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657B1 - 역류 방지 뚜껑 - Google Patents

역류 방지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657B1
KR101951657B1 KR1020170032456A KR20170032456A KR101951657B1 KR 101951657 B1 KR101951657 B1 KR 101951657B1 KR 1020170032456 A KR1020170032456 A KR 1020170032456A KR 20170032456 A KR20170032456 A KR 20170032456A KR 101951657 B1 KR101951657 B1 KR 101951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exhaust hole
vacuum
back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5415A (ko
Inventor
한석재
Original Assignee
(주)제이월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월드텍 filed Critical (주)제이월드텍
Priority to KR1020170032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657B1/ko
Publication of KR20180105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28Upper closure of the 51-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해 용기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 작동이 수행되는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역류 방지 뚜껑은 용기의 내부와 통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하부 배기홀을 구비하는 하부 뚜껑, 하부 뚜껑의 상측에 위치하고, 관통되게 형성되어 하부 배기홀과 통하는 상부 배기홀을 구비하는 상부 뚜껑 및 상부 뚜껑과 하부 뚜껑 사이에 구비되며, 진공 작동 시 용기의 내부와 상부 배기홀이 통하게 하는 위치인 정상 작동 위치와, 용기의 내부와 상부 배기홀이 단절되게 하는 위치인 역류 방지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마련된 역류 방지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역류 방지 뚜껑{BACKFLOW PREVENTION CAP}
본 발명은 역류 방지 뚜껑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식재료를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한 진공 보관 용기나, 믹서기에 장착되는 용기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용기 내부의 물질을 분쇄하는 진공 믹서기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진공 장치를 이용하여 용기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과정에서, 용기의 내부의 공기뿐만 아니라 용기의 내부의 물질, 예를 들어 액체 또는 거품 등이 공기와 함께 진공 장치로 유입되면서, 진공 장치의 내부에 있는 전자 센서나 진공 펌프 등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용기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과정에서 용기가 넘어지면서 용기의 내부의 물질이 진공 장치로 유입되어 진공 장치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용기에 결합되는 뚜껑에 있어서, 용기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진공 작동의 수행 시, 용기의 내부의 물질, 예를 들어 액체 또는 거품 등이 진공 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용기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해 용기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 작동이 수행되는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역류 방지 뚜껑은 용기의 내부와 통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하부 배기홀을 구비하는 하부 뚜껑, 하부 뚜껑의 상측에 위치하고, 관통되게 형성되어 하부 배기홀과 통하는 상부 배기홀을 구비하는 상부 뚜껑 및 상부 뚜껑과 하부 뚜껑 사이에 구비되며, 진공 작동 시 용기의 내부와 상부 배기홀이 통하게 하는 위치인 정상 작동 위치와, 용기의 내부와 상부 배기홀이 단절되게 하는 위치인 역류 방지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마련된 역류 방지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역류 방지 뚜껑은 용기의 내부의 물질이 역류하면 역류 방지 위치로 변위되어, 용기의 내부의 물질이 진공 장치 등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뚜껑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뚜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뚜껑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뚜껑이 정상 작동 위치에 위치할 때 진공 작동이 수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뚜껑의 틈새가 폐쇄되었을 때 진공 작동이 수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뚜껑이 역류 방지 위치에 위치할 때 진공 작동이 수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역류 방지 뚜껑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뚜껑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뚜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뚜껑의 분해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뚜껑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진공 작동이란, 예를 들어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용기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작동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뚜껑(100)은 용기(200)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해 진공 작동이 수행되는 용기(200)의 개구부에 결합된다. 역류 방지 뚜껑이 결합되는 용기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용기는 예를 들어,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내용물을 보관하고자 하는 보관 용기나, 진공 상태로 음식물 등을 분쇄하기 위한 믹서기에 장착되는 용기일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역류 방지 뚜껑(100)은 하부 뚜껑(110), 씰링부재(130), 역류 방지 부재(150), 진공 밸브(170) 및 상부 뚜껑(190)을 포함한다.
