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526B1 -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526B1
KR101951526B1 KR1020160182848A KR20160182848A KR101951526B1 KR 101951526 B1 KR101951526 B1 KR 101951526B1 KR 1020160182848 A KR1020160182848 A KR 1020160182848A KR 20160182848 A KR20160182848 A KR 20160182848A KR 101951526 B1 KR101951526 B1 KR 101951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ata
reception
collected data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7948A (ko
Inventor
박정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60182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526B1/ko
Publication of KR20180077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04L29/1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Abstract

짧은 주기로 발생되는 대용량 데이터의 정상적인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은, 데이터 수집장치에 의해 수집된 수집 데이터를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별로 정해진 수신 단위에 따라 수신하는 수신유닛; 상기 수집 데이터의 수신시간이 기록된 수신로그가 상기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별로 저장되는 로그저장소; 및상기 수신로그에 기록된 상기 수집 데이터의 수신시간을 기초로 상기 수집 데이터의 정상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Interface Middleware System for Smart Factory Platfor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장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공장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이벤트를 자동으로 관리함으로써 공장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장관리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공장관리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3847호(발명의 명칭: 실시간 공장상황을 반영한 디지털 팩토리 생산능력 관리 시스템, 2015.04.02. 공개, 이하 선행문헌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센서기술들의 발달에 힘입어 공장의 각 설비들에 센서를 부착하고, 센서들에 의해 센싱된 센싱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설비나 공장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경우, 많은 센서들이 설치될 뿐만 아니라 각 센서들의 센싱주기 또한 짧아 대량의 수집 데이터가 생성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각 센서들로부터 각 센서들이 생성한 수집 데이터를 누락 없이 수신할 수 있어야만 정확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을 비롯한 종래의 공장 관리 시스템에서는 짧은 주기로 발생하는 대용량 수집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수집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하더라도 수집 데이터 수신 여부 모니터링으로 인해 데이터 수집 작업의 부하가 가중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이 배치되어 있는 환경에 종래의 공장 관리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각 센서들에 의해 생성된 수집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모니터링 장치를 각 센서들이 지원하는 프로토콜의 유형에 따라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수집 데이터 수신 여부 모니터링 작업의 부하는 물론 모니터링을 위한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기존의 공장 관리 시스템의 경우 센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장치들의 통신상태를 핑테스트와 같은 통신방식을 통해 검증하였기 때문에, 통신장치들의 통신상태를 검증하기 위한 통신으로 인해 데이터 수집 작업의 부하가 더욱 가중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짧은 주기로 발생되는 대용량 데이터의 정상적인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짧은 주기로 발생되는 대용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유닛들의 통신상태를 검증할 수 있는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은 데이터 수집장치에 의해 수집된 수집 데이터를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별로 정해진 수신 단위에 따라 수신하는 수신유닛; 상기 수집 데이터의 수신시간이 기록된 수신로그가 상기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별로 저장되는 로그저장소; 및상기 수신로그에 기록된 상기 수집 데이터의 수신시간을 기초로 상기 수집 데이터의 정상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 수집장치에 의해 수집된 수집 데이터를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별로 정해진 수신 단위에 따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집 데이터의 수신시간을 포함하는 수신로그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 데이터의 수신시간을 기초로 상기 수집 데이터의 정상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집 데이터가 수신되는 수신 단위 별로 생성되는 수신로그를 기초로 수집 데이터의 수신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수집에 부하를 주지 않고도 대량의 수집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유닛의 통신기록을 기초로 수신유닛들의 통신상태를 검증하므로 수신유닛들의 통신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불필요한 통신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수집 데이터 수신여부 모니터링으로 인해 발생되는 부하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수신유닛들이라도 동일한 방식으로 통신상태를 검증할 수 있어 수신유닛의 통신상태 검증을 위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 트팩토리 아키텍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로그에 기록되는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 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팩토리 아키텍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팩토리 아키텍쳐는, 데이터 수집 장치(1), 네트워크(2), 스마트팩토리 플랫폼(1000), 및 어플리케이션 시스템(3)과 같은 계층으로 구성된다.
데이터 수집 장치(1)는 다양한 공정의 진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수집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수집 장치(1)는 다양한 공정의 진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 데이터(Micro Data)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 데이터는 다양한 센서 등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 그 자체로서 원시 데이터(Raw Data)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마이크로 데이터를 수집 데이터로 표기하기로 한다.
데이터 수집 장치(1)는 마이크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다양한 계측기, 센서, 액츄에이터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수집 장치(1)는 계측기, 센서, 액츄에이터 등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하거나 제어하는 P/C,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DCS(Distributed Control System)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수집장치(1)는 연속공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연속공정이란 원재료를 이용하여 완제품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공정들이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각 공정의 산출물들이 서로 혼합되거나 특정 공정의 산출물의 상태가 변화하여 후속 공정으로 공급되는 방식의 공정을 의미한다. 철강공정이 이러한 연속공정의 대표적인 예에 해당한다. 철강공정은 제선공정, 제강공정, 연주공정, 및 압연공정 등과 같은 다양한 공정으로 구성되므로, 데이터 수집 장치(1)가 철강공정에 적용되는 경우, 제선공정, 제강공정, 연주공정, 및 압연공정 등과 같은 다양한 공정의 진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 데이터(Micro Data)를 수집한다.
