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060B1 - 스크린 컬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컬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3060B1 KR101953060B1 KR1020180032292A KR20180032292A KR101953060B1 KR 101953060 B1 KR101953060 B1 KR 101953060B1 KR 1020180032292 A KR1020180032292 A KR 1020180032292A KR 20180032292 A KR20180032292 A KR 20180032292A KR 101953060 B1 KR101953060 B1 KR 1019530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rling
- stone
- image
- curling stone
- are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4—Curling stone; Shuffleboard; Similar sliding gam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63B2220/34—Angular speed
- A63B2220/35—Spi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 Y10S482/902—Employing specific graphic or video displa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스크린 컬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스크린 컬링 시스템은 제1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 표시부; 상기 영상 표시부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적어도 일부의 영역인 제1 영역이 롤러 컨베이어 형태로 구동되고, 적어도 일부의 영역인 제2 영역에서 제2 영상이 표시되는 컬링 시트부; 및 상기 롤러 컨베이어 형태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컬링 시트부 상에서 움직이는 컬링 스톤의 움직임 정보 및 브룸의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얼음 링크를 이용하지 않고 좁은 공간에서 컬링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컬링(curling)은 두 팀이 컬링 시트(curling sheet)라고 부르는 직사각형의 얼음 링크 위에 컬링 스톤(curling stone)을 미끄러뜨려 정해진 표적 위에 얼마나 더 정확하게 위치시켰는지에 따라 승패를 결정짓는 스포츠이다.
도 1에서는 컬링 시트를 도시하고 있으며, 컬링 시트의 규격은 표 1과 같다.
컬링 시트의 전체 길이 | 42.07m |
한쪽 핵과 반대편 핵 사이의 길이 | 42m |
핵으로부터 백 라인까지의 거리 | 1.8m |
백 라인으로부터 티 라인까지의 거리 | 1.8m |
티 라인으로부터 호그 라인까지의 거리 | 6.4m |
한쪽 호그 라인과 반대편 호그 라인 사이의 거리 | 22m |
하우스의 반지름 | 1.8m |
그리고, 표 2는 컬링의 규칙을 정리한 표이다.
- 호그 라인을 넘어가기 전에 투구가 완료되지 않은 컬링 스톤은 제거된다. |
- 반대편 호그 라인을 넘어가지 않은 컬링 스톤은 제거된다. |
- 반대편 백 라인을 넘어간 컬링 스톤은 제거된다. |
- 측벽에 도달한 컬링 스톤은 제거된다. |
- 투구자가 속한 팀의 스위퍼는 컬링 스톤이 호그 라인을 넘어선 시점부터 반대편 티 라인을 넘어서기 전까지 스위핑할 수 있다. |
- 투구자가 속하지 않은 팀의 구성원은 컬링 스톤이 티 라인을 넘어선 시점부터 스위핑할 수 있다. |
- 각 팀에 투구를 위한 시간으로 총 73분이 주어진다. 또한 10엔드 당 60초 작전타임이 2회씩 주어진다. 추가 엔드를 하게 될 경우, 엔드 당 10분씩의 투구 시간과 60초 작전타임 1회가 주어진다. |
- 한 엔드가 끝난 후, 버튼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컬링 스톤의 소유 팀이 해당 엔드의 승자가 된다. 상대편 컬링 스톤보다 하우스 중앙(버튼)에 가까이 붙인 스톤의 개수만큼 득점된다. |
그러나, 컬링은 얼음 링크가 존재하는 컬링 경기장에서 수행되는데, 컬링 경기장의 개수가 많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컬링을 쉽게 즐길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얼음 링크를 이용하지 않고 좁은 공간에서 컬링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 표시부; 상기 영상 표시부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적어도 일부의 영역인 제1 영역이 롤러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컬링 시트부; 및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컬링 시트부 상에서 움직이는 컬링 스톤의 움직임 정보 및 브룸의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컬링 스톤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표시되는 제2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컬링 시트부의 표면 및 상기 컬링 스톤의 바닥면은 0.03 내지 0.05의 마찰 계수를 가지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컬링 시트부는, 상기 컬링 스톤의 전방향 이동을 기준으로 투구 영역, 스톤 수거 영역 및 스위핑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스위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핑 영역에 상기 제2 영상이 표시되며,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컬링 스톤과 대응되는 가상의 컬링 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구 영역에서 투구된 상기 컬링 스톤의 초기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롤링 컨베이어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구 영역의 일단부에 배치된 핵(hack)을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발의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컬링 스톤의 초기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컬링 시트부는, 상기 컬링 스톤의 전방향 이동을 기준으로 투구 영역, 스톤 수거 영역 및 스위핑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투구 영역 및 상기 스위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투구 영역 및 상기 스위핑 영역에 상기 제2 영상이 표시되며, 상기 제2 영상은 가상의 컬링 시트 