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567B1 - 밸브 - Google Patents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567B1
KR101949567B1 KR1020160104812A KR20160104812A KR101949567B1 KR 101949567 B1 KR101949567 B1 KR 101949567B1 KR 1020160104812 A KR1020160104812 A KR 1020160104812A KR 20160104812 A KR20160104812 A KR 20160104812A KR 101949567 B1 KR101949567 B1 KR 101949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ar
projection
plug
opening
valv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0474A (ko
Inventor
엄기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4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567B1/ko
Publication of KR20180020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2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on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207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on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with special plug arrangement, e.g. special shape or built i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con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2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on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242Spindles and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레인지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초미세화력 밸브의 미세화력 조절 및 작동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초미세화력 밸브의 미세화력 조절 및 작동 구조는 유로 및 상기 유로상에 설치되는 제1 밸브 시트를 구비하는 바디, 파이프 형상으로, 그 원주면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그 일단과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바디의 유로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배치되고, 외주면이 상기 바디의 제1 밸브 시트에 접한 상태에서 길이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개구와 상기 제1 밸브 시트에 의해 둘러싸인 제1 포트가 중첩되는 넓이가 변할 수 있는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와 연결되어 상기 플러그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외주면에 제1 돌기가 형성된 조절 바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 바는 상기 제1 돌기가 임의의 제1 평면상에서 시작 위치에서부터 종료 위치까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된 임의의 제2 평면상에서도 회전할 수 있도록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바디는 상기 조절 바의 제1 돌기가 상기 제2 평면상에서 회전하는 경로 중 상기 시작 위치와 상기 종료 위치 사이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돌기가 회전할 수 없도록 저지하는 제1 턱을 더 구비하며, 상기 조절 바의 제1 돌기가 상기 시작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바디의 제1 포트와 상기 플러그의 개구가 중첩되지 않고,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바디의 턱이 형성된 지점으로 가면 상기 중첩되는 넓이가 점차 증가하다가, 상기 바디의 턱이 형성된 지점으로부터 상기 종료 지점으로 더 가면 상기 중첩되는 넓이가 점차 감소하되, 그 감소하는 폭은 증가하는 폭보다 클 수 있다.

Description

밸브 {VALVE}
본 발명은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레인지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레인지의 화력은 소화(消火) 상태에서 조절 바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수록 소(小) 화력 상태, 중(中) 화력 상태 및 대(大) 화력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대 화력 상태로 조리를 하다 보면 순식간에 물이 끓어 넘치거나 음식물이 탈 수 있다. 이때에는 화력을 급격하게 줄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조절 바를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다시 돌려야 한다. 하지만 이에 의하면 중 화력 상태, 소 화력 상태 등을 거친 후에야 비로소 원하는 미세 화력 상태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에 화력을 급격하게 줄이는 데에 한계가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조절 바를 급하게 회전시키다 보면 원하는 미세 화력 상태에서 멈추지 못하고 소화 상태까지 회전시키게 되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에 의하면 다시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조작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한편 도 20은 종래 밸브의 개략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종래 밸브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플러그(10) 및 플러그(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절 바(20)를 포함한다. 또한 도 20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조절 바(20)에는 MPU(도 20을 기준으로 할 때 플러그(10)의 좌측에 배치됨)를 작동시키기 위한 푸시 바가 더 결합되며, 조절 바(20)가 +Y축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Y축 방향으로 원위치시키기 위한 스프링이 더 설치된다. 또한 사용자가 단순히 조절 바(20)를 Y축을 기준으로 할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더라도 조절 바(20)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푸시 바가 MPU를 밀 수 있도록, 조절 바(20)에 대응되는 지점에는 경사부(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의하면 조절 바(20)가 원위치될 때 경사부(30)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플러그(10)도 함께 회전함으로써 유량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플러그(10)와 조절 바(20) 사이에 소정의 각도만큼 간극(G)이 형성되어야 한다. 즉 조절 바(20)가 원위치될 때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더라도 플러그(10)는 이와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여유 공간을 두어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처럼 간극(G)이 형성되면 조절 바(20)가 회전하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는 동안은 플러그(10)가 이와 연동하여 즉시 회전하지 않는, 즉 조절 바(20)가 공회전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플러그(10)의 표면에는 플러그(20)가 회전할 때 마찰을 줄여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윤활유가 도포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윤활유가 플러그(10)의 개구(10a)로 유입되면 그 점성에 의해 개구(10a)가 막혀 원하는 만큼의 유량을 얻을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 화력 상태에서 화력을 급격하게 줄일 수 있는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절 바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밸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러그의 개구가 윤활유에 의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유로 및 상기 유로상에 설치되는 제1 밸브 시트를 구비하는 바디, 파이프 형상으로, 그 원주면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그 