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807B1 - 넥밴드 음향장치 및 넥밴드 음향장치의 음량 조절방법 - Google Patents

넥밴드 음향장치 및 넥밴드 음향장치의 음량 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807B1
KR101950807B1 KR1020180023974A KR20180023974A KR101950807B1 KR 101950807 B1 KR101950807 B1 KR 101950807B1 KR 1020180023974 A KR1020180023974 A KR 1020180023974A KR 20180023974 A KR20180023974 A KR 20180023974A KR 101950807 B1 KR101950807 B1 KR 101950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signal
voice
neckband
comp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민
조우형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3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입을 기준으로 역삼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곳에 설치한 3개의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착용자의 음성인가를 확인하고, 스피커로 송출하던 음악이나 음향을 자동으로 줄이고 스피커로는 전화통화의 상대방의 음성이 송출되도록 하는 넥밴드 음향장치 및 상기 넥밴드 음향장치의 음량 조절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넥밴드 음향장치는, 착용자의 목에 걸어 사용하는 것으로, 넥밴드 프레임, 3개의 마이크 및 신호처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넥밴드 음향장치의 음량 조절방법은 음성신호 수집단계, 소리발생원과의 거리 비교단계, 입력된 신호의 손실 값 비교단계 및 조치단계를 수행한다.

Description

넥밴드 음향장치 및 넥밴드 음향장치의 음량 조절방법 {A neck-band audible device and volume control method for the device}
본 발명은 넥밴드 음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어폰을 통해 음악을 청취하고 있는 도중 전화가 왔을 때, 넥밴드 음향장치의 착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음성(또는 명령)을 입력하였을 때 이어폰으로 송출하던 음악이나 음향을 자동으로 줄이는 넥밴드 음향장치 및 상기 넥밴드 음향장치의 음량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 기기 특히 블루투스 이어폰과 블루투스 스피커는 계속하여 기능이 향상되고 진화하였다. 브루투스 이어폰 착용자는 이어폰을 통해 음악 감상을 하던 도중 전화를 수신할 수 있는데, 음악을 감상하던 도중 신호음이 울릴 때 블루투스 이어폰 프레임에 설치된 통화버튼을 누르면 음악의 재생을 멈추고 상대 통화자의 음성이 재생되도록 되어 있다.
블루투스 이어폰을 사용하여 음악을 감상하던 도중 통화요청 음이 울린 순간 착용자의 양손이 자유로운 상태에 있다면 통화버튼을 누르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착용자가 조깅과 같은 가벼운 운동을 하던 도중 또는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을 때와 같이 손을 사용하여 통화버튼을 누르는 것이 자유롭지 않을 때에는 조깅을 멈추거나 속도를 줄인 상태로 버튼을 누르거나, 적어도 한 손에 있는 물건을 바닥에 내려놓은 후 버튼을 눌려야 하는 단점이 있다.
블루투스 이어폰에는 통화를 하기 위한 마이크가 설치되어 있지만, 마이크로 입력되는 신호는 실제로 착용자의 입에서 나오는 말 이외에도 주위 사람의 음성이나 음향이 입력되는데 종래의 블루투스 이어폰에서는 이를 구분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67928호(2017년8월8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착용자의 입을 기준으로 역삼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곳에 설치한 3개의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착용자의 음성인가를 확인하고, 스피커로 송출하던 음악이나 음향을 자동으로 줄이고 스피커로는 전화통화의 상대방의 음성이 송출되도록 하는 넥밴드 음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착용자의 입을 기준으로 역삼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곳에 설치한 3개의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착용자의 음성인가를 확인하고, 스피커로 송출하던 음악이나 음향을 자동으로 줄이고 스피커로는 전화통화의 상대방의 음성이 송출되도록 하는 넥밴드 음향장치의 음량 조절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넥밴드 음향장치는, 착용자의 목에 걸어 사용하는 것으로, 넥밴드 프레임, 3개의 마이크 및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상기 넥밴드 프레임은 일부가 개방된 원형의 형태를 가진다. 