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432B1 - 외부에서 적외선 발신기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외부에서 적외선 발신기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432B1
KR101950432B1 KR1020170098928A KR20170098928A KR101950432B1 KR 101950432 B1 KR101950432 B1 KR 101950432B1 KR 1020170098928 A KR1020170098928 A KR 1020170098928A KR 20170098928 A KR20170098928 A KR 20170098928A KR 101950432 B1 KR101950432 B1 KR 101950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pair
power
remote contro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1140A (ko
Inventor
여운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Priority to KR1020170098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432B1/ko
Publication of KR20180101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전원 소스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가전 기기에게 공급하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하는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으로서, 외부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상기 가전 기기를 온오프(on-off)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가전 기기와 동일 공간 내에 배치된 적외선 발신기에게 상기 가전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가 상기 가전 기기의 소비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가 상기 서버에게 상기 가전 기기의 소비 전력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가전 기기의 소비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전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가 상기 가전 기기에게 발신되지 않거나, 차단되거나, 상기 가전 기기에 의해서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가전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가 실패하였음을 통보한다.

Description

외부에서 적외선 발신기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HECKING ON-OFF CONTROL RESULT OF APPLIANCE USING INFRARED TRANSMITTER FROM OUTSIDE}
본 발명은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적외선 발신기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는 콘센트와 전자 기기의 플러그 사이에 연결되어,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를 모니터링하거나, 사용자 장치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장치를 말한다.
리모콘은 적외선 신호를 발신하여 수신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를 말한다. 리모콘은 가정 내에서 텔레비전, 에어컨, 선풍기, 라디오, 공기청정기 등과 같은 각종 가전 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4008호, 2012.12.0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부에서 적외선 발신기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은, 전원 소스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가전 기기에게 공급하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하는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으로서, 외부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상기 가전 기기를 온오프(on-off)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가전 기기와 동일 공간 내에 배치된 적외선 발신기에게 상기 가전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가 상기 가전 기기의 소비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가 상기 서버에게 상기 가전 기기의 소비 전력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가전 기기의 소비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전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가 상기 가전 기기에게 발신되지 않거나, 차단되거나, 상기 가전 기기에 의해서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가전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가 실패하였음을 통보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은, 전원 소스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가전 기기에게 공급하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하는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으로서, 외부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상기 가전 기기를 온오프(on-off)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가전 기기와 동일 공간 내에 배치된 적외선 발신기에게 상기 가전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가 상기 가전 기기의 소비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가 상기 가전 기기의 소비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전 기기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가 상기 서버에게 상기 가전 기기의 온오프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가전 기기의 온오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전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가 상기 가전 기기에게 발신되지 않거나, 차단되거나, 상기 가전 기기에 의해서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가전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가 실패하였음을 통보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시스템은, 외부에서 가전 기기를 온오프(on-off)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상기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가전 기기와 동일 공간 내에 배치된 적외선 발신기에게 상기 가전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가전 기기의 소비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통보하는 서버, 및 전원 소스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가전 기기에게 공급하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가전 기기의 소비 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서버에게 상기 가전 기기의 소비 전력 정보를 전송하는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전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가 상기 가전 기기에게 발신되지 않거나, 차단되거나, 상기 가전 기기에 의해서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가전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가 실패하였음을 통보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시스템은, 외부에서 가전 기기를 온오프(on-off)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상기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가전 기기와 동일 공간 내에 배치된 적외선 발신기에게 상기 가전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가전 기기의 온오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통보하는 서버, 및 전원 소스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가전 기기에게 공급하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가전 기기의 소비 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가전 기기의 소비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전 기기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서버에게 상기 가전 기기의 온오프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전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가 상기 가전 기기에게 발신되지 않거나, 차단되거나, 상기 가전 기기에 의해서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가전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가 실패하였음을 통보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에서 가전 기기와 동일 공간 내에 배치된 적외선 발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가전 기기를 온오프 제어한 경우 상기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온오프 제어 결과를 통보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의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하부 하우징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AC-DC 변환 보드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AC-DC 변환 보드 상의 온도 센서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의 릴레이 보드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7의 릴레이 보드 상의 온도 센서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7의 보드 커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7의 하부 하우징에 부품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7의 컨트롤러 보드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7의 상부 하우징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8은 도 7의 상부 하우징 상의 안테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7의 상부 하우징에 부품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7의 안테나의 형상이 변형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시스템(1)은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 가전 기기(200), 사용자 단말기(300), 적외선 발신기(400), 서버(500)를 포함한다.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는 전원 소스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가전 기기(200)에게 공급한다.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는 가전 기기(200)의 전력 소비를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는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역률, 누적 전력량, 이산화탄소 배출량, 전력 요금 등을 측정 및 산출할 수 있다.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는 상술한 소비 전력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기(300) 또는 서버(500)와 통신한다.