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964B1 -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964B1
KR101953964B1 KR1020170011879A KR20170011879A KR101953964B1 KR 101953964 B1 KR101953964 B1 KR 101953964B1 KR 1020170011879 A KR1020170011879 A KR 1020170011879A KR 20170011879 A KR20170011879 A KR 20170011879A KR 101953964 B1 KR101953964 B1 KR 101953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odule
music
uni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7630A (ko
Inventor
이수만
김영민
이진원
박헌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엔터테인먼트
Priority to KR1020170011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964B1/ko
Publication of KR20180087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7Processing of monitored end-user data, e.g. trend analysis based on the log file of viewer sel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2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identification purposes, e.g. storing user identification data, preferences, personal settings o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1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biosensors, e.g. heat sensor for presence detection, EEG sensors or any limb activity sensors worn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eurosurge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에 장착된 마이크 또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밴드 등의 스마트디바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 변화 정보를 측정하고, 신체 변화 정보에 따라 음악 또는 춤에 관한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A Smart Digital Frame and Contents Providing System Using this}
본 발명은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에 장착된 마이크 또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밴드 등의 스마트디바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 변화 정보를 측정하고, 신체 변화 정보에 따라 음악 또는 춤에 관한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정 형태의 프레임 내에 디스플레이를 설치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이미지, 영상 등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광고, 안내 등을 실시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가 보편화 되어 있다.
이러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는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일정 지역에 설치되어 광고정보, 위치정보, 각종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형태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병원, 영화관, 백화점, 관공서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방적인 정보의 제공만을 중요시하고 있으며, 사용자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즐길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개발되지 않고 있다.
(특허문헌)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6618호(2010. 06. 30. 공개)"광고효과 측정이 가능한 사인기능 디지털 디스플레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음악 또는 댄싱 컨텐츠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호도에 맞은 음악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동작 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춤에 대한 평가 및 트레이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에 장착된 마이크 또는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밴드 등의 스마트디바이스를 통해 심박측정 또는 동작인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신체 변화 정보에 따른 컨텐츠의 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은 일정 지역에 설치되어 소리 및 영상을 출력하는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 전면의 사용자를 인식하여 실행되며, 사용자에게 음악에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제공부는 컨텐츠의 제공시 사용자의 신체 변화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도를 판단하고, 선호도에 따른 음악 컨텐츠의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제공부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선호도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본체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파지시 심장박동을 측정하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제공부는 상기 마이크로부터 사용자의 심장박동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제공부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심장박동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제공부는 사용자에게 음악을 출력하여 음악감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음악감상컨텐츠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음악감상컨텐츠제공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을 출력하는 음악출력부와, 상기 음악출력부에 의해 음악이 제공되는 동안 사용자의 심장박동에 따른 선호도를 판단하여 컨텐츠를 추천하는 컨텐츠추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추천부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정보를 수신하는 심장박동정보수신모듈과, 상기 심장박동정보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심장박동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선호도를 판단하는 선호도판단모듈과, 상기 선호도판단모듈에 의해 판단된 선호도정보에 따라 선호도가 높은 음악과 관련된 음악의 추천리스트를 제공하는 추천리스트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음악감상컨텐츠제공부는 음악감상컨텐츠의 제공을 개시하는 감상컨텐츠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상컨텐츠개시부는 음악앨범을 인식하는 앨범인식모듈과, 상기 앨범인식모듈에 의해 인식된 앨범에 수록된 음악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재생리스트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제공부는 음악의 반주를 출력하고 반주의 출력에 따른 사용자의 노래를 입력받도록 하여 가수 체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가수컨텐츠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수컨텐츠제공부는 사용자가 노래를 하는 동안 측정되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정보에 따른 선호도에 따라, 선호도가 높은 선곡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가수컨텐츠제공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의 반주 및 실제 가수의 노래를 함께 출력하는 음향출력부와, 가수 체험에 관한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제공부는 반주와 함께 출력되는 가수의 노래와 실제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의 소리를 비교하여 화성에 따른 점수가 산정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게임제공부는 게임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드선택모듈은 주음을 부르는 가수의 노래가 출력되도록 하는 주음선택모듈과, 화음을 부르는 가수의 노래가 출력되도록 하는 화음선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은 일정 지역에 설치되어 소리 및 영상을 출력하는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 전면의 사용자를 인식하여 실행되며, 사용자에게 춤에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제공부는 사용자에게 춤에 관련된 영상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영상에 따라 춤을 추는 동안 사용자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영상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춤에 대한 평가정보를 제공하는 댄싱컨텐츠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댄싱컨텐츠제공부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본체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파지시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댄싱컨텐츠제공부는 상기 마이크로부터 사용자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댄싱컨텐츠제공부는 사용자에게 춤의 일정 동작에 관한 영상을 출력하여 트레이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댄싱트레이닝부를 포함하고, 상기 댄싱트레이닝부는 사용자에게 따라할 수 있는 춤 동작을 출력하는 가이드동작출력모듈과, 상기 가이드동작출력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동작을 따라하는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정보수신모듈과, 상기 가이드동작출력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동작과 상기 동작정보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도를 산정하는 동작별일치도산정모듈과, 상기 동작별일치도산정모듈에 의해 산정된 일치도가 기준값 이하인 동작을 선별하여 출력하는 기준이하동작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댄싱트레이닝부는 상기 기준이하동작출력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사용자의 동작과 해당 동작의 상기 가이드동작출력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을 함께 출력하는 