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017B1 -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의 혼합처리에 따른 곤충의 살충방법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의 혼합처리에 따른 곤충의 살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017B1
KR101953017B1 KR1020170051802A KR20170051802A KR101953017B1 KR 101953017 B1 KR101953017 B1 KR 101953017B1 KR 1020170051802 A KR1020170051802 A KR 1020170051802A KR 20170051802 A KR20170051802 A KR 20170051802A KR 101953017 B1 KR101953017 B1 KR 101953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dioxide
carbon dioxide
present
dioxid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8451A (ko
Inventor
김욱
김용균
나자현
천용식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51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017B1/ko
Publication of KR20180118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4Carbon disulfide;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8Vapour or smoke emitting compositions with delayed or sustained release
    • Y10S514/91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CO2)와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 ClO2)의 혼합처리를 통하여 곤충을 살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이산화탄소와의 혼합처리를 통하여 이산화염소의 훈증처리에 따른 살충효과를 제고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곤충을 살충하는데 있어 종래 기술에 비해 적은 양의 이산화염소를 사용하여도 충분한 살충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처리 과정에서 고독성 약품인 포르말린이나 메틸브로마이드와 달리 인체에 큰 위해를 가하지 않는바, 살충 공정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더욱 높일 수 있어, 향후 이를 현장에 접목시킬 수 있는 처리 시스템이 개발되어 저곡해충 방제를 겨냥하는 이산화염소의 훈증 처리가 보다 효과적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의 혼합처리에 따른 곤충의 살충방법 {Insecticidal method by mixed treatment of carbon dioxide and chlorine dioxide}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CO2)와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 ClO2)의 혼합처리를 통하여 곤충을 살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곤충을 살충하는 데 있어 이산화탄소와의 혼합처리를 통해 이산화염소의 훈증처리 효과를 제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 ClO2)는 높은 산화력을 지니고 있어 소독제 및 표백제로서 식용수 제조 과정에 있어 다양한 미생물의 멸균처리에 이용되고 있으며, 또한 오염을 일으키는 병원세균류, 구강 오염세균류, 음용수 오염세균류 및 일반 식기 오염세균류에 대해서 우수한 소독 효과를 보이고, 특히 여러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보이는 세균류에 대하여 기존의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에 비해 탁월한 항생능력을 나타낸다. 그밖에 이산화염소는 세균뿐만 아니라 수족구병을 유발하는 엔테로바이러스 71(enterovirus71; EV71)을 비롯한 다양한 인체 병원바이러스에 대해서 바이러스 불활성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이산화염소를 기체 상태로 변환해 사람의 주거 환경에 피해를 주는 위생해충 및 저장곡물에 피해를 주는 저곡해충에 대한 살충 훈증제로서 사용 가능하다는 사실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CO2)는 세포호흡의 부산물로서, 순환계를 통하여 체외로 방출되는데, 인간의 경우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부피 백분율로 17%를 넘어서면 고농도 이산화탄소의 흡입으로 인한 중독으로 즉시 기절하게 되어 1분 내 사망하게 된다. 따라서 인간을 비롯한 호흡을 하는 생명체에 이와 같은 고농도의 이산화탄소는 치명적일 수 있다.
한편, 곤충은 기관지를 이용하여 각 세포까지 산소를 전달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시키는 기관지 호흡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데, 곤충의 호흡계는 기관(tracheae)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본적으로 기문(spiracle)을 통해 외부와 통한다. 즉, 기문을 통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산소는 기관지 및 기관소지를 지나 각 세포로 전달되고, 역으로 세포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는 기관소지 및 기관지를 지나 기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기문의 근육성 판들은 대개 닫혀 있다가 산소를 받아들이거나 이산화탄소를 내보낼 때만 열린다. 따라서 곤충은 대부분의 공기전달이 기체 매질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액체 매질인 혈액을 통해 공기를 교환하는 다른 동물에 비해 높은 공기교환 효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이와 같은 곤충의 기관지 호흡 방식은 해충을 방제하려는 훈증제 처리에 있어서 높은 감수성 표적이 되기도 한다.