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는 상술한 소비 전력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기(300) 또는 서버(5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는 이상 상태가 감지되는지, 또는 사용자 단말기(300) 또는 서버(500)로부터 온오프 제어 명령이 수신되는지에 따라 전원 소스로부터 가전 기기(200)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는 과열이 감지되면 가전 기기(20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과열을 경고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0)는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자 기기를 나타낸다. 도 1의 가전 기기(200)는 텔레비전을 도시한 것이다.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가전 기기(200)에는 적외선 수신기가 내장된다. 가전 기기(200)는 적외선 수신기를 이용하여 리모콘(미도시) 또는 적외선 발신기(400)로부터 미리 정해진 적외선(Infrared Ray) 원격 제어(Remote Control)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0)는 미리 정해진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에 따른 제어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200)는 전원을 온오프(on-off)하거나, 채널을 이동하거나, 음량을 조절하는 등의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도 1에 예시된 텔레비전(200)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전 기기(200)는 예를 들어 에어컨, 세탁기, 드라이어, 밥솥, 오븐, 토스터, 주전자, 전자레인지, 냉장고, 식기세척기, 선풍기, 라디오, 청소기, 공기청정기, 조명 기기 등과 같이 가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전기 기계 또는 기구 중 적외선 원격 제어가 가능한 임의의 가전 기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전자 통신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300)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패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전자 통신 기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 적외선 발신기(400) 또는 서버(500)와 통신한다. 네트워크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3G/4G/5G, LTE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또는 WiFi, ZigBee, Z-wave, Bluetooth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적외선 발신기(400)와 직접 연결되어 적외선 발신기(400)에게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300)는 서버(500)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적외선 발신기(400)에게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데이터의 연산 및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310)을 수행한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310)은 가전 기기(200)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가전 기기(200)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와 데이터들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기(300)의 메모리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310)을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310)을 수행한다.
적외선 발신기(400)는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를 발신한다. 적외선 발신기(400)는 리모콘과 다르게 서로 다른 복수의 가전 기기(200)에게 각각의 가전 기기(200)에 적합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적외선 발신기(400)는 사용자 단말기(300) 또는 서버(500)로부터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에 따라 상응하는 미리 정해진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를 발신한다.
서버(500)는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200)의 전력 소비를 모니터링한다. 서버(500)는 각각의 가전 기기(200)별로 소비 전력 정보 등을 저장한다.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기(300)에게 각각의 가전 기기(200) 또는 전체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정보 등의 히스토리, 다른 사용자와의 소비 전력 정보 등의 비교 결과 등을 전송한다.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 가전 기기(200), 적외선 발신기(400)는 동일한 공간(10, 예를 들어, 집) 내에 배치되고, 사용자는 외부에서 사용자 단말기(300)를 조작하여 서버(500)에게 가전 기기(200)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시스템(1)에서, 사용자 단말기(300)가 서버(500)에게 가전 기기(200)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요청을 전송하면, 서버(500)가 적외선 발신기(400)에게 가전 기기(200)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을 전송한다. 그리고, 서버(300)는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에게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정보를 요청하여,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로부터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정보를 수신한다. 서버(500)는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200)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가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변화를 검출하여, 서버(300)에게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가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200)의 온오프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500)는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로부터 가전 기기(200)의 온오프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가전 기기(200)의 온오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200)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710에서, 사용자 단말기(300)가 서버(500)에게 가전 기기(200)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Infrared Ray) 원격 제어(Remote Control) 신호의 발신 요청을 전송한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00)는 온 제어 신호 또는 오프 제어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720에서, 서버(500)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의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요청에 응답하여 적외선 발신기(400)에게 가전 기기(200)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을 전송한다.
이어서, 단계 S730에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에 따라, 적외선 발신기(400)가 가전 기기(200)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를 발신한다.
이어서, 단계 S740에서, 서버(500)가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에게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정보를 요청한다.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는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을 측정한다. 이어서, 단계 S750에서,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가 서버(500)에게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정보를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500)가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의 전송과 동시에 또는 전송 이후에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에게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측정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는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측정 명령에 응답하여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로써,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는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760에서, 서버(500)가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200)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확인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500)가 미리 저장된 가전 기기(200)의 대기 전력 정보와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가전 기기(200)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서버(500)는 미리 저장된 기준 전력 정보와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정보를 비교할 수도 있다.
이어서, 단계 S770에서, 서버(500)가 사용자 단말기(300)에게 가전 기기(200)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통보한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영상, 음성 또는 임의의 신호를 이용하여 온오프 제어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오프 제어 결과는 사용자가 요청했던 온오프 제어의 내용, 현재의 가전 기기(200)의 온오프 상태, 또는 가전 기기(200)에 대한 온오프 제어의 성공/실패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전 기기(200)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확인한 결과, 가전 기기(200)의 온오프 제어가 미실행된 경우, 서버(500)는 상기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을 재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기(300)에게 상기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를 재 발신할지 여부를 문의하고, 사용자가 승인한 경우에 상기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을 재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와의 차이점을 중점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810에서, 사용자 단말기(300)가 서버(500)에게 가전 기기(200)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요청을 전송한다. 이어서, 단계 S820에서, 서버(500)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의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요청에 응답하여 적외선 발신기(400)에게 가전 기기(200)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을 전송한다.
