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288U - 상지 보조기 - Google Patents

상지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288U
KR20100011288U KR2020090005670U KR20090005670U KR20100011288U KR 20100011288 U KR20100011288 U KR 20100011288U KR 2020090005670 U KR2020090005670 U KR 2020090005670U KR 20090005670 U KR20090005670 U KR 20090005670U KR 20100011288 U KR20100011288 U KR 201000112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belt
fixing part
attached
fix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6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식
박형빈
Original Assignee
박준식
박형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식, 박형빈 filed Critical 박준식
Priority to KR20200900056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1288U/ko
Publication of KR201000112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28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0Suspensory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지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을 구성하는 가슴벨트(10)는 신축성이 있는 합성섬유로 만들어진 벨트몸체(12)의 외면에 몸체 암고정부(18)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몸체(12)의 일단부 내면에는 상기 몸체 암고정부(18)에 부착되는 몸체 수고정부(16)가 구비된다. 제1압박부착밴드(30)는 신축성이 있는 합성섬유로 만들어진 제1밴드몸체(32)의 양단부에 있는 제1밴드 수고정부(34)가 상기 가슴벨트(10)의 상기 몸체 암고정부(18)에 부착되고 그 중앙 부분의 광폭부(36)가 착용자의 주관절부를 둘러 감싼다. 제2압박부착밴드(40)는 신축성이 있는 합성섬유로 만들어진 제2밴드몸체(42)의 일단부의 내면과 타단부의 외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2밴드고정부(44,46)가 서로 결합되어 상완부나 손목관절부를 둘러 감싸는 것으로 상기 제2밴드몸체(42)의 외면 중간부에 있는 제2밴드 수고정부(48)가 상기 가슴벨트(10)의 몸체 암고정부(18)에 부착되어 결합된다. 상기 가슴벨트(1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어깨걸이(20)도 상기 가슴벨트(10)에 양단부가 부착되어 걸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의 체형이나 체격 등에 적절하게 상지 보조기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과 치료효과가 더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상지, 보조기, 교정, 보호

Description

상지 보조기{Auxiliary apparatus for upper limb}
본 고안은 상지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의 상지(upper limb)와 관련한 손상치료나 손상예방을 위한 상지 보조기에 대한 것이다.
상지 보조기는 가동 부분이 없는 형태로 관절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 정적인 보조기의 일종이다. 이와 같은 상지 보조기는 관절이 구축되는 것을 예방하고, 이미 구축이 있는 경우는 교정을 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마비나 위약 또는 경직 등으로 인해 변형의 위험이 있는 관절이나 기타 신체 부위를 원하는 위치로 유치시키는 역할 또는 기능을 도와주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지 보조기는 상지의 수의적인 운동과 무관하게 상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 견관절의 탈구 및 아탈구, 골절, 근육의 파열 등 여러가지 견관절 병변이 있을 때 상지를 외력 등으로 부터 보호한다. 또한 상지의 무게를 지탱하여 팔이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견관절을 기능적 위치에 고정하여 견관절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게 된다.
