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214B1 - Elevator switch assembly - Google Patents

Elevator switch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214B1
KR101952214B1 KR1020180053475A KR20180053475A KR101952214B1 KR 101952214 B1 KR101952214 B1 KR 101952214B1 KR 1020180053475 A KR1020180053475 A KR 1020180053475A KR 20180053475 A KR20180053475 A KR 20180053475A KR 101952214 B1 KR101952214 B1 KR 101952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elevator
groove
ho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4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주형
Original Assignee
(주)다인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인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다인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180053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2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2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2Mechanical or piezoelectric inpu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control switch assembly, comprising a housing, a cover disposed in the housing, and a control button. The control button includes a priority right allowable button. Therefore, the control button is operated by priority as operation of an elevator control panel inside or outside an elevator is controlled when the priority right allowable button is pressed,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disabled.

Description

장애인 우선 운전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조작스위치 어셈블리{ELEVATOR SWITCH ASSEMBLY}[0001] ELEVATOR SWITCH ASSEMBLY [0002]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조작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커버 및 조작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조작버튼에 우선권부여버튼을 포함함으로서, 상기 우선권부여버튼을 누르면 엘리베이터 내부 또는 외부의 엘리베이터 조작패널의 동작을 제어하여 조작버튼이 우선적으로 동작하여 장애인의 편의를 보장할 수 있는 장애인 우선 운전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조작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operation switch assembly including a housing, a cover provided on the housing, and an operation button, wherein the operation button includes a priority giving butt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vator operation switch assembly having a disabled operation mode in which an operation button is operated preferentially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operation panel to ensure the convenience of the disabled person.

일반적으로 고층건물, 지하철 등의 시설에는 엘리베이터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높이고 있으며,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또는 장애인들을 위해 장애인 전용 엘리베이터가 설치되거나, 엘리베이터 내부에 구비되는 조작패널을 측면 하단부에 더 구비하여 특히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엘리베이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노약자나 장애인들이 보다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Generally, facilities such as a high-rise building, a subway, and the like are provided with an elevator to enhanc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Especially, an elevator for disabled persons is installed for the elderly or disabled persons who are uncomfortable in the movement or the elevator has an operation panel So that the elevator can be controlled especially in a wheelchair so that the elderly or the disabled can use it more easily.

이러한 장애인들의 편의를 높이기 위한 기술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026730호 "시각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조작장치"가 있는데,As a technique for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such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re is a prior art 10-1026730 entitled " elevator handling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목적층의 층수를 입력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전달되는 목적층의 층수를 인식하여 층선택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층선택신호를 입력받아 목적층의 정보, 엘리베이터 구동 상태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출력부와, 상기 터치스크린의 패널 영역을 확인하도록 표시되는 점자표시부로 구성되어, 시각장애인이 터치펜이나 손톱 등으로 쉽게 목적층의 층수에 해당하는 숫자를 터치스크린에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고, 음성으로 목적 층수, 데이터 입력 오류, 엘리베이터 구동 상태 등을 알려주어 시각장애인도 층수 수정이나 엘리베이터 이용이 용이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The conventional technique includes a touch screen for inputting the number of layers of a target layer by a user,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layer selection signal by recognizing the number of layers of a target layer transmitted from the touch screen, And a braill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anel area of the touch screen, wherein the blind person can easily touch the number of the target floor Can be conveniently input to the touch screen, and the number of the target number of floors, data input error, elevator driving status, etc. is informed by voice,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easily modify the number of floors and use the elevator.

또한 공개특허 제10-2001-0008169호 "시각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음성출력장치"가 있는데,In addition, there is a " elevator voice output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 which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008169,

상기 종래기술은 점자가 각인된 층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점자버튼입력부(101)와, 상기 점자버튼입력부(101)로부터 입력되는 층선택 신호를 감지하고 엘리베이터 구동제어부(20)로 층선택신호를 전송하며 또한 선택된 층에 대한 음성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2)와, 상기 제어부(10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선택된 층에 대한 정보를 음성신호로 생성하기 위한 음성처리프로세서(103)와, 상기 음성처리프로세서(103)에서의 음성생성에 필요한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성데이터메모리부(104)와, 상기 음성처리프로세서(103)에서 생성된 음성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105)와, 상기 증폭부(105)에서 증폭된 신호를 청취가능한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06)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The conventional art includes a braille button input unit 101 including a layer selection button imprinted with braille and a layer selection signal input from the braille button input unit 101 and transmits a layer selection signal to the elevator drive control unit 20 A controller 102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for the selected layer, and a voice processor (not shown) for generating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layer as a voice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2 An audio data memory section 104 for storing audio data required for audio generation in the audio processing processor 103 and an amplifying section 103 for amplifying audio signals generated in the audio processing processor 103 105 and a speaker 106 for outputting a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ying unit 105 in a audible voice.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은 단순히 음성출력 및 입력방식을 개선한 것으로서, 휠체어를 탄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 사용하기에는 버튼의 위치가 높아 사용의 무리가 있으며, 탑승 후 일반인과 섞여 장애인 및 일반인 모두에게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two prior arts are merely improved voice output and input method, and there is a difficulty in using the button because the position of the button is too high for a disabled person having an uncomfortable movements in a wheelchair, and it is mixed with an ordinary person after boarding, There is a problem that occurs.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304899호 "군관리 행선층 예약 단말기에서의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운전제어 방법"이 있는데,Also, according to the prior art, Patent No. 10-1304899 entitled "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operation for the disabled in the reservation terminal of the military management destination floor "