이어서, 단계 S830에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에 따라, 적외선 발신기(400)가 가전 기기(200)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를 발신한다.
이어서, 단계 S840에서,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가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변화를 검출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과 다르게, 서버(500)가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에게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정보를 요청하지 않는다.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는 실시간으로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을 측정한다. 이어서, 단계 S850에서, (가전 기기(200)가 온 또는 오프됨으로써)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보다 큰 경우,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가 서버(500)에게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정보를 전송한다.
이어서, 단계 S860에서, 서버(500)가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200)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확인한다.
이어서, 단계 S870에서, 서버(500)가 사용자 단말기(300)에게 가전 기기(200)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통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와의 차이점을 중점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910에서, 사용자 단말기(300)가 서버(500)에게 가전 기기(200)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요청을 전송한다. 이어서, 단계 S920에서, 서버(500)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의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요청에 응답하여 적외선 발신기(400)에게 가전 기기(200)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을 전송한다.
이어서, 단계 S930에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에 따라, 적외선 발신기(400)가 가전 기기(200)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를 발신한다.
이어서, 단계 S940에서,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가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변화를 검출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과 다르게, 서버(500)가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에게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정보를 요청하지 않는다.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는 실시간으로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을 측정한다.
이어서, 단계 S950에서, (가전 기기(200)가 온 또는 오프됨으로써)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보다 큰 경우,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가 소비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200)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한다. 이로써,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가 가전 기기(200)의 온오프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과 다르게, 서버(500)가 가전 기기(200)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500)가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의 전송과 동시에 또는 전송 이후에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에게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측정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는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측정 명령에 응답하여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로써,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는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가 미리 저장된 가전 기기(200)의 대기 전력 정보와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가전 기기(200)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는 미리 저장된 기준 전력 정보와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정보를 비교할 수도 있다.
이어서, 단계 S960에서,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가 서버(500)에게 가전 기기(200)의 온오프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이어서, 단계 S970에서, 서버(500)가 가전 기기(200)의 온오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200)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확인한다.
이어서, 단계 SS980에서, 서버(500)가 사용자 단말기(300)에게 가전 기기(200)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통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과의 차이점을 중점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시스템(2)은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 가전 기기(200), 사용자 단말기(300), 적외선 발신기(400), 서버(500), RF 발신기(600)를 포함한다.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는 전원 소스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가전 기기(200)에게 공급한다.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는 가전 기기(200)의 전력 소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적외선 발신기(400)에게 직접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을 전송하거나, 서버(500)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적외선 발신기(400)에게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을 전송할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 또는 서버(500)는 RF 발신기(600)를 통해서 적외선 발신기(400)에게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적외선 발신기(400)는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를 발신한다. 적외선 발신기(400)는 리모콘과 다르게 서로 다른 복수의 가전 기기(250)에게 각각의 가전 기기(250)에 적합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적외선 발신기(400)는 사용자 단말기(300) 또는 서버(500)로부터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에 따라 상응하는 미리 정해진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를 발신한다. 또는, 적외선 발신기(400)는 RF 발신기(600)로부터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에 따라 상응하는 미리 정해진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를 발신할 수도 있다.
서버(500)는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250)의 전력 소비를 모니터링한다.
RF 발신기(600)는 RF 원격 제어 신호를 발신한다. RF 발신기(600)는 사용자 단말기(300) 또는 서버(500)로부터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에 따라 상응하는 미리 정해진 RF 원격 제어 신호를 발신한다. 사용 환경에 따라, 하나의 RF 발신기(600)가 복수 개의 적외선 발신기(4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시스템(2)에서, 사용자 단말기(300)와 서버(5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을 수행하며, 서버(500)는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가전 기기(200)의 소비 전력 정보 또는 온오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200)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불량 또는 고장 등의 내부 요인 또는 물리적인 또는 환경적인 외부 요인에 의해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가 정상적으로 가전 기기에 대하여 발신되지 않거나, 차단되거나, 가전 기기에 의해서 수신되지 않은 경우, 특히, 상기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가 가전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가전 기기의 소비 전력 측정 결과 또는 온오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온오프 제어 결과를 통보하거나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를 재 발신함으로써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는 하우징(110, 160), 하우징(110, 160) 내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AC-DC 변환 보드(120), 릴레이 보드(130), 보드 커버(140), 및 컨트롤러 보드(15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 120)은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한다. 하우징(110, 120)은 통 형상을 가지며, 비전도체의 재질로 형성된다. 하우징(110, 120)은 하부 하우징(110) 및 상부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110) 및 상부 하우징(120)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호 결합된다. 하부 하우징(110)은 상부 하우징(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며, 하부 하우징(110)의 상부가 상부 하우징(120)의 하부에 끼움 결합된다.