상기 3개의 마이크는 상기 넥밴드 프레임의 개방된 양 단자 부근의 2곳(제1마이크 및 제2마이크)과 상기 넥밴드 프레임을 착용하였을 때 목 부분에 대응하는 곳(제3마이크)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3개의 마이크로 인가되는 신호(음성 및 음향)에서 동일한 신호의 각 마이크에 도달한 시간, 도달한 신호의 크기 및 상기 넥밴드 프레임의 개방된 양 단자 부근의 2곳에 설치된 2개의 마이크와 상기 넥밴드 프레임을 착용하였을 때 목 부분에 대응하는 곳에 설치된 3번째 마이크의 위치를 반영하여 상기 넥밴드 프레임의 착용자가 말을 하였는가를 판단하거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넥밴드 음향장치에서 재생하고 있던 음원의 음량을 조절하거나, 음원의 동작을 일시정지 또는 정지시키도록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넥밴드 음향장치의 음량 조절방법은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상기 넥밴드 음향장치의 음량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음성신호 수집단계, 소리발생원과의 거리 비교단계, 입력된 신호의 손실 값 비교단계 및 조치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음성신호 수집단계에서는 상기 3개의 마이크로 입력되는 모든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상기 소리발생원과의 거리 비교단계에서는 상기 음성신호 수집단계에서 수집한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3개의 마이크로 입력된 신호의 각각의 도달 시간의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3개의 마이크 중에서 어느 마이크에 가장 가까운 곳에서 음성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입력된 신호의 손실 값 비교단계에서는 상기 3개의 마이크에 도달한 신호의 에너지를 비교함으로써, 소리발생원에서 방출된 신호가 공기 중을 진행할 때의 신호의 감쇄율을 감안하여 신호의 방향을 결정한다. 상기 조치단계에서는 상기 소리발생원과의 거리 비교단계 및 상기 입력된 신호의 손실 값 비교단계에서 착용자의 입에서 발생한 음성이라고 동시에 판단한 때에 수행하며, 상기 넥밴드 음향장치에서 재생하고 있는 음량을 줄이거나, 송출하는 음악의 재생을 일시정지 또는 완전하게 정지시키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넥밴드 음향장치 및 상기 넥밴드 음향장치의 음량을 조절하는 방법은, 이어폰을 통해 음악을 청취하고 있는 도중 전화가 왔을 때, 넥밴드 음향장치의 착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음성(또는 명령)을 입력하였을 때 이어폰으로 송출하던 음악이나 음향을 자동으로 줄이도록 할 수 있어, 착용자가 자신의 손을 넥밴드 음향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일을 병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넥밴드 음향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넥밴드 음향장치와 소리발생원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넥밴드 음향장치의 스피커 음량 조절방법의 일 실시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넥밴드 음향장치의 스피커 음량 조절방법의 다른 일 실시 예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넥밴드 음향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넥밴드 음향장치와 소리발생원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넥밴드 음향장치(100)는 3개의 마이크(111, 112, 113) 및 신호처리부(115)가 설치된 넥밴드 프레임(110)으로 구현할 수 있다. 넥밴드 음향장치(100)에는 마이크(111, 112, 113)와 신호처리부(115) 이 외에도 더 많은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러한 장치들은 종래의 넥밴드 음향장치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던 것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3개의 마이크(101, 102, 103)는 본 발명에 따른 넥밴드 음향장치(100)의 착용자의 입(mouth, 소리발생원)이 위치하는 곳을 기준으로 역삼각형의 꼭지점에 대응하는 넥밴드 프레임(110)의 3곳, 즉 넥밴드 프레임(110)을 착용하였을 때, 입의 좌우측면에 위치하는 넥밴드 프레임(110)의 종단에 2개의 마이크(111, 112)가 설치되고, 목 부분에 하나의 마이크(113)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의 좌우측면에 위치하는 넥밴드 프레임(110)의 종단에 2개의 마이크(111, 112)를 A 마이크 및 B 마이크라고 하고, 넥밴드 프레임(110)이 목에 걸치는 부분에 설치된 하나의 마이크(113)를 C 마이크라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기재되는 영문 대문자 및 영문 소문자는 동일한 대상을 지칭한다.