상기 종래기술은 군관리 운제제어 방식이 적용된 행선층 예약 단말기 측에 장애인 전용 버튼 조작이 발생되고, 이어서 행선층 입력 버튼의 조작이 이루어졌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장애인 전용 버튼 및 행선층 입력 버튼 조작에 따라 엘리베이터 제어반에서 장애인용 호출에 대해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해당 호기를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에서의 호기 할당에 따라 해당 행선층 예약 단말기가 할당 호기에 대한 정보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안내하는 단계와; 할당된 해당 호기가 해당 승강장에 도착함에 따라, 상기 행선층 예약 단말기에서 이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안내하는 단계와; 해당 호기가 승강장에 도착한 후, 도어가 일정 시간동안 개방된 뒤 자동으로 폐쇄되는 단계와; 해당 호기가 행선층 예약 단말기를 통해 입력한 행선층으로 이동하는 단계와; 해당 호기의 행선층 도착 직전, 카 내에 도착정보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안내하는 단계 및; 해당 호기가 행선층에 도착한 후, 도어가 일정 시간동안 개방된 뒤 자동으로 폐쇄되는 단계;의 과정을 거쳐 제어가 이루어지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it is judged whether a button operation for a disabled person is generated on the side of the travel floor reservation terminal to which the group management flight control method is applied, and then the operation of the destination floor input button is performed. Allocating a corresponding unit to provide an optimal service for a call for a disabled person in an elevator control pane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for the disabled person and the input button for the traveling floor; A step of visually and audibly guiding the information on the assigned airplane to the destination floor reserv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airplane allocation in the elevator control panel; A step of visually and audibly guiding the assigned boarding unit to the destination boarding terminal upon arrival at the boarding platform; A door is ope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closed automatically after the corresponding machine arrives at the platform; Moving the corresponding machine to a destination layer inputted through the destination layer reservation terminal; Directing arrival information in a car visually and audibly immediately before arrival of a destination floor of the unit; A door is open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the corresponding unit arrives at the destination floor, and then the door is automatically closed; and the control is performed.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여러대의 엘리베이터가 구비된 경우, 별도로 장애인 엘리베이터 호기를 부여함에 따라 장애인의 탑승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나, 엘리베이터가 하나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사용되기 어려우며, 특히 행선층 예약 단말기를 적용하지 않은 엘리베이터에서는 사용이 불가하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elevators are provided,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boarding the disabled person by providing an elevator for disabled persons separately. However, it is difficult to use the elevator when the elevator is one,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used.

또한 이와 유사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315816호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이 있는데,In addition, there is a prior art No. 10-1315816 entitled " Disabled elevator priority boarding system "

상기 종래기술은 휠체어에 장애인정보관리수단을 구성하여 엘리베이터에 구성된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과 통신하여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며, 탑승 중인 승객들에게 장애인 탑승을 미리 알려 공간 확보를 유도하여 장애인이 쉽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The above-mentioned prior art constitutes an information management means for a disabled person in a wheelchair, calls an elevator by communicating with an emergency call management means configured in the elevator, informs passengers on board the passenger of the handicapped in advance, And the lik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장애인이 엘리베이터 내에 탑승한 경우, 일반인이 함께 탑승하면 일반인들의 승하차 도중에 장애인과 부딪혀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휠체어를 탄 환자의 경우에는 부상부위가 부딪힘에 따라 통증이 발생하거나 병세가 악화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고, 휠체어의 승하차 시 함께 탑승한 일반인에 의해 장애인과 일반인 모두에게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when the disabled person is boarded in the elevator, when the general person is boarded together, the disabled person may hit the disabled person during the getting on and off of the general person, which may cause discomfort.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disabled person or the disabled person may get worse and the disabled person and the general person may be inconvenienced by the ordinary person who is aboard the wheelchair when boarding or getting off the wheelchai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용부가 구비된 하우징, 이 수용부를 덮는 커버, 커버에 노출되는 복수개의 조작버튼으로 이루어지되, 이 조작버튼에 우선권부여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우선권부여버튼을 누르면 엘리베이터에 구비되는 다른 조작패널의 동작보다 상기 조작버튼이 우선적으로 동작하도록 하여 장애인에게 우선권을 부여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조작스위치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elevator includes a housing having a receiving portion, a cover covering the receiv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exposed on the cover. The operation button includes a priority giving button, and when the priority giving button is presse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operation switch assembly capable of giving priority to a disabled person by allowing the operation button to operate more preferentially than other operation panels.

특히, 상기 우선권부여버튼을 장애인이 소지하는 리모콘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 소아마비와 같이 수족이 모두 불편한 장애인들 또한 우선권부여버튼을 작동하여 엘리베이터 조작에 우선권을 부여받을 수 있는 엘리베이터 조작스위치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vator operation switch assembly capable of allowing a disabled person having a disability such as polio to operate with a priority button by operating a remote control operated by a disabled person, It is another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작스위치 어셈블리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levator operation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수용부가 구비되는 하우징;A housing having a storage unit;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수용부를 덮으며, 복수개의 노출공이 형성된 커버;A cover which is provided in the housing and covers the accommodation portion, the cover having a plurality of exposure holes;

상기 커버의 노출공에 끼움결합되며, 우선권부여버튼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조작버튼;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that are fitted to the exposure hole of the cover and include a priority button;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 / RTI >

상기 우선권부여버튼을 누르면, 엘리베이터에 구비되는 다른 조작패널의 동작보다 상기 조작버튼이 우선적으로 동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when the priority giving button is pressed, the operation button is preferentially operated rather than the operation of another operation panel provided in the elevato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작스위치 어셈블리는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levator operation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엘리베이터에 구비되되 우선권부여버튼을 더 구비함으로서 장애인이 엘리베이터 탑승 후 상기 우선권부여버튼을 누르면, 내부에 구비되는 또 다른 엘리베이터 조작패널 또는 각 층에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조작패널의 동작보다 조작버튼의 동작에 우선권을 부여함에 따라 장애인의 엘리베이터 이용의 편의성을 부여하고,When the disabled person pushes the priority giving button after boarding the elevator,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operation panel or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operation panel provided in each floor is prior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To provide the convenience of the use of elevators by persons with disabilities,

특히 장애인 탑승 후 하차시까지 다른 층에 멈추지 않도록 하여 중간에 일반인이 탑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 내부가 혼잡해지는 것을 방지하고,Especially, it prevents the general people from boarding in the middle so as not to stop on the other floor until getting off after boarding, so that the inside of the elevator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congested,

이를 통하여 장애인, 특히 휠체어가 보다 넓은 공간에서 움직일 수 있어 승하차 및 움직임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This enables the disabled person, especially the wheelchair, to move in a larger space, thereby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getting on and off and moving.

