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885B1 - 혼합액 부유물질농도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혼합액 부유물질농도 측정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1885B1 KR101951885B1 KR1020170085618A KR20170085618A KR101951885B1 KR 101951885 B1 KR101951885 B1 KR 101951885B1 KR 1020170085618 A KR1020170085618 A KR 1020170085618A KR 20170085618 A KR20170085618 A KR 20170085618A KR 101951885 B1 KR101951885 B1 KR 1019518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entration
- vial
- sludge
- suspended solids
- activated sludg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9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5469 gran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3179 granul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ZLNQQNXFFQJAID-UHFFFAOYSA-L magnes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Mg+2].[O-]C([O-])=O ZLNQQNXFFQJAID-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6 consolid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8 calibration curv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QJZYHAIUNVAGQP-UHFFFAOYSA-N 3-nitrobicyclo[2.2.1]hept-5-ene-2,3-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C2C=CC1C(C(=O)O)C2(C(O)=O)[N+]([O-])=O QJZYHAIUNVAGQ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LVVSXFLKOJNIY-UHFFFAOYSA-N Magnesium ion Chemical compound [Mg+2] JLVVSXFLKOJN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08 a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68 cat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50 cellular structur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723 extracellular spa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9 flocc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6615 floc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1 hum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25 magnes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12 process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G01B11/0608—Height gaug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77—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77—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 G01N2001/4083—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sediment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바이알 내에 입상화 촉진제를 투입하는 단계; b) 활성 슬러지를 상기 바이알 내에 주입한 후 교반하는 단계; 및 c) 상기 교반 후 30분간 방치하여 침전된 슬러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액 부유물질농도의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SV30 측정과는 달리 생물학적 처리공정에 대하여 정확하게 혼합액 부유물질농도(MLSS)를 측정할 수 있고, 그 방법 또한 매우 간단하다. 따라서, 누구나 손쉽고도 정확하게 혼합액 부유물질농도 측정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혼합액 부유물질농도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활성 슬러지법(Activated Sludge Process)은 하수의 효율적 처리를 위하여 활성 슬러지를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 및 이와 함께 각종 물리, 화학적 처리를 병행하는 방법을 말한다. 상기 활성 슬러지법에 따르면 하수 안의 유기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폭기조 내에서 미생물로 구성된 활성 슬러지의 양을 고농도로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폭기조에서 생물학적 반응에 의해 하수 처리 과정이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는 폭기조 내에서 처리 중인 처리수의 MLDO(Mixed Liquor Dissolved Oxygen), MLSS(Mixed Liquor Suspended Solid), pH, SV30(Sludge Volume), 수온, SVI(Sludge Volume Index) 등의 측정값을 주기적으로 분석, 기록 및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오늘날 혼합액 부유물질농도(MLSS)를 측정하는 방법은 크게 메스실린더를 이용한 SV측정과 광센서를 이용한 분석법이 있다.
우선 메스실린더를 이용한 SV측정은 일반적으로 슬러지를 일정시간 동안 침전시켜 그 높이를 읽어 농도를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무게 분석법과 같이 측정하여 그 경향을 통해 농도를 예측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활성 슬러지의 운영에 따른 비중 변화 및 압밀 정도에 따라 많은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여러 처리장에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광센서를 이용한 측정법이 있는데, 이는 미생물 농도에 따른 빛의 투과도에 따른 농도를 추정하는 방법으로서, 시료 속의 탁도 색도에 의한 방해 작용 및 미생물 증식에 따른 슬라임 형성으로 사용 기간에 따라 보정해줘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검량선 작성을 위한 무게 측정법의 수분석이 동반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오늘날 폭기조에서 처리 중인 처리수의 분석을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SV30 방법인데, 상기 SV30 방법 역시 앞서 언급한 SV측정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활성 슬러지의 운영에 따른 비중 변화 및 압밀 정도에 따라 많은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여러 처리장에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SV30 측정법과는 달리 거의 대부분의 시료에 대하여 비교적 정확하게 혼합액 부유물질농도(MLSS)를 측정할 수 있고, 그 방법 또한 매우 간단하여, 누구나 손쉽게 정확한 혼합액 부유물질농도 측정이 가능한 측정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실시예에서 a) 바이알 내에 입상화 촉진제를 투입하는 단계; b) 활성 슬러지를 상기 바이알 내에 주입한 후 교반하는 단계; 및 c) 상기 교반 후 30분간 방치하여 침전된 슬러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액 부유물질농도의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액 부유물질농도의 측정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SV30 측정방법과는 달리 거의 대부분의 시료에 대하여 비교적 정확하게 혼합액 부유물질농도(MLSS)를 측정할 수 있고, 그 방법 또한 매우 간단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활성 슬러지의 EPS에 양이온을 흡착시키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혼합액 부유물질농도에 따른 최적의 입상화 촉진제 양을 설정하기 위한 실험 과정을 나타낸다.