동작비교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일정 지역에 설치되어 소리 및 영상을 출력하며, 사용자에게 음악 또는 춤에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과; 상기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에 의해 컨텐츠가 제공되는 동안 사용자의 신체 변화 정보를 측정하는 스마트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스마트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변화 정보를 측정하여 선호도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음악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 맞는 음악 컨텐츠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심장박동정보를 수신하여 심장박동 변화에 따라 선호도를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고 정확한 선호도의 판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에 장착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심장박동정보를 측정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장치 없이도 용이한 심장박동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를 통해 심장박동을 측정하여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으로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소지한 장비로 용이한 컨텐츠의 체험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춤에 관련된 영상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영상과의 일치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춤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체험의 재미를 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 동작에 대한 춤 영상을 제공하고, 동작별로 영상과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기준 이하 동작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부족한 동작에 대한 댄싱 트레이닝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2의 사용자인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2의 컨텐츠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도 4의 음악컨텐츠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도 4의 가수컨텐츠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6의 게임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도 4의 댄싱컨텐츠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도 8의 댄싱트레이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도 2의 마이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마이크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을 이용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도 12의 스마트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4는 스마트디바이스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을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1)은 일정 지역에 설치되어 소리 및 영상을 출력하는 프레임본체(11), 프레임본체(11)의 전면에 형성되어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12), 소리를 출력하는 사운드출력부(13), 프레임본체(11)의 전면에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4), 사용자를 인식하는 사용자인식부(15), 사용자에게 음악, 춤과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부(16), 프레임본체(11)에 장착되는 마이크(17)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1)은 상기 컨텐츠제공부(16)에 의해 음악, 춤 등의 컨텐츠가 제공되는 동안 사용자의 신체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맞춤형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1)은 공연장, 영화관, 놀이 공원 등 음악, 춤 등의 컨텐츠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맞는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본체(11)는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1)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바닥에 설치되거나 벽면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전면에 촬영부(12), 사운드출력부(13), 디스플레이부(14)를 형성하여 사용자를 촬영하고 음악, 사용자의 음성 등을 출력하며, 가수, 댄스, 사용자의 영상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12)는 프레임본체(11)의 전면에 형성되어 사용자를 촬영하는 구성으로, 카메라 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촬영된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4)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출력부(13)는 프레임본체(11)의 일 지점에 형성되어 소리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음악, 가수의 음성, 반주, 마이크(17)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등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는 프레임본체(11)의 전면에 형성되어 화면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가수의 영상, 춤 영상, 사용자의 영상 등의 출력되도록 할 수 있고, 터치가 가능한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메뉴의 선택 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인식부(15)는 상기 프레임본체(11)에 근접하는 사용자를 인식하여 컨텐츠제공부(16)가 실행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평상시에는 특정 이미지 내지 광고를 디스플레이부(14)에 출력되도록 하다가, 사용자가 인식되는 경우 컨텐츠의 제공이 가능한 화면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인식부(15)는 프레임본체(11)에 장착되는 마이크(17)를 감지하여 마이크(17)가 분리되는 경우 컨텐츠제공부(16)가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사용자인식부(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본체(11)에 근접하는 사용자를 인식하는 근접센서모듈(151), 사용자가 인식되는 경우 메뉴화면을 출력하는 메뉴화면출력모듈(152), 프레임본체(11)에 장착된 마이크(17)를 감지하는 마이크감지모듈(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모듈(151)은 프레임본체(11)의 일 지점에 장착되어 프레임본체(11)에 근접하는 사용자를 인지하는 구성으로, 근거리의 물체를 인식하는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인지되는 경우 상기 메뉴화면출력모듈(152)에 의해 메뉴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4)에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메뉴화면출력모듈(152)은 근접센서모듈(151)에 의해 사용자가 인식되는 경우 메뉴화면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상기 컨텐츠제공부(16)의 후술할 음악감상컨텐츠제공부(161), 가수컨텐츠제공부(163), 댄싱컨텐츠제공부(16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감지모듈(153)은 마이크(17)가 장착되는 지점에 인접하도록 프레임본체(11)에 형성되며, 마이크(17)의 인출 여부를 감지하도록 한다. 상기 마이크감지모듈(153)은 프레임본체(11)로부터 마이크(17)가 인출되는 경우 이를 인지하여 컨텐츠제공부(16)가 실행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가수컨텐츠제공부(163)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제공부(16)는 상기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1)을 통해 음악, 춤에 관한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신체 변화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맞는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감상에 관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음악감상컨텐츠제공부(161), 노래를 부를 수 있는 가수 체험에 관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가수컨텐츠제공부(163), 춤을 출 수 있는 댄싱에 관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댄싱컨텐츠제공부(165)를 포함한다.
상기 음악감상컨텐츠제공부(161)는 사용자에게 음악을 출력하여 음악 감상에 관한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신체 변화 정보,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음악의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음악감상컨텐츠제공부(16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악을 먼저 출력하도록 하며, 음악이 출력되는 동안 사용자의 심장박동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사용자의 선호도를 파악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음악과 비슷한 장르, 분위기의 음악을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추천리스트를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음악감상컨텐츠제공부(161)는 추천리스트에 따라 자동으로 음악이 재생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선호도가 높은 음악과 관련된 뮤직비디오, 라디오, 영화 등의 관련 컨텐츠를 추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음악감상컨텐츠제공부(16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를 개시하는 감상컨텐츠개시부(161a), 선택된 음악을 출력하는 음악출력부(161b), 컨텐츠를 추천하는 컨텐츠추천부(161c)를 포함한다.
상기 감상컨텐츠개시부(161a)는 음악감상컨텐츠의 제공이 개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메뉴화면출력모듈(152)에 의해 출력된 메뉴 화면에서 음악감상컨텐츠를 선택한 후, 감상할 음악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음악의 앨범을 인식하도록 하거나 음악 카테고리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감상컨텐츠개시부(161a)는 음악 앨범을 인식하는 앨범인식모듈(161a-1), 음악의 카테고리를 제공하는 카테고리제공모듈(161a-2),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재생리스트를 제공하는 재생리스트제공모듈(161a-3)을 포함한다.