하부 하우징(110)은 일 측이 개방되고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의 통 형상의 하부 하우징 몸체(111)를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 몸체(111)의 외경은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진다.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부 하우징 몸체(111)의 바닥면에는 후술하는 한 쌍의 플러그 핀(122)이 관통하는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부 하우징 몸체(111)의 바닥면의 한 쌍의 관통공의 내주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한 쌍의 플러그 핀(122)의 일 단부의 요철(122a)과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한 쌍의 플러그 핀(122)의 이탈이 방지되며, 한 쌍의 플러그 핀(122)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 몸체(111)의 바닥면에는 접지를 위한 그라운드(112)가 결합된다. 그라운드(112)는 소정의 길이의 띠 형태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U’자 단면의 형상을 가진다. 그라운드(112)의 중앙부가 리벳(113)에 의해서 하부 하우징 몸체(111)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라운드(112)의 중앙부는 하부 하우징 몸체(111)의 바닥면 상에 노출되게 밀착 지지되고, 그라운드(112)의 측부는 각각 하부 하우징 몸체(111)의 측면 상에 노출되게 밀착 지지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112)의 측부는 상부 하우징 몸체(161)의 바닥면의 양 측을 관통하여 상부 하우징 몸체(161)의 바닥면 상에 노출된다.
AC-DC 변환 보드(120)는 판 형상의 기판(121)을 포함한다. 기판(121)의 바닥면에는 한 쌍의 플러그 핀(122)이 결합된다. 한 쌍의 플러그 핀(122)의 일 단부(122a)가 납땜에 의해서 기판(121)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플러그 핀(122)은 소정의 길이의 봉 형상을 가지며, 전도체의 재질로 형성된다. 한 쌍의 플러그 핀(122)의 일 단부의 외주면에는 요철(122a)이 형성되어, 상술한 하부 하우징 몸체(111)의 바닥면의 요철과 결합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플러그 핀(122)은 하부 하우징 몸체(11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하부 하우징 몸체(111)의 바닥면 상에 노출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플러그 핀(122)에 인접하여 제1 온도 센서(126)가 배치된다. 제1 온도 센서(126)는 한 쌍의 플러그 핀(122)의 사이 중앙에 배치되어, 한 쌍의 플러그 핀(122) 주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한 쌍의 플러그 핀(122)이 끼움 결합되는 멀티탭 등의 콘센트의 접속 터미널 또는 한 쌍의 플러그 핀(122)이 과열되는 경우 이로부터 발생된 열이 주변의 온도를 상승시키며, 제1 온도 센서(126)는 이러한 주변의 온도 변화를 감지한다. 제1 온도 센서(126)는 후술하는 트랜스포머(123)로부터 DC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작한다. 도 5에서는 하나의 제1 온도 센서(126)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둘 이상의 제1 온도 센서(126)가 한 쌍의 플러그 핀(122)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기판(121)의 상면에는 트랜스포머(123), 핀 타입 제1 전원 시그널 커넥터(124), 한 쌍의 전원 배선(125)이 결합된다. 트랜스포머(123)는 한 쌍의 플러그 핀(122)을 통해서 (콘센트로부터) 공급되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를 위한 내부 전원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릴레이 모듈(132), 컨트롤러 모듈(152) 등은 트랜스포머(123)에 의해서 생성된 내부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제1 전원 시그널 커넥터(124)는 트랜스포머(123)로부터 내부 DC 전원을 공급받고, 후술하는 릴레이 보드(130)로 내부 DC 전원을 전달하고, 시그널을 교환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전원 시그널 커넥터(124)는 제1 온도 센서(126)로부터의 시그널을 후술하는 제2 전원 시그널 커넥터(133)에 전달할 수 있다. 한 쌍의 전원 배선(125)은 한 쌍의 플러그 핀(122)을 통해서 공급되는 AC 전원을 후술하는 릴레이 보드(130)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한 쌍의 전원 배선(125)은 전도성 금속을 포함하여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전원 배선(125)은 릴레이 보드(130)를 지지하여, 한 쌍의 플러그 핀(122)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기판(121)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릴레이 보드(130)는 AC-DC 변환 보드(120) 상에 적층되어 결합된다. 릴레이 보드(130)는 판 형상의 기판(131)을 포함한다. 기판(131)의 바닥면에는 릴레이 모듈(132), 핀 타입 제2 전원 시그널 커넥터(133)가 결합된다. 릴레이 모듈(132)은 한 쌍의 전원 배선(125)을 통해서 AC 전원을 공급받고, 컨트롤러 모듈(152)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한 쌍의 접속 터미널(135)에 AC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제2 전원 시그널 커넥터(133)는 AC-DC 변환 보드(120)의 제1 전원 시그널 커넥터(124)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내부 DC 전원을 공급받고, 시그널을 교환한다. 제2 전원 시그널 커넥터(133)는 릴레이 모듈(132)에게 내부 DC 전원을 전달한다. 제2 전원 시그널 커넥터(133)는 제1 전원 시그널 커넥터(124)로부터 제1 온도 센서(126)로부터의 시그널을 수신한다. 기판(131)의 상면에는 핀 타입 제3 전원 시그널 커넥터(134) 및 한 쌍의 접속 터미널(135)이 결합된다. 제3 전원 시그널 커넥터(134)는 후술하는 컨트롤러 보드(150)로 내부 DC 전원을 전달하고, 시그널을 교환하기 위한 것이다. 제3 전원 시그널 커넥터(134)는 제1 온도 센서(126)로부터의 시그널 또는 제2 온도 센서(136)로부터의 시그널을 후술하는 제4 전원 시그널 커넥터(133)에 전달할 수 있다. 