일단과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바디의 유로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배치되고, 외주면이 상기 바디의 제1 밸브 시트에 접한 상태에서 길이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개구와 상기 제1 밸브 시트에 의해 둘러싸인 제1 포트가 중첩되는 넓이가 변할 수 있는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와 연결되어 상기 플러그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외주면에 제1 돌기가 형성된 조절 바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 바는 상기 제1 돌기가 임의의 제1 평면상에서 시작 위치에서부터 종료 위치까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된 임의의 제2 평면상에서도 회전할 수 있도록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바디는 상기 조절 바의 제1 돌기가 상기 제2 평면상에서 회전하는 경로 중 상기 시작 위치와 상기 종료 위치 사이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돌기가 회전할 수 없도록 저지하는 제1 턱을 더 구비하며, 상기 조절 바의 제1 돌기가 상기 시작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바디의 제1 포트와 상기 플러그의 개구가 중첩되지 않고,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바디의 턱이 형성된 지점으로 가면 상기 중첩되는 넓이가 점차 증가하다가, 상기 바디의 턱이 형성된 지점으로부터 상기 종료 지점으로 더 가면 상기 중첩되는 넓이가 점차 감소하되, 그 감소하는 폭은 증가하는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제1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조절 바를 압박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는 상기 제1 밸브 시트와 별개로 형성되는 제2 밸브 시트를 더 구비하고, 파이프 형상으로, 그 일단이 상기 플러그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고, 원주면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 바의 제1 돌기가 상기 슬롯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조절 바와 상대적인 운동이 가능한 로터리, 상기 바디의 제2 밸브 시트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MPU 및 상기 조절 바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함께 이동함으로써 상기 MPU를 밀어 상기 바디의 제2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푸시 바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로터리의 슬롯은 상기 조절 바의 제1 돌기의 직경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는 대응부, 상기 대응부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플러그를 향해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증가하도록 상기 슬롯의 측벽 중 상기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종료 위치로 향하는 방향의 측벽이 상기 로터리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그 증가한 폭으로 일정하게 형성되는 일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절 바는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제1 평면상에 있을 때에는 상기 로터리의 슬롯 중 대응부의 영역에 있고, 상기 제2 평면상에 있을 때에는 상기 슬롯 중 일정부의 영역에 있을 수 있다.
또한 판 형상으로, 상기 조절 바가 관통하기 위한 홀 및 상기 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조절 바의 제1 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제1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평면상에 배치되는 캡을 더 포함하되, 상기 조절 바의 제1 돌기가 상기 복수의 제1 홈 중 서로 다른 홈에 수용되도록 상기 조절 바가 회전하면 상기 바디의 제1 포트와 상기 플러그의 개구가 중첩되는 넓이도 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 바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돌기로부터 상기 조절 바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제2 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캡에는 상기 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조절 바의 제2 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제2 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에는 상기 조절 바의 제1 돌기가 상기 캡의 일면에 접한 상태로 상기 시작 위치에서 회전할 수 없도록 저지하는 제2 턱이 더 형성되되, 상기 제2 턱은 상기 로터리의 슬롯 중 대응부의 길이와 상응하는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턱은 상기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종료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에는 상기 조절 바의 제1 돌기가 상기 종료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제1 돌기와 접하게 되어, 상기 제1 돌기가 더 회전할 수 없도록 저지하는 제3 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의 개구는 상기 플러그의 외주면상의 직경이 그 내주면상의 직경보다 크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소화 상태에서 조절 바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대 화력 상태가 되되, 일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바로 미세 화력 상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대 화력 상태에서 화력을 급격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미세 화력 상태로 전환될 때, 조절 바의 돌기가 바디의 제1 턱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조절 바가 멈출 때까지 조절 바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도록 하여 화력을 용이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슬롯이 형성된 로터리를 플러그에 결합하고, 조절 바의 돌기가 슬롯을 관통하도록 조절 바를 설치하여, 조절 바가 회전하면 돌기가 슬롯의 측벽에 접한 상태에서 로터리가 함께 회전함으로써 플러그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되, 사용자가 조절 바를 길이 방향으로 밀지 않았을 때에는 조절 바의 돌기가 슬롯 중 돌기의 직경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는 대응부에 위치하도록, 즉 돌기가 슬롯의 측벽에 상시 접해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조절 바를 회전시키면 로터리도 즉시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조절 바의 공회전이 발생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의 개구가 플러그의 외주면상에서의 직경이 그 내주면상에서의 직경보다 크도록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윤활유가 그 직경이 커지게 단차진 부분에 먼저 수용되어 플러그의 개구를 막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로터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캡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바디, 로터리, 조절 바 및 캡의 상대적인 배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13은 소화 상태, 제1 미세 화력 상태, 소 화력 상태, 중 화력 상태, 대 화력 상태 및 제2 미세 화력 상태일 때, 조절 바의 제1 돌기와 제2 돌기의 위치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4 내지 19는 소화 상태, 제1 미세 화력 상태, 소 화력 상태, 중 화력 상태, 대 화력 상태 및 제2 미세 화력 상태일 때, 플러그의 주 개구와 조절 개구의 위치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종래 밸브의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100)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밸브(100)는 바디(110), 플러그(120), 로터리(130), 조절 바(140), 캡(150), MPU(160), 푸시 바(170) 및 스프링(180)을 포함한다.