하부 뚜껑(110)은 용기(200)의 내부와 통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하부 배기홀(113)과, 하부 배기홀(113)이 형성된 받침부(111)를 포함한다. 받침부(111)는 하부 뚜껑(110)에서 하측으로 함몰된 함몰 공간(114)을 포함하는 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배기홀(113)은 받침부(111)의 저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뚜껑(190)은 하부 뚜껑(110)의 상측에 위치한다. 상부 뚜껑(190)은 관통되게 형성되어 하부 배기홀(113)과 통하는 상부 배기홀(193)을 구비한다. 상부 뚜껑(190)은 진공 작동을 위한 진공 노즐(미도시)이 결합되는 배기 노즐(19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뚜껑(190)은 역류 방지 뚜껑(100)이 용기(200)에 결합되었을 때 용기(200)의 내부와 통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해제홀(197)과, 해제홀(197)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해제홀(197)을 개폐하는 진공 해제부재(19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역류 방지 뚜껑(100)이 결합된 용기(200)에서 역류 방지 뚜껑(100)을 분리시키고자 할 때, 용기(200)의 내부가 진공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용기(200)의 내외부 압력차에 의해 뚜껑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진공 해제부재(199)를 상부 뚜껑(190)에서 분리시켜 해제홀(197)을 개방시킴으로써, 용기(20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고, 용기(200)의 내부와 외부에 압력차가 없어져 사용자는 뚜껑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상부 뚜껑(190)과 하부 뚜껑(110)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 2,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뚜껑(190)에는 수나사부(195)가 마련되고 하부 뚜껑(110)에는 수나사부(195)에 대응되는 암나사부(115)가 마련되어, 상부 뚜껑(190)과 하부 뚜껑(110)이 나사결합 될 수 있다.
씰링부재(130)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하부 뚜껑(11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씰링부재(130)는 제1 씰링부(131)와 제2 씰링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씰링부(131)는 상부 뚜껑(190)과 하부 뚜껑(110)이 결합될 때 상부 뚜껑(190)과 하부 뚜껑(110) 사이에 개재되어, 상부 뚜껑(190)과 하부 뚜껑(110) 사이로 유체, 예를 들어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부 뚜껑(190)과 하부 뚜껑(11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여 상부 뚜껑(190)과 하부 뚜껑(110)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을 실질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제2 씰링부(134)는 역류 방지 뚜껑(100)이 용기(200)에 결합될 때 역류 방지 뚜껑(100)과 용기(200)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역류 방지 뚜껑(100)과 용기(200) 사이로 유체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용기(200)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해, 역류 방지 뚜껑(100)이 용기(200)에 결합되었을 때 용기(200)의 내부를 실질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진공 밸브(170)는 상부 배기홀(193)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진공 밸브(170)는 상부 배기홀(193)과 통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밸브홀(173)을 포함할 수 있다. 진공 밸브(170)는 진공 작동 시 밸브홀(173)을 개방하는 것에 의해 용기의 내부(203)와 상부 배기홀(193)을 통하게 하고, 진공 작동의 해제 시, 즉 용기의 내부(203)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밸브홀(173)을 폐쇄하는 것에 의해 용기의 내부(203)와 상부 배기홀(193)을 단절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공 밸브(170)는 내부에 수용된 밸브 스프링(171)과 밸브 씰부재(17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진공 작동이 수행되고 있지 않을 때 밸브 스프링(171)은 밸브 씰부재(172)를 가압하여 밸브홀(173)을 폐쇄하고 있다. 진공 작동이 수행되면 흡입력에 의해 밸브 씰부재(172)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밸브 씰부재(172)를 가압할 수 있고, 이때 밸브홀(173)이 개방되어 용기의 내부(203)와 상부 배기홀(193)이 통하게 될 수 있다(도 4 참조). 즉, 진공 밸브(170)는 진공 작동 시 용기의 내부(203)에서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은 가능하지만, 진공 작동이 해제되면 외부에서 용기의 내부(203)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은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진공 밸브(170)와 상부뚜껑 사이에는 씰러(194)가 구비되어 진공 밸브(170)와 상부 뚜껑(190) 사이로 유체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진공 밸브(170)는 상부 배기홀(19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함됨으로써, 진공 작동 후 진공 밸브(170)를 분리시켜 세척하기에 용이할 수 있다.
