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091B1 - 비컨과의 동기화의 관리 - Google Patents

비컨과의 동기화의 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091B1
KR101950091B1 KR1020170071809A KR20170071809A KR101950091B1 KR 101950091 B1 KR101950091 B1 KR 101950091B1 KR 1020170071809 A KR1020170071809 A KR 1020170071809A KR 20170071809 A KR20170071809 A KR 20170071809A KR 101950091 B1 KR101950091 B1 KR 101950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eacons
beacon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1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0095A (ko
Inventor
조란 란드예로비치
Original Assignee
더 스와치 그룹 리서치 앤 디벨롭먼트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스와치 그룹 리서치 앤 디벨롭먼트 엘티디 filed Critical 더 스와치 그룹 리서치 앤 디벨롭먼트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70140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8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position line
    • G01S1/20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position line using a comparison of transit time of synchronised signals transmitted from non-directional antennas or antenna systems spaced apart, i.e. path-dif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22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62Arrangements for Wireless System Synchronisation
    • H04B7/2671Arrangements for Wireless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System Synchronisation
    • H04B7/2678Time synchronisation
    • H04B7/2687Inter base stations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lectric Cloc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Mi) 가 특정 주기성 (Pi) 으로 전송 및/또는 수신될 수 있게 하는 통신 회로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비컨들 (300) 과 통신하도록 배열된 제 1 통신 모듈이 제공된 제 1 단말 (100) 을 포함하는 통신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통신 어셈블리는 제 2 통신 모듈을 갖는 제 2 단말 (200) 을 추가로 포함하고, 제 2 단말은 제 2 통신 모듈에 의해 환경을 스캔하여 범위 내의 비컨들의 존재를 검출하고 검출된 각각의 비컨에 대하여 특정 주기성 및 참조 포인트와 메세지 (Mi) 의 송신의 시작 간의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오프셋을 취출하고 그들을 제 1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비컨과의 동기화의 관리{MANAGEMENT OF SYNCHRONISATION WITH A BEACON}
본 발명은 각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비컨들과 통신하도록 배열된 제 1 통신 모듈이 제공되는 제 1 단말 (시계) 을 포함하는 통신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며, 각각의 송신기는 특정 시간 인터벌 동안 특정 주기성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접속된 유닛들의 개발은 이들 접속된 유닛들이 사용되는 환경들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들 환경들은 예컨대, 비컨들을 통해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들 비컨들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 블루투스-타입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송신기들로 구성된다. 이들 데이터는 온도 또는 포지셔닝 정보를 제공하거나 예컨대, 광고에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되기 위해 센서에 링크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에 의해 또는 예컨대, 태양 전지와 같은 에너지 회수 엘리먼트에 의해, 또는 메인 네트워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이들 비컨들은 아래와 같이 기능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 송신기들이다. 이는 데이터가 무선 주파수 링크에 의해 전송되게 하는 제어 회로에 접속된 안테나를 갖는 송신기와 관련된다. 각각의 비컨은 순환될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세지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메세지는 예컨대, 블루투스 표준을 사용하는 3 개의 광고 주파수들에 걸쳐 주기적으로 순환된다. 그 후에, 메세지가 일정한 인터벌들로 순환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각각의 비컨이 자신의 순환 인터벌을 갖기 때문에, 이들은 서로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랜덤한 방식으로 쉬프트된다.