한 쌍의 접속 터미널(135)에는 전자 기기의 플러그 핀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접속 터미널(135)은 전도체의 재질로 형성되고, 한 쌍의 전원 배선(125)로부터 공급되는 AC 전원을 전자 기기의 플러그 핀에 공급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접속 터미널(135)에 인접하여 제2 온도 센서(136)가 배치된다. 제2 온도 센서(136)는 한 쌍의 접속 터미널(135)의 사이 중앙에 배치되어, 한 쌍의 접속 터미널(135) 주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한 쌍의 접속 터미널(135) 또는 한 쌍의 접속 터미널(135)에 끼움 결합되는 전자 기기의 플러그 핀이 과열되는 경우 이로부터 발생된 열이 주변의 온도를 상승시키며, 제2 온도 센서(136)는 이러한 주변의 온도 변화를 감지한다. 제2 온도 센서(136)는 제2 전원 시그널 커넥터(133)로부터 DC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작한다. 도 12에서는 하나의 제2 온도 센서(136)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둘 이상의 제2 온도 센서(136)가 한 쌍의 접속 터미널(135)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보드 커버(140)는 릴레이 보드(130) 상에 적층되어 결합된다. 보드 커버(140)는 릴레이 보드(130)와 후술하는 컨트롤러 보드(150)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면서, 동시에 릴레이 보드(130) 상에 후술하는 컨트롤러 보드(15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드 커버(140)는 판 형상의 커버(141)를 포함한다. 커버(141)에는 릴레이 보드(130)의 제3 전원 시그널 커넥터(134)를 노출시키기 위한 홈(144)이 형성된다. 커버(141)의 상면에는 한 쌍의 터미널 커버(142) 및 하나 이상의 걸림쇠(13)가 형성된다. 한 쌍의 터미널 커버(142)는 한 쌍의 접속 터미널(135)을 노출시키며, 그 둘레를 둘러싼다. 한 쌍의 터미널 커버(142)는 한 쌍의 접속 터미널(135)보다 높게 형성되어, 한 쌍의 접속 터미널(135)로부터 생성된 스파크가 컨트롤러 보드(150)에 전기적인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걸림쇠(143)는 후술하는 컨트롤러 보드(150)을 보드 커버(140) 상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의 조립 과정에서, AC-DC 변환 보드(120), 릴레이 보드(130), 보드 커버(140)가 결합된 부품 어셈블리는 하부 하우징(110) 내에 삽입되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부품 어셈블리는 열 융착 또는 볼트 체결 방식을 이용해서 하부 하우징(110)에 고정될 수 있다.
컨트롤러 보드(150)는 보드 커버(140) 상에 적층되어 결합된다. 컨트롤러 보드(150)는 판 형상의 기판(151)을 포함한다. 기판(151)에는 보드 커버(140)의 한 쌍의 터미널 커버(142)가 관통하는 관통공(155)이 형성된다. 기판(151)의 바닥면에는 핀 타입 제4 전원 시그널 커넥터(153)가 결합된다. 제4 전원 시그널 커넥터(153)는 릴레이 보드(130)의 제3 전원 시그널 커넥터(134)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내부 DC 전원을 공급받고, 시그널을 교환한다. 제4 전원 시그널 커넥터(153)는 컨트롤러 모듈(152)에게 내부 DC 전원을 공급한다. 제4 전원 시그널 커넥터(153)는 컨트롤러 모듈(152)에게 제1 온도 센서(126)로부터의 시그널 및 제2 온도 센서(136)로부터의 시그널을 전달한다. 릴레이 보드(130)와 컨트롤러 보드(150)의 전원 시그널 커넥터(134, 153)는 컨트롤러 모듈(152)과 릴레이 모듈(132)의 사이에서 시그널을 교환할 수 있다. 기판(151)의 상면에는 컨트롤러 모듈(152), 내부 버튼(154) 및 안테나 접점(156)이 결합된다. 컨트롤러 모듈(152)은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모듈(152)은 데이터의 연산 및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컨트롤러 모듈(152)은 전자 기기의 소비 전력, 역률, 누적 전력량, 이산화탄소 배출량, 전력 요금 등을 측정 및 산출하고, 이를 사용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 모듈(152)은 이상 상태가 감지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전자 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 조작할 수 있다. 컨트롤러 모듈(152)은 온도 센서(126 또는 136)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 온도 이상일 때에 릴레이 모듈(132)을 제어하여 전자 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동시에, 컨트롤러 모듈(152)은 사용자 장치에 과열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내부 버튼(154)은 누름 동작에 따라 컨트롤러 모듈(152)에 커맨드 시그널을 전달할 수 있다. 커맨드 시그널에 따라, 컨트롤러 모듈(152)은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의 턴 온/오프 동작, 전자 기기의 플러그 핀에 대한 AC 전원의 공급/차단 동작, 사용자 장치와의 페어링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안테나 접점(156)은 후술하는 안테나(164)의 접점부(164c)와 접속된다. 컨트롤러 모듈(152)은 안테나(156)를 통해서 사용자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60)은 양 측이 개방되고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의 통 형상의 상부 하우징 몸체(161)를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 몸체(161)의 내경은 전자 기기의 플러그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진다. 상부 하우징 몸체(161)의 바닥면(167)은 상부로부터 소정의 깊이의 중간부에 형성된다.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부 하우징 몸체(161)의 바닥면(167)에는 전자 기기의 플러그 핀이 삽입 가능한 한 쌍의 삽입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하우징 몸체(161)의 바닥면(167)의 양 측으로는 하부 하우징(110)의 그라운드(112)의 측부가 관통하는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부 하우징 몸체(161)의 측면에는 홈(166)이 형성되고, 외부 버튼(162)의 일부가 홈(166)을 통해서 상부 하우징 몸체(161)의 측면 상에 돌출되어 노출되게 상부 하우징 몸체(161)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외부 버튼(162)은 컨트롤러 보드(150)의 내부 버튼(154)과 연동한다.
