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854B1 - 급수개폐기 - Google Patents

급수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854B1
KR101950854B1 KR1020180091579A KR20180091579A KR101950854B1 KR 101950854 B1 KR101950854 B1 KR 101950854B1 KR 1020180091579 A KR1020180091579 A KR 1020180091579A KR 20180091579 A KR20180091579 A KR 20180091579A KR 101950854 B1 KR101950854 B1 KR 101950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in body
water supply
drain hole
close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춘
송봉기
채형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닉스
Priority to KR1020180091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8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급수개폐기는 농수로와 연통되는 배수공(111)이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하강되어 상기 배수공(111)을 막는 닫힌 상태와, 상기 본체(110)에 상승되어 상기 배수공(111)을 개방하는 열린 상태 간을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120)와; 상기 도어(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120)가 상기 닫힌 상태와 상기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도어(1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도어락킹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10)의 양측에는 상기 도어(120)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13)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120)는, 중심영역으로부터 외주연으로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도어(120)가 회동되도록 가압력을 인가받는 조작축(121)과; 상기 도어(120)의 외주연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120)가 회동될 때 상기 가이드레일(113)과 상기 도어(120) 사이의 이격공간(t)에 억지끼움되거나 상기 이격공간(t)으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도어(120)가 상기 닫힌 상태와 상기 열린 상태 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한 쌍의 레일끼움부재(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급수개폐기{WATER SUPPLY GATE}
본 발명은 급수개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농수로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급수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수개폐기는 하천 또는 저수지 등의 농수로에 설치되어 용수를 차단하거나 배수시켜 역류를 방지하고, 유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 급수개폐기의 일례가 공개특허 제2006-0107030호 "농업용급수개폐기"에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급수개폐기는 급수공을 개폐하는 개폐관이 회전축에 의해 연결되고, 회전축은 회전축공에 나사결합된다. 작업자가 회전축의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회전축이 회전축공의 나사산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고, 이에 연동하여 개폐관이 힌지를 따라 개방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종래 급수개폐기는 작업자가 급수공을 개폐하기 위해서 개폐관이 상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는 높이까지 손잡이를 돌려 회전축을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개폐관의 직경이 큰 경우 장시간 손잡이를 돌려야 하므로 작업자의 체력 소모가 크게 된다.
이러한 번거로움 때문에 종래 급수개폐기의 사용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급수개폐기의 사용효율이 저하되면 용수의 유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없어 배수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편한 구조로 간단하게 배수공을 개폐할 수 있는 급수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수공의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급수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급수개폐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급수개폐기는 농수로와 연통되는 배수공(111)이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하강되어 상기 배수공(111)을 막는 닫힌 상태와, 상기 본체(110)에 상승되어 상기 배수공(111)을 개방하는 열린 상태 간을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120)와; 상기 도어(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120)가 상기 닫힌 상태와 상기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도어(1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도어락킹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10)의 양측에는 상기 도어(120)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13)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120)는, 중심영역으로부터 외주연으로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도어(120)가 회동되도록 가압력을 인가받는 조작축(121)과; 상기 도어(120)의 외주연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120)가 회동될 때 상기 가이드레일(113)과 상기 도어(120) 사이의 이격공간(t)에 억지끼움되거나 상기 이격공간(t)으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도어(120)가 상기 닫힌 상태와 상기 열린 상태 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한 쌍의 레일끼움부재(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일끼움부재(125)는 상기 도어(120)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되는 끼움경사면(125a)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락킹부재(130)는,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서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측면프레임(131)과; 일단은 상기 조작축(121)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측면프레임(13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조작축(121)을 상기 닫힌 상태 또는 상기 열린 상태가 유지되는 방향으로 상기 조작축(121)을 가압하는 연결사슬(133)과; 상기 측면프레임(13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사슬(133)의 타단이 상기 측면프레임(131)에 결합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위치고정고리(13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개폐기는 도어의 개폐가 간편한 바, 사용자가 조작축을 좌우로 회동시키고 도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간편한 동작만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종래 사용자가 장시간 손잡이를 회전시켜야 했던 번거로움과 체력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간단한 동작에 의해 급수개폐기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급수개폐기의 사용이 잦아져 용수의 유량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급수개폐기는 도어의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도어락킹부재가 구비된다. 도어락킹부재는 연결사슬을 위치고정고리에 끼우는 동작만으로 도어의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어 급수개폐기의 안정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개폐기의 닫힌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개폐기의 닫힌 상태의 정면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개폐기의 닫힌 상태에서 도어가 회동된 상태의 정면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개폐기의 열린 상태의 정면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개폐기(100)의 닫힌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급수개폐기(100)의 닫힌 상태의 정면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급수개폐기(100)의 닫힌 상태에서 조작축이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급수개폐기의 열린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급수개폐기(100)는 내부에 농수로(미도시)가 형성된 외벽(A)에 설치된다. 급수개폐기(100)는 외벽(A)에 결합되며 농수로(미도시)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수공(111)이 구비된 본체(110)와, 본체(11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배수공(111)을 개폐하는 도어(120)와, 도어(120)가 닫힌 상태 또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도어(120)를 지지하는 도어락킹부재(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어(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하부로 하강되어 배수공(111)을 막는 닫힌 상태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상부로 상승되어 배수공(111)을 개방하는 열린 상태 간을 이동하게 된다.