상기 앨범인식모듈(161a-1)은 음악 앨범을 인식하는 구성으로, 음악 앨범에 형성된 바코드, 무선 태그 등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앨범인식모듈(161a-1)은 프레임본체(11)의 일 지점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음악 앨범을 인식하는 경우 앨범에 수록된 음악의 재생리스트가 상기 재생리스트제공모듈(161a-3)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4)에 출력되도록 하여 특정 앨범의 음악을 감상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제공모듈(161a-2)은 음악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의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재생리스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장르별, 가수별, 연도별 등 다양한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재생리스트제공모듈(161a-3)은 상기 앨범인식모듈(161a-1)에 의해 인식되는 앨범의 재생리스트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카테고리의 재생리스트가 디스플레이부(14)에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사용자는 재생리스트에서 감상하고자 하는 음악을 선택하여 상기 음악출력부(161b)에 의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음악출력부(161b)는 상기 사운드출력부(13)를 통해 선택된 음악이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재생리스트제공모듈(161a-3)에 의해 제공된 재생리스트에서 선택된 음악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추천부(161c)에서 추천된 추천리스트에서 선택된 음악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음악출력부(161b)는 상기 컨텐츠추천부(161c)에서 추천되는 추천리스트가 자동으로 재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컨텐츠추천부(161c)는 상기 음악출력부(161b)에 의해 음악이 출력되는 동안 사용자의 신체 변화 정보, 예를 들어 심장박동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선호도를 판단하고, 이에 따른 추천리스트가 제공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프레임본체(11)에 장착되는 마이크(17) 또는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밴드와 같은 스마트디바이스(3)에 의해 측정되는 심장박동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마이크(17)를 잡은 상태로 음악을 감상하여 심장박동정보가 측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자신이 소지한 스마트밴드 등을 통해 심장박동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1)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텐츠추천부(161c)는 출력되는 음악에 따른 사용자의 심장박동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좋게 느끼는 음악을 선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좋아하는 음악과 비슷한 장르, 분위기의 곡을 추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추천부(161c)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정보를 수신하는 심장박동정보수신모듈(161c-1), 심장박동정보에 따라 선호도를 판단하는 선호도판단모듈(161c-2), 선호도에 따라 추천 음악 리스트를 제공하는 추천리스트제공모듈(161c-3), 선호도에 따른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관련컨텐츠제공모듈(161c-4)을 포함한다.
상기 심장박동정보수신모듈(161c-1)은 상기 음악출력부(161b)에 의해 음악이 출력되는 동안 사용자의 심장박동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마이크(17) 또는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3)로부터 심장박동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수신된 심장박동정보는 상기 선호도판단모듈(161c-2)로 전달되어 사용자의 선호도가 판단된다.
상기 선호도판단모듈(161c-2)은 상기 심장박동정보수신모듈(161c-1)에 의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선호도를 판단하는 구성으로, 상기 음악출력부(161b)에 의해 출력되는 음악별로 심장박동정보를 파악하여 선호도가 높은 음악을 선별하도록 하며, 예를 들어 평균 심장 박동수가 빠른 음악을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음악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추천리스트제공모듈(161c-3)은 상기 선호도판단모듈(161c-2)에 의해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음악으로 선별된 음악에 대해 장르 또는 분위기가 비슷한 음악들을 선별하여 추천리스트로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추천리스트제공모듈(161c-3)은 추천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4)에 출력되어 사용자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설정에 따라 상기 음악출력부(161b)에 의해 자동으로 재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1)은 사용자가 좋아하는 음악을 선별하여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은 음악감상컨텐츠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련컨텐츠제공모듈(161c-4)은 상기 선호도판단모듈(161c-2)에 의해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음악으로 선별된 음악에 대해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해당 음악 또는 비슷한 음악의 뮤직비디오, 관련 영화, 해당 가수가 진행하는 라디오 등 선호도가 높은 음악과 관련된 다양한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련컨텐츠제공모듈(161c-4)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4)에 관련 컨텐츠의 리스트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으며, 선택시 곧바로 재생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수컨텐츠제공부(163)는 음악의 반주를 출력하고 반주의 출력에 따른 사용자의 노래를 입력받도록 하여 가수 체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는 동안 사용자의 신체 변화 정보, 예를 들어 심장박동정보를 수신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다음 선곡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수컨텐츠제공부(163)는 실제 가수의 노래가 반주와 함께 출력되도록 하여 가수와 함께 듀엣으로 노래를 부르는 체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가수의 노래가 주음으로 제공되거나 화음으로 제공되도록 하여 이에 따른 게임 형태로 가수 체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가수컨텐츠제공부(163)는 일반 노래 반주 제공 시스템과는 달리 사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음악이 추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선곡을 용이하게 하고, 실제 가수와의 듀엣, 게임 등의 체험을 통해 흥미로운 가수 체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수컨텐츠제공부(16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수컨텐츠를 개시하는 컨텐츠개시부(163a), 가수 체험을 위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163b), 사용자의 신체 변화 정보에 따른 선호도를 판단하여 선곡을 추천하는 선곡추천부(163c), 가수 체험에 관한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제공부(163d)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개시부(163a)는 상기 가수컨텐츠제공부(163)의 실행을 개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메뉴화면출력모듈(152)에 의해 출력되는 메뉴를 선택하여 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마이크(17)가 프레임본체(11)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컨텐츠개시부(163a)는 마이크(17)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마이크감지정보수신모듈(163a-1)과, 사용자에게 선곡리스트를 제공하는 선곡리스트제공모듈(163a-2)을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감지정보수신모듈(163a-1)은 상기 마이크(17)가 프레임본체(11)로부터 이탈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마이크감지모듈(153)에 의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마이크감지정보수신모듈(163a-1)은 상기 마이크감지모듈(153)로부터 마이크(17)가 이탈되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가수컨텐츠제공부(163)가 자동으로 실행되어 상기 선곡리스트제공모듈(163a-2)에 의해 음악리스트가 제공되도록 한다.