넥밴드 프레임(110)의 가상의 삼각형(또는 역삼각형)의 꼭지점의 위치에는 3개의 마이크(111, 112, 113)가 설치되어 있는데, 소리발생원의 위치에 따라 3개의 마이크(111, 112, 113)에서 수신하는 음량이나 음원의 도달시간이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차이점을 찾아 내어 소리발생원이 착용자의 입인가 아니면 주위에서 의미없이 유입된 것인가를 판단하고자 한다.
신호처리부(115)는 3개의 마이크(111, 112, 113)로 인가되는 신호(음성 및 음향)에서 동일한 신호의 각 마이크에 도달한 시간, 도달한 신호의 크기 및 상기 넥밴드 프레임의 개방된 양 단자 부근의 2곳에 설치된 2개의 마이크와 상기 넥밴드 프레임을 착용하였을 때 목 부분에 대응하는 곳에 설치된 3번째 마이크의 위치를 반영하여 상기 넥밴드 프레임의 착용자가 말을 하였는가를 판단하거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넥밴드 음향장치에서 재생하고 있던 음원의 음량을 조절하거나, 음원의 동작을 일시 또는 영구 정지시키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넥밴드 음향장치의 스피커 음량 조절방법의 일 실시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넥밴드 음향장치의 음량 조절방법(300)은, 도 1에 도시된 신호처리부(115)에서 담당하며, 비교기준명령 설정단계(310), 음성신호 수집단계(320), 소리발생원과의 거리 비교단계(330), 입력된 신호의 손실 값 비교단계(340) 및 조치단계(350)를 수행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3개의 마이크(111, 112, 113)는 음성(또는 음향, 이하 음성)을 실시간 수집하고, A 마이크(111)로 인가되는 신호(음성포함)를 Sa라고 하고, B 마이크(112)로 인가되는 신호를 Sb 그리고 C 마이크(113)로 인가되는 신호를 Sc라고 가정한다.
비교기준명령 설정단계(310)에서는 마이크(111, 112, 113)로 인가되는 신호를 분석한 결과 착용자의 음성이라고 판단한 후, 입력된 착용자의 음성이 본 발명에 따른 넥밴드 음향장치(100)의 동작을 지시하는 것인가를 비교할 때 사용하기 위한 비교기준명령을 설정하여 저장해 놓는다. 비교기준명령의 하나의 예로는 '여보세요' 또는 "Hello"와 같이 통화에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단어이다. 비교기준명령의 다른 예로는 "반복", "다음 곡" 또는 "이전 곡"과 같이 음원의 재생을 제어하는 명령이다. 이러한 명령에 대응하여 동작하기 위해서는, 착용자의 명령을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산이나 명령을 생성하는 기능이 내부에 설치된 메인 컨트롤러(미도시)에 이미 프로그램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음성신호 수집단계(320)는 3개의 마이크(111, 112, 113)로 입력되는 모든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소리발생원과의 거리 비교단계(330)에서는, 음성신호 수집단계(320)에서 수집한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3개의 마이크(111, 112, 113)로 입력된 신호의 각각의 도달 시간의 차이를 계산하여, 3개의 마이크(111, 112, 113) 중에서 어느 마이크에 가장 가까운 곳에서 음성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며, 제1지연시간 비교단계(331), 제2지연시간 비교단계(332) 및 제3지연시간 비교단계(333)를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3개의 마이크(111, 112, 113)의 전방에 소리발생원(D) 즉 착용자의 입이 있을 것을 쉽게 예상할 수 있다. 소리발생원(D)에서 방출된 하나의 음성신호가 3개의 마이크(A, B, C)에 입력되는 신호의 도달시간은 각각 TSa, TSb, 및 TSc라고 가정한다. 3개의 마이크(A, B, C)에 동일 음원이 도달하는 서로 다른 시간을 검출하는 것은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기술자에게는 쉬운 일이므로 이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제1지연시간 비교단계(331)에서는 2개의 마이크(A, B)에 입력되는 신호의 도달시간(TSa, TSb)을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을 때(No)에는 착용자의 입으로부터 발생한 소리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계속하여 음성신호 수집단계(320)를 수행하도록 한다. 왜냐하면, 2개의 마이크(a, b)는 착용자의 입으로부터 거의 동일한 거리 떨어진 곳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입으로 무슨 말을 했다면 2개의 마이크(A, B)에 음성이 도달하는 시간은 동일할 것이기 때문이다. 반대로, 동일하다고 판단한 때(Yes)에는 소리발생원(D)이 적어도 2개의 마이크(A, B)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떨어져 있다는 것으로 판단하여 후술하는 제2지연시간 비교단계(332)를 수행하도록 한다.
