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953B1 - Combine, structure of boarding driving section of combine, and operation device for auger for discharging grain in combine - Google Patents

Combine, structure of boarding driving section of combine, and operation device for auger for discharging grain in comb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953B1
KR101951953B1 KR1020120053039A KR20120053039A KR101951953B1 KR 101951953 B1 KR101951953 B1 KR 101951953B1 KR 1020120053039 A KR1020120053039 A KR 1020120053039A KR 20120053039 A KR20120053039 A KR 20120053039A KR 101951953 B1 KR101951953 B1 KR 101951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panel
cabin
door
cover
au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0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29822A (en
Inventor
미쯔루 다께나까
요시히로 다까야마
요오헤이 시모다
마나부 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46236A external-priority patent/JP5603838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46521A external-priority patent/JP5739251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46238A external-priority patent/JP5832166B2/en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20129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8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9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운전 캐빈의 전방벽이 프론트 운전 패널의 상방에 위치하는 운전 캐빈을 채용함으로써 운전실을 형성하는 데 조작구를 취급하기 쉽게 할 수 있도록, 또한 운전 캐빈의 전방벽과 프론트 운전 패널 사이의 시일을 구조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운전 캐빈의 전방벽(22)의 하단부(22d)가 프론트 운전 패널(31)의 상단부(31a)의 전방에 프론트 운전 패널(31)의 상단부(31a)와 기체 전후 방향으로 겹쳐져 위치하도록 운전 캐빈을 구성하고 있다. 운전 캐빈의 전방벽(22)의 하단부(22d)로부터 기체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 단부가 프론트 운전 패널(31)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프론트 커버(70)를 설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도어 수용 프레임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면서 캐빈으로서 높은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주행 기체(201)의 좌우 일측 개소에 탑승 운전부(202)를 형성하고, 탑승 운전부(202)에 캐빈(230)을 장비하고, 탑승 운전부(202)의 좌우 일단부에, 도어(244)와, 승강구(243)를 형성하는 동시에 도어(244)의 외주연부(244A)를 수용하는 도어 수용 프레임(245)을 배치하고, 탑승 운전부(202)의 후방 하부에, 탑승 운전부(202)의 후방부에 구비한 운전 좌석(216)을 지지하는 동시에 운전 좌석(216)의 후방 하방에 배치한 엔진을 덮는 엔진 커버(221)를 구비하고, 엔진 커버(221)에 엔진 커버(221)의 횡외측면을 형성하는 횡커버부(226)를 구비하고, 이 횡커버부(226)의 전방 측부 테두리부(226A)에 도어(244)의 하측 후방 테두리 부분(244e)을 수용하는 도어 수용부(245e)를 형성하여, 횡커버부(226)가 도어 수용 프레임(245)의 일부로서 기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과제는, 콤바인에 있어서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곡립 배출용 오거의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주행 기체에 구비된 곡립 배출용 오거의 선회 및 승강을 지령하는 수동 조작식 지령 스위치(447, 448)와, 곡립 배출용 오거의 곡립 배출 상태와 곡립 정지 상태를 전환하는 요동식 배출 클러치 레버(445)를, 운전 좌석(413)의 횡측의 위치에 배치된 조작 패널(427)에 설치하고 있는 콤바인에 있어서의 곡립 배출용 오거의 조작 장치이며, 조작 패널(427)은, 제1 조작 패널부(427A)와, 그 전방에서 1단 낮게 형성된 제2 조작 패널부(427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배출 클러치 레버(445)는 제1 조작 패널부(427A)에 전후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지령 스위치(447, 448)는 제2 조작 패널부(427B)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가로 오거의 수납 상태를 간이하고 또한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받침대(630)가 가로 오거를 수납하도록 저부(635a)와 상기 저부(635a)의 양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종방향부(635b)로 구성되는 수납 공간(S)을 구비하고, 수납 공간(S)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폐쇄 자세와, 수납 공간(S)의 상방을 개방하는 개방 자세로 이동 가능한 아암부(641)를, 종방향부(635b)에 설치하고, 아암부(641)에, 가로 오거와 접촉하는 접촉 부분(644)을 일체로 설치하고, 개방 자세에 있어서 접촉 부분이 수납 공간(S)의 상방에 배치되고, 가로 오거를 수납 공간(S)에 수납할 때의 가로 오거의 접촉 부분(644)에 대한 상부로부터의 압박에 의해 아암부(641)가 요동하여 폐쇄 자세로 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eration cabin in which a front cabin of a driving cabin is positioned above a front operation panel,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seal.
The lower end portion 22d of the front wall 22 of the driving cabin is placed in front of the upper end portion 31a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so as to overlap with the upper end portion 31a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in the gas front- Respectively. A front cover 70 is provided which extends from the lower end portion 22d of the front wall 22 of the operation cabin to the lower side of the gas and has an extending end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secure high airtightness as a cabin while facilitating the manufacture of the door receiving frame.
A cabin 230 is provided in the cabin operation section 202 and a door 244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cabin operation section 202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cabin operation section 202, And a door receiving frame 245 for accommodating the outer peripheral edge portion 244A of the door 244 and a lower portion of the riding operation portion 202 ar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riding operation portion 202 And an engine cover 221 that supports an operating seat 216 provided at a rear portion of the engine seat 221 and covers an engine disposed at a rear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seat 216. An engine cover 221 is mounted on the engine cover 221, And a lateral cover portion 226 that forms a lateral outer side surface of the door 244 and a front side edge portion 226A of the lateral cover portion 226. The front side edge portion 226A of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226 includes a lower rear edge portion 244e of the door 244, So that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226 functions as a part of the door receiving frame 245.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eration device for an auger for draining a grain, which can improve operability in a combine.
Manually operated command switches 447 and 448 for instructing the turning and rising and lowering of the auger for discharge of the curled-up material provided in the running vehicle, and a pivotable discharge clutch lever 445 for switching the curled discharge state of the auger- Is provided on the operation panel 427 disposed at a lateral position of the driver's seat 413. The operation panel 427 is a device for operating the first operation panel unit And a second operation panel portion 427B formed one step lower in the forward direction thereof. The discharge clutch lever 445 is arranged on the first operation panel portion 427A so as to swing back and forth, The command switches 447 and 448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operation panel portion 427B.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and directly check the storage state of a horizontal auger.
And a storage space S composed of a bottom portion 635a and a pair of longitudinal portions 635b exten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bottom portion 635a so as to accommodate the lateral auger, An arm portion 641 movable in a closed posture for covering the upper surface S of the storage space S from above and an open posture for opening the upper space of the storage space S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portion 635b, A contact portion 644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ateral auger is integrally provided and the contact portion is disposed above the storage space S in the open posture and the lateral auger The arm portion 641 is pivoted by the urging force of the contact portion 644 from the upper side, thereby becoming the closed posture.

Description

콤바인, 콤바인의 탑승 운전부 구조, 및 콤바인에 있어서의 곡립 배출용 오거의 조작 장치{COMBINE, STRUCTURE OF BOARDING DRIVING SECTION OF COMBINE, AND OPERATION DEVICE FOR AUGER FOR DISCHARGING GRAIN IN COMBIN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ration device for a curved discharge auger in a combine,

본 발명은, 운전 좌석의 전방에 기체(機體) 상하향 자세로 설치하는 동시에 조작구를 구비한 프론트 운전 패널과, 상기 프론트 운전 패널 상방에 위치하는 전방벽을 구비하여 운전실을 형성하는 운전 캐빈을 구비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cabin that includes a front operation panel provided at the front of a driver's seat in an up-and-down position with a manipulator and a front wall positioned above the front operation panel to form a cab It's about a combine.

본 발명은, 주행 기체의 좌우 일측 개소에 탑승 운전부를 형성하고, 상기 탑승 운전부에 탑승 공간을 형성하는 캐빈을 장비하고, 상기 탑승 운전부의 좌우 일단부에, 승강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승강구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도어의 외주연부를 수용하는 도어 수용 프레임을 배치하고, 상기 탑승 운전부의 후방 하부에, 상기 탑승 운전부의 후방부에 구비한 운전 좌석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운전 좌석의 후방 하방에 배치한 엔진을 덮는 엔진 커버를 구비한 콤바인의 탑승 운전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abin for forming a boarding space is formed at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of a traveling vehicle and a cabin for forming a boarding space is formed in the boarding operation section, an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boarding operation section, And a door receiving frame for receiv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door is disposed at a rear lower portion of the driver's seat and a driver's seat provided at a rear portion of the driver's seat is supported at a rear lower portion of the driver's seat, And an engine cover for covering an engine.

본 발명은, 주행 기체에 구비된 곡립 배출용 오거의 선회 및 승강을 지령하는 수동 조작식 지령 스위치와, 상기 곡립 배출용 오거의 곡립 배출 상태와 곡립 정지 상태를 전환하는 요동식 배출 클러치 레버를, 운전 좌석의 횡측의 위치에 배치된 조작 패널에 설치하고 있는 콤바인에 있어서의 곡립 배출용 오거의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ally operated command switch for instructing turning and elevating of a curled discharge auger provided on a running vehicle and a swing type discharge clutch lever for switching between a curved discharge state and a curved stop state of the curled discharge auger, To an operation device for a curled discharge auger in a combine provided on an operation panel disposed at a position on the lateral side of a driver's seat.

본 발명은, 곡립 탱크의 저부로부터 곡립을 리프팅하는 세로 오거와, 이 세로 오거의 상단부에 기복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세로 오거의 종방향 축심 주위로 선회 가능한 가로 오거와, 이 가로 오거를 수납 위치에 있어서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auger, comprising: a vertical auger for lifting the grains from the bottom of the grape tanks; a horizontal auger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auger in a freely pivotable manner and pivo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of the longitudinal auger; To a combine having a pedestal supporting it in position.

종래,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운전 패널 및 운전 캐빈으로서의 캐빈이 구비된 콤바인이 있었다.Conventionally, for example,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re is a combine equipped with a cabin as a front operation panel and a driving cabin.

상기한 바와 같은 콤바인의 탑승 운전부 구조로서는, 도어 수용 프레임(도어 프레임)을, 캐빈의 도어측의 보강 프레임을 겸하기 위해 도어의 외형을 따라 연속적으로 둘러싸 형성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0003] As a structure of a ride-on operation unit of the combine as described above, a door receiving frame (door frame) is formed to be continuously surrounded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door to serve also as a reinforcing frame on the door side of the cabin See Document 2).

종래, 이러한 종류의 콤바인에 있어서의 곡립 배출용 오거의 조작 장치로서는, 동일 평면의 하나의 조작 패널에, 배출 클러치 레버와, 지령 스위치를 인접하는 상태로 배치하고 있는 것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Conventionally, as an apparatus for operating the auger for discharging the curled-wool in this type of combine, there has been a device in which the discharge clutch lever and the command switch are disposed adjacent to one operation panel of the same plane (for example, patent 3).

종래의 콤바인으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4 및 5에 개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는, 상부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는 스위치가 받침대에 설치되어 있고, 가로 오거가 받침대에 수납되어 그 스위치에 접촉하면, 가로 오거가 수납 상태로 된 것이 전기적으로 검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As a conventional combine, for example, thos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s 4 and 5 are known. Here, the switch is elastically pressed in the upward direction, and when the horizontal auger is accommodated in the pedestal and contacts the switch, the structure in which the horizontal auger is housed is electrically detected.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238793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238793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266648호 공보(단락 번호 0018, 도 2)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11-266648 (paragraph number 0018, Fig. 2)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1-019480호 공보(단락 번호 〔0041〕, 도 1, 도 2)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1-019480 (paragraph [0041], Figs. 1 and 2)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평6-17445호 공보(도 3, 도 5)Japanese Utility Model Application Laid-Open Publication No. Hei 6-17445 (Figs. 3 and 5)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275467호 공보(도 6)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275467 (Fig. 6)

운전 좌석의 전방에 기체 상하향 자세로 설치한 프론트 운전 패널이 장비된 운전부를 가진 콤바인에 있어서, 운전 캐빈의 전방벽이 프론트 운전 패널 상방에 위치하는 운전 캐빈을 채용함으로써 운전실을 형성하는 경우, 프론트 운전 패널에 설치한 조작구와 이것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운전 캐빈의 전방벽의 간격이 좁아지면, 조작구를 다루기 어려워진다. 또한, 운전 캐빈의 전방벽의 하단부가 프론트 운전 패널 상단부 부근에 위치하게 되므로, 운전 캐빈의 전방벽과 프론트 운전 패널 사이로부터 빗물이 침입하는 것 등의 회피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A combine having an operation section equipped with a front operation panel installed in a gas up-and-down position on the front of a driver's seat. In the case of forming a cab by employing an operation cab with a front wall of the operation cab positioned above the front operation panel, When the interval between the operation opening provided on the panel and the front end of the operation cabin positioned in front of the operation opening is narrowed, the operation opening becomes difficult to handle. In addition, since the lower end of the front wall of the driving cabin is located near the upper end of the front driving panel, it is necessary to prevent intrusion of rainwater from between the front wall of the driving cabin and the front operation panel.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 캐빈의 전방벽이 프론트 운전 패널 상방에 위치하는 운전 캐빈을 채용함으로써 운전실을 형성하는 것이면서, 조작구를 취급하기 쉽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운전 캐빈의 전방벽과 프론트 운전 패널 사이의 시일을 구조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in in which the front cabin of the cabin is positioned above the front operation panel to form a cabin, And a seal between the seal member and the seal member.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 수용 프레임을 도어의 외형을 따라 연속적으로 둘러싸 형성하면, 도어 수용 프레임을 형성할 때에 도어 수용 프레임에 있어서 변형이 발생하기 쉽고, 또한 발생한 변형을 제거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도어 수용 프레임의 제조에 수고를 필요로 하는 동시에, 도어를 폐쇄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서의 도어와 도어 수용 프레임의 밀착성이 저하되기 쉬워, 캐빈으로서 높은 기밀성을 확보하기 어렵게 되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oor receiving frame is continuously surrounded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door, deformation is likely to occur in the door receiving frame when the door receiving frame is formed,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the frame, and at the same time, the adhesion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receiving frame in a state where the door is operated to the closed position tends to deteriorate, making it difficult to secure high airtightness as a cabin.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수용 프레임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면서 캐빈으로서 높은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secure high air-tightness as a cabin while facilitating the manufacture of a door receiving frame.

상술한 종래의 콤바인에 있어서의 곡립 배출용 오거의 조작 장치에 따르면, 동일 평면의 하나의 조작 패널에, 배출 클러치 레버와, 지령 스위치를 인접하는 상태로 배치하고 있으므로, 배출 클러치 레버가 직립 상태에 있을 때에는, 배출 클러치 레버의 조작 부분은 지령 스위치의 조작 부분과는 이격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조작이 간섭하는 일은 없다.According to the auger operating device for a curled discharge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ombine, since the discharge clutch lever and the command switch are disposed adjacent to one operation panel on the same plane, the discharge clutch lever is in the upright state The operation portion of the discharge clutch lever is spaced apart from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command switch, so that the respective operations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그러나 배출 클러치 레버가 요동 조작되어 넘어간 상태에 있을 때에는, 배출 클러치 레버의 조작 부분은 조작 패널에 가까운 위치까지 내려가기 때문에, 지령 스위치의 조작 부분과 근접하는 관계로 되어, 상호 조작이 간섭할 우려가 있다.However, when the discharge clutch lever is pivoted and moved over, the operation portion of the discharge clutch lever is moved to a position close to the operation panel, so that the operation portion of the discharge clutch lever is close to the operation portion of the command switch, have.

따라서, 배출 클러치 레버나 지령 스위치를 조작하기 어려운 배치로 되어 있어, 조작성의 향상이 요망되고 있었다.Therefore, the arrangement is such that the discharge clutch lever and the command switch are difficult to be operated, and the operability has been desired to be improv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콤바인에 있어서의 곡립 배출용 오거의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eration device for a curved discharge auger in a combine capabl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improving operability.

특허문헌 4 및 5에 기재되는 콤바인에서는, 예를 들어 가로 오거가 받침대까지 선회하여 스위치에 접촉하면 가로 오거의 선회 동작이 자동적으로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이에 의해 작업자는 가로 오거가 받침대에 수납된 것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In the combiner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4 and 5, for example, when the transverse auger turns to the pedestal and contacts the switch,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transverse auger is automatically stopped so that the operator can stop the transverse auger Can be indirectly known.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는, 스위치나 전기 계통 등에 무언가 문제가 발생하면, 가령 가로 오거가 받침대에 수납되어 있었다고 해도 그 수납 상태가 검출되지 않으므로, 작업자에게 있어서 가로 오거가 받침대에 확실히 수납된 것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여, 개선할 여지가 남아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f something is wrong with a switch or an electric system, even if the horizontal auger is housed in the pedestal, the housed state is not detected. Therefore, when it is not known to the worker that the horizontal auger is securely housed in the pedestal And there was room for improvement.

본 발명의 목적은, 가로 오거의 수납 상태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reliably confirm the storage state of a horizontal auger.

본 제1 발명은, 운전 좌석의 전방에 기체 상하향 자세로 설치하는 동시에 조작구를 구비한 프론트 운전 패널과, 상기 프론트 운전 패널 상방에 위치하는 전방벽을 구비하여 운전실을 형성하는 운전 캐빈을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cabin comprising a front operation panel provided at the front of a driver's seat with a gas up-and-down posture and having an operation port, and a driving cab with a front wall located above the front operation panel to form a cab In the combine,

상기 운전 캐빈의 전방벽의 하단부가 상기 프론트 운전 패널 상단부의 전방에 상기 프론트 운전 패널 상단부와 기체 전후 방향으로 겹쳐져 위치하도록 상기 운전 캐빈을 구성하고,The lower end of the front wall of the operation cabin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upper end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so as to overlap with the upper end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gas,

상기 운전 캐빈의 전방벽의 하단부로부터 기체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 단부가 상기 프론트 운전 패널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프론트 커버를 설치하고 있다.And a front cover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wall of the operation cabin to the lower side of the gas supply and having an extending end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본 제1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운전 캐빈의 전방벽의 하단부가 프론트 운전 패널에 있어서의 상단부의 전방에 위치함으로써, 운전 캐빈의 전방벽과 조작구의 간격을 최대한 넓게 확보할 수 있고, 그 넓은 간격에 의해 조작구의 취급이 용이해진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invention, since the lower end of the front wall of the driving cabin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upper end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the interval between the front wall of the driving cabin and the operation opening can be maximized, Thereby facilitating handling of the manipulation opening.

프론트 운전 패널에 있어서의 상단부와 운전 캐빈에 있어서의 전방벽 사이에 간극이 발생해도, 운전 캐빈의 전방벽이 프론트 운전 패널 상단부에 대해 기체 전후 방향으로 겹쳐져 있어, 그 간극으로 빗물 등이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또한 프론트 운전 패널과 운전 캐빈의 간극을 프론트 커버에 의해 덮을 수 있어, 전체적으로, 운전 캐빈의 전방벽과 프론트 운전 패널 사이로부터의 빗물 침입 등을 회피하기 쉽다.Even if a clearanc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and the front wall of the operation cabin, the front wall of the operation cabin overlaps with the upper end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in the gas front and rear direction, . Further, the clearance between the front operation panel and the operation cabin can be covered by the front cover, and as a whole, it is easy to avoid intrusion of rainwater from the front wall of the operation cabin and the front operation panel.

따라서, 조작구를 취급하기 쉬워 작업부나 기체의 조작이나 조종 등을 행하기 쉽다. 그렇기도 하면서, 프론트 운전 패널과 운전 캐빈의 전방벽의 겹침이나 프론트 커버를 설치하는 간단한 구조로 빗물 침입 등을 회피할 수 있어 경제면 등에서 유리하게 얻을 수 있다.Therefore, it is easy to handle the operation opening, and it is easy to operate or control the operation portion or the gas. Nevertheless, it is possible to avoid invasion of rainwater by a simple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wall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and the operation cabin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or the front cover is provided, thereby being advantageously obtained from the economic aspect.

본 제2 발명은, 상기 전방벽과 상기 프론트 운전 패널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를 상기 프론트 커버의 이면측에 배치하고, 상기 시일 부재를 유지하는 시일 유지 부재를, 상기 전방벽측 또는 상기 프론트 커버측에 구비하고 있다.The second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al member for sealing between the front wall and the front operation panel is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front cover and a seal holding member for holding the seal member is disposed on the front wall side or the front cover Respectively.

본 제2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프론트 커버의 이면측에서 운전 캐빈의 전방벽과 프론트 운전 패널 사이를 시일 부재에 의해 시일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에 제작 오차나 조립 장착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도, 운전 캐빈에 있어서의 전방벽의 하단부의 프론트 운전 패널에 대한 겹침을 이용하여 운전 캐빈의 전방벽과 프론트 운전 패널의 상대적인 위치 조절을 행함으로써 제작 오차나 조립 장착 오차를 흡수시켜 시일 부재를 고정밀도로 작용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invention, the front wall of the operation cabin and the front operation panel can be sealed by the seal member on the back side of the front cove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ront cabin of the driving cabin and the front operation panel by using the overlapping of the lower end of the front wall of the cabin on the front operation panel even if there is a manufacturing error or assembly mounting error on the front cover So that the manufacturing error and the assembly mounting error can be absorbed and the seal member can be operated with high accuracy.

따라서, 프론트 운전 패널과 운전 캐빈의 전방벽 사이로부터의 빗물 침입 등을 양호하게 방지하여 운전실을 경쾌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양호한 환경의 것으로 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rusion of rainwater from between the front operation panel and the front wall of the operation cabin to a satisfactory environment so that the cab can be lightly operated.

본 제3 발명은, 상기 프론트 커버의 연장 단부에 시일 부재를 상기 프론트 운전 패널의 전방면에 압박 접촉되는 상태로 장착하고 있다.In the third invention, a seal member is mounted on the extended end of the front cover in a state of being pressed against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본 제3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운전 캐빈의 전방벽의 프론트 운전 패널에 겹쳐지는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프론트 커버에 의해 벗어난 개소이며, 시일 부재의 설치 스페이스를 넓게 확보할 수 있는 개소에 시일 부재를 배치할 수 있어, 시일 부재를 비교적 큰 것으로 하여 프론트 운전 패널의 전방면의 넓은 범위에 걸쳐 접촉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 me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deviated by the front cover from a portion overlapping the front operation panel of the front wall of the driving cabin by the front cover and capable of ensuring a large installation space of the seal member So that the seal member can be made to be relatively large and contact over a wide rang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따라서, 시일 부재에 의한 시일을 양호하게 행하게 하여 운전실을 경쾌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양호한 환경의 것으로 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avorable environment in which the sealing by the seal member can be performed well and the cabin can be lightly operated.

본 제4 발명은, 상기 프론트 운전 패널을, 서로 연결되어 좌우로 배열되는 주 운전 패널과 부 운전 패널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In the fourth invention, the front operation panel is constituted by a main operation panel and a sub operation panel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ranged laterally.

본 제4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프론트 운전 패널을 일거에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프론트 운전 패널 전체에 비해 소형으로 되는 주 운전 패널과 부 운전 패널로 나누어 제작하고, 주 운전 패널과 부 운전 패널을 따로따로 기체에 조립 장착하여 프론트 운전 패널의 전체를 완성한다고 하는 제작 및 조립 장착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operation panel is not made in one piece but is divided into a main operation panel and a sub-operation panel which are smaller in size than the entire front operation panel, It is possible to adopt a fabrication and assembly mounting method in which the entire front operation panel is completed by separately assembling and mounting to the base.

따라서, 프론트 운전 패널을 주 운전 패널과 부 운전 패널로 나누어 용이하게 제작하는 동시에 조립 장착하여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Therefore, the front operation panel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being divided into the main operation panel and the sub-operation panel, and assembled and assembled, so that it can be obtained at low cost.

본 제5 발명은, 상기 부 운전 패널의 단부를 상기 주 운전 패널의 전방 또는 후방에 겹쳐 배치하고 있다.In the fifth invention, the end portion of the sub-operation panel is disposed in front of or behind the main operation panel.

본 제5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부 운전 패널과 주 운전 패널의 겹침 배치에 의해 양 패널 사이로부터의 빗물 침입 등을 회피하기 쉽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fth invention, it is easy to avoid intrusion of rainwater and the like from between the panels by overlapping arrangement of the auxiliary operation panel and the main operation panel.

따라서, 프론트 운전 패널을 주 운전 패널과 부 운전 패널로 나누어 제작하는 동시에 조립 장착하여 저렴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이면서, 양 패널 사이로부터의 빗물 침입 등을 회피하기 쉬운 고품질의 상태로 얻을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front operation panel in a high-quality state which can be obtained at low cost by assembling the front operation panel by dividing it into the main operation panel and the auxiliary operation panel, and intrusion of rainwater between the panels.

본 제6 발명은, 상기 프론트 커버가 상기 주 운전 패널 및 상기 부 운전 패널의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sixth invention is provided such that the front cover is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operation panel and the sub-operation panel.

본 제6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주 운전 패널과 부 운전 패널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의 전방측을 프론트 커버에 의해 덮을 수 있고, 양 운전 패널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해도 빗물 침입 등이 발생하기 어렵도록 간극을 프론트 커버에 의해 덮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ide of a portion where the main operation panel and the auxiliary operation pane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can be covered by the front cover, and even when a gap is generated between both operation panels, The front clearance can be covered by the front cover.

따라서, 프론트 운전 패널을 주 운전 패널과 부 운전 패널로 나누어 제작하는 동시에 조립 장착하여 저렴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이면서, 주 운전 패널과 부 운전 패널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도 그 간극으로부터의 빗물 침입 등을 구조 간단하게 회피할 수 있어 이 면에서도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main operation panel and the sub-operation panel, the front operation panel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s by assembling the main operation panel and the sub-operation panel, Intrusion and the like can be easily avoided and can be obtained at low cost in this respect.

본 제7 발명은, 상기 부 운전 패널의 단부를 상기 주 운전 패널의 전방에 겹쳐 배치하고 있고,In the seventh invention, the end portion of the sub-operation panel is disposed in front of the main operation panel,

상기 프론트 커버의 횡단부가, 상기 주 운전 패널의 상기 부 운전 패널에 겹쳐지는 부위와 상기 부 운전 패널의 상기 주 운전 패널에 겹쳐지는 부위 사이에 들어가 있다.The transverse portion of the front cover is interposed between a portion overlapping the sub-operation panel of the main operation panel and a portion overlapping the main operation panel of the sub-operation panel.

본 제7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프론트 커버의 횡단부를 부 운전 패널과 주 운전 패널 사이로 들어가게 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venth invention, the transversal portion of the front cover can be inserted between the auxiliary operation panel and the main operation panel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따라서, 운전 캐빈의 전방벽과 프론트 운전 패널의 간극을 빗물 등이 침입하기 어렵도록 프론트 커버에 의해 덮는 것을, 프론트 커버의 횡단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세차 작업 등의 장해로 되지 않는 상태에서 얻을 수 있다.Therefore, the front cover is covered with the front cover so that the clearance between the front wall of the operation cabin and the front operation panel is hardly invaded by the front cover. The transverse section of the front cover can be obtained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have.

본 제8 발명은, 상기 주 운전 패널과 상기 부 운전 패널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시일 부재를 설치하고 있다.In the eighth invention, a seal member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main operation panel and the sub-operation pane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본 제8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주 운전 패널과 부 운전 패널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서의 양 패널 사이를 시일 부재에 의해 양호하게 시일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panels at the portion where the main operation panel and the subordinate operation pane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can be sealed well by the seal member.

따라서, 프론트 운전 패널을 주 운전 패널과 부 운전 패널로 나누어 제작하는 동시에 조립 장착하여 저렴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이면서, 양 패널 사이로부터의 빗물 침입 등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는 고품질의 상태로 얻을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front operation panel in a high-quality state in which the front operation panel is divided into the main operation panel and the auxiliary operation panel, have.

본 제9 발명은, 상기 부 운전 패널을 상기 주 운전 패널보다 기체 횡외측에 배치하고, 상기 부 운전 패널에 방향 지시기를 장착하고 있다.In the ninth invention, the sub-operation panel is arranged on the transversely outer side with respect to the main operation panel, and the direction indicator is mounted on the sub-operation panel.

본 제9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주 운전 패널을 기체에 장착한 상태로 해도, 부 운전 패널을 떼어냄으로써 방향 지시기나 이것의 배선의 취출이나 인출을 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ninth aspect of the invention, even when the main operation panel is mounted on the base, the direction indicator and its wiring can be taken out or taken out by removing the auxiliary operation panel.

따라서, 방향 지시기나 이것의 배선의 점검이나 수리 등을 행하는 데, 부 운전 패널을 떼어내는 것만으로 방향 지시기나 배선을 취출하거나 인출하거나 하여 능률적으로 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the checking and repair of the direction indicator and its wiring,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operation efficiently by taking out or drawing out the direction indicator and the wiring simply by removing the auxiliary operation panel.

본 제10 발명은, 상기 부 운전 패널을, 이것의 후단부가 상기 운전 캐빈의 출입구의 기체 전방 측부 테두리를 따라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부 운전 패널의 후단부가 상기 주 운전 패널의 후단부보다도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The t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operation panel is formed such that the rear end thereof is located along the gas front side edge of the entrance of the operation cabin, and the rear end of the sub-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본 제10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부 운전 패널의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는 개소이며, 주 운전 패널의 횡측에 위치하는 개소에 지지 기둥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하여, 이 지지 기둥 설치 스페이스에 운전 캐빈의 지지 기둥을 설치하여 지지 기둥을 최대한 기체 전방측에 위치시키고, 운전 캐빈의 출입구의 기체 전방 측부 테두리를 최대한 전방측에 설치하여 운전 캐빈의 출입구의 횡폭을 넓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column installation space is provided at a position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subordinate operation panel on the lateral side of the main operation panel,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lateral width of the entrance of the operation cabin by placing the supporting columns at the front side of the cabin as much as possible and providing the front edge of the cabin at the entrance of the driving cabin as far as possible.