도 3은 박테리아의 생물흡착을 알아보기 위한 사진으로써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박테리아의 EPS 존재 유무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혼합액 부유물질농도 측정을 위해 침전부 높이를 측정하는 기기로서, LED광원과 리니어(linear) 센서를 포함하는 측정기기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혼합액 부유물질농도에 따른 최적의 입상화 촉진제 양을 설정하기 위한 실험 과정을 나타낸다.
도 3은 박테리아의 생물흡착을 알아보기 위한 사진으로써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박테리아의 EPS 존재 유무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혼합액 부유물질농도 측정을 위해 침전부 높이를 측정하는 기기로서, LED광원과 리니어(linear) 센서를 포함하는 측정기기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활성 슬러지법(Activated Sludge Process)은 하수의 효율적 처리를 위하여 활성 슬러지를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 및 이와 함께 각종 물리, 화학적 처리를 병행하는 방법을 말한다. 상기 활성 슬러지법에 따르면 하수 안의 유기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폭기조 내에서 미생물로 구성된 활성 슬러지의 양을 고농도로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폭기조에서 생물학적 반응에 의해 하수 처리 과정이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는 폭기조 내에서 처리 중인 처리수의 MLDO(Mixed Liquor Dissolved Oxygen), MLSS(Mixed Liquor Suspended Solid), pH, SV30(Sludge Volume), 수온, SVI(Sludge Volume Index) 등의 측정값을 주기적으로 분석, 기록 및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오늘날 혼합액 부유물질농도(이하, MLSS라 함)를 측정하는 방법은 크게 메스실린더를 이용한 SV측정과 광센서를 이용한 분석법이 있다.
우선 메스실린더를 이용한 SV측정은 일반적으로 활성 슬러지를 일정시간 동안 침전시켜 그 높이를 읽어 농도를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무게 분석법과 같이 측정하여 그 경향을 통해 농도를 예측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활성 슬러지의 운영에 따른 비중 변화 및 압밀 정도에 따라 많은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여러 처리장에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광센서를 이용한 측정법이 있는데, 이는 미생물 농도에 따른 빛의 투과도에 따른 농도를 추정하는 방법으로서, 시료 속의 탁도 색도에 의한 방해 작용 및 미생물 증식에 따른 슬라임 형성으로 사용 기간에 따라 보정해줘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검량선 작성을 위한 무게 측정법의 수분석이 동반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오늘날, 폭기조에서 처리 중인 처리수의 분석을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SV30 방법인데, 상기 SV30 방법 역시 앞서 언급한 SV측정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폭기조 마지막 부분에서 시료를 채취하고, 1000ml 메스실린더에서 30분 후 침전된 슬러지의 높이를 측정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활성 슬러지의 운영에 따른 비중 변화 및 압밀 정도에 따라 많은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여러 처리장에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SV30 측정법과는 달리 생물학적 처리공정에 대하여 정확하게 혼합액 부유물질농도(MLSS)를 측정할 수 있고, 그 방법 또한 매우 간단하다. 따라서, 누구나 손쉽고도 정확하게 혼합액 부유물질농도 측정이 가능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LSS 측정방법은 a) 바이알 내에 입상화 촉진제를 투입하는 단계; b) 활성 슬러지를 상기 바이알 내에 주입한 후 교반하는 단계; 및 c) 상기 교반 후 30분간 방치하여 침전된 슬러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바이알 내에 입상화 촉진제를 투입한다(단계 a).