제2지연시간 비교단계(332)에서는 2개의 마이크(A, B)에의 도달시간(TSa, TSb) 중 하나를 3번째 마이크(C)의 도달시간(TSc)과 비교하여, 3번째 마이크(C)의 도달시간(TSc)이 2개의 마이크(A, B)의 도달시간(TSa, TSb) 중 하나와 같거나 빠른 경우(NO)에는 소리발생원(D)이 2개의 마이크(A, B)보다 3번째 마이크(C)에 더 가깝게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계속하여 음성신호 수집단계(320)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는 3번째 마이크(C)가 착용자의 목 근처에 위치하는 반면에 2개의 마이크(A, B)가 착용자의 입과 가까운 장소에 위치하기 때문에, 음원이 3번째 마이크(C)에 가깝게 있다는 것은 음원이 착용자의 입으로부터 발생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판단결과 3번째 마이크(C)의 수신시간(TSc)이 2개의 마이크(A, B)의 수신시간(TSa, TSb) 중 하나보다 느릴 때에는 소리발생원(D)이 3번째 마이크(C) 보다는 2개의 마이크(A, B)에 더 가깝게 있다는 것으로 판단하고, 후술하는 제3지연시간 비교단계(333)를 수행하도록 한다.
제3지연시간 비교단계(333)에서는 2개의 마이크(A, B)의 도달시간(TSa, TSb) 중 하나를 3번째 마이크(C)의 도달시간(TSc)의 차이(TSd)가 음파의 진행속도로 판단할 때 소리발생원(D)에서 발생한 음성이 3번째 마이크(C)와 2개의 마이크(A, B) 사이의 거리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TSe)과 동일한가를 비교한다. 비교결과 동일하지 않을 때(No)에는 착용자의 입에서 발생한 음성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음성신호 수집단계(320)를 수행하도록 하고, 동일하다고 판단한 때(Yes)에는 착용자의 입에서 발생한 음성이라고 판단하고, 이어지는 입력된 신호의 손실 값 비교단계(340)를 수행하도록 한다.
입력된 신호의 손실 값 비교단계(34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것과는 다르게 소리발생원과의 거리 비교단계(330)와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동시에 수행할 때에는 2개의 단계(330, 340)를 동시에 만족하는 경우에만 후술하는 조치단계(350)가 수행되도록 하면 된다.
입력된 신호의 손실 값 비교단계(340)에서는 3개의 마이크(A, B, C)에 도달한 신호의 에너지를 비교함으로써, 소리발생원(D)에서 방출된 신호가 공기 중을 진행할 때의 신호의 감쇄율을 감안하여 신호의 방향을 결정하도록 한다. 입력된 신호의 손실 값 비교단계(340)에서는 제1손실값 비교단계(341), 제2손실값 비교단계(342) 및 제3손실값 비교단계(343)를 수행한다.
제1손실값 비교단계(341)에서는 2개의 마이크(A, B)에서 수신한 신호의 크기(Aa, Ab)가 동일한가를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한 때(No)에는 음성신호 수집단계(320)를 수행하도록 하고, 동일하다고 판단한 때(Yes)에는 소리발생원(D)이 2개의 마이크(A, B)에서 동일한 거리에 떨어져 있다는 것을 반증하며, 이때에는 후술하는 제2손실값 비교단계(342)를 수행하도록 한다.
