 개방되는 구조를 구현함에 있어 회전중심이 되는 상기 힌지연결부(H)는 전술한 분초 프레임(33) 상에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도면과 같이, 상기 분초 프레임(33) 상의 고정 힌지 브래킷(HB1)에 기립장치(30) 하단에서 연장된 가동 힌지 브래킷(HB2)이 힌지축(HS)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rder to realize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anding device 30 is opened in a downward hinged manner,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H serving as a rotation center is provided on the above-mentioned branch frame 33. The movable hinge bracket HB2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standing device 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hinge bracket HB1 on the side frame 33 via the hinge axis HS, Lt; / RTI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립장치(30)는 도면과 같이 두 개 이상이 조를 이뤄 일체로 하향 여닫이식으로 개방될 수 있다. 도면을 통해 예를 든 5조 콤바인의 경우 우측 최외곽에 위치한 기립장치(30-1)를 1번 기립장치로 명명 했을 때, 2번 기립장치(30-2)와 3번 기립장치(30-3)가 조를 이뤄 함께 하향 여닫이식으로 개방될 수 있다. 기립장치(30)가 6개인 6조 콤바인의 경우에는 2번과 3번, 4번과 5번 기립장치가 조를 이뤄 개방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nding device 30 can be opened in a hinged-down manner integrally with two or more sets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case of the fifth combine example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standing device 30-1 located at the outermost right side is referred to as the first standing device, the second standing device 30-2 and the third standing device 30- 3) can be opened together with a downward hinged joint. In the case of the six-row combine having six standing devices 30, the standing devices 2, 3, 4 and 5 can be opened by a combination.

도 8은 예취부의 기립장치를 개방하기 전 기립장치가 분기 구동축에 전동 가능하게 연결된 모습을 확대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8에 나타난 주요부의 측 단면도이다.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tand-up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ranch drive shaft before opening the stand-by stand-up device, and Fig. 9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n in Fig.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앞서도 간단하게 언급 했듯이 기립장치(30)를 구성하는 상기 구동 스프로킷(300)의 배면과 분기 구동축(37) 단부에는 동력전달 가능하게 상호 맞물리는 전동수단(35)이 장치된다. 분기 구동축(37)은 기립장치(30) 상방으로 횡 배치된 상기 카운터 축(36)에 베벨 기어를 매개로 전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카운터 축(36)은 전술한 예취부 프레임(32) 내부를 경유하는 구동축(도시 생략)에 전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받는다. Referring to FIGS. 8 to 9, as described briefly above,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35, which is operative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rive sprocket 300 constituting the standing device 30, . The branch drive shaft 37 is turnably connected to the counter shaft 36 transversely arranged above the stand-up device 30 through a bevel gear and the counter shaft 36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abov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power is transmitted.

전동수단(35)은 기립장치(30)가 닫힌 상태에서는 동력전달 가능하게 상호 맞물려 있고 기립장치(30)를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개방시킬 경우 상호 분리됨에 있어 유리한 구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8의 도시와 같이 상호 대면하는 면에 서로 맞물림 가능한 요철형 계합면을 갖는 한 쌍의 도그기어(35a)(35b)일 수 있다. 물론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호 접촉하는 면에 마찰면을 형성한 한 쌍의 마찰판 역시 적용 가능하다. The transmission means 35 may be advantageously structured to be mutually engaged so as to transmit power in the closed state of the standing device 30 an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standing device 30 is opened as shown in Figs. Preferably, it may be a pair of dog gears 35a and 35b having a concave-convex engaging surface engageable with each other on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s shown in Fig.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pair of friction plates having friction surfaces on mutually contacting surfaces are also applicable.

기립장치(3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작업도중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록킹수단(38)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9와 같이, 록킹수단(38)은 기립장치(30)의 상부 자유단에 설치되는 록핀(38a)과, 기립장치(3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자유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회전 조작 가능한 훅 형태의 고리(38b)로 구성됨으로써, 기립장치(30)의 상부 자유단을 탈착 가능하게 구속하는 구성일 수 있다.Locking means 38 are provided to prevent the standing device 30 from being opened arbitrarily during operation when the standing device 30 is in the closed position. Preferably, as shown in Fig. 9, the locking means 38 includes a lock pin 38a provided at the upper free end of the standing device 30 and a lock pin 38b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ee end when the standing device 30 is in the closed position And is constituted by a rotatable hook-shaped hook 38b to be installed, whereby the upper free end of the standing device 30 can be detachably restrained.