및 가상의 컬링 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컬링 시트부는, 상기 컬링 스톤을 투구하고 상기 브룸을 이용한 스위핑이 수행되는 투구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투구 영역이고, 상기 투구 영역에 상기 제2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구 영역과 인접하게 배치된 핵을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발의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투구 영역에서 투구된 상기 컬링 스톤의 초기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초기 속도에 따라 상기 투구 영역에 대응되는 롤러 컨베이어의 구동 속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컬링 스톤의 움직임 정보는 상기 컬링 스톤의 진행 방향, 진행 속도,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브룸의 움직임 정보는 상기 브룸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컬링 스톤의 움직임 정보, 상기 브룸의 움직임 정보, 상기 컬링 스톤과 상기 컬링 시트부의 마찰 계수 및 상기 브룸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컬링 스톤과 상기 컬링 시트부의 마찰 계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컬링 스톤의 이동 경로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이동 경로에 따라 움직이는 상기 가상의 컬링 스톤이 포함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 컬링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컬링 스톤의 움직임 정보 및 브룸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컬링 스톤의 움직임 정보 및 상기 브룸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컬링 스톤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는 산출부 - 상기 컬링 스톤은 상기 스크린 컬링 시스템에 포함된 컬링 시트부 상에서 움직이고, 상기 컬링 시트부는 적어도 일부의 영역인 제1 영역이 롤러 컨베이어로 구성됨 - ; 상기 컬링 스톤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산출된 이동 경로에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컬링 스톤이 포함된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얼음 링크를 이용하지 않고 좁은 공간에서 컬링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컬링 시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컬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 수거 영역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컬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컬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컬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 수거 영역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컬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컬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컬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컬링 시스템(200)은 영상 투사부(210), 영상 표시부(220), 컬링 시트부(230), 스톤 정보 측정부(240), 브룸 정보 측정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영상 투사부(210)는 컬링 시뮬레이션 게임과 관련된 영상인 제1 영상(221) 및 제2 영상(235)를 투사한다. 이 때, 제1 영상(221)은 영상 표시부(220)에 표시될 수 있고, 제2 영상(235)은 컬링 시트부(23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표시된다.
컬링 시트부(230)는 컬링 스톤(410)이 이동함과 함께, 컬링 스톤(410)과 대응되는 가상의 컬링 스톤의 이동이 표시되는 구성 요소이다. 이 때, 컬링 시트부(230)는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롤러 컨베이어로 구성된다.
스톤 정보 측정부(240)는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제1 데이터를 측정하여 제어부(260)로 전송하고, 브룸 정보 측정부(250)는 브룸의 움직임을 산출하기 위한 제2 데이터를 측정하여 제어부(260)로 전송한다.
제어부(260)는 컬링 시뮬레이션 게임을 제어하고, 제1 데이터를 이용하여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고, 제2 데이터를 이용하여 브룸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260)는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 정보 및 브룸의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롤러 컨베이어 형태의 구동을 제어하며 제1 영상(221) 및 제2 영상(235)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60)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200)과는 독립된 별도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에서 언급한 구성 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영상 투사부(210)는 제1 영상(221)을 투사하고, 영상 표시부(220)는 투사된 제1 영상(221)을 표시한다. 여기서, 제1 영상(221)은 컬링 규칙에 부합하는 컬링 시뮬레이션 게임의 영상으로서, 제1 영상(221)에는 가상의 컬링 시트, 가상의 관객 및 가상의 컬링 스톤이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서, 영상 표시부(220)는 스크린일 수 있고, 영상 투사부(210)는 빔 프로젝터일 수 있다. 한편, 다른 일례로서, 영상 표시부(220)은 모니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영상 투사부(210)를 통한 제1 영상(221)의 투사의 동작은 생략될 수 있으며, 모니터는 제어부(260)로부터 전송된 제1 영상(221)를 직접 표시할 수 있다.
컬링 시트부(230)는 영상 표시부(220)의 전방측에 위치하며, 컬링 스톤(410)이 이동하고, 가상의 컬링 스톤의 이동이 표시된다.