역류 방지 부재(150)는 상부 뚜껑(190)과 하부 뚜껑(110) 사이에 구비된다. 역류 방지 부재(150)는 하부 뚜껑(110)의 받침부(111)에 안착되는 안착부(151)와, 안착부(15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52)는 역류 방지 부재(150)가 안착부(151)에 안착될 때 하부 배기홀(113)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도 4 참조).
역류 방지 부재(150)는 정상 작동 위치와 역류 방지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다. 정상 작동 위치란, 진공 작동 시 용기의 내부(203)와 상부 배기홀(193)이 통하게 하는 위치를 말하고, 역류 방지 위치란, 진공 작동 시 용기의 내부(203)와 상부 배기홀(193)이 단절되게 하는 위치를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상 작동 위치는 역류 방지 부재(150)가 받침부(111)에 안착되어 있을 때의 위치를 말한다(도 4 참조). 다시 말해서, 역류 방지 부재(150)가 안착부(151)에 안착되어 있을 때 용기의 내부(203)와 상부 배기홀(193)이 통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역류 방지 부재(150)는 안착부(151)의 하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15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안착부(151)는 돌기(155)에 의해 받침부(111)와의 사이에 용기의 내부(203)와 상부 배기홀(193)을 통하게 하는 틈새(B)를 형성하며 받침부(111)에 안착될 수 있다(도 4 참조). 돌기(155)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고, 돌기(155)의 개수 또는 배열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안착부(151)가 받침부(111)에 안착될 때, 안착부(151)는 받침부(111)의 함몰 공간(114)에 위치하되, 받침부(11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틈새(A)를 형성할 수 있다(도 4 참조). 그리고 돌출부(152)는 하부 배기홀(113)을 관통하도록 마련되되, 하부 배기홀(113)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즉, 돌출부(152)와 받침부(111) 사이에도 틈새(C)가 형성될 수 있고(도 4 참조), 돌출부(152)와 받침부(111) 사이의 틈새(C) 및 안착부(151)와 받침부(111) 사이의 틈새(A, B)는 상부 배기홀(193)과 용기의 내부(203)가 통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역류 방지 위치는 역류 방지 부재(150)가 받침부(111)에 안착된 정상 작동 위치에서 상부 뚜껑(190) 측으로 변위되었을 때의 위치를 말한다(도 6 참조). 다시 말해서, 역류 방지 부재(150)가 상부 뚜껑(190) 측으로 변위되어 있을 때 용기의 내부(203)와 상부 배기홀(193)을 단절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역류 방지 부재(150)가 상부 뚜껑(190) 측으로 변위되면 상부 배기홀(193)과 하부 배기홀(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폐쇄하여 용기의 내부(203)와 상부 배기홀(193)을 단절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역류 방지 부재(150)는 역류 방지 부재(150)가 상부 뚜껑(190) 측으로 변위되면 상부 배기홀(193)과 하부 배기홀(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폐쇄하는 패킹부재(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패킹부재(154)는 안착부(151)의 상측면에 마련되며 역류 방지 부재(150)가 상부 뚜껑(190) 측으로 변위되면 상부 배기홀(193)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폐쇄하는 상부 패킹부재(154a)와, 돌출부(152)의 하측 말단에 구비되고 하부 배기홀(113)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역류 방지 부재(150)가 상부 뚜껑(190) 측으로 변위되면 하부 배기홀(113)을 폐쇄하는 하부 패킹부재(154b)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재는 상부 패킹부재와 하부 패킹부재 중의 어느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정상 작동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뚜껑이 정상 작동 위치에 위치할 때 진공 작동이 수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뚜껑이 용기에 결합되어 진공 작동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정상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용기의 내부(203)를 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해 용기(200)의 개구부에 역류 방지 뚜껑(100)을 결합한다. 그리고 진공 펌프 등에 연결된 진공 노즐(미도시)을 상부 뚜껑(190)의 배기 노즐(191)에 결합한 후 진공 펌프를 작동시키면 용기의 내부(203)가 진공 펌프와 통하게 된다.