육상 곤충의 경우 소형동물로서 체내 수분 보존이 생명과 직결되는바, 기문 개방화는 체내 수분 손실을 감당해야 하기에 생리적으로 필요한 조건에서만 일어나는 행동이다. 따라서 기문 폐쇄근의 수축을 통해 기문을 닫게 되는데, 기문의 개방화를 유도하는 인자로서는 기관지 내부의 이산화탄소와 산소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기관지 내부의 효과적 공기 확산을 위해 기문의 개방화가 유도된다. 특히 이산화탄소 농도는 기문 개방화를 촉진하는 데 결정적인 요인으로 척추동물과 달리 직접 폐쇄근에 작용하여 이를 이완시킴으로 기문 개방화를 유도하게 된다.
최근 유통 단계에 있는 쌀과 같은 곡물에서 흔하게 발생 되는 저곡해충인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 거짓쌀도둑거저리(Tribolium castaneum) 등으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하여 저곡해충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한국 특허등록번호 10-1705775 참조)을 제공함으로써, 인간의 생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해를 입히는 곤충을 살충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이 곤충의 기관지 호흡 방식을 이용하여 보다 실효성 있고 경제적이며, 현장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곤충의 살충방법이 필수적인데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곤충의 호흡계를 이용한 살충방법에 대해 예의 연구하던 중,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의 혼합하여 훈증처리한 결과, 살충력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를 혼합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곡해충 살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CO2)와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 ClO2)를 혼합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곡해충 살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로서, 상기 이산화탄소의 처리는 15 내지 30%의 농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이산화염소의 처리는 100 내지 200ppm의 농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의 혼합처리는 훈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를 1 내지 12시간 동안 혼합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의 혼합처리는 동시 또는 순차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저곡해충은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의 알, 유충, 번데기 및 성충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의 혼합처리를 통한 곤충의 살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이산화탄소와의 혼합처리를 통하여 이산화염소의 훈증처리에 따른 살충 효과를 제고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현재 저곡해충 방제를 위한 저장고의 소독에 포르말린 50배액을 전면 살포하거나, 완전 밀폐된 상태에서 메틸브로마이드(methyl bromide) 훈증제를 처리하는 방법을 이용하는데, 상기 약품들은 매우 독성이 높아, 처리 과정에서 출입을 삼가야 하며, 특히 메틸브로마이드의 경우는 훈증이 끝난 후 환기시킬 때에도 접근을 금지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곤충을 살충하는 데 있어 종래 기술에 비해 적은 양의 이산화염소를 사용하여도 충분한 살충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처리 과정에서 상기 포르말린이나 메틸브로마이드와 달리 인체에 큰 위해를 가하지 않는바, 살충 공정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보다 높일 수 있어 향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각각 화랑곡나방 5령 유충의 기문 및 기관지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a은 기문의 수를 관찰한 것이고, 도 1b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기문의 구조를 관찰한 것이며, 도 1c는 열린 기문을 통해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 염색액을 주입하여 상기 유충의 체내 기관지의 분포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2는 주변 온도의 변화에 따른 화랑곡나방의 기문 활동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화랑곡나방 유충의 기문 활동에 미치는 이산화탄소의 영향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의 혼합처리에 따른 화랑곡나방 유충의 기문 활동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를 각각 단독 처리하였을 때와 혼합처리 하였을 때의 살충 효과의 차이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산화탄소와의 혼합처리를 통하여 이산화염소의 훈증처리에 따른 살충 효과를 제고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를 혼합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곡해충 살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저곡해충"은 저장 중의 곡식과 그 1차 가공품(밀가루, 정맥 등)에 해를 끼치는 해충군의 총칭하는 것으로서,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저곡해충은 그 종류가 많으나 쌀바구미, 팥바구미, 쌀도둑, 화랑곡나방, 한점쌀명나방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발생율이 큰 것은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이다.