제2손실값 비교단계(342)에서는 2개의 마이크(A, B) 중 하나의 마이크에서 수신한 신호의 크기(Aa, Ab)가 3번째 마이크(C)에서 수신한 신호의 크기(Ac)와 비교하여, 2개의 마이크(A, B) 중 하나의 마이크에서 수신한 신호의 크기가 3번째 마이크(C)에서 수신한 신호의 크기와 같거나 작을 때(No)에는 음성신호 수집단계(320)를 수행하도록 하고, 2개의 마이크(A, B) 중 하나의 마이크에서 수신한 신호의 크기가 3번째 마이크(C)에서 수신한 신호의 크기보다 클 때(Yes)에는 소리발생원(D)의 위치가 3번째 마이크(C) 보다는 2개의 마이크(A, B) 쪽에 더 가깝다고 판단하여, 후술하는 제3손실값 비교단계(343)를 수행하도록 한다.
제3손실값 비교단계(343)에서는 2개의 마이크(A, B) 중 하나의 마이크에서 수신한 신호의 크기와 3번째 마이크(C)에서 수신한 신호의 크기의 차이(Ad)가, 2개의 마이크(A, B) 중 하나의 마이크와 크기와 3번째 마이크(C)의 거리 차이에 대응하는 차이(Ae)와 일치하는가를 판단하여,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No) 때에는 음성신호 수집단계(320)를 수행하도록 하고, 일치한다고 판단한 때(Yes)에는 착용자의 입에서 발생한 음성이라고 판단한다.
조치단계(350)는 소리발생원과의 거리 비교단계(330) 및 입력된 신호의 손실 값 비교단계(340)에서 착용자의 입에서 발생한 음성이라고 동시에 판단한 때에 수행한다. 조치단계(350)에서는 소리발생원과의 거리 비교단계(330) 및 입력된 신호의 손실 값 비교단계(340)에서 착용자의 입에서 발생한 음성이라고 동시에 판단한 때, 본 발명에 따른 넥밴드 음향장치(100)의 음량을 줄이거나, 송출하는 음악의 재생을 일시정지 또는 완전하게 정지시키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넥밴드 음향장치의 스피커 음량 조절방법의 다른 일 실시 예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는, 도 3과 비교할 때, 조치단계(450)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조치단계(45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설명하지 않는 부분은 도 3을 설명한 것으로 갈음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조치단계(450)에서는 음성판단단계(451) 및 제2조치단계(452)를 수행한다.
음성판단단계(451)는 소리발생원과의 거리 비교단계(430) 및 입력된 신호의 손실 값 비교단계(440)에서 착용자의 입에서 발생한 음성(CMD)이라고 동시에 판단한 음성을 비교기준명령(REF)과 한 번 더 비교함으로써 명령을 재확인하도록 하는 것으로, 착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넥밴드 음향장치(100)에 명령을 내린 것이 아니라 주위 사람과 대화를 할 때에 대비한 것이다.
음성판단단계(451)에서 음성(CMD)이 비교기준명령(REF)과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한 때(No)에는 음성신호 수집단계(420)를 수행하도록 하고, 일치한다고 판단한 때(Yes)에는 후술하는 제2조치단계(252)를 수행하도록 한다.
