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372B1 -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 - Google Patents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372B1
KR101953372B1 KR1020170110638A KR20170110638A KR101953372B1 KR 101953372 B1 KR101953372 B1 KR 101953372B1 KR 1020170110638 A KR1020170110638 A KR 1020170110638A KR 20170110638 A KR20170110638 A KR 20170110638A KR 101953372 B1 KR101953372 B1 KR 101953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bobbin
assembly
current sensor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종섭
김종식
강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프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프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프로스
Priority to KR1020170110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372B1/ko
Priority to PCT/KR2018/007889 priority patent/WO201904526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01R15/186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using current transformers with a core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e.g. clamp-on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01F38/30Constru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 Y04S20/3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마트 전류 센서에 공급되는 전원을 기존의 내장 배터리 또는 외부 상용전원 방식에서 자가발전 방식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스마트 센서의 동작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향상시키며, 센서와 전원공급장치를 일원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하드웨어 적인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에 관한 것으로, 한쌍의 U자형 제1 및 제2 코어부가 서로 대칭되도록 접하여 형성된 타원형의 코어가 있고, 상기 코어의 제1 코어부의 일측에 2차 권선을 감기 위한 보빈이 조립되며, 상기 코어와 보빈의 조립체가 상기 보빈에 형성된 복수개의 보빈 레그를 통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되 상기 복수개의 보빈 레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2차 권선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코어와 보빈과 인쇄회로기판의 조립체를 케이스에 수납한다.

Description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Self-Powering Smart Current Sensor}
본 발명은 하드웨어적인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전류 센서에 공급되는 전원을 기존의 내장 배터리 또는 외부 상용전원 방식에서 자가발전 방식으로 대체하여 외부로부터의 별도 전원 공급 없이 독립적으로 동작이 가능한 하드웨어 적인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oT(Internet of Things)는 인터넷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해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솔루션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신사업 분야이다.
다양한 Io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센서 기술, 무선 통신 기술, 정보 통신 기술, 응용 소프트웨어 기술 등 핵심적 요소 기술들이 필요하다.
여기서 스마트 센서란 기존 센서에 논리, 판단, 통신 기능이 결합되어 데이터 처리, 자동 보정 및 자가 진단, 의사결정 기능을 수행하는 고기능, 고정밀, 고편의성, 고부가가치 센서를 의미한다.
스마트 센서 관련 종래의 전원 기술은 센싱 및 무선통신을 위해 ① 외장 전원공급장치 사용(상용전원 또는 대용량 배터리) 방식, ② 내장 배터리 사용 방식이 주를 이룬다. 상기 ①의 방식은 현장설치가 복잡하고 설치 후 위치변경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무선 센서 시스템의 확장 등의 유연성이 떨어진다. 상기 ② 방식의 경우 내장 배터리를 사용하여 스마트센서를 일체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지만 제품 크기의 제한으로 인한 배터리 용량의 제약에 따라 장시간의 동작수명을 갖는 제품을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따라서 주기적으로 내장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Electrodynamic, Small size Photovoltaic, Thermoelectric, Piezoelectric 등의 기술을 적용하여 ③ 스마트 센서의 설치 환경에 존재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고 대상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 등의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으나, 설치 현장의 환경이 항상 일정한 것만은 아니어서 시스템 동작 안전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종래의 스마트 전류 센서의 경우 해당 센서의 (설치 환경에 존재하는 에너지로서 사용할 수 있는) 센싱 전류가 매우 작은 미세 전류이기 때문에 (정밀 계측이 가능하지만) 이러한 미세 전류로는 필요한 전력을 생성하여 전원으로 활용하기가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0861호(2017.05.22.)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전류 센서에 공급되는 전원을 기존의 내장 배터리 또는 외부 상용전원 방식에서 자가발전 방식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스마트 센서의 동작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향상시키며, 센서와 전원공급장치를 일원화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개시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40861호(2017.05.22.