상기 선곡리스트제공모듈(163a-2)은 상기 마이크감지정보수신모듈(163a-1)에 의해 마이크(17) 이탈 정보가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메뉴화면출력모듈(152)에 의해 출력되는 화면에서 가수컨텐츠제공부(163)의 실행을 선택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4)에 선곡될 음악의 리스트가 제공되도록 한다. 상기 선곡리스트제공모듈(163a-2)은 음악을 가수, 제목, 장르 등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부(163b)는 가수 컨텐츠의 체험을 위한 음향을 출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선택된 노래의 반주, 마이크(17)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며, 특히 선택된 노래의 실제 가수에 의해 녹음된 노래가 함께 출력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제 가수와 듀엣으로 노래를 부르는 것과 같은 체험을 할 수 있으며, 상기 게임제공부(163d)에서는 실제 가수가 부르는 노래의 모드를 선택하여 다양한 가수 체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음향출력부(163b)는 반주를 출력하는 반주출력모듈(163b-1), 실제 가수의 노래를 출력하는 가수음성출력모듈(163b-2), 마이크(17)에 입력되는 소리를 출력하는 마이크음성출력모듈(163b-3)을 포함한다.
상기 반주출력모듈(163b-1)은 선택된 노래의 반주를 출력한다.
상기 가수음성출력모듈(163b-2)은 선택된 노래의 실제 가수가 녹음한 소리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주 멜로디를 부르는 가수의 음성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가수가 화음을 넣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제 가수와 듀엣을 부르는 것과 같은 체험을 할 수 있으며, 상기 게임제공부(163d)에서 제공되는 게임을 통해 가수와의 호흡에 따라 점수를 얻는 흥미로운 체험을 경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음성출력모듈(163b-3)은 마이크(17)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상기 게임제공부(163d)에서 가수음성출력모듈(163b-2)에 의해 출력되는 음성과 비교되어 점수가 산정되도록 한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선곡추천부(163c)는 사용자가 노래는 부르는 동안 사용자의 신체 변화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도를 판단하고, 선호도가 높은 노래와 비슷한 분위기, 장르의 노래를 추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심장박동정보를 수신하여 선호도를 판단하도록 한다. 사용자의 심작박동정보는 상기 컨텐츠추천부(161c)와 같이 마이크(17) 또는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3)로부터 수신되도록 한다. 상기 선곡추천부(163c)는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면서 좋다고 느끼는 음악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비슷한 음악을 추천하여 선곡리스트로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선곡의 어려움 없이 선호하는 음악을 신속하게 찾아 부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곡추천부(163c)는 심장박동정보를 수신하는 심장박동정보수신모듈(163c-1), 심장박동정보에 따라 선호도를 판단하는 선호도판단모듈(163c-2), 선호도에 따라 추천 선곡 리스트를 제공하는 추천리스트제공모듈(163c-3)을 포함하며, 상기 심장박동정보수신모듈(163c-1), 선호도판단모듈(163c-2), 추천리스트제공모듈(163c-3)은 앞서 설명한 컨텐츠추천부(161c)의 심장박동정보수신모듈(161c-1), 선호도판단모듈(161c-2), 추천리스트제공모듈(161c-3)과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게임제공부(163d)는 흥미있는 가수 체험을 위한 게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실제 가수의 노래가 주음 또는 화음으로 출력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는 실제 가수의 노래에 따라 주음 또는 화음을 부를 수 있도록 하고, 실제 가수가 부르는 노래와의 화성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도록 함으로써 가수와의 듀엣을 더욱 흥미있게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게임제공부(163d)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모듈(163d-1), 가수의 시연 영상을 출력하는 시연출력모듈(163d-2), 가수와의 화성별 점수 기준을 설정하는 화성별점수기준설정모듈(163d-3), 화설별 점수 기준에 따라 점수를 산정하여 출력하는 점수산정모듈(163d-4)을 포함한다.
상기 모드선택모듈(163d-1)은 게임 모드를 선택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수음성출력모듈(163b-2)에 의해 출력되는 가수의 음성을 선택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모드선택모듈(163d-1)은 가수가 주음(주멜로디)를 부른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거나 화음을 부른 음성이 출력되도록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주음모드선택모듈(163d-1')과, 화음모드선택모듈(163d-1'')을 포함한다.
상기 주음모드선택모듈(163d-1')은 상기 가수음성출력모듈(163b-2)에 의해 가수가 선택된 노래의 주음을 부르는 음성이 출력되는 구성으로, 사용자는 주음을 부르는 가수 음성에 화성을 넣는 가수 체험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화성별점수기준설정모듈(163d-3)에 의해 설정되는 기준에 따라 점수를 부여받게 되므로, 가수의 주음에 어려운 화성을 쌓는 화음을 불러 높은 점수를 획득하는 체험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화음모드선택모듈(163d-1'')은 상기 가수음성출력모듈(163b-2)에 의해 가수가 선택된 노래의 화음을 부르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사용자는 주음을 불러 가수와의 듀엣을 실시하도록 한다. 상기 화음모드선택모듈(163d-1'')에 의해 화음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도 가수와의 화성에 따라 점수를 부여받게 되며, 사용자는 주음을 정확하게 부르거나 또 다른 화성을 쌓아 점수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시연출력모듈(163d-2)은 상기 모드선택모듈(163d-1)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4)를 통해 가수의 시연을 출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일정 시간 동안 가수의 노래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가수가 부르는 음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이와 어울리는 화성을 생각하고 게임에 참여할 수 있다.