바디(110)는 실질적인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바디(110)의 원주면에는 유체, 예컨대 가스가 바디(110)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110a)와 그 유체가 바디(110)의 외부로 유출되기 위한 유출구(110b)가 형성된다. 또한 바디(110)의 내부에는 유입구(110a)와 유출구(110b)를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로상에는 제1 밸브 시트(111)와 제2 밸브 시트(112)가 각각 형성된다. 제1 밸브 시트(111)는 제1 포트를 정의하고, 제2 밸브 시트(112)는 제2 포트를 정의한다. 여기서 제1 포트는 제1 밸브 시트(111)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의미하고, 제2 포트는 제2 밸브 시트(11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의미한다. 한편 제1 밸브 시트(111)에는 플러그(120)의 외주면이 접할 수 있고, 제2 밸브 시트(112)에는 MPU(160)가 접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바디(110)의 일단으로는 조절 바(140)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바디(110)의 내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바(140)의 돌기(141)가 걸리기 위한 제1 턱(113)이 형성되는데, 제1 턱(113)의 구체적인 위치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100)의 플러그(120)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플러그(120)는 실질적인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플러그(120)의 원주면에는 유체가 통과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된다. 개구는 주 개구(120a)와 복수 개의 조절 개구(120b)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주 개구(120a)는 다량의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조절 개구(120b)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주 개구(120a)와 조절 개구(120b)는 플러그(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조절 개구(120b)는 플러그(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주 개구(120a) 및 조절 개구(120b)의 구체적인 형상, 크기, 위치, 간격 등은 개별적인 설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에는 조절 개구(120b)가 네 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역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조절 개구(120b)의 개수는 개별적인 설계 조건에 따라 세 개, 다섯 개 등으로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편의상 주 개구(120a)와 조절 개구(120b)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네 개의 조절 개구(120b)는 도 3의 Y축을 기준으로 할 때 반시계 방향의 순서대로 각각 제1 개구(120b-1), 제2 개구(120b-2), 제3 개구(120b-3) 및 제4 개구(120b-4)라 한다.
한편 플러그(120)의 일단에는 플러그(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 돌기(121)가 형성된다. 체결 돌기(121)는 로터리(130)와 맞물릴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플러그(120)의 개구는, 특히 조절 개구(120b)는 플러그(120)의 외주면상에서의 직경이 내주면상에서의 직경보다 크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플러그(120)의 외주면은 바디(110)의 제1 밸브 시트(111)에 접하여, 후술할 바와 같이 플러그(120)의 길이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플러그(12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플러그(120)의 외주면에 그리스와 같은 윤활유가 도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조절 개구(120b)는 상기 윤활유의 점성에 의해 막힐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조절 개구(120b)가 위와 같이 단차지게 형성되면, 그 직경이 커지도록 단차진 부분에 상기 윤활유가 먼저 수용되므로, 조절 개구(120b) 전체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100)의 로터리(130)의 측면도이다.
도 1, 2 및 4를 참조하면, 로터리(130)는 실질적인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로터리(130)의 원주면에는 로터리(130)의 길이 방향으로 슬롯(130a)이 형성된다. 슬롯(130a)은 대응부(130a-1), 경사부(130a-2) 및 일정부(130a-3)로 이루어진다. 대응부(130a-1)는 조절 바(140)의 돌기(141)의 직경에 대응되는 폭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부분이다. 또한 경사부(130a-2)는 대응부(130a-1)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일정부(130a-3)가 시작되는 지점으로 갈수록 그 폭이 증가하도록, 슬롯(130a)의 양 측벽 중 도 4의 Y축을 기준으로 할 때 시계 방향의 측벽이 로터리(13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또한 일정부(130a-3)는 경사부(130a-2)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경사부(130a-2)에 의해 증가한 폭으로 일정하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슬롯(130a)은 로터리(130)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로터리(130)의 일단에는 로터리(130)의 길이 방향으로 체결 홈(130b)이 형성된다. 체결 홈(130b)은 플러그(120)의 체결 돌기(121)와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플러그(120)의 체결 돌기(121)와 맞물릴 수 있다.
다시 도 1과 2를 참조하면, 조절 바(14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조절 바(140)의 외주면에는 조절 바(14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141)가 형성된다. 돌기(141)는 캡(150)의 홈(150b)에 수용되거나 바디(110)의 제1 턱(113)과 캡(150)의 제2 턱(151)에 걸림으로써, 사용자가 각 화력 상태 간의 전환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돌기(141)는 조절 바(140)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돌기(141)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두 개의 돌기(141)를 각각 제1 돌기(141-1)와 제2 돌기(141-2)라 한다. 이 경우 제2 돌기(141-2)는 제1 돌기(141-1)보다 짧게 형성 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100)의 캡(150)의 사시도이다.