이들 데이터를 취출하기 위해, 전화 또는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는 주파수들을 스캔하여 상이한 송신기 비컨들을 검출하고 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수신기 모듈을 계속해서 활성화한다. 휴대용 디바이스의 수신기 모듈은 그 후에, 선택된 비컨의 하나 이상의 사용가능 주파수들을 타겟화하고, 특정 기능들에 대하여 상기 비컨에 의해 전송된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수신 구성은 전력 소비에 있어 문제를 제기한다. 사실상, 전력 소비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들이 제한된 자율성을 수반하는 배터리를 휴대하기 때문에,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중요한 기준이다. 각각의 활성 비컨을 가능하면 빨리 검출하고 이 비컨의 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해 종종 최대의 민감도로 수신기 모듈의 연속적인 활성화는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자율성에 영향을 준다. 전력 소비의 이러한 기준은 모두 시계들과 같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들 또는 손목에 착용된 다른 디바이스들에 대하여 더 중요한 기준이며, 이는 이들이 전력 소비에 대하여 더 중요한 제한들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자율성이 중요한 휴대용 디바이스를 비컨과 동기화하기 위해 전력 소비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들의 단점들을 개선시키려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데이터가 특정 주기성으로 전송 및/또는 수신될 수 있게 하는 통신 회로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비컨들과 통신하도록 배열된 제 1 통신 모듈이 제공된 제 1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며, 상기 통신 어셈블리는 제 2 통신 모듈을 갖는 제 2 단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제 2 통신 모듈에 의해 환경을 스캔하여 범위 내의 비컨들의 존재를 검출하고 검출된 각각의 비컨에 대하여 특정 주기성 및 참조 포인트와 메세지의 송신의 시작 간의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오프셋을 취출하고 그들을 제 1 단말로 전송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 1 단말은 검출된 비컨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특정 주기성 및 시간 오프셋을 사용하여 선택된 비컨과 동기로 상기 제 1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여 상기 비컨으로부터 정보를 취출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오직 이차 단말을 고정된 짧은 인터벌들로 모니터링하고 전력 소비가 덜 중요한 상기 이차 단말을 사용함으로써 메인 단말의 전력 소비를 자동적으로 제한하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이차 단말은 비컨들 및 각각의 비컨의 주파수 및 시간 인터벌 파라미터들의 검출의 예비 단계들을 위해 사용되며, 여기서 메인 단말은 단지 이차 단말에 의해 공급된 비컨들로부터 비컨을 선택하고 그 비컨과 동기화해야만 한다.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1 단말은 시계이고, 상기 제 2 단말은 컴퓨터, 전자 태블릿, 모바일 전화 또는 공공 장소들 (역들, 공항들, 쇼핑 센터들, 등등) 에서 사용가능한 임의의 다른 유사한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이러한 타입의 서비스 카탈로그를 제공하는 리스트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1 단말은 추가로 제 2 단말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및 이차 단말에 의해 검출된 비컨들로부터 원하는 비컨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데이터가 특정 주기성으로 전송 및/또는 수신될 수 있게 하는 통신 회로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비컨들과 통신하도록 배열된 제 1 통신 모듈이 제공된 제 1 단말, 제 2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제 2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어셈블리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 제 2 단말을 제공하고 제 2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 제 2 단말의 제 2 통신 모듈로 환경을 스캔하여 범위 내의 비컨들을 검출하고 각각의 비컨에 대하여 주기성 정보 및 정의된 순간과 관련된 시간 오프셋에 관한 정보를 취출하며, 그리고 실제로 비컨의 타입 및 그 기능 (광고, 온도..) 을 식별하는 단계;
- 각각의 비컨에 대하여, 상기 주기성 정보 및 정의된 순간과 관련된 시간 오프셋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며, 그리고 실제로 비컨 및 비컨의 기능을 식별하는 단계; 및
- 제 1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컨을 선택하고, 상기 제 1 단말의 제 1 통신 모듈을 선택된 비컨의 주기성에 동기화하고 상기 비컨을 모니터하기 위해 상기 제 1 단말의 제 1 통신 모듈을 구성하고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의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정보를 취출하는 단계는 모니터링 동안 계산에 의해 수행된다.
제 2 의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정보를 취출하는 단계는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제 3 의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비컨을 선택하는 단계는 제 1 또는 제 2 단말에서 기존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수행된다.
제 4 의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비컨을 선택하는 단계는 제 1 단말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상에 검출된 비컨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그리고 사용자가 제 1 단말의 제어 디바이스들을 통해 선택을 실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수행된다.
