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287B1 -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 - Google Patents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287B1
KR101949287B1 KR1020180077389A KR20180077389A KR101949287B1 KR 101949287 B1 KR101949287 B1 KR 101949287B1 KR 1020180077389 A KR1020180077389 A KR 1020180077389A KR 20180077389 A KR20180077389 A KR 20180077389A KR 101949287 B1 KR101949287 B1 KR 101949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garment
bands
boun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기
Original Assignee
김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기 filed Critical 김순기
Priority to KR1020180077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287B1/ko
Priority to PCT/KR2019/007896 priority patent/WO202000938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8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3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the user operating the resistance directly, without additional interface
    • A63B21/4025Resistance devices worn on the us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57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 A63B69/0059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worn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89Plasters use for bracing or strapp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iophysics (AREA)
  • Nurs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의복과; 상기 의복에 장착되어 의복에 의해 둘러싸인 신체의 각 부위를 둘러싸서 부분적으로 압박하는 다수의 밴드;로 구성되어, 다수의 밴드를 별도로 챙기기 위하여 신경 쓸 필요가 없고, 의복으로 착용한 상태이기 때문에 주변 사람들을 의식하지 않고 착용한 상태로 다니면서 가볍게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Partial compression band set of body}
본 발명은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의복에 다수개를 이격되게 장착하여 각 신체 부위를 부분 압박함으로써 신체에 긍정적 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에 관한 것이다.
재활이 필요한 사람이나 여성과 노인들처럼 근력이 약한 노약자들은 신체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신체적인 운동이 필요하다.
특히, 병원의 환자들이나 노약자들은 격렬한 운동을 하지 못하고 낮은 강도의 운동을 하면서 근력을 향상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탄력이 있는 운동용 밴드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운동용 밴드는 탄성재질로 만들어지고, 신체의 특정 부위를 압박하면서 탄성재질의 탄발력을 이용하여 밴드를 신장시켜 가면서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운동용 밴드는 탄성재질을 이용함으로써 병원의 재활환자나 노약자들처럼 근력이 매우 약한 사람들이 이용하기에는 많은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을 하려면 밴드를 항상 소지해야 하기 때문에 귀찮은 면이 있고,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주변 사람이 의식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44617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밴드를 의복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변 사람들을 의식하지 않고 밴드를 결속하여 각 신체 부위를 부분압박한 상태에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밴드의 설치위치와 결속방식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신체의 어느 부위를 결속할 밴드인지를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는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는 의복과; 상기 의복에 장착되어 의복에 의해 둘러싸인 신체의 각 부위를 둘러싸서 부분적으로 압박하는 다수의 밴드;로 구성되고, 상기 의복에는 고정띠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밴드는 상기 고정띠에 착탈된다.
삭제
여기서, 상기 밴드는 각 신체부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로 상기 고정띠에 결속된다.
또한, 상기 밴드는 각 신체부위에 크로스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로 상기 고정띠에 결속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밴드는 설치되는 각 신체부위에 따라 그 색상을 다르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밴드는 설치되는 각 신체부위에 따라 압박 정도를 각각 다르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는 의복에 장착하기 때문에 다수의 밴드를 별도로 챙기기 위하여 신경 쓸 필요가 없고, 의복으로 착용한 상태이기 때문에 주변 사람들을 의식하지 않고 착용한 상태로 다니면서 가볍게 운동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밴드가 신체 각 부위를 부분 압박하기 때문에 그 상태로 운동을 하는 경우 운동 효과를 극대화시켜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의복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고정띠에 밴드가 착탈되기 때문에 밴드의 상하방향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밴드를 수평방향으로 결속하거나 크로스 방향으로 결속하는 등 그 결속방식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결속방식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밴드의 색상을 각각 다르게 함으로써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어느 부위를 결속할 밴드인지를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압박 정도를 다르게 밴드를 결속할 수 있으므로 각 신체부위에 필요한 적절한 가압력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를 수평방향으로 착용한 모습을 보인 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를 크로스 방향으로 착용한 모습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를 수평방향으로 착용한 모습을 보인 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를 크로스 방향으로 착용한 모습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는 의복(10)과, 상기 의복(10)에 장착되는 다수의 밴드(20)로 구성된다.
상기 의복(10)은 병원에서 재활을 하고 있는 환자나 노인 또는 여성들을 포함한 노약자와 같이 근력이 떨어지는 사람들이 착용하는 상의, 하의 또는 상의와 하의를 합한 것을 통칭한다.
상기 밴드(20)는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탄력부재로 만들어지고, 의복(10)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의복(10)에 의해 둘러싸인 신체의 각 부위를 의복(10) 외측면에서 둘러싼다.