따라서, 운전실에 대한 승하차를 횡폭이 넓은 출입구에 의해 쉽게 할 수 있다.Therefore, the driver can easily get in and out of the cab by a door having a wide width.

제11 발명은, 주행 기체의 좌우 일측 개소에 탑승 운전부를 형성하고, 상기 탑승 운전부에 탑승 공간을 형성하는 캐빈을 장비하고, 상기 탑승 운전부의 좌우 일단부에, 승강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승강구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도어의 외주연부를 수용하는 도어 수용 프레임을 배치하고, 상기 탑승 운전부의 후방 하부에, 상기 탑승 운전부의 후방부에 구비한 운전 좌석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운전 좌석의 후방 하방에 배치한 엔진을 덮는 엔진 커버를 구비한 콤바인의 탑승 운전부 구조에 있어서,An el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abin for forming a boarding space in the boarding operation section is provided at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of a running vehicle and doors are opened and closed at one left and right ends of the boarding operation section, A door receiving frame for receiving the outer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door is formed at a rear lower portion of the riding operation portion while supporting a driving seat provided at a rear portion of the riding operation portion, In a ride-on operation structure of a combine having an engine cover that covers an engine,

상기 엔진 커버에 상기 엔진 커버의 횡외측면을 형성하는 횡커버부를 구비하고, 이 횡커버부의 전방 측부 테두리부에 상기 도어의 하측 후방 테두리 부분을 수용하는 도어 수용부를 형성하여, 상기 횡커버부가 상기 도어 수용 프레임의 일부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Wherein the engine cover is provided with a transverse cover portion which forms the lateral side surface of the engine cover and a door receiving portion which receives the lower rear edge portion of the door is formed on the front side edge portion of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And is configured to function as a part of the receiving frame.

제11 발명에 따르면, 엔진 커버의 횡커버부가 도어 수용 프레임의 일부로서 기능함으로써, 도어 수용 프레임을 도어의 외형을 따라 연속적으로 둘러싸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고, 이에 의해, 도어 수용 프레임을 형성할 때에 도어 수용 프레임에 있어서 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변형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그 변형을 제거하기 쉬워지므로, 도어 수용 프레임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도어를 폐쇄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서의 도어와 도어 수용 프레임의 밀착성을 용이하게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eleventh invention, since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of the engine cover functions as a part of the door receiving frame, there is no need to continuously surround the door receiving frame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door, thereby forming the door receiving frame So that deformation is less likely to occur in the door receiving frame. Further, even if deformation occurs, the deformation can be easily removed,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the door receiving frame,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receiving frame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rated to the closing position can be easily increased have.

따라서, 도어 수용 프레임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면서 캐빈으로서 높은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cure high airtightness as a cabin while facilitating the manufacture of the door receiving frame.

제12 발명은, 상기 제11 발명에 있어서,The twel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eleventh invention,

상기 도어 및 상기 도어 수용 프레임을, 상기 승강구 및 상기 도어의 상부측이 하부측보다도 전후 폭이 넓어지도록 상기 도어 및 상기 도어 수용 프레임의 상측 후방 테두리 부분이 하측 후방 테두리 부분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The upper rear edge portion of the door and the door receiving frame is located rearward of the lower rear edge portion so that the door and the door receiving frame are wider in the front and rear width tha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doorway and the door Forming,

상기 도어의 상기 하측 후방 테두리 부분과 상기 횡커버부의 상기 도어 수용부를 후방 경사 자세의 일직선 형상 또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The lower rear edge portion of the door and the door receiving portion of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are formed into a straight or curved shape having a rear inclined posture.

제12 발명에 따르면, 승강구에 있어서의 상부측의 개구 면적을 하부측의 개구 면적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하측 후방 테두리 부분 및 도어 수용부를 도어의 내부측이나 도어 수용 프레임의 내부측으로 팽출하는 굴곡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들을 구비하는 도어 및 엔진 커버의 횡커버부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면서, 승강구에 있어서의 하부측의 개구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도어의 외주연부 및 도어 수용 프레임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wel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area of the upper side of the hatch opening can be made larger than the opening area of the lower side. Further,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lower rear edge portion of the door and the door receiving portion are formed into a curved shape that bulges toward the inside of the door or the inside of the door receiving frame, the door with the door and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of the engine cover can be easily manufactur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opening area of the lower side of the entrance and to shorten the length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door and the length of the door receiving frame.

따라서, 승강구로서 승강하기 쉬운 넓은 개구 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도어를 폐쇄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서의 도어와 도어 수용 프레임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어, 캐빈으로서 보다 높은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 opening area which is easy to lift and lower as a hatch, while enhancing the adhesion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receiving frame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rated to the closed position, thereby securing higher airtightness as the cabin.

제13 발명은, 상기 제11 또는 제12 발명에 있어서,According to a thirteenth invention, in the eleventh or twelfth invention,

상기 도어 수용 프레임의 상기 상측 후방 테두리 부분이 상기 운전 좌석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Wherein the upper rear edge portion of the door receiving frame is positioned behi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driver's seat,

상기 횡커버부의 하단부를 상기 주행 기체에 전후 방향의 지지축을 통해 연결하여, 상기 엔진 커버를 상기 전후 방향의 지지축을 지지점으로 한 상기 운전 좌석과의 일체 요동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구성하고,A lower end portion of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traveling body via a forward and backward support shaft so that the engine cover is capable of an integral swinging operation with the driving seat having the support shaft as the fulcrum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상기 도어를 상기 승강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조작하면, 상기 엔진 커버 및 상기 운전 좌석의 상기 전후 방향의 지지축을 지지점으로 한 일체 요동 조작이 가능해지고, 이 요동 조작을 행하면, 상기 엔진 커버 및 상기 운전 좌석이, 상기 엔진 커버가 상기 엔진을 덮는 상태로 되어 상기 운전 좌석이 착좌 자세로 탑승 공간 내에 위치하는 탑승 운전 위치와, 상기 엔진 커버 및 상기 운전 좌석이 상기 주행 기체의 횡외측으로 넘어가 상기 엔진을 개방하는 메인터넌스 위치에 걸쳐 요동 변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When the door is opened from the closed position in which the door is closed,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integral swing operation using the engine cover and the front and rear support shafts of the driver's seat as fulcrum points. When the swing operation is performed, Wherein the driver's seat comprises a riding operation position in which the engine cover is in a state of covering the engine so that the driver's seat is located in a seating space in a seating posture and a riding operation position in which the engine cover and the driver seat cross the lateral side of the running vehicle, And is pivotally displaced over a maintenance position for opening the opening.

제13 발명에 따르면, 캐빈을 제거하는 수고를 필요로 하는 일 없이, 도어를 승강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조작하는 것만으로, 엔진 커버 및 운전 좌석의 전후 방향의 지지축을 지지점으로 한 일체 요동 조작이 가능해져, 이 요동 조작에 의해 엔진 커버 및 운전 좌석을 탑승 운전 위치로부터 메인터넌스 위치로 요동 변위시킴으로써 엔진을 개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by opening the door from the closed position for closing the door without requiring labor to remove the cabin, the integral swinging operation The engine can be opened by swinging the engine cover and the driver's seat from the boarding operation position to the maintenance position by this swinging operation.

따라서, 엔진에 대한 메인터넌스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maintenance property of the engine.

제14 발명은, 상기 제11 내지 제1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A four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ny one of the eleventh through thirteenth aspects,

상기 엔진 커버의 전방 커버부와 상부 커버부와 상기 횡커버부의 사이에, 그들 커버부가 형성하는 능각을 모따기하는 경사면 커버부를, 그 횡커버부측의 단부 테두리가 상기 횡커버부의 전방 측부 테두리부를 따르는 상태로 형성하고 있다.A sloped surface cover portion that chamfers a ridge angle formed by the cover portion between the front cover portion, the upper cover portion, and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of the engine cover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an end edge of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side follows the front side edge portion of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As shown in FIG.

제14 발명에 따르면, 도어 수용 프레임의 도어 수용부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엔진 커버의 전단부 상측 개소가, 그 승강구측의 부분에 있어서는, 승강구에 근접할수록 도어 수용 프레임의 도어 수용부로부터 전방으로의 돌출량이 감소하게 되어, 승강구로부터의 승강시에 접촉하기 어려워지고, 또한 탑승 공간 내로부터 우측 하부 후방의 외부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때에 시야를 차단하기 어려워진다.According to the fourteenth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engine cover located forward of the door receiving portion of the door receiving frame is moved forward from the door receiving portion of the door receiving frame toward the entrance door The amount of protrusion is reduced and it becomes difficult to contact the passenger when the vehicle ascends and descends from the entrance.

그 결과, 전방 커버부와 상부 커버부와 횡커버부가 형성하는 능각을 엔진 커버에 남기도록 구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승강구로부터의 승강을 행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우측 하부 후방의 외부 상황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front cover portion, the upper cover portion and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are formed so as to leave the rudder angle on the engine cover, it is easy to raise and lower the vehicle from the hatch and the visibility .

제15 발명은, 상기 제12 내지 제1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The fifteenth inven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twelfth to fourteenth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도어를 상기 폐쇄 위치에서 고정하는 고정구를, 상기 도어에 있어서의 상측 후방 테두리 부분과 상기 하측 후방 테두리 부분의 접합 개소의 부근에 배치하고 있다.A fastener for fixing the door at the closed position is disposed near the junction between the upper rear edge portion and the lower rear edge portion of the door.

제15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헐거운 단부측에 있어서 하측 후방 테두리 부분과 하측 후방 테두리 부분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상측 후방 테두리 부분이 접합함으로써, 하측 후방 테두리 부분과 상측 후방 테두리 부분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되어 강도가 높아지는 개소에 고정구를 배치하므로, 고정구에 의한 도어의 폐쇄 위치에서의 고정을 안정성 좋고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f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rear edge portion on the loose end side of the door and the upper rear edge portion located rearward than the lower rear edge portion are joined to each other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lower rear edge portion and the upper rear edge portion Since the fixing me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strength is increased, the fixing of the door at the closing position by the fixing member can be performed with good stability and good performance.

제16 발명은, 상기 제11 내지 제15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A six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ny of the eleventh to fifteenth inventions,

상기 도어를 상기 폐쇄 위치에서 고정하는 고정구를, 상기 도어에 있어서의 전방 테두리 부분의 상부에 구비한 힌지와 하부에 구비한 힌지의 상하 중간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A fastener for fixing the door at the closed position is disposed at a vertically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a hinge provided on a front edge of the door and a hinge provided on a lower portion of the door.

제16 발명에 따르면, 도어에 있어서의 상하의 힌지로부터 가장 이격되어 도어와 도어 수용 프레임의 밀착성이 가장 낮아지는 부위에 고정구를 배치하므로, 도어를 폐쇄 위치에서 고정한 상태에서는, 도어의 외주연부를 도어 수용 프레임의 전체 둘레에 걸쳐 대략 균일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ix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astener is disposed at a position which is most distant from the upper and lower hinges of the door so that the adhesion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receiving frame is lowest, when the door is fixed at the closed position, It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uniformly over the whole circumference of the frame.

따라서, 도어와 도어 수용 프레임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어, 캐빈에 있어서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adhesion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receiving frame can be enhanced, and the airtightness of the cabin can be improved.

제17 발명은, 상기 제11 내지 제16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A seventeenth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ny one of the eleventh to sixteenth inventions,

상기 캐빈에 있어서의 상기 승강구의 전방 개소와 후방 개소의 각각에, 승강시에 사용하는 ㄷ자 형상의 보조 핸들을, 상하향의 자세로 상기 캐빈의 횡외측면으로부터 횡외측을 향해 돌출시키는 상태에서 장비하고,Shaped auxiliary handle used at the time of ascending and descending is projected from the lateral side of the cabin toward the lateral outer side in an upward and downward posture at each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cabin in the cabin,

상기 보조 핸들의 횡외측 단부가 상기 도어에 구비한 개폐 조작용 도어 핸들의 횡외측 단부보다도 횡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And the transverse outside end of the auxiliary handle is located laterally outward than the transverse outside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door handle provided in the door.

제17 발명에 따르면, 승강구의 전후에 보조 핸들을 구비함으로써 승강구로부터의 승강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논둑 근처에서의 주행시 등에 있어서, 도어 핸들에 논둑 근처의 입목 등의 다른 물건이 접촉하는 것을 전후의 보조 핸들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venteenth invention, since the auxiliary handle is provided before and after the door, it is easy to move up and down from the door. Fur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oor handle from contacting other objects such as a tree or the like near the crossbars at the time of traveling near the turnbuckle.

따라서, 승강구로부터의 승강을 행하기 쉽게 하면서 도어 핸들의 다른 물건과의 접촉에 기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rise and fall from the elevator door, and to prevent the door handle from being damaged due to contact with other objects.

본 발명의 제18 특징 구성은, 주행 기체에 구비된 곡립 배출용 오거의 선회 및 승강을 지령하는 수동 조작식 지령 스위치와, 상기 곡립 배출용 오거의 곡립 배출 상태와 곡립 정지 상태를 전환하는 요동식 배출 클러치 레버를, 운전 좌석의 횡측의 위치에 배치된 조작 패널에 설치하고 있는 콤바인에 있어서의 곡립 배출용 오거의 조작 장치이며, 상기 조작 패널은, 제1 조작 패널부와, 그 전방에서 1단 낮게 형성된 제2 조작 패널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 클러치 레버는, 상기 제1 조작 패널부에 전후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지령 스위치는, 상기 제2 조작 패널부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데 있다.An eigh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a vehicular automatic transmission comprising a manually operated command switch for instructing the turning and lifting and lowering of a curling discharge auger provided in a traveling vehicle, An operation device for a curved discharge auger in a combine wherein an exhaust clutch lever is provided on an operation panel disposed at a position on the lateral side of a driver's seat, the operation panel comprising: a first operation panel section; And the discharge clutch lever is arranged so as to swing back and forth on the first operation panel part, and the command switch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operation panel part There is.

본 발명의 제18 특징 구성에 따르면, 배출 클러치 레버를, 제2 조작 패널부보다 1단 높은 제1 조작 패널부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배출 클러치 레버가 넘어간 상태에 있을 때라도, 1단 아래의 제2 조작 패널부에 배치되어 있는 지령 스위치와의 사이에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igh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charge clutch lever is disposed in the first operation panel portion which is one level higher than the second operation panel portion, even when the discharge clutch lever is in the overrun state, It is possible to secure a distance between the command switch disposed in the operation panel unit and the command switch.

따라서, 지령 스위치의 존재를 신경쓰는 일 없이, 배출 클러치 레버의 요동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the sw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clutch lever can be performed without paying attention to the presence of the command switch, and the oper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지령 스위치의 조작에 대해서도, 배출 클러치 레버의 조작 에어리어가 간섭하지 않으므로, 조작상의 구속을 받는 일 없이 자유롭게 효율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Likewise, the operation area of the discharge clutch lever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command switch,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freely and efficiently performed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operation.

나아가서는, 배출 클러치 레버를, 전후 방향으로 요동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운전 좌석으로부터 조작하는 경우에도,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되기 어려워 효율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discharge clutch lever is configured to be swing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even when the discharge clutch lever is operated from the driver's seat, an unnatural posture can hardly be obtained and the operation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이상의 결과, 배출 클러치 레버나 지령 스위치를, 자유롭게 효율적으로 조종할 수 있어,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discharge clutch lever and the command switch can be freely and efficiently controlled and the operabilit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제19 특징 구성은, 상기 지령 스위치는, 상기 배출 클러치 레버의 요동 궤적과 평면적으로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A nine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at the command switch is dispos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wing locus of the discharge clutch lever in a planar manner.

본 발명의 제19 특징 구성에 따르면, 배출 클러치 레버의 요동 궤적이, 지령 스위치와 평면적으로 간섭하지 않으므로, 배출 클러치 레버와 지령 스위치의 조작부끼리가, 종방향 뿐만 아니라, 횡방향으로도 이격되어 보다 확실하게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nine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wing locus of the discharge clutch lever does not interfere with the command switch in a planar manner, the discharge clutch lever and the operating portions of the command switch are spaced not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also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operability can be reliably improved.

본 발명의 제20 특징 구성은, 상기 지령 스위치는, 요동 하단부까지 넘어뜨린 온(ON) 조작 상태의 상기 배출 클러치 레버의 횡측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A twentie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at the command switch is dispos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discharge clutch lever in an ON operation state in which the command switch is tilted down to the lower end of the swing.

본 발명의 제20 특징 구성에 따르면, 지령 스위치와 배출 클러치 레버가 간섭하지 않는 것에 더하여, 배출 클러치 레버를 넘어뜨려 온 조작 상태로 하였을 때에, 지령 스위치가 횡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호의 조작을 하는 데, 손을 크게 이동시키지 않고 실시할 수 있어, 보다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wentie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the command switch and the discharge clutch lever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 command switch is located on the lateral side when the discharge clutch lever is brought into the overrun operating state. ,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operation without moving the hand largely, and the oper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의 제21 특징 구성은, 상기 제1 조작 패널부에는, 상기 배출 클러치 레버의 측방에 간격을 두고, 탈곡 장치의 배출 짚 처리 전환 레버를 배열하여 배치하고 있고,The twenty-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operating panel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exhaust straw switching lever of the threshing device arr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clutch lever,

상기 제2 조작 패널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지령 스위치는, 상기 배출 짚 처리 전환 레버의 요동 궤적과 평면적으로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And the command switch provided on the second operation panel part is dispos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winging locus of the discharge straw processing switching lever in a planar manner.

본 발명의 제21 특징 구성에 따르면, 배출 짚 처리 전환 레버의 요동 궤적이, 지령 스위치와 평면적으로 간섭하지 않으므로, 배출 짚 처리 전환 레버와 지령 스위치의 조작부끼리가, 종방향 뿐만 아니라, 횡방향으로도 이격되어, 보다 확실하게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wenty-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wing locus of the discharge zip processing switching lever does not interfere with the command switch in a planar manner,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zip processing switching lever and the command switch can be performed not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operability can be more reliably improved.

본 발명의 제22 특징 구성은, 상기 지령 스위치는, 요동 하단부까지 도달한 상태의 상기 배출 짚 처리 전환 레버의 횡측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A twenty-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at the command switch is dispos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discharge straw processing switching lever in a state of reaching the lower end of the swing.

본 발명의 제22 특징 구성에 따르면, 지령 스위치와 배출 짚 처리 전환 레버가 간섭하지 않는 것에 더하여, 배출 짚 처리 전환 레버를 넘어뜨린 조작 상태로 하였을 때에, 지령 스위치가 횡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호 조작을 하는 데, 손을 크게 이동시키지 않고 실시할 수 있어, 보다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wenty-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the command switch and the discharge straw processing switching lever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 command switch is located on the lateral side when the discharge straw processing switching lever is turned over. Thus,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operation without moving the hand largely, and the operability can be improved more.

본 발명의 제23 특징 구성은, 상기 지령 스위치의 조작부는, 상기 제1 조작 패널부보다 하방에 위치시키고 있는 점에 있다.A twenty-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at the operating section of the command switch is located below the first operating panel section.

본 발명의 제23 특징 구성에 따르면, 제1 조작 패널부에 설치되어 있는 레버(배출 클러치 레버나 배출 짚 처리 전환 레버)를, 바로 옆으로 넘어뜨린 자세로 요동 조작해도, 또한 그 하방측에 지령 스위치의 조작부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각각의 조작 범위가 겹치지 않아 조작하기 쉽다. 따라서, 보다 확실하게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twenty-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lever (the discharge clutch lever or the discharge straw processing switching lever) provided on the first operation panel unit is pivoted right downward and pivoted, Since the operation portion of the switch is located, the respective operation ranges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so that the operation is easy. Therefore, the operability can be more reliably improved.

본 발명의 제24 특징 구성은, 운전 좌석의 후방이며 상기 조작 패널의 횡측에, 에어 클리너를 설치한 클리너 설치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 클러치 레버의 상단부 조작부는, 상기 클리너 설치부의 최상부보다 상방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A twenty-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leaner mounting portion provided with an air cleaner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driver's seat and on the lateral side of the operation panel and the upper end operating portion of the discharge clutch lever is located above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cleaner mounting portion It is in point that it is installed.

본 발명의 제24 특징 구성에 따르면, 배출 클러치 레버를, 클리너 설치부에 근접시켜 배치하였다고 해도, 배출 클러치 레버의 상단부 조작부가, 클리너 설치부의 최상부보다 상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단부 조작부를 파지하고 조작할 때에 클리너 설치부가 방해되는 일이 없어, 원활하게 레버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wenty-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discharge clutch lever is disposed close to the cleaner mounting portion, since the upper operating portion of the discharging clutch lever is disposed above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cleaner mounting portion, The cleaner mounting portion is not hindered, and the lever operat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본 발명의 콤바인의 제25 특징 구성은, 곡립 탱크의 저부로부터 곡립을 리프팅하는 세로 오거와, 이 세로 오거의 상단부에 기복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세로 오거의 종방향 축심 주위로 선회 가능한 가로 오거와, 이 가로 오거를 수납 위치에 있어서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가 상기 가로 오거를 수납하도록 저부와 상기 저부의 양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종방향부로 구성되는 수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 공간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폐쇄 자세와, 상기 수납 공간의 상방을 개방하는 개방 자세로 이동 가능한 아암부를, 상기 종방향부에 설치하고, 상기 아암부에, 상기 가로 오거와 접촉하는 접촉 부분을 일체로 설치하고, 상기 개방 자세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분이 상기 수납 공간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가로 오거를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할 때의 상기 가로 오거의 상기 접촉 부분에 대한 상부로부터의 압박에 의해 상기 아암부가 이동하여 상기 폐쇄 자세로 되는 점에 있다.A combine according to a twenty-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ertical auger lifting grains from the bottom of a grapefruit tank, a horizontal auger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ongitudinal auger so as to freely pivot, And a pair of longitudinal portions exten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bottom portion so as to accommodate the lateral auger, wherein the combine comprises: And an arm portion which is movable in a closed posture in which the storage space is covered from above and an open posture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is opened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portion, The contact portion is integrally provided, and in the opening posture, the contact portion is disposed above the storage space And the arm portion is moved to the closed posture by the urging of the lateral auger against the contact portion of the lateral auger when the lateral auger is housed in the storage space.

〔작용 및 효과〕[Action and effect]

본 구성에 있어서는, 가로 오거가 받침대의 수납 공간에 수납되어 있을 때에는 아암부가 폐쇄 자세로 되고, 가로 오거가 받침대의 수납 공간에 수납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아암부가 개방 자세로 된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horizontal auger is hous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pedestal, the arm portion is in the closed posture, and when the horizontal auger is not hous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pedestal, the arm portion is in the open posture.

그로 인해, 작업자는, 아암부의 자세를 보면, 가로 오거가 받침대의 수납 공간에 수납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the operator can reliably confirm whether or not the horizontal auger is hous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pedestal by looking at the posture of the arm portion.

또한 본 구성에 있어서는, 가로 오거를 받침대의 수납 공간에 수납할 때에, 가로 오거가 아암부의 접촉 부분에 접촉함으로써 아암부가 이동하여 폐쇄 자세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아암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이나 전동계 등의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아, 간이한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고, 고장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 저비용화도 도모된다.Further, in the present configuration, when the lateral auger is hous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pedestal, the lateral aug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of the arm portion to move the arm portion to the closed posture so that the power source for moving the arm portion, So that it can be implement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it is difficult to cause failure or the like, and the cost can be reduced.

제26 특징 구성은, 상기 아암부가, 상기 종방향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개방 자세에 있어서 상방을 향하고 있는 점에 있다.A twenty-sixth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at the arm portion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ngitudinal portion and is directed upward in an opening posture.

〔작용 및 효과〕[Action and effect]

본 구성에 따르면, 아암부가 종방향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개방 자세에 있어서 상방을 향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가로 오거를 받침대의 상측에 배치하여, 가로 오거를 하강시켜 받침대의 수납 공간에 수납할 때, 가로 오거의 위치가 받침대의 상측에 있어서 약간 아암부 부근으로 어긋나 있었다고 해도, 가로 오거를 하강시켜 받침대의 수납 공간에 수납할 때에, 아암부가 가이드로서 기능하여 가로 오거를 받침대의 수납 공간으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가로 오거를 보다 확실하게 수납 공간에 수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arm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ngitudinal portion, and is directed upward in the open posture. As a result, when the horizontal auger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pedestal and the horizontal auger is lowered and hous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pedestal, even if the position of the horizontal auger is shifted to the vicinity of the arm por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pedestal, The arm portion can function as a guide to guide the horizontal auger to the storage space of the pedestal, so that the horizontal auger can be housed in the storage space more reliably.

제27 특징 구성은, 상기 아암부를 폐쇄 자세로 유지 및 유지 해제 가능한 유지 수단을 구비하는 점에 있다.A twenty-seventh characterizing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e provision of a holding means capable of holding and releasing the arm portion in a closed posture.

〔작용 및 효과〕[Action and effect]

본 구성에 따르면, 유지 수단에 의해 아암부가 폐쇄 자세로 유지되므로, 아암부가 가로 오거를 받침대에 고정하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갖게 되어, 받침대의 수납 공간에 수납된 가로 오거가 보다 확실하게 받침대에 지지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arm portion is held in the closed posture by the holding means, the arm portion has a function as a stopper for fixing the transverse auger to the pedestal, and the transverse auga receiv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pedestal is more reliably supported on the pedestal .

제28 특징 구성은, 상기 아암부의 개방 자세로부터 또한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의 이동을 멈추는 스토퍼 부재를 구비하는 점에 있다.The twenty-eighth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at the stopper member stops movement of the arm portion from the opening posture to the side away from the storage space.

〔작용 및 효과〕[Action and effect]

본 구성에 따르면, 아암부의 개방 자세로부터 또한 수납 공간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의 이동을 멈추는 스토퍼 부재를 구비하므로, 스토퍼 부재에 의해 아암부의 개방 자세가 일정한 자세로 유지되어, 작업자가 확인하기 쉽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stopper member that stops the movement from the opening position of the arm portion to the side away from the storage space is provided, the opening posture of the arm portion is maintained in a constant posture by the stopper member.

제29 특징 구성은, 상기 아암부가 개방 자세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아암부가 개방 자세에 있는 것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점에 있다.The twenty-ninth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at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at the arm portion is in the open posture and display means for indicating that the arm portion is in the open posture are provided.

〔작용 및 효과〕[Action and effect]

본 구성에 따르면, 작업자가, 아암부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검출 수단 및 표시 수단에 의해 아암부의 개방 자세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특히 아암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야간에 있어서, 가로 오거가 받침대의 수납 공간에 수납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if the operator does not directly confirm the arm portion with the naked eye, the opening posture of the arm portion can be confirmed by the detection means and the display means. Therefore, in the nighttim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visually confirm the arm portion, It can be confirmed whether or not it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제30 특징 구성은, 상기 표시 수단이, 상기 가로 오거에 구비되는 점에 있다.A thirtie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at the display means is provided in the horizontal auger.

〔작용 및 효과〕[Action and effect]

본 구성에 따르면, 표시 수단이 가로 오거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가로 오거의 움직임과, 표시 수단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어, 가로 오거가 받침대의 수납 공간에 수납되어 있는지 여부를 보다 확인하기 쉽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display means is provided in the horizontal auger, the movement of the horizontal auger and the display means can be confirmed at the same time, and it is easy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horizontal auger is hous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pedestal.