바이알(Vial)은 주사용 유리 용기의 하나로서, 본 발명에서 상기 바이알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입상화 촉진제는 활성 슬러지의 EPS에 이온을 흡착시킴으로써, 공정 운전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활성 슬러지의 비중(약 1.01 내지 1.04)을 증가시킴으로써 미생물의 침전성을 높일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관련하여, 도 3은 박테리아의 생물흡착을 알아보기 위한 사진으로써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을 이용하여 박테리아의 EPS의 존재 유무를 관찰한 사진으로서, 도 3A에서 양이온과 박테리아 내 흡착반응으로 인해 박테리아 내 EPS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3B에서 기존의 박테리아가 가지고 있는 EPS가 세포외곽에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도 3 참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폐수에 함유된 구성 물질을 먹이로 하여 신진대사를 하는 미생물은 세포 성분을 구성하는 바운더리 EPS(boundary EPS(extra polysaccharide))와 세포 외로 배출되는 용해성 EPS(soluble EPS) 두가지 종류가 있다. EPS의 구성물질은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 단백질(protein), 휴믹산(humic acid), 우론산(uronic acid) 등이며 활성 슬러지의 입상화에 관련되는 주요 물질은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와 단백질(protein)이다.
이러한 활성 슬러지의 세포 내의 주요 구성물질인 폴리사카라이드와 단백질에 대하여 입상화 촉진을 위하여, 폴리사카라이드의 관능기(functional group)는 하이드록실(hydroxyl: OH-)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입상 활성 슬러지를 만들기 위한 무기성 촉진제로서 칼슘 이온과의 반응이 용이하고, 단백질은 아마이드기(amide: NH2-)로 그룹이 구성되어 있어서 입상화를 위한 촉진제로 마그네슘 이온과의 반응이 용이하다.
예를 들어 무기성 촉진제의 경우 하·폐수의 유기물 농도와 질소 농도의 구성비로 판단할 때, 유기물 함량이 높은 폐수의 경우 입상화 촉진제로서 칼슘이 함유된 화합물을 이용하고, 반대로 질소 함량이 높은 폐수는 마그네슘이 함유된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상화 촉진제는 탄산칼슘(CaCO3) 및 탄산마그네슘(MgCO3)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a 단계는 10ml 바이알에 0.1 내지 0.2g의 입상화 촉진제를 투입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10ml 바이알에 0.15g의 입상화 촉진제를 투입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용량의 바이알, 상기와 같은 양의 입상화 촉진제 및 분석기기가 사용됨으로써, 정확성과 휴대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혼합액 부유물질농도를 손쉽게 바로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활성 슬러지를 상기 바이알 내에 주입한 후 교반한다(단계 b).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단계에서는 상기 a 단계에서 준비한 바이알에 활성 슬러지를 7 내지 8 ml 범위로 주입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입상화 촉진제 0.15g 당 활성 슬러지 8ml를 주입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의 Case 1은 실험대조군으로써 MLSS의 농도를 8,000, 4,000, 2,000 mg/L로 설정하여 약 30 min동안 침전시킨 후 Vial의 높이를 측정한 것이고, Case 2, Case 3 및 Case 4의 경우 입상화 촉진제의 양을 각각 달리 하여 같은 시간 침전 후 높이 관찰을 실시한 것으로서, 상기 실험 결과를 통해 입상촉진제의 최적 주입량을 도출한 것이다(도 2 참조).
관련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수중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미생물 플록은 전기적으로 음성을 띠고 있는데, 상기와 같이 양전하를 띠는 입상화 촉진제가 주입되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양전하를 띠는 촉진제가 슬러지 플록에 부착하게 되며 슬러지 플록의 표면 전하는 음전하에서 정전기적 중립 상태로 바뀌게 된다(도 1 참조).
상기 촉진제의 최적 주입량까지는 정전기적 척력이 감소하에 따라 활성슬러지 플록 간의 응집이 증가하고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하지만 촉진제가 적정 농도 이상의 과량이 주입되면 활성 슬러지 플록 표면에 양전하를 띠고 있는 첨가제가 계속 부착되어 오히려 활성 슬러지 플록의 표면 전하를 중립으로부터 양전하로 전환시킨다. 그에 따라 활성 슬러지 플록은 정전기적 척력에 의해 응집되었던 활성슬러지 플록이 해교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입상화 촉진제 0.15g 당 활성 슬러지 8ml를 주입하는 경우 플록 간의 응집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입자 크기가 최대로 증가하고, 활성 슬러지의 비중을 증가시켜 슬러지 침전이 용이해진다. 한편, 교반 과정은 구체적으로 초당 1회씩 25 내지 30초간, 보다 상세하게는 30초간 흔들어 교반한다. 상기 단계에서 10ml 바이알 내에 입상화 촉진제 0.15g이 들어있으므로, 활성 슬러지 8ml를 주입하는 것이, 플록 간의 응집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입자 크기가 최대로 증가하고, 활성 슬러지의 비중을 증가시켜 슬러지 침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교반 후 30분간 방치하여 침전된 슬러지의 농도를 측정한다(단계 c).