이렇게 둘러싼 신체의 각 부위를 밴드(20) 다수개가 각각 부분적으로 압박함으로써 해당 부위의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좀 더 부연하면, 상기 밴드(20)는 길이가 긴 띠 형상을 갖고 의복(10)에 상하방향으로 각각 하나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안쪽면과 바깥쪽면에 서로 접착이 가능한 벨크로 테잎을 구비하여 신체의 특정부위 주위를 둘러싼 후 양쪽 끝을 결속함으로써 그 신체부위에서 흘러내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러한 밴드(20)는 모두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압박을 하는 신체 부위의 두께에 대응하여 그 사이즈를 각각 다르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하의를 기준으로 설명할 때 각각의 밴드(20)의 설치 위치는 허벅지, 무릎, 종아리, 발목 등이 될 수 있다. 이렇게 신체의 각 부위에 다수의 밴드(20)를 각각 설치하여 각 신체부위를 압박(즉 가압)한 상태에서 운동을 하는 경우 정맥의 혈류를 방해하게 되고, 이는 피로에서의 빠른 회복, 근육량 향상, 심혈관계, 안티 에이징, 지구력 증가 등에 도움을 준다.
부연하면, 운동선수들의 경우 과도한 운동을 하거나 급작스러운 운동을 하여 다리에 쥐가 날 때 본 발명을 이용하면 빠른 시간 내에 회복이 가능하고, 다리에 힘이 없어서 산행을 하기 힘든 노약자들은 본 발명을 착용한 상태에서 가볍게 운동을 하면 다리를 지탱하는 힘이 생겨서 산행 중에 넘어지는 빈도를 낮출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밴드(20)를 의복(10)에 직접 장착하거나 탈거되도록 가능하지만, 의복(10)에 고정띠(30)를 설치하고 이 고정띠(30)에 밴드(20)를 착탈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연하면, 상기 고정띠(30)를 의복(10)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한다. 이 고정띠(30)는 벨크로 테잎으로 구성되는데 재봉을 하여 의복(10)에 고정시킨다.
이렇게 벨크로 테잎으로 구성되는 고정띠(30)가 의복(10) 외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밴드(20)에 구비된 벨크로 테잎을 고정띠(30)에 부착하면 밴드(20)가 부착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밴드(20)는 다양한 형태로 고정띠(30)에 결속될 수 있다.
즉, 밴드(20)는 각 신체부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로 고정띠(30)에 결속될 수도 있고, 각 신체부위에 크로스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로 고정띠(30)에 결속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띠(30)가 바지의 양쪽 다리 부분에서 허리 부분까지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을 하면, 밴드(20)를 허벅지, 무릎, 종아리, 발목에 수평방향으로 감아서 결속한다.
그리고, 밴드(20)를 허벅지 부분에 크로스시켜 결속할 수도 있고, 종아리 부분에 크로스시켜 결속할 수도 있다. 이렇게 밴드(20)를 수평하게 결속시키느냐 크로스시켜 결속시키느냐는 밴드(20)를 부착한 착용자의 상태에 따라 결정한다.
이렇게 밴드(20)를 신체의 각 부위에 결속하여 압박을 가할 때 밴드(20)에 구비된 벨크로 테잎은 고정띠(30)에 부착되어 고정띠(3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위와 같이 신체의 각 부위에 결속한 다수의 밴드(20)는 결속되는 각 신체부위에 따라 그 색상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자면 허벅지에 결속한 밴드는 빨간색, 무릎에 결속한 밴드는 노란색, 종아리에 결속한 밴드는 검은색, 발목에 결속한 밴드는 파란색 등과 같이, 신체의 각 부위에 결속하는 각각의 밴드(20) 색상을 달리 함으로써 어느 부위의 밴드인지를 빠르게 알 수 있도록 하면서 심미감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겨울에는 다수의 밴드(20)가 신체 부위를 가압한 상태로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보온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밴드(20)는 설치되는 각 신체부위에 따라 그 압박 정도를 각각 다르게 결속할 수 있다. 밴드(20)가 설치되는 신체는 각 부위별로 필요한 압박 정도가 다르고, 이에 대응하여 밴드(20)의 결속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각 신체 부위에 적절한 압력이 가해지도록 한다.