하지만, 상지 보조기는 하지 보조기와 비교할 때, 일반적으로 그 구조가 훨씬 복잡하고 대상 병변의 병인이나 적용 관절이 다양하여 보조기 처방전에 충분한 평가와 고려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시 말해, 기존의 상지 보조기의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치료의 목적이 되는 부위와의 상관 관계 등을 고려할 때, 기존의 상지 보조기는 실제의 상황에서 사용될 때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
예를 들어 상지 보조기의 구조 중에서 특정한 치료 대상에 대해서는 필요없는 구조가 있어, 사용자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필요에 의해 팔의 일부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지 보조기의 장착상태를 대부분 해제시켜야 하는 불편한 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지 보조기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모두 착탈가능하게 제작하여 사용상황에 적합하게 필요한 요소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지 보조기를 사용하는 사람의 신체 특성에 따라 상지 보조기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상대 위치 변경이 쉽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신축성이 있는 합성섬유로 만들어진 벨트몸체의 외면에는 몸체 암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몸체의 일단부 내면에는 상기 몸체 암고정부에 부착되는 몸체 수고정부가 구비되는 가슴벨트와, 신축성이 있는 합성섬유로 만들어진 제1밴드몸체의 양단부에 있는 제1밴드 수고정부가 상기 가슴벨트의 상기 몸체 암고정부에 부착되고 그 중앙 부분이 착용자의 주관절부를 둘러 감싸는 제1압박부착밴드와, 신축성이 있는 합성섬유로 만들어진 제2밴드몸체의 일단부의 내면과 타단부의 외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2밴드고정부가 서로 결합되어 상완부나 손목관절부를 둘러 감싸는 것으로 상기 제2밴드몸체의 외면 중간부에 있는 제2밴드 수고정부가 상기 가슴벨트의 몸체 암고정부에 부착되어 결합되는 제2압박부착밴드와, 상기 가슴벨트가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단부가 각각 상기 가슴벨트에 결합되어 어깨에 걸 어지는 어깨걸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슴벨트의 몸체 암고정부는 벨트몸체의 외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암벨크로가 사용되고, 상기 몸체 수고정부, 상기 제1밴드 수고정부 및 제2밴드 수고정부는 수벨크로가 사용된다.
상기 벨트몸체는 펼쳤을 때, 대략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되고, 착용자의 몸체의 높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대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압박부착밴드는 상기 제1밴드몸체의 중간부가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된 광폭부가 되어 착용자의 주관절을 둘러싼다.
상기 가슴벨트의 외면에 구비되는 몸체 암고정부는 적어도 상기 제1압박부착밴드의 제1밴드 수고정부, 상기 제2압박부착밴드의 제2밴드 수고정부, 그리고 어깨걸이의 걸이 수고정부가 부착되는 영역보다 넓은 영역에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상지 보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상지 보조기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모두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어, 교정 또는 치료의 대상에 따라 필요한 요소들만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구성요소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의한 상지 보조기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착탈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체격이나 체형 조건에 따라 각 구성요소의 상대 위치를 달리할 수 있 어 사용자에 따라 최적을 상태로 상지 보조기를 사용할 수 있어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상지 보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상지 보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상지 보조기는 가슴벨트(10), 어깨걸이(20), 제1압박부착밴드(30) 및 제2압박부착밴드(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어깨걸이(20)와 제2압박부착밴드(40)는 복수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가슴벨트(10)는 사람의 상체를 둘러싸는 부분으로, 가슴의 아래쪽과 복부를 둘러싸게 된다. 상기 가슴벨트(10)의 골격은 벨트몸체(12)가 형성하는데, 벨트몸체(12)는 펼쳤을 때, 대략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된다. 따라서, 사람의 상체를 둘러싸도록 벨트몸체(12)를 감게 되면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작은 대략 타원통형상으로 된다.
상기 벨트몸체(12)는 신축성있고 부드러운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벨트몸체(12)는 예를 들면, 네오플렌재질의 합성섬유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가슴벨트(10)를 약간 당긴 상태에서 사람의 상체에 감게 되면 가슴벨트(10)가 사람의 상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벨트몸체(12)에는 지지대(14)가 다수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 의 지지대(14)가 사람 몸체의 높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14)는 상기 벨트몸체(12)가 사람 몸체의 높이방향으로 말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벨트몸체(12)가 신축성있고 부드러운 재질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지지대(14)는 또한 가슴벨트(10)를 착용한 사람의 몸체를 지지하여 바로 세워주는 역할도 한다.