진공 작동이 수행되면 용기의 내부(203)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이 작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역류 방지 뚜껑(100)이 정상 작동 위치에 있는 경우 안착부(151)는 받침부(111)에 안착되어 있고, 역류 방지 부재(150)의 안착부(151)는 하부 뚜껑(110)의 받침부(111)와의 사이에 틈새(A, B)를 형성하며 받침부(111)에 안착되어 있다. 따라서 진공 작동에 의한 흡입력은 상부 배기홀(193), 밸브홀(173), 안착부(151)와 받침부(111) 사이의 틈새(A, B), 돌출부(152)와 받침부(111) 사이의 틈새(C) 및 하부 배기홀(113)을 통해 용기의 내부(203)에 작용할 수 있다.
그런데 진공 작동을 위한 흡입력이 역류 방지 부재(150)를 상부 뚜껑(190) 측으로 변위시킬 우려가 있고, 정상 작동을 위해 역류 방지 부재(150)는 받침부(111)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역류 방지 부재(150)는 진공 작동 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상부 뚜껑(190) 측으로 변위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정도의 하중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역류 방지 부재(150)의 하중은, 역류 방지 부재(150)의 형상, 재질, 크기 등을 조절하여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 작동이 수행되어 흡입력이 발생하더라도 역류 방지 뚜껑(100)은 정상 작동 위치에 위치할 수 있고, 용기의 내부(203)의 공기는 돌출부(152)와 받침부(111) 사이에 마련된 틈새(C), 안착부(151)의 하측면과 받침부(111) 사이에 마련된 틈새(B), 안착부(151)의 외주면과 받침부(111)의 내주면 사이에 마련된 틈새(A), 밸브홀(173) 및 상부 배기홀(193)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흡입 경로를 통해 외부로 흡입될 수 있고, 용기의 내부(203)는 진공 상태가 될 수 있다.
역류 방지 작동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뚜껑의 틈새가 폐쇄되었을 때 진공 작동이 수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뚜껑이 역류 방지 위치에 위치할 때 진공 작동이 수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뚜껑(100)이 용기(200)에 결합되고 역류 방지 작동이 수행되는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용기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용기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정상 작동 중에, 용기가 넘어지거나 용기의 내부의 물질이 흡입 경로를 통해 역류하면 진공 펌프 등 진공 작동을 위한 장치들에 용기의 내부의 물질이 유입되어 진공 작동을 위한 장치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용기의 내부의 물질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작동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역류 방지 작동은, 역류 방지 부재(150)가 받침부(111)에 안착된 정상 작동 위치에서 상부 뚜껑(190) 측으로 변위되어 역류 방지 위치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공 작동 중에 용기가 넘어지는 경우 용기의 내부의 물질이 역류 방지 부재(150)를 상부 뚜껑(190) 측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역류 방지 부재(150)가 역류 방지 위치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도 6 참조).