상기 화성별점수기준설정모듈(163d-3)은 상기 가수음성출력모듈(163b-2)에 의해 출력되는 가수의 노래에 어울리는 화성별 점수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어울리는 화성에 점수가 부여되도록 하며, 어려운 화성일수록 높은 점수가 부여되도록 한다. 또한, 화음모드에서 더욱 높은 점수를 부여받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가수와 일치하는 음을 부르더라도 일정 점수가 부여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성별점수기준설정모듈(163d-3)은 여러 명이 함께 노래하여 어려운 화성을 만들수록 높은 점수가 부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게임제공부(163d)는 가수와의 듀엣 실시를 통한 흥미있는 체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화성에 대한 감각을 익히는 교육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수산정모듈(163d-4)은 상기 화성별점수기준설정모듈(163d-3)에 의해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점수를 산정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수음성출력모듈(163b-2)에 의해 출력되는 가수의 노래와 상기 마이크음성출력모듈(163b-3)에 의해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비교하여 화성에 따른 점수가 산정되도록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4)에 점수를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댄싱컨텐츠제공부(165)는 사용자에게 춤에 관련된 영상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영상에 따라 춤을 추는 동안 사용자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영상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춤에 대한 평가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댄싱컨텐츠제공부(165)는 춤에 관한 영상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이를 따라 춤을 출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 변화 정보, 즉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춤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춤을 제대로 추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색다른 체험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댄싱컨텐츠제공부(165)는 춤의 영상을 동작별로 제공하고 각 동작에 대한 평가 및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춤의 각 동작에 관한 연습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댄싱컨텐츠제공부(16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춤 영상을 제공하여 댄싱 체험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댄싱체험부(165a), 사용자의 춤을 평가하는 댄싱평가부(165b), 춤의 각 동작에 관한 연습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댄싱트레이닝부(165c)를 포함한다.
상기 댄싱체험부(165a)는 사용자에게 음악과 함께 춤 영상을 제공하여 화면을 보고 춤을 출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선곡리스트를 제공하는 선곡리스트제공모듈(165a-1)과, 음악별 댄스영상을 출력하는 곡별댄스영상출력모듈(165a-2)을 포함한다.
상기 선곡리스트제공모듈(165a-1)은 춤 영상이 제공되는 음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4)에 음악리스트를 출력하도록 하며, 카테고리별로 나누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곡별댄스영상출력모듈(165a-2)은 상기 선곡리스트제공모듈(165a-1)에 의해 출력되는 음악별 춤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4)에 출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평가를 실시하지 않고 출력하여 사용자가 춤 동작을 숙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평가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댄싱평가부(165b)에 의해 사용자의 춤에 대한 점수가 부여되어 출력된다.
상기 댄싱평가부(165b)는 상기 댄싱체험부(165a)에서 출력되는 노래와 춤 영상에 따라 사용자가 실시한 춤을 평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춤을 추는 동안 사용자의 동작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동작정보와 상기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1)에 저장된 각 춤의 동작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상기 댄싱평가부(165b)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밴드 등의 스마트디바이스(3) 또는 프레임본체(11)에 장착되는 마이크(17)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는 스마트밴드 등을 착용한 상태로 동작을 실시하여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마이크(17)는 프레임본체(11)에 장착된 마이크(17)를 들고 춤 동작을 실시함으로써 동작 정보가 측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동작 정보의 측정은 스마트디바이스(3) 또는 마이크(17)의 후술할 동작인식부(31,175)에 의해 이루어져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1)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양손에 각각 스마트디바이스(3) 및 마이크(17)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춤 동작을 실시할 수 있으며, 양쪽의 춤 동작에 대해 평가를 실시하여 춤 동작에 대한 더욱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댄싱평가부(165b)는 사용자의 동작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정보수신모듈(165b-1), 수신된 동작정보와 미리 저장된 춤 영상의 동작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일치여부판단모듈(165b-2), 일치여부에 따라 점수를 산정하여 출력하는 점수출력모듈(165b-3)을 포함한다.
상기 동작정보수신모듈(165b-1)은 사용자가 상기 댄싱체험부(165a)에 의해 제공되는 음악 및 춤 영상에 따라 실시하는 춤의 동작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3) 또는 마이크(17)로부터 동작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며, 수신된 동작정보는 일치여부판단모듈(165b-2)로 전달되어 동작의 일치 여부가 판단된다. 또한, 상기 동작정보수신모듈(165b-1)은 스마트디바이스(3) 및 마이크(17)로부터 동시에 동작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양 손에 각각 스마트디바이스(3) 및 마이크(17)를 위치하도록 한 후 춤을 추게 되며, 이에 따라 춤 동작에 관한 더욱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일치여부판단모듈(165b-2)은 사용자의 동작정보와 미리 저장된 춤 영상의 동작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으로, 각 동작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며, 각 동작의 일치 여부는 상기 점수출력모듈(165b-3)로 전달되어 춤 동작의 점수가 산정된다. 또한, 상기 일치여부판단모듈(165b-2)은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 및 마이크(17)로부터 동시에 동작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각각에 대해 일치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점수출력모듈(165b-3)은 춤 동작의 일치 여부에 따라 점수를 산정하여 디스플레이부(14)로 출력하는 구성으로, 각 동작의 일치 여부를 종합하여 일치 정도에 따라 전체 점수를 산정하도록 한다.