도 1은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운전부 및 원동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운전부 및 원동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운전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프론트 운전 패널의 분해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7은 프론트 커버 및 시일 부재의 배치부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8의 (a)는 도 5의 VⅢa-VⅢa 단면 화살표도, (b)는 도 5의 VⅢb-VⅢb 단면 화살표도, (c)는 도 5의 VⅢc-VⅢc 단면 화살표도.
도 9는 운전 캐빈을 장비하지 않는 기종에서의 운전부 및 원동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0은 운전 캐빈을 장비하지 않는 기종에서의 운전부 및 원동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운전 캐빈을 장비하지 않는 기종에서의 운전부 및 원동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2는 제1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콤바인의 프론트 커버 및 시일 부재를 배치한 부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3의 (a)는 제2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콤바인의 운전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b)는 도 13의 (a)의 XⅢb-XⅢb 단면 화살표도.
도 14는 캐빈을 장비한 자탈형 콤바인의 전체 우측면도.
도 15는 캐빈을 장비한 자탈형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
도 16은 도어에 의해 승강구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는 탑승 운전부 및 캐빈의 우측면도.
도 17은 도어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탑승 운전부 및 캐빈의 우측면도.
도 18은 탑승 운전부 및 캐빈의 정면도.
도 19는 탑승 운전부 및 캐빈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횡단 평면도.
도 20은 엔진 커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 21은 탑승 운전부, 도어 및 도어 수용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사시도.
도 22는 엔진 커버를 탑승 운전 위치로부터 요동 변위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탑승 운전부 및 캐빈의 정면도.
도 23은 콤바인의 우측면도.
도 24는 콤바인의 좌측면도.
도 25는 콤바인의 평면도.
도 26은 콤바인의 캐빈 배치부의 일부 절결 우측면도.
도 27은 콤바인의 캐빈 배치부의 일부 절결 좌측면도.
도 28은 운전부의 평면도.
도 29는 배출 클러치 레버의 설치 상황을 도시하는 주요부 사시도.
도 30은 조작 패널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에서 본 설명도.
도 31은 조작 패널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상세 단면도.
도 32는 자탈형 콤바인 전체의 좌측면도.
도 33은 자탈형 콤바인 전체의 평면도.
도 34는 받침대와 아암부의 분해 사시도.
도 35는 받침대와 아암부의 평면도(a) 및 정면도(b).
도 36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받침대와 아암부의 사시도.
도 37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받침대와 아암부의 평면도(a) 및 정면도(b).
도 38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아암부의 개방 자세(a) 및 폐쇄 자세(b)의 정면도.
1 is a side view showing the entire combin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entire combine.
3 is a side view showing a driving part and a driving part.
4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ration part and a driving part.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on sec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in an exploded state;
7 is a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the front cover and the seal member;
FIG. 8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Aa-VIIIA in FIG. 5, FIG. 8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Ib-VIIIb in FIG. 5, and FIG.
9 is a side view showing a driving part and a driving part in a model not equipped with an operation cabin.
10 is a plan view showing a driving part and a driving part in a model not equipped with an operation cabin.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driving unit and a driving unit in a model not equipped with an operation cabin.
12 is a side view showing a portion where a front cover and a seal member of a combine having a different other embodiment structure are disposed;
Fig. 13 (a)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ration section of a combine having a second alternative embodiment, and Fig. 13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II-XIIIb in Fig.
Figure 14 is a full right side view of a demoulding combine equipped with a cabin.
15 is an overall plan view of a demolding combine equipped with a cabin;
Fig. 16 is a right side view of a cabin and a cabin, showing a state in which a door is closed by a door; Fig.
Fig. 17 is a right side view of the cabin and the cabin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door is removed; Fig.
18 is a front view of the cabin and the cabin.
19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abin and a cabin.
20 is a longitudinal front eleva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engine cover.
2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iding operation section, a door and a door receiving frame;
22 is a front view of a cabin and a cabin operation sec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gine cover is swingingly displaced from the boarding operation position;
23 is a right side view of the combine.
24 is a left side view of the combine.
25 is a plan view of the combine.
26 is a partially cutaway right side view of the cabin arrangement of the combine.
Figure 27 is a partially cutaway left side view of the cabin arrangement of the combine.
28 is a plan view of the operation section;
29 is a perspective view of essential parts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discharge clutch lever;
30 is an explanatory view seen from the front showing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operation panel;
31 is a detailed sectional view showing a support structure of the operation panel;
Fig. 32 is a left side view of the entire demold type combine. Fig.
Fig. 33 is a plan view of the entire demold type combine. Fig.
3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edestal and the arm.
35 is a plan view (a) and a front view (b) of the pedestal and the arm.
3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destal and an arm por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37 is a plan view (a) and a front view (b) of the pedestal and the arm por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38 is a front view of the opening position (a) and the closing posture (b) of the arm por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1, 1)에 의해 자주(自走)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기체 전단부측의 횡일단부에 설치된 운전부(2) 및 원동부(3)를 가진 주행 기체와, 이 주행 기체의 기체 프레임(4)의 전단부에 연결된 예취부(5)와, 기체 프레임(4)의 후방부측에 예취부(5)의 후방에 배치하여 설치된 탈곡 장치(6)와, 기체 프레임(4)의 후방부측에 탈곡 장치(6)의 횡측에 배치하여 설치된 곡립 탱크(7)와, 탈곡 장치(6)의 후방부에 연결된 배출 짚 처리 장치(8)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어, 벼, 보리 등의 수확 작업을 행한다.1 is a side view showing the entire comb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entire comb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comb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self-propelled by a pair of right and left crawler type traveling devices 1, 1, A driving unit 2 having a driving unit 2 and a driving unit 3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base frame 4 and a preload unit 5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base frame 4 of the traveling base, A curling tank 7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hreshing device 6 on the rear side of the base frame 4 and a curling tank 7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urling device 6, And an exhaust straw treatment device 8 connected to the rear part, thereby harvesting rice, barley and the like.

즉, 예취부(5)는, 기체 프레임(4)의 운전부(2)의 횡측방에 위치하는 개소로부터 기체 전방 방향으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장된 예취부 프레임(5a)을 구비하고, 이 예취부 프레임(5a)이 유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하 요동 조작됨으로써, 예취부(5)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분초구(分草具)(5b)가 농지면 가까이에 하강한 하강 작업 위치와, 분초구(5b)가 농지면으로부터 높게 상승한 상승 비작업 위치로 승강 조작된다.That is, the preload unit 5 includes a preliminary frame 5a which is vertically swingable in the gas front direction from a position locat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operation unit 2 of the base frame 4, The mounting frame 5a is pivoted up and down by a hydraulic cylinder (not shown) so that the minute weeding tool 5b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preloading portion 5 descends near the farmland surface The work position and the minute pitcher 5b are raised and lowered to a raised non-working position where the height of the minute pitcher 5b is raised from the agricultural surface.

예취부(5)를 하강 작업 위치로 하강시켜 주행 기체를 주행시키면, 예취부(5)는, 예취 대상인 식립 곡물대를 분초구(5b)에 의해 기립 장치(5c)에 도입하여 기립시키면서 클리퍼형의 예취 장치(5d)에 의해 예취하고, 예취 곡물대를 공급 장치(5e)에 의해 탈곡 장치(6)에 공급한다. 탈곡 장치(6)는, 공급된 예취 곡물대의 이삭끝측을 취급실(도시하지 않음)에 공급하여 탈곡 처리하고, 탈곡 배출 짚을 배출 짚 처리 장치(8)에 공급한다. 배출 짚 처리 장치(8)는, 공급된 탈곡 배출 짚을 긴 짚 상태 그대로 기체 후방으로 방출하거나, 혹은 공급된 탈곡 배출 짚을 길이 방향으로 세단 처리하여 세단 짚을 기체 후방으로 방출한다. 곡립 탱크(7)는, 탈곡 장치(6)로부터 반송된 탈곡립을 회수하여 저류하고, 저류된 탈곡립을 스크류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오거(9)에 의해 반출한다.When the traveling part 5 is lowered to the lowering working position to run the traveling gas, the preload part 5 is guided to the standing device 5c by the jet 5b, And the cut grain bundle is fed to the threshing device 6 by the feeder 5e. The threshing device 6 feeds the tail end side of the supplied cut waste grain band to a handling chamber (not shown), performs a threshing process, and supplies the threshing and discharging straw to the exhaust straw processing device 8. [ The discharged straw treatment apparatus 8 discharges the supplied threshing and discharging straw to the backward side of the airframe in a long straw state, or the supplied threshing and discharging straw is til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release the three-dimensional straw to the back side of the airframe. The grained tank 7 collects and stores the threshing lips transferred from the threshing device 6, and carries out the stored threshing lips by an auger 9 formed of a screw conveyor.

원동부(3)에 대해 설명한다.The driving unit 3 will be described.

도 1,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동부(3)에는, 운전 캐빈(20)의 후방부의 하측에 배치하여 기체 프레임(4)에 지지시킨 엔진 보닛(11)이 구비되고, 이 엔진 보닛(11)과 엔진 보닛(11)의 기체 횡외측에 설치한 횡측벽(12)에 의해 형성되는 엔진 룸에 설치한 엔진(13)이 구비되어 있다.The engine unit 3 is provided with an engine bonnet 11 which is disposed below the rear portion of the driving cabin 20 and is supported by the base frame 4 as shown in Figs. 1, 3 and 4, And an engine 13 provided in the engine room formed by the engine bonnet 11 and the transverse side wall 12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gas transit of the engine bonnet 11.

횡측벽(12)에 판 형상의 제진재(14)가 설치되고, 제진재(14)가 구비하는 관통 구멍을 통해 엔진 보닛(11)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엔진 냉각용 공기를 흡인하여 엔진(13)의 냉각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 보닛(11)의 후방부 상측에 상부 구조체(16)를 설치하여 형성한 에어 클리너실에 에어 클리너(17)가 설치되고, 운전 캐빈(20)에 있어서의 천장부(21)의 후방측 가까이에 프리 에어 클리너(18)가 설치되고, 프리 에어 클리너(18)와 에어 클리너(17)는, 흡기관(19)을 통해 연통되어 있고, 엔진 보닛(11)의 외부로부터 프리 에어 클리너(18) 및 에어 클리너(17)를 통해 엔진(13)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 plate-shaped damping material 14 is provided on the transverse wall 12 and sucks engine cooling air from the outside of the engine bonnet 11 through the through holes provided in the damping material 14, Of the cooling water. The air cleaner 17 is provided in the air cleaner chamber formed by providing the upper structure 16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portion of the engine bonnet 11 and the air cleaner 17 is disposed near the rear side of the ceiling portion 21 of the operation cabin 20 The pre-air cleaner 18 and the air cleaner 17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intake pipe 19. The pre-air cleaner 18 and the air cleaner 1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engine bonnet 11, And is configured to supply combustion air to the engine (13) through the air cleaner (17).

운전부(2)에 대해 설명한다.The operation unit 2 will be described.

도 1,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부(2)는, 엔진 보닛(11)의 천장판 상에 설치된 운전 좌석(30)과, 운전 좌석(30)의 전방에 기체 상하향 자세로 설치한 프론트 운전 패널(31)과, 운전 좌석(30)의 예취부측의 횡측방에 에어 클리너실을 형성하는 상부 구조체(16)의 횡측으로부터 프론트 운전 패널(31)의 횡단부에 걸쳐 설치한 사이드 운전 패널(38)과, 운전 캐빈(2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1, 3, and 4, the operation section 2 includes a driver's seat 30 provided on a ceiling plate of the engine bonnet 11, a driver's seat 30 provid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30 in a gas-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is provided so as to extend from the lateral side of the upper structure 16 forming the air cleaner chamber on the transverse side of the driving seat 30 to the transverse section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A side operation panel 38, and an operation cabin 20. [0033]

도 3, 도 4,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론트 운전 패널(31)은, 기체 프레임(4)에 구비된 운전 프레임부(4a)로부터 기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패널 프레임(도시하지 않음)과, 프론트 운전 패널(31)의 전방면(F)을 형성하는 전방 종판(32)과, 프론트 운전 패널(31)의 좌우 한 쌍의 횡측면을 형성하는 좌우 한 쌍의 횡종판(33, 34)과, 프론트 운전 패널(31)의 상면을 형성하는 천장판(35)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프론트 운전 패널(31)에는, 천장판(35)에 있어서의 운전 캐빈 출입구측의 단부로부터 기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레버형의 조작구(40)를 구비하고 있다.3, 4, 5, and 6,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includes a panel frame 4a projecting upward from the operation frame portion 4a provided in the base frame 4 A front end plate 32 for forming a front side F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and a pair of right and left side end plates for forming a pair of lateral sides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33, and 34, and a ceiling plate 35 that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is provided with a lever-shaped operation tool 40 which protrudes from the end of the ceiling plate 35 on the operation cabin entrance side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base.

조작구(40)는, 기체 전후 방향 및 기체 횡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조작구(40)는, 기체 전후 방향으로 요동 조작됨으로써 예취부(5)를 승강 조작하도록, 예취부(5)를 승강 조작하는 유압 실린더의 조작부에 연계되어 있다. 조작구(40)는, 기체 횡방향으로 요동 조작됨으로써 주행 기체를 선회 조작하도록,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1, 1)를 각각 별도로 구동, 정지 조작하는 좌우 한 쌍의 조향 클러치(도시하지 않음)의 조작부에 연계되어 있다.The manipulation tool 40 is supported so as to be swingable in the gas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gas transverse direction. The manipulation tool 40 is linked to an operating portion of a hydraulic cylinder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preload portion 5 so as to lift and operate the preload portion 5 by being rocked in the gas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operating member 40 is provided with a pair of right and left steering clutches (a pair of right and left steering clutches) for separately driving and stopping the pair of left and right crawler traveling devices 1 and 1 so as to pivotally operate the traveling vehicle by swinging in the machine- (Not shown).

사이드 운전 패널(38)을 구성하는 천장판(38a)의 전단부에 주 변속 레버(41)와 부 변속 레버(42)를 기체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구비하고, 천장판(38a)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부에 탈곡 클러치 레버(43)와 예취 클러치 레버(44)를 기체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설치하고, 천장판(38a)의 후단부에 배출 레버(45), 풍구 변속 레버(46) 및 배출 짚 처리 레버(47)를 기체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설치하고 있다.The main speed change lever 41 and the auxiliary speed change lever 42 are arranged in the gas transverse direction 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top plate 38a constituting the side operation panel 38, A tractive clutch lever 43 and a cut clutch lever 44 are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machine body and the exhaust lever 45, the tui shift lever 46, and the exhaust straw processing lever 46 ar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top plate 38a. (47) are arranged in the gas transverse direction.

주 변속 레버(41)는, 엔진(13)의 출력을 변속하여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 1)에 전달하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변속 조작하는 것이다. 부 변속 레버(42)는, 엔진(13)의 출력을 변속하여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 1)에 전달하는 부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변속 조작하는 것이다. 탈곡 클러치 레버(43)는, 엔진(13)으로부터 탈곡 장치(6)로의 전동(傳動)을 온 상태와 오프 상태로 전환 조작하는 것이다. 예취 클러치 레버(43)는, 엔진(13)으로부터 예취부(5)로의 전동을 온 상태와 오프 상태로 전환 조작하는 것이다. 배출 레버(45)는, 오거(9)를 구동 및 정지 조작하는 것이다. 풍구 변속 레버(46)는, 탈곡 장치(6)의 선별부에 선별풍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풍구(도시하지 않음)의 구동 속도를 변경하는 것이다. 배출 짚 처리 레버(47)는, 배출 짚 처리 장치(8)에 의한 탈곡 배출 짚의 처리 형태를 긴 짚 방출과 세단 방출로 전환하는 것이다.The main speed change lever 41 shifts the hydrostati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not shown) that shifts the output of the engine 13 to transmit the output to the pair of left and right crawler traveling devices 1, 1. The auxiliary shift lever 42 shifts the auxiliary transmission (not shown) for shifting the output of the engine 13 to transmit the output to the pair of left and right crawler traveling devices 1, 1. The thresher clutch lever 43 is a switch for turning the transmission from the engine 13 to the threshing device 6 into an on state and an off state. The cut clutch lever 43 is used to switch the transmission from the engine 13 to the take-up unit 5 to an on-state and an off-state. The discharge lever 45 drives and stops the auger 9. The tongue shift lever 46 changes the driving speed of a tuyere (not shown) provided to feed the sorting air to the sorting portion of the threshing device 6. The discharge straw processing lever 47 is to convert the treatment type of the threshing discharge straw by the discharge straw processing device 8 into long straw discharge and sedan discharge.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 캐빈(20)은, 프론트 운전 패널(31)의 상방에 위치하는 전방벽(22)과, 운전 좌석(30)의 좌측 횡측방이며, 사이드 운전 패널(38)의 상방에 위치하는 좌측 횡벽(23)과, 운전 좌석(30)의 우측 횡측방에 위치하는 우측 횡벽(24)과, 에어 클리너실을 형성하는 상부 구조체(16)의 상방에 위치하는 후방벽(25)과, 천장벽(21)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운전 좌석(30)을 수용하고 또한 프론트 운전 패널(31) 및 사이드 운전 패널(38)에 설치된 레버(40 내지 47)를 수용하는 운전실(R)을 형성한다.3 and 4, the driving cabin 20 includes a front wall 22 positioned above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a left lateral side of the driver's seat 30, A right lateral wall 24 positioned on the right lateral side of the driver's seat 30 and a right lateral wall 24 positioned above the upper structural body 16 forming the air cleaner chamber A rear wall 25 and a ceiling wall 21. The levers 40 to 47 provided in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and the side operation panel 38 receive the driver's seat 30, Thereby forming a cabin R for receiving.

우측 횡벽(24)에는, 운전 캐빈(20)의 출입구(26a)가 엔진 룸을 형성하는 횡측벽(12)과 프론트 운전 패널(31)을 구성하는 부 운전 패널(51)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고, 또한 출입구(26a)를 위한 도어(26)가 구비되어 있다. 도어(26)는, 출입구(26a)의 기체 전방측에 위치하는 우측 전방 지지 기둥(61)에 상하 한 쌍의 힌지(61a, 61a)를 통해 지지되어 있고, 기체 상하 방향의 개폐 축심 주위로 요동 개폐된다.An entrance 26a of the operation cabin 20 is formed in the right side wall 24 and disposed between the side wall 12 forming the engine room and the subordinate operation panel 51 constituting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And a door 26 for the entrance 26a. The door 26 is supported by a pair of upper and lower hinges 61a and 61a on the right front support column 61 located on the gas front side of the entrance 26a and swings around the opening and closing axis in the up- Is opened and closed.

운전 캐빈(20)이 구비하는 캐빈 프레임(27)은, 우측 횡벽(24)의 전후 2개소에 위치하는 우측 전방 지지 기둥(61)과 우측 후방 지지 기둥(62) 및 좌측 횡벽(23)의 전후 2개소에 위치하는 좌측 전방 지지 기둥(63)과 좌측 후방 지지 기둥(64)의 총 4개의 지지 기둥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운전 캐빈(20)은, 4개의 지지 기둥(61 내지 64)에 의해 주행 기체에 고정되어 있다. 우측 전방 지지 기둥(61)과 우측 후방 지지 기둥(62)은, 출입구(26a)의 전후측으로 분산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우측 전방 지지 기둥(61)과 좌측 전방 지지 기둥(63)은, 양 지지 기둥(61, 63)의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가 동일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우측 후방 지지 기둥(62)과 좌측 후방 지지 기둥(64)은, 양 지지 기둥(62, 64)의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가 동일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우측 전방 지지 기둥(61)은, 기체 프레임(4)이 구비하는 운전 프레임부(4a)에 연결되어 있다. 우측 후방 지지 기둥(62)은, 엔진 룸을 형성하는 횡측벽(12)을 구성하는 횡측벽 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부(12a)(도 1 참조)에 연결되어 있다. 좌측 전방 지지 기둥(63) 및 좌측 후방 지지 기둥(64)은, 사이드 운전 패널(38)을 지지하도록 기체 프레임(4)에 설치된 패널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The cabin frame 27 provided in the driving cabin 20 includes front and rear right support pillars 61 and right and left rear support pillars 62 and left and right lateral walls 23 located at two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right lateral wall 24 The driving cabin 20 includes four support pillars 61 to 64 which are provided with four support pillars including a left front support column 63 and a left rear support column 64 located at two positions, And is fixed to the running vehicle by the above- The right front support column 61 and the right rear support column 62 are arranged so as to be disperse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entrance 26a. The right front support column 61 and the left front support column 63 are arranged so that the positions of both the support columns 61 and 63 in the gas longitudinal direction are the same. The right rear support column 62 and the left rear support column 64 are arranged so that the positions of both the support columns 62 and 64 in the gas front and rear direction are the same. The right front support column 61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frame portion 4a of the base frame 4. [ The right rear support pillar 62 is connected to a support portion 12a (see Fig. 1) provided in the transverse side wall frame constituting the transverse side wall 12 forming the engine room. The left front support column 63 and the left rear support column 64 are connected to a panel frame (not shown) provided in the base frame 4 to support the side operation panel 38.

운전 캐빈(20)의 전방벽(22)은, 캐빈 프레임(27)에 구비된 상부 전방벽 프레임부(22a) 및 하부 전방벽 프레임부(22b)와, 상부 전방벽 프레임부(22a)와 하부 전방벽 프레임부(22b)에 걸쳐 장착된 투명한 글래스판(22c)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front wall 22 of the driving cabin 20 includes an upper front wall frame portion 22a and a lower front wall frame portion 22b provided on the cabin frame 27, And a transparent glass plate 22c mounted over the front wall frame portion 22b.

도 7,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 캐빈(20)은, 하부 전방벽 프레임부(22b) 및 글래스판(22c)의 하단부측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하단부(22d)가 프론트 운전 패널(31)의 상단부(31a)의 전방에 프론트 운전 패널(31)의 상단부(31a)에 대해 간극 D를 두고 기체 전후 방향으로 겹쳐져 위치하는 조립 장착 자세로 조립 장착되어 있다. 운전 캐빈(20)의 전방벽(22)에 있어서의 하단부(22d)의 운전 캐빈 내측에 하부 전방벽 프레임부(22b)에 일체 형성한 띠판체로 이루어지는 지지 부재(28)를 설치하고, 이 지지 부재(28)로부터 프론트 커버(70)를 기체 하부 방향으로 연장하는 동시에, 프론트 커버(70)의 연장 단부(70c)를 프론트 운전 패널(31)의 전방면(F)에 근접 배치하고 있다. 프론트 커버(70)의 운전 캐빈 출입구(26a)측(기체 우측)에 위치하는 단부(70b)는, 프론트 운전 패널(32)을 구성하는 부 운전 패널(51)의 횡단부 측부(51E)의 상단부(51a)의 이면측으로 들어가 있다. 프론트 커버(70)의 운전 캐빈 출입구(26a)측과는 반대측(기체 좌측)에 위치하는 단부(70a)는, 기체 후방으로 굽힙 형성되어, 운전 캐빈(20)의 좌측 횡벽(23)의 하방이며, 프론트 운전 패널(31)의 좌측의 횡종판(33)의 표면측으로 돌아 들어가 있다. 프론트 커버(70)는 전체에 걸쳐 합성 수지재로 성형되어 있다.7 and 8, the driving cabin 20 includes a lower front wall frame portion 22b and a lower end portion 22d including a lower end portion of the glass plate 22c. And is assembled and mounted in an assembled mounting posture in which the front end portion 31a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upper end portion 31a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with the gap D therebetween in the gas front and rear direction. A support member 28 formed of a strip member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front wall frame portion 22b is provided inside the operation cabin of the lower end portion 22d of the front wall 22 of the operation cabin 20, The front cover 70 is extended from the front cover 70 to the lower side of the base and the extended end 70c of the front cover 70 is disposed close to the front face F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 The end portion 70b of the front cover 70 located on the side of the driving cabin entrance 26a (the right side of the base)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transverse side portion 51E of the subordinate operation panel 51 constituting the front operation panel 32 And enters the back side of the base 51a. An end portion 70a of the front cover 70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driving cabin entrance 26a side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is bent rearwardly of the vehicle so as to be located below the left lateral wall 23 of the driving cabin 20 And to the surface side of the transverse vertical plate 33 on the left side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 The front cover 70 is entirely mold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즉, 운전 캐빈(20)의 전방벽(22)의 하단부(22d)와 프론트 운전 패널(31)의 상단부(31a)가 간극 D를 두고 기체 전후 방향으로 겹쳐짐으로써, 조작구(40)와 전방벽(22)의 간격이 조작구(40)를 취급하기 쉬운 넓은 간격으로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운전 캐빈(20)의 전방벽(22)의 하단부(22d)와 프론트 운전 패널(31)의 상단부(31a)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 D를 프론트 커버(70)에 의해 덮어, 운전 캐빈(20)의 전방벽(22)과 프론트 운전 패널(31)의 간극으로부터 빗물이 침입하는 것 등을 회피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at is, the lower end portion 22d of the front wall 22 of the driving cabin 20 and the upper end portion 31a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the gas front and rear direction with the gap D, And the spacing of the barriers 22 is wide enough to handle the manipulation tool 40. A gap D generated between the lower end portion 22d of the front wall 22 of the driving cabin 20 and the upper end portion 31a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is covered by the front cover 70, The rainwater does not enter from the gap between the front wall 22 and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and the like.

도 7,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71)의 이면측에, 운전 캐빈(20)의 전방벽(22)과 프론트 운전 패널(31) 사이의 시일을 행하는 시일 부재(75)를 전방벽(22)측에 보유 지지시켜 설치하고 있다. 시일 부재(75)는, 시일 부재(75)의 기체 상하 방향에서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치는 시일면(75a)을 구비하고, 이 시일면(75a)이 프론트 운전 패널(31)의 전방면(F)에 압박 접촉되는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시일 부재(75)는, 운전 캐빈(20)에 있어서의 전방벽(22)의 프론트 운전 패널(31)과 겹쳐져 있는 하단부(22d)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시일 부재(75)는, 프론트 운전 패널(31)을 구성하는 주 운전 패널(50)의 전방면의 거의 전체 폭에 걸쳐 따르는 것 외에, 좌측의 횡종판(33)도 따라 위치하도록 가늘고 긴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75)는, 시일 부재(75)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된 띠판 형상의 장착체(76)를 구비하고, 이 장착체(76)를 통해 전방벽(22)의 하단부(22d)에 유지 부재(28)로 이루어지는 시일 유지 부재(28)에 지지되어 있다.7 and 8, a seal member 75 for sealing between the front wall 22 of the operation cabin 20 and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is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front cover 71 And is held on the front wall 22 side. The seal member 75 has a seal surface 75a extending over substantially the entire length of the seal member 75 in the gas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al surface 75a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F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As shown in Fig. The seal member 75 is disposed below the lower end portion 22d of the operation cabin 20 which overlaps with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of the front wall 22. [ The sealing member 75 extends along substantially the whole width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operation panel 50 constituting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and also has a thin strip shape Respectively. The sealing member 75 is provided with a belt-like mounting body 76 provid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sealing member 75 and is held on the lower end portion 22d of the front wall 22 through the mounting body 76 Is held by a seal holding member (28) made of a member (28).

프론트 운전 패널(31)은, 프론트 운전 패널(31)의 기체 횡내측 부분[운전 캐빈 출입구(26a)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구성하는 주 운전 패널(50)과, 프론트 운전 패널(31) 중 기체 횡외측 부분[운전 캐빈 출입구(26a)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구성하는 부 운전 패널(51)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주 운전 패널(50)과 부 운전 패널(51)은, 주 운전 패널(50)의 기체 횡외측 단부와 부 운전 패널(51)의 기체 횡내측 단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부 운전 패널(31)은, 주 운전 패널(50)보다 기체 횡외측에 위치한다.The front operation panel 31 includes a main operation panel 50 constituting a transversely inner portion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a portion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operation cabin entrance 26a) And a sub-operation panel 51 constituting a transversely outer side portion (a portion located on the operation cabin entrance 26a side) The main operation panel 50 and the auxiliary operation panel 5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gas transverse outer end of the main operation panel 50 and the gas transverse inner end of the subordinate operation panel 51. [ Therefore, the sub-operation panel 31 is located on the transversely outer side of the main operation panel 50.

주 운전 패널(50)은, 프론트 운전 패널(31) 전체의 전방 종판(32)을 운전 캐빈 출입구(26a)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분할 전방 종판(32a)[이하, 좌측 분할 전방 종판(32a)이라 호칭함]과 운전 캐빈 출입구(26a)측에 위치하는 분할 전방 종판(32b)[이하, 우측 분할 전방 종판(32b)이라 호칭함]으로 분할한 2개의 분할 전방 종판(32a, 32b) 중 좌측 분할 전방 종판(32a)과, 좌측의 횡종판(33)과, 천장판(35)과, 기체 프레임(4)에 있어서의 운전 프레임부(4a)에 고정된 패널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좌측 분할 전방 종판(32a)과 좌측의 횡종판(33)은, 합성 수지재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부 운전 패널(51)은, 우측 분할 전방 종판(32b)과 우측의 횡종판(34)을 구비하고 있다. 우측 분할 전방 종판(32b)과 우측의 횡종판(34)은, 합성 수지재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좌측 분할 전방 종판(32a)은, 프론트 운전 패널(31) 전체의 전방면(F) 중 좌측 부분을 형성하고, 우측 분할 전방 종판(32b)은, 프론트 운전 패널(31) 전체의 전방면(F) 중 우측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The main operation panel 50 includes a split front longitudinal plate 32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eft split front longitudinal plate 32a (hereinafter, referred to as " left split front vertical plate 32a ")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ront end plate 32 of the entire front operation panel 31 from the side of the operation cabin entrance 26a Of the two divided forward end plates 32a and 32b which are divided by the divided forward front end plates 32b (hereinafter referred to as right divided front end plates 32b) located at the driving cabin entrance 26a side And a panel frame fixed to the operation frame portion 4a of the base frame 4 and the left divided front front end plate 32a, the left lateral vertical plate 33, the ceiling plate 35, and the like. The left divided front forward end plate 32a and the left lateral rear end plate 33 are integrally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sub-operation panel 51 includes a right split front longitudinal plate 32b and a right lateral vertical plate 34. [ The right divided front forward end plate 32b and the right lateral rear end plate 34 are integrally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left split front end plate 32a forms the left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F of the entire front operation panel 31 and the right divided front front end plate 32b forms the left portion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as a whole The right side portion is formed.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운전 패널(50)과 부 운전 패널(51)은 따로따로 형성되어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4 to 8, the main operation panel 50 and the sub-operation panel 51 are separately formed and connected.

즉, 부 운전 패널(51)에 있어서의 우측 분할 전방 종판(32b)에서의 횡단부 측부(51E)가 부 운전 패널(51)의 상하 방향에서의 전체 길이에 걸쳐 주 운전 패널(50)의 좌측 분할 전방 종판(32a)의 전방에 기체 전후 방향으로 겹쳐지는 배치로 부 운전 패널(51)과 주 운전 패널(50)을 기체 횡방향으로 배열하고 있다. 주 운전 패널(50)은, 기체 프레임(4)의 운전부 프레임(4a)에 기립 설치된 패널 프레임에 연결되어 운전부 프레임(4a)에 지지되어 있다. 부 운전 패널(51)은, 우측의 횡종판(34)에서 운전 캐빈(20)의 우측 전방 지지 기둥(61)에 연결 볼트에 의해 연결되어 운전부 프레임(4a)에 지지되어 있다.That is to say, the transverse portion 51E of the right divided sub-front end plate 32b of the sub-operation panel 51 extends along the entir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ub-operation panel 51, The subordinate operation panel 51 and the main operation panel 50 are arranged in the gas transverse direction in such a manner that they are overlapped in the gas front-rear direction in front of the divided front end plate 32a. The main operation panel 50 is connected to the panel frame that is installed on the operation subframe 4a of the base frame 4 and is supported by the operation subframe 4a. The auxiliary operation panel 51 is connected to the right front support column 61 of the operation cabin 20 by a connecting bolt at the right transverse vertical plate 34 and is supported by the operation section frame 4a.