또는, 진공 작동 시 용기의 내부(203)에서 발생하는 액체, 거품 등 미세한 크기의 물질이 흡입 경로를 통해 역류하여 액체, 거품 등 미세한 크기의 물질들이 역류 방지 부재(150)와 받침부(111) 사이에 마련된 틈새(A, B)에 개재되어 틈새가 폐쇄됨으로써 역류 방지 부재(150)가 역류 방지 위치로 변위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역류 방지 부재(150)가 정상 작동 위치에 위치할 때, 즉 역류 방지 부재(150)의 안착부(151)가 받침부(111)에 안착되어 있을 때, 안착부(151)와 받침부(111) 사이에는 틈새(A, B)가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52)와 하부 배기홀(113) 사이, 안착부(151)의 하면과 받침부(111)의 상측면 사이, 안착부(151)의 외주면과 받침부(111)의 내주면 사이에는 틈새(A, B, C)가 마련될 수 있다(도 4 참조). 이러한 틈새들은 정상 작동 시에는 상부 배기홀(193)과 용기의 내부(203)를 통하게 하기 위한 역할을 하였으나, 역류 방지 작동 시에는 역류 방지 부재(150)가 역류 방지 위치로 변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용기(200) 내부의 물질이 개재되어 틈새가 폐쇄되면, 진공 작동에 의한 흡입력이 작용하는 영역, 즉 상부 배기홀(193), 밸브홀(173), 하부 배기홀(113) 및 용기의 내부(203)에 이르는 영역이 폐쇄된 틈새를 사이에 두고 제1 영역(I)과 제2 영역(II)으로 단절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I)이란 틈새가 개방되어 있을 때 흡입력이 작용하는 영역 중 폐쇄된 틈새보다 먼저 흡입력이 작용하는 영역을 말한다. 즉 상부 배기홀(193), 밸브홀(173), 받침부(111)의 함몰 공간(114) 등을 포함하는 영역을 말한다.
그리고 제2 영역(II)이란 틈새가 개방되어 있을 때 흡입력이 작용하는 영역 중 폐쇄된 틈새보다 나중에 흡입력이 작용할 영역을 말한다. 즉, 폐쇄된 틈새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배기홀(113)과 용기의 내부(203)를 포함하는 영역을 말한다.
결국, 용기의 내부(203)의 물질, 예를 들어 거품 또는 액체가 개재되어 틈새가 폐쇄되면 진공 작동 시 발생하는 흡입력이 제1 영역(I)에 집중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역류 방지 부재(150)는 제1 영역(I)에 집중된 흡입력에 의해 상부 뚜껑(190) 측으로 변위되어 역류 방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역류 방지 부재(150)는 제1 영역(I)에 집중된 흡입력에 의해 역류 방지 부재(150)가 상부 뚜껑(190) 측으로 변위되는 것이 허용되는 정도의 하중을 가질 수 있다.
즉, 역류 방지 부재(150)는 틈새가 개방되어 있을 때 제1 영역(I)과 제2 영역(II) 모두에 작용하는 흡입력에 의해서는 상부 뚜껑(190) 측으로 변위되는 것은 허용되지 않되, 틈새가 폐쇄되어 흡입력이 제1 영역(I)에 집중되면 상부 뚜껑(190) 측으로 변위되는 것이 허용되는 정도의 하중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역류 방지 부재(150)가 상부 뚜껑(190) 측으로 변위되면, 역류 방지 부재(150)는 진공 작동을 위한 흡입력에 의해 상부 뚜껑(190) 측으로 변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부(151)의 상측면에 마련된 상부 패킹부재(154a)가 진공 밸브(170)의 밸브홀(173)을 폐쇄할 수 있다. 또는 돌출부(152)의 하측 말단에 마련된 하부 패킹부재(154b)가 하부 배기홀(113)을 하측에서 폐쇄할 수 있다. 또는 상부 패킹부재(154a)는 진공 밸브(170)의 밸브홀(173)을 폐쇄하고 하부 패킹부재(154b)는 하부 배기홀(113)을 폐쇄할 수 있다.