네트워크(2)는 데이터 수집 장치(1)에서 수집된 대용량의 데이터를 스마트팩토리 플랫폼(1000)으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2)는 데이터 수집 장치(1)에 포함된 센서 등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통신방식을 지원하는 송신유닛(2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송신유닛(22)들은 센서 등의 종류에 따라 iBA, OPC(OLE for Process control), TCP/IP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방식을 지원한다.
스마트팩토리 플랫폼(1000)은 데이터 수집 장치(1)에서 수집된 대용량의 마이크로 데이터를 네트워크(2)를 통해 수신한다. 스마트팩토리 플랫폼(1000)은 수신된 대용량의 마이크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가공한다. 또한, 스마트팩토리 플랫폼(1000)은 가공된 마이크로 데이터를 기초로 설비 또는 재료 등의 이상유무를 실시간으로 판단한다. 또한, 스마트팩토리 플랫폼(1000)은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가공된 마이크로 데이터를 빅데이터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하며,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조회 및 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팩토리 플랫폼(10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100), 분산병렬처리 시스템(200), 빅데이터 분석시스템(300)을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팩토리 플랫폼(1000)은 서비스 시스템(400), 관리시스템(500), 및 보안시스템(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100)은 네트워크(2)를 통해 데이터 수집 장치(1)로부터 전달되는 수집 데이터들이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100)은 Level 0 내지 Level 2의 이기종 장치들과 다양한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되기 위한 연결수단을 제공하고 데이터 수집 장치(1)에서 수집된 수집 데이터를 전처리 하여 수집 데이터를 표준화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1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100)은 프로세싱부(110) 및 큐 저장부(120)를 포함한다.
프로세싱부(110)는 수집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수집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싱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유닛(111), 통신상태 검증유닛(300), 로그저장소(320), 모니터링 유닛(320), 및 알람발생유닛(330)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싱부(110)는 수집 데이터들간의 연계처리를 위해, 수집 데이터들을 전처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싱부(110)는 수집 데이터를 표준화함으로써 수집 데이터를 전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싱부(110)는 파싱유닛(112), 표준화유닛(113), 필터링유닛(114), 및 전송유닛(115)을 더 포함한다.
먼저, 수신유닛(111)은 네트워크(2)에 포함된 송신유닛(22)들로부터 수집 데이터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유닛(111)은 송신유닛(22)가 지원하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위해 복수개의 수신유닛(111)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수신유닛(111)은 iBA를 지원하는 수신유닛(111), OPC(OLE for Process control)를 지원하는 수신유닛(111), 또는TCP/IP를 지원하는 수신유닛(11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신유닛(111)은 다양한 네트워크(2)와 통신할 수 있는 모든 통신방식을 지원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유닛(111)은 대용량의 수집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신하기 위해 송신유닛(22)와의 사이에서 설정된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별로 정해진 데이터 수신 단위로 수집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는 수신유닛(111)이 수집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1개의 수집 데이터를 소정 시간 단위로 수신하는 타입의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복수개의 수집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 형태로 소정 시간 단위로 수신하는 타입의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유닛(111)은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별로 정해진 수신 단위에 따라 수집 데이터가 수신될 때마다 수신로그를 생성하여 로그저장소(320)에 기록한다. 일 실시에에 있어서, 수신유닛(111)은 수집 데이터의 수신 단위 별로 수집 데이터의 수신에 대한 수신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수신유닛(111)은 송신유닛(22)과의 통신이 수행될 때마다 통신상태에 대한 통신정보를 로그형태로 생성하고, 수신유닛(111)의 통신상태를 검증하기 위해 통신정보를 통신상태 검증유닛(300)으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정보는 통신소스(Source), 통신포트(Port), 목적지 정보, 통신방식(TCP/IP, OPC, FTP, EAI 등), 통신시간, 트랜스미션 리턴 코드(정상코드 또는 에러코드),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ID,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 타입, 또는 에러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상태 검증유닛(300)은 수신유닛(111)으로부터 통신정보를 수신하여 통신정보 저장소(310)에 기록한다. 또한, 통신상태 검증유닛(300)은 통신정보 저장소(310)에 기록된 통신정보를 기초로 수신유닛(111)과 송신유닛(22) 간의 통신상태를 검증한다. 즉, 통신상태 검증유닛(300)은 수신유닛(111)과 송신유닛(22) 사이에서 정상적으로 통신이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상태 검증유닛(300)은 수신유닛(111)으로부터 수신유닛(111)의 통신정보를 수신하고, 수신유닛(111)의 통신정보를 기초로 수신유닛(111)의 통신상태를 검증할 수 있다. 이때, 통신정보는 수신유닛(111)의 최종통신시간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통신상태 검증유닛(300)은 수신유닛(111)으로부터 수신유닛(111)의 통신정보가 수신되면, 통신정보에 기록된 수신유닛(111)의 최종통신시간인 제1 통신시간과 최종통신시간 직전의 통신시간인 제2 통신시간을 기초로 통신상태가 정상적인지 여부를 검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상태 검증유닛(300)은 제1 통신시간과 제2 통신시간의 차이가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통신상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상태 검증유닛(300)은 제1 통신시간과 제2 통신시간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통신주기의 n배를 초과하는 경우 통신상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상태 검증유닛(300)이 수신유닛(111)의 통신기록만을 기초로 수신유닛(111)과 송신유닛(22)간의 통신상태를 검증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신유닛(111)들의 통신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핑테스트(Ping Test)와 같은 불필요한 통신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통신상태 검증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부하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유닛(111)들이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관계없이 모든 수신유닛(111)들의 통신상태를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점검할 수 있어, 수신유닛(111)의 통신상태 검증을 위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로그저장소(320)는 수신유닛(111)에 의해 생성된 수신로그가 기록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로그저장소(320)에 기록되는 수신로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의 ID, 수신유닛(111)이 지원하는 프로토콜 타입, 수집 데이터를 송신한 송신유닛(22)의 식별자, 및 수신유닛(111)의 식별자, 및 수집 데이터의 수신시간을 포함한다.