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등록특허공보 제10-1740861호에 개시된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에 대응하는 하드웨어 적인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스마트 전류 센서에 공급되는 전원을 기존의 내장 배터리 또는 외부 상용전원 방식에서 자가발전 방식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스마트 센서의 동작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향상시키며, 센서와 전원공급장치를 일원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하드웨어 적인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는, 한쌍의 U자형 제1 및 제2 코어부가 서로 대칭되도록 접하여 형성된 타원형의 코어가 있고, 상기 코어의 제1 코어부의 일측에 2차 권선을 감기 위한 보빈이 조립되며, 상기 코어와 보빈의 조립체(이하, 제1 조립체)가 상기 보빈에 형성된 복수개의 보빈 레그를 통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되 상기 복수개의 보빈 레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2차 권선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코어와 보빈과 인쇄회로기판의 조립체(이하, 제2 조립체)를 케이스에 수납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2 코어부를 제외한 제2 조립체를 수납하도록 밑면과 측면이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하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되 상기 수납된 제2 조립체의 제1 코어부의 단부가 드러나도록 덮는 내부 커버와, 상기 제1 코어부의 드러난 단부와 제2 코어부의 대응하는 단부가 접하도록 코어를 조립한 후 상기 제2 코어부를 포함한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 전체를 덮도록 상면과 측면이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 상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의 결합 시 해당 결합부위에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1차 권선이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빈은 U자형 제1 코어부의 하부를 감싸는 원통형 권선부가 형성되어 그 위에 2차 권선이 감기고, 상기 원통형 권선부의 양 측에 수직으로 판형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판형 플랜지의 하부에 상기 보빈 레그가 수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빈은 서로 대칭하는 반쪽의 제1 보빈부와 다른 반쪽의 제2 보빈부가 서로 맞물려 조립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커버는 상기 원통형 권선부에 감긴 제2 권선의 위를 눌러 지지하고 상기 판형 플랜지부의 상단을 눌러 지지하도록, 상기 내부 커버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누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제2 코어부와 접하는 부위에 탄성력을 가지고 유동할 수 있으면서 상기 코어의 상기 제2 코어부의 상면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유동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몸체의 바닥면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홈부와 돌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몸체의 측면부에는 상기 제2 조립체의 수납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등록특허공보 제10-1740861호에 개시된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에 대응하는 하드웨어 적인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스마트 전류 센서에 공급되는 전원을 기존의 내장 배터리 또는 외부 상용전원 방식에서 자가발전 방식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스마트 센서의 동작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향상시키며, 센서와 전원공급장치를 일원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하드웨어 적인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하드웨어 적인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는, 보빈 레그를 통해 인쇄회로기판 상에서 보빈을 지지함과 아울러 보빈에 권선된 2차 권선과 인쇄회로기판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보빈 장착 및 권선의 전기적 연결을 쉽고 견고하게 할 수 있고, 하부 몸체내에 제1 코어부와 보빈과 인쇄회로기판의 조립체를 수납할 시 수납된 조립체를 내부 커버(의 누름부)를 통해 견고하게 지지하여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고 외부 커버로서의 상부 몸체의 오픈 시 수납된 내부 구성품(조립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부 몸체의 탄성유동부를 통해 케이스 내에 전체 조립체의 수납 시 케이스와 제2 조립체가 케이스 내에서 완충 누름 지지되어 이격 없이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의 하부 몸체의 바닥면과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에 서로 대응하도록 각각 형성된 홈부와 돌부 및 케이스의 하부 몸체의 측면부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통해 제2 조립체의 수납시 수납 위치나 방향 등이 정렬 및 가이드되어 수납 조립을 쉽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의 제1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의 다양한 방향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의 종단면도,
도 6은 기존의 다양한 IoT(Internet of Things) 서비스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의 제1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의 다양한 방향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제2 코어부(120)를 제외한 제1 코어부(110)와 보빈(200)과 인쇄회로기판(300)을 조립한 제1 조립체(110+200+300)의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평면도, (d)는 저면도, (e)(f)는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케이스(400)의 하부 몸체(410)에 도 2의 제1 조립체(110+200+300)를 수납하고 상부 몸체(430)에 제2 코어부(120)를 수납한 제1 조립 상태도, (b)는 (a)에서 내부 커버(420)를 닫은 제2 조립 상태도, (c)는 (b)에서 상부 몸체(430)를 하부 몸체(410)에 덮어 후크(450) 결합한 최종 조립 상태도이다.