상기와 같이 하여 30 분간 방치하면, 바이알 내 침전 높이가 안정화 되고 슬러지 농도에 따라 그 높이는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를 측정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정 과정은 LED 광원 및 리니어 (Linear) 센서를 통해 침전된 슬러지의 정확한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광원 및 리니어 (Linear) 센서가 설치된 측정기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슬러지의 침전 높이에 따른 정확한 농도가 계산되어 측정기기에 표기 된다. 이를 통해 육안으로 높이를 확인하는 방법 보다 정확도가 증가할 수 있다(도 4 참조).
보다 상세하게, 도 4를 참조하면 LED 광원과 리니어(Linear) 센서(Sensor)를 이용하여 MLSS의 침전부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MLSS의 농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의 구성도를 확인할 수 있다. LED를 광원으로 하여 바이알(Vial)에 조사 하고, 빛이 투과되는 높이를 리니어(Linear) 센서(Sensor)로 측정한 다음 이를 수치적으로 출력하여 MLSS 농도를 표기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혼합액 부유물질농도의 측정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SV30 측정과는 달리 생물학적 처리공정에 대하여 정확하게 혼합액 부유물질농도(MLSS)를 측정할 수 있고, 그 방법 또한 매우 간단하다. 따라서, 누구나 손쉽고도 정확하게 혼합액 부유물질농도 측정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경기도 안성시 평택-제천고속도로에 위치한 안성맞춤휴게소 처리장에서 본 발명에 따른 혼합액 부유물질농도(MLSS)의 측정방법에 따라 10ml 바이알에 0.15g의 탄산칼슘을 투입한 후, 폭기조의 활성 슬러지 8ml을 바이알 내에 주입하여 초당 1회씩 30초간 흔들어 교반한 후 30분간 방치하여 침전된 슬러지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MLSS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모든 과정을 동일하게 하되, 경부고속도로에 위치한 안성휴게소(상행) 처리장에서 실시한 것만 달리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모든 과정을 동일하게 하되, 영동고속도로에 위치한 문막휴게소 처리장에서 실시한 것만 달리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모든 과정을 동일하게 하되, 남해고속도로에 위치한 사천휴게소 처리장에서 실시한 것만 달리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과 모든 과정을 동일하게 하되, 서부간선도로에 위치한 목감휴게소 처리장에서 실시한 것만 달리하였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
실제 MLSS 농도 |
5000 | 5000 | 9000 | 8000 | 4550 |
Kit 측정 농도 | 2500 | 2500 | 2200 | 2000 | 2400 |
희석배수 | 2 | 2 | 4 | 4 | 2 |
Kit 측정 농도 (희석배수고려) |
5000 | 5000 | 8800 | 8000 | 4900 |
정확도 | 100% | 100% | 97.8% | 100% | 94.5% |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MLSS를 측정하는 경우, 평균 98.46%의 측정 정확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정확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SV30 방법에 따른 측정 정확도로서 알려진 70%의 측정 정확도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된 정확도 수치이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측정방법은 10ml 바이알을 이용하여 수행하므로, 휴대성도 간편하고, 측정 방법 자체도 간단하여, 누구나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 a) 10ml 바이알 내에 탄산칼슘(CaCO3) 및 탄산마그네슘(MgCO3)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입상화 촉진제를 0.1 내지 0.2g 투입하는 단계;
b) 활성 슬러지를 상기 바이알 내에 7 내지 8ml 범위로 주입한 후 교반하는 단계; 및
c) 상기 교반 후 30분간 방치하고, LED 광원과 바이알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리니어(Linear) 센스를 통해 침전된 슬러지의 정확한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침전된 슬러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액 부유물질농도의 측정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교반 과정은 초당 1회씩 25 내지 35초간 흔들어 수행되는 것인 혼합액 부유물질농도의 측정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5618A KR101951885B1 (ko) | 2017-07-05 | 2017-07-05 | 혼합액 부유물질농도 측정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5618A KR101951885B1 (ko) | 2017-07-05 | 2017-07-05 | 혼합액 부유물질농도 측정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5058A KR20190005058A (ko) | 2019-01-15 |
KR101951885B1 true KR101951885B1 (ko) | 2019-02-25 |
Family
ID=65030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5618A KR101951885B1 (ko) | 2017-07-05 | 2017-07-05 | 혼합액 부유물질농도 측정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1885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0000Y1 (ko) * | 2001-02-22 | 2001-07-19 | 김매자 | 오염슬러지의 제거장치 |
JP2010271090A (ja) * | 2009-05-20 | 2010-12-02 | Hiyoshi:Kk | 活性汚泥特性測定装置及び活性汚泥特性測定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6906B2 (ja) * | 1986-04-10 | 1995-01-30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凝集物もしくは粒子状物体の画像認識装置 |