이때, 수신로그는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별로 생성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그저장소(320)에는 각 수집 데이터의 수신로그가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별로 저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로그저장소(320)는 메모리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그저장소(320)에 대해 복수개의 수신유닛(111)들의 동시접속이 가능하므로 복수개의 수신유닛(111)들이 로그저장소(320)에 수신로그를 동시에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모니터링 유닛(330)은 로그저장소(320)에 저장된 수신로그 상에서 수집 데이터의 수신시간을 기초로 수집 데이터의 정상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일 예로, 모니터링 유닛(330)은 수신로그 상에서 동일한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ID를 갖는 수집 데이터의 제1 수신시간과 제1 수신시간 직전의 수신시간인 제2 수신시간 간의 차이가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수집 데이터가 누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니터링 유닛(330)은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ID를 갖는 수집 데이터의 제1 수신시간과 제2 수신시간 간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수집 데이터의 수신 주기의 n배를 초과하면 수집 데이터가 누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집 데이터가 수신되는 수신단위 별로 생성되는 수신로그를 기초로 수집 데이터의 정상 수신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수집에 부하를 주지 않으면서도 대량의 수집 데이터의 정상 수신 여부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니터링 유닛(330)은 통신상태 검증유닛(300)에 의해 수신유닛(111)들의 통신상태가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하여 수집 데이터의 정상 수신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는, 통신상태 검증유닛(300)에 의해 수신유닛(111)들의 통신상태가 정상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수집 데이터 또한 정상적으로 수신될 수 없으므로 모니터링 유닛(330)이 별도로 수집 데이터의 정상 수신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알람발생유닛(340)은 통신상태 검증유닛(300)에 의해 수신유닛(111)의 통신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모니터링 유닛(330)에 의해 수집 데이터에 누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다음으로, 파싱유닛(112)은 수신유닛(111)을 통해 수신된 수집 데이터를 파싱한다. 구체적으로, 파싱유닛(112)은 연속공정으로부터 수집된 수집 데이터의 연계 처리를 위해, 수집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의미있는 단위로 파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파싱유닛(112)은 수집 데이터가 복수개의 항목 ID로 구성된 그룹 ID, 수집시간, 및 복수개의 측정값이 반복되는 구조를 가지는 경우, 수집 데이터를 그룹 ID별로 파싱하고, 그룹 ID에 포함된 복수개의 항목 ID와 복수개의 측정값을 각각 매칭시켜 하나의 항목 ID, 수집시간, 및 하나의 측정값으로 구성된 수집 데이터로 변환한다.
여기서, 항목 ID는 측정값의 속성을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연속공정 중 설비, 재료, 또는 제품의 어떤 속성을 측정한 것인지를 의미하는 값으로 온도나 습도 등을 의미한다. 그룹 ID는 특정 공장에서 위치 별 또는 각 공정 별로 몇 가지 항목을 그룹으로 편성한 대표값을 의미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그룹 ID와 수집시간이 별개의 구분된 개념인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그룹 ID 자체에 수집시간이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파싱유닛(112)이 수집 데이터를 파싱하는 이유는, 분산병렬처리 시스템(200)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은 그룹 ID, 항목 ID, 및 복수개의 측정값을 해석하는 과정이 별도로 필요하기 때문에, 설비의 이상 또는 제품의 품질 이상 등의 실시간 분석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실시에 따르는 경우, 파싱유닛(112)은 수집 데이터 전문에 대한 메시지 레이아웃이 정의되어 있는 메시지 레이아웃 저장부(117)를 참조하여 수집 데이터를 파싱할 수 있다. 메시지 레이아웃 저장부(117)는 별도의 구성으로 프로세싱부(110) 또는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파싱유닛(112) 내부에 메시지 레이아웃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표준화유닛(113)은 파싱유닛(112)에 의해 파싱된 수집 데이터를 표준화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준화유닛(113)은 파싱유닛(112)으로부터 전달되는 하나의 항목 ID, 수집시간, 및 하나의 측정값으로 구성된 수집 데이터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표준변환기준에 따라 항목 ID를 표준항목 ID로 변환하고 측정값의 단위 및 자리수를 통일시킴으로써 파싱된 데이터를 표준화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수집 장치(1)에 포함된 각각의 센서 또는 액츄에이터 등은 동일한 속성을 측정하더라도 이들이 생산된 업체나 이들이 포함된 공장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항목 ID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항목 ID를 기준으로 파싱된 데이터가 그대로 분산병렬처리시스템(200)으로 전달될 경우, 표준화되어 있지 않은 항목 ID 및 복수개의 측정값을 해석하는 과정이 별도로 필요하기 때문에, 분산병렬처리시스템(200)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준화유닛(113)은 동일한 속성을 측정한 데이터가 동일한 항목 ID를 갖도록 각 수집 데이터에 포함된 항목 ID를 표준항목 ID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준화유닛(113)은 서로 동일한 속성을 측정한 측정값에 대해서는 동일한 표준항목 ID를 갖도록 수집 데이터를 전처리함으로써, 각각의 표준항목 ID에 기초하여 연속공정으로부터 수집된 수집 데이터가 연계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집 데이터에 포함된 측정값의 형식은 센서나 액츄에이터와 같은 데이터 수집 장치(1)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그 결과, 연속공정으로부터 각각 수집된 서로 다른 형식의 수집 데이터의 연계 처리를 위해서는 데이터 수집 장치(1)의 종류에 따라 데이터의 단위 및 길이를 환산하는 과정을 추가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연속공정으로부터 수집되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연계 처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준화유닛(113)은 분산병렬처리시스템(200)이 실시간으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수집 데이터를 표준화한다.
