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680B1 -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680B1
KR101949680B1 KR1020180069723A KR20180069723A KR101949680B1 KR 101949680 B1 KR101949680 B1 KR 101949680B1 KR 1020180069723 A KR1020180069723 A KR 1020180069723A KR 20180069723 A KR20180069723 A KR 20180069723A KR 101949680 B1 KR101949680 B1 KR 101949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ing
fixed
support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하기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하기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하기초
Priority to KR1020180069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04Guide devices; Guide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0Placing by pressure or pulling pow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Abstract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방법이 개시된다.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은, 토사층에 지지되는 토사 지지부와, 토사 지지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토사 지지부의 상측에 시공된 기초부에 지지되는 기초 지지부와, 기초 지지부를 기초부에 고정하는 고정부와, 기초 지지부와 토사 지지부를 관통하여 토사층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 파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방법{FOUNDATION REINFORCEMENT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REINFORCEMENT PILE USING IT}
본 발명은 내구성이 향상되고 안정적인 기초 보강 작업이 가능한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에 시공된 건축물이나 구조물은 장기침하 또는 지하굴착시 지하수 수위의 하강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지반의 침하가 발생한다.
지반의 침하가 발생하면 구조물이 기울어지게 되며, 기울어진 구조물은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구조물 자체의 안전성에도 큰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기초보강을 위하여 압입체를 이용한 기초보강을 실시한다.
기초보강 방법은, 구조물 저판에 프레임을 정착시키고, 프레임의 내부 파일강관의 상부에 유압실린더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유압실린더를 연직 상방으로 확장시켜 그 반력에 의해 필러강관을 지면에 압입시켰다.
다음으로 유압실린더를 축소시킨 후 유압실린더 피스톤로드의 상부에 스페이스를 장착한 후 다시 유압실린더를 확장시켜 필러강관이 더 깊이 압입되도록 반복적으로 시공한다.
그러나 유압 실린더의 작동 과정에서 안정적인 설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일측으로 전도되는 등의 내구성이 약화되고, 안정적인 기초 보강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2-010469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구성이 향상되고 안정적인 기초 보강 작업이 가능한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토사층에 지지되는 토사 지지부와, 토사 지지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토사 지지부의 상측에 시공된 기초부에 지지되는 기초 지지부와, 기초 지지부를 기초부에 고정하는 고정부와, 기초 지지부와 토사 지지부를 관통하여 토사층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 파일을 포함한다.
토사 지지부는, 토사층의 높이 방향으로 지지되며, 내부에는 제1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1 지지관과, 제1 지지관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토사층의 내부로 고정되는 고정 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초 지지부는, 제1 지지관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는 고정 파일이 삽입되는 제2 고정홀이 형성된 제2 지지관과, 고정 돌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고정부에 의해 기초부에 고정되는 고정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파일은, 고정 패널의 상측에 설치되는 거치대에 의해 가이드 고정될 수 있다.
거치대는, 제2 지지관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봉과, 지지봉에 설치되어 고정 파일의 일부분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파일을 토사층의 내부로 가압 고정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압입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 기초 지지부와 토사 지지부의 일부분을 외부로 노출한 상태로 바닥면의 기초 작업을 실시하는 단계와, (b) 토사 지지부의 고정 돌부를 토사층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시키고 기초 지지부의 고정 패널을 기초부에 고정하는 단계와, (c) 고정 패널의 상측에 상기 거치대를 설치하는 단계와, (d) 거치대에 고정 파일을 설치하고, 압입기를 이용하여 고정 파일을 토사층의 하부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e) 거치대를 해체하고 토사 지지부와 기초 지지부의 설치된 상태의 마감 작업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e) 단계는, (e-1) 거치대를 해체하는 단계와, (e-2) 제1 지지관과 제2 지지관의 내부에 그라우팅 채움을 실시하는 단계와, (e-3) 고정 파일의 내부에 철근을 삽입하는 단계와, (e-4) 토사 지지부와 기초 지지부의 외부를 증설 콘크리트로 타설 마감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초 보강 위치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기초 보강 위치의 지반 침하 방지와 함께 안정적으로 기초 보강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토사 지지부와 기초 지지부의 조립된 상태의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 속도가 빠르고, 제조 원가의 절감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초 보강 위치에 설치되는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의 설치 면적의 최소화가 가능하여 하중 분산이 용이하고 안정적인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의 시공 과정에서 소음, 분진 및 진동 없이 안정적인 시공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을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방법의 거치대를 해체하고 마감 작업의 실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을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100)은, 토사층(11)에 지지되는 토사 지지부(10)와, 토사 지지부(10)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토사 지지부(10)의 상측에 시공된 기초부(13)에 지지되는 기초 지지부(20)와, 기초 지지부(20)를 기초부에 고정하는 고정부(30)와, 기초 지지부(20)와 토사 지지부(10)를 관통하여 토사층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 파일(5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100)은, 토사층(11)과 토사층(11)의 상측의 콘크리트 기초부(13)를 포함하는 작업 위치의 바닥면의 기초 보강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말한다.