본체(110)는 일정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어 외벽(A)에 결합된다. 이 때, 본체(110)의 판면에는 농수로(미도시)와 동축상으로 연통되게 구비되는 배수공(111, 도 4 참조)이 형성된다. 본체(110)의 양측에는 도어(12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13)이 구비된다.
가이드레일(113)은 본체(110)의 양측에 절곡 형성되고, 이에 의해 본체(110)의 판면과 가이드레일(113) 사이에는 일정 간격(d) 이격된 도어수용공간(115)이 형성된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0)의 두께(d1)는 도어수용공간(115)의 두께(d) 보다 작게 구비되어 가이드레일(113)을 따라 상하로 여유있게 이동될 수 있다.
본체(110)의 양측에는 복수개의 결합브래킷(117)이 구비된다. 결합브래킷(117)은 본체(110)를 외벽(A)에 결합시킨다. 결합브래킷(117)에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가 결합된다.
도어(120)는 본체(110)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며 배수공(111)을 개폐한다. 도어(120)는 배수공(111)을 막을 수 있는 넓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12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내벽면에 배수공(111)을 막아 용수의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부재(128)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120)에는 작업자가 도어(120)를 회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조작축(121)이 상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조작축(121)은 도어(120)의 중심영역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형성된다. 조작축(121)의 하부는 축고정부재(123)에 의해 도어(120)에 결합된다. 축고정부재(123)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체결되거나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조작축(121)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122)가 구비된다.
도어(120)의 외주면에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한 쌍의 레일끼움부재(125)가 구비된다. 레일끼움부재(125)는 도어(120)의 표면에 돌출되게 결합되어 도어수용공간(115)에 도어(120)가 억지끼움되어 도어(120)의 위치가 고정되게 하거나, 도어수용공간(115)에서 도어(120)가 여유있게 이동될 수 있게 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레일끼움부재(125)는 조작축(121)이 수직하게 위치될 때, 도어(120)의 1시 방향과 8시 방향에 각각 위치된다. 한 쌍의 레일끼움부재(125)와 도어(120)의 중심과의 거리는 도어(120)의 중심으로부터 가이드레일(113)까지의 거리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즉, 도어(120)의 중심으로부터 레일끼움부재(125)의 외측단부까지의 거리는 도어(120)의 중심으로부터 가이드레일(113)까지의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도어(12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될 때, 레일끼움부재(125)가 도어수용공간(115)에 삽입되게 된다.
여기서, 레일끼움부재(125)는 도어(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레일끼움부재(125)의 내측은 두께가 일정하게 구비되고, 레일끼움부재(125)의 외측은 도어(12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는 끼움경사면(125a)을 형성한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수용공간(115)의 이격간격(d) 보다 도어(120)의 두께(d1)가 작으므로 도어수용공간(115)에 도어(120)가 수용될 때, 도어(120)의 판면과 가이드레일(113) 사이에 여유간격(t)이 형성된다.