JPH0938414A (ja) * | 1995-07-26 | 1997-02-10 | Maruo Calcium Co Ltd | 凝集沈澱剤 |
KR100318660B1 (ko) * | 1998-11-03 | 2002-11-22 | 안영철 | 불소를함유한하폐수처리제및그를사용한하폐수처리방법 |
KR20000056667A (ko) * | 1999-02-24 | 2000-09-15 | 송승구 | 부유물질 농도 계측기기 제조를 위한 회로 설계 |
JP4685224B2 (ja) * | 2000-09-12 | 2011-05-18 | オルガノ株式会社 | 排水処理方法および排水処理装置 |
KR100977507B1 (ko) | 2008-04-28 | 2010-08-23 |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 생물반응조의 수온에 따라 질산화/탈질시간과 mlss를자동조절하는 고도처리방법 및 장치 |
-
2017
- 2017-07-05 KR KR1020170085618A patent/KR1019518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0000Y1 (ko) * | 2001-02-22 | 2001-07-19 | 김매자 | 오염슬러지의 제거장치 |
JP2010271090A (ja) * | 2009-05-20 | 2010-12-02 | Hiyoshi:Kk | 活性汚泥特性測定装置及び活性汚泥特性測定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5058A (ko) | 2019-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Liao et al. | Effect of solids retention time on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sludge flocs in sequencing batch reactors | |
Comte et al. | Biosorption properties of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EPS) towards Cd, Cu and Pb for different pH values | |
Liao et al. | Effects of temperature and dissolved oxygen on sludge properties and their role in bioflocculation and settling | |
Chaignon et al. | Evolution of size distribution and transfer of mineral particles between flocs in activated sludges: an insight into floc exchange dynamics | |
Murthy et al. | Effects of potassium ion on sludge settling, dewatering and effluent properties | |
Wilén et al. | The influence of key chemical constituents in activated sludge on surface and flocculating properties | |
Wang et al. |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treatment dosage of drinking water treatment residuals for effective phosphorus immobilization in sediments | |
KR0140976B1 (ko) | 펄프 및 제지 제조기 폐수의 탈색방법 | |
Su et al. | Investigation of measurement methods and characterization of zeta potential for aerobic granular sludge | |
KR101951885B1 (ko) | 혼합액 부유물질농도 측정방법 | |
Hosomi et al. | Release of phosphorus from lake sediments | |
Logsdon et al. | Mercury Removal by Conventional Water‐Treatment Techniques | |
Rebhun et al. | Effect of polyelectrolytes in conjunction with bentonitic clay on contaminants removal from secondary effluents | |
KR101600271B1 (ko) | 전하밀도 보상 응집제 투입률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
Aonofriesei et al. | Statistical analysis of morphological parameters of microbial aggregates in the activated sludge from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for improving its performances | |
Sengul et al. | Determin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efficiency of the polymer in solid–liquid separation with synthetic polymers | |
KR20240005343A (ko) | 총유기탄소 분석에서의 정도관리를 위한 표준입자의 제조방법 및 그 표준입자 | |
CN110395792A (zh) | 一种凝聚固化剂及其制备方法 | |
Zin et al. | Coagulation-flocculation of leachate by using single coagulant made from chemical coagulant (Polyaluminium Chloride) and natural coagulant (Tapioca Flour) | |
AU2016227740A1 (en) | Phosphate electrode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phosphate concentration | |
Qin et al. | Variations in phosphorus speciation in response to simulated riparian zone enhancement with red mud to treat reclaimed water | |
CN110794051A (zh) | 一种利用caf测定水中氨氮含量的方法 | |
CN117756371B (zh) | 一种水库沉积淤泥化学调理脱水控制方法 | |
KR102000885B1 (ko) | 탁도센서를 이용한 현탁물질의 농도측정 및 호기성 그래뉼 슬러지의 분율 확인장치 | |
El-Nahhas | Assessment of the drinking water clarification under condition of sludge return to floccul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