여기서, 컬링 시트부(230)의 표면은 얼음 재질이 아니며, 낮은 마찰 계수(보다 정확하게는, 운동 마찰 계수)를 가지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소재는 0.03~0.05의 마찰 계수를 가지며 상온(room temperature)에서 상(phase)이 변하지 않는 안정된 소재일 수 있다. 또한, 컬링 시트부(230)와 맞닿는 컬링 스톤(410)의 바닥면(마찰면) 역시 상기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한 소재는 테프론(Teflon)일 수 있다. 즉, 얼음은 일반적으로 0.03의 마찰 계수를 가지며, 테프론(Teflon)는 0.04의 마찰 계수를 가지므로, 테프론은 얼음을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0.03~0.05의 마찰 계수를 가지를 물질, 일례로 테프론 재질을 이용하여 컬링 시트부(230)를 구성하므로, 컬링 시트부(230)의 관리가 용이하며, 특히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컬링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르면, 컬링 시트부(230)는 컬링 스톤(410)의 투구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마찰 계수를 실제 얼음 재질과 거의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기 설정된 각도는 컬링 스톤(410)을 정해진 회전 속도(예를 들면, 2πrad/s) 및 초기 속도(예를 들면, 1.5m/s)로 투구했을 때의, 얼음 재질의 컬링 시트에서 이동하는 컬링 스톤(410)의 이동 거리와 동일하게 되는 각도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각도는 컬링 시트부(230)의 재질에 따라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컬링 시트부(23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인 제1 영역은 롤러 컨베이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벨트, 상기 벨트를 이동시키는 롤러 및 상기 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롤러 구동부인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상(235)은 컬링 시트부(23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인 제2 영역에 표시되며, 가상의 컬링 스톤은 제2 영상(235) 내에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영상(235) 역시 컬링 규칙에 부합하는 컬링 시뮬레이션 게임의 영상으로서, 제2 영상(235)은 가상의 컬링 시트 및 가상의 컬링 스톤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상(221) 및 제2 영상(235)은 컬링 스톤(410)의 이동 내지 움직임에 동조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컬링 시트부(230)는, 컬링 스톤(410)의 전방향 이동을 기준으로 투구 영역(231), 스톤 수거 영역(232), 스위핑 영역(233) 및 보호 영역(234)을 차례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영역은 스위핑 영역(2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톤 수거 영역(232)과, 보호 영역(234)과, 투구 영역(231)의 적어도 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투구 영역(231)는 사용자가 컬링 스톤(410)을 투구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일단부에 핵(hack, 231A)이 배치되며, 타단부에는 호그 라인(231B)이 인쇄된다. 여기서, 투구 영역(231)의 길이는 10.5m이고, 폭은 5m이며, 핵(231A)의 전단부로부터 호그 라인(231B)까지의 거리는 10m일 수 있다.
스톤 수거 영역(232)은 호그 라인(231B)이 인쇄된 투구 영역(231)의 타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투구 영역(231)을 지난 컬링 스톤(410)의 이동이 정지되며, 컬링 스톤(410)이 수거되는 영역이다. 그리고, 스톤 수거 영역(232)의 길이는 컬링 스톤(410)의 지름보다 크며, 일례로서 0.8m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톤 수거 영역(232)에는 컬링 스톤(410)과 대응되는 가상의 컬링 스톤이 포함된 제2 영상(235)이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 수거 영역(232)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톤 수거 영역(232)은 제1 영역에 포함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테프론으로 코팅된 벨트(232A) 및 적어도 하나의 롤러(232B)를 포함할 수 있으며, 롤러(232B)는 모터 등에 의해 구동된다. 이 때, 롤러(232B)의 구동에 의해 벨트(232A)는 컬링 스톤(410)의 전방향 이동을 중심으로 측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스톤 수거 영역(232)에 진입한 컬링 스톤(410)는 벨트(232A)의 구동에 의해 스톤 수거 영역(232)의 측면부로 이동하여 수거된다.
그리고, 컬링 스톤(41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시점에서, 해당 위치에는 가상의 컬링 스톤이 포함된 제2 영상(235)이 표시된다. 이 때, 표시된 가상의 컬링 스톤의 움직임은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과 동기화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톤 수거 영역(232)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톤 수거 영역(232) 내에 스톤 수용부(232C)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톤 수용부(232C)는 스위핑 영역(233)과 접하는 스톤 수거 영역(232)의 타단부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컬링 스톤(410)의 지름보다 큰 폭과 길이를 갖는 사각형의 유동부(232D)를 포함할 수 있다.
컬링 스톤(410)이 스톤 수거 영역(232)에 진입하면, 유동부(232D)를 하측으로 개방하여 컬링 스톤(410)이 수거되며, 컬링 스톤(410)이 수거되면 유동부(232D)는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컬링 스톤(410)이 스톤 수용부(232C)로 진입하면, 영상 투사부(220)에 의해 해당 위치에는 가상의 컬링 스톤이 포함된 제2 영상(235)이 표시되고, 표시된 가상의 컬링 스톤의 움직임은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과 동기화된다.
또한, 수거된 컬링 스톤(410)은 컬링 시트부(230) 내부에 형성된 이동 통로를 통해 이동되어, 스톤 수거 영역(232)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로 토출되거나 또는 컬링 시트부(230)의 핵(231A)이 설치된 지점으로 토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컬링 스톤(410)의 수거가 간단해지고 제어가 용이하며, 컬링 스톤(410)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톤 수거 영역(232)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톤 수거 영역(232) 내에는 컬링 스톤(4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스톤 고정부(232E)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스톤 고정부(232E)는 마찰 계수가 높은 물질로 코팅되어 있다.