제 5 의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선택하는 단계는 적어도 2 개의 비컨들의 선택을 허용하고, 제 1 통신 모듈의 선택과 충분한 활성화 간에, 상기 방법은 선택된 비컨들의 오프셋 및 주기성 지속시간들로부터 형성된 계산들을 수행함으로써 비컨들의 모니터링 순서를 결정하는 관리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1 단말은 시계이고, 상기 제 2 단말은 컴퓨터, 전자 태블릿, 모바일 전화 또는 공공 장소들 (역들, 공항들, 쇼핑 센터들, 등등) 에서 사용가능한 임의의 다른 유사한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이러한 타입의 서비스 카탈로그를 제공하는 리스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목적들, 장점들, 및 특징들은 오직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예시된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의 이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어셈블리의 플로우차트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셈블리 (1) 가 도 1 에 도시된다. 그러한 어셈블리는 복수의 비컨들 (300) 을 포함한다. 각각의 비컨 (300) 은 전자 디바이스가 위치되는 케이스 (302) 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자 디바이스는 공급 유닛 (304) 에 의해 급전된다. 상기 공급 유닛 (304) 은 태양 전지와 같은 자율적인 유닛 또는 축전지 (accumulator) 또는 배터리일 수 있다. 그러한 자율적인 유닛의 장점은 에너지에 대하여 독립적이라는 것이다. 일 대안은 사용가능하다면, 전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직접 공급부이다.
전자 디바이스는 메모리 유닛 (308) 에 접속된 계산 유닛 또는 마이크로제어기 (306) 를 갖는다. 상기 메모리 유닛 (308) 은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기능하고, 플래시 기술 (NOR, NAND) 을 사용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또한, 비컨 (300) 을 타이밍하고 정확한 시간 기준으로 데이터를 로깅하고 전송하기 위한 클록 회로 (310) 를 갖는다.
전자 디바이스는 또한,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314) 를 포함하는 통신 회로 (312) 를 갖는다. 상기 통신 회로 (312) 는 추가로, 데이터가 예컨대, 모바일 전화들, 태블릿들, 컴퓨터들 또는 시계들과 같은 전용 디바이스들 (100) 에 전송 (및/또는 수신) 되게 한다.
통신하기 위해, 각각의 비컨 (300) 은 메세지 (Mi), 즉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세지 (Mi) 는 예컨대, 블루투스, NFC, Wi-Fi, 지그비 또는 다른 프로토콜일 수도 있는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송신된다. 상기 메세지 (Mi) 는 하나 이상의 특정 주파수들 (Fi) 로 그리고 특정 주기성 (Pi) 으로 순환되어 메세지 (Mi) 가 반복되게 한다.
어셈블리 (1) 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단말 (100) 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단말은 바람직하게 시계 또는 손목밴드 또는 주얼리 아이템이다. 상기 제 1 단말은 손목밴드 (102) 가 부착되는 케이스 (101) 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공급 유닛을 통해 급전된 전자 모듈 (103) 을 포함하며, 적어도 메모리 디바이스들에 접속된 마이크로제어기와 같은 제어 유닛,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104) 및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제 1 통신 모듈 (105) 을 포함한다. 제 1 통신 모듈 (105) 은 비컨들 (300) 의 통신 회로 (312) 와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제 1 단말 (100) 을 비컨들 (300) 중 적어도 하나와 동기화하여 상기 제 1 단말 (100) 이 상기 비컨 (300) 으로부터 데이터 (Mi) 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 2 단말 (200) 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 제 2 단말 (200) 은 전화 또는 컴퓨터 또는 태블릿 또는 공공 장소들 (역들, 공항들, 쇼핑 센터들, 등등) 에서 사용가능한 게이트웨이와 같은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이며, 이러한 타입의 서비스 카탈로그를 제공한다. 상기 제 2 단말은, 제 2 전자 모듈 (210) 이 배열되는 케이스 (201) 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전자 모듈 (210) 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202) 에 접속되고, 공급부 (204) 에 의해 급전된다. 제 2 전자 모듈 (210) 은 메모리 디바이스들 (212), 제어 디바이스들 (213), 센서들 (214) 뿐만 아니라 제 2 통신 모듈 (215) 에 접속된 계산 유닛 (211) 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통신 모듈 (215) 은 블루투스, GSM, Wi-Fi 또는 지그비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2 단말 (200) 은 검출 동작을 수행하고 인근 비컨들의 리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중간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 제 2 단말 (200) 은 그 제 2 통신 모듈 (215) 이 동작중인 것으로 세팅되도록 사용되고, 제 1 단말 (100) 및 비컨들 (300) 과 통신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제 2 단말 (200) 의 제 2 통신 모듈 (215) 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 1 단계는 스캔을 수행하기 위해 제 2 통신 모듈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캔은 제 2 단말 (200) 과 복수의 비컨들 (300) 간의 공통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상기 스캔은 범위 내에 위치된 비컨들 (300) 이 식별될 수 있게 한다.