10: 의복 20: 밴드
30: 고정띠

Claims (6)

  1. 의복(10)과;
    상기 의복(10)에 장착되어 의복(10)에 의해 둘러싸인 신체의 각 부위를 둘러싸서 부분적으로 압박하는 다수의 밴드(20);로 구성되고,
    상기 의복(10)에는 고정띠(30)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밴드(20)는 상기 고정띠(30)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20)는 각 신체부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로 상기 고정띠(30)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20)는 각 신체부위에 크로스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로 상기 고정띠(30)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밴드(20)는 설치되는 각 신체부위에 따라 그 색상을 다르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밴드(20)는 설치되는 각 신체부위에 따라 압박 정도를 각각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
KR1020180077389A 2018-07-04 2018-07-04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 KR101949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389A KR101949287B1 (ko) 2018-07-04 2018-07-04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
PCT/KR2019/007896 WO2020009380A1 (ko) 2018-07-04 2019-06-28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389A KR101949287B1 (ko) 2018-07-04 2018-07-04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287B1 true KR101949287B1 (ko) 2019-02-18

Family

ID=6556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389A KR101949287B1 (ko) 2018-07-04 2018-07-04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49287B1 (ko)
WO (1) WO202000938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317Y1 (ko) 2019-05-10 2019-10-25 주정진 혈류 제한용 가압밴드
WO2020009380A1 (ko) * 2018-07-04 2020-01-09 김순기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
KR102482052B1 (ko) 2022-07-04 2022-12-28 주식회사 미다스코리아 압박용 풋웨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175Y1 (ko) 2009-03-05 2009-10-05 정신희 다리 교정용 밴드
KR20110012027U (ko) * 2010-06-24 2011-12-30 전길진 체형을 교정하는 의복
KR20150017279A (ko) * 2013-08-06 2015-02-16 양재영 원단 내면에 키네시오 테이핑과 스포츠 테이핑의 조형을 실리콘으로 구성한 기능성 압박의류.
KR101515757B1 (ko) * 2014-09-01 2015-04-28 안상호 지지밴드가 구비된 기능성 의복
US20150306441A1 (en) * 2014-04-24 2015-10-29 New York University Exercise garment with ergonomic and modifiable resistance band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980A (ko) * 2004-11-24 2006-05-29 김명훈 의류용 고탄력 밴드를 이용한 하체근지구력 강화기구
KR20100011288U (ko) * 2009-05-11 2010-11-19 박준식 상지 보조기
KR20130003370U (ko) * 2011-11-29 2013-06-07 기한상 휜다리 복합 교정밴드 조립체
KR101949287B1 (ko) * 2018-07-04 2019-02-18 김순기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175Y1 (ko) 2009-03-05 2009-10-05 정신희 다리 교정용 밴드
KR20110012027U (ko) * 2010-06-24 2011-12-30 전길진 체형을 교정하는 의복
KR20150017279A (ko) * 2013-08-06 2015-02-16 양재영 원단 내면에 키네시오 테이핑과 스포츠 테이핑의 조형을 실리콘으로 구성한 기능성 압박의류.
US20150306441A1 (en) * 2014-04-24 2015-10-29 New York University Exercise garment with ergonomic and modifiable resistance bands
KR101515757B1 (ko) * 2014-09-01 2015-04-28 안상호 지지밴드가 구비된 기능성 의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380A1 (ko) * 2018-07-04 2020-01-09 김순기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
KR200490317Y1 (ko) 2019-05-10 2019-10-25 주정진 혈류 제한용 가압밴드
KR102482052B1 (ko) 2022-07-04 2022-12-28 주식회사 미다스코리아 압박용 풋웨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09380A1 (ko) 2020-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233Y1 (ko) 기능성 레깅스
KR101949287B1 (ko)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
US20090042702A1 (en) Proprioception enhancement system
US5720042A (en) Energy expenditure garment
US6258014B1 (en) Exercise kit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070032359A1 (en) Proprioception enhancement bands
US10729931B2 (en) Garment
WO2005112674A1 (ja) ボトム衣類
KR101766644B1 (ko)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
US20200179743A1 (en) Weighted clothing
KR101419091B1 (ko) 신체 조직을 관리 또는 트리팅하거나 또는 형태를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TWI651057B (zh) 運動服裝
JP2021171622A (ja) 脚に着用可能な多機能フィットネスシューズ
US20200253297A1 (en) Fat-burning undergarment
CN210445761U (zh) 一种带理疗功能的运动护膝
KR101515757B1 (ko) 지지밴드가 구비된 기능성 의복
KR101467143B1 (ko) 지지밴드가 구비된 기능성 의복
JP3043589U (ja) 歩行促進衣類
US10874898B1 (en) Exercise apparel with resistance bands
US20140378883A1 (en) Garment for Promoting Dynamic Alignment of a Knee
JP6748994B2 (ja) ボールを利用した運動具
KR100348658B1 (ko) 하체근육 단련용 기능복
CN212347586U (zh) 一种屈伸髋训练器
KR102631511B1 (ko) 자세교정용 의류
KR20110000133U (ko) 운동용 압박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