상기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의 혼합처리는 각각, 이산화탄소는 15 내지 30%의 농도로, 이산화염소는 100 내지 200ppm의 농도로 수행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는 15%의 농도로, 이산화염소는 100ppm의 농도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혼합처리는 훈증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1 내지 1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동시 또는 순차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저곡해충은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일 수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를 혼합처리에 의해 살충 효과가 보이는 곤충이라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구체적으로,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의 알, 유충, 번데기 및 성충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살충방법은 밀폐된 대상공간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대상공간은 농산물이 보관 또는 생육 되는 창고, 컨테이너 박스(container box), 구멍이 형성된 비닐용기, 포대 또는 뚜껑을 가지는 플라스틱 용기, 싸일로(silo)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이산화염소는 기체상태이거나 스프레이방식으로 분사되는 액체상태일 수 있는데,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되는 액체는 미스트(mist) 상의 액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산화염소는 대상공간 내의 대상물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화랑곡나방 5령 유충의 기문 구조 및 그 수를 관찰하고,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 염색액을 사용하여 체내 기관지의 분포를 관찰하였다(실시예 2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주변 온도 변화가 화랑곡나방 유충의 기문개폐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 염색액 침투기술을 사용하여 개방 기문수를 확인하였다(실시예 3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산화탄소가 화랑곡나방 유충의 기문개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실시예 4 참조), 또한, 이산화염소가 상기 유충의 기문개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실시예 5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의 혼합처리에 따른 화랑곡나방 유충에 대한 살충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를 각각 단독 처리하였을 때와 혼합처리하였을 때의 살충효과를 비교하여 관찰하였다(실시예 6 참조).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험준비 및 실험방법
1-1. 공시충 사육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화랑곡나방은 실내 누대 사육충으로 1994년 대구의 건조 채소류 저장창고에서 채집된 것이다. 이후 유충은 인공사료(800g rice bran, 200g 이스트 추출물, 500mL 글리세롤, 2g sorbic acid, 2g methyl p-hydroxybenzoate)를 이용하여 온도 28 ± 1℃, 상대습도 65-75%, 일장 16:8 (L:D) h 조건의 배양기에서 누대 사육되었다. 소집단이 겪는 임의 유전적 부동을 줄이기 위해 매 세대 100마리 이상의 암수를 교미시켜 차세대를 형성하였다. 성충은 10% 설탕물을 제공하였다.
1-2. 이산화염소의 제조 및 훈증처리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 ClO2)를 제조하기 위하여, 아염소산 나트륨(Sodium chlorite; NaClO2)을 전기적으로 분리해 양극성의 소듐이온은 다공성 막을 통해 음극으로 이동하게 하였고, 순수한 이산화염소(> 99%)만 음극에 남게 한 다음, 이를 증류수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이산화염소를 훈증처리하기 위하여 밀폐 사각용기(54 x 44 x 46㎝)를 이용해 기화된 이산화염소를 불어넣었으며, 상기 용기 내 이산화염소의 농도는 PortaSens 가스누수검출기(Analytical Technology, Collegeville, PA, USA)를 이용하여 10 분 간격으로 감지해 가스 주입량을 조절해서 맞추었다.
1-3. 주사전자현미경 분석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분석을 위해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화랑곡나방 5령충 전체를 시료대에 부착시킨 후, 60℃ 오븐에 10분 동안 건조시켰다. 그 다음 Spurr Coater CP 3030 SCD 005/Baltec을 사용해 금으로 증착한 뒤, 주사현미경(S-2500C, Hitachi, Tokyo, Japan)으로 15-25 KV에서 관찰하였다.