또한 상기 우선권부여버튼은 장애인이 소지한 리모콘 또는 카드를 터치함으로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 비장애인의 사용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족이 불편하여 전동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경우에도 버튼을 누를 필요 없이 리모콘을 동작하여 엘리베이터 제어의 우선권을 부여받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iority assigning button can be operated by touching a remote controller or a card held by a disabled person, thereby preventing the use of a non-disabled person.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a disabled person using an electric wheelchair, So that the elevator control can be given prior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작스위치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작스위치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작스위치 어셈블리의 체결클립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작스위치 어셈블리의 조작버튼의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작스위치 어셈블리의 조작버튼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작스위치 어셈블리의 조작버튼의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작스위치 어셈블리의 변형례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operation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operation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view of a fastening clip of an elevator operation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operation of an operation button of the elevator operation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etailed view of an operation button of the elevator operation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view of an operation button of an elevator operation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example of the elevator operation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우선 운전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조작스위치 어셈블리(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하우징(10)과 커버(20) 및 조작버튼(30)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버튼(30)에는 우선권부여버튼(31)을 더 포함하여 장애인에게 엘리베이터 제어에 있어서 우선권을 부여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elevator operation switch assembly A having the disabled operation mo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a cover 20, (30), and the operation button (3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iority giving button (31), so that a disabled person can be given priority in elevator control.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Each of the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상기 하우징(10)은 엘리베이터의 내부 측면에 내삽되는 것으로서, 엘리베이터를 동작하기 위한 제어PCB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0)은 엘리베이터의 측면에 구비되되 휠체어를 탄 사람이 쉽게 누를 수 있는 높이에 구비되며, 도어 옆에는 일반인이 사용하는 또 다른 조작패널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는 종래의 다양한 엘리베이터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First, the housing 10 is inserted into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elevator, and is provided with a control PCB for operating the elevator. The housing 10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elevator and has a height And another operation panel used by the general public is provided beside the door, which can be confirmed by various conventional elevator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시 본 발명에 따른 조작스위치 어셈블리(A)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을 덮는 커버(20) 및 상기 커버(2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조작버튼(30)을 포함하는 것으로서,The operation switch assembly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and a cover 20 covering the housing 10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30 ),

먼저 상기 하우징(10)은 엘리베이터의 동작 제어를 위한 각종 전기장치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11)를 형성하는 함체로서, 상기 하우징(10)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판형의 커버(20)가 결합될 수 있는 체결돌기(13)가 형성되어 있으며,First, the housing 10 forms a housing 11 capable of accommodating various electric device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The housing 10 has a plate-like cover 20 attached to each corner of the housing 10 A fastening protrusion 13 is formed,

이 체결돌기(13)에는 통공(131)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20)와 볼트결합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A through hole 131 is formed in the fastening protrusion 13 and can be coupled to the cover 20 through bolt connection.

또한 상기 하우징(10)에는 복수개의 방열공과 케이블연결공이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t is obvious that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ng holes and cable connecting holes are provided in the housing 10,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일반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은 엘리베이터의 내벽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20)가 엘리베이터 내벽면에 노출되도록 구성되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Generally, the housing 10 is inserted into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cover 20 is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levator. However, this is only one embodiment, Can not be done.

상기 커버(2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1)를 덮으며 상기 조작버튼(30)이 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 모서리 부분이 상기 볼트공(151a)과 연통되어 볼트결합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cover 20 covers the receiving portion 11 and is exposed to the operation button 30. The cover 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each corner portion is formed in the bolt hole 151a to be bolt-engaged.

이 때 상기 커버(20)와 하우징(10)은 모두 철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볼트 결합 시, 마모 등으로 인하여 하우징(10)의 체결돌기(13)에 직접 볼트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을 형성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체결클립(1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over 20 and the housing 10 are both made of iron, and it is difficult to form a thread to which the bolts are screwed directly to the fastening protrusions 13 of the housing 10 due to abras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 separate fastening clip 15 is further provided.

상기 체결클립(15)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The fastening clip 15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상기 체결클립(15)은 제1공이 형성된 전면부(151)와, 상기 전면부(151)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151)와 나란하게 겹쳐지도록 형성하되는 후면부(15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부(151)와 후면부(155) 사이에는 상기 체결돌기(13)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공간(15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stening clip 15 includes a front portion 151 formed with a first hole and a rear portion 155 formed to be folded from the front portion 151 to be overlapped with the front portion 151, And a fitting space 157 is formed between the front part 151 and the rear part 155 so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 13 can be inserted.

이러한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부(151)와 후면부(155)는 절곡부(153)를 형성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돌기(13)에 억지끼움되기 위하여 상기 전면부(151)와 후면부(155)는 서로 평행하지 않으며 절곡부(153)로부터 멀어질수록 둘 사이의 거리가 점점 좁아지도록 이루어진다.In order to form such a structure, the front part 151 and the rear part 15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forming a bending part 153. The front part 151 and the rear part 155 155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gradually narrowed as they are further away from the bending portion 153.

아울러 상기 전면부(151)에는 상기 체결돌기(13)의 통공(131)과 연통될 수 있도록 볼트공(151a)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155)에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공(155a)이 구성된다.A bolt hole 151a is formed in the front part 15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hole 131 of the fastening protrusion 13. A screw hole 155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lt hole 155a, .

따라서 상기 체결클립(15)을 체결돌기(13)에 끼우면, 상기 볼트공(151a), 통공(131) 및 나사공(155a)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 나사공(155a)에 볼트가 체결되어 커버(20)가 하우징(10)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Therefore, when the fastening clip 15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rotrusion 13, the bolt hole 151a, the through hole 131 and the screw hole 155a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cover 20 is coupled to the housing 10.

아울러 상기 나사공(155a)은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후면부(155)로부터 돌출된 나사돌기(155b)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후면부(155)의 양측에는 보강돌기(155c)가 구비되어 볼트로 나사결합을 할 때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screw hole 155a is formed of a screw projection 155b protruding from the rear portion 155 to form a thread and a reinforcing protrusion 155c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ar portion 155, It plays a role of improving the strength.

상기 커버(20)에는 상기 조작버튼(30)이 구비되는 복수개의 노출공(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이 노출공(21)에 삽입되는 조작버튼(30)에 우선권부여버튼(3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ver 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xposure holes 21 provided with the operation buttons 30.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button 30 inserted in the exposure hole 21 is provided with a priority giving button 31 ). ≪ / RTI >

또한 상기 커버(20)에는 엘리베이터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3) 및 음성출력부(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cover 2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23 and an audio output unit 25 for displaying an elevator operation state.