도 4의 (a)(b)(c)(d)는 각각 도 3(c)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4의 (e)(f)는 각각 도 3(a)의 평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을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는, 코어(100), 보빈(200), 인쇄회로기판(300), 및 케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100)는 한쌍의 U자형 제1 코어부(110)및 제2 코어부(120)가 서로 대칭되도록 접하여 타원형 코어의 완성체를 형성한다.
보빈(200)은 코어(100)의 제1 코어부(110)의 하부에 2차 권선(미도시)을 감을 수 있도록 코어(100)에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대칭하는 반쪽의 제1 보빈부(210)와 다른 반쪽의 제2 보빈부(220)가 서로 맞물려 조립 형성된다.
도 2를 보면, 제1 보빈부(210)와 제2 보빈부(220)가 맞물림 구조로 결합된 보빈(200)은 U자형 제1 코어부(110)의 하부를 감싸는 원통형 권선부(230)가 형성되어 그 위에 제2 권선이 감기고, 원통형 권선부(230)의 양 측에 수직으로 판형 플랜지(240)가 형성되며, 판형 플랜지(240)의 하부에 보빈 레그(250)가 수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빈(200)은 제1 보빈부(210)와 제2 보빈부(220)가 맞물림 구조로 결합되므로 결합 고정력을 향상한다.
인쇄회로기판(300)은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의 각종 전기/전자 부품이 양면 실장되는 것으로, 전술한 코어(100)와 보빈(200)의 조립체(이하, 제1 조립체)(100+200)가 보빈(200)에 형성된 복수개의 보빈 레그(250)를 통해 인쇄회로기판(300)에 실장되고, 이때 복수개의 보빈 레그(25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보빈(200)을 통해 코어(100)에 권선된 2차 권선(미도시)과 인쇄회로기판(3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400)는 코어(100)와 보빈(200)과 인쇄회로기판(300)의 조립체(이하, 제2 조립체)(100+200+300)를 안전하게 수납하여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도 1,3을 보면, 제2 코어부를 제외한 도 2의 제2 조립체(110+200+300)를 수납하도록 밑면과 측면이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하부 몸체(410)와, 하부 몸체(4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되 수납된 제2 조립체(110+200+300)의 제1 코어부(110)의 단부가 드러나도록 덮는 내부 커버(420)와, 제1 코어부(110)의 드러난 단부와 제2 코어부(120)의 대응하는 단부가 접하면서 조립될 수 있도록 제2 코어부(120)가 내부에 삽입된 후 제2 코어부(120)를 포함한 하부 몸체(410)의 상부 전체를 덮도록 상면과 측면이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 상부 몸체(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5를 보면, 상부 몸체(430)와 하부 몸체(410)의 결합 시 해당 결합부위에 케이스(400)를 관통하는 관통홀(440)이 형성되어 그 관통홀(440)을 통해 계측용 대상이 되는 1차 권선으로서의 전선(미도시)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3,4를 보면, 내부 커버(420)는 보빈(200)의 원통형 권선부(230)에 감긴 제2 권선(미도시)의 위를 눌러 지지하고 보빈(200)의 판형 플랜지부(240)의 상단을 눌러 지지하도록, 내부 커버(42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누름부(421)를 포함할 수 있고, 누름부(421)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하면은 권선을 눌러 지지하고 상면은 관통홀(440)을 통해 계측용 대상이 되는 1차 권선으로서의 전선(미도시)이 통과할 때 해당 전선을 가이드 및 지지하는 제1 누름부(421a) 및 제1 누름부(421a)의 가장자리 네 귀퉁이 부분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판형 플랜지부(240)의 상단을 눌러 지지하는 제2 누름부(421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4를 보면, 하부 몸체(410)와 상부 몸체(430)의 결합 시 상부 몸체(410)와 하부 몸체(430)는 후크(450) 방식으로 잠금 결합할 수 있다.