상부 하우징 몸체(161)의 바닥면(167)의 한 쌍의 삽입공에 상응하는 위치에 세이프티 어셈블리(163)가 결합된다. 세이프티 어셈블리(163)는 세이프티 커버(163a), 스프링(163b), 세이프티 바(163c)를 포함한다.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세이프티 바(163c)에는 한 쌍의 삽입공에 상응하여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세이프티 커버(163a)는 세이프티 바(163c)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프링(163b)은 세이프티 커버(163a)가 세이프티 바(163c)의 한 쌍의 관통공을 폐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전자 기기의 플러그 핀이 상부 하우징 몸체(161)의 한 쌍의 삽입공을 통해서 삽입되면, 세이프티 커버(163a)가 스프링(163b)을 압축하면서 일 측으로 회동하여 세이프티 바(163c)의 한 쌍의 관통공을 개방한다. 이로써, 전자 기기의 플러그 이외의 기구물이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164)가 상부 하우징 몸체(161)의 내부 둘레를 따라 벤딩되어 상부 하우징 몸체(161)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안테나(164)는 판 안테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안테나(164)는 상부 하우징 몸체(161)의 내부 둘레를 따라 벤딩되어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안테나 패턴부(164a)를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 몸체(161)의 바닥면(167)의 둘레를 따라 긴 홈(167a)이 형성된다. 안테나 패턴부(164a)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상측 일부)는 상기 홈(167a)에 수용된다. 상부 하우징 몸체(161)의 바닥면(167)의 둘레를 따라 지지 부재(168c)가 상기 홈(167a)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안테나 패턴부(164a)의 길이에 따라, 하나의 지지 부재(168c)가 형성되거나, 둘 이상의 지지 부재(168c)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의 조립 과정에서, 지지 부재(168c)는 열 융착 방식을 이용해서 상부 하우징 몸체(161)의 내측면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지지대(미도시)는 상기 홈(167a)의 하부에서 상부 하우징 몸체(161)의 내측면과 바닥면(167)을 연결하게 되고, 안테나 패턴부(164a)는 상기 홈(167a)에 수용되고 안테나 패턴부(164a)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대에 의해서 지지된다. 이로써, 외부 충격으로 인한 안테나 패턴부(164a)의 이동, 이탈 등이 방지된다. 안테나 패턴부(164a)의 전체적인 형상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안테나 패턴부(164a)는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의 무선 통신 방식(예를 들어, Z-Wave, Wi-Fi, ZigBee, Bluetooth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제공될 수 있다.