나아가 상기 우선권부여버튼(31)은 후술하는 조작버튼(3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터치식, 감압식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조작버튼(30)은 층버튼, 열림 및 닫힘버튼 등 엘리베이터 조작 시 필요한 버튼들로 구성되며, 조작버튼(30)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어느 하나의 버튼을 예로 도시하였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The priority button 31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operation button 30 described later but may be of a touch type or a pressure sensitive type. The operation button 30 may be a floor button, an open and a close button And an elevator operation button. In describ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30, any one of the buttons is shown as an example,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우선권부여버튼(31)을 누르면, 우선권부여버튼(31)이 구비되는 장치, 즉 본 발명의 조작스위치 어셈블 리가 엘리베이터의 내부 또는 각 층에 구비되는 또 다른 조작패널의 동작보다 우선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user presses the priority giving button 31, the apparatus having the priority giving button 31, that is, the operation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iority over the operation of another operation panel provided inside the elevator, And the like.

다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조작버튼(30)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4 to 6, the structure of the operation button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조작버튼(30)은The operation button 30

푸쉬스위치(331)를 구비한 제어부(33)와, 상기 제어부(33)를 수용하는 본체(35), 상기 본체(35)에 구비되어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푸쉬스위치(331)를 가압하는 누름버튼(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control unit 33 having a push switch 331, a main body 35 for accommodating the control unit 33, a push button 331 for pushing the push switch 331, (37).

먼저 제어부(33)는 상기 본체(35)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전면에 푸쉬스위치(331)가 구비되어 누름버튼(37)을 누르면 푸쉬스위치(331)가 눌려 동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PCB로 이루어지는 것은 자명하다.The control unit 33 is coupled to the main body 35 and is provided with a push switch 331 on its front side so that the push button 331 can be pressed by pressing the push button 37, It is self-evident that it consists of PCB to make.

상기 제어부(33)는 본체(35)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먼저 상기 본체(35)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33 is received in the main body 35, and the main body 35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본체(35)는 제어부(33)를 수용하기 위한 안착부(351)가 형성되고 외벽부(353)가 형성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우선 상기 외벽부(353)에는 복수개의 절개벽(353a)이 형성되어 일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안착부(351)에는 상기 제어부(33)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351b)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33)의 단부를 지지하여 제어부(33)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351a)이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비되어 제어부(33)가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main body 35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seating portion 351 for receiving the control portion 33 is formed and an outer wall portion 353 is formed. The outer wall portion 35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353a And a fixing protrusion 351b for fixing the control part 33 is formed on the mounting part 351. The control part 33 supports the end part of the control part 33, So that the control unit 33 can be firmly fixed without being shaken up by one or two or more separation preventing tails 351a.

또한 상기 외벽부(353)에는 상기 제어부(33)의 커넥터(333)가 노출될 수 있는 커넥터공(353b)이 형성되어 있다.A connector hole 353b through which the connector 333 of the controller 33 is exposed is formed on the outer wall 353.

도 4[B]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35)의 측면형상을 설명하면, 상기 본체(35)에는 직경이 감소하도록 경사진 진입안내부(355)가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본체(35)를 커버(20)의 노출공(21)에 보다 손쉽게 끼워넣기 위함이다.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35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B]. The main body 35 is formed with an entrance guide portion 355 inclined to decrease in diameter, (21) of the base plate (20).

즉, 상기 노출공(21)과 상기 본체(35)의 직경은 동일하게 구성하여 상기 본체(35)가 노출공(21)에 억지끼움되도록 이루어지는 바, 상기 본체(35)를 노출공(21)에 삽입할 때, 직경이 작은 진입안내부(355)에 의해 보다 손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That is, the diameter of the exposure hole 21 and that of the main body 35 are equal to each other so that the main body 35 is pressed against the exposure hole 21, So that it can be inserted more easily by the small entrance guide portion 355,

상기 절개벽(353a)의 외측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돌출된 걸림벽(353d)이 더 구비되어 상기 본체(35)를 노출공(21)에 끼워넣으면, 상기 걸림벽(353d)이 노출공(21)의 내측면에 걸릴 수 있도록 함으로서 조작버튼(3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e or two or more locking protrusions 353d are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utout wall 353a so that when the main body 35 is inserted into the exposure hole 21, 21 so that the operation button 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상기 본체(35)에는 누름버튼(37)이 체결되게 되는데, 이 누름버튼(37)을 고정하기 위한 링커버(39)가 더 구비되게 된다.A push button 37 is fastened to the main body 35, and a ring cover 39 for fixing the push button 37 is further provided.

먼저 상기 링커버(39)에는 상기 누름버튼(37)이 체결되고, 상기 누름버튼(37)이 체결된 링커버(39)가 상기 본체(35)에 결합됨에 따라 누름버튼(37)을 누르면 상기 제어부(33)의 푸쉬스위치(331)를 누를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When the push button 37 is fastened to the ring cover 39 and the push button 37 is pressed as the ring cover 39 with the push button 37 fastened thereto is coupled to the main body 35, The push button 331 of the control unit 33 can be depressed,

먼저 상기 누름버튼(37)에 대하여 설명하면,First, the push button 37 will be described.

상기 누름버튼(37)에는 상기 누름버튼(37)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탄성바(371a)가 형성된 탄성형성부재(371)가 구비되고, 상기 누름버튼(37)에는 상기 링커버(39)와 고정되기 위한 고정걸쇠(373)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ush button 37 is provided with an elastic forming member 371 having an elastic bar 371a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push button 37. The push button 37 is provided with the ring cover 39, And a plurality of fixing latches 373 for fixing are provided.

상기 탄성형성부재(371)는 상기 누름버튼(37)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탄성형성부재(371)의 외각에는 탄성바(371a)가 구비되어 상기 누름버튼(37)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elastic forming member 371 is formed inside the push button 37. The elastic forming member 371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ar 371a at the outer periphery thereof so as to apply elastic force to the push button 37 .

상기 탄성바(371a)는 상기 탄성형성부재(371)에 연장되어 테두리부분에 형성된다.The elastic bar 371a extends to the elastic forming member 371 and is formed at a rim portion.

상기 링커버(39)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측에 탄성지지플랜지(39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지지플랜지(391)에는 상기 고정걸쇠(373)가 걸릴 수 있는 걸쇠공(393)이 상기 고정걸쇠(373)에 대응될 수 있도록 구성되게 된다.The ring cover 39 has a ring shape and is provided with an elastic support flange 391 on its inner side. The elastic cover flange 391 is provided with an engagement hole 393 to which the fixing latch 373 can be hooked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orrespond to the fixed latch 373.