토사 지지부(10)는 토사층(11)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토사 지지부(10)는, 토사층(11)의 높이 방향으로 지지되며 내부에는 제1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1 지지관(12)과, 제1 지지관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토사층(11)의 내부로 고정되는 고정 돌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관(12)은 토사층(11)의 높이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토사층(11)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지지관(12)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고정 파일(50)이 삽입되는 제1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지관(12)의 측면에는 고정 돌부(14)가 돌출될 수 있다.
고정 돌부(14)는 제1 지지관(12)의 측면에 돌출되는 것으로, 제1 지지관(12)의 측면에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돌부(14)는 제1 지지관(12)의 측면에 돌출된 상태로 토사층(11)에 접촉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토사 지지부(10)의 상측에는 기초 지지부(20)가 설치될 수 있다.
기초 지지부(20)는, 제1 지지관(12)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는 고정 파일(50)이 삽입되는 제2 고정홀이 형성된 제2 지지관(22)과, 고정 돌부(14)의 상측에 형성되며 고정부(30)에 의해 기초부(13)에 고정되는 고정 패널(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관(22)은 토사층(11)의 상측에 형성된 기초부(13)의 높이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기초부(13)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지지관(22)의 측면에는 고정 패널(24)이 설치될 수 있다.
고정 패널(24)은 제2 지지관(22)의 길이 방향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고정 돌부(14)의 상측에 지지된 상태로 기초부(13)에 고정 가능하게 돌출될 수 있다.
고정 패널(24)은 고정부(30)에 의해 기초부(13)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30)는, 기초 지지부(20)를 기초부(13)에 고정하는 고정 볼트로 적용될 수 있다. 물론 고정부(30)는 고정 볼트로 적용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정의 체결 수단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기초 지지부(20)의 상측에는 거치대(40)가 설치될 수 있다.
거치대(40)는, 제2 지지관(22)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봉(41)과, 지지봉(41)에 설치되어 고정 파일(50)의 일부분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4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봉(41)은, 제2 지지관(22)의 상측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제2 지지관(22)의 상측에 형성된 플랜지부에 일단이 나사 결합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지지봉(41)은 플랜지부에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지지관(22)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지지봉(41)의 타단에는 고정 브라켓(43)이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43)은 지지봉(41)의 타단에 설치되어 제2 지지관(22)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브라켓(43)이 설치되는 것은, 후술하는 고정 파일(50)의 설치된 상태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 파일(50)은 고정 브라켓(43)의 삽입된 상태로 기초 지지부(20)의 상측에 가이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기초 지지부(20)의 제2 지지관(22)과 토사 지지부(10)의 제1 지지관(12)의 내부에 삽입되어 토사층(1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파일(50)은 내부가 빈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파일(50)은 제1 지지관(12)과 제2 지지관(22)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압입기(60)에 의해 가압되어 토사층(11)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압입기(60)는, 고정 파일(50)을 토사층(11)의 내부로 가압 고정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압입기(60)는, 유압 펌프(61)와, 유압 펌프(61)의 유압이 전달되는 유압 라인(63)과, 유압을 전달받아 고정 파일(50)을 가압하는 가압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파일(50)은 압입기(60)의 가압력에 의해 제1 지지관(12)과 제2 지지관(22)을 통과하여 토사층(11)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다.