표준화유닛(113)은 별도의 구성으로 프로세싱부(110) 또는 다른 장치에 포함된 표준 변환기준 저장부(118)를 참조하여, 항목 ID, 측정값의 단위 및 자리수를 표준화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표준화유닛(113) 내부에 표준화를 위한 표준 변환기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필터링유닛(114)은 미리 설정된 필터링 기준에 따라 표준화유닛(113)에서 표준화된 데이터를 큐 저장부(120)에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례로, 수집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등급이 미리 설정되어 있고, 필터링유닛(114)은 상기 등급에 따라 큐 저장부(120)에 저장할 데이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등급은 표준화된 데이터의 표준항목 ID를 기준으로 중요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터링유닛(114)은 큐 저장부(120)에 저장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필터링하기 위한 기준이 저장된 필터링 기준 저장부(119)를 참조하여 표준화된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링 기준 저장부(119)는 별도의 구성으로 프로세싱부(110) 또는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필터링유닛(114) 내부에 필터링 기준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전송유닛(115)은 필터링유닛(114)을 통해 필터링된 데이터를 큐 저장부(120)의 큐에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송유닛(115)는 필터링된 데이터를 그룹 ID 또는 표준항목 ID별로 큐 저장부(120)의 큐(121)에 저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형식을 갖는 각 공정 별 수집 데이터를 파싱 및 표준화하여 일정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한편, 표준화된 데이터를 그룹 ID 또는 표준항목 ID 별로 저장하여 그룹 ID 또는 표준항목 ID 별로 데이터 확인이 가능하므로 연속공정으로부터 수집된 수집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연계 처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큐 저장부(12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전송유닛(115)이 복수개의 큐 저장부(120) 중 어느 하나의 큐 저장부(120)에 전처리된 수집 데이터를 저장하면 나머지 큐 저장부(120)에도 동일 데이터가 복제되어 저장된다. 이때, 전송유닛(115)은 복수의 큐 저장부(121)의 부하를 고려하여 부하가 적은 큐 저장부(121)에 수집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송유닛(115)은 복수개의 큐 저장부(120)의 동작모드에 따라 수집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송유닛(115)은 복수개의 큐 저장부(120)의 동작모드가 대기모드인 경우 데이터의 저장을 중지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큐 저장부(120)의 동작모드는 복수개의 큐 저장부(120) 중 정상 동작하는 큐 저장부(120)의 개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큐 저장부(120)의 동작 모드가 대기 모드인 경우, 수신유닛(111)도 수집 데이터의 수신을 중지하게 된다. 즉, 큐 저장부(120)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수집 데이터의 저장이 실시간으로 수행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수신유닛(111)이 데이터 수집 장치(1)로부터 계속해서 수집 데이터를 수신할 경우 큐 저장부(120)의 장애로 인해 인터페이스 프로세싱부(110)의 수집 데이터 처리 동작에도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싱부(110)는 큐 저장부(120)의 동작 모드가 대기 모드인 경우, 수집 데이터의 수신 및 저장을 중지함으로써 장애 발생을 방지하고, 큐 저장부(120)가 정상 동작하면 다시 수집 데이터의 수신 및 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싱부(110)는 수집 데이터 병합유닛(116), 메시지 레이아웃 저장부(117), 표준변환기준 저장부(118), 및 필터링 기준 저장부(119)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집 데이터 병합유닛(116)은 연속 공정에서의 처리 성능 향상을 위해 수집 데이터를 병합(Merge)하여 파싱유닛(112)으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집 데이터 병합유닛(116)은 일정시간 간격(예: 0.1초, 1초, 1분 등)으로 수신유닛(111)을 통해 수신되는 수집 데이터를 병합한다. 즉, 연속 공정의 특성상 아주 짧은 주기(예: 5㎳ 내지 20㎳)로 수집 데이터가 파싱유닛(112)으로 전달될 수 있는데, 이러한 짧은 주기로 파싱유닛(112)이 데이터를 연속해서 파싱하는 것은 전체 시스템의 실시간 처리 성능을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집 데이터 병합유닛(116)은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해 필요한 수집 데이터는 병합하지 않고 파싱유닛(112)로 바로 전달하고, 나머지 수집 데이터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병합하여 파일 형태로 생성한 후 파싱유닛(112)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해 필요한 수집 데이터인지 여부는 수집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일례로 이상이 발생할 경우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한 설비 또는 재료로부터 수집되는 수집 데이터를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해 필요한 수집 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
메시지 레이아웃 저장부(117)에는 수집 데이터 전문에 대한 레이아웃을 정의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며, 파싱유닛(112)은 메시지 레이아웃 저장부(117)를 참조하여 바이너리 형태 또는 별도의 데이터 전송 기준으로 전달되는 수집 데이터를 해석하는 근거로 이용할 수 있다.