즉, 상기 링커버(39)에 누름버튼(37)을 결합하면, 상기 고정걸쇠(373)가 걸쇠공(393)에 걸리게 되고, 이 때 상기 탄성바(371a)가 탄성지지플랜지(391)에 밀착되어 누름버튼(37)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That is, when the push button 37 is engaged with the ring cover 39, the fixed hook 373 is caught by the hook hole 393, and the elastic bar 371a is engaged with the elastic support flange 391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push button 37 in close contact therewith.

또하 상기 탄성형성부재(371)의 중앙에는 상기 푸쉬스위치(331)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371b)가 형성되어 누름버튼(37)을 누르면 상기 가압부(371b)가 푸쉬스위치(331)를 누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상기 링커버(39)가 본체(35)에 조립된 상태에서의 동작을 말한다.)A pressing portion 371b capable of pressing the push switch 33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elastic forming member 371 so that when the push button 37 is pressed, the pushing portion 371b presses the push switch 331 (The ope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ring cover 39 is assembled to the main body 35).

이렇게 누름버튼(37)이 결합된 링커버(39)는 상기 본체(35)에 결합되는데,The ring cover 39 to which the push button 37 is coupled is coupled to the main body 35,

상기 링커버(39)의 외면에는 복수개의 끼움홈(395)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35)의 절개벽(353a)에는 상기 끼움홈(395)에 결합될 수 있는 끼움돌기(353c)가 구비되어 상기 링커버(39)가 본체(35)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395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ing cover 39 and fitting protrusions 353c are formed on the dividing wall 353a of the main body 35 to be engageable with the fitting groove 395 So that the ring cover 39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35.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본체(35)의 수용부(11)에는 리모콘수신부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장애인이 소지하고 있는 리모콘(R)을 통하여 우선권부여버튼(31) 및 조작버튼(3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그 동작은 상기 우선권부여버튼(31)을 누르는 동작과 동일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remote control receiver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receiving portion 11 of the main body 35. The remote control receiver 31 includes a priority giving button 31 and an operation button 30, and the operation thereof can be oper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priority giving button 31,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작 스위치 어셈블리(A)를 사용함에 있어, 그 동작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면,In using the elevator operation switch assembly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응 엘리베이터 카 내부, 또는 건물의 로비 또는 각 층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서,Firs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in an elevator car, or in a lobby or each floor of a building or both,

1.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설치된 경우에는1. When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car

사용자, 특히 장애인이 상기 우선권부여버튼(31)을 누르면, 우선권부여버튼(31)이 점등됨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23)에 전용운전 등의 안내문구가 나타나고, 음성출력부(25)를 통해 전용운전 중임을 알리게 된다.When the user, particularly the disabled person, presses the priority giving button 31, the priority giving button 31 is turned on and a guiding message such as a dedicated oper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3, I will inform you that you are driving.

상기 전용운전모드로 변환되면, 기존에 등록되어진 행선층 및 외부의 부름버튼(각 층에 구비되는 버튼)이 모두 취소가 되고, 장애인이 가고자 하는 층을 누르면, 그 층으로 엘리베이터는 이동하게 된다.When the mode is switched to the dedicated operation mode, the previously registered traveling layer and external call buttons (buttons provided on each floor) are canceled, and when the disabled person touches the floor, the elevator moves to that floor.

또한 이러한 전용운전 모드인 경우에는 외부 부름에는 응답하지 않으며, 전용운전이 완료되면 다시 일반운전 모드로 변경되어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Also, in the dedicated operation mode, it does not respond to the external call, and when the dedicated operation is completed, the operation mode is changed to the normal operation mode again, so that it can be used by the general public.

2. 엘리베이터 카 내부와 로비층에 설치된 경우에는2. When installed in the elevator car interior and lobby floor

우선권부여버튼(31) 동작 시 앞서 언급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용운전 중임을 안내하고 전용운전 모드로 변환되며,In the operation of the priority giving button 31, it is guided that the exclusive operation is being performed and converted into the dedicated operation mode,

이 때 외부 부름은 취소되고, 카 내부에서 조작된 운행중인 층만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outside call is canceled and only the stratum that is operated in the car moves.

이렇게 운행이 끝나면, 엘리베이터 카는 로비층으로 이동하여 장애인이 탑승하게 되고, 탑승 후 장애인이 가고자 하는 층에 도착 후 일반운전 모드로 변환되게 된다.When this is done, the elevator car moves to the lobby floor, where the disabled person is boarded. After arriving at the floor where the disabled person wants to go, the elevator car is converted to the normal driving mode.

3. 엘리베이터 카 내부, 로비층, 기타층에 모두 설치된 경우에는3. If it is installed in the elevator car interior, lobby floor and other floors

각 층에 설치된 우선권부여버튼(31)을 누르면, 전용운전 모드로 변환되고,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탑승객이 조작한 층만 서비스 한 후, 장애인이 있는 층으로 엘리베이터는 이동하며, 이동 후 장애인이 가고자하는 층에 서비스 완료 후 일반운전 모드로 변환되게 된다.When the priority giving button 31 provided in each floor is pressed, the elevator car is converted to the dedicated operation mode, and only the floor operated by the passenger in the elevator car is serviced. Then, the elevator moves to the floor where the disabled person is present, An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ervice, it is converted into the normal operation mode.

이 때 전용모드로 운행하는 경우, 각 층의 외부부름에는 응답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으며,In this case, when operating in the dedicated mode, it is set so as not to respond to the external call of each floor,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가 열린 후에는 일정시간 열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기존의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가 열려있는 시간보다 길게 설정한다.) 장애인이 보다 안전하게 승하차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After the door of the elevator car is opened, the elevator car can be kept open for a predetermined time (it is set longer than the time when the door of the existing elevator car is opened)

상기 우선권부여버튼(31)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상기 우선권부여버튼(31)이 일정시간(3초~5초) 누른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만 전용운전모드로 변환되도록 하여 임의로 눌려서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고,In order for the priority giving button 31 to operate, the priority operation button 31 is changed to the dedicated operation mode only when it is held for a predetermined time (3 seconds to 5 seconds)

보다 바람직하게는 장애인협회와 연계하여 등록된 장애인만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지문인식, 리모콘 조작 등의 서비스와 연계함으로서 일반인이 임의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preferably, only disabled persons registered in association with the Disabled Persons Association are allowed to use the service, so that it is preferable to prevent arbitrary use by the general public by linking with services such as fingerprint recognition and remote control operation.