고정 파일(50)이 압입기(60)의 압입력에 의해 토사층(11)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토사 지지부(10)와 기초 지지부(20)의 설치된 상태의 외부 마감 작업이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마감 작업은, 거치대(40)를 해체하고, 제1 지지관(12)과 제2 지지관(22)의 내부에 그라우팅 채움을 실시하고, 고정 파일(50)의 내부에 철근을 삽입하고, 토사 지지부(10)와 기초 지지부(20)의 외부를 증설 콘크리트로 타설 마감 작업하는 과정에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100)은 기초 보강 위치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기초 보강 위치의 지반 침하 방지와 함께 안정적으로 기초 보강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토사 지지부와 기초 지지부의 조립된 상태의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 속도가 빠르고, 제조 원가의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기초 보강 위치에 설치되는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의 설치 면적의 최소화가 가능하여 하중 분산이 용이하고 안정적인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100)의 시공 과정에서 소음, 분진 및 진동 없이 안정적인 시공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방법의 거치대를 해체하고 마감 작업의 실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기초 지지부(20)와 토사 지지부(10)의 일부분을 외부로 노출한 상태로 바닥면의 기초 작업을 실시한다(S10).
(S10)단계는 기초 지지부(20)와 토사 지지부(10)가 일체로 조립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바닥면의 기초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다음, 토사 지지부(10)의 고정 돌부(14)를 토사층(11)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시키고 기초 지지부(20)의 고정 패널(24)을 기초부(13)에 고정한다(S20).
(S20) 단계의 기초 지지부(20)의 고정 패널(24)을 기초부(13)에 고정 볼트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고정 패널(24)의 상측에 거치대(40)를 설치한다(S30).
다음, 거치대(40)에 고정 파일(50)을 설치하고, 압입기(60)를 이용하여 고정 파일을 토사층(11)의 하부로 고정한다(S40). 압입기(60)는 유압의 압력을 제공하여 고정 파일(50)을 토사층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어서, 거치대(40)를 해체하고 토사 지지부(10)와 기초 지지부(20)의 설치된 상태의 마감 작업을 실시한다(S50).
(S50) 단계는, 거치대(40)를 해체하는 단계(S51)와, 제1 지지관(12)과 제2 지지관(22)의 내부에 그라우팅 채움을 실시하는 단계(S52)와, 고정 파일(50)의 내부에 철근을 삽입하는 단계(S53)와, 토사 지지부(10)와 기초 지지부(20)의 외부를 증설 콘크리트로 타설 마감 실시하는 단계(S54)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S51) 단계는 고정 파일(50)이 토사층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삽입 고정된 상태로 확인되면 해체될 수 있다.
(S52) 단계는 제1 지지관(12)과 제2 지지관(22)의 내부에 약품이 혼합된 시멘트 등을 채우는 그라우팅 작업을 실시하여,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S53) 단계는 고정 파일(50)의 내부에 철근을 삽입하여, 고정 파일(50)을 이용한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키고, 고정 파일(50)의 설치된 상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S54) 단계는, 토사 지지부(10)와 기초 지지부(20)의 외부를 증설 콘크리트로 타설하는 마감 작업으로 기초 보강 작업이 실시된 상태의 안정적인 마감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토사 지지부 11...토사층
13...기초부 12...제1 지지관
14...고정 돌부 20...기초 지지부
24...고정 패널 30...고정부, 고정 볼트
40...거치대 41...지지봉
43...고정 브라켓 50...고정 파일
60...압입기 61...유압 펌프
63...유압 라인 65...가압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토사층에 지지되되, 상기 토사층의 높이 방향으로 지지되며 내부에는 제1 고정홀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제1 지지관과, 상기 제1 지지관의 측면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기 토사층의 내부로 고정되는 고정 돌부를 갖는 토사 지지부;
    상기 토사 지지부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토사 지지부의 상측에 시공된 기초부에 지지되되, 상기 제1 지지관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는 고정파일이 삽입되는 제2 고정홀이 형성된 원통형의 제2 지지관과, 상기 고정 돌부의 상측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부를 통해 상기 기초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지지관의 길이 방향 측면으로 돌출되는 고정 패널이 구비된 기초 지지부;
    상기 기초 지지부를 상기 기초부에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기초 지지부의 제2 지지관과 상기 토사 지지부의 제1 지지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토사층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되, 상기 고정 패널의 상측에 설치되는 거치대에 의해 가이드 고정되는 중공형의 고정 파일;
    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는,
    상기 제2 지지관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파일의 일부분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을 포함하는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파일은 압입기의 가압력에 의해 제1 지지관과 제2 지지관을 통과하여 토사층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
  6. 삭제
  7. (a) 제5항의 상기 기초 지지부와 상기 토사 지지부의 일부분을 외부로 노출한 상태로 바닥면의 기초 작업을 실시하는 단계;
    (b) 상기 토사 지지부의 상기 고정 돌부를 상기 토사층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시키고 상기 기초 지지부의 상기 고정 패널을 상기 기초부에 고정하는 단계;
    (c) 상기 고정 패널의 상측에 상기 거치대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거치대에 상기 고정 파일을 설치하고, 상기 압입기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 파일을 상기 토사층의 하부로 고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거치대를 해체하고 상기 토사 지지부와 상기 기초 지지부의 설치된 상태의 마감 작업을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거치대를 해체하는 단계;
    (e-2) 상기 제1 지지관과 상기 제2 지지관의 내부에 그라우팅 채움을 실시하는 단계;
    (e-3) 상기 고정 파일의 내부에 철근을 삽입하는 단계; 및
    (e-4) 상기 토사 지지부와 상기 기초 지지부의 외부를 증설 콘크리트로 타설 마감 실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방법.