표준변환기준 저장부(118)에는 데이터 수집 장치(1)를 구성하는 다양한 센서 등의 항목 ID를 표준화한 표준항목 ID와, 각 표준항목 ID에 따른 기준 단위와 자리수가 저장되어 있다. 즉, 다양한 센서로부터 대용량의 수집 데이터가 수집될 때부터 미리 표준화된 항목 ID와 통일된 단위와 자리수를 갖는 수집 데이터가 수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각 공정의 특성에 따라 각 센서에서 수집되는 마이크로 데이터의 특성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향후 분석에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사전에 다양한 센서 등의 항목 ID를 표준화한 표준항목 ID와, 각 표준항목 ID에 따른 기준 단위와 자리수가 저장해 둔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상술한 표준화유닛(113)은 표준변환기준 저장부(118)를 참조하여 파싱된 데이터의 항목 ID를 표준항목 ID로 변경하고, 단위 및 자리수를 통일시킬 수 있다.
필터링 기준 저장부(119)에는 표준화된 데이터 중 큐 저장부(120)에 저장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필터링하기 위한 기준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술한 필터링유닛(114)은 필터링 기준 저장부(119)를 참조하여 표준화된 데이터 중 큐 저장부(120)에 저장할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다.
큐 저장부(120)는 프로세싱부(110)에서 전처리된 데이터를 실시간 처리 전에 임시로 보관하는 영역으로 큐(121)를 포함한다.
큐(121)는 프로세싱부(110)에서 전처리된 데이터를 일정시간 동안 보관하기 위한 저장소로 데이터 유실 방지를 위해 메모리가 아닌 디스크 기반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큐(121)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은 토픽(Topic)으로 구분될 수 있고, 동일 토픽 내의 파티션을 여러개 분리하여 병렬로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분산병렬처리시스템(200)이 큐 저장부(120)로부터 페치하는 데이터 그룹 별로 고유한 그룹 ID가 할당될 수 있고, 이 고유한 그룹 ID 별로 데이터 페치 주소가 관리될 수 있어,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고 쓰는 큐 형태로 데이터가 저장 및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싱부(110) 및 하나의 큐 저장부(120)를 통해 수집 데이터를 전처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프로세싱부(110) 및 복수개의 큐 저장부(120)를 통해 수집 데이터를 전처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복수개의 프로세싱부(110)는 데이터 수집 장치(1)의 규모 및 공장의 물리적 위치 등에 따라 추가하는 형태로 확장될 수 있으며, 각각의 프로세싱부(110)는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HA)을 위해 이중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프로세싱부(110)는 운영 서버 및 백업 서버로 구비되어 평상시 운영 서버가 동작하다가 운영 서버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백업 서버가 활성화됨으로써, 전술한 프로세싱부(110)의 동작이 중단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큐 저장부(120)는 클러스터링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1대의 큐 저장부(120)에 데이터가 저장되면 다른 큐 저장부(120)로 데이터가 복제되어 어느 큐 저장부(120)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도 다른 큐 저장부(120)를 참조하여 서비스를 지속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부(110)는 수신된 수집 데이터에 대한 표준화가 완료되면 복수개의 큐 저장부(120) 중1대의 큐 저장부(120)를 선택하여 표준화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때, 데이터를 저장할 큐 저장부(120)를 선택하는 기준은 다양한 룰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일례로 부하가 가장 낮은 큐 저장부(120)를 선택하거나,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방식, 또는 데이터를 수집한 센서 별로 저장할 큐 저장부(120)를 사전에 미리 저장하여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분산병렬처리시스템(200)은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100)을 통해 표준화된 표준화 데이터에 공정 식별자를 매핑하고, 조업-설비-품질 등 영역간 데이터를 연계분석할 수 있도록 매핑 데이터를 정렬한다.
