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000B1 - 장식품조립용 모듈 - Google Patents

장식품조립용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000B1
KR101953000B1 KR1020160112414A KR20160112414A KR101953000B1 KR 101953000 B1 KR101953000 B1 KR 101953000B1 KR 1020160112414 A KR1020160112414 A KR 1020160112414A KR 20160112414 A KR20160112414 A KR 20160112414A KR 101953000 B1 KR101953000 B1 KR 101953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ing
module
ornaments
portions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5579A (ko
Inventor
엄현정
박신영
Original Assignee
엄현정
박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현정, 박신영 filed Critical 엄현정
Priority to KR1020160112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000B1/ko
Publication of KR20180025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7/00Designs imitating three-dimensional effect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이 미려한 단 일체로 되는 모듈을 서로 엮어서 이어가는 방식으로 누구나 간단·용이하게 원하는 모형을 조립하여 벽걸이나 깔판 또는 매다는 장식품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식품조립용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조립용 모듈은, 중앙의 테두리(10)와, 상기 테두리를 4등분 한 각 부분에 각각 동일한 좁은 간격으로 격리되게 내측으로 굽혀져 연장되는 내측절곡부(21)(21')들과 상기 내측절곡부들의 각 내단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게 연장되는 외측절곡부(22)(22')와 상기 외측절곡부들의 외단을 이어주는 외편부(23)를 구비하는 고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장식품조립용 모듈{Ornaments modules for assembly}
본 발명은 장식품조립용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 일체의 외관이 미려한 모듈을 서로 엮어서 이어가는 방식으로 누구나 간단·용이하게 원하는 모형을 조립하여 벽걸이나 깔판 또는 매다는 장식품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식품조립용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형은 실물크기모형·축소모형·확대모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분야에서 여러 가지 실용적인 면에서는 물론 장식물이나 취미 등 다양한 용도에 이용되고 있는데, 구조물이나 형상의 모형은 제작할 때 규정에 따라 분리되게 만들어진 서로 다른 형태의 부재들을 단순히 순서에 의해 조립하는 단계를 거쳐 제작하였거나 제작하는 사람이 임의대로 부재를 직접 제작하여 부재들 하나하나를 접착제로 부착하여 조립을 하였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였음은 물론 조립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5발 연결구와 Y자형 연결구 및 연결부재를 각각 결합시킨 결합체를 틀어 진 상태로 상하 배치한 후 연결부재로 연결시켜 연결구와 연결부재들을 서로 조화롭게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입체감이 있는 모형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연결구를 이용한 조립식 입체모형(공개특허 제10-2014-0096506호)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연결구를 이용한 조립식 입체모형은 그 형태가 서로 다른 3종류의 부재(5발 연결구와 Y자형 연결구 및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조립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부품 수가 많아 제조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은 물론 그 형태가 서로 다르고 5발 연결구와 Y자형 연결구 각 발의 각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함께 포장 또는 보관하는 것은 물론 조립하는 것도 매우 불편하고 까다롭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5발 연결구와 Y자형 연결구의 각 발을 연결부재가 직선으로 연결하게 되는 것이므로 조립된 입체모형이 선과 선으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형태가 매우 단조롭게 되어 모형의 장식효과가 반감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조단가가 대폭적으로 절감됨은 물론 포장 또는 보관이 매우 간편·용이토록 함과 동시에 누구나 간단하게 원하는 형태의 모형을 외관이 미려하게 조립하여 벽걸이나 깔판 또는 매다는 장식품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식품조립용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앙의 테두리와, 상기 테두리를 4등분 한 각 부분에 각각 동일한 좁은 간격으로 격리되게 내측으로 굽혀져 연장되는 내측절곡부들과 상기 내측절곡부들의 각 내단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게 연장되는 외측절곡부들과 상기 외측절곡부들의 외단을 이어주는 외편부를 구비하는 고리를 포함하여 외관이 미려한 단 일체로 구성되는 장식품조립용 모듈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조립용 모듈은, 외관이 미려한 단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므로 제조단가가 대폭적으로 절감됨은 물론 포장 또는 보관이 매우 간편·용이하게 되는 장점은 물론 누구나 간단하게 원하는 형태의 모형을 외관이 미려하게 조립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식품을 제공하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장식품조립용 모듈의 1차 성형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장식품조립용 모듈을 2차 성형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장식품조립용 모듈의 일 조립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4a,b는 도 3의 장식품조립용 모듈로 조립된 장식품의 일 예를 보인 평면도와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장식품조립용 모듈로 조립된 장식품의 다른 예들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조립용 모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장식품조립용 모듈의 1차 성형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장식품조립용 모듈을 2차 성형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의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조립용 모듈은, 중앙의 테두리(10)와, 상기 테두리를 4등분 한 각 부분에 각각 동일한 좁은 간격으로 격리되게 내측으로 굽혀져 연장되는 내측절곡부(21)(21')와 상기 내측절곡부들의 각 내단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게 연장되는 외측절곡부(22)(22')와 상기 외측절곡부들의 외단을 이어주는 외편부(23)로 이루어지는 고리(20)들을 포함하여 외관이 미려한 단 일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모듈은, 소정두께의 판재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강판을 레이저커팅기로 커팅가공하여 단 일체로 되게 1차로 성형한 다음에 외측절곡부(22)(22')들의 각 외측부분을 동일하게 상방으로 만곡되도록 굽히는 2차 성형을 하여 고리(20)들의 외측부분이 각각 상방으로 굽혀지게 한다.
이렇게 각 고리(20)의 외측부분을 굽혀주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듈들의 각 고리를 간단하게 서로 교차시켜 엮어서 이어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아울러 상기 외측부분을 굽혀주는 정도는 모듈들을 조립하여 형성하는 모형의 형태에 따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조립용 모듈로 모형을 조립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의 장식품조립용 모듈의 일 조립과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a,b는 도 3의 장식품조립용 모듈로 조립된 장식품의 일 예를 보인 평면도와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장식품조립용 모듈로 조립된 장식품의 다른 예들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하나의 모듈(A)에 구비된 고리(20)들 중 하나에 다른 모듈(B)의 고리(20)들 중 하나를 걸어 줄 때에는, 먼저 모듈(A)의 해당 고리(20)에 대해 모듈(B)의 해당 고리(20)가 직교하게 되도록 모듈(B)을 세워 준 상태에서 모듈(A) 고리(20)의 외측절곡부(22)(22')들 사이를 관통하게 끼워준 다음 모듈(B)을 눕혀서 모듈(A)과 평행하게 하면 고리(20)들의 외측절곡부(22)(22')들이 서로 내외로 교차하는 상태로 걸어져 조립된다.
이렇게 조립하면, 서로 걸어진 고리(20)들 중 어느 하나를 직교하게 하여 분리하지 않는 한 조립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수 개의 모듈들을 종횡으로 이어지게 조립하면, 도 4a,b에서와 같이 평판형태의 모형이 되므로 바닥에 까는 깔판이나 벽에 걸어주는 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다수 개의 모듈들을 공 형태의 모형으로는 물론 파이프형태 등의 모형으로 조립하여 천장에 매다는 장식품이나 전등 갓 등으로 사용하여도 된다.
그리고, 모형은 반드시 평판이나 공 또는 파이프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아이디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임은 물론이고, 아울러 상기에서는 모듈을 스테인리스강판으로 성형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두께를 갖는 종이나 판지 또는 합성수지판으로 성형하여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장식품조립용 모듈은, 외관이 미려한 단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제조단가가 대폭적으로 절감됨은 물론 포장 또는 보관이 매우 간편·용이하게 되는 장점은 물론 누구나 간단하게 원하는 형태의 모형을 외관이 미려하게 조립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식품을 제공하게 된다.
10 : 테두리 20 : 고리
21,21' : 내측절곡부 22,22' 외측절곡부
23 : 외편부