부 운전 패널(51)의 횡단부 측부(51E)에 있어서의 상단부(51a)와 주 운전 패널(50)의 좌측 분할 전방 종판부(32a)는 간극을 가진 상태로 겹쳐져 있고, 주 운전 패널(50)의 부 운전 패널(51)에 겹쳐지는 부위와, 부 운전 패널(51)의 주 운전 패널(50)에 겹쳐지는 부위 사이에 프론트 커버(70)의 횡단부(70b)가 들어가 있다.The upper end portion 51a of the transverse side portion 51E of the subordinate operation panel 51 and the left divided front vertical plate portion 32a of the main operation panel 50 overlap with each other with a gap, The transverse portion 70b of the front cover 70 is inserted between a portion overlapping the auxiliary operation panel 51 of the auxiliary operation panel 51 and a portion overlapping the main operation panel 50 of the auxiliary operation panel 51. [

부 운전 패널(51)과 주 운전 패널(50)은, 프론트 커버(70)의 횡단부(70b)가 들어가 있는 부위보다 기체 하방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있어서는, 부 운전 패널(51)과 주 운전 패널(50) 사이에 설치한 시일 부재(52)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The auxiliary operation panel 51 and the main operation panel 50 are arranged such that the auxiliary operation panel 51 and the main operation panel 50 are located in a lower portion of the front cover 70 than the portion where the transverse portion 70b of the front cover 70 is located,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eal member 52 provided between the panels 50.

도 1, 도 3, 도 4,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 운전 패널(51)의 후단부로서의 횡종판(34)의 후단부(51r)는, 기체 상하 방향의 직선 형상으로 되어 운전 캐빈(20)의 출입구(26a)의 기체 전방 측부 테두리를 따라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부 운전 패널(51)은, 이것의 후단부(51r)가 주 운전 패널(50)의 후단부로서의 천장판(35)의 후단부(50r)보다도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방에 위치하는 조립 장착 상태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3, 4 and 6, the rear end portion 51r of the transverse vertical plate 34 as the rear end portion of the auxiliary operation panel 51 is formed into a linear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gas, Is formed along the gas front side edge of the doorway (26a) of the door (20). The auxiliary operation panel 51 is mounted in an assembled state in which the rear end portion 51r of the auxiliary operation panel 51 is located forward of the rear end portion 50r of the roof plate 35 as the rear end portion of the main operation panel 50 .

즉, 부 운전 패널(51)의 기체 후방측이며, 주 운전 패널(50)의 횡측에 위치하는 개소에 지지 기둥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하여 이 지지 기둥 설치 스페이스에 우측 전방 지지 기둥(61)을 설치하고, 우측 전방 지지 기둥(61)을 최대한 기체 전방측에 설치하여 운전 캐빈(20)의 출입구(26a)의 기체 전방 측부 테두리를 최대한 전방측에 위치시켜, 출입구(26a)의 횡폭(기체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을 크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That is, the support post installation space is secured at the position on the lateral side of the main operation panel 50 at the rear side of the sub-operation panel 51, and the right front support post 61 is provided in the support post installation space The right front support column 61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gas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gas front side edge of the entrance 26a of the operation cabin 20 is positioned as far as the front as far as possible and the lateral width of the entrance 26a Is made larger than the other.

부 운전 패널(51)에 이것의 기체 횡외측 단부에 설치한 지시기 장착 오목부를 구비시키고, 이 지시기 장착 오목부에 방향 지시기(54)를 장착하고 있다.The sub operating panel 51 is provided with an indicator mounting recess provided at the transversely outer end of the gas flow control panel 51 and a direction indicator 54 is attached to the indicator mounting recess.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 캐빈(20)의 전방벽(22)과 좌측 횡벽(23)에 의해 캐빈 내측에 형성되는 코너부에 있어서의 간극 부분이며, 프론트 운전 패널(31)의 좌측 코너부(31K)의 외측에 위치하는 간극 부분을 폐쇄하는 삼각 형상의 덮개(80)를, 전방벽(22)을 구성하는 하방 전방벽 프레임부(22b)와 좌측 횡벽(23)을 구성하는 하방 좌측 횡프레임부에 지지되는 상태로 설치하여, 간극 부분에 대한 방진을 덮개(80)에 의해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 4, is a gap portion in the corner portion formed inside the cabin by the front wall 22 and the left lateral wall 23 of the driving cabin 20, A lid 80 of a triangular shape that closes a gap portion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portion 31K is connected to the lower front wall frame portion 22b constituting the front wall 22 and the lower front wall frame portion 22b constituting the left lateral wall 23 And is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by the transverse frame portion so that dust cover against the gap portion is made by the lid 80. [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캐빈(20)의 좌측 횡벽(23)의 하방에 좌측 횡벽(23)을 따라 위치하는 주행 기체측의 프레임(4b)에 시일 부재(78)를 유지시켜, 이 시일 부재(78)에 의해 좌측 횡벽(23)과 프레임(4b) 사이의 시일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The seal member 78 is held in the frame 4b on the side of the running vehicle located along the left lateral wall 23 below the left lateral wall 23 of the driving cabin 20, And the sealing member 78 seals between the left lateral wall 23 and the frame 4b.

운전 캐빈(20)을 전방벽(22)의 하단부(22d)가 프론트 운전 패널(31)의 상단부(31a)의 전방에 겹쳐지는 상태로 조립 장착하도록, 또한 운전 캐빈(20)의 전방벽(22)과 프론트 운전 패널(31)의 간극을 프론트 커버(70)에 의해 덮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 캐빈(20)을 설치하는 기종에 프론트 운전 패널(31)을 구성하도록 장비하는 주 운전 패널(50)이, 운전 캐빈(20)을 설치하지 않는 기종에 부 운전 패널(51)을 구비하지 않고 프론트 운전 패널(31)을 구성하도록 장비하는 것과 공용의 것으로 되어 있다.The operation cabin 20 is mounted on the front wall 22 of the operation cabin 20 so that the lower end portion 22d of the front wall 22 is assembled and mounted on the front of the upper end portion 31a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And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are covered with the front cover 70 so as to constitute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in the equipment on which the operation cabin 20 is installed, Is equipotential to equip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without having the auxiliary operation panel 51 in a model in which the driving cabin 20 is not installed.

도 9는 운전 캐빈(20)이 설치되지 않는 기종에 있어서의 운전부 및 원동부(3)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운전 캐빈(20)이 설치되지 않는 기종에 있어서의 운전부 및 원동부(3)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운전 캐빈(20)이 설치되지 않는 기종에 있어서의 운전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캐빈(20)을 설치하는 기종에 장비해야 할 주 운전 패널(50)은, 운전 캐빈(20)을 설치하지 않는 기종에 대해서는 부 운전 패널(51)을 구비하지 않는 단독의 상태로 장비되어, 운전 캐빈(20)을 설치하지 않는 기종에 있어서의 프론트 운전 패널(31)의 전체를 구성한다.Fig. 9 is a side view showing the driv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3 in a model in which the driving cabin 20 is not installed. 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a driving part and a driving part 3 of a model in which the driving cabin 20 is not installed. Fig. 1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on section of a model in which the operation cabin 20 is not installed.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main operation panel 50 to be equipped in a model for installing the driving cabin 20 is provided with a sub-operation panel 51 for a model in which the driving cabin 20 is not installed So that the whole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of the model in which the driving cabin 20 is not installed is constituted.

또한, 운전 캐빈(20)이 설치되지 않는 기종의 경우, 에어 클리너실이 형성되지 않아, 에어 클리너(17)가 엔진 보닛(11)의 후단부 상의 운전 좌석(30)의 후방에 위치하는 개소에 노출 상태로 설치되어, 프리 에어 클리너(18)와 에어 클리너(17)를 연통시키는 흡기관(19)이 에어 클리너(17)로부터 기체 상부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기립 설치된다. 또한, 프론트 운전 패널(31)의 횡측부에 설치된 고정 핸들(81)에 방향 지시기(54)가 장착된다.In the case of a model without the operation cabin 20, an air cleaner chamber is not formed, and the air cleaner 17 is located at a position behind the operation seat 30 on the rear end of the engine bonnet 11 An intake tube 19 which is installed in an exposed state and communicates with the pre-air cleaner 18 and the air cleaner 17 is installed upright from the air cleaner 17 in a straight line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Further, a direction indicator 54 is mounted on a fixed handle 81 provid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다른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s]

도 12는 제1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의 시일 수단을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제1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콤바인에서는, 운전 캐빈(20)의 전방벽(22)의 하단부(22d)로부터 프론트 커버(70)를 기체 하부 방향으로 연장하고, 프론트 커버(70)의 프론트 운전 패널(31)의 전방면(F)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연장 단부에 시일 부재(77)를 장착하고 있다. 시일 부재(77)는, 프론트 커버(70)가 구비하는 탄성 조작력에 의해 프론트 운전 패널(31)의 전방면(F)에 압박 접촉되어, 프론트 커버(70)와 프론트 운전 패널(31) 사이의 시일을 행한다.12 is a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the sealing means in the combine having the first alternative embodiment. The front cover 70 is extended from the lower end portion 22d of the front wall 22 of the operation cabin 20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base and the front operation panel A seal member 77 is mounted on an extending end portion located near the front face F of the housing 31. The seal member 77 is pressed against the front surface F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by the elastic operation force provided by the front cover 70 and is pressed against the front surface F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Seal.

도 13의 (a)는 제2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의 운전부(20)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3의 (a) 및 도 1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콤바인에서는, 부 운전 패널(51)을 구성하는 우측 분할 전방 종판(32b)의 횡단부측 부분(51E)이 주 운전 패널(50)을 구성하는 좌측 분할 전방 종판(32a)의 횡단부의 후방에 기체 전후 방향으로 겹쳐지는 상태로 주 운전 패널(50)과 부 운전 패널(51)을 기체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구비하여 프론트 운전 패널(31)을 구성하고 있다.13 (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on section 20 in the combine having the second alternative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3A and 13B, in the combine having the second alternative embodiment, the transversely opposite side portions of the right divided bottom front plate 32b constituting the sub-operation panel 51 The main operation panel 50 and the subordinate operation panel 51 are moved in the machine direction (lateral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operation panel 51E overlaps in the gas front-rear direction behind the transverse portion of the left divided front end plate 32a constituting the main operation panel 50 So that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is formed.

운전 캐빈(20)의 전방벽(22)의 하단부(22d)로부터 기체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론트 커버(70)는, 부 운전 패널(51) 및 주 운전 패널(50)의 전방에 위치하여 프론트 운전 패널(31)과 운전 캐빈(20)의 전방벽(22)의 간극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프론트 커버(70)의 기체 횡방향으로의 양단부는, 기체 후방 방향으로 굽힘 성형되어, 프론트 운전 패널(31)의 좌측의 횡종판(33) 및 우측의 횡종판(34)의 측방으로 돌아 들어가 있다.The front cover 70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portion 22d of the front wall 22 of the operation cabin 20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gas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auxiliary operation panel 51 and the main operation panel 50, Is provided so as to cover the gap between the panel (31) and the front wall (22) of the operation cabin (20). Both end portions of the front cover 70 in the gas transverse direction are bent in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base so as to turn to the sides of the transverse vertical plate 33 on the left side and the transverse vertical plate 34 on the left side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

프론트 운전 패널(31)과 운전 캐빈(20)의 전방벽(22) 사이에 대한 시일 부재(75)가 프론트 커버(70)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다.A seal member 75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and the front wall 22 of the operation cabin 20 on the back side of the front cover 70.

〔다른 실시예〕[Other Embodiments]

(1)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운전 패널(31)을 주 운전 패널(50)과 부 운전 패널(51)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프론트 운전 패널(31)을 하나의 구조체로 구성하여 실시해도 된다. (1)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main operation panel 50 and the sub-operation panel 51, but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can be structured as one structure .

(2)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운전 패널(31)에 설치하는 조작구(40)를 요동 레버식으로 구성하고, 또한 예취부(5)의 승강 조작 및 주행 기체의 조향 조작을 행하는 구성으로 한 예를 나타냈지만, 회전식 등 요동식과 다른 조작 구성으로 하여 실시해도 되고, 또한 예취부(5)의 승강 조작과 주행 기체의 조향 조작 중 어느 한쪽만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 실시해도 된다. 예취부(5)의 승강 조작을 행하는 조작구와, 주행 기체의 조향 조작을 행하는 조작구를 따로따로 설치하여 실시해도 된다.(2)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pening 40 provided on the front operation panel 31 is constituted by a swing lever type, and the elevating operation of the preloading section 5 and the steering operation of the traveling gas are perform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may be implemented with a different operating structure from that of the rotary type oscillation type, or only one of the elevating operation of the preload portion 5 and the steering operation of the traveling gas may be performed. It is also possible to separately provide an operation port for perform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preloading section 5 and an operation port for performing the steering operation of the traveling gas.

(3)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커버(70)를 합성 수지재로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철이나 알루미늄 합금재 등 각종 소재로 구성하여 실시해도 된다.(3)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ront cover 7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but it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iron or an aluminum alloy material.

(4)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시일 부재(75)를 유지하는 시일 유지 부재(28)를 운전 캐빈(20)의 전방벽측에 구비한 예를 나타냈지만, 시일 유지 부재(28)를 프론트 운전 패널측에 구비하여 실시해도 된다.(4)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eal holding member 28 holding the seal member 75 is provided on the front wall side of the operation cabin 20. However, the seal holding member 28 may be provided in the front operation It may be provided on the panel side.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일례로서,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탑승 운전부 구조를, 콤바인의 일례인 자탈형 콤바인에 적용한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s an example of an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structure of a ride operation part of a 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prung type combine, which is an example of a combin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 예시하는 자탈형 콤바인은, 주행 기체(201)의 전방부 우측 개소에 탑승 운전부(202)를 형성하고 있다. 주행 기체(201)의 좌측 전단부에는, 기체의 주행에 수반하여 수확 대상인 미예취 곡물대를 예취하여 좌측 후방으로 반송하는 예취 반송 장치(203)를, 그 좌측 전단부로부터 기체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상태로 승강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주행 기체(201)의 좌반부에는, 예취 반송 장치(203)로부터 우측 쓰러짐 자세로 공급되는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끼움 지지 반송하여 이삭끝측으로 훑기 처리를 실시하고, 훑기 처리에 의해 얻은 처리물에 선별 처리를 실시하는 탈곡 장치(204)를 탑재하고 있다. 탈곡 장치(204)의 후단부에는, 탈곡 처리 후의 예취 곡물대인 배출 짚의 기기 밖으로의 세단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배출 짚 세단 장치(205)를 연결하고 있다. 주행 기체(201)의 후방부 우측 개소에는, 탈곡 장치(204)에서의 훑기 처리 및 선별 처리에 의해 얻은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206)를 탑재하고 있다. 곡립 탱크(206)에는, 곡립 탱크(206)에 저류된 곡립의 기기 밖으로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스크류 반송식 곡립 배출 장치(207)를 장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14 and 15, the demoulding type combine exemplified in this embodiment forms a boarding operation section 202 at a front right side portion of the traveling base 201. Fig. The left front end portion of the traveling base 201 is provided with a cut-off conveying device 203 for taking the uncut ground bar as an object to be harvested following the running of the gas and transporting it backward to the left, So that it can be lifted and lowered. The lower half of the running vehicle 201 is sandwiched and carried from the cut waste conveying apparatus 203 to the bottom end of the cut waste grain fed in the right collapsing posture and subjected to a glazing treatment, And a threshing device 204 for carrying out a sorting process. At the rear end of the threshing device 204, there is connected an exhaust straw shedding device 205 which allows the discharged straw to be discharged out of the apparatus after the threshing process. A curling tank 206 for storing the curl obtained by the scouring process and the sorting process in the threshing device 204 is mounted on the rear right portion of the traveling base 201. [ The graining tank 206 is equipped with a screw conveying type grain discharging device 207 which allows the grains stored in the graining tank 206 to be discharged out of the apparatus.

주행 기체(201)는, 각파이프 등의 각종 강재를 조립 장착하여 격자 형상으로 형성한 기체 프레임(208)을 구비하고, 이 기체 프레임(208)의 전방부 우측 개소에 엔진(209) 및 라디에이터(210) 등을 탑재하고, 기체 프레임(208)의 하부에 좌우 한 쌍의 크롤러(211)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엔진(209)으로부터의 동력을, 좌우의 크롤러(211), 예취 반송 장치(203), 탈곡 장치(204), 배출 짚 세단 장치(205) 및 곡립 배출 장치(207) 등에 전달하는 전동계(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하고 있다.The traveling base 201 is provided with a base frame 208 formed in a lattice shape by assembling various steel materials such as pipes and the like. The engine 209 and the radiator 210 and the like,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crawlers 211 are disposed below the base frame 208. [ The electric power from the engine 209 is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crawlers 211, the cut waste conveyor 203, the trolley unit 204, the discharge straw crawler unit 205 and the curved discharge unit 207, (Not shown) and the like.

도 14 내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 운전부(202)는, 주행 기체(201)의 전방부 우측 개소에, 차속 및 엔진 회전수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212), 예취 반송 장치(203)의 승강 조작 및 좌우의 크롤러(211)의 차동에 의한 선회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십자(十字) 요동식 조종 레버(213), 전동계에 구비한 주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변속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주 변속 레버(214), 전동계에 구비한 부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변속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부 변속 레버(215) 및 운전 좌석(216) 등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14 to 22, the riding operation section 202 is provided with a display panel 212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vehicle speed and the engine speed and the like on the front right side portion of the running vehicle 201, A cruciform pivoting control lever 213 for allowing the conveying device 203 to perform a lifting operation and a pivoting operation by differential of the left and right crawlers 211, a main speed changing device (not shown) A main shift lever 214 that allows a shifting operation of a shift lever (not shown) provided in a transmission system, an operating seat 216, and the like Respectively.

표시 패널(212) 및 조종 레버(213)는, 탑승 운전부(202)의 전단부에 기립 설치된 프론트 패널(217)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프론트 패널(217)은, 각파이프 등의 각종 강재를 조립 장착하여 형성한 프론트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판금제의 장식 패널(218) 등을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display panel 212 and the steering lever 213 ar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anel 217 that is installed o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boarding operation portion 202. The front panel 217 is constituted by connecting a decorative panel 218 made of sheet metal or the like to a front frame (not shown) formed by assembling various steel materials such as pipes.

주 변속 레버(214) 및 부 변속 레버(215)는, 탑승 운전부(202)의 좌측 단부에 기립 설치된 사이드 패널(219)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219)은, 각파이프 등의 각종 강재를 조립 장착하여 형성한 사이드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판금제의 장식 패널(220) 등을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main speed change lever 214 and the auxiliary shift lever 215 ar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panel 219 that is installed on the left end portion of the boarding operation portion 202. [ The side panel 219 is constituted by connecting a decorative panel 220 made of sheet metal or the like to a side frame (not shown) formed by assembling and mounting various kinds of steel such as pipes.

운전 좌석(216)은, 탑승 운전부(202)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있고, 운전 좌석(216)의 후방 하방에 배치한 엔진(209) 및 라디에이터(210) 등을 덮도록 탑승 운전부(202)의 후방 하부에 배치한 엔진 커버(221)에 슬라이드 기구(222)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프론트 패널(217)과 사이드 패널(219)과 엔진 커버(221)로 둘러싸인 탑승 운전부(202)의 플로어 영역에 탑승 스텝(223)을 부설하고 있다.The driving seat 216 is dispos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riding operation section 202 and is provided with a riding operation section 202 to cover the engine 209 and the radiator 210, Rear direction of the engine cover 221 through a slide mechanism 222. The engine cover 221 is mounted on the engine cover 221 at a rear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A boarding step 223 is laid in the floor area of the boarding operation unit 202 surrounded by the front panel 217, the side panel 219 and the engine cover 221.

도 14 내지 도 17 및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 커버(221)는, 엔진(209) 및 라디에이터(210) 등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커버부(224), 엔진(209) 및 라디에이터(210) 등의 상방에 위치하여 운전 좌석(216)을 지지하는 상부 커버부(225) 및 엔진(209) 및 라디에이터(210) 등의 우측방에 위치하여 엔진 커버(221)의 횡외측면을 형성하는 횡커버부(226) 등을, 엔진(209) 및 라디에이터(210) 등을 수납하는 공간을 갖는 상태로 연결하여, 엔진(209) 및 라디에이터(210) 등을 덮도록 구성하고 있다. 횡커버부(226)에는, 엔진(209)에 구비한 냉각 팬(227)의 흡인 작용에 의한 엔진 커버 내로의 외기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는 흡기구(228)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흡기구(228)로부터 엔진 커버 내로의 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진망(229)을 장비하고 있다.14 to 17 and Figs. 19 to 21, the engine cover 221 includes a front cover portion 224, a front cover portion 224, an engine 209, and the like, which are positioned in front of the engine 209 and the radiator 210, And an upper cover portion 225 which is positioned above the radiator 210 and supports the driver's seat 216 and an upper cover portion 225 which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engine 209 and the radiator 210, And the transversal cover portion 226 that forms the engine 209 and the radiator 210 so as to cover the engine 209 and the radiator 210 and the like. An air inlet 228 is formed in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226 to enable introduction of outside air into the engine cover by the suction action of the cooling fan 227 provided in the engine 209. In addition, a dust-absorbing net 229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dust such as straw dust into the engine cover from the intake port 228 is provided.

도 14 내지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탑승 운전부(202)에는 탑승 공간을 형성하는 캐빈(230)을 착탈 가능하게 장비하고 있다. 캐빈(230)은, 각파이프 등의 각종 강재를 조립 장착하여 형성한 캐빈 프레임(231)에, 프론트 패널(217)의 상방에 위치하는 프론트 글래스(232), 사이드 패널(219)의 상방에 위치하는 좌우 슬라이드 개폐식 사이드 글래스(233), 엔진(209) 등의 상방에 위치하는 리어 글래스(234) 및 공조 유닛(도시하지 않음) 등을 장비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루프 패널(235)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캐빈 프레임(231)을, 프론트 패널(217), 사이드 패널(219) 및 기체 프레임(208)에 있어서의 탑승 운전부(202)의 후방부 개소에 기립 설치한 지지 프레임(236) 등에 볼트 연결하여 고정하고 있다. 또한, 캐빈 프레임(231)과 프론트 패널(217) 또는 사이드 패널(219)의 사이 등에는 시일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개재 장착하여 방수 처리를 실시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14 to 22, a cabin 230 for forming a boarding space is detachably mounted in the boarding operation unit 202. Fig. The cabin 230 includes a front glass 232 positioned above the front panel 217 and a front glass 232 positioned above the side panel 219 in a cabin frame 231 formed by assembling various steel materials such as pipes, And a roof panel 235 having an inner space equipped with an air conditioning unit (not shown) and the like, a rear slide 233 positioned above the left and right slide open / close slide glasses 233, a rear glass 234 positioned above the engine 209, . The cabin frame 231 is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236 and the like secur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217, the side panel 219 and the base frame 208, . A seal member (not shown) is interposed between the cabin frame 231 and the front panel 217 or between the side panels 219 to perform a waterproof treatment.

지지 프레임(236)은, 각파이프 등의 각종 강재를 조립 장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236)에는, 엔진(209) 등의 후방에 위치하여 엔진 커버(221)와 함께 엔진(209) 등을 덮는 후방부 커버(237)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프레임(236)의 상부이며 운전 좌석(216)의 후방에는, 엔진(209)에 공급하는 외기를 여과하는 에어 클리너(238) 등을 배치하고 있다. 에어 클리너(238)에는, 진애가 적은 기체 우측 상방의 외기를 도입하기 위해 루프 패널(235)의 우측 후단부에 장착한 프리 클리너(239)를 흡기 호스(240)를 통해 접속하고 있다. 운전 좌석(216)과 에어 클리너(238) 사이에는, 에어 클리너(238) 등을 배치하는 운전 좌석(216)의 후방의 공간과 탑승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241)을 구비하고 있다.The support frame 236 is constructed by assembling and mounting various kinds of steel such as pipes. The support frame 236 is provided with a rear cover 237 which is located behind the engine 209 and covers the engine 209 and the like together with the engine cover 221. An air cleaner 238 and the like for filtering outside air to be supplied to the engine 209 and the like ar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driving seat 216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236. The air cleaner 238 is connected to the pre-cleaner 239 attached to the right rear end of the roof panel 235 via the air intake hose 240 to introduce outside air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airframe with less dust. Between the driver's seat 216 and the air cleaner 238 is provided a partition plate 241 for partitioning the space behind the driver's seat 216 on which the air cleaner 238 and the like are arranged and the boarding space.

도 14 내지 도 17, 도 19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탑승 운전부(202)의 우측 단부에는, 승강구(243)를 개폐하는 도어(244) 및 승강구(243)를 형성하는 동시에 도어(244)의 외주연부(244A)를 수용하는 도어 수용 프레임(245) 등이 배치되어 있다.A door 244 and a door 24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243 are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boarding operation section 202 and at the same time the doors 241, A door receiving frame 245 for accommodating the outer peripheral edge 244A of the frame 244, and the like are disposed.

도어(244)는 그 외주연부(244A)를 형성하는 금속제의 도어 프레임(246)에, 그 프레임 내를 개구 면적이 큰 전방측 영역과 개구 면적이 작은 후방측 영역으로 구획하는 금속제의 구획 부재(247)를 수직 자세로 고정 장비하고 있다. 그리고 전방측 영역의 하부측에, 투명한 평면 글래스로 이루어지는 제1 도어 패널(248)을 고정 장비하고, 전방측 영역의 상부측에, 투명한 평면 글래스로 이루어지는 제2 도어 패널(249)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개폐 가능하게 장비하고, 후방측 영역에 판금제의 제3 도어 패널(250)을 용접하고 있다.The door 244 is formed in a metal door frame 246 which forms the outer peripheral edge 244A of the frame 244 so as to be divided into a front side area having a large opening area and a rear side area having a small opening area 247) in a vertical posture. A first door panel 248 made of a transparent flat glass is fixedly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ide region and a second door panel 249 made of a transparent flat glass is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side regio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third door panel 250 made of sheet metal is welded to the rear region.

도어 프레임(246)은, 승강구(243)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캐빈 프레임(231)에 있어서의 우측 전방측 지지 기둥(251)의 상단부와 우측 후방측 지지 기둥(252)의 상단부에 걸치는 상태로 되는 도어(244)의 상부 테두리 부분(244a)을 형성하는 수평 자세의 상부 테두리 부재(253), 폐쇄 위치에 있어서 캐빈(230)의 루프 패널(235)과 탑승 운전부(202)의 탑승 스텝(223)에 걸치는 상태로 되는 도어(244)의 전방 테두리 부분(244b)을 형성하는 수직 자세의 전방 테두리 부재(254), 폐쇄 위치에 있어서 탑승 스텝(223)의 우측 단부(223A)를 따라 우측 전방측 지지 기둥(251)과 엔진 커버(221)의 횡커버부(226)에 걸치는 상태로 되는 도어(244)의 하부 테두리 부분(244c)을 형성하는 수평 자세의 하부 테두리 부재(255), 폐쇄 위치에 있어서 우측 후방측 지지 기둥(252)을 따라 루프 패널(235)과 엔진 커버(221)의 횡커버부(226)에 걸치는 상태로 되는 도어(244)의 상측 후방 테두리 부분(244d)을 형성하는 수직 자세의 후방 상부 테두리 부재(256) 및 폐쇄 위치에 있어서 탑승 스텝(223)에 있어서의 우측 단부(223A)의 후단부와 우측 후방측 지지 기둥(252)의 하단부에 걸치는 상태로 되는 도어(244)의 하측 후방 테두리 부분(244e)을 형성하는 후방 경사 자세의 후방 하부 테두리 부재(257)를 용접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door frame 246 is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right front side support pillar 251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right rear side support pillar 252 in the cabin frame 231 at the closed position for closing the door 243 The roof panel 235 of the cabin 230 and the boarding operation section 202 of the cabin operation section 202 at the closed position form the upper frame section 244a of the door 244, Along the right edge 223A of the boarding step 223 in the closed position, which forms a front edge portion 244b of the door 244 that is in a state of extending over the right edge 223 of the door 244, A lower frame member 255 in a horizontal posture for forming a lower frame portion 244c of the door 244 to be engaged with the front side support pillars 251 and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226 of the engine cover 221, The roof panel 235 and the right rear support post 252 A rear upper frame member 256 in a vertical posture for forming an upper rear frame portion 244d of the door 244 in a state of hanging over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226 of the transparent cover 221, Rear rear edge portion 244e of the door 244 which is in a state of hanging from the rear end portion of the right side end portion 223A of the right rear side support pillar 252 and the lower rear side support portion 254 of the right rear side support pillar 252, And a frame member 257 is welded.