레일끼움부재(125)의 내측 두께는 여유간격(t) 보다 크게 형성되고, 끼움경사면(125a) 단부의 가장 낮은 부분의 높이는 여유간격(t) 보다 낮아지게 형성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축(121)이 수직하게 배치되면, 한 쌍의 레일끼움부재(125)의 끼움경사면(125a)에서 여유간격(t) 보다 낮은 단부영역만 도어수용공간(115) 내부로 삽입된다. 도어수용공간(115) 내부로 삽입된 끼움경사면(125a)의 높이가 여유간격(t) 보다 낮으므로 가이드레일(113)과 끼움경사면(125a)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이에 작업자가 조작축(121)을 상부로 들어올리면 도어(120)가 가이드레일(113)을 따라 상방향으로 여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반면,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조작축(121)을 우측으로 밀어 회동시키면, 한 쌍의 끼움경사면(125a)의 전영역이 가이드레일(113) 내부로 삽입된다. 레일끼움부재(125)와 끼움경사면(125a) 사이의 경계영역의 두께는 여유간격(t) 보다 두꺼우므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끼움부재(125)와 가이드레일(113)에 틈이 없게 된다. 즉, 레일끼움부재(125)가 가이드레일(113) 내부에 억지끼워지게 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레일끼움부재(125)가 가이드레일(113)에 끼워져 도어(120)의 위치가 본체(110)에 고정된다.
즉, 작업자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수직하게 위치된 조작축(121)을 우측방향으로 당기는 작업만으로 도어(120)가 본체(110)에 고정되게 된다.
도어락킹부재(130)는 조작축(121)의 위치를 고정시켜 도어(120)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개폐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0)가 열린 상태에서 모두 조작축(121)이 특정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조작축(121)이 회동된 상태에서 바람이 불거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작업자가 희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조작축(121)이 수직하게 회동되어 도어(120)가 열린상태에서 닫혀버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어락킹부재(130)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작축(121)을 레일끼움부재(125)가 가이드레일(113)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도어(120)가 열린 상태나 닫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어락킹부재(130)는 본체(110)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된 측면프레임(131)과, 일단은 조작축(121)에 고정되고 타단은 측면프레임(13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사슬(133)과, 측면프레임(131)에 고정되어 연결사슬(133)의 타단과 결합되는 위치고정고리(135)를 포함한다.
측면프레임(131)은 본체(110)의 일측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형성된다. 측면프레임(131)의 높이는 조작축(121)의 길이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연결사슬(133)은 일단은 조작축(121)의 사슬결합고리(121a)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측면프레임(131)의 위치고정고리(13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사슬(133)은 일정 길이를 갖게 구비되고, 도어(120)의 높이에 따라 조작축(121)과 측면프레임(131) 사이의 거리에 맞게 길이가 조절된다.
연결사슬(133)은 조작축(121)을 측면프레임(131) 측으로 당겨 조작축(121)이 측면프레임(131) 측으로 회동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조작축(121)이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프레임(131) 측으로 회동되면, 한 쌍의 레일끼움부재(125)가 가이드레일(113)에 끼워져 도어(120)의 위치가 고정된다.
연결사슬(133)은 조작축(121)을 측면프레임(131) 측으로 팽팽하게 당겨 조작축(121)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한 방향, 즉 레일끼움부재(125)가 가이드레일(113)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게 한다.
연결사슬(133)은 복수개의 원형 고리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구비된다. 연결사슬(133)은 도어(120)의 위치에 따라 사슬결합고리(121a)와 위치고정고리(135) 사이에 팽팽해지도록 위치고정고리(135)에 결합된다.
작업자는 조작축(121)을 측면프레임(131) 측으로 회동시킨 후, 연결사슬(133)의 타단을 팽팽히 당긴 후 위치고정고리(135)에 해당되는 위치의 고리를 위치고정고리(135)에 끼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개폐기(100)의 동작과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개폐기(100)는 농수로(미도시)를 형성하는 외벽(A)에 결합된다. 도어(120)는 본체(110)의 가이드레일(113)을 따라 하부로 하강되어 위치된다. 도어(120)는 조작축(121)이 측면프레임(131)을 향해 일정 각도 회동되게 위치되고, 한 쌍의 레일끼움부재(125)의 끼움경사면(125a)이 가이드레일(113) 내부에 끼워진다.
이에 의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0)와 끼움경사면(125a)이 가이드레일(113) 내부에 끼워져 위치가 구속된다.