이들 비컨들 (300) 이 검출되면, 제 2 단계는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제 2 단말 (200) 은 각각의 비컨 (300) 에 대하여 그 식별자 및 가능하면 그 특성들 (비컨의 타입, 사용가능한 정보의 타입, 사용가능한 프로토콜들 ...) 중 일부를 취출하기 위해 수신 모드로 스위칭한다. 제 2 단말 (200) 의 상기 모니터링 윈도우는 또한, 송신 정보가 각각의 비컨에 대하여 취출될 수 있게 한다. 사실, 각각의 비컨 (300) 은 특정 주기성 (Pi) 을 갖는다. 이들 정보 아이템들은 제 2 단말 (200) 에 의해 취출된다. 상기 주기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제 2 단말 (200) 은 이들 데이터를 계산하기 위해 각각의 비컨의 송신을 분석하거나, 그 후에 그 정보를 취출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의 비컨 (300) 의 분석은 특정 주기성 (Pi) 을 측정할 수 있기 위해, 즉 사용가능하다면 특정 추가 정보뿐만 아니라 메세지 (M) 의 지속시간을 획득할 수 있기 위해 미리 정의된 시간 경과에 걸쳐 각각의 비컨을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적어도 주기성 정보 및 정의된 순간과 관련된 시간 오프셋의 정보가 각각의 비컨 (300) 에 대하여 취출되면, 제 2 단말 (200) 은 제 2 통신 모듈 (215) 을 통해 제 1 단말 (100) 로 전송하려고 하는 리스트 또는 카탈로그를 형성하기 위해 이들을 컴파일링하고, 제 1 단말 (100) 은 종종 단말 (100) 에 가장 가까운 단말 (200) 의 메세지가 도달할 경우, 규칙적인 및 최적화된 인터벌들로 모니터링한다.
그 후에, 제 1 단말 (100) 은 적어도 하나의 비컨 (300) 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리스트 상의 비컨의 선택은 수동적이거나 자동적일 수 있다. 수동적인 선택을 위해, 상기 리스트는 제 1 단말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제어 디바이스들에 의해 사용자가 주변에서 상이한 비컨들을 알게 될 수 있고 그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자동 선택의 경우에, 상기 선택은 좋아하는 것들, 원하는 정보의 타입, 사용가능한 프로토콜 또는 선택 빈도와 같은 기준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비컨이 선택되면, 제 1 단말은 비컨에 의해 전송된 메세지를 취출하기 위해 모니터링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 영리하게, 제 1 단말은 전력 소비를 최적화하기 위해 제 2 단말에 의해 제공된 비컨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하고, 오직 필요한 경우에만 그리고 전체 메세지 (Mi) 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시간 동안 모니터링한다. 사실, 주기성 정보 (Pi) 는 제 1 단말이 오직 요구되는 경우에만 제 1 통신 모듈의 모니터링, 즉 수신 모드를 활성화하게 한다. 이를 위해, 정보의 다른 아이템이 제 2 단말 (200) 에 의해 제공되며, 이러한 다른 정보는 시간 쉬프트 지속시간 (Di) 또는 오프셋이다. 상기 시간 쉬프트 지속시간 (Di) 은 비컨에 의한 메세지의 송신의 시작 및 정의된 참조 시간 포인트 간의 주기에 대응한다. 도 3 의 예시는 비컨 (300) 의 데이터 송신의 시간 그래프를 도시한다. 상기 비컨은 메세지 (M) 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이 명백하다. 그러나, 주기성 (Pi) 을 갖는 것은 제 1 단말 (100) 과 비컨 (300) 간의 동기화를 획득하는데 불충분하다. 이를 위해, 다음 메세지 (M) 가 알려지도록 전송되기 전에 남아있는 정의된/주어진 순간 (t0) 으로부터의 시간을 인에이블하는 시간 쉬프트 지속시간 (Di) 을 가지는 것은 필수적이다.