제2조치단계(25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넥밴드 음향장치(100)에서 송출하는 음악의 재생을 일시정지 또는 완전하게 정지시키거나, 이어폰으로 송출하는 음악의 크기를 최소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10: 넵밴드 프레임
111, 112, 113: 마이크
115: 신호처리부

Claims (5)

  1. 착용자의 목에 걸어 사용하는 넥밴드 음향장치로써,
    일부가 개방된 원형의 형태를 가지는 넥밴드 프레임;
    상기 넥밴드 프레임의 개방된 양 단자 부근의 2곳(제1마이크 및 제2마이크)과 상기 넥밴드 프레임을 착용하였을 때 목 부분에 대응하는 곳(제3마이크)에 각각 설치된 3개의 마이크; 및
    상기 3개의 마이크로 인가되는 신호(음성 및 음향)에서 동일한 신호의 각 마이크에 도달한 시간, 도달한 신호의 크기 및 상기 넥밴드 프레임의 개방된 양 단자 부근의 2곳에 설치된 2개의 마이크와 상기 넥밴드 프레임을 착용하였을 때 목 부분에 대응하는 곳에 설치된 3번째 마이크의 위치를 반영하여 상기 넥밴드 프레임의 착용자가 말을 하였는가를 판단하거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넥밴드 음향장치에서 재생하고 있던 음원의 음량을 조절하거나, 음원의 동작을 일시정지 또는 정지시키도록 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넥밴드 음향장치의 음량을 조절하는 방법으로써,
    상기 3개의 마이크로 입력되는 모든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음성신호 수집단계;
    상기 음성신호 수집단계에서 수집한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3개의 마이크로 입력된 신호의 각각의 도달 시간의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3개의 마이크 중에서 어느 마이크에 가장 가까운 곳에서 음성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소리발생원과의 거리 비교단계;
    상기 3개의 마이크에 도달한 신호의 에너지를 비교함으로써, 소리발생원에서 방출된 신호가 공기 중을 진행할 때의 신호의 감쇄율을 감안하여 신호의 방향을 결정하는 입력된 신호의 손실 값 비교단계;
    상기 소리발생원과의 거리 비교단계 및 상기 입력된 신호의 손실 값 비교단계에서 착용자의 입에서 발생한 음성이라고 동시에 판단한 때에 수행하며, 상기 넥밴드 음향장치에서 재생하고 있는 음량을 줄이거나, 송출하는 음악의 재생을 일시정지 또는 완전하게 정지시키도록 하는 조치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소리발생원과의 거리 비교단계에서는,
    상기 제1마이크 및 상기 제2마이크에 입력되는 신호의 도달시간을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음성신호 수집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1지연시간 비교단계;
    상기 제1지연시간 비교단계에서 동일하다고 판단한 때 수행하며, 상기 제1마이크 또는 상기 제2마이크에의 도달시간 중 하나의 도달시간을 상기 제3마이크에의 도달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제3마이크에의 도달시간이 상기 제1마이크 또는 상기 제2마이크에의 도달시간 중 하나와 같거나 빠른 경우에는 상기 음성신호 수집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2지연시간 비교단계; 및
    상기 제3마이크의 도달시간이 상기 제1마이크 또는 상기 제2마이크에의 도달시간 중 하나보다 느릴 때에 수행하며, 상기 제1마이크 또는 상기 제2마이크의 도달시간 중 하나의 도달시간과 상기 제3마이크에의 도달시간과의 차이가 음파의 진행속도로 판단할 때 음성이 상기 제3마이크와 상기 제1마이크 또는 상기 제3마이크와 상기 제2마이크 사이의 거리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동일한가를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음성신호 수집단계를 수행하도록 하고, 동일하다고 판단한 때에는 상기 입력된 신호의 손실 값 비교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3지연시간 비교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밴드 음향장치의 스피커 음량 조절방법.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3개의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이 상기 넥밴드 음향장치의 동작을 지시하는 것인가를 판단할 때 사용하는 비교기준명령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비교기준명령 설정단계; 를 더 수행하며,
    상기 조치단계는,
    상기 소리발생원과의 거리 비교단계 및 상기 입력된 신호의 손실 값 비교단계에서 착용자의 입에서 발생한 음성이라고 동시에 판단한 음성을 상기 비교기준명령과 비교하는 음성판단단계; 및
    상기 음성판단단계에서 상기 음성과 상기 비교기준명령과 동일하다고 판단한 때에 수행하며, 상기 넥밴드 음향장치에서 송출하는 음악의 재생을 일시정지 또는 완전하게 정지시키거나, 이어폰으로 송출하는 음악의 크기를 최소로 하는 제2조치단계;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밴드 음향장치의 스피커 음량 조절방법.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입력된 신호의 손실 값 비교단계에서는,
    상기 제1마이크 및 상기 제2마이크에서 수신한 신호의 크기가 동일한가를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한 때에는 상기 음성신호 수집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1손실값 비교단계;
    상기 제1손실값 비교단계에서 동일하다고 판단한 때 수행하며, 상기 제1마이크 또는 상기 제2마이크에서 수신한 신호의 크기를 상기 제3마이크에서 수신한 신호의 크기와 비교하여, 상기 제1마이크 또는 상기 제2마이크에서 수신한 신호의 크기가 상기 제3마이크에서 수신한 신호의 크기와 같거나 작을 때에는 상기 음성신호 수집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2손실값 비교단계; 및
    상기 제2손실값 비교단계에서 상기 제1마이크 또는 상기 제2마이크에서 수신한 신호의 크기와 상기 제3마이크에서 수신한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며, 상기 제1마이크 또는 상기 제2마이크에서 수신한 신호의 크기와 상기 제3마이크에서 수신한 신호의 크기의 차이가, 상기 제1마이크 또는 상기 제2마이크와 상기 제3마이크의 거리 차이에 대응하는 크기의 차이와 일치하는가를 판단하여,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때에는 상기 음성신호 수집단계를 수행하도록 하고, 일치한다고 판단한 때에는 상기 조치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3손실값 비교단계;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밴드 음향장치의 스피커 음량 조절방법.