물론 록킹수단(38) 역시 도면을 통해 예시된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사용자의 간단한 탈착 조작을 통해 하향 여닫이식으로 개방이 이루어지는 기립장치(30)의 상부 자유단을 구속하거나 그 구속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공지된 구성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이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기립장치(30)가 하향 여닫이식으로 개방되는 구조에서 공지된 다양한 탈착형 록킹수단(38)을 채택한 경우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Of course, the locking means 38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s as long as it is a known configuration capable of restraining or releasing the upper free end of the standing device 30 in which the opening is performed by a user's simple detachment operation. Thu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various known releasable locking means 38 are adopted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anding device 30 is opened in a downward hinged manner.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예취부를 구성하는 기립장치가 하향 여닫이식으로 개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반송장치에 대한 유지, 보수가 용이한 여닫이 형 개방구조를 구현함에 있어 구조가 복잡해 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래 들어올림 개방형에 채택되던 다분할 카운터 케이스나 카운터 축 역회전 방지를 위한 별도의 부품이 요구되지 않아 구조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고, 비용절감 및 생산성 향상 또한 기대할 수 있다. The combined 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tanding device constituting the cut-off portion is opened by a hinged-down manner, thereby realizing a hinged-type open structure in which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transfer device is easy. Can be avoide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tructure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 multi-division counter case, which has conventionally been adopted for the up-open type, and a separate component for preventing the counter shaft reverse rot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cost reduction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thereof, which are to be considered as being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intention is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3 : 예취부 10 : 지지대
30 : 기립장치 32 : 예취부 프레임
33 : 분초 프레임 34 : 분초판
35 : 전동수단 36 : 카운터 축
37 : 분기 구동축 38 : 록킹수단
H : 힌지 연결부 P : 지지점
3: Exemplary mounting part 10: Support part
30: Standing device 32: Exemplary mounting frame
33: Minute frame 34: Minute first edition
35: transmission means 36: counter shaft
37: branch drive shaft 38: locking means
H: Hinge connection P: Support point

Claims (6)

예취부가 기체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장치된 콤바인이며,
상기 예취부는 좌, 우로 병렬 배치되는 복수의 기립장치와, 기립장치 후방으로 배치되는 반송장치를 포함하고,
기립장치 중 일부 기립장치가 그 하단의 힌지연결부를 기준으로 하향 여닫이식으로 개방되며,
상기 기립장치 상방으로 횡 배치된 카운터 축에서 하향 분기된 분기 구동축 단부와 상기 분기 구동축으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을 하는 구동 스프로킷 배면에는, 기립장치 개방 전 동력전달 가능하게 상호 맞물리고 기립장치 개방 시 상호 분리되는 전동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Wherein the cut-off portion is a combin that is mount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front of the gas,
Wherein the cutt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tanding devices arranged in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and a carrying device arranged behind the standing device,
Some standing devices of the standing devices are opened in a downward hinging manner with respect to the hinge connecting portions at the lower end thereof,
Wherein a branch drive shaft end portion that is branched downward from a counter shaft horizontally disposed above the stand-up device and a back surface of a drive sprocket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branch drive shaft and rotates are mutually engaged so as to transmit power before the stand- And a separate power transmission means is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장치는 상방의 구동 스프로킷, 구동 스프로킷 측방의 텐션 휠, 하방의 아이들 휠에 걸쳐서 감겨진 체인에 곡물을 기립시키는 러그(Lug)를 포함하며, 러그가 상기 체인의 오름 방향에 대해 펼쳐짐 가능하도록 일정 간격에 걸쳐 피봇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anding device includes an upper driving sprocket, a tension wheel on the side of the driving sprocket, and a lug for raising the grain in a chain wound around the lower idle wheel so that the lug can be unfolded in the ascending direction of the chain And a pivotally mounted unit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수단은 상호 대면하는 면에 서로 맞물림 가능한 요철형 계합면을 갖는 한 쌍의 도그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mission means is a pair of dog gears having an engaging and engaging surface engageable with each other on a mutually facing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곡물의 줄을 갈라주는 분초판이 선단에 지지되는 분초 프레임 상에 상기 힌지연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inge connection part is provided on a first half frame which is supported on a front end of the first half board which divides a line of the grain.
제 1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기립장치는 두 개 이상이 조를 이뤄 일체로 하향 여닫이식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standing device is formed by two or more pairs and is integrally opened downwar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장치의 상부 자유단과, 기립장치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자유단과 대응되는 위치의 분기 구동축 케이스에는, 상기 기립장치의 상부 자유단을 탈착 가능하게 구속시키는 록킹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The method of claim 5,
A locking means for detachably restraining an upper free end of the standing device is provided in an upper free end of the standing device and a branch driving shaft cas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ee end when the standing device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Combine.
KR1020120073966A 2012-07-06 2012-07-06 Combine KR1019542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966A KR101954276B1 (en) 2012-07-06 2012-07-06 Comb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966A KR101954276B1 (en) 2012-07-06 2012-07-06 Comb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591A KR20140006591A (en) 2014-01-16
KR101954276B1 true KR101954276B1 (en) 2019-03-05