안테나 몸체(164b)는 안테나 패턴부(164a)의 일 단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안테나 몸체(164b)의 일 측에는 지지벽(168a)이 상부 하우징 몸체(16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지지벽(168a)은 안테나 몸체(164b)의 일 측 방향의 홈(167a)을 차단한다. 지지벽(168a)이 안테나(164)의 일 측을 지지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 인한 안테나(164)의 이동, 이탈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안테나 접점부(164c)는 안테나 몸체(164b)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안테나 접점부(164c)는 복수의 접점을 가지며, 복수의 접점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안테나 몸체(164b)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안테나 접점부(164c)는 컨트롤러 보드(150)의 안테나 접점(156)과 접속된다. 안테나 접점부(164c)는 소정의 각도로 1회 이상 벤딩되어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안테나 접점부(164c)와 컨트롤러 보드(150)의 안테나 접점(156)이 서로 밀착 접속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 몸체(161)의 바닥면(167) 상에 지지 기둥(168b)이 상기 홈(167a)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지지 기둥(168b)은 안테나 몸체(164b)의 일 면에 인접한다. 지지 기둥(168b)은 안테나 몸체(164b)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 기둥(168b)은 안테나 접점부(164c)의 복수의 접점의 사이에 배치된다. 지지 기둥(168b)은 안테나(164)와 컨트롤러 보드(150)의 접속시, 안테나 몸체(164b) 및/또는 안테나 접점부(164c)를 지지하여 안테나(164)의 벤딩 범위를 제한하고, 안테나(164)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안테나(164)는 은, 구리, 알루미늄, 철 등의 금속 또는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 몸체(161)의 상부에는 밴드(165)가 결합된다. 상부 하우징 몸체(161)의 상부의 외주면에 홈이 형성되고, 밴드(165)는 상기 홈에 결합될 수 있다. 밴드(165)는 소정의 색상을 가지며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의 심미감 및 사용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의 조립 과정에서, 하부 하우징(110), AC-DC 변환 보드(120), 릴레이 보드(130), 보드 커버(140), 컨트롤러 보드(150)가 결합된 부품 어셈블리가 상부 하우징(160) 내에 삽입되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부품 어셈블리는 초음파 융착 방식을 이용해서 상부 하우징(16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64`)는 안테나(164)와 다른 형상으로 변형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변형된 안테나(164`)는 안테나(164)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길게 연장된 안테나 패턴부(164a)를 포함한다. 안테나 패턴부(164a)는 상부 하우징 몸체(161)의 중앙 방향으로 돌출되어 벤딩된 돌출 패턴(164d)을 포함한다. 돌출 패턴(164d)은 안테나 패턴부(164a)의 다른 부분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하우징 몸체(161)의 바닥면(167)에 형성된 단차부(167b)에 돌출 패턴(164d)이 수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에서는 판 형상의 보드들(120, 130, 150)이 수직 축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되므로 소형화가 용이하다. 또한,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에서는 각각의 보드들(120, 130, 150)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커넥터를 가지므로,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의 조립 과정에서 각각의 보드에 대한 불량 여부의 테스트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는 한 쌍의 접속 터미널(135)에 AC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는 한 쌍의 접속 터미널(135)에 공급되는 전류/전압을 기초로 측정된 전자 기기의 소비 전력 등의 정보를 사용자 장치에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는, 결합의 헐거움, 불완전 삽입, 접속 불량 등의 외부 환경 요인 또는 내부 요인으로 인해서 콘센트,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 또는 전자 기기의 플러그가 과열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전자 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사용자 장치에 과열 경고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과열을 방지하고 과열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100)는 안테나(164)가 상부 하우징 몸체(161)의 내부 둘레를 따라 벤딩되어 매립됨으로써, 공간 확보가 용이하여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며, 신호의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조립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
110: 하부 하우징
120: AC-DC 변환 보드
130: 릴레이 보드
140: 보드 커버
150: 컨트롤러 보드
160: 상부 하우징
200: 가전 기기
300: 사용자 단말기
400: 적외선 발신기
500: 서버
600: RF 발신기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외부에서 가전 기기를 온오프(on-off)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상기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가전 기기와 동일 공간 내에 배치된 적외선 발신기에게 상기 가전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가전 기기의 소비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통보하는 서버; 및
    전원 소스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가전 기기에게 공급하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가전 기기의 소비 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서버에게 상기 가전 기기의 소비 전력 정보를 전송하는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전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가 상기 가전 기기에게 발신되지 않거나, 차단되거나, 상기 가전 기기에 의해서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가전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가 실패하였음을 통보하고,
    상기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에 결합된 한 쌍의 플러그 핀, 상기 기판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플러그 핀을 통해서 공급받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트랜스포머, 상기 한 쌍의 플러그 핀에 인접하게 상기 기판에 배치되어 상기 트랜스포머로부터 상기 DC 전원을 공급받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 상기 기판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플러그 핀을 통해서 상기 AC 전원을 공급받는 한 쌍의 전원 배선을 포함하는 AC-DC 변환 보드;
    상기 AC-DC 변환 보드 상에 적층되고, 전자 기기의 플러그 핀이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접속 터미널, 상기 한쌍의 전원 배선을 통해서 상기 AC 전원을 공급받고 컨트롤러 모듈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접속 터미널에 상기 AC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릴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릴레이 보드; 및
    상기 릴레이 보드 상에 적층되고, 상기 한 쌍의 접속 터미널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상기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컨트롤러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일 때에 상기 릴레이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릴레이 보드의 상기 한 쌍의 접속 터미널에 공급되는 상기 AC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고,
    상기 AC-DC 변환 보드에 포함된 한 쌍의 전원 배선은 상기 릴레이 보드를 지지하여, 상기 한 쌍의 플러그 핀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상기 기판의 이동을 방지하는,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시스템.