그리고, 컬링 스톤(410)이 스톤 고정부(232E)에 고정되면, 영상 투사부(220)에 의해 해당 위치에는 가상의 컬링 스톤이 포함된 제2 영상(235)이 표시되고, 표시된 가상의 컬링 스톤의 움직임은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과 동기화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컬링 스톤(410)이 스위퍼의 시야에 존재함으로써 현실감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면에 개시하지는 않았지만, 스톤 수거 영역(232)은 컬링 스톤(410)의 전방향 이동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톤 수거 영역(232)은 수평하게 형성된 투구 영역(231)과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때,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톤 수거 영역(232)은 컬링 스톤(410)의 전방향 이동을 중심으로 측방향으로 구동되는 롤러 컨베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에의 경우,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빠른 경우에도 안전하게 컬링 스톤(410)를 수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위핑 영역(233)은 사용자가 소지한 브룸을 통해 가상 컬링 스톤이 표시되는 지점이 스위핑되는 영역이다. 즉, 스위핑 영역(233)은 컬링 스톤(410)과 동기화되어 움직이는 가상의 컬링 스톤이 포함된 제2 영상(235)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그리고, 스위핑 영역(233)은 제1 영역에 포함되는 영역으로서, 테프론으로 코팅된 벨트(233A) 및 적어도 하나의 롤러(233B)를 포함할 수 있으며, 롤러(233B)는 모터 등에 의해 구동된다. 벨트(233A)는 컬링 스톤(410)의 전방향 이동과 반대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일례로 스위핑 영역(233)은 1.5~2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요컨대, 스위핑 영역(233)에는 가상의 컬링 스톤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브룸을 통해 가상의 컬링 스톤의 전방을 스위핑한다. 이 때, 컬링 스톤(410)의 전방향 이동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롤러 컨베이어를 통해 스위핑 영역(233)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호 영역(234)는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영역으로서, 스위핑 영역(233)를 벗어난 사용자가 영상 표시부(220)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영역이다. 일례로서, 보호 영역(234)는 0.5 ~ 1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스톤 정보 측정부(240)는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을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제1 데이터를 측정하며, 측정된 제1 데이터는 제어부(260)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스톤 정보 측정부(240)는 영상 촬영부 및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데이터는 영상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및 센싱 데이터일 수 있다.
이 때, 영상 촬영부가 두 개의 일반 카메라로 구성된 경우, 두 개의 일반 카메라가 컬링 시트부(230)의 촬영 영역을 기 설정된 촬영 시차를 가지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촬영 영역은 호그 라인(233)과 스톤 수거 영역(232) 사이에 존재하는 투구 영역(231)의 내부 영역으로서, 0.3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링 스톤(410)의 최고 속도가 3m/s이고, 촬영 영역의 길이가 0.3m인 경우, 촬영 시차는 최대 0.1초일 수 있다. 또한, 영상 촬영부가 하나의 고속 카메라로 구성된 경우, 앞서 언급한 촬영 시차로 두 개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센서는 컬링 스톤(410)이 촬영 영역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데 사용되며, 0.01초 이내의 촬영 주기를 가지며 영상 촬영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카메라에 의해 구성되거나, 촬영 영역의 시작 지점에 설치된 형상 인식 센서, 자외선 센서, 압력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브룸 정보 측정부(250)는 브룸의 움직임을 산출하기 위한 제2 데이터를 측정하며, 측정된 제2 데이터는 제어부(260)로 전송된다. 여기서, 브룸 정보 측정부(250)는 스톤 정보 측정부(24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촬영 영역은 스위핑 영역(233)이다. 그리고, 스톤 정보 측정부(240)에 의한 컬링 스톤의 움직임 측정이 완료된 후 측정이 완료된 후에 브룸 정보 측정부(250)를 통한 브룸의 움직임 정보가 측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르면, 스톤 정보 측정부(240)가 브룸 정보 측정부(25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브룸 정보 측정부(250)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200)에 포함되지 않으며, 스톤 정보 측정부(240)가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모두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컬링 스톤(410)과 브룸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자체적으로 움직임 정보를 측정하여 제어부(260)로 제공할 수 있다(일례로, 마커 센서를 부착함). 이 경우, 스톤 정보 측정부(240)와 브룸 정보 측정부(250)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200)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260)는 프로세서가 포함된 장치일 수 있으며, 컬링 시뮬레이션 게임을 제어하고, 컬링 스톤의 움직임 정보 및 브룸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고, 롤러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며 제1 영상(221) 및 제2 영상(235)을 생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6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60)는 수신부(261), 산출부(262), 구동 제어부(263), 영상 제어부(264) 및 전송부(265)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261)는 상기에서 언급한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수신한다.