도어 수용 프레임(245)은, 도어(244)의 상부 테두리 부분(244a)을 수용하도록 우측 전방측 지지 기둥(251)의 상단부와 우측 후방측 지지 기둥(252)의 상단부의 사이에 수평 자세로 형성한 상측 도어 수용부(245a), 도어(244)의 전방 테두리 부분(244b)을 수용하도록 루프 패널(235)과 탑승 스텝(223)에 걸쳐 수직 자세로 형성한 전방측 도어 수용부(245b), 도어(244)의 하부 테두리 부분(244c)을 수용하도록 우측 전방측 지지 기둥(251)과 엔진 커버(221)의 횡커버부(226)의 사이에 수평 자세로 형성한 하측 도어 수용부(245c), 도어(244)의 상측 후방 테두리 부분(244d)을 수용하도록 루프 패널(235)과 엔진 커버(221)의 횡커버부(226)에 걸쳐 수직 자세로 형성한 후방 상측 도어 수용부(245d) 및 도어(244)의 하측 후방 테두리 부분(244e)을 수용하도록 탑승 스텝(223)에 있어서의 우측 단부(223A)의 후단부와 우측 후방측 지지 기둥(252)의 하단부의 사이에 후방 경사 자세로 형성한 후방 하측 도어 수용부(245e)를 구비하고 있다.The door receiving frame 245 is formed in a horizontal postur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right front side support pillar 251 and the upper end of the right rear side support pillar 252 to receive the upper rim portion 244a of the door 244 A front door receiving portion 245b formed in a vertical posture over the roof panel 235 and the boarding step 223 to receive an upper door receiving portion 245a and a front edge portion 244b of the door 244, A lower door receiving portion 245c formed in a horizontal posture between the right front side support pillar 251 and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226 of the engine cover 221 to receive the lower rim portion 244c of the door 244, A rear upper door receiving portion 245d formed in a vertical posture across the roof panel 235 and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226 of the engine cover 221 to receive the upper rear edge portion 244d of the door 244, The right rear end portion 223A of the boarding step 223 to receive the lower rear rim portion 244e of the door 244, And a rear end and a rearward inclined posture formed in a lower door receiving portion (245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right rear side of the support columns 252. The

상측 도어 수용부(245a)는, 루프 패널(235)의 우측부를 지지하는 캐빈 프레임(231)의 우측 상부 지지 부재(258)에 연결한 상측 도어 수용 부재(259)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측 도어 수용부(245b)는, 우측 전방측 지지 기둥(251)의 후방부에 그 후방부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걸쳐 상하향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하측 도어 수용부(245c)는 탑승 스텝(223)의 우측 단부(223A)로 형성되어 있다. 후방 상측 도어 수용부(245d)는, 우측 후방측 지지 기둥(252)의 전방부와, 이 우측 후방측 지지 기둥(252)에 대한 연결용으로서 엔진 커버(221)에 있어서의 횡커버부(226)의 전방 측부 테두리부(226A)에 기립 설치한 연결 부재(260)의 전방부에, 우측 후방측 지지 기둥(252)의 상단부와 연결 부재(260)의 하단부에 걸치는 상태에서 상하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방 하측 도어 수용부(245e)는, 엔진 커버(221)에 있어서의 횡커버부(226)의 전방 측부 테두리부(226A)가 L자형 강재로 이루어지는 후방 하측 도어 수용 부재(261)를 볼트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door receiving portion 245a is formed by an upper door receiving member 259 connected to the right upper support member 258 of the cabin frame 231 supporting the right side portion of the roof panel 235. [ The front side door receiving portion 245b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ar portion of the right front side support pillar 251 up and down over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ear portion thereof. The lower door receiving portion 245c is formed by the right end portion 223A of the boarding step 223. The rear upper door receiving portion 245d is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right rear side support pillar 252 and the lateral side cover portion 226 of the engine cover 221 for connection to the right rear side support pillar 252. [ The upper end of the right rear support pillar 252 and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member 260 are formed in the front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260 standing upright on the front side edge part 226A of the connecting member 260 . The rear lower door receiving portion 245e is formed such that the front side edge portion 226A of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226 of the engine cover 221 is bolted to the rear lower door receiving member 261 made of the L- Respectively.

즉, 도어 수용 프레임(245)은, 상측 도어 수용부(245a)를 형성하는 상측 도어 수용 부재(259), 전방측 도어 수용부(245b)를 형성하는 우측 전방측 지지 기둥(251), 하측 도어 수용부(245c)를 형성하는 탑승 스텝(223), 후방 상측 도어 수용부(245d)를 형성하는 우측 후방측 지지 기둥(252)과 연결 부재(260) 및 후방 하측 도어 수용부(245e)를 형성하는 후방 하측 도어 수용 부재(26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 도어 수용 부재(259)와 우측 전방측 지지 기둥(251)과 우측 후방측 지지 기둥(252)을 구비하는 캐빈 프레임(231), 탑승 스텝(223) 및 연결 부재(260)와 후방 하측 도어 수용 부재(261)를 구비하는 엔진 커버(221)의 횡커버부(226)가, 각각 도어 수용 프레임(245)의 일부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at is, the door receiving frame 245 includes the upper door receiving member 259 forming the upper door receiving portion 245a, the right front side support pillars 251 forming the front door receiving portion 245b, A riding step 223 for forming a receiving portion 245c and a right rear side support pillar 252 forming a rear upper door receiving portion 245d and a connecting member 260 and a rear lower door receiving portion 245e are formed And a rear lower-side door receiving member 261 for receiving the rear-side door. The cabin frame 231, the boarding step 223 and the connecting member 260 having the upper door receiving member 259, the right front side support pillars 251 and the right rear side support pillars 252 and the rear lower door The transverse cover portions 226 of the engine cover 221 having the housing member 261 are configured to function as a part of the door receiving frame 245, respectively.

도 14, 도 16, 도 17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244)는, 그 상부측인 상반부가 하부측인 하반부보다도 전후 폭이 넓어지도록 도어(244)의 상측 후방 테두리 부분(244d)이 도어(244)의 하측 후방 테두리 부분(244e)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 수용 프레임(245)은, 승강구(243)의 상부측인 상반부가 하부측인 하반부보다도 전후 폭이 넓어지도록 도어 수용 프레임(245)의 상측 후방 테두리 부분인 후방 상측 도어 수용부(245d)가 도어 수용 프레임(245)의 하측 후방 테두리 부분인 후방 하측 도어 수용부(245e)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244)의 하측 후방 테두리 부분(244e), 도어 수용 프레임(245)의 후방 하측 도어 수용부(245e)인 후방 하측 도어 수용 부재(261) 및 엔진 커버(221)의 횡커버부(226)에 있어서의 전방 측부 테두리부(226A)의 도어 수용부 형성 영역(226a)의 각각을 후방 경사 자세의 일직선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14, 16, 17 and 21, the door 244 has an upper rear edge portion 244d (see Fig. 17) of the door 244 so that the upper half, Is located rearward of the lower rear edge portion 244e of the door 244. [ The door receiving frame 245 has a rear upper door receiving portion 245d which is an upper rear edge portion of the door receiving frame 245 so that the upper half of the door 243 is wider than the lower half of the lower half, Rear door receiving portion 245e, which is the lower rear rim portion of the door receiving frame 245, is formed in a rearward position. The rear lower door receiving member 261 which is the rear lower door receiving portion 245e of the door receiving frame 245 and the rear cover member 226 of the engine cover 221 The door receiving portion forming region 226a of the front side edge portion 226A in the front side edge portion 226A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shape with a backward inclined posture.

이에 의해, 승강구(243)에 있어서의 상반부의 개구 면적을 하반부의 개구 면적보다도 크게 할 수 있고, 또한 도어(244)의 하측 후방 테두리 부분(244e), 후방 하측 도어 수용 부재(261) 및 횡커버부(226)의 도어 수용부 형성 영역(226a)의 각각을 도어(244)의 내부측이나 도어 수용 프레임(245)의 내부측으로 팽출하는 만곡 형상이나 굴곡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들을 구비하는 도어(244), 도어 수용 프레임(245) 및 엔진 커버(221)의 횡커버부(226)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면서, 승강구(243)에 있어서의 하반부의 개구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승강구(243)로부터의 승강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The upper rear edge portion 244e of the door 244, the rear lower door receiving member 261, and the transverse cover 242 can be made larger than the opening area of the lower half of the door 244, As compared with the case in which each of the door receiving portion forming areas 226a of the door 226 is formed into a curved shape or a curved shape that bulges toward the inside of the door 244 or the inside of the door receiving frame 245,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opening area of the lower half of the lift door 243 while facilitating the manufacture of the door 244, the door receiving frame 245 and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226 of the engine cover 221, So that it is easy to ascend and descend from the hatch 243.

도 17 내지 도 19,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 커버(221)는, 전방 커버부(224)와 상부 커버부(225)와 횡커버부(226)의 사이에, 그들의 커버부(224 내지 226)가 형성하는 능각을 모따기하는 삼각 형상의 경사면 커버부(262)를, 그 횡커버부측의 단부 테두리가 횡커버부(226)의 전방 측부 테두리부(226A)를 따르는 상태로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어 수용 프레임(245)의 후방 하측 도어 수용부(245e)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엔진 커버(221)의 전단부 상측 개소가, 그 승강구측인 우측 부분에 있어서는, 승강구(243)에 가까워질수록 도어 수용 프레임(245)의 후방 하측 도어 수용부(245e)로부터 전방으로의 돌출량이 감소하게 되어, 승강구(243)로부터의 승강시에 접촉하기 어려워지고, 또한 탑승 공간 내로부터 우측 하방 후방의 외부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때에 시야를 차단하기 어려워지므로, 전방 커버부(224)와 상부 커버부(225)와 횡커버부(226)가 형성하는 능각을 엔진 커버(221)에 남기도록 구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승강구(243)로부터의 승강을 행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우측 하방 후방의 외부 상황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17 to 19, 21 and 22, the engine cover 221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cover portion 224, the upper cover portion 225 and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226, The inclined surface cover portion 262 of triangular shape chamfering the opposed angles formed by the portions 224 to 226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end edge on the side of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follows the front side edge portion 226A of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226 .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engine cover 221 located forward of the rear lower door receiving portion 245e of the door receiving frame 245 is located close to the elevation opening 243 on the right side portion on the side of the elevating door The amount of forward projection from the rear lower door receiving portion 245e of the door receiving frame 245 is reduc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contact the elevator 243 when the elevator 243 is raised or lowered from the elevator door 243, A case where the front cover portion 224, the upper cover portion 225, and the transversal cover portion 226 form an awakening angle is left in the engine cover 221 since it is difficult to block the visual field when checking the external situation with naked eyes It is easier to move up and down from the elevator door 243, and at the same time, the visibility of the outside situation on the lower right rear side can be improved.

도 14, 도 16, 도 17, 도 19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244)는 그 전방 테두리 부분(244b)의 상부를 도어 수용 프레임(245)에 있어서의 전방측 도어 수용부(245b)의 상부에 힌지(263)를 통해 연결하고, 그 전방 테두리 부분(244b)의 하부를 도어 수용 프레임(245)에 있어서의 전방측 도어 수용부(245b)의 하부에 힌지(263)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상하의 힌지(263)에 구비한 상하향의 지지축(263A)을 지지점으로 한 폐쇄 위치로부터 전방으로의 요동 조작에 의해 승강구(243)를 개방하는 전방 개방 요동식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4, 16, 17, 19 and 21,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rim portion 244b of the door 244 is connected to the front door receiving por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rim portion 244b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door receiving portion 245b of the door receiving frame 245 through a hinge 263 And a front opening swinging mechanism for opening the entrance opening 243 by swinging forward from a closed position provided with upper and lower support shafts 263A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hinges 263 as a fulcrum.

또한, 도어(244)의 헐거운 단부측에 있어서의 상측의 힌지(263)와 하측의 힌지(263)의 상하 중간 위치이며 상측 후방 테두리 부분(244d)과 하측 후방 테두리 부분(244e)의 접합 개소의 부근으로 되는 제3 도어 패널(250)의 하부에 도어 로크 기구(264)를 배치하고 있다. 도어 로크 기구(264)에는, 우측 후방측 지지 기둥(252)의 하부에 구비한 ㄷ자 형상의 피결합구(265)에 결합됨으로써 도어(244)를 폐쇄 위치에서 고정하는 고정구로서의 캐쳐(266) 및 캐쳐(266)에 대한 고정 해제 조작과 도어(244)의 개폐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개폐 조작용 도어 핸들(267) 등을 장비하고 있다.The lower hinge 263 and the upper hinge 263 on the loose end side of the door 244 are vertically positioned at the upper and lower intermediate positions of the joining points of the upper rear rim portion 244d and the lower rear rim portion 244e The door lock mechanism 264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hird door panel 250, The door lock mechanism 264 is provided with a catcher 266 as a fastener that is fixed to the door 244 at a closed position by being coupled to a U-shaped engagement hole 265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ight rear support post 252, An opening / closing operation door handle 267 for allowing the catcher 266 to be unlocked and the door 244 to be opened / closed can be provided.

즉, 도어 핸들(267)이 도어(244)의 헐거운 단부측에 있어서의 상측의 힌지(263)와 하측의 힌지(263)의 상하 중간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개폐 조작시의 밸런스가 좋아지므로, 그 상하 중간 위치로부터 상하 어느 한쪽에 치우친 위치에 도어 핸들(267)을 구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도어(244)의 개폐 조작을 행하기 쉬워진다.That is, since the door handle 267 is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intermediate positions between the upper hinge 263 and the lower hinge 263 on the loose end side of the door 244, The door 244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door handle 267 is provided at a position vertically offset from the upper and lower intermediate positions.

또한, 도어(244)의 헐거운 단부측에 있어서 수직 자세의 상측 후방 테두리 부분(244d)과 후방 경사 자세의 하측 후방 테두리 부분(244e)이 접합함으로써 강도가 높아지는 개소에 도어 로크 기구(264)를 배치하므로, 도어 로크 기구(264)에 의한 도어(244)의 폐쇄 위치에서의 고정을 안정성 좋고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The door lock mechanism 264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strength is increased by joining the upper rear edge portion 244d of the vertical posture and the lower rear edge portion 244e of the rear inclined posture on the loose end side of the door 244 The door 244 can be locked at the closed position by the door lock mechanism 264 with good stability and good performance.

또한, 도어(244)에 있어서의 상하의 힌지(263)로부터 가장 이격되어 도어(244)와 도어 수용 프레임(245)의 밀착성이 가장 낮아지는 부위에 도어 로크 기구(264)를 배치하므로, 도어(244)를 폐쇄 위치에서 고정한 상태에서는, 도어(244)의 외주연부(244A)를, 그 외주연부(244A)에 있어서의 도어 수용 프레임측의 측면 부분에 전체 둘레에 걸쳐 장착한 시일 부재(268)를 통해 도어 수용 프레임(245)의 전체 둘레에 걸쳐 대략 균일하게 밀착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도어(244)와 도어 수용 프레임(245)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캐빈(230)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ince the door locking mechanism 264 is disposed at the portion that is most distant from the upper and lower hinges 263 of the door 244 and has the lowest adhesion between the door 244 and the door receiving frame 245, The sealing member 268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door receiving fram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244A over the entire periphery of the door 244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244 is fixed at the closed position The door 244 and the door receiving frame 245 can be closely adhered to each other and the airtightness of the cabin 230 can be improved. .

도 14 내지 도 19 및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빈(230)에 있어서의 승강구(243)의 전방 개소와 후방 개소의 각각에는, 승강시에 사용하는 ㄷ자 형상의 보조 핸들(269, 270)을, 상하향의 자세로 캐빈(230)의 횡외측면으로부터 횡외측을 향해 돌출시키는 상태로 장비하고 있다. 전방측의 보조 핸들(269)은, 캐빈 프레임(231)의 우측 상부 지지 부재(258)와 우측 전방측 지지 기둥(251)의 상하 중간부에 전방 방향으로 구비한 브래킷(271)에 걸쳐 가설되어 있다. 후방측의 보조 핸들(270)은, 캐빈 프레임(231)의 우측 상부 지지 부재(258)와 우측 후방측 지지 기둥(252)의 상하 중간부에 후방 방향으로 구비한 브래킷(272)에 걸쳐 가설되어 있다. 그리고 전후의 보조 핸들(269, 270)은, 그들의 우측 외측 단부가 엔진 커버(221)의 횡커버부(226) 및 도어 핸들(267)의 우측 외측 단부보다도 우측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4 to 19 and Fig. 22, each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elevation opening 243 of the cabin 230 is provided with a C-shaped auxiliary handle 269, 270, In such a manner as to protrude from the lateral outer side surface of the cabin 230 toward the lateral outer side in the upward and downward postures. The auxiliary handle 269 on the front side is laid over the bracket 271 provided in the forward direction in the upper and lower middle portions of the right upper support member 258 and the right front side support post 251 of the cabin frame 231 have. The auxiliary handle 270 on the rear side is laid over the bracket 272 provided in the rear direction at the upper and lower middle portions of the right upper support member 258 and the right rear support pillar 252 of the cabin frame 231 have. The right and left outer end portions of the front and rear auxiliary handles 269 and 270 are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uter side than the right outer side ends of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226 and the door handle 267 of the engine cover 221. [

이에 의해, 승강구(243)로부터의 승강을 행하기 쉽게 하면서도, 논둑 근처에서의 주행시 등에 있어서, 엔진 커버(221)의 횡커버부(226) 및 도어 핸들(267) 등에 논둑 근처의 입목 등의 다른 물건이 접촉하는 것을 전후의 보조 핸들(269, 270)에 의해 방지할 수 있어, 엔진 커버(221)의 횡커버부(226) 및 도어 핸들(267) 등의 다른 물건과의 접촉에 기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asily lift and lower the vehicle from the lift door 243, and to move the door handle 267 to the side cover portion 226 and the door handle 267 of the engine cover 22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rticle from being contacted by the front and rear auxiliary handles 269 and 270 and to prevent damage due to contact with other objects such as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226 and the door handle 267 of the engine cover 221 Can be prevented.

또한, 도 14 내지 도 19,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부호 273은, 프론트 패널(217)의 우측 단부와 우측 전방측 지지 기둥(251)의 하부측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폐색하기 위해 프론트 패널(217)의 우측 단부와 우측 전방측 지지 기둥(251)의 하부측에 걸쳐 착탈 가능하게 가설한 보조 커버이며, 이 보조 커버(273)를, 캐빈(230) 등과 함께 떼어냄으로써, 캐빈(230)을 장비하는 사양으로부터 캐빈(230)을 장비하지 않는 사양으로 용이하게 사양 변경할 수 있다.Reference numerals 273 shown in Figs. 14 to 19, Figs. 21, and 22 are front panels 217 for closing the gap formed between the right side end of the front panel 217 and the lower side of the right front side support pillar 251, The auxiliary cover 273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right side end portion of the panel 217 and the lower side of the right front side support pillar 251. The auxiliary cover 273 is detached together with the cabin 230, The cabin 230 can be easily changed to a specification not equipped with the cabin 230.

도 16 내지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 커버(221)는 횡커버부(226)의 하단부를 기체 프레임(208)의 우측 단부에 전후 방향의 지지축(274)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전후 방향의 지지축(274)을 지지점으로 한 운전 좌석(216)과의 일체 요동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후 방향의 지지축(274)을 지지점으로 한 엔진 커버(221)의 요동 조작을 허용하기 위해, 운전 좌석 후방의 구획판(241)은, 엔진 커버(221)의 상부 커버부(225)에 고정한 하부 구획판(241A)과, 캐빈 프레임(231)에 고정한 상부 구획판(241B)으로 이루어지는 2분할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하부 구획판(241A) 및 상부 구획판(241B)은 하부 구획판(241A)의 상단부 테두리 및 상부 구획판(241B)의 하단부 테두리의 각각이 우측 상향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 수용 프레임(245)은 상측 후방 테두리 부분(244d)이 운전 좌석(216)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6 to 22, the engine cover 221 connects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226 to the right end portion of the base frame 208 through the support shaft 274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the driving seat 216 having the support shaft 274 as a fulcrum. The partition plate 241 at the rear of the driver's seat is attached to the upper cover portion 225 of the engine cover 221 in order to allow the swing operation of the engine cover 221 with the support shaft 274 in the front- The lower partition plate 241A and the upper partition plate 241B fixed to the cabin frame 231 are constituted by a lower partition plate 241A and an upper partition plate 241B, 241A and the lower end edge of the upper partition plate 241B are formed to be inclined rightward upward. The door receiving frame 245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rear edge portion 244d is located behind the rear end of the driving seat 216. [

한편, 엔진 커버(221)에 있어서의 상부 커버부(225)의 좌측 단부에는, 상부 커버부(225)의 좌측 단부를 지지하는 사이드 패널(219)에 구비한 후크 금속 부재(275)와의 결합에 의해 전후 방향의 지지축(274)을 지지점으로 한 엔진 커버(221)의 요동 조작을 저지하는 버클식 고정구(27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엔진 커버(221)의 횡커버부(226)에 구비한 연결 부재(260)는 각파이프 강재로 이루어지고, 그 좌측부에는, 노브가 구비된 볼트(277)에 의한 우측 후방측 지지 기둥(252)의 하단부와의 나사 결합 고정에 의해, 전후 방향의 지지축(274)을 지지점으로 한 엔진 커버(221)의 요동 조작을 저지하는 동시에, 엔진 커버(221)를 통한 우측 후방측 지지 기둥(252)의 지지를 가능하게 하는 나사 결합부(260A)를 구비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left end portion of the upper cover portion 225 of the engine cover 221, on the side of the side panel 219 supporting the left end portion of the upper cover portion 225, And a buckle-type fastener 276 for blocking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engine cover 221 with the support shaft 274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s a fulcrum. The connecting member 260 provided on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226 of the engine cover 221 is made of steel pipe and the bolt 277 provided with the knob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thereof. 252 are prevented from pivoting operation of the engine cover 221 with the support shaft 274 as a fulcrum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right rear support pillars And a screw-engaging portion 260A for supporting the support portion 260A.

상기한 구성으로부터, 도어(244)를 폐쇄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요동 조작한 후, 버클식 고정구(276)에 의한 고정을 해제하여, 노브가 구비된 볼트(277)에 의한 나사 결합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엔진 커버(221) 및 운전 좌석(216)의 전후 방향의 지지축(274)을 지지점으로 한 일체 요동 조작이 가능해지고, 이 요동 조작을 행하면, 엔진 커버(221)와 함께 엔진 커버(221)의 횡커버부(226)에 구비한 후방 하측 도어 수용 부재(261)가 도어 수용 프레임(245)의 일부로서 기능하는 도어 수용 프레임 형성 개소로부터 주행 기체(201)의 우측 외측으로 이동하여 운전 좌석(216)의 탑승 공간 밖으로의 이동을 허용하게 되고, 이에 의해, 엔진 커버(221) 및 운전 좌석(216)을, 엔진 커버(221)가 엔진(209) 및 라디에이터(210) 등을 덮는 상태로 되어 운전 좌석(216)이 착좌 자세에서 탑승 공간 내에 위치하는 탑승 운전 위치와, 엔진 커버(221) 및 운전 좌석(216)이 주행 기체(201)의 횡외측으로 넘어가 엔진(209) 및 라디에이터(210) 등을 개방하는 메인터넌스 위치에 걸쳐 요동 변위시킬 수 있다.The door 244 is pivoted forward from the closed position and the fixing by the buckle fixing member 276 is released so that the screw fixing by the bolt 277 provided with the knob is released,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integral swing operation using the engine cover 221 and the support shaft 274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driving seat 216 as fulcrum. The rear lower door receiving member 261 provided on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226 moves from the door receiving frame forming portion functioning as a part of the door receiving frame 245 to the outside of the right side of the traveling vehicle 201, The engine cover 221 and the driver's seat 216 are moved to a state in which the engine cover 221 covers the engine 209 and the radiator 210 and the like, When the seat 216 is in the seating position And the engine cover (221) and the driver's seat (216) are moved transversely outward of the traveling base (201) to swing over the maintenance position where the engine (209) and the radiator (210) have.

즉, 엔진 커버(221)로 덮인 엔진(209) 및 라디에이터(210) 등에 대한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경우에는, 캐빈(230)을 떼어내지 않아도, 도어(244)를 개방하여 버클식 고정구(276) 및 노브가 구비된 볼트(277)를 조작함으로써, 엔진 커버를 탑승 운전 위치로부터 메인터넌스 위치로 요동 변위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엔진 커버를 메인터넌스 위치로 요동 변위시킴으로써, 엔진(209) 및 라디에이터(210) 등을 개방할 수 있어, 엔진(209) 및 라디에이터(210) 등에 대한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performing maintenance on the engine 209 and the radiator 210 covered with the engine cover 221, the door 244 is opened without removing the cabin 230 and the buckle fastener 276 and the knob It is possible to swing the engine cover from the riding operation position to the maintenance position by swinging the engine cover to the maintenance position by operating the bolt 277 provided with the engine 209 and the radiator 210, So that maintenance for the engine 209, the radiator 210 and the like can be easily performed.

〔다른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s]

〔1〕콤바인으로서는, 주행 기체(201)의 좌측 개소에 탑승 운전부(202) 및 캐빈(230) 등을 구비하고, 탑승 운전부(202)의 좌측 단부에 도어(244) 및 도어 수용 프레임(245) 등을 배치하고, 엔진 커버(221)에 엔진 커버(221)의 좌측 외측면을 형성하는 횡커버부(226)를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1) The combine is provided with a boarding operation unit 202 and a cabin 230 on the left side of the running vehicle 201 and a door 244 and a door receiving frame 242 on the left end of the boarding operation unit 202 And a transverse cover portion 226 for forming the left outer side surface of the engine cover 221 may be provided on the engine cover 221. [

〔2〕도어 수용부(245e)로서는, 엔진 커버(221)에 있어서의 횡커버부(226)의 전방 측부 테두리부(226A)에 잘라 세움 등에 의해 일체 형성한 것이어도 되고, 또한 전방 측부 테두리부(226A)에 L자형 강재 또는 띠판 강재 등을 용접하여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2] The door receiving portion 245e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side edge portion 226A of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226 of the engine cover 221 by being cut and raised, Shaped plate member 226A may be formed by welding an L-shaped steel member or a strip steel member.

〔3〕도어(244) 및 도어 수용 프레임(245)으로서는, 상부측과 하부측의 전후 폭이 동일해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어도 되고, 또한 상부측이 하부측보다도 전후 폭이 넓어지도록 도어(244) 및 도어 수용 프레임(245)의 상측 후방 테두리 부분(244d, 245d)이 하측 후방 테두리 부분(244e, 245e)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역L자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3] The door 244 and the door receiving frame 245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front-rear width equal to the width of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The door 244 and the door- 244d and the upper rear edge portions 244d, 245d of the door receiving frame 245 may be formed in an inverted L shape located behind the lower rear edge portions 244e, 245e.

〔4〕도어(244)의 하측 후방 테두리 부분(244e) 및 횡커버부(226)의 도어 수용부[도어 수용 프레임(245)의 하측 후방 테두리 부분](245e)를, 후방 경사 자세로 도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만곡 형상, 또는 후방 경사 자세로 횡커버부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만곡 형상 등으로 형성해도 된다.(4) The lower rear rim portion 244e of the door 244 and the door receiving portion (lower rear rim portion of the door receiving frame 245) of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226 are guided to the door side in the rear inclined posture A concave curved shape or a curved shape that concavely enters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side in a rearward inclined posture.

〔5〕도어(244)로서는, 슬라이드 개폐식으로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폐쇄 위치로부터 후방으로의 조작에 의해 승강구(243)를 개방하는 후방 개방식으로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5] As the door 244, a slide opening / closing type door may be used. Further, it may be configured as a rear opening type in which the entrance opening 243 is opened by an operation from the closed position backward.

〔6〕 도어 수용 프레임(245)으로서는, 도어 수용 프레임(245)의 상측 후방 테두리 부분(245d)이 운전 좌석(216)의 후단부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6] As the door receiving frame 245, the upper rear edge portion 245d of the door receiving frame 245 may be positioned forward of the rear end of the driving seat 216.

〔7〕엔진 커버(221)로서는, 횡커버부(226)의 하단부를 주행 기체(201)에 전후 방향의 지지축(274)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횡커버부(226)만이 전후 방향의 지지축(274)을 지지점으로 한 요동 조작(메인터넌스 위치로의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되고, 또한 전방 커버부(224) 이외의, 횡커버부(226)와 상부 커버부(225)와 운전 좌석(216)의 전후 방향의 지지축(274)을 지지점으로 한 일체 요동 조작(탑승 운전 위치와 메인터넌스 위치에 걸치는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횡커버부(226)의 후단부를 주행 기체(201)에 상하향의 지지축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횡커버부(226)만의 상하향의 지지축을 지지점으로 한 요동 조작(메인터넌스 위치로의 조작), 또는 엔진 커버(221)와 운전 좌석(216)의 상하향의 지지축을 지지점으로 한 일체 요동 조작(탑승 운전 위치와 메인터넌스 위치에 걸치는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7] As the engine cover 221,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226 is connected to the traveling base 201 through the support shaft 274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o that only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226 is supported by the forward / (The operation to the maintenance position) with the support portion 274 as the fulcrum can be mad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front cover portion 224, the lateral cover portion 226, the upper cover portion 225, It is also possible to constitute such that an integral swinging operation (an operation over a riding operation position and a maintenance position) using the support shaft 274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216 as a fulcrum is enabled. Further, by connecting the rear end portion of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226 to the traveling base 201 via the up / down support shaft, the swing operation (operation to the maintenance position) using only the up / down support shaft of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226 as a fulcrum It is also possible to constitute such that an integral swing operation (an operation over a passenger operation position and a maintenance position) using the engine cover 221 and the upward and downward support shafts of the driver seat 216 as supporting points is possible.

〔8〕엔진 커버(221)로서는, 도어(244)의 폐쇄 위치로부터 후방으로의 조작에 의해 엔진 커버(221) 및 운전 좌석(216)의 일체 요동 조작(탑승 운전 위치와 메인터넌스 위치에 걸치는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8) As the engine cover 221, the one-body swing operation (operation to move to the riding operation position and the maintenance position) of the engine cover 221 and the driver's seat 216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rear position of the door 244, Or the like.