도 3,5를 보면, 상부 몸체(430)의 상부면에는 제2 코어부(120)와 접하는 부위에 탄성력을 가지고 유동할 수 있으면서 코어(100)의 제2 코어부(120)의 상면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유동부(431)가 형성되고, 제2 코어부(120)가 상부 몸체(430)에 삽입되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코어고정후크부(43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보면, 하부 몸체(410)의 바닥면과 인쇄회로기판(300)의 하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홈부(411)와 돌부(311)가 각각 형성되어 도 2의 제2 조립체의 인쇄회로기판(100)을 하부 몸체(410)내에 고정 수납할 수 있다.
하부 몸체(410)의 측면부에는 도 2의 제2 조립체의 수납 시 보빈(200)의 판형 플랜지(240)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형태의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보면 인쇄회로기판(300)의 하면상에는 칩 엘이디(Chip LED)가 실장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도 4를 보면 하부 몸체(410)의 바닥면에는 LED 빛이 통과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엘이디 홀(4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400)의 하부 몸체(410)와 상부 몸체(430)는 서로 플렉시블 한 힌지부(461)로 연결되어 있고, 하부 몸체(410)와 내부 커버(420)도 서로 플렉시블 한 힌지부(462)로 연결될 수 있는데, 힌지부(461,462)는 가운데 부분에 비해 양측 가장자리 부분이 상대적으로 두껍게 케이스(400)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빈 레그(250)를 통해 인쇄회로기판(300) 상에서 보빈(200)을 지지함과 아울러 보빈(200)에 권선된 2차 권선(미도시)과 인쇄회로기판(300)의 회로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보빈 장착 및 권선의 전기적 연결을 쉽고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몸체(410)내에 도 2에 도시된 제1 코어부(110)와 보빈(200)과 인쇄회로기판(300)의 조립체(110+200+300)를 수납할 시 수납된 조립체(110+200+300)를 내부 커버(420)의 누름부(421)를 통해 견고하여 지지하여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고, 외부 커버로서의 상부 몸체(430)의 오픈 시 수납된 내부 구성품(조립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몸체(430)의 탄성유동부(431)를 통해 케이스(400) 내에 전체 조립체(100+200+300)의 수납 시 케이스(400)와 조립체(100+200+300)가 케이스 내에서 완충 누름 지지되어 이격 없이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하부 몸체(410)의 바닥면과 인쇄회로기판(300)의 하면에 서로 대응하도록 각각 형성된 홈부(411)와 돌부(311) 및 케이스(400)의 하부 몸체(410)의 측면부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통해, 조립체(100+200+300)의 수납 시 수납 위치나 방향 등이 정렬 및 가이드 되어 수납 조립을 쉽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코어
110,120: 제1,2 코어부
200: 보빈
210,220: 제1,2 보빈부
230: 원통형 권선부
240: 판형 플랜지
250: 보빈 레그
300: 인쇄회로기판
400: 케이스
410: 케이스의 하부 몸체
420: 케이스의 내부 커버
430: 케이스의 상부 몸체

Claims (7)

  1. 한쌍의 U자형 제1 및 제2 코어부가 서로 대칭되도록 접하여 형성된 타원형의 코어가 있고,
    상기 코어의 제1 코어부의 일측에 2차 권선을 감기 위한 보빈이 조립되며,
    상기 코어와 보빈의 조립체(이하, 제1 조립체)가 상기 보빈에 형성된 복수개의 보빈 레그를 통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되 상기 복수개의 보빈 레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2차 권선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코어와 보빈과 인쇄회로기판의 조립체(이하, 제2 조립체)를 케이스에 수납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2 코어부를 제외한 제2 조립체를 수납하도록 밑면과 측면이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하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되 상기 수납된 제2 조립체의 제1 코어부의 단부가 드러나도록 덮는 내부 커버와, 상기 제1 코어부의 드러난 단부와 제2 코어부의 대응하는 단부가 접하도록 코어를 조립한 후 상기 제2 코어부를 포함한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 전체를 덮도록 상면과 측면이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 상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는 서로 플렉시블 한 힌지부로 연결되고, 상기 힌지부는 가운데 부분에 비해 양측 가장자리 부분이 상대적으로 두껍게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의 결합 시 해당 결합부위에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1차 권선이 통과하며,