Family

ID=50141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966A KR101954276B1 (en) 2012-07-06 2012-07-06 Comb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27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5396A (en) * 2019-12-13 2021-06-23 주식회사 대동 An operating appratus for picking up rice straw in mowing parts of comb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70340B2 (en) * 2018-02-19 2023-05-10 株式会社クボタ combine
JP6986240B1 (en) * 2021-07-29 2021-12-22 井関農機株式会社 comb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4421A (en) 2002-03-28 2003-10-07 Kubota Corp Reaping section structure of combine harvester
KR100688365B1 (en) * 2005-07-01 2007-03-02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Combi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3111A (en) * 1997-05-26 1998-12-08 Kubota Corp Vertical rotating type stem culm-raising device of combine harvester
JP2004081006A (en) 2002-08-22 2004-03-18 Kubota Corp Structure of pretreating part of combine harvester
KR20090025289A (en) * 2006-06-19 2009-03-10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Combine pull-up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4421A (en) 2002-03-28 2003-10-07 Kubota Corp Reaping section structure of combine harvester
KR100688365B1 (en) * 2005-07-01 2007-03-02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Comb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5396A (en) * 2019-12-13 2021-06-23 주식회사 대동 An operating appratus for picking up rice straw in mowing parts of combine
KR102386368B1 (en) 2019-12-13 2022-04-14 주식회사 대동 An operating appratus for picking up rice straw in mowing parts of comb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591A (en)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276B1 (en) Combine
JP2009142173A (en) Multi-row reaping combine harvester
JP2007006822A (en) Combine harvester
JP4955281B2 (en) Combine harvester
JP2011188812A (en) Reaping unit for combine harvester
JP2011229429A (en) Combine harvester
JP2006304652A (en) Combine harvester
JP4530861B2 (en) Combine pre-processing section
JP7113691B2 (en) combine
JP4855732B2 (en) Combine harvester
JP2012139118A (en) Grain culm raising device of combine harvester
JP2008014395A (en) Transmission cut-off mechanism
JP2004194531A (en) Straw-discharg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JP4951999B2 (en) Combine
JP7260497B2 (en) combine
JP2004337070A (en) Combine harvester
JP2022001022A (en) Head-feeding combine
JP4548172B2 (en) Combine
JP4904771B2 (en) Combine
JP2006061120A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reaping part in combine harvester
JP2021141857A (en) combine
JP4872461B2 (en) Combine harvester
JP2006230281A (en) Grain culm-conveying apparatus of combined harvester
JP2007006823A (en) Combine harvester
JP2008000054A (en) Pick-up device of comb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