〔9〕엔진 커버(221)에 있어서의 경사면 커버부(262)의 형상은, 전방 커버부(224), 상부 커버부(225) 및 횡커버부(226)의 형상에 따라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9] The shape of the inclined surface cover portion 262 of the engine cover 221 can be variously changed depending on the shapes of the front cover portion 224, the upper cover portion 225 and the transverse cover portion 226 .

〔10〕도어(244)를 폐쇄 위치에서 고정하는 고정구(266)를, 도어(244)에 있어서의 상측 후방 테두리 부분(244d)과 하측 후방 테두리 부분(244e)의 접합 개소의 부근이 아닌 상태에서, 도어(244)에 있어서의 전방 테두리 부분(244a)의 상부에 구비한 힌지(263)와 하부에 구비한 힌지(263)의 상하 중간 위치에 배치하도록 해도 되고, 또한 도어(244)에 있어서의 전방 테두리 부분(244a)의 상부에 구비한 힌지(263)와 하부에 구비한 힌지(263)의 상하 중간 위치가 아닌 상태에서, 도어(244)에 있어서의 상측 후방 테두리 부분(244d)과 하측 후방 테두리 부분(244e)의 접합 개소의 부근에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10] The fixing member 266 for fixing the door 244 in the closed position is not in the vicinity of the joining point of the upper rear edge portion 244d and the lower rear edge portion 244e of the door 244 The hinge 263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rim portion 244a of the door 244 and the hinge 263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intermediate positions of the door 244, The upper rear edge portion 244d of the door 244 and the lower rear edge portion 244b of the door 244 are not in the vertical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hinge 263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rim portion 244a and the hinge 263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r may be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joint portion of the rim portion 244e.

〔11〕승강시에 사용하는 ㄷ자 형상의 보조 핸들(269, 270)로서는, 도어(244)가 전방 개방식이면 승강구(243)의 후방 개소에만 장비하고, 또한 도어(244)가 후방 개방식이면 승강구(243)의 전방 개소에만 장비하도록 해도 된다.[11] The C-shaped auxiliary handles 269 and 270 to be used at the time of raising and lowering are provided only at the rearward opening of the door 243 if the door 244 is a front opening type, 243).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한 곡립 배출용 오거의 조작 장치를 탑재한 콤바인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 combine equipped with an auger operation device for a curled dischar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401)의 구동에 의해 주행 기체(402)가 주행 가능하게 구성되고, 그 주행 기체(402)의 전방부에, 농지면의 식립 곡물대를 예취하고, 예취한 곡물대를 후방으로 반송하는 예취부(403)가 횡축 코어(P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3 to 25, the combin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raveling base body 402 can be driven by driving a pair of left and right crawler type traveling devices 401,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traveling base body 402 , A preloading section 403 for taking a grain bundle placed on a farmland surface and transporting the cut grain band to the rear is provided so as to be swingable around the transverse shaft core P1.

예취부(403)는, 예취 대상 곡물대를 분초하는 분초구(404), 도복 자세의 식립 곡물대를 세운 자세로 기립시키는 기립 장치(405), 식립 곡물대의 밑동을 절단하는 클리퍼형 예취 장치(406) 및 예취 곡물대를 후방으로 반송하는 종반송 장치(407)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pretensioner 403 includes a crusher 404 for crushing a grain to be cut, a standing device 405 for standing the grains in a standing posture in a standing posture, a clipper type cutting device for cutting the base of the grains 406, and a longitudinal transfer device 407 for transferring the cut grain bar backward.

주행 기체(402)는, 예취부(403)에서 예취된 예취 곡물대를 수취하여 탈곡 및 선별 처리하는 탈곡 장치(408)와, 탈곡 장치(408)에서 탈곡 및 선별 처리함으로써 얻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409)가 기체 프레임(410)에 탑재되는 동시에, 기체 프레임(410)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곡립 탱크(409)의 전방 개소에 운전부(411)가 설치되고, 운전부(411)의 상방을 덮는 캐빈(412)이 구비되어 있다.The running vehicle 402 is provided with a threshing device 408 for receiving the sorted grain bobbins cut at the preliminary bending section 403 and performing threshing and sorting processes, The tank 409 is mounted on the base frame 410 and the operation section 411 is provided at a front portion of the grape tanks 409 in a state where the tank 409 is supported by the base frame 410, A cabin 412 covering the cabin 412 is provided.

탈곡부(404)는, 탈곡 피드 체인(430)에 의해 예취 곡물대를 반송하면서 취급실 내에서 이삭끝측을 취급통(431)에 의해 탈곡 처리하여(도 24 참조), 그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처리물을 하방에 위치하는 요동 선별 기구(432)에 의한 체 선별이나 풍구(437)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한 풍력 선별 등을 실시하여, 처리물을, 단립화 곡립, 가지가 달린 곡립이나 짚 부스러기 등의 혼재물 및 잘린 짚이나 짚 부스러기 등으로 선별하고, 단립화 곡립을 회수하여 곡립 탱크(409)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풍력 선별에 있어서의 풍구(437)의 풍량을 조절하는 것은, 운전부(411)에 구비한 풍구 풍량 조절 레버(436)에 의해 실시된다.The threshing section 404 performs a threshing process on the end of the ears in the handling chamber by the handling cylinder 431 (see Fig. 24) while conveying the cut grain bands by the threshing feed chain 430 (see Fig. 24) A sifter 432 for sifting the sifted material and a sifted sifter 437 for sifting the sifted material to separate the processed material from the sifted material 437. The treated material is then subjected to siftering by using a single- And the like, and cut straw or straw crumbs, and collects the monolithic grainy grains and supplies them to the grape tanks 409. The wind volume of the tuyeres 437 is adjusted by the tuyen wind volume control lever 436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411 in wind power sorting.

또한, 탈곡 처리된 후의 배출 짚은 배출 짚 처리 장치(433)에서 세단 처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d straw after the threshing treatment is configured to be treated as a sediment in the discharge straw treatment device 433.

배출 짚 처리의 전환 조작은, 운전부(411)에 구비한 배출 짚 처리 전환 레버(434)에 의해 실시된다. 배출 짚 처리 장치(433)의 상면부에는 개폐 조작 가능한 상면 커버(435)가 배출 짚의 통과 경로에 면하게 하여 설치되어 있고(도 24 참조), 배출 짚 처리 전환 레버(434)에 의해 상면 커버(435)를 개폐 조작함으로써, 배출 짚의 처리 경로를 전환할 수 있다.The changeover operation of the discharge straw process is carried out by the discharge straw process switching lever 434 provided in the operation section 411. [ A top cover 435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is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discharge straw processing device 433 so as to face the passage path of the discharge straw (see FIG. 24) 435 are opened and closed, the processing path of the discharged straw can be switched.

즉, 상면 커버(435)를 개방 상태로 조작함으로써, 배출 짚 처리 장치(433)에 도달한 배출 짚은, 개구 부분으로부터 배출 짚 처리 장치(433) 내로 들어가, 세단된 후, 콤바인의 후방측으로 배출된다.That is, by operating the top cover 435 to the open state, the discharged straw arriving at the discharge straw treatment apparatus 433 enters the discharge straw treatment apparatus 433 from the opening portion, is discharged and discharged to the rear side of the combine .

한편, 상면 커버(435)를 폐쇄 상태로 조작함으로써, 배출 짚은 상면 커버(435) 상을 통과하여, 세단되지 않은 상태로 콤바인의 후방측으로 낙하한다.On the other hand, by operating the top cover 435 to the closed state, the discharged straw passes over the top cover 435, and falls to the rear side of the combine in a non-curled state.

다음에, 곡립 탱크(409)에 저류된 곡립을 배출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configuration for discharging the curled papers stored in the curling tank 409 will be described.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409)의 저부에 전후 방향을 따르는 상태로 저부 횡방향 이송 반송 스크류(440)가 설치되고, 그 저부 횡방향 이송 반송 스크류(440)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곡립 배출용 오거(442)의 종방향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442A)가 연장되어, 이 종방향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442A)의 상부에, 곡립 배출용 오거(442)의 횡방향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442B)의 기단부가 횡축 코어(Y2) 주위로 요동 조작 가능하고, 또한 종축 코어(Y3) 주위로 선회 조작 가능하게 장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3, a bottom transverse transporting conveying screw 440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orrugated tank 409 along the back-and-forth direction, and from the transporting end of the bottom transverse transporting screw 440 The vertical conveying screw conveyor 442A of the auger 442 for curling discharge extends upward and the conveying screw conveyor 442A for conveying the curling material is convey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nveying screw conveyor 442A, The proximal end of the vertical shaft core 442B is swingably operable around the transverse axial core Y2 and is rotatably operable around the longitudinal axial core Y3.

또한, 도 24, 도 25에는, 곡립 배출용 오거(442)가 수납용 선회 위치로 선회한 상태를 도시하고, 이 수납용 선회 위치로 선회한 상태에서 곡립 배출용 오거(442)를 하강시켜 수납용 보유 지지구로서의 수용구(443)에 수용시켜 수납하게 된다.Figs. 24 and 25 show a state in which the auger 442 for curling discharge is pivoted to the receiving pivot position. In the state where the auger 442 is pivoted to the receiving pivot position, And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 443 as a holding retainer for the user.

저부 횡방향 이송 반송 스크류(440)의 반송 시단부에는, 기체 우측 전방부에 설치한 엔진(423)으로부터의 동력 전달을 단속(斷續)하는 벨트 텐션식 곡립 배출 클러치의 출력 풀리(444)가 장착되어 있고(도 23 참조), 곡립 배출 클러치의 온 오프 조작은 운전부(411)에 구비한 배출 클러치 레버(445)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An output pulley 444 of a belt-tensioning type curled discharge clutch which intermittently transmits power from an engine 423 provided on the right front side of the machine body is provided at a conveying start end of the bottom lateral direction conveying screw 440 (Refer to Fig. 23), and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grained discharge clutch can be carried out by the discharge clutch lever 445 provided in the operation section 411. Fig.

또한, 종방향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442A) 및 횡방향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442B)로 구성되어 있는 곡립 배출용 오거(442)는, 저부 횡방향 이송 반송 스크류(440)의 구동에 대해 종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corrugated auger 442 constituted by the longitudinal conveying screw conveyor 442A and the transverse conveying screw conveyor 442B is constructed so as to follow the driving of the bottom transverse conveying screw 440 .

또한, 곡립 배출용 오거(442)는, 선회용 액추에이터로서 설치된 선회용 전동 모터(M)에 의해 주행 기체(402)에 대해 선회 조작 가능하게, 또한 승강용 액추에이터로서 설치된 오거 승강 실린더(446)에 의해 주행 기체(402)에 대해 승강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The auger 442 for curling discharge is provided on the auger lifting cylinder 446 which is pivotal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base 402 by the pivoting electric motor M provided as a pivoting actuator and installed as a lifting actuator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base body (402).

선회용 전동 모터(M)의 구동 조작은, 운전부(411)에 구비한 선회 스위치(지령 스위치에 상당)(447)에 의해 실시할 수 있고(도 28, 도 29 참조), 오거 승강 실린더(446)의 구동 조작은, 운전부(411)에 구비한 승강 스위치(지령 스위치에 상당)(448)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The driving operation of the turning electric motor M can be carried out by a turning switch 447 (corresponding to a command switch) provided in the operating section 411 (see Figs. 28 and 29) 446 can be performed by an up / down switch (equivalent to a command switch) 448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411.

도 26 및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부(411)는 운전 좌석(413)의 전방측에 운전부 스텝(414)으로부터 기립 설치되는 상태에서 조종 탑(415)이 설치되고, 이 조종 탑(415)의 상부에는, 조종 레버(416)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417) 등을 구비한 프론트 패널(418)이 구비되어 있다. 운전 좌석(413)의 좌측에는, 변속 레버(419) 그 밖의 조작구를 구비한 사이드 패널(420)이 설치되고, 그 사이드 패널(420)의 후방측에는, 주로 곡립 배출용 오거(442)의 조작구를 구비한 사이드 리어 패널(조작 패널에 상당)(427)이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6 and 27, the operation section 411 is provided with a steering column 415 in a state of standing up from the operation section step 414 on the front side of the driver's seat 413, A front panel 418 including a steering lever 416 and a display device 417 for display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nd the like is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anel 415. [ On the left side of the driver's seat 413 is provided a side panel 420 provided with a shift lever 419 and other operating members and on the rear side of the side panel 420, A rear side pane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panel) 427 provided with a sphere is provided.

사이드 패널(420)은,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410)에 기립 설치된 제1 지지 프레임(F1)과, 무단 변속 장치(H)로의 입력축을 덮는 커버 통(Ha)에 기립 설치된 제2 지지 프레임(F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30, the side panel 420 includes a first support frame F1 standing upright on the base frame 410 and a second support frame F1 standing up from the cover cylinder Ha covering the input shaft to the continuously-variable transmission H And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frame F2.

제2 지지 프레임(F2)에 관해서는, 입력축의 회전에 의해 진동이 사이드 패널(420)에 전달되어 소음의 근원이 될 우려가 있으므로, 제2 지지 프레임(F2)을 길이 방향으로 2분할로 구성하고, 분할 부재끼리의 연결부에 방진 고무(G)를 개재시켜 방진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제2 지지 프레임(F2)과 기체 프레임(410)에는, 턴버클이 구비된 로드(F3)를 비스듬히 걸치고 있어, 제2 지지 프레임(F2)의 지지 자세의 안정과, 보강을 도모하고 있다.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frame F2, there is a fear that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side panel 420 due to the rotation of the input shaft, thereby becoming a source of noise. Therefore, the second support frame F2 is divided into two par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vibration-proof rubber G is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divided members. The second support frame F2 and the base frame 410 support the rod F3 provided with the turnbuckle at an angle so as to stabilize and reinforce the support postur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F2.

사이드 패널(420)의 하방측의 우측면은 벽체(421)에 의해 기체 내부와 구획되어 있고, 운전 좌석(413)의 하측은, 엔진 보닛(422)의 전방측 커버부(422A)에 의해 원동부 내부와 구획되어 있다. 또한, 운전 좌석(413)의 후방부측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와 구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lower side of the driver's seat 413 is partitioned by the front side cover portion 422A of the engine bonnet 422 and the lower side of the driver's seat 413, And is partitioned inside. Further, the rear portion of the driver's seat 413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outside as described later.

그리고 이 운전부(411)는 상방이 캐빈(412)에 의해 덮이고, 운전부(411)에는 외부 공간과 구획되는 상태에서 폐색된 공간인 운전실(R1)이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portion 411 is covered by the cabin 412 and a cabin R1 is formed in the operation portion 411 as a closed space in a state partitioned from the external space.

운전 좌석(413)의 후방측에는, 엔진(423)에 있어서의 연소 공기 흡기계에 접속되는 에어 클리너(424)를 구비한 급기부(클리너 설치부에 상당)(R2)가 구비되고, 에어 클리너(424)에 흡기 호스(425)를 통해 연통 접속된 프리 클리너(426)가 에어 클리너(424)의 상방측의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기체 상방의 진애가 적은 외기가 프리 클리너(426) 및 에어 클리너(424)에서 정화되어 엔진 연소 공기로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An air supply portion (equivalent to a cleaner mounting portion) R2 provided with an air cleaner 424 connected to the combustion air intake machine of the engine 423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driver's seat 413, The pre-cleaner 426 connected to the air cleaner 424 via the intake hose 425 is disposed at a high position above the air cleaner 424, (424) and supplied as engine combustion air.

운전실(R1)과 급기부(R2) 사이는, 커버 부재(429)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The space between the cabin R1 and the supply unit R2 is defined by a cover member 429. [

운전실(R1) 내에 있어서, 급기부(R2)의 횡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리어 패널(427)에 대해 설명한다.The side rear panel 427 locat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air supply unit R2 in the cabin R1 will be described.

사이드 리어 패널(427)은,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420)의 후방측이며, 또한 급기부(R2)의 좌측, 즉, 운전 좌석(413)의 좌측 후방 설치되어 있고, 사이드 패널(420)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28, the side rear panel 427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side panel 420 and on the left side of the supply portion R2, that is, on the left rear side of the driver's seat 413,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panel (420).

사이드 리어 패널(427)은,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실(R1)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제1 조작 패널부(427A)와, 그 전방에서 1단 낮게 형성된 제2 조작 패널부(427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29, the side rear panel 427 includes a first operation panel portion 427A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cabin R1 and a second operation panel portion 427B As shown in Fig.

제1 조작 패널부(427A)에는, 급기부(R2)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배출 클러치 레버(445), 풍구 풍량 조절 레버(436), 배출 짚 처리 전환 레버(434)가 간격을 두고 병렬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레버는, 모두 전후 방향으로 요동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first operation panel portion 427A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clutch lever 445, an air flow rate regulating lever 436 and an exhaust straw processing switching lever 434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intervals from the side close to the air supply portion R2 Respectively. These levers are all configured to be swing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급기부(R2)에 가장 근접하고 있는 배출 클러치 레버(445)는, 그 상단부 조작부(445a)가, 급기부(R2)의 커버 부재(429)의 최상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배출 클러치 레버(445)가 직립 상태에서 배출 클러치가「오프」로 되고, 전방으로 넘어뜨린 상태에서 배출 클러치가「온」으로 된다.The discharge clutch lever 445 closest to the supply unit R2 is formed such that its upper end operating portion 445a is located above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cover member 429 of the air supply unit R2, When the lever 445 is in the upright state, the discharge clutch is turned " off " and the discharge clutch is turned " on "

또한, 배출 클러치 레버(445)의 상단부측은, 커버 부재(42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어, 요동 조작시에 손이 커버 부재(429)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The upper end side of the discharge clutch lever 445 is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ver member 429 to prevent the hand from slipping on the cover member 429 during the swing operation so as to improve the operability .

풍구 풍량 조정 레버(436)는, 전단부측이 풍량 최대, 후단부측이 풍량 최소로 되도록 조작할 수 있고, 요동 조작 범위는, 배출 클러치 레버(445)나 배출 짚 처리 전환 레버(434)에 비해 작다.The pneumatic air volume adjusting lever 436 can be operated such that the front end portion has the maximum air volume and the rear end portion has the minimum air volume and the pivoting operation range is larger than that of the exhaust clutch lever 445 and the exhaust straw processing switching lever 434 small.

배출 짚 처리 전환 레버(434)는, 직립 상태에서 상면 커버(435)가 폐쇄 상태, 전방으로 넘어뜨린 상태에서 상면 커버(435)가 개방 상태로 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zipping process switching lever 434 is in the upright state, the top cover 435 is in the closed state, and the top cover 435 is in the open state.

제2 조작 패널부(427B)에는, 급기부(R2)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선회 스위치(447)와, 승강 스위치(448)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 스위치류도 설치되어 있다.The second operation panel portion 427B is provided with a turning switch 447 and an elevation switch 448 spaced from the side closer to the supply portion R2. Other switches are also provided.

선회 스위치(447)와 승강 스위치(448)는, 풍구 풍량 조정 레버(436)와 배출 짚 처리 전환 레버(434)의 요동 궤적을 포함하는 종면끼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각 스위치의 조작부(447a, 448a)는 제1 조작 패널부(427A)보다 하방에 위치되어 있다.The turning switch 447 and the elevation switch 448 are disposed between the vertical surfaces including the swing locus of the pneumatic air volume adjusting lever 436 and the discharge straw processing switching lever 434, And 448a are positioned below the first operation panel portion 427A.

따라서, 배출 클러치 레버(445)나 배출 짚 처리 전환 레버(434)를, 요동 하단부까지 넘어뜨린 상태에서, 선회 스위치(447)나 승강 스위치(448)는 그들 사이(횡측)에 위치하여, 요동 궤적과 평면적으로 간섭하지 않는다.The swing switch 447 and the up / down switch 448 are located between them (on the lateral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clutch lever 445 and the discharge straw processing switching lever 434 are tilted down to the swing lower end, And does not interfere in a planar manner.

선회 스위치(447)는 기체 횡폭 방향 한쪽으로의 쓰러짐 조작과 기체 횡폭 방향 다른 쪽으로의 쓰러짐 조작에 의해 우측 선회 및 좌측 선회를 지령하는 시소형의 3위치 전환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The revolving switch 447 is composed of a seesaw type three-position changeover switch for instructing the right turn and the left turn by a collapsing operation to one 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a collapsing operation to the other 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승강 지령 스위치(448)는, 기체 전방으로의 쓰러짐 조작과 기체 후방으로의 쓰러져 조작에 의해 상승 및 하강을 지령하는 시소형의 3위치 전환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The elevation command switch 448 is constituted by a seesaw type three-position changeover switch for instructing the rise and fall by the fall-down operation to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fall-back operation to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vehicle.

다음에, 캐빈(41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cabin 412 will be described.

도 23, 도 24, 도 26,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빈(412)은, 조종 탑(415)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부측일수록 기체 전방측에 위치하는 비스듬한 자세로 형성되는 전방부 글래스면(450) 및 그 좌우 양측에 연속되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 형상인 측부 글래스면(451)을 구비한 전방면부(452), 운전 좌석(413)의 좌측에 위치하여, 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개폐 가능한 슬라이드식 창부(453)를 구비한 좌측면부(454), 운전 좌석(413)의 후방에 위치하여, 좌우 양측의 원호 형상의 글래스면(455) 및 그들 사이에서 평면 형상의 글래스면(456)을 구비한 후방면부(457) 및 상방의 전체면을 덮는 대략 판 형상의 천장부(458) 각각에 의해 캐빈 본체(459)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캐빈 본체(459)의 우측부에는 승강용의 개구(460)(도 28 참조)가 형성되고, 이 승강용 개구(460)를 폐쇄하는 폐쇄 상태와 승강용 개구(460)를 형성하는 개방 상태에 걸쳐, 기체 전방부측의 종방향 축심(Y1) 주위로 요동 개폐 가능하게 도어(46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천장부(458)에는, 운전실(R1)의 내부를 공조하는 공조 장치(462)나 라디오(463)가 장비되어 있다(도 26, 도 27 참조).23, 24, 26, and 28, the cabin 412 is dispos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steering column 415, and is formed in an oblique posture located on the gas front side of the cabin A front surface portion 452 having a side 450 and a substantially triangular side glass surface 451 which is continuous from both sides of the surface 450 and a front surface portion 452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driving seat 413, A left side face portion 454 provided with a possible slide type window portion 453 and a rear side glass plate 455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driver's seat 413 and having arcuate glass surfaces 455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a planar glass surface 456 therebetween, And a substantially plate-shaped ceiling portion 458 covering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cabin body 459. The cabin body 459 is made of a metal plate. 28) is formed in the right side portion of the cabin body 459 and a closed state for closing the elevating opening 460 and a lowering opening 460 for forming the elevating opening 460 The door 461 is provided so as to swing around the longitudinal axis Y1 on the gas front side over the open state. The ceiling 458 is also provided with an air conditioner 462 and a radio 463 for air-conditioning the inside of the cabin R1 (see Figs. 26 and 27).

라디오(463)는 좌우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The radio 463 is installed at the left and right central portions.

또한, 후방면부(457) 중, 좌측의 원호 형상의 글래스면(455)은, 스모크 글래스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그 실내측에, 간격을 두고 불투명한 내벽(455a)이 설치되어있다. 글래스면(455)과 내벽(455a) 사이의 공간(v)에는, 퓨즈 박스(455b)가 설치되어 있다.Of the rear surface portion 457, the left arc-shaped glass surface 455 is made of a smoky glass, and an opaque inner wall 455a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rear surface portion 457 with an interval therebetween. A fuse box 455b is provided in the space v between the glass surface 455 and the inner wall 455a.

또한, 캐빈(412)은, 운전 좌석(413)의 상방을 덮는 상태(도 23 내지 도 28 참조)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취부(403) 상에 씌워 운전 좌석(413)의 상방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cabin 412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er's seat 413 (see Figs. 23 to 28) and the driver 403 over the driver's seat 413 So that it can be switched to the open state.

〔다른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s]

이하에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Oth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elow.

<1> 제1 조작 패널부(427A)에는, 앞의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조작 레버가 배치된 것을 설명하였지만, 배출 클러치 레버(445)와 다른 조작 레버의 조합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1> In the first embodiment, a plurality of operation levers are disposed in the first operation panel section 427A. However, the combination of the discharge clutch lever 445 and other operation levers can be freely set.

또한, 배출 클러치 레버(445)만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Further, only the discharge clutch lever 445 may be provided.

배출 클러치 레버(445)의 요동 방향은, 전후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 방향이어도 된다.The sw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clutch lever 445 is not limited to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ut may be the left or right direction.

<2> 지령 스위치는, 2개의 시소형의 3위치 전환 스위치(447, 448)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냈지만, 예를 들어 4방향으로 쓰러뜨림 조작 가능한 십자형의 지령 스위치로 구성해도 되고, 종자세의 레버를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각각으로 넘어뜨림 조작함으로써 승강 및 선회를 지령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2> The command switch is composed of two seesaw-type three-position change-over switches 447 and 448, but it may be constituted by a cross-shaped command switch capable of being tilted in four directions,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lever is til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and-right direction to instruct the elevation and turning.

<3> 상기 조작 패널은, 앞의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 좌석(413)의 좌측 후방측의 사이드 리어 패널(427)로서 구성한 것을 설명하였지만, 운전 좌석(413)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3> In the above embodiment, the operation panel is configured as the rear rear panel 427 on the left rear side of the driving seat 413, but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driving seat 413.

<4> 클리너 설치부는, 앞의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 클리너(424)와 그 위에 설치된 커버 부재(429)를 구비한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에어 클리너(424)만을 설치하고, 커버 부재(429)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때에는, 클리너 설치부의 최상부는, 에어 클리너(424)의 상면부로 된다. 또한, 이 경우는, 에어 클리너(424)의 상면부보다 상방에, 배출 클러치 레버(445)의 상단부 조작부(445a)가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cleaner 424 and the cover member 429 provided on the air cleaner 424 are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For example, And the cover member 429 may not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cleaner mounting portion becomes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air cleaner 424.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perating portion 445a of the discharge clutch lever 445 is located above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air cleaner 424.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과의 대조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부호를 기입하였지만, 상기 기입에 의해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codes are written for convenience of comparison with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by the above-described writing. Needless to sa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도 32 내지 도 35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자탈형 콤바인에 적용한 경우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32 to 35,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elf-excited combine will be described.

[콤바인의 전체 구성][Composition of the whole combine]

도 32 및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탈형 콤바인은, 크롤러 주행 장치(601), 기체(602), 4조 전면 예취 사양의 예취부(603), 예취부(603)로 예취한 곡물대를 서서히 옆으로 쓰러뜨리면서 탈곡부(605)에 전달하는 세로 반송 장치(619), 조종부(604), 세로 반송 장치(619)에 의해 반송된 곡물대를 탈곡 및 선별하는 탈곡부(605), 탈곡부(605)로부터 공급되는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606), 곡립 탱크(606)로부터 기기 밖으로 곡립을 배출하는 세로 오거(608) 및 가로 오거(609) 및 가로 오거(609)를 수납 위치에 있어서 지지하는 받침대(63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32 and 33, the self-tearing combine is composed of a crawler traveling device 601, a base body 602, a preliminary part 603 of a four-piece frontal cutting specification, A tilting portion 605 for tilting and sorting the grain conveyed by the vertical conveying device 619, the control portion 604 and the vertical conveying device 619, A vertical auger 608 and a horizontal auger 609 and a horizontal auger 609 for discharging the curled grains out of the grazing tank 606 from the grazing tank 606 to the storage position (Not shown).

세로 오거(608)는 곡립 탱크(606)의 저부의 배출 스크류(도시하지 않음)의 후단부에 연결된 로워 케이스(도시하지 않음)와, 로워 케이스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외장 케이스(615)와, 이 외장 케이스(615)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종방향 이송 스크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The vertical auger 608 includes a lower case (not shown) connected to a rear end of a discharge screw (not shown) at the bottom of the grape tanks 606, an outer case 615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case, (Not shown)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outer case 615. The vertical transfer screw (not shown)

가로 오거(609)는 기체측에 위치하는 기체측 부분(609A)과, 선단측에 위치하는 선단측 부분(609B)과, 기체측 부분(609A)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1 반송 스크류(도시하지 않음)와, 기체측 부분(609B)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2 반송 스크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세로 오거(608)의 상단부에 기복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The lateral auger 609 includes a gas side portion 609A positioned on the gas side, a tip side portion 609B located on the tip side, and a first conveying screw 609B rotatably supported in the gas side portion 609A. (Not shown) rotatably supported in the base-side portion 609B and a second conveying screw (not shown) rotatably supported in the base-side portion 609B,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auger 608 so as to freely pivot.

또한, 선단측 부분(609B)은, 기체측 부분(609A)에 절첩 기구(620)를 통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로 오거(609)는, 선단측 부분(609B)의 후단부와 기체측 부분(609A)의 전단부가 서로 접합하여 선단측 부분(609B)이 기체측 부분(609A)과 대략 일직선 형상으로 되어 전개된 전개 상태(도 32 및 도 33 참조)와, 선단측 부분(609B)이 기체측 부분(609A)측에 절첩되어, 기체측 부분(609A)의 측부를 따라 수납된 수납 상태(도시하지 않음)로 선단측 부분(609B)을 요동시킴으로써, 가로 오거(609)의 상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distal end portion 609B is supported on the gas-side portion 609A so as to be swingable via the folding mechanism 620. [ As a result, the rear end por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609B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gas-side portion 609A are joi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609B is substantially straight with the gas-side portion 609A (See Figs. 32 and 33) and a deployed state (see Fig. 32 and Fig. 33) and a leading end portion 609B are folded on the gas-side portion 609A side so as to be accommodated along the side portion of the gas- The side edge portion 609B is pivoted by the pawl portion 609B, so that the state of the lateral auger 609 can be switched.