산출부(262)는 제1 데이터를 이용하여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고, 제2 데이터를 이용하여 브룸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 정보는 컬링 스톤(410)의 이동 방향, 이동 속도, 회전 방향 및 회전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브룸의 움직임 정보는 브룸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가 두 장의 영상 데이터인 경우, 두 장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영상 내 특정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는 내용은 널리 알려진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산출부(262)는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 정보 및 브룸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컬링 스톤(410)의 이동 경로를 예측 내지 산출한다.
세부적으로, 산출부(262)는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를 산출한다. 만약,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기 설정된 최대 속도(예를 들면, 3m/s)를 초과하면,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를 최대 속도로 제한한다.
일례로서, 산출부(262)는 투구 영역(231)의 일단부에 배치된 핵(231A)을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발의 압력에 기초하여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부(262)는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 정보와 함께 컬링 시트부(230)와 컬링 스톤(410) 사이의 마찰 계수를 고려하여 컬링 스톤(410)의 이동 경로를 산출한다. 이 때, 일정한 계산 주기(예를 들면, 0.1초)로 컬링 스톤(41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컬링 스톤(410)의 위치 산출 동작은 컬링 스톤(410)이 스톤 수거 영역(232)에서 정지할 때까지 수행된다.
또한, 브룸을 통한 스위핑이 수행되는 경우, 계산 주기(예를 들면, 0.1초)에 따라 산출한 브룸의 움직임 정보에 따른 컬링 스톤(410)의 마찰 계수 변화량을 이용하여 이미 산출된 컬링 스톤(410)의 위치를 변경한다.
정리하면, 산출부(262)는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 정보, 브룸의 움직임 정보, 컬링 스톤(410)과 컬링 시트부(230)의 마찰 계수 및 브룸의 움직임에 따른 컬링 스톤(410)과 컬링 시트부(230)의 마찰 계수 변화량에 기초하여 컬링 스톤(410)의 이동 경로를 예측 내지 산출한다.
한편, 컬링 시트부(230)와 컬링 스톤(410) 사이의 마찰 계수와, 컬링 스톤(410)의 최초 움직임 정보에 따른 계산 주기 별 컬링 스톤(410)의 위치가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브룸의 움직임 정보에 따른 컬링 스톤(410)의 마찰 계수 변화량도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간 계산의 부담이 줄어들 수 있다.
구동 제어부(263)는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롤러 컨베이어 형태로 구동되는 제1 영역의 구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제어부(263)는 투구 영역(231)에서 투구된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에 기초하여 롤링 컨베이어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컬링 스톤(410)의 속도는 투구된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와 관련되므로, 구동 제어부(263)는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에 따라 롤링 컨베이어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핵(231A)에는 압력 감지 센서가 부착되어 있고, 구동 제어부(263)는 핵(231A)으로부터 사용자의 발의 압력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영역이 스위핑 영역(233)만을 포함하는 경우, 구동 제어부(263)는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 중 길이 방향(전방향)의 초기 속도에 기초하여 스위핑 영역(233)를 구성하는 롤러 컨베이어의 반대 방향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1 영역이 스톤 수거 영역(232)를 포함하는 경우(도 6 참조), 구동 제어부(263)는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 중 길이 방향(전방향)의 초기 속도와 폭 방향의 초기 속도에 기초하여 스톤 수거 영역(23)를 구성하는 롤러 컨베이어의 폭 방향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톤 수거 영역(232)이 도 7과 같이 구성된 경우, 구동 제어부(263)는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에 기초하여 스톤 수용부(232C)의 유동부(232D)의 구동, 즉, 유동부(232D)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영상 제어부(264)는 컬링 스톤(410)의 이동 경로에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컬링 스톤이 포함된 영상(즉, 제1 영상(221) 및 제2 영상(235))을 생성한다. 이 때, 생성된 영상은 컬링 규칙에 부합하는 영상으로서, 전송부(265)를 통해 영상 투사부(220)로 전송된다.
이 때, 제1 영상(221) 내에는 가상의 다른 컬링 스톤이 존재할 수 있으며, 영상 제어부(264)는 컬링 스톤(410)의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가상의 다른 컬링 스톤의 위치 및 이와 관련된 가상의 컬링 스톤의 위치를 재산출하여 영상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산출부(262)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컬링 스톤(410)의 이동 거리, 컬링 스톤(410)의 회전 효과, 스위핑 효과를 이용하여 컬링 스톤(410)의 이동 경로 내지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 컬링 스톤(410)의 이동 거리(도 10 및 도 11 참조)
다른 요소(즉, 컬링 스톤(410)의 회전, 스위핑, 컬링 시트부(230)의 표면의 균일도 등)의 영향을 배제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컬링 스톤(410)의 이동 거리는 초기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도 10은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와 이동 거리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는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2.0m/s일 때의 시간 경과에 따른 컬링 시트부(230)의 마찰 계수 변화를 나타내는 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표 3은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와 순간 속도의 관계를 정리한 표이다.