도 7는 본 발명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커버(20)를 하우징(10)에 결합함에 있어, 별도의 결착수단을 구성하여 이를 보안할 수 있다.FIG. 7 illustrates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ver 20 is coupled to the housing 10, a separate binding means can be configured to secure the same.

이 때 상기 체결돌기(13)의 형상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우징으로부터 절곡된 돌기형상이 아니라, 하우징 수용부 내의 각 모서리에 구비되는 기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체결클립은 생략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13 is not the shape of the protrusion bent from the housing as described above, but it is formed of the column provided at each corner in the housing accommodating portion. In this case, have.

다시 상기 결착수단(T)은 상기 체결돌기(13)에 구비되는 결착홈(T10)과, 상기 결착홈(T10)에 체결되며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통과공(T1)에 삽입되는 변형볼트(T20) 및 상기 변형볼트(T20)를 관통하여 상기 결착홈(T10)에 내삽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결착봉(T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The binding means T is provided with a binding groove T10 provided in the fastening protrusion 13 and a deforming bolt T20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T10 a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1 provided in the cover And a tie bar T30 penetrating through the deforming bolt T20 and being inserted into the binding groove T10.

도 7은 상기 결착수단(T)을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7 shows a process of coupling the binding means T. Each of the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상기 체결돌기에는 결착홈(T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결착홈(T10)은 일반적인 홈의 형상과는 다른 구조를 가지게 된다.First, the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with a binding groove T10. The binding groove T10 has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a general groove.

우선 도면을 참조하여 그 단면형상을 기준으로 결착홈(T1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결착홈(T10)은 직선나선부(T11)와 사선형성부(T1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입체적으로 보면, 상기 결착홈(T10)을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벽면에 직선나선부(T11)가 형성되고, 이 결착홈(T10) 중앙에 돌출 형성된 돌출돌기부(T14)가 구비되며, 이 돌출돌기부(T14)는 상기 결착홈(T10)의 저면 외측에서 가운데로 모아지도록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돌출돌기부(T14)의 외면을 사선형성부(T12)라 지칭하도록 한다.First, referring to the drawings,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binding groove T10 with reference to the cross-sectional shape thereof. The binding groove T10 comprises a linear spiral portion T11 and a slant line forming portion T12. The fixing groove T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 linear spiral portion T11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and a protruding protrusion T14 protruded from the center of the fixing groove T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rotrusion T14 is referred to as an oblique line forming portion T12.

상기 변형볼트(T20)는 헤드부(T21)와, 상기 헤드부(T21)에 구비되는 몸체부(T2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몸체부(T22)에는 상기 직선나선부(T11)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T221)이 형성되어 있는데,The deforming bolt T20 is composed of a head T21 and a body T22 provided on the head T21. The body T22 is screwed to the linear spiral T11 A thread T221 is formed,

상기 몸체부(T22)는 상기 결착홈(T1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이 오목하도록 오목부(T222)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변형볼트(T20)가 상기 결착홈(T10)에 회전결합을 하면, 상기 돌출돌기부(T14)가 상기 오목부(T222)에 끼워지는 구조를 갖는다.The body portion T22 is formed with a recessed portion T222 such that the middle portion thereof is recess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inding groove T10. The deformed bolt T20 is inserted into the binding groove T10 The projecting projection T14 is fitted into the concave portion T222.

상기 변형볼트(T20)는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통과공(T1)을 관통하여 결착홈(T10)에 회전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변형볼트(T20)의 헤드부(T21)가 상기 커버의 통과공(T1) 테두리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위하여 상기 변형볼트(T20)의 헤드부(T21)에는 평탄한 가압부(T211)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부(T21)의 상면은 곡선형의 곡선부(T212)로 이루어져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변형볼트(T20)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헤드부(T21)의 상면에는 드라이버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forming bolt T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inding groove T10 through the through hole T1 formed in the cover and the head portion T21 of the deforming bolt T2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he head portion T21 of the deformed bolt T20 is provided with a flat pressing portion T2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T21 is curved And a curved portion T212 to prevent a step from being formed when exposed to the outside. Although it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it is preferable that a driver groove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head portion T21 in order to fix the deforming bolt T20.

이렇게 상기 변형볼트(T20)를 회전시켜 상기 통과공(T1)을 관통한 후 결착홈(T10)에 고정시키면 상기 커버와 하우징은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되는데,When the deforming bolt T20 is rotated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T1 and then fixed to the coupling groove T10, the cover and the housing are stably coupled.

보다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결착봉(T30)을 더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further a binding rod T30 is further introduced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우선, 상기 결착봉(T30)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돌기부(T14)의 내측에는 상기 사선형성부(T12)를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홈(T141)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First, a pair of auxiliary grooves T141 formed along the oblique line forming portion T12 ar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protruding protruding portion T14 to fix the binding rod T30,

이 때 상기 보조홈(T141)은 그 입체 형상을 볼 때 환형의 홈이 아니라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고,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보조홈(T141)은 상기 돌출돌기부(T14)의 외면이 곡선형을 이룸에 따라 상기 보조홈(T141)도 이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uxiliary groove T141 is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annular groove when viewed from the three-dimensional shape. More precisely, the auxiliary groove T141 is formed such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rojection T14 is curved The auxiliary groove T141 may correspond to the auxiliary groove T141.

즉, 상기 보조홈(T141)의 상부를 평면도로 보면 도 7의 확대도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That is,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groove T141 is seen in a plan view, it becomes an enlarged view of FIG.

상기 결착봉(T30)은 몸통부(T31)와 상기 몸통부(T31)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다리부(T33)로 이루어지게 되는데,The binding rod T30 includes a body portion T31 and a pair of leg portions T33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31.

상기 다리부(T33)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부(T33)가 상기 보조홈(T141)에 휘어지며 끼워질 수 있게 된다.The leg portion T33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the leg portion T33 can be bent and inserted into the auxiliary groove T141.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변형볼트(T20)에는 상기 결착봉(T30)이 내삽될 수 있는 내삽공(T24)이 형성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deforming bolt T20 is provided with an insert hole T24 through which the binding rod T30 can be inserted.