사용자는 조작축(121)을 회동시켜 도어(120)의 위치를 고정시키면, 연결사슬(133)을 팽팽하게 당긴 후 위치고정고리(135)와 맞닿는 사슬을 위치고정고리(135)에 끼워 도어(120)의 닫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즉, 연결사슬(133)은 조작축(121)을 계속해서 측면프레임(131)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한 쌍의 끼움경사면(125a)이 가이드레일(113)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어 도어(120)의 닫힌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한편, 사용자가 농수로(미도시)를 개방하고자 하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사슬(133)의 타단을 위치고정고리(135)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조작축(121)을 수직한 방향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조작축(12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가이드레일(113)에 끼워져 있던 한 쌍의 끼움경사면(125a)이 가이드레일(113)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에 의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0)와 가이드레일(113) 사이에 틈(t)이 형성되고, 사용자는 조작축(121)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린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0)가 배수공(111)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높이로 상승되면, 사용자는 조작축(121)을 다시 측면프레임(131) 측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한 쌍의 끼움경사면(125a)이 가이드레일(113)에 끼워지며 도어(120)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연결사슬(133)을 팽행하게 당기고, 위치고정고리(135)와 맞닿는 위치의 사슬을 위치고정고리(135)에 끼워 도어(120)의 열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급수개폐기는 도어의 개폐가 사용자가 조작축을 좌우로 회동시키고 도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작만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종래 사용자가 장시간 손잡이를 회전시켜야 했던 번거로움과 체력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급수개폐기는 도어의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도어락킹부재가 구비된다. 도어락킹부재는 연결사슬을 위치고정고리에 끼우는 동작만으로 도어의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어 급수개폐기의 안정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어락킹부재(130)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금속재의 도어락킹부재(130)에는 금속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부식방지도포층의 도포 재료는 메트캅토트리아졸 20중량%, 페트롤륨술포네이트 15중량%, 머캅토벤조티아졸 10중량%, 하프늄 15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알루미늄 30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8㎛로 형성할 수 있다.
메트캅토트리아졸, 페트롤륨술포네이트 및 머캅토벤조티아졸은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유화몰리브덴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습동성과 윤활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가이드레일(113)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와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Å 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0.1 몰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122)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된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손잡이(122)를 살균 처리하고, 작업자의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 비율은 방향제 물질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데알바타아카시아 오일(Acacia dealbata oil) 50중량%, 발레리아나 파우리아이 오일(Valeriana fauriei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 물질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 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데알바타아카시아 오일(Acacia dealbata oil)의 주 화학성분은 palmic aldehyde, enanthic acid 등이며, 향이 좋으며 살균, 항울작용, 스트레스 완화작용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발레리아나 파우리아이 오일(Valeriana fauriei oil)은 주 화학성분은 bornyl acetate, pinene 등이며, 혈압강하작용과 더불어 마음을 가라앉히고 진정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불안, 긴장완화 등에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손잡이(122)에 코팅되므로 손잡이(122)를 살균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의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준다.
또한, 도어(120)의 둘레에는 도어(120)와 본체(110) 사이에 수밀이 유지되도록 패킹(도시안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킹의 원료 함량비는 고무 60중량%, 카아본블랙 33~36중량%, 산화방지제 2~5중량%, 촉진제인 유황 1~3중량%를 혼합한다.
카아본블랙은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므로 이를 첨가하되, 함유량이 33중량% 미만이면, 탄성과 내마모성이 줄어들며, 36중량%가 초과 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33~36중량%를 혼합한다.
산화방지제는 3C (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또는 RD(POLYMERIZED 2,2,4-TRIMETHYL-1,2- DIHYDROQUINOLINE)을 선택하여 2~5중량%를 첨가하는 것으로, 2중량% 미만이면, 제품이 산화가 되기 쉽고, 너무 많이 첨가하여 5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또한 산화방지제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2~5중량%가 적정하다.