도 10 및 표 1를 참조하면, 호그 라인으로부터 반대편 티 라인까지의 거리는 28.4m이므로, 초기 속도가 2.0m/s 보다 큰 경우, 투구 시점으로부터 24초가 경과하면 컬링 스톤(410)이 반대편 티 라인을 넘어서게 되므로 더 이상 측정할 필요가 없다. 표 3에서, 대각선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컬링 스톤(410)의 이동 거리가 28.4m를 넘는 시점의 컬링 스톤(410)의 순간 속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11을 참조하면, 컬링 스톤(410)의 순간 속도가 0.5m/s 이하로 떨어지면, 컬링 시트부(230)의 마찰 계수가 급격하게 증가한다. 즉, 0~20초 사이의 시간 구간의 경우 마찰 계수가 0.004에서 0.012로 증가하는 반면, 20~23초 사이의 시간 구간의 경우 마찰 계수가 0.076까지 증가한다. 따라서, 컬링 스톤(410)의 순간속도가 0.5m/s 이하로 떨어지면(표 3의 도트 형태로 표시된 부분), 순간 속도도 급격하게 떨어진다.
- 컬링 스톤(410)의 회전 효과(표 2 참조)
컬링 스톤(410)의 회전에 따른 길이 방향의 거리 변화는 무시한다. 즉, 동일한 초기 속도로 투구된 컬링 스톤(410)은 회전 여부와 관계없이 동일한 길이 방향의 거리를 움직인다. 그리고, 컬링 스톤(410)의 회전에 따른 폭 방향 이동량은 컬링 스톤(410)의 현재 속도에 의존한다. 그리고, 표 4는 컬링 스톤(410)이 투구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따른 컬링 스톤(410)의 순간 속도, 길이 방향의 이동 거리 및 폭 방향의 이동 거리의 관계를 정리한 표이다.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 컬링 스톤(410)의 초기 회전 속도가 2πrad/s 보다 작으면, 컬링 스톤(410)은 회전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고, 컬링 스톤(410)의 초기 회전 속도가 2πrad/s 이상이면, 컬링 스톤(410)의 회전 속도는 2πrad/s인 것으로 간주함.
ii) 컬링 스톤(410)의 현재 속도가 2.5m/s 이상이면, 회전에 따른 컬링 스톤(410)의 폭 방향 이동량은 0m임.
iii)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2.0~2.5m/s이고 컬링 스톤(410)이 길이 방향으로 20m로 이동한 경우, 컬링 스톤(410)이 15m 지점까지 이동하였을 때의 컬링 스톤(410)의 폭 방향 이동량은 0.1m이고, 정지 시의 컬링 스톤(410)의 폭 방향 이동량은 0.2m 임.
iv)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1.5~2.0m/s이고 컬링 스톤(410)이 길이 방향으로 20m로 이동한 경우, 컬링 스톤(410)이 15m 지점까지 이동하였을 때의 컬링 스톤(410)의 폭 방향 이동량은 0.2m이고, 정지 시의 컬링 스톤(410)의 폭 방향 이동량은 0.4m 임.
v)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1.0~1.5m/s이고 컬링 스톤(410)이 길이 방향으로 10m로 이동한 경우, 컬링 스톤(410)이 7.5m 지점까지 이동하였을 때의 컬링 스톤(410)의 폭 방향 이동량은 0.2m이고, 정지 시의 컬링 스톤(410)의 폭 방향 이동량은 0.4m 임.
vi)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와 관계없이 현재 속도가 1.0m/s 이하이면, 컬링 스톤(410)이 길이 방향으로 4.55m 지점까지 이동하였을 때의 컬링 스톤(410)의 폭 방향 이동량 0.5m인 경우, 정지 시의 컬링 스톤(410)의 폭 방향 이동량은 1m 임.
- 스위핑 효과(도 12 참조)
스위핑은 컬링 시트부(230)의 표면의 온도를 높여 마찰 계수를 낮추는 동작이다. 이 때, 브룸 헤드가 컬링 시트부(230)의 표면에 가하는 압력과 브룸 헤드의 스위핑 속도에 따라 컬링 시트부(230)의 표면의 온도가 달라진다. 이에 따라, 컬링 스톤(410)의 속도와 방향이 변경된다. 이하에서는 브룸 헤드가 컬링 시트부(230)의 표면에 가하는 압력은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브룸을 통한 스위핑 각도 및 속도가 컬링 스톤(410)의 속도 및 방향에 끼치는 영향을 고려한다.
i)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3.0m/s 이상이면, 스위핑 효과를 적용하지 않음.
ii)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2.5~3.0m/s 이고 브룸을 수직하게 스위핑하는 경우, 컬링 스톤(410)이 길이 방향으로 1m 이동할 때마다 추가적으로 0.007m 이동함.
iii)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2.0~2.5m/s 이고 브룸을 수직하게 스위핑하는 경우, 컬링 스톤(410)이 길이 방향으로 1m 이동할 때마다 추가적으로 0.044m 이동함.