즉, 상기 결착홈(T10)에 변형볼트(T20)를 회전시켜 결합 시킨 후, 상기 결착봉(T30)을 상기 변형볼트(T20)의 내삽공(T24)에 삽입하고, 상기 결착봉(T30)의 몸통부(T31)를 망치 등으로 치면 상기 몸통부(T31)가 상기 내삽공(T24) 내에 삽입되며, 이 때 상기 탄성력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리부(T33)가 상기 보조홈(T141)에 끼워지게 되어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That is, after the deforming bolts T20 are rotated and coupled to the binding grooves T10, the binding rods T30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T24 of the deforming bolts T20, The trunk portion T3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T24 and the leg portion T33 made of the elastic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groove T141 The bonding force can be further improved,

이 때 상기 몸통부(T31)의 직경은 상기 내삽공(T24)의 직경과 동일하게 구성하여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몸통부(T31)가 내삽공(T2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T31 is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T24 so that the body portion T31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insertion hole T24 desirable.

아울러, 보다 더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몸통부(T31)의 외면에는 환형돌기부(T311)가 하나 또는 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내삽공(T24)의 내측에는 상기 환형돌기부(T311)가 삽입될 수 있는 환형홈부(T241)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몸통부(T31)를 내삽공(T24)에 집어넣을 때 강한 힘을 주면 자연스럽게 환형돌기부(T311)가 상기 환형홈부(T241)에 끼워져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키고, 이 경우에는 상기 몸통부(T31)의 직경이 상기 내삽공(T24)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구성하고, 상기 몸통부(T31)의 재질은 반 경질재질로 구성하여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coupling force, one or more annular protrusions T311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T31, and the annular protrusion T311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insertion hole T24 The annular protrusion T311 is naturally inserted into the annular groove T241 when the torso portion T3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T24 due to the provision of the annular groove portion T241, 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T31 is set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T24, and the body of the body portion T31 is made of a semi-hard material so that the body can be inserted desirable.

또한 상기 다리부(T33)에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정돌출돌기(T331)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홈(T141)에는 상기 고정돌출돌기(T331)가 끼워질 수 있는 고정끼움홈(T1411)(구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이 더 구비되며,In addition, the leg portion T33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fixing projections T331, and the auxiliary groove T141 may be provided with a fixed fitting groove T1411 , And the scope of the righ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상기 돌출돌기부(T14)의 상부에는 진입안내뾰족부(T143)가 더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다리부(T33)가 자연스럽게 보조홈(T141)에 진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protruding protrusion T14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ntry guiding point T143 so that the pair of legs T33 can naturally enter the auxiliary groove T141.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장애인 우선 운전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조작스위치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lterations, and substitu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lterations, and substitution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 엘리베이터 조작스위치 어셈블리
10 : 하우징 11 : 수용부
13 : 체결돌기 131 : 통공
15 : 체결클립 151 : 전면부
151a : 볼트공 153 : 절곡부
155 : 후면부 155a : 나사공
155b : 나사돌기 155c : 보강돌기
157 : 끼움공간 20 : 커버
21 : 노출공 23 : 디스플레이부
25 : 음성출력부 30 : 조작버튼
31 : 우선권부여버튼 33 : 제어부
331 : 푸쉬스위치 333 : 커넥터
35 : 본체 351 : 안착부
351a : 이탈방지턱 351b : 고정돌기
353 ; 외벽부 353a ; 절개벽
353b : 커넥터공 353c : 끼움돌기
353d : 걸림벽 355 : 진입안내부
37 : 누름버튼 371 : 탄성형성부재
371a : 탄성바 371b : 가압부
373 : 고정걸쇠 39 : 링커버
391 : 탄성지지플랜지 393 : 걸쇠공
395 : 끼움홈
A: Elevator operation switch assembly
10: housing 11: accommodating portion
13: fastening protrusion 131: through hole
15: fastening clip 151: front portion
151a: Bolt hole 153: Bent portion
155: rear portion 155a:
155b: screw projection 155c: reinforcing projection
157: fitting space 20: cover
21: Exposure ball 23:
25: Audio output unit 30: Operation button
31: Priority grant button 33:
331: Push switch 333: Connector
35: main body 351:
351a: Leakage prevention boss 351b: Fixing projection
353; An outer wall portion 353a; A clearing house
353b: Connector hole 353c:
353d: engagement wall 355: entry guide
37: push button 371: elastic forming member
371a: Elastic bar 371b:
373: Fixing latch 39: Ring cover
391: elastic support flange 393:
395: Fitting groove

Claims (4)

수용부(11)가 구비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어 수용부(11)를 덮으며, 복수개의 노출공(21)이 형성된 커버(20);
상기 커버(20)의 노출공(21)에 끼움결합되며, 우선권부여버튼(31)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조작버튼(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우선권부여버튼(31)을 누르면, 엘리베이터에 구비되는 다른 조작패널의 동작보다 상기 조작버튼(30)이 우선적으로 동작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버튼(30)은
푸쉬스위치(331)를 구비한 제어부(33)와, 상기 제어부(33)를 수용하는 본체(35), 상기 본체(35)에 구비되어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푸쉬스위치(331)를 가압하는 누름버튼(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10)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커버(20)가 결합되는 체결돌기(13)가 더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13)에 구비되는 결착홈(T10)과, 상기 결착홈(T10)에 체결되도록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통과공(T1)을 관통하는 변형볼트(T20) 및 상기 변형볼트(T20)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착홈(T10)에 구비되는 보조홈(T141)에 삽입 및 결합되는 결착봉(T30)을 포함하는 결착수단(T)이 더 구비되되,