도 1, 2 및 5를 참조하면, 캡(150)은 실질적인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캡(150)에는 홀(150a)이 형성된다. 홀(150a)에는 조절 바(140)가 관통하여 설치되어 캡(150)과 상대적인 운동, 즉 상대적인 길이 방향의 이동이나 회전을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캡(150)의 일면에는 홀(150a)의 둘레를 따라 제2 턱(151), 복수 개의 제1 홈(150b-1), 복수 개의 제2 홈(150b-2) 및 제3 턱(152)이 형성된다. 도 5에는 제2 턱(151), 제1 홈(150b-1) 및 제2 홈(150b-2)과 제3 턱(152)이 도 5의 Y축을 기준으로 할 때 시계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순히 사용자가 조절 바(14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점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가정한 것이다. 따라서 제2 턱(151), 제1 홈(150b-1) 및 제2 홈(150b-2)과 제3 턱(152)은 반시계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조절 바(14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점화가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2 턱(151), 제1 홈(150b-1) 및 제2 홈(150b-2)과 제3 턱(152)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2 턱(151)은 캡(15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되, 로터리(130)의 슬롯(130a) 중 대응부(130a-1)의 길이와 상응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턱(151)은 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최종적으로 캡(150)의 일면과 이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홈(150b-1)은 조절 바(140)의 제1 돌기(141-1)가 수용되기 위한 것으로, 홀(150a)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즉 홀(150a)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5에는 제1 홀(150a)이 네 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순히 화력 상태가 제1 미세 화력 상태, 소 화력 상태, 중 화력 상태, 대 화력 상태 및 제2 미세 화력 상태로 구분되는 경우, 즉 화력 상태의 개수가 다섯 개인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따라서 제1 홈(150b-1)의 개수는 원하는 화력 상태의 개수에 따라 세 개, 다섯 개 등으로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1 홈(150b-1)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 개의 제2 홈(150b-2)은 조절 바(140)의 제2 돌기(141-2)가 수용되기 위한 것으로, 제1 홈(150b-1)에 대응되는 개수로 이루어져 제1 홈(150b-1)과 마찬가지로 홀(150a)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즉 홀(150a)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제1 홈(150b-1)이 네 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었는데, 이 경우 제2 홈(150b-2)도 네 개로 이루어질 것이다. 또한 제2 홈(150b-2)은 제1 홈(150b-1)보다 홀(150a)을 중심으로 한 반경 방향의 길이가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턱(152)은 캡(15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 턱(151)과 제1 홈(150b-1)으로부터 각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홀(150a)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되, 제2 홈(150b-2)보다 홀(150a)로부터 먼 곳에서 홀(150a)을 중심으로 한 반경 방향으로 제2 홈(150b-2)에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1과 2를 참조하면, 푸시 바(170)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푸시 바(170)는 플러그(120)의 길이 방향으로 플러그(120)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그 직경이 플러그(12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MPU(160)는 이동 판(161), 전자석(162) 및 MPU 스프링(163)을 구비한다. 이때 이동 판(161)은 바디(110)의 제2 밸브 시트(112)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제2 밸브 시트(112)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바디(110)의 상기 유로를 개방하여 점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점화가 이루어지면, 제백 효과(Seebeck Effect)에 의해 전자석(162)은 자성을 갖게 되고, 이동 판(161)은 자기력에 의해 제2 밸브 시트(112)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전자석(162)과 접하게 된다. 즉 상기 유로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만약 물이 끓어 넘치는 등에 의해 강제적으로 소화된 경우, 전자석(162)은 자성을 잃게 된다. 이때 이동 판(161)은 MPU 스프링(163)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제2 밸브 시트(112)와 접하게 되어, 비정상적인 가스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MPU(16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원리는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각 구성에 기초하여, 이하 그 결합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플러그(120)는 바디(110)의 일단으로부터 바디(1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플러그(120)는 바디(110)의 상기 유로가 플러그(120)의 일단과 주 개구(120a)나 조절 개구(120b)를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배치된다. 또한 플러그(120)의 외주면이 바디(110)의 제1 밸브 시트(111)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MPU(160)는 바디(110)의 타단으로부터 바디(1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MPU(160)는 이동 판(161)이 바디(110)의 제2 밸브 시트(112)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로터리(130)는 플러그(120)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그 체결 홈(130b)이 플러그(120)의 체결 돌기(121)와 맞물린다. 따라서 로터리(130)가 회전하면 플러그(120)도 이와 연동하여 서로 동축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조절 바(140)는 로터리(130)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그 돌기(141)가 로터리(130)의 슬롯(130a)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조절 바(140)는 돌기(141)가 슬롯(130a)의 내부 영역에 있을 때, 로터리(130)와 상대적인 운동, 즉 상대적인 길이 방향의 이동이나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단 돌기(141)가 슬롯(130a)의 측벽에 접한 상태에서 조절 바(140)가 그 접한 방향으로 회전한다면 로터리(130)도 이와 연동하여 서로 동축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로터리(130)와 결합된 플러그(120)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와 연동하여 함께 회전하게 될 것이다.