Claims (1)

  1. 스테인리스강판을 커팅가공하여 단 일체로 형성되며, 중앙의 테두리(10)와, 상기 테두리(10)를 4등분 한 각 부분에 각각 동일한 좁은 간격으로 격리되게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절곡부(21)(21')와 상기 내측절곡부(21)(21')의 각 내단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게 연장되며 각 외측부분이 동일하게 상방으로 만곡되도록 굽혀지는 외측절곡부(22)(22') 및 상기 외측절곡부(22)(22')의 외단을 이어주는 외편부(23)로 이루어지는 고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품조립용 모듈.
KR1020160112414A 2016-09-01 2016-09-01 장식품조립용 모듈 KR101953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414A KR101953000B1 (ko) 2016-09-01 2016-09-01 장식품조립용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414A KR101953000B1 (ko) 2016-09-01 2016-09-01 장식품조립용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579A KR20180025579A (ko) 2018-03-09
KR101953000B1 true KR101953000B1 (ko) 2019-02-27

Family

ID=61727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414A KR101953000B1 (ko) 2016-09-01 2016-09-01 장식품조립용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0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4244U (ko) 2011-12-30 2013-07-10 주식회사 오방놀이터 변형이 용이한 거북이 매트 완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887Y1 (ko) * 1989-09-28 1992-05-08 한국프뢰벨 주식회사 조립블럭완구
JP3129227U (ja) * 2006-04-28 2007-02-15 木田 サチコ 蜂の巣状編み加工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4244U (ko) 2011-12-30 2013-07-10 주식회사 오방놀이터 변형이 용이한 거북이 매트 완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29227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579A (ko)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35773S1 (en) Aromatherapy diffuser in the shape of a vase
USD821256S1 (en) Holiday gnome ornament
US2814159A (en) Building unit and assembly for toys and the like
USD948631S1 (en) Construction toy set
USD924337S1 (en) Decoration base for toy beads
KR101953000B1 (ko) 장식품조립용 모듈
USD963064S1 (en) Toy building element
EP3528670B1 (en) Floral arranging apparatus
JP4845136B2 (ja) ビーズ組立治具及び該ビーズ組立治具を備えたビーズ玩具セット
USD974885S1 (en) Plastic wall hook
US6561363B1 (en) Display assembly for edible and non-edible objects
USD963062S1 (en) Toy building element
US20180206663A1 (en) Artificial christmas tree
JP3169915U (ja) 仕切板
USD874777S1 (en) Bellman cart
CN210520659U (zh) 拼装结构的花瓶
RU140438U1 (ru) Декоративно-прикладное изделие
KR101870319B1 (ko) 트리 키트
TWI381952B (zh) 飾品
CN203793004U (zh) 一种具有多面拼接结构的装饰品
JP2589964B2 (ja) 装飾置物
USD975791S1 (en) Element for a toy building set
USD984609S1 (en) Wall-mounted boiler
US6264155B1 (en) Assembly base for decorative trees
KR200462423Y1 (ko) 다용도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