촉진제인 유황은 1~3중량%를 혼합한다. 1 중량% 미만은 성형시 가열공정에서 가황작용 효과가 미미하므로, 1 중량% 이상을 첨가한다. 3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1 ~ 3중량%가 적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방향에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로 보강되므로 패킹의 탄성, 인성 및 강성이 증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패킹의 수명이 증대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급수개폐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급수개폐기 110 : 본체
111 : 배수공 113 : 가이드레일
115 : 도어수용공간 117 : 결합브래킷
120 : 도어 121 : 조작축
121a : 사슬결합고리 122 : 손잡이
123 : 축고정부재 125 : 레일끼움부재
125a : 끼움경사면 128 : 실링부재
130 : 도어락킹부재 131 : 측면프레임
133 : 연결사슬 135 : 위치고정고리

Claims (3)

  1. 농수로와 연통되는 배수공(111)이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하강되어 상기 배수공(111)을 막는 닫힌 상태와, 상기 본체(110)에 상승되어 상기 배수공(111)을 개방하는 열린 상태 간을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120)와;
    상기 도어(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120)가 상기 닫힌 상태와 상기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도어(1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도어락킹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10)의 양측에는 상기 도어(120)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13)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120)는,
    중심영역으로부터 외주연으로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도어(120)가 회동되도록 가압력을 인가받는 조작축(121)과;
    상기 도어(120)의 외주연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120)가 회동될 때 상기 가이드레일(113)과 상기 도어(120) 사이의 이격공간(t)에 억지끼움되거나 상기 이격공간(t)으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도어(120)가 상기 닫힌 상태와 상기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한 쌍의 레일끼움부재(125)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끼움부재(125)는 상기 도어(120)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되는 끼움경사면(125a)이 구비되며;
    상기 도어락킹부재(130)는,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서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측면프레임(131)과;
    일단은 상기 조작축(121)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측면프레임(13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조작축(121)을 상기 닫힌 상태 또는 상기 열린 상태가 유지되는 방향으로 상기 조작축(121)을 가압하는 연결사슬(133)과;
    상기 측면프레임(13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사슬(133)의 타단이 상기 측면프레임(131)에 결합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위치고정고리(135)를 포함하고;
    도어락킹부재(130)에는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되되, 상기 부식방지도포층의 도포 재료는 메트캅토트리아졸 20중량%, 페트롤륨술포네이트 15중량%, 머캅토벤조티아졸 10중량%, 하프늄 15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알루미늄 30중량%로 구성되며;
    도어(120)의 둘레에는 도어(120)와 본체(110) 사이에 수밀이 유지되도록 패킹이 구비되며; 상기 패킹의 원료 함량비는 고무 60중량%, 카아본블랙 33~36중량%, 산화방지제 2~5중량%, 촉진제인 유황 1~3중량%를 혼합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개폐기.
  2. 삭제
  3. 삭제
KR1020180091579A 2018-08-07 2018-08-07 급수개폐기 KR101950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579A KR101950854B1 (ko) 2018-08-07 2018-08-07 급수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579A KR101950854B1 (ko) 2018-08-07 2018-08-07 급수개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854B1 true KR101950854B1 (ko) 2019-02-21

Family

ID=65585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579A KR101950854B1 (ko) 2018-08-07 2018-08-07 급수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8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817Y1 (ko) * 2002-05-09 2002-08-24 만 환 최 농수로용 수문 개,폐장치
JP2008136422A (ja) * 2006-12-04 2008-06-19 Chudai Jitsugyo Kk レバー式分水口ゲート
KR100965752B1 (ko) * 2010-02-04 2010-06-24 장영진 농수로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817Y1 (ko) * 2002-05-09 2002-08-24 만 환 최 농수로용 수문 개,폐장치
JP2008136422A (ja) * 2006-12-04 2008-06-19 Chudai Jitsugyo Kk レバー式分水口ゲート
KR100965752B1 (ko) * 2010-02-04 2010-06-24 장영진 농수로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6372B2 (en) Drain assembly for rapid installation in sanitary vessels
KR101950854B1 (ko) 급수개폐기
CA2965922A1 (en) Push-type drain stopper for pop-up drain
KR20110057627A (ko) 제수밸브
CA2818947A1 (en) Backwater valve with control linkage
US8439078B2 (en) Odour trap
KR100965752B1 (ko) 농수로 개폐장치
KR200396193Y1 (ko) 덮개형 하수역류방지구
AU2019240840A1 (en) Drain assembly
KR102143068B1 (ko) 부품 도금용 바렐
CN210716005U (zh) 一种双向密封蝶阀
BR9807910A (pt) Sistema de válvula de segurança para fluxo excessivo com fixações de taxa de fluxo com fechamento ajustável
KR101463780B1 (ko) 양변기 저수조의 배수 조절이 가능한 하이볼탭
KR102215395B1 (ko) 급수전 장치
KR20120000180A (ko) 제수밸브장치
CN2835373Y (zh) 防臭地漏
KR102143067B1 (ko) 부품 도금용 바렐의 도어 개폐구조
CN214466214U (zh) 一种居民管道饮用水防滴漏阀
CN108488398B (zh) 流量可控性强的旋转控制阀
US7882578B2 (en) Pop-up valve with seal
CN2804198Y (zh) 一种水动开闭式三防快泄地漏
CN2708059Y (zh) 分水器
KR101624229B1 (ko) 수밀 조절 가능 방식의 플랩 밸브
CN209494953U (zh) 一种闸阀
JP7456763B2 (ja) 水道用仕切弁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