결과적으로, 제 1 단말 (100) 이 데이터 수신 모드로 스위칭할 때, 도 4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순간 (t1) 으로부터 및 소정의/정의된 순간 (t0) 에 대하여 시간 쉬프트 지속시간 (Di) 을 사용하려고 한다. 결과적으로, 제 1 단말 (100) 이 비컨이 메세지 (M) 를 전송하는 정확한 시간 경과에 걸쳐 수신 모드 ON 에서 그 제 1 통신 모듈 (105) 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동기화 구성은 유리하게, 제 1 통신 모듈의 동작 시간이 제한되게 하고, 그러므로 전력 소비가 제한되게 한다.
일 변경에서, 제 1 단말 (100) 이 몇몇 비컨들 (300) 로부터 메세지들을 수신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제 1 단말 (100) 은 제 2 단말 (200) 을 통해 취출된 각각의 비컨 (300) 의 정보를 취출한다. 상기 정보는 모니터링 및 수신 시퀀스를 정의하기 위해 컴파일링된다. 사실, 각각의 비컨은 주어진/정의된 순간에 대하여 그 자신의 주기성 (Pi) 및 그 자신의 시간 쉬프트 지속시간 (Di) 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컨들 중 어느 것이 먼저 모니터링되어야만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계산들을 수행함으로써 관리 단계를 수행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들 계산들은 시간 쉬프트 지속시간들 및 주기성들로부터 실행된다.
따라서, 상이한 비컨들 (B1, B2, 및 B3) 의 시간 그래프들이 도시되는 도 5 의 예. 비컨 (B1) 은 주기성 (P1) 으로 메세지 (M1) 를 전송하고, 비컨 (B2) 은 주기성 (P2) 으로 메세지 (M2) 를 전송하고, 비컨 (B3) 은 주기성 (P3) 으로 메세지 (M3) 를 전송한다. 도 5 에서 주기성들 (P1, P2, 및 P3) 은 서로 상이하고, 메세지들 (M1, M2, 및 M3) 의 사이즈들은 상이한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모든 메세지들을 취출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제한하기 위해 이들 비컨들의 메세지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이들 비컨들을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도 5 에 도시된 구성에서, 순간 (t0) 으로부터, 다음 순서: 메세지 (M1), 그 후에 메세지 (M2), 및 그 후에 메세지 (M3) 로 상이한 비컨들의 메세지들을 모니터링한 것이 가능한 것이 명백하다. 모니터링 순서의 변형은 메세지 (M3), 그 후에 메세지 (M1) 및 그 후에 메세지 (M2) 일 수 있다.
충돌, 즉 동시에 순환되는 메세지들 (Mi) 의 경우에, 제 1 단말 (100) 의 전자 모듈 (103) 은 이들 메세지들 (Mi) 의 모니터링을 스킵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다양한 수정들 및/또는 향상들 및/또는 결합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구조로부터 벗어남 없이 앞서 강조된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형태들에 적용될 수 있다.