푸시 바(170)는 플러그(120)의 길이 방향으로 플러그(120)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푸시 바(170)의 일단은 조절 바(140)와 결합되며, 그 타단은 MPU(160)의 이동 판(161)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절 바(140)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푸시 바(170)도 함께 이동하여, MPU(160)의 이동 판(161)이 바디(110)의 제2 밸브 시트(112)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 판(161)을 밀 수 있다.
한편 조절 바(140)는 캡(150)의 홀(150a)을 관통하여, 제1 돌기(141-1)와 제2 돌기(141-2)가 캡(150)의 일면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캡(150)은 제2 턱(151)의 끝단이 로터리(130)의 슬롯(130a) 중 대응부(130a-1)와 경사부(130a-2)가 이어지는 지점과 상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180)은 조절 바(140)의 제1 돌기(141-1)와 제2 돌기(141-2)가 캡(150)의 일면에 접하도록, 따라서 캡(150)의 제1 홈(150b-1)과 제2 홈(150b-2)에 각각 수용될 수 있도록 조절 바(140)를 압박한다. 도 1에는 스프링(180)이 플러그(120)와 조절 바(140)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스프링(180)이 위와 같은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만 있다면 그 위치는 달라질 수도 있다.
도 8 내지 13은 소화 상태, 제1 미세 화력 상태, 소 화력 상태, 중 화력 상태, 대 화력 상태 및 제2 미세 화력의 상태일 때, 조절 바(140)의 제1 돌기(141-1)와 제2 돌기(141-2)의 위치를 각각 도시한 것이고, 도 14 내지 19는 소화 상태, 제1 미세 화력 상태, 소 화력 상태, 중 화력 상태, 대 화력 상태 및 제2 미세 화력의 상태일 때, 플러그(120)의 주 개구(120a)와 조절 개구(120b)의 위치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8과 14를 참조하면, 플러그(120)는 소화 상태일 때 그 외주면 중 주 개구(120a)나 조절 개구(120b)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바디(110)의 유출구(110b)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바디(110)의 상기 유로가 플러그(120)의 외주면에 의해 차단되어, 유체가 바디(110)의 내부로부터 유출구(110b)를 통해 외부로 공급될 수 없게 된다. 또한 이때 조절 바(140)는 제1 돌기(141-1)가 캡(150)의 제2 턱(151)과 제3 턱(152)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도 9과 15를 참조하면, 플러그(120)는 제1 미세 화력 상태일 때 조절 개구(120b) 중 제1 개구(120b-1)가 바디(110)의 유출구(110b)와 중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유체가 바디(110)의 내부로부터 제1 개구(120b-1)를 통해서만 미량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조절 바(140)는 제1 돌기(141-1)가 캡(150)의 복수 개의 제1 홈(150b-1) 중 도 9의 시계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첫 번째 홈에 수용된다. 이 경우 제2 돌기(141-2)는 캡(150)의 복수 개의 제2 홈(150b-2) 중 시계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첫 번째 홈에 수용되게 된다.
도 10과 16을 참조하면, 플러그(120)는 소 화력 상태일 때 조절 개구(120b) 중 제1 개구(120b-1)와 제2 개구(120b-2)가 바디(110)의 유출구(110b)와 중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유체가 바디(110)의 내부로부터 제1 개구(120b-1)와 제2 개구(120b-2)를 통해, 즉 제1 미세 화력 상태일 때보다 넓은 공간을 통해 다량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조절 바(140)는 제1 돌기(141-1)가 캡(150)의 복수 개의 제1 홈(150b-1) 중 도 10의 시계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두 번째 홈에 수용된다. 이 경우 제2 돌기(141-2)는 캡(150)의 복수 개의 제2 홈(150b-2) 중 시계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두 번째 홈에 수용되게 된다.
도 11과 17을 참조하면, 플러그(120)는 중 화력 상태일 때 조절 개구(120b) 중 제1 개구(120b-1), 제2 개구(120b-2) 및 제3 개구(120b-3)가 바디(110)의 유출구(110b)와 중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유체가 바디(110)의 내부로부터 제1 개구(120b-1), 제2 개구(120b-2) 및 제3 개구(120b-3)를 통해, 즉 중 화력 상태일 때보다 넓은 공간을 통해 더 다량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조절 바(140)는 제1 돌기(141-1)가 캡(150)의 복수 개의 제1 홈(150b-1) 중 도 11의 시계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세 번째 홈에 수용된다. 이 경우 제2 돌기(141-2)는 캡(150)의 복수 개의 제2 홈(150b-2) 중 시계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세 번째 홈에 수용되게 된다.