상기 벨트몸체(12)는 또한 통기성이 좋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 벨트몸체(12)에는 공기의 유통을 위한 구성을 둔다든지 합성섬유자체가 통기성이 좋은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벨트몸체(12)의 내면 일단부에는 몸체 수고정부(16)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 수고정부(16)는 수 벨크로(velcro)가 사용된다. 상기 수고정부(16)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벨트몸체(12)의 일단부 상단에서 하단까지 소정의 폭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벨트몸체(12)의 외면에는 몸체 암고정부(18)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 암고정부(18)는 암 벨크로가 사용된다. 상기 몸체 암고정부(18)는 상기 벨트몸체(12)의 외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어깨걸이(20), 제1압박부착밴드(30)와 제2압박부착밴드(40)가 원하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몸체 암고정부(18)는 상기 몸체 수고정부(16)와도 결합된다.
상기 몸체 암고정부(18)는 반드시 벨트몸체(12)의 외면 전체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어깨걸이(20), 제1압박부착밴드(30), 제2압박부착밴드(40) 그리고 상기 몸체 수고정부(16)가 부착되어야 할 영역에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몸체 암고정부(18)가 형성되는 영역은 사용하는 사람들의 체격과 체형을 고려하여 어느 정도 넓은 영역에 걸쳐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어깨걸이(20)는 가슴벨트(10)가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어깨걸이(20)는 걸이몸체(22)에 패드부(24)가 부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걸이몸체(22)는 긴 띠모양으로 된 것으로 합성섬유로 만들어진다. 걸이몸체(22)는 쉽게 휘어질 수 있는 합성섬유이면 좋다. 상기 걸이몸체(22)에는 패드부(24)가 부착된다. 상기 패드부(24)는 사람의 어깨에 걸어져 쉽게 미끌어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어느 정도 쿠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패드부(24)는 사람의 어깨에 지나치게 큰 힘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어깨걸이(20)는 그 양단에 구비된 걸이 수고정부(26)에 의해 상기 가슴벨트(10)의 몸체 암고정부(18)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이 수고정부(26)는 수 벨크로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어깨걸이(20)가 가슴벨트(10)에 반드시 걸이 수고정부(26)에 의해 고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어깨걸이(20)는 상기 가슴벨트(10)와 항상 같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일단부는 상기 가슴벨트(10)에 재봉하여 고정시키고, 타단부는 고리를 사용하여 착탈가능하게 걸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압박부착밴드(30)는 사람의 팔꿈치 부분을 걸어서 가슴벨트(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압박부착밴드(30)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길게 만들어지는 것으로, 대략 긴 사각형상으로 된다. 상기 제1압박부착밴드(30)의 골격을 제1밴드몸체(32)가 형성한다. 상기 제1밴드몸체(32)는 신축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지 는데, 예를 들면 네오플렌으로 된 합성섬유가 있다.
상기 제1밴드몸체(32)의 양단에는 각각 제1밴드 수고정부(34)가 구비된다. 상기 제1밴드 수고정부(34)는 상기 가슴벨트(10)의 몸체 암고정부(18)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수고정부(34)는 수 벨크로가 사용된다.