    상기 보빈은 U자형 제1 코어부의 하부를 감싸는 원통형 권선부가 형성되어 그 위에 2차 권선이 감기고, 상기 원통형 권선부의 양측에 수직으로 판형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판형 플랜지의 하부에 상기 보빈 레그가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부 커버는 상기 원통형 권선부에 감긴 제2 권선의 위를 눌러 지지하고 상기 판형 플랜지부의 상단을 눌러 지지하도록 상기 내부 커버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서로 대칭하는 반쪽의 제1 보빈부와 다른 반쪽의 제2 보빈부가 서로 맞물려 조립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제2 코어부와 접하는 부위에 탄성력을 가지고 유동할 수 있으면서 상기 코어의 상기 제2 코어부의 상면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유동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의 바닥면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홈부와 돌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의 측면부에는 상기 제2 조립체의 수납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
KR1020170110638A 2017-08-31 2017-08-31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 KR101953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638A KR101953372B1 (ko) 2017-08-31 2017-08-31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
PCT/KR2018/007889 WO2019045260A1 (ko) 2017-08-31 2018-07-12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638A KR101953372B1 (ko) 2017-08-31 2017-08-31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372B1 true KR101953372B1 (ko) 2019-02-28

Family

ID=6552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638A KR101953372B1 (ko) 2017-08-31 2017-08-31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3372B1 (ko)
WO (1) WO201904526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004Y1 (ko) * 2004-09-15 2004-12-03 주식회사 평일 클램프 변류기
JP2012202748A (ja) * 2011-03-24 2012-10-22 U R D:Kk クランプ式電流センサ
JP2013044532A (ja) * 2011-08-22 2013-03-04 Fujitsu Ltd 電気信号検出端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力測定装置
JP2014175317A (ja) * 2013-03-05 2014-09-22 Tdk Corp コイル装置
KR101740861B1 (ko) 2016-05-17 2017-05-29 주식회사 아프로스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004Y1 (ko) * 2004-09-15 2004-12-03 주식회사 평일 클램프 변류기
JP2012202748A (ja) * 2011-03-24 2012-10-22 U R D:Kk クランプ式電流センサ
JP2013044532A (ja) * 2011-08-22 2013-03-04 Fujitsu Ltd 電気信号検出端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力測定装置
JP2014175317A (ja) * 2013-03-05 2014-09-22 Tdk Corp コイル装置
KR101740861B1 (ko) 2016-05-17 2017-05-29 주식회사 아프로스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45260A1 (ko)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55972T3 (es) Embalaje de instrumentos perfeccionado para medidores de energia electronicos.
US20130293226A1 (en) Electric current sensor
US20120309210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ower plug and power socket
US20140327318A1 (en) Electromagnetic Connectors
ATE487146T1 (de) Stromsensor mit laminiertem magnetkern
CN105593690B (zh) 夹式电流变换器或电流互感器
JP6956792B2 (ja) 差し込みサイクルカウンタを備えた電気プラグインコネクタおよびその操作方法
EP2919330B1 (en) Connector
WO2017183391A1 (ja) 発電装置、入力装置、及びセンサ付き錠装置
KR101833176B1 (ko) 태양광 접속반용 전류 감지 모듈
KR20160136710A (ko) 카메라 모듈
WO2021069116A1 (en) A waterproof rail-type power supply system and power supply rack comprising the same
WO2019073224A1 (en) PLUG
KR101953372B1 (ko)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
KR101509200B1 (ko) 신호특성이 강화된 프로브핀
KR102095767B1 (ko) 절연 바디 내 전류 측정
JP5505988B2 (ja) 絶縁構造体、絶縁構造付きボタン電池、及び絶縁構造体の装着方法
KR20160002783U (ko) 전자식 전력량계의 시험용 단자나사
JP4512706B2 (ja) 通信機能付電力量計
CN108701723B (zh) 包含具有接触腔室的部件承载装置的光电装置
WO2012137389A1 (ja) 電流検出装置および電力量計
JP6419432B2 (ja) 電流検出用磁気コアを用いた電流検出装置
CN219736432U (zh) 一种无源无线温湿度传感器
KR20160019212A (ko) 카메라 모듈용 어셈블리
JP6797060B2 (ja) 電子式電力量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