공정 식별자는 각 공정을 수행하는 설비의 설비 식별자 또는 해당 설비에 의해 가공되는 재료의 재료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분산병렬처리시스템(200)은 수집 데이터의 수집시간 및 수집 데이터를 수집한 센서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수집 데이터가 발생한 설비의 설비 식별자를 추출할 수 있고, 각 공정에서 수행되는 작업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매핑 데이터에 매핑되어 있는 설비 식별자에 대응되는 설비에서 가공된 재료의 재료 식별자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설비 식별자는 각 설비 별로 부여된 설비 번호일 수 있고, 재료 식별자는 각 재료 별로 부여되어 있는 재료번호일 수 있다.
한편, 분산병렬처리시스템(200)은 동일한 재료 식별자가 매핑되어 있는 매핑 데이터들을 수집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하고, 시간 순서에 따라 정렬된 매핑 데이터들을 동일한 재료 식별자에 대응되는 재료 상에서 해당 데이터가 수집된 위치를 기준으로 정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병렬처리 시스템(200)은 표준화된 데이터에 설비 식별자 및 재료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정 식별자를 매핑하고, 매핑된 데이터들을 동일한 재료 식별자에 대응되는 재료 상에서 해당 데이터가 수집된 위치를 기준으로 정렬함으로써, 각 데이터 별로 어떠한 재료가 어떠한 설비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수집된 데이터인지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의 추적을 통해 각 공정들간의 연계분석이 가능하다.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300)은 분산병렬처리시스템(200)에 의해 정렬된 데이터를 빅데이터 저장 공간에 저장한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300)은 데이터 유실이 되지 않도록 관리하며 히스토리컬 데이터에 대한 조회 및 분석기능을 제공한다.
서비스 시스템(400)은 표준화된 처리 프로세스와 업무 기준을 서비스로 재활용하는 구조로, 비즈니스 노하우를 리포지터리(Repository)화하여 기능 단위로 정의된 서비스 간 연결을 통해 계획-실행-제어 간의 연계를 용이하게 하며, 재료나 제품에 대한 품질판정 모델 또는 이상 예측 모델을 포함하는 분석모델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분석 결과를 진행한다.
분석모델은 모델 저장부(미도시)에 미리 저장되어 있으므로 서비스 시스템(400)은 분석모델에 대한 실행 호출 이벤트가 입력되면 분석모델에 필요한 데이터를 모델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그 결과를 제공한다.
즉, 서비스 시스템(400)은 분산병렬처리시스템(200)에 의해 처리된 정렬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여 분석하거나, 정렬 데이터가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300)에 저장된 경우 이를 참조하여 해당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관리시스템(500)은 스마트팩토리 플랫폼(1000)에 속한 개별 구성에 대한 관리 및 UI/UX의 관리 데이터 수집을 위한 구성들에 대한 설정파일 관리, 각 구성의 개별 모니터링, 미리 설정된 설정값들 간의 연계정보 관리, 전체 시스템의 처리 성능 및 통합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한다.
보안시스템(600)은 사용자에 대한 인증, 인가, 접근제어를 수행하며 데이터 자체에 대한 보안 및 전송 통로에 대한 보안을 관리한다.
어플리케이션 시스템(3)은 스마트팩토리 플랫폼(1000)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화면과 데이터를 가공하여 제공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도시된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100)의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수신유닛은 데이터 수집 장치에 의해 수집된 수집 데이터를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별로 정해진 수신 단위에 따라 수신한다(S400).
본 발명에 따른 수신유닛은 대용량의 수집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신하기 위해 송신유닛과의 사이에서 설정된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별로 정해진 데이터 수신 단위로 수집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는 수신유닛(111)이 수집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1개의 수집 데이터를 소정 시간 단위로 수신하는 타입의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복수개의 수집 데이터를 1개의 파일 형태로 소정 시간 단위로 수신하는 타입의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수신유닛은 수집 데이터가 수신될 때마다 수집 데이터 수신에 대한 수신로그를 로그저장소에 기록한다(S41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유닛은 각각의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별로 수집 데이터의 수신에 대한 수신로그를 기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그저장소에 기록되는 수신로그는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의 ID, 수신유닛이 지원하는 프로토콜 타입, 수집 데이터를 송신한 송신유닛의 식별자, 및 수신유닛의 식별자, 및 수집 데이터의 수신시간을 포함한다.
이후, 모니터링 유닛은 수신로그 상에서 동일한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ID를 갖는 수집 데이터의 제1 수신시간과 제1 수신시간 직전의 수신시간인 제2 수신시간 간의 차이가 기준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판단결과, 모니터링 유닛은 동일한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ID를 갖는 수집 데이터의 제1 수신시간과 제2 수신시간 간의 차이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알람발생유닛은 수집 데이터의 누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생성한다(S430).
다른 예로, 모니터링 유닛은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ID를 갖는 수집 데이터의 제1 수신시간과 제2 수신시간 간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수집 데이터의 수신 주기의 n배를 초과하면 수집 데이터가 누락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집 데이터가 수신되는 수신단위 별로 생성되는 수신로그를 기초로 수집 데이터의 정상 수신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수집에 부하를 주지 않으면서도 대량의 수집 데이터의 정상 수신 여부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100)은 통신상태 검증유닛을 통해 수신유닛의 통신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상태 검증유닛은 수신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통신정보에 기록된 수신유닛의 최종통신시간인 제1 통신시간과 최종통신시간 직전의 통신시간인 제2 통신시간을 기초로 통신상태가 정상적인지 여부를 검증한다.