KR1020180023974A 2018-02-27 2018-02-27 넥밴드 음향장치 및 넥밴드 음향장치의 음량 조절방법 KR101950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974A KR101950807B1 (ko) 2018-02-27 2018-02-27 넥밴드 음향장치 및 넥밴드 음향장치의 음량 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974A KR101950807B1 (ko) 2018-02-27 2018-02-27 넥밴드 음향장치 및 넥밴드 음향장치의 음량 조절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807B1 true KR101950807B1 (ko) 2019-02-21

Family

ID=65585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974A KR101950807B1 (ko) 2018-02-27 2018-02-27 넥밴드 음향장치 및 넥밴드 음향장치의 음량 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8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04409A1 (en) * 2008-02-13 2009-08-13 Sensory, Incorporated Voice Interface and Search for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Bluetooth Headsets and Remote Systems
KR20150080645A (ko) * 2010-05-20 2015-07-0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두부 장착형 마이크로폰 쌍을 이용하여 스피치 신호들을 프로세싱하는 방법들,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KR101767928B1 (ko) 2012-07-26 2017-08-3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음원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04409A1 (en) * 2008-02-13 2009-08-13 Sensory, Incorporated Voice Interface and Search for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Bluetooth Headsets and Remote Systems
KR20150080645A (ko) * 2010-05-20 2015-07-0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두부 장착형 마이크로폰 쌍을 이용하여 스피치 신호들을 프로세싱하는 방법들,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KR101767928B1 (ko) 2012-07-26 2017-08-3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음원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409861A1 (en) Two-way wireless headphones
NL2021308B1 (en) Methods for a voice processing system
JP5499633B2 (ja) 再生装置、ヘッドホン及び再生方法
KR102449230B1 (ko) 마이크로폰의 기회주의적 사용을 통한 오디오 향상
KR101731714B1 (ko) 음질 개선을 위한 방법 및 헤드셋
US7536212B2 (en) Communication system using short range radio communication headset
KR102513461B1 (ko) 헤드폰 시스템
CN110493678B (zh) 耳机的控制方法、装置、耳机和存储介质
JP5740572B2 (ja) 補聴器、信号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088158A1 (zh) 一种耳机及其播放方法
US10341499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incoming call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40364171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voice communication experience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20210125609A1 (en)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imposter rejection on a headphone with an accelerometer
TW201334573A (zh) 超小型耳機
US10510361B2 (en) Audio processing apparatus that outputs, among sounds surrounding user, sound to be provided to user
KR102577901B1 (ko)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EP3707917B1 (en) Intelligent conversation control in wearable audio systems
WO2020017518A1 (ja) 音声信号処理装置
KR101950807B1 (ko) 넥밴드 음향장치 및 넥밴드 음향장치의 음량 조절방법
JP2024001353A (ja) ヘッドホン、および音響信号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11935578A (zh) 一种耳机及控制方法
WO20221511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headphone with anc
JP2019110447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JPH0993683A (ja) ステレオ、電話切換送受話装置
US20220256278A1 (en) Automatic keyword pass-through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