진공 밸브(170)의 밸브홀(173)과 하부 배기홀(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폐쇄됨으로써 흡입 경로가 폐쇄되고, 용기의 내부(203)의 공기 또는 이물질이 흡입 경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용기의 내부(203)의 물질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역류 방지 작동이 수행되면 사용자는 진공 작동을 정지시키고, 역류 방지 뚜껑(100)을 용기(200)에서 분리시킨 후, 상부 뚜껑(190)과 하부 뚜껑(110)의 결합을 해제하고 진공 밸브(170), 역류 방지 부재(150) 등을 세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진공 작동 시 역류가 발생하여 진공 작동을 위한 장치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역류 방지를 위한 구성들은 간편하게 세척한 후 다시 진공 작동을 위해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역류 방지 뚜껑
110: 하부 뚜껑
111: 받침부
113: 하부 배기홀
114: 함몰 공간
115: 암나사부
130: 씰링부재
131: 제1 씰링부
134: 제2 씰링부
150: 역류 방지 부재
151: 안착부
152: 돌출부
154: 패킹부재
155: 돌기
170: 진공 밸브
171: 밸브 스프링
172: 밸브 씰부재
173: 밸브홀
190: 상부 뚜껑
191: 배기 노즐
193: 상부 배기홀
194: 씰러
195: 수나사부
197: 해제홀
199: 진공 해제부재
200: 용기
203: 용기의 내부

Claims (15)

  1. 용기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해 상기 용기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 작동이 수행되는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역류 방지 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부와 통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하부 배기홀을 구비하는 하부 뚜껑;
    상기 하부 뚜껑의 상측에 위치하고,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 배기홀과 통하는 상부 배기홀을 구비하는 상부 뚜껑; 및
    상기 상부 뚜껑과 하부 뚜껑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진공 작동 시 상기 용기의 내부와 상부 배기홀이 통하게 하는 위치인 정상 작동 위치와, 상기 용기의 내부와 상부 배기홀이 단절되게 하는 위치인 역류 방지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마련된 역류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역류 방지 부재는, 상기 역류 방지 부재가 상기 상부 뚜껑 측으로 변위되어 상기 역류 방지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상부 배기홀과 하부 배기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폐쇄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역류 방지 뚜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뚜껑은, 상기 하부 배기홀이 형성된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역류 방지 부재는, 상기 정상 작동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받침부와의 사이에 상기 용기의 내부와 상부 배기홀을 통하게 하는 틈새를 형성하며 상기 받침부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역류 방지 뚜껑.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 부재는, 상기 진공 작동 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역류 방지 부재가 상기 상부 뚜껑 측으로 변위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정도의 하중을 가지는, 역류 방지 뚜껑.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 부재는, 상기 틈새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안착부의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를 더 포함하는, 역류 방지 뚜껑.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하부 뚜껑에서 하측으로 함몰된 함몰 공간을 포함하는 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함몰 공간에 위치하되, 상기 받침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틈새를 형성하는, 역류 방지 뚜껑.
  6. 삭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 부재는, 상기 받침부에 안착된 상기 정상 작동 위치에서 상기 상부 뚜껑 측으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역류 방지 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역류 방지 뚜껑.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 부재는, 상기 용기의 내부의 물질이 상기 역류 방지 부재를 상기 상부 뚜껑 측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역류 방지 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역류 방지 뚜껑.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 부재는, 상기 용기의 내부의 물질이 개재되어 상기 틈새가 폐쇄됨으로써 상기 진공 작동 시 발생하는 흡입력이 제1 영역에 집중되면, 상기 흡입력에 의해 상기 역류 방지 부재가 상기 상부 뚜껑 측으로 변위되는 것이 허용되는 정도의 하중을 가지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틈새가 개방되어 있을 때 상기 흡입력이 작용하는 영역 중 폐쇄된 상기 틈새보다 먼저 상기 흡입력이 작용하는 영역인, 역류 방지 뚜껑.