KR1020180069723A 2018-06-18 2018-06-18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방법 KR101949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723A KR101949680B1 (ko) 2018-06-18 2018-06-18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723A KR101949680B1 (ko) 2018-06-18 2018-06-18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680B1 true KR101949680B1 (ko) 2019-05-02

Family

ID=66581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723A KR101949680B1 (ko) 2018-06-18 2018-06-18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6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4699A (ko) 2011-03-14 2012-09-24 주식회사고려이엔시 파일강관 압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보강방법
KR101441400B1 (ko) * 2014-04-14 2014-09-24 한우코리아(주) 기존 및 신설구조물 기초의 파일보강공법
KR101716301B1 (ko) * 2016-09-08 2017-03-27 황규원 기초지지브라켓을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4699A (ko) 2011-03-14 2012-09-24 주식회사고려이엔시 파일강관 압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보강방법
KR101441400B1 (ko) * 2014-04-14 2014-09-24 한우코리아(주) 기존 및 신설구조물 기초의 파일보강공법
KR101716301B1 (ko) * 2016-09-08 2017-03-27 황규원 기초지지브라켓을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4777B1 (ko) 2중 팩-앵커를 이용한 재하시험방법 및 장치
KR100966890B1 (ko) 기존 교량의 보수, 보강시 지반에 설치되는 강재말뚝의압입방법 및 장치
KR100886922B1 (ko) 구조물 기초 보강 또는 보수방법
JP2006328716A (ja) 既設構造物のアンダーピニング構造及び方法、並びに、既設構造物の近くに新設構造物を構築する方法
KR101809111B1 (ko) 수직시공이 보강된 파일 압입 시설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기초 보강 공법
JP3895023B2 (ja) 機械基礎
KR101377019B1 (ko) 가이드레일을 이용한 반력체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보강방법
KR101949680B1 (ko)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보강 파일 시공 방법
KR100876853B1 (ko) 테두리보용 데크판을 이용한 무지주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20120130589A (ko) 기존 건축물의 기둥 상부를 보강하여 설치한 반력틀을 이용한 말뚝기초 시공방법
JP2010216162A (ja) アンカー工法用受圧装置及びアンカー工法
JP2011117230A (ja) 基礎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57816A (ja) 構造物の水平高さ修正工法およびその工法に用いられる機具並びに構造物の支持力補強工法
KR200445403Y1 (ko)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 장치
KR100650134B1 (ko) 지지대 조기 해체 공법
KR101733507B1 (ko) 지반에 고정된 전단보강프레임을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
KR20200120345A (ko) 말뚝성능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5368040B2 (ja) 免震化工事における水平力拘束方法
KR20060048843A (ko) 기초공사용 강관의 상단부 보강구조
KR20000064205A (ko) 기초공사용 강관의 상단부 보강구조
KR20190142546A (ko) 외곽부 현수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구축공법
KR20220099010A (ko) 정착플레이트를 이용한 기초시공방법
KR101886657B1 (ko) 토압을 이용한 rpf빔 제작대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rpf빔
KR101184444B1 (ko) 하중전달장치와 마이크로파일부를 이용한 기둥보강방법
KR102382028B1 (ko) 토탈리프팅에 의한 보강파일 선행하중 재하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