도 12와 18을 참조하면, 플러그(120)는 대 화력 상태일 때 주 개구(120a)와 조절 개구(120b) 중 제2 개구(120b-2), 제3 개구(120b-3) 및 제4 개구(120b-4)가 바디(110)의 유출구(110b)와 중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유체가 바디(110)의 내부로부터 주 개구(120a), 제2 개구(120b-2), 제3 개구(120b-3) 및 제4 개구(120b-4)를 통해 최대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조절 바(140)는 제1 돌기(141-1)가 캡(150)의 복수 개의 제1 홈(150b-1) 중 도 12의 시계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네 번째 홈에 수용된다. 이 경우 제2 돌기(141-2)는 캡(150)의 복수 개의 제2 홈(150b-2) 중 시계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네 번째 홈에 수용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3과 19를 참조하면, 플러그(120)는 제2 미세 화력 상태일 때 조절 개구(120b) 중 제4 개구(120b-4)가 바디(110)의 유출구(110b)와 중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유체가 바디(110)의 내부로부터 제4 개구(120b-4)를 통해서만 미량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조절 바(140)는 제1 돌기(141-1)가 캡(150)의 제3 턱(152)에 접한다.
한편 바디(110)의 제1 턱(113)은 캡(150)의 일면이 바디(110)를 향하도록 바디(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캡(150)의 제1 홈(150b-1)과 제3 턱(152) 사이의 영역상에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제1 홈(150b-1) 중 도 12의 시계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네 번째 홈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이웃하는 지점에 배치된다.
또한 제1 턱(113)은 캡(150)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 돌기(141-1)는 후술할 바와 같이 캡(150)의 일면상에서 회전할 수도 있고 캡(150)의 일면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특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회전할 수도 있는데, 캡(150)의 일면을 제1 평면이라 하고 캡(150)의 일면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특정 거리만큼 이격된 가상의 평면을 제2 평면이라 한다면, 제1 턱(113)은 상기 제2 평면상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각 구성의 결합 관계에 기초하여, 이하 그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서 말하는 Y축 방향,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은 모두 도 1, 3, 4, 5 및 8 내지 19에 함께 나타낸 좌표 축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초기 상태는 소화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화 상태일 때 조절 바(140)의 제1 돌기(141-1)는 캡(150)의 제2 턱(151)과 제3 턱(152) 사이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즉 제1 돌기(141-1)가 제2 턱(151)에 걸려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 상태에서 바로 조절 바(140)를 회전시킬 수는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절 바(140)의 제1 돌기(141-1)가 캡(150)의 일면상에서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캡(150)의 일면으로부터 적어도 제2 턱(151)의 높이만큼 이격된 가상의 평면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즉 제1 돌기(141-1)가 캡(150)의 제2 턱(151)을 넘어 갈 수 있도록, 조절 바(140)를 +Y축 방향으로 밀어서 회전시켜야 한다.
이에 사용자가 조절 바(140)를 +Y축 방향으로 밀면, 조절 바(140)의 제1 돌기(141-1)는 캡(150)의 제2 턱(151)의 끝단 너머로 이동하는 한편, 로터리(130)의 슬롯(130a) 중 대응부(130a-1)로부터 경사부(130a-2)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조절 바(14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 바(140)의 제1 돌기(141-1)는 캡(150)의 제2 턱(151) 위를 지나가는 한편, 슬롯(130a)의 경사부(130a-2)의 경사진 측벽에 접하게 된다. 사용자가 조절 바(140)를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제1 돌기(141-1)는 슬롯(130a)의 상기 경사진 측벽을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Y축 방향으로도 이동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조절 바(140)에 +Y축 방향의 힘을 가하지 않고 단순히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해도 조절 바(140)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이제 제1 돌기(141-1)는 슬롯(130a) 중 일정부(130a-3)로 이동하게 되며, 그 이후 사용자가 조절 바(14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돌기(141-1)가 일정부(130a-3)의 측벽에 접하여 그 측벽을 밀어주기 때문에, 결국 로터리(13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플러그(120)도 이와 연동하여 함께 회전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조절 바(140)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푸시 바(170)도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MPU(160)의 이동 판(161)을 +Y축 방향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MPU(160)의 이동 판(161)이 바디(110)의 제2 밸브 시트(112)로부터 이격되어, 유체가 바디(110)의 유입구(110a)를 통해 바디(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하면 MPU(160)가 제2 밸브 시트(112)로부터 이격되도록 푸시 바(170)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절 바(140)를 끝까지 밀지 않더라도, 단순히 조절 바(140)의 제1 돌기(141-1)가 캡(150)의 제2 턱(151)을 넘어 갈 수 있을 정도로만 밀면, 그 이후부터는 사용자가 조절 바(140)를 회전시키기만 해도 제1 돌기(141-1)가 로터리(130)의 슬롯(130a) 중 경사부(130a-2)의 경사진 측벽을 따라 이동하면서 +Y축 방향으로 더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사용자가 조절 바(140)를 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다 보면, 조절 바(140)의 제1 돌기(141-1)가 바디(110)의 제1 턱(113)에 접하게 되어, 사용자가 조절 바(140)를 더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조절 바(140)를 놓으면, 즉 +Y축 방향으로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조절 바(140)는 스프링(180)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로터리(130)의 경사부(130a-2)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조절 바(140)의 돌기(141)는 다시 로터리(130)의 슬롯(130a) 중 대응부(130a-1)에 위치하게 되는 한편, 제1 돌기(141-1)는 캡(150)의 제1 홈(150b-1) 중 시계 방향으로 네 번째 홈에 수용되고, 제2 돌기(141-2)는 캡(150)의 제2 홈(150b-2) 중 시계 방향으로 네 번째 홈에 수용되게 된다. 그러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러그(120)의 주 개구(120a), 제2 개구(120b-2), 제3 개구(120b-3) 및 제4 개구(120b-4)가 바디(110)의 유출구(110b)와 중첩되게 되므로, 유체가 최대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즉 대 화력 상태가 된다.