상기 결착홈(T10)에는 외면에 사선형성부(T12)를 형성하도록 중앙에 돌출 형성된 돌출돌기부(T14)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돌기부(T14)의 내측에는 상기 사선형성부(T12)를 따라 형성되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 쌍의 보조홈(T141)이 더 형성되고,
상기 변형볼트(T20)는
헤드부(T21)와, 상기 헤드부(T21)에 구비되는 몸체부(T22)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T22)는 상기 결착홈(T1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이 오목하도록 오목부(T222)가 형성되어, 상기 변형볼트(T20)가 상기 결착홈(T10)에 회전결합을 하면, 상기 돌출돌기부(T14)가 상기 오목부(T222)에 끼워지고,
상기 결착봉(T30)은 몸통부(T31)와 상기 몸통부(T31)에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다리부(T33)로 이루어지되, 상기 다리부(T33)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보조홈(T141)에 휘어져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결착봉(T30)은 상기 변형볼트(T20)에 구비되는 내삽공(T24)에 억지끼움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결착홈(T10)에 변형볼트(T20)를 회전시켜 결합 시킨 후, 상기 결착봉(T30)을 상기 변형볼트(T20)의 내삽공(T24)에 삽입하고, 상기 결착봉(T30)의 몸통부(T31)를 가압하면 상기 몸통부(T31)가 상기 내삽공(T24) 내에 삽입되며, 상기 다리부(T33)가 상기 보조홈(T141)에 끼워지져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조작스위치 어셈블리.
A housing (10) having a housing part (11);
A cover 20 provided on the housing 10 and covering the accommodation portion 11 and having a plurality of exposure holes 21;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30 fitted to the exposure hole 21 of the cover 20 and including a priority giving button 31;
, ≪ / RTI >
When the priority giving button 31 is pressed, the operation button 30 is preferentially operated rather than the operation of another operation panel provided in the elevator,
The operation button 30
A control unit 33 having a push switch 331, a main body 35 for accommodating the control unit 33, a push button 331 for pushing the push switch 331, (37)

Each of the corners of the housing 10 further has a fastening protrusion 13 to which the cover 20 is coupled,
A deforming bolt T20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T1 of the cover to be fastened to the binding groove T10 and a deforming bolt T20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T1 of the deforming bolt T20, (T) including a tie bar (T30) inserted through and coupled to an auxiliary groove (T141) provided in the binding groove (T10)

The coupling groove T10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protrusion T14 protruding from the center thereof so as to form a slanted portion T12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 pair of auxiliary grooves T141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protruding protrusion T14 along the diagonal line forming portion T12 and are opposed to each other.
The deforming bolt (T20)
And a body portion T22 provided on the head portion T21. The body portion T22 has a concave portion at its cent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groove T10 The concave portion T222 is formed and the deforming bolt T20 is rotationally coupled to the binding groove T10 so that the protruding protruding portion T14 is fitted in the concave portion T222,
The tie bar T30 includes a body portion T31 and a pair of leg portions T33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T31. The leg portion T33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s bent and joined to the auxiliary groove (T141)
The tie bar T30 is constrained to the insert hole T24 provided in the deforming bolt T20,
The deforming bolt T20 is rotated and coupled to the binding groove T10 and then the connecting rod T30 is inserted into the interspacing hole T24 of the deforming bolt T20, The body portion T3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T24 and the leg portion T33 is fitted into the auxiliary groove T141 so as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Switch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스위치(331)에는
상기 본체(35)의 내측면을 탄성지지하여 푸쉬스위치(331)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복수개의 탄성바(37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조작스위치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sh switch 331
Wherein a plurality of elastic bars (371a)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35) and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push switch (331) are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각 모서리에는 통공(131)이 형성된 체결돌기(13)와, 상기 체결돌기(13)에 결합되어 나사산을 형성하는 체결클립(15)이 구비되어 상기 커버(20)와 본체(35)가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조작스위치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astening protrusion 13 having a through hole 131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housing 10 and a fastening clip 15 coupled to the fastening protrusion 13 to form a thread, (35) is bolted. ≪ / RTI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T31)의 외면에는 환형돌기부(T311)가 하나 또는 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내삽공(T24)의 내측에는 상기 환형돌기부(T311)가 삽입될 수 있는 환형홈부(T241)가 구비되며,
상기 다리부(T33)에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정돌출돌기(T331)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홈(T141)에는 상기 고정돌출돌기(T331)가 끼워질 수 있는 고정끼움홈(T141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조작스위치 어셈블리.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One or more annular protrusions T311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31 and an annular groove portion T241 through which the annular protrusion T311 can be inserted is provided inside the interpolation hole T24 ,
The leg portion T33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fixed projections T331 and the auxiliary groove T141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groove T1411 into which the fixing projection T331 may be fitted. Wherein the elevator operation switch assembly comprises:
KR1020180053475A 2018-05-10 2018-05-10 Elevator switch assembly KR1019522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475A KR101952214B1 (en) 2018-05-10 2018-05-10 Elevator switch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475A KR101952214B1 (en) 2018-05-10 2018-05-10 Elevator switch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214B1 true KR101952214B1 (en) 2019-02-26

Family

ID=65562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475A KR101952214B1 (en) 2018-05-10 2018-05-10 Elevator switch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21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9294A (en) * 1999-07-08 2001-01-2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Push button box
KR20080088143A (en) * 2007-03-29 2008-10-02 박환성 Elevator switch
JP2013107736A (en) * 2011-11-21 2013-06-06 Fujitec Co Ltd Car operation panel of elev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9294A (en) * 1999-07-08 2001-01-2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Push button box
KR20080088143A (en) * 2007-03-29 2008-10-02 박환성 Elevator switch
JP2013107736A (en) * 2011-11-21 2013-06-06 Fujitec Co Ltd Car operation panel of elev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51256A1 (en) Elevator with voice recognition floor assignment device
JP3968715B2 (en) Elevator boarding / alighting system for autonomous mobile robot
JP5951834B1 (en) elevator
JPH0881143A (en) Elevator system
JP2006327739A (en) Landing call registering device of elevator
JP2000106697A (en) Remote voice control device and system thereof
KR101952214B1 (en) Elevator switch assembly
US7562748B2 (en) Elevator call button with tactile feedback
CN103635408B (en) Elevator apparatus
JP2003048671A (en) Elevator management system and elevator call tag
KR101026730B1 (en) Apparatus of operating elevator for the blind
JP6422365B2 (en) Elevator voice call registration device and elevator voice call registration method
JP2005178935A (en) Elevator device
JP2002037552A (en) Registration device by means of operation button of elevator
JP2000143106A (en) Elevator control system
JP2003073046A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2012197126A (en) Call registering device for elevator
JP2002220167A (en) Control system for elevator
JPH09255243A (en) Voice-operated elevator
JP2020186086A (en) Cargo box device
JPH10265152A (e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of elevator
JPS5939671A (en) Automatic guide broadcasting device for elevator
JP4731154B2 (en) Elevator user guidance system
JP2009184765A (en) Elevator device
JPH0518362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