  10. 외부에서 가전 기기를 온오프(on-off)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상기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가전 기기와 동일 공간 내에 배치된 적외선 발신기에게 상기 가전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의 발신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가전 기기의 온오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를 통보하는 서버; 및
    전원 소스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가전 기기에게 공급하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가전 기기의 소비 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가전 기기의 소비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전 기기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서버에게 상기 가전 기기의 온오프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전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적외선 원격 제어 신호가 상기 가전 기기에게 발신되지 않거나, 차단되거나, 상기 가전 기기에 의해서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가전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가 실패하였음을 통보하고,
    상기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에 결합된 한 쌍의 플러그 핀, 상기 기판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플러그 핀을 통해서 공급받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트랜스포머, 상기 한 쌍의 플러그 핀에 인접하게 상기 기판에 배치되어 상기 트랜스포머로부터 상기 DC 전원을 공급받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 상기 기판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플러그 핀을 통해서 상기 AC 전원을 공급받는 한 쌍의 전원 배선을 포함하는 AC-DC 변환 보드;
    상기 AC-DC 변환 보드 상에 적층되고, 전자 기기의 플러그 핀이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접속 터미널, 상기 한쌍의 전원 배선을 통해서 상기 AC 전원을 공급받고 컨트롤러 모듈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접속 터미널에 상기 AC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릴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릴레이 보드; 및
    상기 릴레이 보드 상에 적층되고, 상기 한 쌍의 접속 터미널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상기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컨트롤러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일 때에 상기 릴레이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릴레이 보드의 상기 한 쌍의 접속 터미널에 공급되는 상기 AC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고,
    상기 AC-DC 변환 보드에 포함된 한 쌍의 전원 배선은 상기 릴레이 보드를 지지하여, 상기 한 쌍의 플러그 핀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상기 기판의 이동을 방지하는,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시스템.
KR1020170098928A 2017-08-04 2017-08-04 외부에서 적외선 발신기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 및 시스템 KR101950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928A KR101950432B1 (ko) 2017-08-04 2017-08-04 외부에서 적외선 발신기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928A KR101950432B1 (ko) 2017-08-04 2017-08-04 외부에서 적외선 발신기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894 Division 2017-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140A KR20180101140A (ko) 2018-09-12
KR101950432B1 true KR101950432B1 (ko) 2019-02-20

Family

ID=63593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928A KR101950432B1 (ko) 2017-08-04 2017-08-04 외부에서 적외선 발신기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4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141B1 (ko) * 2021-03-17 2022-09-26 주식회사 에너넷 적외선 송수신 기능을 갖는 마스터 플러그와 이를 이용한 전력 관리 방법
CN115327936A (zh) * 2022-07-25 2022-11-11 北京卡特加特智能科技有限公司 终端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8822A (ja) * 2011-11-02 2013-05-20 Kyadakku:Kk 電気器具の遠隔制御システムと、それに使用する電気器具の遠隔制御システム用のコンセント装置
JP2014183430A (ja) * 2013-03-19 2014-09-29 Nippon Telegraph & Telephone West Corp 電源遠隔制御システム
EP3051776A1 (en) * 2015-01-29 2016-08-03 Xiaomi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urn-on and turn-off of smart socke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008Y1 (ko) 2011-04-28 2012-12-06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콘센트 제어 장치 및 전력 관리 시스템
KR20150117500A (ko) * 2014-04-10 2015-10-20 김현철 무선통신을 활용하여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탭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8822A (ja) * 2011-11-02 2013-05-20 Kyadakku:Kk 電気器具の遠隔制御システムと、それに使用する電気器具の遠隔制御システム用のコンセント装置
JP2014183430A (ja) * 2013-03-19 2014-09-29 Nippon Telegraph & Telephone West Corp 電源遠隔制御システム
EP3051776A1 (en) * 2015-01-29 2016-08-03 Xiaomi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urn-on and turn-off of smart soc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140A (ko)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9470B2 (en) Power extension wire
KR101950432B1 (ko) 외부에서 적외선 발신기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온오프 제어 결과 확인 방법 및 시스템
KR101721657B1 (ko) 과열 방지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
JP2003273623A (ja) 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通信機器
WO2017073306A1 (ja) コネクタ
JP2017117693A (ja) コネクタ
US20190036279A1 (en) Wireless transmission assembly and household appliance system
KR101767580B1 (ko) 헤드부가 구비된 플러그 핀을 포함하는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
KR101711174B1 (ko)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
KR101751710B1 (ko) 과열 방지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
KR101786746B1 (ko) 벤딩된 안테나가 매립되는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
KR101713039B1 (ko)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
TWM445288U (zh) 射頻連接器
KR101713043B1 (ko)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
CN212625331U (zh) 一种三相标准源用万向开关
CN215681144U (zh) 一种转换插座及用电设备
CN110915083B (zh) 电气设备和相关联的附加功能模块
KR200383376Y1 (ko) 전기밥솥용 온도감지장치의 공취방지스위치
KR101634802B1 (ko) 복합 커넥터 장치
TWM511059U (zh) 嵌入式Wi-Fi無線電源開關控制裝置
CN110867341A (zh) 一种接触式双金属片温控器
CN220106358U (zh) 一种手动复位温控器
JP6353232B2 (ja) 熱感知器
CN217114230U (zh) 一种可复位突跳式温控器固定装置及具有其的空气炸锅
CN217691953U (zh) 一种智能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