다만 대 화력 상태에서는 순식간에 물이 끓어 넘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에는 화력을 급격하게 줄여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조절 바(140)를 +Y축 방향으로 밀지 않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면 조절 바(140)의 제1 돌기(141-1)는 이제 바디(110)의 제1 턱(113)에 걸리지 않고 캡(150)의 일면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제1 돌기(141-1)가 더 회전하여 캡(150)의 제3 턱(152)에 접하게 되면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다. 이때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러그(120)의 제4 개구(120b-4)만 바디(110)의 유출구(110b)와 중첩되게 되므로, 유체가 미량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즉 제2 미세 화력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하면 화력이 대 화력 상태에서 바로 제2 미세 화력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중 화력 상태, 소 화력 상태 등을 거친 후에야 비로소 원하는 미세 화력 상태로 전환되던 종래 경우보다 화력을 보다 급격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조절 바(140)가 멈출 때까지 조절 바(140)를 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눈으로 직접 화염의 크기를 확인해야 했던 종래의 불편함, 또는 조절 바(140)를 과도하게 회전시켜 의도치 않게 소화 상태에 이르게 될 수도 있었던, 따라서 다시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이후에 다시 미세 화력 상태로 전환해야 했던 종래의 불편함 등을 해결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다시 대 화력 상태를 원한다면, 사용자는 조절 바(14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중 화력 상태, 소 화력 상태 및 제1 미세 화력 상태를 원한다면, 사용자는 조절 바(140)를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시켜 나갈 수 있다. 이때 조절 바(140)의 제1 돌기(141-1)와 제2 돌기(141-2)는 스프링(180)에 의해 캡(150)의 일면에 접하도록 압박되어 있으므로, 각 화력 상태 간의 전환 시마다 캡(150)의 제1 홈(150b-1)과 제2 홈(150b-2)에 각각 수용되면서 걸리게 된다. 이에 따른 충격력은 조절 바(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눈으로 직접 화염의 크기를 확인하지 않고서도 각 화력 상태 간의 전환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소화 상태를 원한다면, 제1 미세 화력 상태에서 조절 바(140)를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캡(150)의 제2 턱(151)은 시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시 말하면 반시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절 바(140)를 +Y축 방향으로 밀지 않고 단순히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해도 조절 바(140)의 제1 돌기(141-1)가 캡(150)의 제2 턱(151)의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함으로써 제2 턱(151)을 넘어갈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사용자가 조절 바(140)를 +Y축 방향으로 밀지 않고 회전시킬 때에는 조절 바(140)의 돌기(141)가 로터리(130)의 슬롯(130a) 중 제1 일정부(130a-3)에 위치해 있다. 제1 일정부(130a-3)는 돌기(141)의 직경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즉 돌기(141)가 슬롯(130a)의 양 측벽에 접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절 바(140)를 회전시킬 때 로터리(130)도 이와 연동하여 즉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로터리(130)에 의하면, 앞서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의 문제점, 즉 조절 바(140)의 공회전이 발생하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진다. 한편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하게 개량하거나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이나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유로 및 상기 유로상에 설치되는 제1 밸브 시트를 구비하는 바디,
    파이프 형상으로, 그 원주면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그 일단과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바디의 유로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배치되고, 외주면이 상기 바디의 제1 밸브 시트에 접한 상태에서 길이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개구와 상기 제1 밸브 시트에 의해 둘러싸인 제1 포트가 중첩되는 넓이가 변할 수 있는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와 연결되어 상기 플러그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외주면에 제1 돌기가 형성된 조절 바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 바는 상기 제1 돌기가 임의의 제1 평면상에서 시작 위치에서부터 종료 위치까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된 임의의 제2 평면상에서도 회전할 수 있도록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바디는 상기 조절 바의 제1 돌기가 상기 제2 평면상에서 회전하는 경로 중 상기 시작 위치와 상기 종료 위치 사이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돌기가 회전할 수 없도록 저지하는 제1 턱을 더 구비하며,
    상기 조절 바의 제1 돌기가 상기 시작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바디의 제1 포트와 상기 플러그의 개구가 중첩되지 않고,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바디의 턱이 형성된 지점으로 가면 상기 중첩되는 넓이가 점차 증가하다가, 상기 바디의 턱이 형성된 지점으로부터 상기 종료 지점으로 더 가면 상기 중첩되는 넓이가 점차 감소하되, 그 감소하는 폭은 증가하는 폭보다 크며,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제2 평면은 상기 조절 바의 길이 방향에 배치되어 서로 이격된 가상의 두 평면인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제1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조절 바를 압박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제1 밸브 시트와 별개로 형성되는 제2 밸브 시트를 더 구비하고,