상기 댄싱트레이닝부(165c)는 춤의 각 동작에 대한 연습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일정 춤 동작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이를 따라할 수 있도록 하고, 동작별로 일치도를 산정하여 기준 이하의 동작을 영상의 동작과 비교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춤 동작의 연습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댄싱트레이닝부(165c)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이도선택모듈(165c-1), 가이드동작출력모듈(165c-2), 동작별일치도산정모듈(165c-4), 기준이하동작출력모듈(165c-5), 동작비교출력모듈(165c-6), 동작재실행모듈(165c-7)을 포함한다.
상기 난이도선택모듈(165c-1)은 트레이닝의 난이도를 선택하는 구성으로, 춤 동작을 난이도별로 나누어 저장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난이도의 동작이 가이드동작출력모듈(165c-2)에 의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동작출력모듈(165c-2)은 사용자가 트레이닝할 춤 동작을 디스플레이부(14)로 출력하는 구성으로, 난이도선택모듈(165c-1)에 의해 선택된 난이도에 따른 춤 동작이 출력되도록 하며, 복수의 춤 동작을 하나의 세트로 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동작정보수신모듈(165c-3)은 가이드동작출력모듈(165c-2)에 의해 출력되는 춤 동작을 따라하는 사용자의 동작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댄싱평가부(165b)의 동작정보수신모듈(165b-1)과 동일하게 스마트디바이스(3) 또는 마이크(17)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며, 또는 스마트디바이스(3) 및 마이크(17)로부터 동시에 동작정보를 수신하여 양팔의 춤 동작을 동시에 트레이닝 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동작별일치도산정모듈(165c-4)은 가이드동작출력모듈(165c-2)에 의해 출력되는 춤 동작과 사용자의 춤 동작을 동작별로 비교하여, 각 동작의 일치도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동작의 방향, 속도 등에 따라 일치도를 연산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동작의 일치 여부를 개별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동작별일치도산정모듈(165c-4)은 스마트디바이스(3)와 마이크(17)를 동시에 착용하고 트레이닝을 실시하는 경우 양측의 각 동작별로 일치도를 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준이하동작출력모듈(165c-5)은 상기 동작별일치도산정모듈(165c-4)에 의해 산정되는 각 동작별 일치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의 일치도를 갖는 동작을 선별하여 디스플레이부(14)에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복수의 동작 중 기준 이하의 동작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동작비교출력모듈(165c-6)은 상기 기준이하동작출력모듈(165c-5)에 의해 기준값 이하의 일치도를 갖는 동작으로 선별된 동작과 기 저장된 춤 동작의 영상을 비교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부족한 동작을 기준이 되는 동작과 비교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문제점을 쉽게 파악하고 효율적인 트레이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동작재실행모듈(165c-7)은 상기 동작비교출력모듈(165c-6)에 의해 부족한 춤 동작을 저장된 기준 동작과 비교하여 출력한 후, 해당 동작을 다시 실행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해당 동작에 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4)에 출력하면서 사용자의 동작을 유도하고, 측정된 동작 정보를 다시 수신하도록 하며, 상기 기준이하동작출력모듈(165c-5)을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부족한 동작이 없을 때까지 트레이닝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7)는 상기 프레임본체(11)에 장착되며, 음성을 입력받아 전달하고, 심박측정 및 동작인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이크(17)를 들고 노래를 부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이크(17)를 잡고 노래를 부르거나 음악을 감상하는 동안 심장박동이 측정되어 상기 음악감상컨텐츠제공부(161) 또는 가수컨텐츠제공부(163)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동작이 인식되어 상기 댄싱컨텐츠제공부(165)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마이크(17)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음성을 전달하는 음성전달부(171), 사용자의 심장박동을 측정하는 심박측정부(173),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인식부(175)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전달부(171)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컨텐츠제공부(16)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사용자의 노래를 입력받아 상기 가수컨텐츠제공부(163)로 전달하여 게임제공부(163d)에 의한 게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음성전달부(171)는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입력모듈(171a), 입력된 음성을 전달하는 음성전송모듈(171b)을 포함한다.
상기 심박측정부(173)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을 측정하여 컨텐츠제공부(16)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음악감상컨텐츠제공부(161) 및 가수컨텐츠제공부(163)로 전달하도록 한다. 상기 심박측정부(173)는 사용자가 상기 음악감상컨텐츠제공부(161)를 통해 출력되는 음악을 감상하는 동안 또는 가수컨텐츠제공부(163)에 의해 제공되는 반주 및 가수음성에 따라 노래를 부르는 동안, 도 11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17)를 잡은 사용자의 심장박동을 측정하도록 하며, 측정된 심장박동정보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어 선호도 높은 음악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심박측정부(173)는 심장박동정보를 측정하는 심박측정센서모듈(173a)과, 측정된 심장박동정보를 전송하는 심박정보전송모듈(173b)을 포함한다.
상기 심박측정센서모듈(173a)은 마이크(17)의 손잡이 부분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마이크(17)를 잡을 때 사용자의 심장박동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심작박동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심박정보전송모듈(173b)은 측정된 심박정보를 음악감상컨텐츠제공부(161) 및 가수컨텐츠제공부(163)에 전송하는 구성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심박정보를 전송하여 음악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도록 한다.
상기 동작인식부(175)는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상기 댄싱컨텐츠제공부(165)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도 11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17)를 잡고 댄싱체험부(165a)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을 따라 춤을 추거나, 상기 댄싱트레이닝부(165c)에 의해 춤 동작의 연습을 실시할 때,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측정하여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동작인식부(175)는 사용자의 춤에 관한 평가를 받을 수 있으며, 각 춤 동작의 일치도를 산정하여 각 동작에 관한 트레이닝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동작인식부(175)는 상기 마이크(17) 내에 내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동작 정보를 측정하는 동작정보측정모듈(175a)과, 측정된 동작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정보전송모듈(175b)을 포함한다.