1-4. 염색액 침투기술을 이용한 관찰
염색액 침투기술을 이용하여 전체 기관지의 분포 등을 확인하기 위해 이산화탄소에 노출시킨 화랑곡나방 5령충을 -70℃에서 10분간 저온 처리해 치사시켰다. 그 다음, 상기 화랑곡나방 5령충을 메틸렌블루 염색액(methylene blue 3g, 95% ethanol 300mL, 증류수 100mL)에 25초간 침지 시킨 후 해부하여 열린 기문을 통해 기관지로 스며들어간 염색액을 확인해 기문의 개방 여부 및 기관지의 분포를 관찰하였다.
1-5. 통계분석
기문개폐율과 생존율 결과들은 아크사인변형(arcsine transformation) 후에 SAS의 PROC GLM (SAS Institute, 1989)을 이용하여 one-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고, 평균 간 비교는 최소유의 차 방법(least significant difference method; LSD)을 이용하였다. 처리 사이에 차이는 제 I 형 오류의 확률을 0.05로 기준하여 판별하였다.
실시예 2. 화랑곡나방 유충의 기문 및 기관지 구조 확인
화랑곡나방 5령 유충의 기문 구조 및 그 수를 관찰한 결과,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머리를 제외하고 앞가슴(prothorax)에 1 쌍(T1), 복부(abdomen)에 8 쌍(A1 내지 A8)이 존재하여, 전체 9쌍의 기문이 각 몸마디의 옆면(pleuron)에 존재하였다.
또한, 상기 화랑곡나방 5령 유충 기문의 미세구조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한 결과,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벽에 기문주위벽(peritreme; Pt)을 갖고 있었으며, 기방(atrium) 내에는 체 모양의 폐쇄판(closing valve; CV)이 존재하였고, 이 폐쇄판들의 열고 닫음에 의해 기문의 개폐가 이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랑곡나방 5령 유충의 체내 기관지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예 1-3의 방법으로 열린 기문을 통해 0.05%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 염색액을 주입하여 기관지의 분포를 관찰한 결과,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기문에서 기관지가 세로 및 가로로 뻗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온도 변화가 기문개폐에 미치는 영향 확인
주위 온도(ambient temperature)에 따른 화랑곡나방 유충의 기문 활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화랑곡나방 5령충을 15, 20, 25, 30, 35℃의 인큐베이터에 8시간 처리한 후, 상기 실시예 1-3의 방법에 따른 염색액 침투기술을 사용해 개방 기문수를 확인하였다. 각 처리는 10마리를 이용하여 3 반복으로 실시되었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문의 개폐 활동이 뚜렷이 증가하였고(F = 3.77; df = 5, 53; P = 0.0054), 약 60%의 기문이 25-35℃ 온도에서 열려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이산화탄소가 기문개폐에 미치는 영향 확인
화랑곡나방 유충의 기문 활동에 미치는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CO2)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직경 9㎝의 밀폐 원형용기에 화랑곡나방 5령충 10마리를 넣은 후, 상기 용기 내에 이산화탄소(99%) 가스를 채웠다. 이후 25℃에서 10분간 처리한 다음, 실시예 1-3의 방법에 따른 염색액 침투기술을 사용해 개방 기문수를 확인하였다. 각 처리는 10마리를 이용하여 3 반복으로 실시되었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를 무처리한 경우에는, 기문 개폐가 기문마다 차이를 보여 25-85%의 변이를 보이며 전체적으로 약 60%의 기문 개방률(Opening rate of spiracles)을 나타냈으나, 반면 이산화탄소를 처리하였을 때, 모든 기문의 개방을 촉진하여 전체적으로 약 95%의 기문 개방률을 나타냈다. 상기와 같이 이산화탄소에 노출됨에 따라 화랑곡나방의 기문 개방화가 유도되었음을 알 수 있는바, 이는 화랑곡나방의 기문 개방화에 이산화탄소가 직접 폐쇄근에 작용하여 폐쇄판을 열어주어 가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시예 5. 이산화염소가 기문개폐에 미치는 영향 확인
상기 실시예 4의 이산화탄소가 기문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 ClO2) 처리에 따른 화랑곡나방 유충의 기문 활동을 확인하였다. 이에, 밀폐 원형용기에 깔린 여과지에 800ppm의 용액 500㎕으로 이산화염소를 분주하여, 상기 용기 내에 기화되는 가스에 2 시간 노출 시켰다. 이후 실시예 1-3의 방법에 따른 염색액 침투기술을 사용해 개방 기문 수를 확인하였다. 각 처리는 10마리를 이용하여 3 반복으로 실시되었다.