일 예로, 통신상태 검증유닛은 제1 통신시간과 제2 통신시간의 차이가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통신상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상태 검증유닛은 제1 통신시간과 제2 통신시간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통신주기의 n배를 초과하는 경우 통신상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알람발생유닛은 통신상태 검증유닛에 의해 수신유닛의 통신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상태 검증유닛이 수신유닛의 통신기록을 기초로 수신유닛과 송신유닛간의 통신상태를 검증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신유닛들의 통신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핑테스트(Ping Test)와 같은 불필요한 통신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통신상태 검증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부하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수신유닛들이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관계없이 모든 수신유닛들의 통신상태를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점검할 수 있어, 수신유닛의 통신상태 검증을 위한 비용을 최소화할 수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모니터링 유닛은 통신상태 검증유닛에 의해 수신유닛들의 통신상태가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하여 수집 데이터의 정상 수신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는, 통신상태 검증유닛에 의해 수신유닛들의 통신상태가 정상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수집 데이터 또한 정상적으로 수신될 수 없으므로 모니터링 유닛이 별도로 수집 데이터의 정상 수신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110: 프로세싱 서버
111: 수신유닛 112: 파싱유닛
113: 표준화유닛 114: 필터링유닛
115: 전송유닛 116: 마이크로 데이터 병합유닛
120: 큐 서버 300: 통신상태 검증유닛
310: 통신정보 저장소 320: 로그정보 저장소
330: 모니터링유닛 340: 알람발생유닛

Claims (18)

  1. 복수개의 공정들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연속공정에 적용되는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수집장치에 의해 수집된 수집 데이터를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별로 정해진 수신 단위에 따라 수신하는 수신유닛;
    상기 수집 데이터의 수신시간이 기록된 수신로그가 상기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별로 저장되는 로그저장소; 및
    상기 수신로그에 기록된 상기 수집 데이터의 수신시간을 기초로 상기 수집 데이터의 정상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수신로그에서 동일한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ID를 갖는 수집 데이터가 수신된 제1 수신시간과 상기 제1 수신시간 직전에 상기 수집 데이터가 수신된 제2 수신시간 간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수집 데이터의 정상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제1 수신시간과 상기 제2 수신시간 간의 차이가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수집 데이터가 누락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제1 수신시간과 상기 제2 수신시간 간의 차이가 상기 수집 데이터에 대해 미리 정해진 수신주기의 n배를 초과하면 상기 수집 데이터가 누락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저장소는 메모리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로그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의 ID, 상기 수신유닛이 지원하는 프로토콜 타입, 상기 수집 데이터를 송신한 송신유닛의 식별자, 및 상기 수신유닛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유닛과 상기 수집 데이터를 송신한 송신유닛간의 통신상태를 검증하는 통신상태 검증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상태 검증유닛은 상기 수신유닛으로부터 상기 수신유닛의 통신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정보에 기록된 상기 수신유닛의 제1 통신시간과 제1 통신시간 직전의 제2 통신시간의 차이가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통신상태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상태 검증유닛은 상기 수신유닛으로부터 상기 수신유닛의 통신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정보에 기록된 상기 수신유닛의 제1 통신시간과 제1 통신시간 직전의 제2 통신시간의 차이가 상기 수신유닛에 대해 미리 정해진 통신주기의 n배를 초과하면 상기 통신상태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유닛과 상기 수집 데이터를 송신한 송신유닛간의 통신상태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상기 수집 데이터에 누락이 발생된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발생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유닛에 의해 수신된 수집 데이터를 파싱하는 파싱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싱유닛은, 측정값의 속성을 식별하기 위한 복수개의 항목 ID로 구성된 그룹 ID, 수집시간, 및 복수개의 측정값이 반복되어 배치되는 상기 수집 데이터를, 상기 그룹 ID에 포함된 상기 복수개의 항목 ID와 상기 복수개의 측정값을 각각 매칭시켜 하나의 항목 ID, 수집시간, 및 하나의 측정값으로 구성된 수집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데이터에 포함된 측정값의 단위 및 자리수를 통일시키거나, 상기 측정값의 속성을 식별하기 위한 항목 ID를 표준항목 ID로 변환하여 상기 수집 데이터를 표준화하는 표준화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데이터의 중요도에 기초하여 저장이 필요한 수집 데이터를 복수개의 큐 서버 중 어느 하나에 저장하는 필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13. 복수개의 공정들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연속공정에 적용되는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으로서,
    데이터 수집 장치에 의해 수집된 수집 데이터를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별로 정해진 수신 단위에 따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집 데이터의 수신시간을 포함하는 수신로그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 데이터의 수신시간을 기초로 상기 수집 데이터의 정상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신로그에서 동일한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ID를 갖는 수집 데이터가 수신된 제1 수신시간과 상기 제1 수신시간 직전에 상기 수집 데이터가 수신된 제2 수신시간 간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수집 데이터의 정상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수신시간과 상기 제2 수신시간 간의 차이가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수집 데이터가 누락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로그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ID, 상기 수집 데이터를 수신한 수신유닛이 지원하는 프로토콜 타입, 상기 수집 데이터를 송신한 송신유닛의 식별자, 및 상기 수신유닛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데이터를 수신한 수신유닛과 상기 수집 데이터를 송신한 송신유닛간의 통신상태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신유닛의 통신기록을 기초로 상기 수신유닛의 제1 통신시간과 제1 통신시간 직전의 제2 통신시간의 차이가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통신상태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상태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상기 수집 데이터에 누락이 발생되면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60182848A 2016-12-29 2016-12-29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951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848A KR101951526B1 (ko) 2016-12-29 2016-12-29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848A KR101951526B1 (ko) 2016-12-29 2016-12-29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948A KR20180077948A (ko) 2018-07-09