100 제 1 단말
200 제 2 단말
300 복수의 비컨들

Claims (10)

  1. 복수의 비컨들 (300) 과 통신하도록 배열된 제 1 통신 모듈이 제공된 제 1 단말 (100) 을 포함하는 통신 어셈블리로서, 각 비컨은 데이터가 특정 주기성 (Pi) 으로 전송 및/또는 수신될 수 있게 하는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어셈블리는 제 2 통신 모듈을 갖는 제 2 단말 (200) 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제 2 통신 모듈에 의해 그 환경을 스캔하고 범위 내의 비컨들의 존재를 검출하여 검출된 각각의 비컨에 대하여 상기 특정 주기성 및 참조 포인트와 메세지의 송신의 시작 간의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오프셋을 취출하고 상기 특정 주기성 및 상기 시간 오프셋을 상기 제 1 단말로 전송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 1 단말은 검출된 상기 비컨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특정 주기성 및 시간 오프셋을 사용하여 선택된 비컨과 동기로 상기 제 1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여 상기 비컨으로부터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취출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선택하는 것은 적어도 2 개의 비컨들의 선택을 허용하고, 상기 선택과 상기 제 1 통신 모듈의 활성화 사이에, 상기 제 1 단말은 또한, 선택된 비컨들의 오프셋 및 주기성 지속시간들로부터 형성된 계산들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비컨들의 모니터링 순서를 결정하는 관리 단계를 수행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은 시계이고,
    상기 제 2 단말은: 컴퓨터, 전자 태블릿, 모바일 전화 또는 게이트웨이와 같은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리스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2 단말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및 상기 제 2 단말에 의해 검출된 비컨들로부터 원하는 비컨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어셈블리.
  4. 복수의 비컨들 (300) 과 통신하도록 배열된 제 1 통신 모듈이 제공된 제 1 단말 (100), 제 2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제 2 단말 (200) 을 포함하는 통신 어셈블리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 비컨은 데이터 (Mi) 가 특정 주기성 (Pi) 으로 전송 및/또는 수신될 수 있게 하는 통신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어셈블리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은,
    - 상기 제 2 단말을 제공하고 상기 제 2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 상기 제 2 단말의 상기 제 2 통신 모듈로 환경을 스캔하여 범위 내의 비컨들을 검출하고 각각의 비컨에 대하여 주기성 정보 및 정의된 순간과 관련된 시간 오프셋에 관한 정보를 취출하는 단계;
    - 각각의 비컨에 대하여, 상기 주기성 정보 및 정의된 순간과 관련된 상기 시간 오프셋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 상기 제 1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컨을 선택하는 단계로서, 그 후에 상기 제 1 단말의 상기 제 1 통신 모듈을 선택된 비컨의 주기성에 동기화하고 상기 비컨을 모니터하기 위해 상기 제 1 단말의 상기 제 1 통신 모듈을 구성하고 활성화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컨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적어도 2 개의 비컨들의 선택을 허용하고, 상기 선택과 상기 제 1 통신 모듈의 활성화 사이에, 상기 통신 어셈블리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은 선택된 비컨들의 오프셋 및 주기성 지속시간들로부터 형성된 계산들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비컨들의 모니터링 순서를 결정하는 관리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어셈블리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취출하는 단계는 모니터링 동안 계산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어셈블리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취출하는 단계는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어셈블리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컨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 또는 상기 제 2 단말에서 기존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어셈블리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컨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상에 검출된 비컨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제 1 단말의 제어 디바이스들을 통해 선택을 실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어셈블리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9. 삭제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은 시계이고,
    상기 제 2 단말은: 컴퓨터, 전자 태블릿, 모바일 전화 또는 게이트웨이와 같은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리스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어셈블리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KR1020170071809A 2016-06-10 2017-06-08 비컨과의 동기화의 관리 KR101950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73992.5A EP3255939B1 (fr) 2016-06-10 2016-06-10 Gestion de la synchronisation avec une balise
EP16173992.5 2016-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095A KR20170140095A (ko) 2017-12-20
KR101950091B1 true KR101950091B1 (ko) 2019-02-19

Family

ID=56137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1809A KR101950091B1 (ko) 2016-06-10 2017-06-08 비컨과의 동기화의 관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44318B2 (ko)
EP (1) EP3255939B1 (ko)
JP (1) JP6626471B2 (ko)
KR (1) KR101950091B1 (ko)
CN (1) CN107493601B (ko)