  10. 삭제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 부재는, 상기 안착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부 배기홀을 관통하되 상기 하부 배기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안착부의 상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역류 방지 부재가 상기 상부 뚜껑 측으로 변위되면 상기 상부 배기홀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폐쇄하는 상부 패킹부재와, 상기 돌출부의 하측 말단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배기홀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역류 방지 부재가 상기 상부 뚜껑 측으로 변위되면 상기 하부 배기홀을 폐쇄하는 하부 패킹부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역류 방지 뚜껑.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배기홀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배기홀과 통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밸브홀을 포함하는 진공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공 밸브는, 상기 진공 작동 시 상기 밸브홀을 개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용기의 내부와 상부 배기홀을 통하게 하고, 상기 진공 작동의 해제 시 상기 밸브홀을 폐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용기의 내부와 상부 배기홀을 단절시키는, 역류 방지 뚜껑.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킹부재는, 상기 진공 작동 시 상기 역류 방지 부재가 상기 상부 뚜껑 측으로 변위되면 상기 밸브홀을 폐쇄하는, 역류 방지 뚜껑.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뚜껑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씰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역류 방지 뚜껑.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뚜껑은, 상기 용기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용기의 내부와 통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해제홀과, 상기 해제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해제홀을 개폐하는 진공 해제부재를 더 포함하는, 역류 방지 뚜껑.
KR1020170032456A 2017-03-15 2017-03-15 역류 방지 뚜껑 KR101951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456A KR101951657B1 (ko) 2017-03-15 2017-03-15 역류 방지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456A KR101951657B1 (ko) 2017-03-15 2017-03-15 역류 방지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415A KR20180105415A (ko) 2018-09-28
KR101951657B1 true KR101951657B1 (ko) 2019-02-25

Family

ID=6372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456A KR101951657B1 (ko) 2017-03-15 2017-03-15 역류 방지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6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2384B2 (ja) * 1997-08-20 2000-10-23 日本電気株式会社 露光方法及び露光用マスク
JP2006036312A (ja) * 2004-07-29 2006-02-09 Nippon Vinylon Co Ltd 燃料タンク用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2652U (ko) * 1985-10-08 1987-04-18
JP3102384U (ja) * 2003-12-19 2004-07-02 台英 張 真空密閉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2384B2 (ja) * 1997-08-20 2000-10-23 日本電気株式会社 露光方法及び露光用マスク
JP2006036312A (ja) * 2004-07-29 2006-02-09 Nippon Vinylon Co Ltd 燃料タンク用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415A (ko) 2018-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8025B2 (en) Vacuum canister
AU2003230991B2 (en) Hose direct canister lid
TWI552927B (zh) Eject the container
KR20130082064A (ko) 음료용 용기
JP6944376B2 (ja) 逆止弁構造、それを用いたノズル部材およびスクイズ容器
KR100752223B1 (ko) 밀폐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친환경적 다목적용 밀폐뚜껑
KR101542590B1 (ko) 역립타입 용기
US20070138121A1 (en) Drinking devices for children with integrated valve
FR2975882A1 (fr) Soupape de securite pour appareil de cuisson sous pression et dispositif incluant une telle soupape
KR101572007B1 (ko)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US10562690B2 (en) Valve assembly for a food storage container
JP6084504B2 (ja) 注出容器
KR101775945B1 (ko) 체크밸브가 구비된 역류방지 스포이드 용기
KR101395609B1 (ko) 밀폐용기의 가스배출용 체크밸브
US20050223682A1 (en) Vacuum sealer
KR101951657B1 (ko) 역류 방지 뚜껑
EP3417948B1 (fr) Pompe moulée pour la distribution d'un produit fluidique
KR101904337B1 (ko) 에어배출펌프가 결합된 용기뚜껑
KR101761475B1 (ko) 볼륨 크림 용기
KR101504071B1 (ko) 가스배출수단이 형성된 액체용기용 용기마개
KR101574225B1 (ko) 음료용기용 캡
KR20200052204A (ko) 방수 기능을 가진 액체용기용 펌핑장치
KR101863201B1 (ko) 진공 텀블러
JP6770308B2 (ja) 圧縮収納袋用排気具
KR101576389B1 (ko) 발효식품용기의 안전구조를 갖춘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