KR101951526B1 true KR101951526B1 (ko) 2019-02-22

Family

ID=62919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848A KR101951526B1 (ko) 2016-12-29 2016-12-29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5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870B1 (ko) 2022-05-31 2022-08-26 주식회사 영일메카텍 스마트팩토리 구현을 위한 머신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652A (ko) 2018-12-17 2020-06-25 김홍규 스마트팩토리 데이터 관리 및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장치
KR102223336B1 (ko) 2018-12-28 2021-03-04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팩토리의 구축 및 유지보수를 위한 플랫폼
KR102167569B1 (ko) 2018-12-31 2020-10-19 주식회사 네오세미텍 스마트 팩토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16308B1 (ko) * 2018-12-31 2021-02-1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클러스터링 구조의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KR102198028B1 (ko) 2019-06-10 2021-01-06 주식회사 케이유아이 스마트 팩토리 가상설계에 따른 설비배치에 대한 설비위치 검증방법
KR102410250B1 (ko) 2020-02-28 2022-06-24 (주)시즐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및 운용 서버
KR102343630B1 (ko) * 2020-09-18 2021-12-29 주식회사 포에스텍 디지털 트윈 환경 기반의 융합형 스마트-IoT 커넥티드 미들웨어 장치 및 제공 방법
KR102352606B1 (ko) * 2020-12-10 2022-01-19 주식회사 이노비 설비상태의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067325A (ko) 2021-11-09 2023-05-16 (주)투비시스템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팩토리용 IoT 디바이스 적용 플랫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5009A (ja) * 2000-05-17 2001-11-22 Toshiba Corp プラント監視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ラント監視制御用ソフトウェア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100906454B1 (ko) * 2009-03-18 2009-07-08 주식회사 신시웨이 데이터베이스 로그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119848B1 (ko) * 2011-08-05 2012-02-28 (주)리얼허브 영상 입력 기기의 접속 장애 판별 장치 및 접속 장애 판별 방법
KR101659113B1 (ko) * 2012-10-09 2016-09-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시스템을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5009A (ja) * 2000-05-17 2001-11-22 Toshiba Corp プラント監視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ラント監視制御用ソフトウェア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100906454B1 (ko) * 2009-03-18 2009-07-08 주식회사 신시웨이 데이터베이스 로그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119848B1 (ko) * 2011-08-05 2012-02-28 (주)리얼허브 영상 입력 기기의 접속 장애 판별 장치 및 접속 장애 판별 방법
KR101659113B1 (ko) * 2012-10-09 2016-09-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시스템을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870B1 (ko) 2022-05-31 2022-08-26 주식회사 영일메카텍 스마트팩토리 구현을 위한 머신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948A (ko)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526B1 (ko)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938946B1 (ko) 대량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및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의 데이터 수집 방법
CN110888783B (zh) 微服务系统的监测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KR101892350B1 (ko) 연속공정용 대용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한 스마트팩토리 플랫폼
US9384079B2 (en) System operations management apparatus, system operations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KR102210972B1 (ko) 고속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는 스마트팩토리 시스템
US8332819B2 (en) Diagnostic and trouble-shooting methods in a wireless control and sensor network
EP3663919B1 (en) System and method of automated fault correction in a network environment
KR101057047B1 (ko) 원격 디바이스를 감시 및 진단하기 위한 시스템
KR101368470B1 (ko) 원격지 센서에서 측정된 대용량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방법
CN102713861A (zh) 操作管理装置、操作管理方法以及程序存储介质
CN107798460B (zh) 用于处理在连续工艺中获得的数据的智能工厂平台
CN105531680A (zh) 远程监视系统、远程监视方法以及程序
CN114363151A (zh) 故障检测方法和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180026596A (ko) 연속공정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분산병렬 처리시스템
WO2003040882A2 (en) Monitoring and controlling independent systems in a factory
KR101892352B1 (ko) 연속공정용 데이터를 표준화하는 미들웨어 시스템
KR102312523B1 (ko) 대량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CN113472881B (zh) 在线终端设备的统计方法和装置
CN115273354A (zh) 银行自助设备管理方法及其系统、计算机设备
KR102032680B1 (ko) 연속공정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분산병렬 처리시스템
KR102269296B1 (ko)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20103B1 (ko) It서비스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장애 분석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511991B1 (ko) 플랜트 필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CN116204386B (zh) 应用服务关系自动识别及监控方法、系统、介质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