HK (1) HK124805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78912A1 (en) * 2011-09-23 2013-03-28 Dexc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d transmitting sensor data
US20150382304A1 (en) 2014-06-30 2015-12-31 Minyoung Park Method and system for bluetooth device synchron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4416A (en) * 1990-01-08 1992-07-28 Cafarelli Nicholas J Scanning antenna having multipath resistance
US5717406A (en) * 1995-06-07 1998-02-10 Sanconix Inc. Enhanced position calculation
US6876326B2 (en) * 2001-04-23 2005-04-0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accuracy position location using search mode ranging techniques
JP4548235B2 (ja) * 2005-06-17 2010-09-2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ノード及び通信システム
US8498237B2 (en) * 2006-01-11 2013-07-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device capability and/or setup information
JP2013084304A (ja) * 2006-01-20 2013-05-09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443263B (zh) * 2006-03-31 2011-11-09 东京座椅技术股份有限公司 座椅
US8588154B2 (en) * 2009-01-30 2013-11-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itigation of interference between wireless networks
KR20110020694A (ko) * 2009-08-24 2011-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를 통한 기능 공유 방법 및 장치
JP5470649B2 (ja) * 2009-08-31 2014-04-16 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短距離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CN102892193B (zh) * 2012-09-20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和设备
US9357336B2 (en) * 2012-12-03 2016-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JP6344893B2 (ja) * 2013-07-19 2018-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986594B2 (en) 2014-12-16 2018-05-29 Qualcomm Incorporated IOT device to enable fast connection between low energy IOT devices
US9913231B2 (en) * 2015-08-04 2018-03-06 Qualcomm Incorporated Local transmitter synchronization based on WWAN base station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78912A1 (en) * 2011-09-23 2013-03-28 Dexc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d transmitting sensor data
US20150382304A1 (en) 2014-06-30 2015-12-31 Minyoung Park Method and system for bluetooth device synchron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93601B (zh) 2020-06-05
EP3255939B1 (fr) 2022-01-19
HK1248051A1 (zh) 2018-10-05
JP6626471B2 (ja) 2019-12-25
JP2017220932A (ja) 2017-12-14
US10444318B2 (en) 2019-10-15
US20170356977A1 (en) 2017-12-14
EP3255939A1 (fr) 2017-12-13
KR20170140095A (ko) 2017-12-20
CN107493601A (zh) 201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27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beacon interaction and management
US10181871B2 (en) Interactiv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2018521303A (ja) 位置特定システム
EP3536001A1 (en) Communication protocol overlay
CN104168331A (zh) 一种基于无线传感器网络的远程电能质量监测系统
US10769924B2 (en) Comprehensive system and method of universal real-time linking of real objects to a machine, network, internet, or software service
JP5774240B1 (ja) 通信装置、スマートメータおよび無線メッシュネットワーク
EP2992667B1 (en) Method of operating an rfid-enabled mobile telephone, mobile telephone and application program product
KR20150084263A (ko) 단말 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0440541B2 (en) Beacon having multiple communication interfaces
KR20110003687A (ko) BiTAG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물류 관리 방법
KR101950091B1 (ko) 비컨과의 동기화의 관리
KR101581327B1 (ko) 이동 단말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이동 단말 간 통신 시스템 및 방법
JP650906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JP2018056770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20160249317A1 (en) Wireless Array
US20210195396A1 (en) Portable energy storage system for rescue system
JP2011182346A (ja) 無線テレメータシステム
JP2015091085A (ja) 検針システム
KR101454006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스케줄링 방법
JP6269032B2 (ja) 通信端末、すれ違い端末の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H712534A2 (fr) Gestion de la synchronisation avec une balise.
JP201122901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30000130A (ko) 지그비를 이용한 위치 추적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8067064A1 (e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for logistic trac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