상기 동작정보측정모듈(175a)은 마이크(17)의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동작 인식이 가능한 다양한 센서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축의 자이로 센서와 3축의 가속도 센서가 결합된 6축 센서가 적용되도록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동작정보측정모듈(175a)은 동작의 방향, 속도 등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1)에 저장된 춤 동작의 방향, 속도 등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 동작의 정보를 비교하여 기존 동작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동작정보전송모듈(175b)은 상기 동작정보측정모듈(175a)에 의해 측정된 동작정보를 댄싱컨텐츠제공부(165)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동작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1)을 이용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하여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C)은 일정 지역에 설치되어 소리 및 영상을 출력하며, 사용자에게 음악 또는 춤에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1)과; 상기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1)에 의해 컨텐츠가 제공되는 동안 사용자의 신체 변화 정보를 측정하는 스마트디바이스(3);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는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1)과 연동되어 사용자의 신체 변화 정보를 전달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밴드, 스마트폰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손목에 착용하는 스마트밴드를 일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을 측정하거나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도록 하여 심장박동의 측정을 통해 사용자 선호도의 판단이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 동작의 인식을 통해 춤에 대한 평가 및 트레이닝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는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인식부(31)와, 심장박동을 측정하는 심박측정부(33)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인식부(31)는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구성으로, 스마트밴드 등의 스마트디바이스(3) 내에 내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4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밴드가 손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댄싱컨텐츠제공부(165)로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춤에 대한 평가 및 트레이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동작인식부(31)는 동작에 관한 정보를 측정하는 동작정보측정모듈(311)과 측정된 동작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정보전송모듈(313)을 포함하며, 이는 상기 마이크(17)의 동작정보측정모듈(175a) 및 동작정보전송모듈(175b)에 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상기 심박측정부(33)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스마트밴드 등의 스마트디바이스(3) 내에 내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14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밴드가 손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심장박동을 측정하여 상기 음악감상컨텐츠제공부(161) 또는 가수컨텐츠제공부(163)로 전달되도록 한다. 따라서, 음악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음악과 비슷한 음악이 사용자에게 추천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심박측정부(33)는 심장박동을 측정하는 심박측정센서모듈(331)과, 측정된 심장박동정보를 전송하는 심박정보전송모듈(333)을 포함하며, 이는 상기 마이크(17)의 심박측정센서모듈(173a) 및 심박정보전송모듈(175b)에 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
11: 프레임본체 12: 촬영부 13: 사운드출력부 14: 디스플레이부
15: 사용자인식부
151: 근접센서모듈 152: 메뉴화면출력모듈 153: 마이크감지모듈
16: 컨텐츠제공부 161: 음악감상컨텐츠제공부
161a: 감상컨텐츠개시부 161a-1: 앨범인식모듈
161a-2: 카테고리제공모듈 161a-3: 재생리스트제공모듈
161b: 음악출력부 161c: 컨텐츠추천부 161c-1: 심장박동정보수신모듈
161c-2: 선호도판단모듈 161c-3: 추천리스트제공모듈
161c-4: 관련컨텐츠제공모듈
163: 가수컨텐츠제공부 163a: 컨텐츠개시부
163a-1: 마이크감지정보수신모듈 163a-2: 선곡리스트제공모듈
163b: 음향출력부 163b-1: 반주출력모듈 163b-2: 가수음성출력모듈
163b-3: 마이크음성출력모듈 163c: 선곡추천부
163c-1: 심장박동정보수신모듈 163c-2: 선호도판단모듈
163c-3: 추천리스트제공모듈 163d: 게임제공부 163d-1: 모드선택모듈
163d-2: 시연출력모듈 163d-3: 화성별점수기준설정모듈
163d-4: 점수산정모듈
165: 댄싱컨텐츠제공부 165a: 댄싱체험부 165a-1: 선곡리스트제공모듈
165a-2: 곡별댄스영상출력모듈 165b: 댄싱평가부
165b-1: 동작정보수신모듈 165b-2: 일치여부판단모듈
165b-3: 점수출력모듈 165c: 댄싱트레이닝부 165c-1: 난이도선택모듈
165c-2: 가이드동작출력모듈 165c-3: 동작정보수신모듈
165c-4: 동작별일치도산정모듈 165c-5: 기준이하동작출력모듈
165c-6: 동작비교출력모듈 165c-7: 동작재실행모듈
17: 마이크 171: 음성전달부
171a: 음성입력모듈 171b: 음성전송모듈
172: 심박측정부 172a: 심바측정센서모듈 172b: 심박정보전송모듈
175: 동작인식부 175a: 동작정보측정모듈 175b: 동작정보전송모듈
3: 스마트디바이스
31: 동작인식부 311: 동작정보측정모듈 313: 동작정보전송모듈
33: 심박측정부 331: 심박측정센서모듈 333: 심박정보전송모듈

Claims (17)

  1. 일정 지역에 설치되어 소리 및 영상을 출력하는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 전면의 사용자를 인식하여 실행되며, 사용자에게 음악 및 춤에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부와;
    상기 프레임본체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파지시 심장박동과 사용자의 동작정보를 측정하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제공부는,
    컨텐츠의 제공시 상기 마이크로부터 사용자의 심장박동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도를 판단하고, 선호도에 따른 음악 컨텐츠의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컨텐츠제공부는,
    사용자에게 음악을 출력하여 음악감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음악감상컨텐츠제공부와; 음악의 반주를 출력하고 반주의 출력에 따른 사용자의 노래를 입력받도록 하여 가수 체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가수컨텐츠제공부와; 사용자에게 춤에 관련된 영상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영상에 따라 춤을 추는 동안 사용자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영상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춤에 대한 트레이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댄싱컨텐츠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악감상컨텐츠제공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을 출력하는 음악출력부와, 상기 음악출력부에 의해 음악이 제공되는 동안 사용자의 심장박동에 따른 선호도를 판단하여 컨텐츠를 추천하는 컨텐츠추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수컨텐츠제공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의 반주 및 실제 가수의 노래를 함께 출력하는 음향출력부와,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는 동안 사용자의 심장박동에 따른 선호도를 판단하여 선곡을 추천하는 선곡추천부와, 가수 체험에 관한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추천부 및 선곡추천부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정보를 수신하는 심장박동정보수신모듈과, 상기 심장박동정보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심장박동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선호도를 판단하는 선호도판단모듈과, 상기 선호도판단모듈에 의해 판단된 선호도정보에 따라 선호도가 높은 음악과 관련된 음악의 추천리스트를 제공하는 추천리스트제공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출력부는,