상기 제1밴드몸체(32)의 중앙부분에는 광폭부(36)가 형성된다. 상기 광폭부(36)는 상기 제1밴드몸체(32)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더 넓은 부분으로, 사람의 주관절부, 즉 팔꿈치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압박부착밴드(40)는 팔의 상완부와 손목관절부를 둘러싸서 상기 가슴벨트(10), 즉 사람의 몸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압박부착밴드(40)는 하나 또는 두개가 있을 수 있다. 만약, 상완부와 손목관절부를 모두 둘러싸서 고정해야 한다면 두개를 사용해야 하고, 상완부와 손목관절부중 어느 한쪽만을 둘러싸서 고정해야 한다면 하나만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제2압박부착밴드(40)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직 사각형상으로 된다. 상기 제2압박부착밴드(40)의 골격을 제2밴드몸체(42)가 형성한다. 상기 제2밴드몸체(42)는 신축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진다. 제2밴드몸체(42)를 만드는 재질의 예로서 네오플렌으로 된 합성섬유가 있다. 상기 제2밴드몸체(42)의 일단부 내면과 타단부 외면에는 각각 제2밴드고정부(44,46)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2밴드몸체(42)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2밴드고정부(44)는 그 전체 길이에 비해 폭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제2밴드몸체(42)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2밴드고정부(44)는 수벨크로로 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2밴드몸체(42)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2밴드고정부(46)는 상기 제2밴드몸체(42)에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 대략 제2밴드몸체(42) 외면의 1/3정도의 영역에 걸쳐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는 사람의 상완부 또는 손목관절 부분의 굵기에 따라 상기 제2밴드고정부(44)가 상기 제2밴드고정부(46)에 위치되는 부분이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다. 제2밴드고정부(46)는 암벨크로로 되는 것이 좋다. 이는 제2밴드몸체(42)의 제2밴드고정부(46)가 외부로 드러나 있더라도 사람의 옷 등과 같은 것이 부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2밴드몸체(42)의 외면 중앙에는 소정의 폭으로 제2밴드 수고정부(48)가 구비된다. 상기 제2밴드 수고정부(48)는 수벨크로로 된다. 상기 제2밴드 수고정부(48)는 상기 제2압박부착밴드(40)를 상기 가슴벨트(10)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상지 보조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상지 보조기를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가슴벨트(10)를 착용자의 가슴하부에 둘러 감는다. 즉, 상기 몸체 수고정부(16)가 있는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상기 벨트몸체(12)의 내면을 착용자의 가슴에 밀착시키면서 상기 벨트몸체(12)가 착용자의 가슴을 둘러싸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 암고정부(18)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해야 한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 수고정부(16)를 상기 몸체 암고정부(18)에 고정한다. 상기 몸체 수고정부(16)가 상기 몸체 암고정부(18)에 부착되는 부분은 착용자의 몸 체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가슴벨트(10)의 고정이 완성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14)는 벨트몸체(12)가 말라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착용자의 몸체를 바로 세워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슴벨트(10)의 착용이 끝나고 나면, 상완부와 손목관절부에 상기 제2압박 부착밴드(40)를 고정한다. 상기 제2압박 부착밴드(40)는 상기 제2밴드 수고정부(48)와 제2밴드고정부(46)가 외면으로 드러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제2밴드고정부(44)가 상기 제2밴드고정부(46)에 부착되도록 제2밴드몸체(42)로 상기 상완부와 손목관절부를 둘러싸게 된다.
상기 제2압박 부착밴드(40)의 제2밴드 수고정부(48)를 사용하여 상기 가슴벨트(10)의 몸체 암고정부(18)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2밴드 수고정부(48)가 상기 몸체 암고정부(18)에 고정되는 위치는 착용자의 체격 등의 조건에 따라 달리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압박부착밴드(30)를 사용하여 주관절부를 고정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광폭부(36)로 주관절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1밴드몸체(32) 양단의 제1밴드 수고정부(34)를 상기 가슴벨트(10)의 몸체 암고정부(18)에 부착한다. 물론, 일측 제1밴드 수고정부(34)를 상기 가슴벨트(10)의 몸체 암고정부(18)에 부착하고, 상기 광폭부(36)로 주관절부를 둘러싼 후에 타측 제1밴드 수고정부(34)를 가슴벨트(10)의 몸체 암고정부(18)에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어깨걸이(20)는 상기 가슴벨트(10)의 고정 후에 가슴벨트(10)에 고정할 수 있는데, 교정나 치료가 필요한 팔의 반대쪽 어깨에 걸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상지 보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압박부착밴드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상지 보조기를 착용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상지 보조기를 착용한 상태를 보인 배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가슴벨트 12: 벨트몸체