iv)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1.5~2.0m/s 이고 브룸을 수직하게 스위핑하는 경우, 컬링 스톤(410)이 길이 방향으로 1m 이동할 때마다 추가적으로 0.059m 이동함.
v)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1.0~1.5m/s 이고 브룸을 수직하게 스위핑하는 경우, 컬링 스톤(410)이 길이 방향으로 1m 이동할 때마다 추가적으로 0.096m 이동함.
vi)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와 관계없이 브룸을 수직하게 스위핑하는 경우, 컬링 스톤(410)의 현재 속도가 0~0.5m/s 이면 컬링 스톤(410)이 길이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0.2m 이동하고, 현재 속도가 0.5~1.0m/s 이면 컬링 스톤(410)이 길이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0.35m 이동함.
vii) 컬링 시트부(23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브룸을 45° 각도로 스위핑하면, 길이 방향으로의 추가 이동량은 수직으로 스위핑을 수행하는 경우보다 30% 감소하고, 폭 방향 이동량은 수직으로 스위핑을 수행하는 경우보다 1m 이동량에 대해 추가적으로 10% 이동함.
viii) 스위핑이 초당 2회 이상 수행되었을 때 스위핑 효과를 적용함.
ix) 2인의 사용자가 동시에 동일 방향으로 스위핑을 수행하면, 50%의 스위핑 효과를 추가함.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컬링 시스템(200)은 테프론 재질을 이용하여 컬링 시트부(230)를 구성하므로,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컬링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컬링 시트부(23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롤러 컨베이어로 구동되므로 컬링 시트부(230)의 길이를 단축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컬링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컬링 시트부(230)의 투구 영역(231)은 롤러 컨베이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롤러 컨베이어로 구동은 구동 제어부(263)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이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도 13을 참조하면, 투구 영역(231)은 테프론으로 코팅된 벨트(231C) 및 적어도 하나의 롤러(231D)를 포함할 수 있으며, 롤러(231C)를 구동하는 모터 등에 의해 벨트(231c)는 컬링 스톤(410)의 전방향 이동과 반대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구 영역(231)의 길이를 단축하여 스크린 컬링 시스템(200)의 길이를 더욱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때도 역시, 구동 제어부(263)는 투구 영역(231)에서 투구된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에 기초하여 투구 영역(231)를 구성하는 롤링 컨베이어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투구 영역(231)의 구동 속도는 사용자의 안전 및 투구 영역(231)의 최적 길이 설정을 위해 적절히 제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3m/s이고, 사용자의 안전상 설정된 투구 영역(231)의 롤러 컨베이어의 최대 구동 속도가 1.5m/s인 경우, 투구 영역(263)의 길이는 약 4.5m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 제어부(263)는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에 따라 투구 영역(231)를 구성하는 롤러 컨베이어의 속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마찰력에 의해 컬링 스톤(410)의 속도는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컬링 게임의 현장감을 위해 컬링 스톤(410)은 롤러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투구 영역(231) 상에서 전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따라서, 구동 제어부(263)는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에 따라 롤러 컨베이어의 초기 구동 속도를 결정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롤러 컨베이어의 속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투구 영역(231)를 구성하는 롤러 컨베이어의 최종 구동 속도는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보다 일정 수치 이상 낮은 속도가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투구 영역(231)를 구성하는 롤러 컨베이어의 최대 구동 속도는 일정한 값 이하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미리 설정된 최대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구동 제어부(263)는 투구 영역(231) 및 스위핑 영역(233)에 대응되는 롤러 컨베이어가 회전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투구된 컬링 스톤(410)는 그대로 수거된다. 이 때, 영상 제어부(264)는 가상 컬링 스톤이 포함되지 않는 제2 영상(235)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컬링 시트부(230)에는 스톤 수거 영역(232) 및 스위핑 영역(232)이 포함되지 않으며, 투구 영역(231) 및 보호 영역(264)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투구 영역(231)은 테프론으로 코팅된 벨트 및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하는 제1 영역일 수 있으며, 롤러를 구동하는 모터 등에 의해 벨트는 컬링 스톤(410)의 전방향 이동과 반대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비교할 때, 도 14에 도시된 스크린 컬링 시스템(200)의 경우, 보호 영역(264)이 도 6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스톤 수거 영역(232)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투구 영역(231)에서 컬링 스톤(410)의 투구 동작 및 브룸을 이용한 스위핑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상(235)은 투구 영역(23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상의 컬링 스톤은 제2 영상(235)에 포함되지 않으며, 가상의 컬링 시트만이 제2 영상(235)에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보호 영역(234)의 일단부에서 투구 영역(231)의 2.5m 정도 이격된 지점에 제2 영상(235)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에서 설명된 구동 제어부(263)에 대한 설명은 본 실시예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 제1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 표시부;