실시예 4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기문 개방 촉진 효과와 비교하였을 때, 이산화염소의 경우 화랑곡나방 유충의 기문 개방화를 억제하여, 전체적으로 약 25%의 기문 개방율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이산화염소에 노출되면서 일어나는 화랑곡나방의 기문 개방 억제효과는 훈증제 처리에 따른 치사 효과를 낮추는 화랑곡나방의 방어행동으로 간주할 수 있다. 즉, 화랑곡나방은 이산화염소를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감지 신호는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기문을 닫게 하는 행동을 유발하였을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시예 6.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의 혼합처리에 따른 살충력 확인
이산화탄소(CO2)와 이산화염소(ClO2)의 혼합처리는 순차적으로 진행되었다. 직경 9㎝의 밀폐 원형용기에 각 20마리의 화랑곡나방 5령 유충을 넣었다. 상기 밀폐 원형용기들의 뚜껑을 반쯤 연 채로 다시 밀폐 사각용기(54 x 44 x 46㎝) 내부에 이를 설치하였다. 해당 밀폐 사각용기 또한 뚜껑을 열어 둔 채 CO2 인큐베이터(MCO-15AC, Sanyo, Tokyo, Japan)에서 1시간 동안 15% 이산화탄소(CO2)에 노출 시켰다. 그 다음, 밀폐 사각용기의 뚜껑을 닫고(단, 밀폐 원형용기의 뚜껑은 열어 두었다.) 이산화염소 처리 장소로 옮겨, 상기 밀폐 사각용기 뚜껑에 위치한 밀폐된 주입구를 통해 100ppm 농도의 이산화염소(ClO2)를 12시간 동안 주입하였다. 그 후 실내 조건에 이를 노출 시킨 다음, 2시간 방치하고 생존 개체를 계수하였다. 시험구는 밀폐 원형용기이며, 각 처리는 3 반복으로 10마리의 유충을 사용하여 실시되었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는 이산화염소의 기문 활동 억제 효과를 차단하여, 이산화염소를 무처리한 경우 또는 이산화탄소를 처리한 수준만큼 기문의 활동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이산화탄소를 통한 기문 활동의 증가 효과는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를 혼합처리 하였을 때 이산화염소의 살충 효과에도 변화를 줄 수 있음을 시사하는바,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를 각각 단독 처리하였을 때와 혼합처리 하였을 때의 살충 효과를 비교하여 관찰하였다. 이에 화랑곡나방 5령 유충을 15% 이산화탄소(CO2) 및 100ppm 농도의 이산화염소(ClO2) 각각 또는 둘 다에 12시간 동안 노출시켰다. 각 처리는 3 반복으로 20마리의 유충을 사용하여 실시되었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산화염소를 단독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를 혼합처리 한 경우, 현격하게 높은 살충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이산화염소에 대해서 기문을 닫음으로 방어기작을 펼친 화랑곡나방이 이산화탄소와 혼합처리한 결과 기문 개방화가 유도되었고, 이로 인하여 이산화염소의 체내 이동이 원활해져 결과적으로 살충 효과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의 혼합처리가 화랑곡나방과 같은 저곡해충 방제를 위한 살충방법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7)

  1.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를 훈증에 의해 혼합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곡해충 살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의 처리는 15 내지 30%의 농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곡해충 살충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염소의 처리는 100 내지 200ppm의 농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곡해충 살충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를 1 내지 12시간 동안 혼합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곡해충 살충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의 혼합처리는 동시 또는 순차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곡해충 살충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곡해충은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의 알, 유충, 번데기 및 성충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곡해충 살충방법.