14: 지지대 16: 몸체 수고정부
18: 몸체 암고정부 20: 어깨걸이
22: 걸이몸체 24: 패드부
26: 걸이 수고정부 30: 제1압박부착밴드
32: 제1밴드몸체 34: 제1밴드 수고정부
36: 광폭부 40: 제2압박부착밴드
42: 제2밴드몸체 44,46: 제2밴드고정부
48: 제2밴드 수고정부

Claims (4)

  1. 신축성이 있는 합성섬유로 만들어진 벨트몸체의 외면에는 몸체 암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몸체의 일단부 내면에는 상기 몸체 암고정부에 부착되는 몸체 수고정부가 구비되는 가슴벨트와,
    신축성이 있는 합성섬유로 만들어진 제1밴드몸체의 양단부에 있는 제1밴드 수고정부가 상기 가슴벨트의 상기 몸체 암고정부에 부착되고 그 중앙 부분이 착용자의 주관절부를 둘러 감싸는 제1압박부착밴드와,
    신축성이 있는 합성섬유로 만들어진 제2밴드몸체의 일단부의 내면과 타단부의 외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2밴드고정부가 서로 결합되어 상완부나 손목관절부를 둘러 감싸는 것으로 상기 제2밴드몸체의 외면 중간부에 있는 제2밴드 수고정부가 상기 가슴벨트의 몸체 암고정부에 부착되어 결합되는 제2압박부착밴드와,
    상기 가슴벨트가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단부가 각각 상기 가슴벨트에 결합되어 어깨에 걸어지는 어깨걸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벨트의 몸체 암고정부는 벨트몸체의 외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암벨크로가 사용되고, 상기 몸체 수고정부, 상기 제1밴드 수고정부 및 제2밴드 수고정부는 수벨크로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보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몸체는 펼쳤을 때, 대략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되고, 착용자의 몸체의 높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대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압박부착밴드는 상기 제1밴드몸체의 중간부가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된 광폭부가 되어 착용자의 주관절을 둘러쌈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보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벨트의 외면에 구비되는 몸체 암고정부는 적어도 상기 제1압박부착밴드의 제1밴드 수고정부, 상기 제2압박부착밴드의 제2밴드 수고정부, 그리고 어깨걸이의 걸이 수고정부가 부착되는 영역보다 넓은 영역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보조기.
KR2020090005670U 2009-05-11 2009-05-11 상지 보조기 KR201000112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670U KR20100011288U (ko) 2009-05-11 2009-05-11 상지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670U KR20100011288U (ko) 2009-05-11 2009-05-11 상지 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288U true KR20100011288U (ko) 2010-11-19

Family

ID=44203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670U KR20100011288U (ko) 2009-05-11 2009-05-11 상지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128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380A1 (ko) * 2018-07-04 2020-01-09 김순기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380A1 (ko) * 2018-07-04 2020-01-09 김순기 신체의 부분압박 밴드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86846B2 (en) Lower extremity isolating leg brace
JP2005192764A (ja) 腰部負担軽減具
US20060293623A1 (en) Orthopedic restraint and method for shoulder remediation
KR20090063296A (ko) 목 보조기
JP6238740B2 (ja) 関節用装具
JP2006305225A (ja) 歩行補助具
US20150121600A1 (en) Knee support
KR20100011288U (ko) 상지 보조기
JP6357490B2 (ja) 膝装具
KR20160130562A (ko) 퇴행성 관절 및 보행 불편자를 위한 보조기
CA3031748C (en) Knee brac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JP2913187B2 (ja) 肩関節装具
KR20210034775A (ko)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
KR20210040748A (ko) X자 벤드형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
JP2006102455A (ja) 支持部材を備えた補装具
KR20190084450A (ko) 팔 근력 보조기구
KR102604037B1 (ko) 착용형 앵커링 장치
KR102255057B1 (ko) 전방십자인대 보조기
CN214630034U (zh) 一种高弹性支撑的护膝
KR101438485B1 (ko) 탄성력을 이용한 관절보조기
KR102485089B1 (ko) 확장형 허리보호대
KR20120130498A (ko) 양쪽으로 사용 가능한 어깨관절 외전 보조기
JP6974288B2 (ja) 補助ウェア
JP6086482B2 (ja) 関節拘縮、固縮または痙縮のシミュレータ
KR970005154Y1 (ko) 다리 교정 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