조종부(604)에 설치한 오거 조작부(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함으로써, 세로 오거(608)와 가로 오거(609)에 걸쳐 설치한 유압 실린더(612)에 의해, 세로 오거(608)의 상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가로 오거(609)를 기복 요동시킬 수 있고, 또한 세로 오거(608) 하방의 로워 케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설치한 선회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회전시켜, 세로 오거(608)의 종방향 축심 주위로 세로 오거(608) 및 가로 오거(609)를 선회시킬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auger 608 is fixed by the hydraulic cylinder 612 provided across the vertical auger 608 and the horizontal auger 609 by operating an auger operating portion (not shown) (Not shown) provided on a lower case (not shown) below the vertical auger 608 to rotate the horizontal auger 609 in the vertical auger 608, The vertical auger 608 and the horizontal auger 609 can be pivoted around the longitudinal axis.

곡립 탱크(606)에 저류된 곡립을 배출하는 경우, 받침대(630)에 수납되어 있는 가로 오거(609)를, 세로 오거(608)의 상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요동시켜 받침대(630)로부터 떼어내고, 또한 세로 오거(608)의 종방향 축심 주위로 가로 오거(609)를 기체의 좌측으로 선회시켜[도 33의 지면(紙面)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 가로 오거(609)의 배출구(609b)를 트럭의 짐받이 등(도시하지 않음)이 놓여 있는 위치에 세트하여, 배출 자세로 한다.The horizontal auger 609 accommodated in the pedestal 630 is pivoted upwards with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auger 608 as a fulcrum to peel off the pedestal from the pedestal 630 And the horizontal auger 609 is pivoted to the left side of the bas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Fig. 33) around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vertical auger 608, 609b are set at a position where a load carrying box or the like (not shown) of the truck is placed and set as a discharge position.

오거 조작부를 조작하여, 엔진(E)의 동력에 의해 곡립 탱크(606)의 저부의 배출 스크류를 회전시키면, 베벨 기어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세로 오거(608)의 종방향 이송 스크류가 회전하고, 또한 어퍼 케이스(618) 내의 베벨 기어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가로 오거(609)의 제1 및 제2 반송 스크류(도시하지 않음)가 회전한다.When the auger operating section is operated to rotate the discharge screw at the bottom of the grapefruit tank 606 by the power of the engine E, the longitudinal conveying screw of the vertical auger 608 rotates through the bevel gear mechanism (not shown) And the first and second conveyance screws (not shown) of the horizontal auger 609 rotate through a bevel gear mechanism (not shown) in the upper case 618. [

이에 의해 곡립 탱크(606)에 저류된 곡립이, 곡립 탱크(606)의 배출 스크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기체 후방의 세로 오거(608)로 반송되고, 또한 세로 오거(608)의 내부의 종방향 이송 스크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리프팅되어 가로 오거(609)로 반송되고, 가로 오거(609)의 내부의 제1 및 제2 반송 스크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가로 오거(609)의 선단의 배출구(609b)로 반송되어, 배출구(609b)로부터 트럭의 짐받이 등(도시하지 않음)으로 배출된다.As a result, the curled piles stored in the curling tanks 606 are transported to the vertical auger 608 in the back of the gas by discharge screws (not shown) of the curling tanks 606, (Not shown) to be transported to the transverse auger 609, and the first and second transport screws (not shown) inside the transverse auger 609 are lifted by a directional transport screw And is discharged from a discharge port 609b to a load carrier or the like (not shown) of the truck.

곡립의 배출이 완료되면, 세로 오거(608)의 종방향 축심 주위로 가로 오거(609)를 기체의 우측으로 선회시켜(도 33의 지면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 가로 오거(609)의 기체측 부분(609A)을 받침대(630)에 수납한다. 이때,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로 오거(609)는 곡립 탱크(606)의 후방부로부터 기체의 전방부 좌측부를 향해 평면에서 볼 때 대각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받침대(630)에 수납되는 수납 자세로 된다.When the discharge of the curved piles is completed, the horizontal auger 609 is pivoted to the right side of the base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Fig. 33) arou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rtical auger 608, And the portion 609A is received in the pedestal 630. 33, the lateral auger 609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posture 630, which is housed in the pedestal 630 so as to be arranged in a diagonal shape as viewed in plan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curling tank 606 toward the left front portion of the gas, .

[받침대의 구성][Configuration of pedestal]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형 강관의 지지 기둥(631)이, 조종부(604)와 세로 반송 장치(619)의 사이이며 조종부(604)의 운전석(604a)의 좌측 경사 후방측에 있어서 기체(602)로부터 상방으로 기립 설치되어 있고, 그 상부에 받침대(630)를 구비한다.The supporting column 631 of the rectangular steel pipe is disposed between the control portion 604 and the vertical conveying device 619 and on the left rear side of the driver's seat 604a of the control portion 604, And is erected upward from the base body 602 and has a pedestal 630 at the upper part thereof.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받침대(630)는, 단면이 L자 형상인 베이스 플레이트(632)와, 지지 기둥(631)을 끼움 삽입 가능한 립 홈형강(633)과, 직각삼각형 형상의 지지 플레이트(634)와, U자 형상의 받침 플레이트(635)를 구비한다.34, the pedestal 630 includes a base plate 632 having an L-shaped cross section, a rib-shaped groove 633 into which the support column 631 can be inserted, Shaped receiving plate 634, and a U-shaped receiving plate 635. [

베이스 플레이트(632)는 수평 방향을 따르는 횡판부(632c)와 상하 방향을 따르는 종판부(632a)를 구비한다. 횡판부(632c)의 단부에는 지지 기둥(631) 및 립 홈형강(633)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종판부(632a)에는 받침 플레이트(635)를 고정하기 위한 원호 형상의 오목부(632b)가 형성되어 있다.The base plate 632 has a horizontal plate portion 632c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plate portion 632a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 through hole (not shown) for inserting the supporting column 631 and the rib-groove shaped steel 633 is formed in the end of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632c. The receiving plate 635 is fixed to the vertical plate portion 632a A concave portion 632b having an arc shape is formed.

립 홈형강(633)은, 횡판부(632c)의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삽입 관통한 상태에서, 횡판부(632c)의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의 주연부의 하면측에 있어서 용접되어 있다[도 35의 (b) 참조]. 또한, 립 홈형강(633)의 개방면과 대치하는 측면에, 고정 핀(636)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핀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The lip groove shape steel 633 is welde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not shown) of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632c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not shown) of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632c (See Fig. 35 (b)). Further, a pin hole (not shown) for inserting the fixing pin 636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lip groove shape steel 633 which faces the opening.

도 34 및 도 3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기둥(631)의 상부에는, 고정 핀(636)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해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핀 삽입 관통 구멍(637)이 상하 방향으로 2개소 형성되어 있다.34 and 35 (b), a pin insertion through hole 637 penetr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 inserting the fixing pin 636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column 631 in the vertical direction Two locations are formed.

지지 기둥(631)을, 베이스 플레이트(632)에 용접된 립 홈형강(633) 중에 끼움 삽입시켜, 지지 기둥(631)의 핀 삽입 관통 구멍(637) 중 어느 하나와 립 홈형강(633)의 핀 구멍(도시하지 않음)의 위치를 맞춘다. 그리고 고정 핀(636)을 립 홈형강(633)의 핀 구멍과 지지 기둥(631)의 핀 삽입 관통 구멍(637)에 걸치도록 삽입 관통시켜, 립 홈형강(633)의 개방면측으로 돌출시키고, R핀(638)을 삽입하여 빠짐 방지한다. 즉, 고정 핀(636)을 삽입 관통시키는 지지 기둥(631)의 핀 삽입 관통 구멍(637)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받침대(630)의 높이[지지 기둥(63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support pillar 631 is inserted into the lip groove 633 welded to the base plate 632 so that any one of the pin insertion holes 637 of the support column 631 and the lip of the lip groove 633 And the position of the pin hole (not shown) is adjusted. The fixing pin 636 is inserted through the pin hole of the lip groove 633 and the pin insertion hole 637 of the support column 631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open side of the lip groove 633, R pin 638 is inserted to prevent it from slipping out. That is,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pin insertion hole 637 of the support column 631 through which the fixing pin 636 is inserted, the height of the base 630 (th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upport column 631) Can be adjusted.

지지 플레이트(634)에 있어서의 직각의 인접편 각각이, 립 홈형강(633)의 측면 및 베이스 플레이트(632)의 횡판부(632c)의 상면에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립 홈형강(633)이 베이스 플레이트(632)에 대해 보다 강고하게 고정된다.Each of the adjacent right-angled pieces of the support plate 634 is welded and fix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rib-shaped grooves 633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632c of the base plate 632. As a result, the rib-shaped grooves 633 are more firmly fixed to the base plate 632.

받침 플레이트(635)는, U자 형상으로 절곡 가공되어 있고, 저부(635a)와 상기 저부(635a)의 양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종방향부(635b)로 구성되는 수납 공간(S)을 구비한다. 수납 공간(S)에는, 가로 오거(609)의 기체측 부분(609A)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종방향부(635b)의 단부 각각이, 하방측으로 더욱 절곡되어 절곡부(635c)가 형성되어 있다.The receiving plate 635 is bent in a U shape and includes a bottom portion 635a and a storage space S formed by a pair of longitudinal portions 635b exten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bottom portion 635a, Respectively. In the storage space S, the gas-side portion 609A of the lateral auger 609 can be received. Further, each of the ends of the pair of longitudinal portions 635b is further bent downward to form a bent portion 635c.

받침 플레이트(635)는, 상방을 향한 자세에서 종판부(632a)의 원호 형상의 오목부(632b) 중에 끼움 삽입되면서, 또한 지지 플레이트(634)의 경사변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다.The support plate 635 is welded and fix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arc-shaped concave portion 632b of the vertical plate portion 632a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inclined side portions of the support plate 634 in the upward- have.

받침 플레이트(635)의 한 쌍의 종방향부(635b) 중, 립 홈형강(633)의 먼 부위에 위치하는 종방향부(635b)의 절곡부(635c)[종방향부(635b)의 상부]에, 원통형의 보스 부재(639)가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다.Of the longitudinal portion 635b of the longitudinal portion 635b located at a distant portion of the lip groove shape steel 633 among the pair of longitudinal portions 635b of the support plate 635 , A cylindrical boss member 639 is welded and fixed.

[아암부의 구성][Configuration of arm portion]

도 34 및 도 35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암부(641)는 상자 형상의 부재이며, 저면(641a)과, 저면(641a)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대치하는 2개의 횡측면(641b)과, 저면(641a)으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절곡된 전방면(641c)과, 전방면(641c)과 대치하는 위치에서 저면(641a)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후방면(641d)을 구비한다. 전방면(641c)은 2개의 횡측면(641b)의 전단부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후방면(641d)은 2개의 횡측면(641b)의 후단부보다도 전방면(641c)측에 배치된다. 또한, 아암부(641)의 후방면(641d)은, 그 단부가 횡측면(641b)의 후단부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아암부(641)가 개방 자세에 있을 때에 종방향부(635b)의 절곡부(635c)에 로크 가능한 스토퍼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4 and 35A and 35B, the arm portion 641 is a box-shaped member, and includes a bottom surface 641a, two bent portions 661b bent at right angles from the bottom surface 641a A front surface 641c bent in a circular arc from the bottom surface 641a and a rear surface 641d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bottom surface 641a at a position that opposes the front surface 641c do. The front face 641c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two lateral sides 641b and the rear face 641d is disposed on the front face 641c side of the rear end of the two lateral sides 641b. The rear surface 641d of the arm portion 641 is bent toward the rear end side of the lateral side surface 641b so that when the arm portion 641 is in the open posture, And is configured as a stopper member that can be locked to the portion 635c.

2개의 횡측면(641b, 641b)에 있어서의 후방면(641d)보다도 후단부측의 위치에는, 지지점축으로 되는 머신 볼트(643)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볼트 구멍(642)이 형성되어 있다.A bolt hole 642 for inserting a machine bolt 643 serving as a fulcrum shaft is formed at a position on the rear end side of the rear surface 641d of the two side surfaces 641b and 641b.

또한, 2개의 횡측면(641b) 중 1개의 횡측면(641b)이며, 그 횡측면(641b)의 볼트 구멍(642)보다도 후단부측의 위치의 외면에는, 가로 오거(609)의 기체측 부분(609A)과 접촉하는 접촉 부분으로서의 접촉 막대(644)가 용접되어 있다.One lateral side 641b of the two lateral sides 641b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at the rear end side position of the lateral side 641b with respect to the bolt hole 642, And a contact rod 644 as a contact portion contacting with the contact portion 609A are welded.

접촉 막대(644)는 아암부(641)의 연신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고, 고정되는 기부로부터 선단부에 걸쳐 완만하게 산 형상으로 융기하는 형상을 갖는다.The contact rod 644 is fix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elongating direction of the arm portion 641 and has a shape rising gently in a mountain-like shape from the fixed base portion to the distal end portion.

아암부(641)는 원통형의 보스 부재(639)를 구비하는 절곡부(635c)에 대해, 그 2개의 횡측면(641b)의 후단부 부분을 외부 끼움하고, 보스 부재(639)와 2개의 횡측면(641b)의 볼트 구멍(642)에 걸치도록 머신 볼트(643)를 삽입 관통시켜, 머신 볼트(643)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의 아암부(641)의 덜걱거림을 억제하는 압축 스프링(645)과, 플랫 와셔(646)를 통해 이중 너트(647)로 체결함으로써, 머신 볼트(643)의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arm portion 641 has a bent portion 635c provided with a cylindrical boss member 639 and a rear end portion of the two lateral side portions 641b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bent portion 635c. A compression spring 645 for preventing the rattling of the arm portion 641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chine bolt 643 by inserting the machine bolt 643 through the bolt hole 642 of the side surface 641b, And a flat washer 646 through a double nut 647 so as to be swingable around the axis of the machine bolt 643. [

상기 구성에 의해, 아암부(641)는 수납 공간(S)의 상방을 개방하기 위해 상방을 향하는 개방 자세[도 35의 (b)의 실선 부분]와, 수납 공간(S)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폐쇄 자세[도 35의 (b)의 2점 쇄선 부분]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된다.With this arrangement, the arm portion 641 has an open position (solid line portion in FIG. 35 (b)) directed upward to open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space S and a closed position (The two-dot chain line portion in Fig. 35 (b)).

즉, 도 35의 (b)의 실선 부분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부(641)가 개방 자세에 있을 때, 아암부(641)의 저면(641a)과 받침 플레이트(635)의 종방향부(635b)가 대략 동일 높이로 되어, 아암부(641)가 종방향부(635b)의 연신 방향을 따라 상방을 향하는 자세로 된다. 이때, 아암부(641)의 후방면(641d)이, 스토퍼로서 종방향부(635b)의 절곡부(635c)에 로크됨으로써, 아암부(641)가 수납 공간(S)으로부터 더욱 이격되는 측으로의 요동이 저지되어, 아암부(641)의 개방 자세가 유지된다.35 (b), when the arm portion 641 is in the open position, the bottom surface 641a of the arm portion 641 and the longitudinal portion 635b of the receiving plate 635 Are substantially at the same height, and the arm portion 641 is in a posture directed upwar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portion 635b. At this time, the rear surface 641d of the arm portion 641 is locked to the bent portion 635c of the longitudinal portion 635b as a stopper, so that the arm portion 641 is moved toward the side further away from the storage space S The swing is stopped, and the open position of the arm portion 641 is maintained.

아암부(641)가 개방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는, 접촉 막대(644)가 수용 공간(S)의 상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접촉 막대(644)의 선단부가, 가로 오거(609)의 기체측 부분(609A)을 수납 공간(S)에 수납하였을 때의 기체측 부분(609A)의 축심을 지나는 연직면(W)과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arm portion 641 is in the open position, the contact rod 644 is disposed above the accommodation space S.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ontact rod 644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face passing through the central axis of the gas-side portion 609A when the gas-side portion 609A of the lateral auger 609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S W).

또한, 아암부(641)가 개방 자세에 있는 경우, 가로 오거(609)는 받침대(630)의 수납 공간(S)에 수납되어 있지 않다. 즉, 이때의 가로 오거(609)는 곡립 탱크(606)에 저류된 곡립을 배출하기 위해, 기체의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선단의 배출구(609b)가, 예를 들어 기체의 좌측에 배치된 트럭의 짐받이 등을 향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Further, when the arm portion 641 is in the open position, the lateral auger 609 is no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S of the pedestal 630. That is, the horizontal auger 609 at this time projects to the left side of the base in order to discharge the grains stored in the grape tanks 606, and the discharge port 609b at the tip thereof is disposed, for example, And it is in a state in which it is pointed to a load carrier of a truck or the like.

그리고 곡립 탱크(606) 내의 곡류의 배출을 완료한 후, 가로 오거(609)를 수납 자세로 하기 위해, 세로 오거(608)의 종방향 축심 주위로 기체의 우측으로 선회시켜(도 33의 지면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 가로 오거(609)의 기체측 부분(609A)을 받침대(630)의 바로 위에 배치시킨다.After completing the discharge of the grains in the grape tanks 606, the gravitational tank 609 is turned to the right of the gas around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vertical auger 608 , The gas-side portion 609A of the lateral auger 609 is disposed just above the pedestal 630. [

이어서, 세로 오거(608)의 상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가로 오거(609)를 하방으로 요동시키면, 가로 오거(609)의 기체측 부분(609A)의 하면이, 개방 자세에 있는 아암부(641)의 접촉 막대(644)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접촉 막대(644)가 상부로부터의 압박을 받아, 머신 볼트(643)의 축심 주위로 하방으로 요동하는 동시에, 아암부(641)가 머신 볼트(643)의 축심 주위로 수납 공간(S)측으로 요동하여, 아암부(641)가, 수납 공간(S), 즉 가로 오거(609)의 기체측 부분(609A)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폐쇄 자세로 된다.The lower face of the gas side portion 609A of the lateral auger 609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the arm portion 641 in the open position, Contacts the contact rod 644. This causes the contact rod 644 to be pushed downward around the center of the machine bolt 643 by the urging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arm portion 641 is mov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S And the arm portion 641 is in the closed position in which the gas containing portion 609A of the storage space S, that is, the lateral auger 609, is covered from above.

아암부(641)가 폐쇄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는, 아암부(641)의 연신 방향이, 종방향부(635b)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고 있고, 아암부(641)의 연신 방향에 있어서의 종방향부(635b)로부터의 길이 T는, 가로 오거(609)의 기체측 부분(609A)의 단면에 있어서의 반경 r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T>r).When the arm portion 641 is in the closed posture, the elongation direction of the arm portion 641 is orthogonal to the elongation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portion 635b,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 portion 641 in the elongation direction The length T from the portion 635b is set to be longer than the radius 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gas side portion 609A of the lateral auger 609 (T> r).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베이스 플레이트(632)의 횡판부(632c)의 립 홈형강(633)이 고정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L자 형상의 스테이(648)가 용접되어 있다. 이 스테이(648)에는, 내부에 쿠션 부재(652)를 구비하는 평면에서 볼 때 삼각 형상의 판 스프링(649)이 볼트와 너트로 체결 고정되어 있고, 또한 아암부(641)가 개방 자세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으로서의 스위치 부재(650)가 끼움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아암부(641)의 접촉 막대(644)에는, 아암부(641)가 폐쇄 자세에 있을 때에 스위치 부재(650)와 접촉하는 판편(651)이 용접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an L-shaped stay 648 is welded to an end portion of the transverse plate portion 632c of the base plate 632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rib-groove shaped steel 633 is fixed . A triangular plate spring 649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stay 648 by a bolt and a nut when viewed from the plane having the cushion member 652 therein and the arm portion 641 is in an open position And a switch member 650 serving as a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switch member 650 is inserted and fixed. A plate piece 651 in contact with the switch member 650 is welded to the contact rod 644 of the arm portion 641 when the arm portion 641 is in the closed posture.

판 스프링(649)은 아암부(641)를 폐쇄 자세로 유지 및 유지 해제 가능한 유지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즉, 아암부(641)가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 자세로 전환될 때, 수납 공간(S)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요동해 온 접촉 막대(644)가, 판 스프링(649)의 서로 접촉하는 2매의 박판 사이에 그 접촉력에 저항하여 들어가, 판 스프링(649)의 내부의 쿠션 부재(652)에 접촉하여 판 스프링(649) 내에 수용되는 동시에, 접촉 막대(644)의 판편(651)이 스위치 부재(650)에 접촉한다.The leaf spring 649 functions as a holding means capable of holding and holding the arm portion 641 in a closed posture. That is, when the arm portion 641 is switched from the open posture to the closed posture, the contact rod 644 swinging downward from above the storage space S is moved in two directions The plate member 654 is inserted against the contact force between the thin plates and contacts the cushion member 652 inside the plate spring 649 and is accommodated in the plate spring 649 and the plate piece 651 of the contact bar 644 contacts the switch member 650).

아암부(641)의 접촉 막대(644)가 판 스프링(649) 내에 수용됨으로써, 아암부(641)가 폐쇄 자세로 유지된다. 그리고 접촉 막대(644)의 판편(651)이 스위치 부재(650)에 접촉함으로써, 표시 수단으로서의 램프(653)에 전기 신호가 전달되어, 램프(653)가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가로 오거(609)가, 받침대(630)에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아암부(641)가 개방 자세로 되어 접촉 막대(644)의 판편(651)이 스위치 부재(650)와 접촉하고 있지 않을 때에 램프(653)가 점등되고, 접촉 막대(644)의 판편(651)이 스위치 부재(650)와 접촉하면 램프(653)가 소등되도록 하여, 아암부(641)가 개방 자세에 있는 것을 검출하도록 해도 되고, 혹은 반대로, 아암부(641)가 개방 자세로 되어 접촉 막대(644)의 판편(651)이 스위치 부재(650)와 접촉하고 있지 않을 때에 램프(653)가 소등되고, 접촉 막대(644)의 판편(651)이 스위치 부재(650)와 접촉하면 램프(653)가 점등되도록 하여, 아암부(641)가 폐쇄 자세에 있는 것을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The contact rod 644 of the arm portion 641 is received in the leaf spring 649 so that the arm portion 641 is held in the closed posture. The plate piece 651 of the contact rod 644 contacts the switch member 650 so that an electric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lamp 653 as display means and the lamp 653 is turned on or off. For example, when the transverse auger 609 is not housed in the pedestal 630, that is, when the arm portion 641 is in the open posture, the plate piece 651 of the contact rod 644 contacts the switch member 650 When the plate 651 of the contact bar 644 contacts the switch member 650, the lamp 653 is turned off so that the arm portion 641 is in the open position The lamp 653 is turned off when the arm portion 641 is in the open posture and the plate piece 651 of the contact rod 644 is not in contact with the switch member 650, When the plate piece 651 of the contact rod 644 contacts the switch member 650, the lamp 653 may be turned on to detect that the arm portion 641 is in the closed position.

램프(653)는 조종부(604)나 가로 오거(609) 등, 적당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지만, 작업자가 가로 오거(609)를 수납 자세로 선회시킬 때에, 시선의 이동이 적어지게 되도록 가로 오거(609)의 선단[배출구(609b) 등]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amp 653 can be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such as the control unit 604 or the horizontal auger 609. When the operator turns the horizontal auger 609 to the storage position, 609 (outlet port 609b, etc.) of the first and second outlet ports 609, 609. [

한편, 가로 오거(609)를 다시 배출 자세로 하는 경우에는, 세로 오거(608)의 상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가로 오거(609)를 상방으로 요동시키면, 가로 오거(609)의 기체측 부분(609A)의 상면이, 폐쇄 자세에 있는 아암부(641)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아암부(641)가 하방으로부터의 압박을 받아, 머신 볼트(643)의 축심 주위로 상방으로 요동하는 동시에, 접촉 막대(644)가 머신 볼트(643)의 축심 주위로 상방으로 요동하여 판 스프링(649)의 서로 접촉하는 2매의 박판 사이에 그 접촉력에 저항하여 들어가고 빠져나가, 아암부(641)의 폐쇄 자세 유지가 해제된다. 그리고 아암부(641)의 후방면(641d)이 종방향부(635b)의 절곡부(635c)에 로크되면, 아암부(641)의 저면(641a)과 받침 플레이트(635)의 종방향부(635b)가 대략 동일 높이로 되어, 아암부(641)가 종방향부(635b)의 연신 방향을 따라 상방을 향하는 개방 자세로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nsverse auger 609 is again set to the discharge posture, the transverse auger 609 is pivoted upward with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auger 608 as a fulcrum, Is in contact with the arm portion 641 in the closed posture. As a result, the arm portion 641 is pushed downward and pivots upward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machine bolt 643, and the contact rod 644 swings upward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machine bolt 643 The plate spring 649 resists the contact force between two thin plates contacting each other and exits to release the holding of the arm portion 641 in the closed position. When the rear surface 641d of the arm portion 641 is locked in the bent portion 635c of the longitudinal portion 635b, the bottom surface 641a of the arm portion 641 and the longitudinal portion of the receiving plate 635 635b are substantially at the same height so that the arm portion 641 is in the open position in the upward direction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portion 635b.

〔제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이하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여기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받침대(630) 및 아암부(641)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 부품과 동일한 작용을 갖는 구성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ut only the configurations of the pedestal 630 and the arm portion 641,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component parts having the same function,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받침대의 구성][Configuration of pedestal]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받침대(630)는, 베이스 플레이트(632)의 횡판부(632c)의 하면에 대해, 립 홈형강(633)의 단부면이 직접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634)에 있어서의 직각의 인접편 각각이, 립 홈형강(633)의 측면 및 베이스 플레이트(632)의 횡판부(632c)의 하면에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다.36, the pedestal 630 in this embodiment is directly wel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verse plate portion 632c of the base plate 632 with the end surface of the lip groove-shaped steel 633 . Each of the adjacent right-angled pieces of the support plate 634 is welded and fix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rib-shaped grooves 633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632c of the base plate 632.

립 홈형강(633)의 개방면에, 립 홈형강(633)과 대략 동일한 폭을 갖는 평판(663)이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핀(636)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해 평판(663)과, 평판(663)과 대치하는 립 홈형강(633)의 측면에 걸쳐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핀 삽입 관통 구멍(637)이, 상하 방향으로 2개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 기둥(631)의 상단부에는, 고정 핀(636)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해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핀 삽입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A flat plate 663 having a width substantially equal to that of the rib-groove shaped steel 633 is welded to the open face of the rib- A pin insertion through hole 637 passing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flat plate 663 and the lip groove-like steel 633 opposing the flat plate 66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inser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s shown in Fig. Further, a pin insertion hole (not shown) penetr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column 631 so as to insert the fixing pin 636 therethrough.

지지 기둥(631)을 베이스 플레이트(632)에 용접된 립 홈형강(633) 중에 끼움 삽입시켜, 지지 기둥(631)의 핀 삽입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과 립 홈형강(633)측의 핀 삽입 관통 구멍(637) 중 어느 하나와의 위치를 맞춘다. 그리고 고정 핀(636)을 립 홈형강(633)측의 핀 삽입 관통 구멍과 지지 기둥(631)의 핀 삽입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걸치도록 삽입 관통시켜, 립 홈형강(633)의 평판(663)측으로 돌출시키고, R핀(638)을 삽입하여 빠짐 방지한다. 즉, 고정 핀(636)을 삽입 관통시키는 립 홈형강(633)의 핀 삽입 관통 구멍(637)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받침대(630)의 높이[지지 기둥(63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support pillar 631 is inserted into the lip groove-shaped steel 633 welded to the base plate 632 so that the pin insertion hole (not shown) of the support column 631 and the pin And aligns with any one of the insertion through holes 637. The fixing pin 636 is inserted so as to extend through the pin insertion hole of the lip groove 633 side and the pin insertion hole (not shown) of the support column 631, And the R pin 638 is inserted to prevent it from slipping out. That is,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pin insertion hole 637 of the lip groove-shaped steel 633 through which the fixing pin 636 is inserted, the height of the base 630 (th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upporting column 631 Can be adjusted.

도 36 및 도 37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632)의 종판부(632a)에 있어서, 립 홈형강(633)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의 측면에, 햇(hat) 형상으로 굽힘 가공된 케이싱(664)이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6 and 37 (a) and 37 (b), in the longitudinal plate portion 632a of the base plate 632, on the side of the end opposite to the lip groove- and a casing 664 bent in a line shape is fixed by bolts.