    선택된 노래의 반주를 출력하는 반주출력모듈과, 선택된 노래의 실제 가수가 녹음한 소리를 출력하는 가수음성출력모듈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가수 음성과 동시에 출력하는 마이크음성출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게임제공부는,
    게임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모듈과, 가수음성출력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실제 가수의 노래와의 화성에 따라 점수기준을 설정하는 화성별점수기준설정모듈과, 반주와 함께 출력되는 가수의 노래와 실제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의 소리의 화성에 따라 화성별점수기준설정모듈에 의해 설정된 기준을 바탕으로 점수를 산정하는 점수산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모드선택모듈은 주음을 부르는 가수의 노래가 출력되도록 하는 주음선택모듈과, 화음을 부르는 가수의 노래가 출력되도록 하는 화음선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화성별점수기준설정모듈은 화음의 난이도가 높을수록 높은 점수가 부여되도록 설정되도록 하며,
    상기 마이크는 마이크가 움직이는 방향, 속도에 따라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댄싱컨텐츠제공부로 제공하는 동작인식부를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댄싱컨텐츠제공부는,
    사용자에게 춤의 일정 동작에 관한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동작정보에 따라 트레이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댄싱트레이닝부;를 포함하며,
    상기 댄싱트레이닝부는,
    사용자에게 따라할 수 있는 춤 동작을 출력하는 가이드동작출력모듈과, 상기 가이드동작출력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동작을 따라하는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정보수신모듈과, 상기 가이드동작출력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동작과 상기 동작정보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도를 산정하는 동작별일치도산정모듈과, 상기 동작별일치도산정모듈에 의해 산정된 일치도가 기준값 이하인 동작을 선별하여 출력하는 기준이하동작출력모듈과, 상기 기준이하동작출력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사용자의 동작과 해당 동작의 상기 가이드동작출력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을 함께 출력하는 동작비교출력모듈과, 기준 이하의 동작들을 다시 출력하면서 사용자의 동작정보를 수신하여 반복적으로 기준 이하 동작들을 선별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재실행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70011879A 2017-01-25 2017-01-25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1953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879A KR101953964B1 (ko) 2017-01-25 2017-01-25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879A KR101953964B1 (ko) 2017-01-25 2017-01-25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630A KR20180087630A (ko) 2018-08-02
KR101953964B1 true KR101953964B1 (ko) 2019-03-04

Family

ID=6325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879A KR101953964B1 (ko) 2017-01-25 2017-01-25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9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861B1 (ko) * 2023-08-03 2024-02-06 (주)성산기획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및 이의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1266A (ko) * 2012-09-27 2014-04-04 이보람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댄스 및 노래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60095464A (ko) * 2015-02-03 2016-08-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얼굴 감정 인식 방법을 적용한 사이니지용 콘텐츠 추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630A (ko)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1488B1 (ko) 동작 기반 인터랙티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9405363B2 (en) Audio, video, simulation, and user interface paradigms
US89875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nsory information related to music
JP6137935B2 (ja) 身体動作評価装置、カラオ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10803762B2 (en) Body-motion assessment device, dance assessment device, karaoke device, and game device
CN100506151C (zh) 动作支持方法和设备
JP5786361B2 (ja) 報知信号制御装置
US20030031062A1 (en) Evaluating program, recording medium thereof, timing evaluating apparatus, and timing evaluating system
JP2018146898A (ja) 装置、ロボッ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17258A (ko) 사용자 참여형 피트니스 강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트니스 훈련방법
JP2015041097A (ja) 認知機能低下予防装置、及び、認知機能低下予防装置の制御方法
KR20190093770A (ko) 인공지능기반 맞춤형 음악추천에 따른 학습생성데이터의 다자간 모바일 컨텐츠 공유서비스 및 시스템
KR101508927B1 (ko) 개인용 악기연주 연습시스템
KR102165844B1 (ko) 피아노 연주 학습 보조 장치
TWI427573B (zh) 肢體互動式學習方法與裝置
KR20140041266A (ko)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댄스 및 노래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53964B1 (ko)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JP2019053170A (ja) 楽器練習装置
CN110853624A (zh) 言语康复训练系统
JP6501344B2 (ja) 聴取者評価を考慮したカラオケ採点システム
JP6944357B2 (ja) 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
KR101247794B1 (ko) 골프 레슨을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JP5928279B2 (ja) 運動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572784B1 (ko) 노래 및 경품 자판기의 제어방법
JP5047748B2 (ja) 動画表示システム、動画表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