상기 영상 표시부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적어도 일부의 영역인 제1 영역이 롤러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컬링 시트부; 및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컬링 시트부 상에서 움직이는 컬링 스톤의 움직임 정보 및 브룸의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컬링 시트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표시되는 제2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컬링 시트부는, 상기 컬링 스톤의 전방향 이동을 기준으로 투구 영역, 스톤 수거 영역 및 스위핑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스위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핑 영역에 상기 제2 영상이 표시되며,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컬링 스톤과 대응되는 가상의 컬링 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링 시트부의 표면 및 상기 컬링 스톤의 바닥면은 0.03 내지 0.05의 운동 마찰 계수를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구 영역에서 투구된 상기 컬링 스톤의 초기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링 스톤의 움직임 정보는 상기 컬링 스톤의 진행 방향, 진행 속도,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브룸의 움직임 정보는 상기 브룸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컬링 스톤의 움직임 정보 및 상기 브룸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컬링 스톤의 이동 경로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이동 경로에 따라 움직이는 상기 가상의 컬링 스톤이 포함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2292A KR101953060B1 (ko) | 2018-03-20 | 2018-03-20 | 스크린 컬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장치 |
KR1020190019937A KR102356693B1 (ko) | 2018-03-20 | 2019-02-20 | 스크린 컬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2292A KR101953060B1 (ko) | 2018-03-20 | 2018-03-20 | 스크린 컬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9937A Division KR102356693B1 (ko) | 2018-03-20 | 2019-02-20 | 스크린 컬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3060B1 true KR101953060B1 (ko) | 2019-03-26 |
Family
ID=6594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2292A KR101953060B1 (ko) | 2018-03-20 | 2018-03-20 | 스크린 컬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306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38439A (zh) * | 2019-08-27 | 2019-12-06 | 哈尔滨工业大学 | 一种冰壶机器人的投掷方法 |
CN113521699A (zh) * | 2021-07-19 | 2021-10-22 | 哈尔滨体育学院 | 一种冰雪运动辅助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98109A (ko) * | 2017-02-24 | 2018-09-03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컬링 시뮬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컬링 경기의 진행 방법 |
-
2018
- 2018-03-20 KR KR1020180032292A patent/KR10195306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98109A (ko) * | 2017-02-24 | 2018-09-03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컬링 시뮬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컬링 경기의 진행 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38439A (zh) * | 2019-08-27 | 2019-12-06 | 哈尔滨工业大学 | 一种冰壶机器人的投掷方法 |
CN113521699A (zh) * | 2021-07-19 | 2021-10-22 | 哈尔滨体育学院 | 一种冰雪运动辅助装置 |
CN113521699B (zh) * | 2021-07-19 | 2022-05-24 | 哈尔滨体育学院 | 一种冰雪运动辅助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92148B1 (ko) | 레이더 데이터 및 이미지화기 데이터를 사용하여 물체를 추적하기 위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 |
EP1926535B1 (en) | Training Device | |
US9604114B2 (en) | Screen baseball game apparatus without temporal and spatial limitations | |
US10143907B2 (en) | Planar solutions to object-tracking problems | |
KR101953060B1 (ko) | 스크린 컬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장치 | |
KR102267575B1 (ko) | 레이더 및 촬상 요소를 포함하는 조립체 | |
KR101505931B1 (ko) |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 서비스 방법 | |
US11103783B2 (en) | Sports simulation system | |
US8333670B2 (en) | System for pitching of baseball | |
EP2480297B1 (en) | Apparatus for golf simulation | |
CA3040223C (en) | Method for delivering sports telemetry for a curling game | |
TW201843650A (zh) | 用於棒球練習裝置的感測裝置及感測方法、利用該感測裝置及感測方法的棒球練習裝置及其控制方法 | |
US8342925B2 (en) | Simulated game apparatus of a virtual shuffleboard with detection system for a real puck | |
TW201941807A (zh) | 推桿導向裝置、利用其的虛擬高爾夫類比裝置及其控制方法 | |
KR102356693B1 (ko) | 스크린 컬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장치 | |
KR20110125526A (ko) | 스크린 골프 장치 | |
KR101752310B1 (ko) | 혼합 현실공간을 활용한 골프 게임 시스템 | |
KR101194268B1 (ko) | 실내 골프경기장 및 그 경기방법 | |
KR20100124899A (ko) | 입체 영상을 이용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 | |
KR20010008367A (ko) | 투구연습장치와 이를 이용한 투수의 투구분석방법 및오프라인의 투구연습장치의 투구정보를 온라인과 연계하여야구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 |
US20230199295A1 (en) | Predictive camera control for tracking an object in motion | |
JP2017176798A (ja) | ゴルフショット表示装置 | |
KR101276054B1 (ko) | 공 궤적 추적 시스템 | |
KR102082920B1 (ko) | 피칭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 |
KR20140079926A (ko) | 실내 골프용 회전식 퍼팅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