    파이프 형상으로, 그 일단이 상기 플러그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고, 원주면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 바의 제1 돌기가 상기 슬롯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조절 바와 상대적인 운동이 가능한 로터리,
    상기 바디의 제2 밸브 시트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MPU 및
    상기 조절 바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함께 이동함으로써 상기 MPU를 밀어 상기 바디의 제2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푸시 바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로터리의 슬롯은 상기 조절 바의 제1 돌기의 직경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는 대응부, 상기 대응부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플러그를 향해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증가하도록 상기 슬롯의 측벽 중 상기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종료 위치로 향하는 방향의 측벽이 상기 로터리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그 증가한 폭으로 일정하게 형성되는 일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절 바는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제1 평면상에 있을 때에는 상기 로터리의 슬롯 중 대응부의 영역에 있고, 상기 제2 평면상에 있을 때에는 상기 슬롯 중 일정부의 영역에 있는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상기 조절 바가 관통하기 위한 홀 및 상기 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조절 바의 제1 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제1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평면상에 배치되는 캡을 더 포함하되,
    상기 조절 바의 제1 돌기가 상기 복수의 제1 홈 중 서로 다른 홈에 수용되도록 상기 조절 바가 회전하면 상기 바디의 제1 포트와 상기 플러그의 개구가 중첩되는 넓이도 변하는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바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돌기로부터 상기 조절 바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제2 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캡에는 상기 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조절 바의 제2 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제2 홈이 더 형성되는 밸브.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상기 조절 바의 제1 돌기가 상기 캡의 일면에 접한 상태로 상기 시작 위치에서 회전할 수 없도록 저지하는 제2 턱이 더 형성되되, 상기 제2 턱은 상기 로터리의 슬롯 중 대응부의 길이와 상응하는 높이로 돌출되는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턱은 상기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종료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밸브.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상기 조절 바의 제1 돌기가 상기 종료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제1 돌기와 접하게 되어, 상기 제1 돌기가 더 회전할 수 없도록 저지하는 제3 턱이 더 형성되는 밸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개구는 상기 플러그의 외주면상에서 그 개구의 직경이 상기 플러그의 내주면상에서 그 개구의 직경보다 크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밸브.
KR1020160104812A 2016-08-18 2016-08-18 밸브 KR101949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812A KR101949567B1 (ko) 2016-08-18 2016-08-18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812A KR101949567B1 (ko) 2016-08-18 2016-08-18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474A KR20180020474A (ko) 2018-02-28
KR101949567B1 true KR101949567B1 (ko) 2019-02-18

Family

ID=61401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812A KR101949567B1 (ko) 2016-08-18 2016-08-18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5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9776A (zh) * 2018-08-14 2018-11-23 广东万家乐厨房科技有限公司 一种燃气灶同步调节阀及燃气灶
CN109973675B (zh) * 2019-04-22 2020-12-08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燃气阀和燃气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5601B2 (ja) * 1993-10-20 1998-01-14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コック
KR19990030027U (ko) * 1997-12-29 1999-07-26 윤홍구 로터리-슬라이드코크의 화력조절레버 복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474A (ko)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161523A (en) Gas cock or valve
KR101949567B1 (ko) 밸브
KR100347458B1 (ko) 가스 콕 장치
US20140151591A1 (en) Gas Tap for a Cooking Appliance
JP2016138379A (ja) バルブ装置
JP5962920B2 (ja) ガスコック
KR101864961B1 (ko) 쿡탑용 밸브
KR101949564B1 (ko) 밸브의 유량조절 장치
JP2009530565A (ja) 水制御弁カートリッジ
JP2004012062A (ja) ガス制御装置
EP3438536B1 (en) Valve arrangement comprising a gas valve and a tactile feedback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said valve arrangement
JPS5848167B2 (ja) 圧力釜用2つの圧力レベル付調圧装置
JP2016156606A (ja) 火力調節装置
JP2009191985A (ja) ガス栓用過流出防止弁装置
KR102043462B1 (ko) 가스레인지 밸브
KR20090008310U (ko) 유량 및 온도의 다단 조절기능을 갖는 밸브
JP5868340B2 (ja) ガスコック
KR102010891B1 (ko) 가스레인지
KR910008058Y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3단콕크
JP2019184126A (ja) 親子バーナ用火力調節装置
JP5885691B2 (ja) ガスコック
JP2004003688A (ja) ガス量調節装置
KR900009722Y1 (ko) 2개의 주가스분출구를 가지는 코크
JP2008089145A (ja) 回転操作式のガス器具栓
KR101636462B1 (ko) 가스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