KR1020170051802A 2017-04-21 2017-04-21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의 혼합처리에 따른 곤충의 살충방법 KR101953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802A KR101953017B1 (ko) 2017-04-21 2017-04-21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의 혼합처리에 따른 곤충의 살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802A KR101953017B1 (ko) 2017-04-21 2017-04-21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의 혼합처리에 따른 곤충의 살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451A KR20180118451A (ko) 2018-10-31
KR101953017B1 true KR101953017B1 (ko) 2019-02-27

Family

ID=6409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802A KR101953017B1 (ko) 2017-04-21 2017-04-21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의 혼합처리에 따른 곤충의 살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0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49789B (zh) * 2020-03-16 2024-05-17 吉林农业大学 一种适用于米蛾成虫自动收集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550B1 (ko) * 2015-01-19 2016-01-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살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149B1 (ko) * 2015-06-10 2017-10-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살충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550B1 (ko) * 2015-01-19 2016-01-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살충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Food Sci., 2007, Vol.72, pp.M441-M445(2007.10.26.)*
Kor. J. Hort. Sci. Technol. 33(5):705-711, 2015
Korean J. Appl. Entomol. 54(3): 151-158 (20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451A (ko) 201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86500B (zh) 一种红火蚁巢内注射式生物防控方法
CN106900432A (zh) 一种烟雾防治大棚蔬菜病虫害的方法
CN104770397B (zh) 一种白僵菌粉剂及其应用
KR101953017B1 (ko)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염소의 혼합처리에 따른 곤충의 살충방법
CN106234388B (zh) 一种含苯并烯氟菌唑和小檗碱的农药组合物
CN111296466A (zh) 一种防治果树苗传病虫害的涂干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361285A (zh) 一种生物保鲜剂及其生物保鲜参的加工方法
CN105746563B (zh) 一种多杀菌素与辣根素复配组合物及其应用
KR102153744B1 (ko) 카보닐 설파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저곡해충 또는 농업해충 훈증방제용 조성물
CN110800754B (zh) 一种防治桃细菌性穿孔病的复合制剂及用途
CN107567992A (zh) 一种水稻育苗棚室的消毒方法
Beare et al. Marssonina leafspot disease of poplar under elevated ozone: pre-fumigated host and in vitro studies
Cabrefiga Olamendi Fire blight (Erwinia amylovora) of rosaceous plants. Pathogen virulence and sel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logical control agents
Harry et al. Fumigation with methyl bromide—Applications in the poultry industry—A review
CN105053001A (zh) 一种蚕用气体消毒剂及其应用
CN104984373A (zh) 一种古籍重要文献杀虫灭菌方法
BR112017017486B1 (pt) Formulação de revestimento para semente
DE2944278A1 (de) Verwendung eines verfahrens zum chemischen aufschluss von organischen stoffen und biologischen geweben fuer therapeutischen zwecke zur sterilisation gegen mikroorganismen und viren
CN101133737A (zh) 20%丁硫·戊唑醇可湿性粉剂及其生产方法
CN109362814A (zh) 一种防治果园虫害的生物杀虫剂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CN107306992A (zh) 一种水杨酸碘粉消毒剂及其制备方法
CN101185434A (zh) 应用溴甲烷熏蒸剂杀灭小麦矮腥黑穗病菌的方法
KR102311287B1 (ko) 이산화염소와 키틴 용해제를 포함하는 닭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CN201939739U (zh) 感染科用熏蒸消毒箱
MacLachlan et al. Fumigation of used bags with toxic gases for the control of bacterial ring rot of pota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