도 36 및 도 38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664)은, 받침 플레이트(635)의 한 쌍의 종방향부(635b) 중, 립 홈형강(633)의 먼 부위에 위치하는 종방향부(635b)를 따르도록 경사져 고정되어 있다. 케이싱(664)의 오목부(664a)의 천장판(664b)에는 오목부(664a) 내에 수용되는 비틀림 스프링(665)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핀(666)과, 비틀림 스프링(665)의 단부를 로크시켜 두기 위한 제1 로크 핀(667)이, 천장판(664b)으로부터 오목부(664a) 내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8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핀(666) 및 제1 로크 핀(667)은 케이싱(664)의 천장판(664b)에 있어서, 지면 상의 좌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36 and 38 (a) and 38 (b), the casing 664 is formed in a pair of longitudinal portions 635b of the receiving plate 635, And is fixed to be inclined along the longitudinal portion 635b located at the position of the longitudinal portion 635b. The ceiling plate 664b of the concave portion 664a of the casing 664 is provided with a support pin 666 for supporting a torsion spring 665 received in the concave portion 664a and an end portion of the torsion spring 665 The first lock pin 667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ceiling plate 664b into the concave portion 664a. 38 (a) and 38 (b), the support pin 666 and the first lock pin 667 are disposed on the left side on the ground on the ceiling plate 664b of the casing 664 , And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도 36, 도 37의 (b) 및 도 38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장판(664b)의 대략 중앙부에는, 천장판(664b)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호 형상의 긴 구멍(669)이 형성되어 있고, 그 긴 구멍(669)의 원호의 중심 부근에, 천장판(664b)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둥근 구멍(670)이 형성되어 있다.36, 37 (b) and 38 (a) and 38 (b), an approximately arc-shaped A circular hole 670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eiling plate 664b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circular arc of the long hole 669. [

[아암부의 구성] [Configuration of arm portion]

아암부(641)는 전체적으로 가늘고 길며 둥그렇게 되어 있는 평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암부(641)의 단부에는, 지지점축으로 되는 헤드가 달린 핀(663)을 장착하기 위한 제1 장착 구멍(661)과, 비틀림 스프링(665)의 단부를 로크시켜 두기 위한 제2 로크 핀(668)을 장착하기 위한 제2 장착 구멍(66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장착 구멍(661)은, 제2 장착 구멍(662)보다도 약간 대직경이고, 또한 아암부(641)의 약간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The arm portion 641 is formed by a flat plate which is generally elongated and rounded. A first mounting hole 661 for mounting a pin 663 with a head serving as a fulcrum shaft and a second lock pin 662 for locking the end of the torsion spring 665 are provided at the end of the arm portion 641 A second mounting hole 662 is formed for mounting the first mounting hole 668. [ The first mounting hole 661 is slightly larger in diameter than the second mounting hole 662 and is formed slightly inside the arm portion 641.

아암부(641)의 제1 장착 구멍(661) 및 제2 장착 구멍(662)의 부근의 단부의 측면에는, 가로 오거(609)의 기체측 부분(609A)과 접촉하는 접촉 부분으로서의 접촉 막대(644)가 용접되어 있다. 접촉 막대(644)는 아암부(641)의 연신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고, 고정되는 기부로부터 선단부에 걸쳐 완만하게 산 형상으로 융기하는 형상을 갖는다.A side surface of the end portion near the first mounting hole 661 and the second mounting hole 662 of the arm portion 641 is provided with a contact bar 601A as a contact portion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as- 644 are welded. The contact rod 644 is fix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elongating direction of the arm portion 641 and has a shape rising gently in a mountain-like shape from the fixed base portion to the distal end portion.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가 달린 핀(663)이, 아암부(641)의 제1 장착 구멍(661)과, 케이싱(664)의 천장판(664b)의 둥근 구멍(670)에 걸쳐 삽입 관통되어 있고, 둥근 구멍(670)측에서 빠짐 방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아암부(641)가, 케이싱(664)에 대해 헤드가 달린 핀(663)의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pin 663 with the head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mounting hole 661 of the arm portion 641 and the round hole 670 of the ceiling plate 664b of the casing 664 And is prevented from coming off from the round hole 670 side. Thereby, the arm portion 641 is swingably connected to the casing 664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pin 663 with the head.

또한, 제2 로크 핀(668)이, 아암부(641)의 제2 장착 구멍(662)과, 케이싱(664)의 천장판(664b)의 긴 구멍(669)에 걸쳐 삽입 관통되어 있고, 제2 로크 핀(668)의 단부가, 케이싱(664)의 천장판(664b)으로부터 오목부(664a) 내로 돌출된 상태로 된다. 아암부(641)가 헤드가 달린 핀(663)의 축심 주위로 요동하면, 제2 로크 핀(668)의 단부도 아암부(641)의 요동과 함께 긴 구멍(669)을 따라 이동한다.The second lock pin 668 is inserted through the second mounting hole 662 of the arm portion 641 and the long hole 669 of the ceiling plate 664b of the casing 664, The end portion of the lock pin 668 is projected into the concave portion 664a from the ceiling plate 664b of the casing 664. [ When the arm portion 641 swings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pin 663 with the head,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lock pin 668 also moves along the long hole 669 together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arm portion 641. [

도 38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665)은, 지지 핀(666)에 의해 지지되면서, 케이싱(664)의 오목부(664a) 내에 수용된다. 비틀림 스프링(665)의 양단부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그 일단부가 제1 로크 핀(667)에 로크되고, 타단부가 제2 로크 핀(668)에 로크되어, 상방을 향하는 자세로 유지된다.38 (a) and 38 (b), the torsion spring 665 is received in the concave portion 664a of the casing 664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 pin 666. As shown in Fig. Both ends of the torsion spring 665 are presse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so that one end thereof is locked to the first lock pin 667 and the other end is locked to the second lock pin 668, maintain.

상기 구성에 의해, 아암부(641)는 수납 공간(S)의 상방을 개방하기 위해 상방을 향하는 개방 자세[도 37의 (b)의 실선 부분, 도 38의 (a)]와, 수납 공간(S)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폐쇄 자세[도 37의 (b)의 2점 쇄선 부분, 도 38의 (b)]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된다.With this arrangement, the arm portion 641 has an open position (solid line portion in FIG. 37 (b), FIG. 38 (a)) directed upward to ope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S, S (the two-dot chain line portion in FIG. 37 (b), and FIG. 38 (b)) covering it from above.

즉, 도 37의 (b)의 실선 부분 및 도 3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암부(641)가 개방 자세에 있을 때, 아암부(641)의 저면(641a)과 받침 플레이트(635)의 종방향부(635b)가 대략 동일 높이로 되어, 아암부(641)가 종방향부(635b)의 연신 방향을 따라 상방을 향하는 자세로 된다. 이때, 아암부(641)의 제2 로크 핀(668)이, 긴 구멍(669)의 하단부측으로 이동하도록[아암부(641)가 개방 자세측으로 요동하도록] 비틀림 스프링(665)에 의해 가압되면서, 스토퍼로서 케이싱(664)의 긴 구멍(669)의 하단부에 접촉함으로써, 아암부(641)가 수납 공간(S)으로부터 더욱 이격되는 측으로의 요동이 저지되어, 아암부(641)의 개방 자세가 유지된다.37 (b), when the arm portion 641 is in the open position, the bottom surface 641a of the arm portion 641 and the bottom surface 641a of the support plate The longitudinal portions 635b of the arms 631 and 635 are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so that the arm portions 641 are oriented upwardly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portion 635b. At this time, the second lock pin 668 of the arm portion 641 is pressed by the torsion spring 665 so that the arm portion 641 is moved toward the lower end side of the long hole 669 (so that the arm portion 641 swings toward the open posture side) The stopp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elongated hole 669 of the casing 664 to prevent the arm portion 641 from swinging further away from the accommodating space S so that the opening position of the arm portion 641 is maintained do.

도 3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암부(641)가 개방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는, 접촉 막대(644)가 수용 공간(S)의 상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접촉 막대(644)의 선단부가, 가로 오거(609)의 기체측 부분(609A)을 수납 공간(S)에 수납하였을 때의 기체측 부분(609A)의 축심을 지나는 연직면(W)과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37 (b), in a state in which the arm portion 641 is in the open posture, the contact bar 644 is disposed above the accommodation space S as shown in Fig.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ontact rod 644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face passing through the central axis of the gas-side portion 609A when the gas-side portion 609A of the lateral auger 609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S W).

또한, 아암부(641)가 개방 자세에 있는 경우, 가로 오거(609)는 받침대(630)의 수납 공간(S)에 수납되어 있지 않다. 즉, 이때의 가로 오거(609)는, 곡립 탱크(606)에 저류된 곡립을 배출하기 위해, 기체의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선단의 배출구(609b)가, 예를 들어 기체의 좌측에 배치된 트럭의 짐받이 등을 향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Further, when the arm portion 641 is in the open position, the lateral auger 609 is no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S of the pedestal 630. That is, the horizontal auger 609 at this time is protruded to the left side of the base in order to discharge the grains stored in the grapefruit tank 606, and the discharge port 609b at the tip thereof is disposed, for example, on the left side of the base Which is in a state in which the load is directed to the load carrier of the truck.

그리고 곡립 탱크(606) 내의 곡류의 배출을 완료한 후, 가로 오거(609)를 수납 자세로 하기 위해, 세로 오거(608)의 종방향 축심 주위로 기체의 우측으로 선회시켜(도 33의 지면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 가로 오거(609)의 기체측 부분(609A)을 받침대(630)의 바로 위에 배치시킨다.After completing the discharge of the grains in the grape tanks 606, the gravitational tank 609 is turned to the right of the gas around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vertical auger 608 , The gas-side portion 609A of the lateral auger 609 is disposed just above the pedestal 630. [

이어서, 세로 오거(608)의 상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가로 오거(609)를 하방으로 요동시키면, 가로 오거(609)의 기체측 부분(609A)의 하면이, 개방 자세에 있는 아암부(641)의 접촉 막대(644)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접촉 막대(644)가 상부로부터의 압박을 받아, 헤드가 달린 핀(663)의 축심 주위로 하방으로 요동하는 동시에, 아암부(641)가 헤드가 달린 핀(663)의 축심 주위로 수납 공간(S)측으로 요동한다.The lower face of the gas side portion 609A of the lateral auger 609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the arm portion 641 in the open position, Contacts the contact rod 644. This causes the contact rod 644 to be pushed from the upper side and pivot downward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pin 663 with the head and the arm portion 641 is rotated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pin 663 with the head And swings toward the storage space S side.

이때, 아암부(641)가 수납 공간(S)측으로 요동하면, 아암부(641)의 제2 로크 핀(668)이 긴 구멍(669)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여, 비틀림 스프링(665)의 양단부가 서로 근접한다. 그리고 그때까지 긴 구멍(669)의 하단부측으로 이동하도록 가압되고 있었던 제2 로크 핀(668)이, 긴 구멍(669)에 있어서의 소정의 데드 포인트를 통과하면, 다음에는 긴 구멍(669)의 상단부측으로 이동하도록[아암부(641)가 폐쇄 자세측으로 요동하도록] 비틀림 스프링(665)에 의해 가압된다. 이에 의해, 아암부(641)가, 수납 공간(S), 즉 가로 오거(609)의 기체측 부분(609A)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폐쇄 자세로 유지된다.The second lock pin 668 of the arm portion 641 moves upward along the elongated hole 669 and the both ends of the torsion spring 665 move upward Are close to each other. Then, when the second lock pin 668, which has been pressed to move to the lower end side of the long hole 669, passes the predetermined dead point in the long hole 669, then the upper end of the long hole 669 (The arm portion 641 is swung toward the closed posture side). Thereby, the arm portion 641 is held in the closing posture in which the housing space S, that is, the gas-side portion 609A of the lateral auger 609 is covered from above.

또한, 아암부(641)가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 자세로 전환될 때, 수납 공간(S)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요동해 온 접촉 막대(644)가, 판 스프링(649)의 서로 접촉하는 2매의 박판 사이에 그 접촉력에 저항하여 들어가, 판 스프링(649)의 내부의 쿠션 부재(652)에 접촉하여 판 스프링(649) 내에 수용되는 동시에, 접촉 막대(644)의 판편(651)이 스위치 부재(650)에 접촉한다. 아암부(641)의 접촉 막대(644)가 판 스프링(649) 중에 수용됨으로써, 아암부(641)가 더욱 확실하게 폐쇄 자세로 유지된다.When the arm portion 641 is switched from the open posture to the closed posture, the contact rod 644 swinging downward from above the storage space S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late spring 649, The plate member 654 is inserted against the contact force between the thin plates and contacts the cushion member 652 inside the plate spring 649 and is accommodated in the plate spring 649 and the plate piece 651 of the contact bar 644 contacts the switch member 650). The contact rod 644 of the arm portion 641 is received in the leaf spring 649 so that the arm portion 641 is held in the closed position more reliably.

아암부(641)가 폐쇄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는, 아암부(641)의 연신 방향이, 종방향부(635b)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고 있고, 아암부(641)의 연신 방향에 있어서의 종방향부(635b)으로부터의 길이 T는, 가로 오거(609)의 기체측 부분(609A)의 단면에 있어서의 반경 r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T>r).When the arm portion 641 is in the closed posture, the elongation direction of the arm portion 641 is orthogonal to the elongation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portion 635b,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 portion 641 in the elongation direction The length T from the portion 635b is set longer than the radius r in the cross section of the gas side portion 609A of the lateral auger 609 (T &gt; r).

한편, 가로 오거(609)를 다시 배출 자세로 하는 경우에는, 세로 오거(608)의 상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가로 오거(609)를 상방으로 요동시키면, 가로 오거(609)의 기체측 부분(609A)의 상면이, 폐쇄 자세에 있는 아암부(641)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아암부(641)가 하방으로부터의 압박을 받아 헤드가 달린 핀(663)의 축심 주위로 상방으로 요동하는 동시에, 접촉 막대(644)가 헤드가 달린 핀(663)의 축심 주위로 상방으로 요동하여 판 스프링(649)의 서로 접촉하는 2매의 박판 사이에 그 접촉력에 저항하여 들어가고 빠져나가 아암부(641)의 폐쇄 자세 유지가 해제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nsverse auger 609 is again set to the discharge posture, the transverse auger 609 is pivoted upward with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auger 608 as a fulcrum, Is in contact with the arm portion 641 in the closed posture. Thereby, the arm portion 641 is pushed downward and pivots upward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pin 663 with the head, and the contact rod 644 moves upward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pin 663 with the head And resists the contact force between two thin plates of the leaf spring 649 which contact each other and exits to release the holding of the arm portion 641 in the closed position.

이때, 아암부(641)가 상방으로 요동하면, 아암부(641)의 제2 로크 핀(668)이 긴 구멍(669)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여, 비틀림 스프링(665)의 양단부가 서로 이격된다. 그리고 그때까지 긴 구멍(669)의 상단부측으로 이동하도록 가압되고 있었던 제2 로크 핀(668)이, 긴 구멍(669)에 있어서의 소정의 데드 포인트를 통과하면, 다음에는 긴 구멍(669)의 하단부측으로 이동하도록 비틀림 스프링(665)에 의해 가압된다. 그리고 아암부(641)의 제2 로크 핀(668)이 긴 구멍(669)의 하단부에 접촉하면, 아암부(641)의 저면(641a)과 받침 플레이트(635)의 종방향부(635b)가 대략 동일 높이로 되어, 아암부(641)가 종방향부(635b)의 연신 방향을 따라서 상방을 향하는 개방 자세로 된다.At this time, when the arm portion 641 swings upward, the second lock pin 668 of the arm portion 641 moves downward along the long hole 669, so that both ends of the torsion spring 665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n, when the second lock pin 668 which has been pressed to move toward the upper end side of the long hole 669 passes the predetermined dead point in the long hole 669, then the lower end of the long hole 669 And is urged by a torsion spring 665 so as to move to the side. When the second lock pin 668 of the arm portion 641 contacts the lower end of the elongated hole 669, the bottom surface 641a of the arm portion 641 and the longitudinal portion 635b of the receiving plate 635 So that the arm portion 641 becomes an open posture in which the arm portion 641 faces upward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portion 635b.

〔다른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s]

〔1〕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아암부(641)를, 받침대(630)의 종방향부(635b)에 대해,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장착함으로써 구성해도 된다. 즉, 개방 자세에 있어서는, 아암부(641)가 받침대(630)의 종방향부(635b)의 횡외측으로 돌출되어 수납 공간(S)의 상방을 개방하고 있고, 폐쇄 자세에 있어서는, 가로 오거(609)를 수납 공간(S)에 수납할 때에 아암부(641)의 접촉 부분에 접촉함으로써, 아암부(641)가 받침대(630)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수납 공간(S)의 상방을 덮도록 구성된다.[1] The arm portion 641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be slidably mounted to the longitudinal portion 635b of the pedestal 630 in the lateral direction. That is, in the open posture, the arm portion 641 protrudes laterally outward of the longitudinal portion 635b of the pedestal 630 to open above the storage space S, and in the closed posture, 609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of the arm portion 641 when the arm portion 641 is housed in the storage space S so that the arm portion 641 slides toward the pedestal 630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S .

〔2〕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판 스프링(649)(보유 지지 수단), 스위치 부재(650)(검출 수단) 및 램프(653)(표시 수단)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서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2] As for the leaf spring 649 (holding means), the switch member 650 (detection means), and the lamp 653 (display mean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refore, it may be installed.

예취 곡물대의 이삭끝측을 취급실에 공급하여 탈곡하는 탈곡 장치를 구비하는 콤바인 외에, 예취 곡물대의 밑동으로부터 이삭끝까지의 전체를 취급실에 공급하여 탈곡하는 전간 투입형 탈곡 장치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이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 combine equipped with a full-thrown-in type threshing device for feeding the whole of the cutting sprocket from the base to the end of the work to the handling room for tipping, in addition to a combine having a threshing device for feeding the work- have.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탑승 운전부 구조는, 탑승 운전부에 캐빈을 장비하고, 탑승 운전부의 후방 하부에 엔진 커버를 구비한 자탈형 콤바인 또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에 적용할 수 있다.The combine operation structure of the 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demoulding type combine harvester equipped with a cabin in the loading operation section and an engine cover in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operation section.

본 발명은, 보통형 콤바인이나 운전부를 덮는 캐빈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자탈형이나 보통형 콤바인에도 적용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elf-deformation type or normal type combine which is not provided with a normal type combine or a cabin that covers the operation portion.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에 한정되지 않고, 보통형 콤바인에도 이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elf-deformation type combine, but can be applied to the ordinary type combine.

20 : 운전 캐빈
22 : 전방벽
22d : 전방벽의 하단부
26a : 운전 캐빈의 출입구
28 : 시일 유지 부재
30 : 운전 좌석
31 : 프론트 운전 패널
31a : 프론트 운전 패널의 상단부
40 : 조작구
50 : 주 운전 패널
50r : 주 운전 패널의 후단부
51 : 부 운전 패널
51E : 부 운전 패널의 단부
51r : 부 운전 패널의 후단부
52 : 시일 부재
54 : 방향 지시기
70 : 프론트 커버
70b : 프론트 커버의 횡단부
75 : 시일 부재
77 : 시일 부재
F : 전방면
R : 운전실
201 : 주행 기체
202 : 탑승 운전부
209 : 엔진
216 : 운전 좌석
221 : 엔진 커버
224 : 전방 커버부
225 : 상부 커버부
226 : 횡커버부
226A : 전방 측부 테두리부
230 : 캐빈
243 : 승강구
244 : 도어
244A : 외주연부
244a : 전방 테두리 부분
244d : 상측 후방 테두리 부분
244e : 하측 후방 테두리 부분
245 : 도어 수용 프레임
245d : 상측 후방 테두리 부분
245e : 하측 후방 테두리 부분(도어 수용부)
262 : 경사면 커버부
266 : 고정구
263 : 힌지
267 : 도어 핸들
269 : 보조 핸들
270 : 보조 핸들
274 : 지지축
402 : 주행 기체
408 : 탈곡 장치
413 : 운전 좌석
424 : 에어 클리너
427 : 사이드 리어 패널(조작 패널에 상당)
427A : 제1 조작 패널부
427B : 제2 조작 패널부
434 : 배출 짚 처리 전환 레버
442 : 곡립 배출용 오거
445 : 배출 클러치 레버
445a : 상단부 조작부
447 : 선회 스위치(지령 스위치에 상당)
447a : 조작부
448 : 승강 스위치(지령 스위치에 상당)
448a : 조작부
R2 : 급기부(클리너 설치부에 상당)
606 : 곡립 탱크
608 : 세로 오거
609 : 가로 오거
630 : 받침대
635 : 받침 플레이트
635a : 저부
635b : 종방향부
641 : 아암부
641d : 후방면(스토퍼 부재)
644 : 접촉 막대(접촉 부분)
649 : 판 스프링(유지 수단)
650 : 스위치 부재(검출 수단)
653 : 램프(표시 수단)
S : 수납 공간
20: Driving cabin
22: Front barrier
22d: the lower end of the front wall
26a: Driving cabin entrance
28: Seal holding member
30: Driver's seat
31: Front operation panel
31a: upper end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40:
50: Main operation panel
50r: the rear end of the main operation panel
51: Sub operation panel
51E: end of the auxiliary operation panel
51r: rear end of the auxiliary operation panel
52: Seal member
54: Direction indicator
70: Front cover
70b: transverse section of the front cover
75: Seal member
77: Seal member
F: front side
R: Cab
201: traveling gas
202:
209: engine
216: Driver's seat
221: Engine cover
224: front cover part
225: upper cover part
226:
226A: front side edge portion
230: Cabin
243:
244: Door
244A: Outer edge
244a: front edge portion
244d: upper rear edge portion
244e: Lower rear edge portion
245: door receiving frame
245d: upper rear edge portion
245e: Lower rear edge portion (door receiving portion)
262: inclined surface cover portion
266: Fixture
263: Hinge
267: Door handle
269: Auxiliary handle
270: Auxiliary handle
274: Support shaft
402: traveling gas
408: Thresher
413: Driver's seat
424: Air cleaner
427: Side rear pane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panel)
427A: first operation panel section
427B: the second operation panel section
434: Exhaust straw switching lever
442: auger for grainy discharge
445: Exhaust clutch lever
445a:
447: Swing switch (equivalent to command switch)
447a:
448: Lift / lower switch (equivalent to command switch)
448a:
R2: Supply part (equivalent to cleaner mounting part)
606: Grape tanks
608: Portrait Ogre
609: Horizontal overrun
630: pedestal
635: Support plate
635a:
635b:
641:
641d: rear surface (stopper member)
644: Contact rod (contact area)
649: leaf spring (holding means)
650: Switch member (detection means)
653: Lamp (display means)
S: Storage space

Claims (30)

운전 좌석의 전방에 기체 상하향 자세로 설치하는 동시에 조작구를 구비한 프론트 운전 패널과, 상기 프론트 운전 패널 상방에 위치하는 전방벽을 구비하여 운전실을 형성하는 운전 캐빈을 구비한 콤바인이며,
상기 운전 캐빈의 전방벽의 하단부가 상기 프론트 운전 패널 상단부의 전방에 상기 프론트 운전 패널 상단부와 기체 전후 방향으로 겹쳐져 위치하도록 상기 운전 캐빈을 구성하고,
상기 운전 캐빈의 전방벽의 하단부로부터 기체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 단부가 상기 프론트 운전 패널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프론트 커버를 설치하고 있는, 콤바인.
A combine having a front operation panel provided with a manipulator and installed in a gas up-down position in front of a driver's seat, and a driving cab having a front wall positioned above the front operation panel to form a cab,
The lower end of the front wall of the operation cabin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upper end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so as to overlap with the upper end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gas,
And a front cover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wall of the operation cabin to the lower side of the gas supply and having an extending end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벽과 상기 프론트 운전 패널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를 상기 프론트 커버의 이면측에 배치하고, 상기 시일 부재를 유지하는 시일 유지 부재를, 상기 전방벽측 또는 상기 프론트 커버측에 구비한, 콤바인.The front cov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eal member for sealing between the front wall and the front operation panel is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front cover, and a seal holding member for holding the seal member is provided on the front wall side or the front cover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의 연장 단부에 시일 부재를 상기 프론트 운전 패널의 전방면에 압박 접촉되는 상태로 장착하고 있는, 콤바인.The comb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eal member is mounted on an extended end of the front cover in a state of being pressed against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operation panel.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운전 패널을, 서로 연결되어 좌우로 배열되는 주 운전 패널과 부 운전 패널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는, 콤바인.4. The combi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ront operation panel comprises a main operation panel and a sub-operation panel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laterally arrang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 운전 패널의 단부를 상기 주 운전 패널의 전방 또는 후방에 겹쳐 배치하고 있는, 콤바인.The combin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n end portion of the sub-operation panel is disposed in front of or behind the main operation pane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가 상기 주 운전 패널 및 상기 부 운전 패널의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5. The combin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ront cover is provided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operation panel and the sub-operation pane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 운전 패널의 단부를 상기 주 운전 패널의 전방에 겹쳐 배치하고 있고,
상기 프론트 커버의 횡단부가, 상기 주 운전 패널의 상기 부 운전 패널에 겹쳐지는 부위와 상기 부 운전 패널의 상기 주 운전 패널에 겹쳐지는 부위 사이에 들어가 있는, 콤바인.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n end of the sub-operation panel is disposed in front of the main operation panel,
Wherein a transverse portion of the front cover is interposed between a portion overlapping the sub-operation panel of the main operation panel and a portion overlapping the main operation panel of the sub-operation pane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 운전 패널과 상기 부 운전 패널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시일 부재를 설치하고 있는, 콤바인.The combin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sealing member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main operation panel and the sub-operation pane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 운전 패널을 상기 주 운전 패널보다 기체 횡외측에 배치하고, 상기 부 운전 패널에 방향 지시기를 장착하고 있는, 콤바인.The combin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ub-operation panel is disposed on the transversely outer side of the main operation panel and the direction indicator is mounted on the sub-operation pane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 운전 패널을, 이것의 후단부가 상기 운전 캐빈의 출입구의 기체 전방 측부 테두리를 따라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부 운전 패널의 후단부가 상기 주 운전 패널의 후단부보다도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방에 위치하고 있는, 콤바인.The rear operation panel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ub-operation panel is formed such that a rear end thereof is located along an edge of a gas front side of an entrance of the operation cabin, and a rear end of the sub- The combine, loc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053039A 2011-05-19 2012-05-18 Combine, structure of boarding driving section of combine, and operation device for auger for discharging grain in combine KR10195195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12660A JP5921086B2 (en) 2011-05-19 2011-05-19 Combine
JPJP-P-2011-112660 2011-05-19
JP2011146236A JP5603838B2 (en) 2011-06-30 2011-06-30 Combine
JPJP-P-2011-146236 2011-06-30
JP2011146521A JP5739251B2 (en) 2011-06-30 2011-06-30 Combined drive section structure
JPJP-P-2011-146238 2011-06-30
JPJP-P-2011-146521 2011-06-30
JP2011146238A JP5832166B2 (en) 2011-06-30 2011-06-30 Operation device of auger for grain discharge in comb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822A KR20120129822A (en) 2012-11-28
KR101951953B1 true KR101951953B1 (en) 2019-04-25

Family

ID=4746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039A KR101951953B1 (en) 2011-05-19 2012-05-18 Combine, structure of boarding driving section of combine, and operation device for auger for discharging grain in combi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921086B2 (en)
KR (1) KR10195195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435B1 (en) * 2016-12-19 2023-09-1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Combine
JP6877220B2 (en) * 2017-03-31 2021-05-26 株式会社クボタ Harvester
CN208590281U (en) * 2017-03-31 2019-03-12 株式会社久保田 Harvester
KR102652751B1 (en) * 2018-02-09 2024-04-0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Comb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4929A (en) 2001-06-01 2002-12-10 Kubota Corp Driving part structure of combine harvester
JP2006238792A (en) 2005-03-03 2006-09-14 Kubota Corp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of combine harvester
JP2006320233A (en) 2005-05-18 2006-11-30 Kubota Corp Combin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0921A (en) * 1984-09-14 1986-04-11 井関農機株式会社 Left and right revolving operation apparatus of cereal feed cylinder
JPS61173233U (en) * 1985-04-16 1986-10-28
JPS62163637A (en) * 1986-01-13 1987-07-20 井関農機株式会社 Grain discharege apparatus of combine
JPS62149931U (en) * 1986-03-18 1987-09-22
JPH0667285B2 (en) * 1988-07-13 1994-08-31 株式会社クボタ Combined driving section structure
JPH0617445U (en) 1992-08-18 1994-03-08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Support structure of grain discharge auger in combine
JPH0970217A (en) * 1995-09-07 1997-03-18 Iseki & Co Ltd Cabin in combine harvester
JPH11266648A (en) 1998-03-20 1999-10-05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Engine cover structure of combine harvester
JP2001275467A (en) 2000-04-03 2001-10-09 Iseki & Co Ltd Grain discharge unit in working machine
JP4820078B2 (en) * 2004-10-13 2011-11-24 八鹿鉄工株式会社 Combine waste disposal device
JP2006238793A (en) 2005-03-03 2006-09-14 Kubota Corp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of combine harvester
JP5101573B2 (en) 2009-07-17 2012-12-19 株式会社クボタ Combine grain unload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4929A (en) 2001-06-01 2002-12-10 Kubota Corp Driving part structure of combine harvester
JP2006238792A (en) 2005-03-03 2006-09-14 Kubota Corp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of combine harvester
JP2006320233A (en) 2005-05-18 2006-11-30 Kubota Corp Comb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239426A (en) 2012-12-10
KR20120129822A (en) 2012-11-28
JP5921086B2 (en)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1826A (en) Skid steer loader cab mounting apparatus
KR101951953B1 (en) Combine, structure of boarding driving section of combine, and operation device for auger for discharging grain in combine
US8205701B2 (en) Operating system for tractor
JP4404875B2 (en) Outside air introduction structure for work vehicles
JP7272915B2 (en) work vehicle
US20070145779A1 (en) Rotatable cab with toe guard
JP5739251B2 (en) Combined drive section structure
CN202799657U (en) Combine harvester
KR101861853B1 (en) Combine
JP4681502B2 (en) Air conditioning structure of tractor
JP4404874B2 (en) Air conditioning structure of work vehicle
JP5722611B2 (en) Combine
JP2017055706A (en) Harvester
JP4681503B2 (en) Outside air intake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of work vehicles
JP3943431B2 (en) Combine cabin
JP2007308030A (en) Air conditioning structure for work vehicle
JP5351876B2 (en) Work vehicle
JP5530551B2 (en) Work vehicle
CN210226231U (en) Working vehicle
JPH08834Y2 (en) Combined driving section structure
JP4188219B2 (en) Front panel structure of a three-wheel dump truck
JP4681522B2 (en) Work vehicle
JP4880732B2 (en) Air conditioning structure of work vehicle
JP4564380B2 (en) Combine door open / close structure
JP2006238793A (en)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of combine harve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