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243B1 -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9243B1 KR101949243B1 KR1020170121154A KR20170121154A KR101949243B1 KR 101949243 B1 KR101949243 B1 KR 101949243B1 KR 1020170121154 A KR1020170121154 A KR 1020170121154A KR 20170121154 A KR20170121154 A KR 20170121154A KR 101949243 B1 KR101949243 B1 KR 1019492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or
- flank
- fixing lever
- variable shaft
- le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로프의 연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안정적인 엘리베이터 운행을 제공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승강기 차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의 일단을 관통하는 파이프 형태의 가변 샤프트; 상기 가변 샤프트의 말단에 연결되는 제1 고정 레버; 및 상기 제1 고정 레버와 연결되어 조속기 로프의 상태에 따라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2 고정 레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로프의 연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안정적인 엘리베이터 운행을 제공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또는 업무용으로 지어진 각종 건물에는 사람이나 사물 등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 등이 설치되는데, 특히 엘리베이터는 고층 건물에서 승강기 차 내에 탑승한 사람이나 화물 등을 신속하게 해당 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닌 대표적인 종적 교통기관이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속도가 기준치 이상 증가하거나 속도의 변화율이 소정 범위를 넘어 증감되는 경우에 안전과 사고방지를 위해 승강기 차를 제동시키는 비상 멈춤 장치가 엘리베이터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비상 멈춤 장치는, 승강기 차의 이동을 제어하는 조속기 로프와 연결되는 세이프티 플랭크와 연결되고, 승강기 차의 운행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세이프티 플랭크의 회전에 따라 레일을 가압하여 승강기 차를 멈추게 된다.
세이프티 플랭크는 승강기 차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조속기 로프와 연결되는데, 건물 시공시 엘리베이터 공간에 미리 설치되는 조속기 스텐드와, 건물 시공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공간적 오차에 따라 조속기 로프가 일직선을 이루며 수직으로 연결되지 않고 편심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한편, 조속기 스텐드는 건물 시공시 설치되므로 추후 위치 변경이 불가능하고, 건물 시공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공간적 오차는 미리 예상할 수 없기 때문에, 세이프티 플랭크와 연결되는 조속기 로프가 편심된 상태로 엘리베이터를 운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일체형 즉, 하나의 레버로 형성되는 세이프티 플랭크와 연결되는 조속기 로프가 특정 방향으로 편심되면 승강기 차의 이동시 장애물의 간섭으로 승강기 차가 정지되거나 파손되어 정상적인 운행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3995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6599호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로프의 연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안정적인 엘리베이터 운행을 제공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시공시 엘리베이터 공간에 기 설치되는 조속기와 건물 내벽에 의해 엘리베이터와 연결되는 로프가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 중지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레버를 분리형으로 형성하여 레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기존에 고정형으로 설치된 샤프트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샤프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에서 로프를 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승강기 차의 하부에 설치되는 비상 멈춤 장치 및 조속기 로프와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차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의 일단을 관통하는 파이프 형태의 가변 샤프트; 상기 가변 샤프트의 말단에 연결되는 제1 고정 레버; 및 상기 제1 고정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조속기 로프의 상태에 따라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2 고정 레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가변 샤프트와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비상 멈춤 장치와 상기 가변 샤프트를 연결하고, 체결 수단을 통해 상기 가변 샤프트에 고정되는 비상 연결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변 샤프트는 상기 비상 연결 레버를 고정하는 상기 체결 수단의 해체에 따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샤프트 관통홀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레버는 상기 가변 샤프트의 말단에 연결되기 위한 고정 관통홀; 및 상기 제2 고정 레버와 연결되기 위한 제1 체결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레버는 상기 제1 체결 관통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일부 겹치도록 구성되어 요철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제2 체결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레버에 연결되는 상기 조속기 로프가 상기 승강기 차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심된 경우 상기 제2 고정 레버를 조절하고, 상기 제2 고정 레버에 연결되는 상기 조속기 로프가 상기 승강기 차를 기준으로 전단 또는 후단으로 편심된 경우 상기 가변 샤프트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로프의 연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안정적인 엘리베이터 운행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건물 시공시 엘리베이터 공간에 기 설치되는 조속기와 건물 내벽에 의해 엘리베이터와 연결되는 로프가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 중지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레버를 분리형으로 형성하여 레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기존에 고정형으로 설치된 샤프트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샤프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에서 로프를 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를 도시한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가 설치된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가 엘리베이터의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로프의 위치 조절이 불가능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를 도시한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가 설치된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가 엘리베이터의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로프의 위치 조절이 불가능함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를 도시한 사시도와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가 설치된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100)는 승강기 차(10)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11)에 설치되는 비상 멈춤 장치(12)와 연결되고,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조속기 로프(20)와 연결되어 승강기 차(10)의 운행에 이상이 발생하면 조속기 로프(20)로 전달되는 이상 징후에 따라 비상 멈춤 장치(12)가 구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100)는 승강기 차(10)의 하부 프레임(11)의 일단을 관통하는 파이프 형태의 가변 샤프트(110), 가변 샤프트(110)의 말단에 연결되는 제1 고정 레버(120), 및 제1 고정 레버(120)와 연결되어 조속기 로프(20)의 상태에 따라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2 고정 레버(1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100)는 하부 프레임(11)의 내측에서 가변 샤프트(110)와 수직으로 배치되어 비상 멈춤 장치(12)와 가변 샤프트(110)를 연결하고, 체결 수단을 통해 가변 샤프트(110)에 고정되는 비상 연결 레버(140)를 더 포함한다.
가변 샤프트(110)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승강기 차(1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11)의 일단에 형성되는 샤프트 관통홀(11-1)(도 3 참고))에 수용될 수 있다. 가변 샤프트(110)는 샤프트 관통홀(11-1)에 수용되어 하부 프레임(11)에서 M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추후 설명할 비상 연결 레버(14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샤프트 관통홀(11-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1)의 형상에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변 샤프트(110)의 M1 방향 이동시 마찰력 및 스크래치 등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 둘레를 따라 고무,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계속해서, 가변 샤프트(110)는 하부 프레임(11)의 일단 내측 공간에서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 수단을 통해 비상 연결 레버(140)와 연결되고, 체결 수단의 해체 여부 즉, 조임 정도에 따라 비상 연결 레버(140)와의 결속력이 낮아지게 되어 하부 프레임(11)의 샤프트 관통홀(11-1) 상에서 M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가변 샤프트(110)와 비상 연결 레버(140)는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가변 샤프트(110)는 M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조속기 로프(20)의 위치를 조절하여 추후 설명할 도 4b에서와 같이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100)와 조속기 로프(20)가 정 위치에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가변 샤프트(110)는 하부 프레임(11)의 샤프트 관통홀(11-1)에 수용된 후 일단 즉, 하부 프레임(11)의 외측에서 체결 수단을 통해 제1 고정 레버(1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고정 레버(120)는 일단이 체결 수단을 통해 가변 샤프트(110)와 연결되고, 타단이 체결 수단을 통해 제2 고정 레버(130)와 연결된다.
제1 고정 레버(120)는 가변 샤프트(110)와 연결되는 체결 수단의 해체 여부 즉, 조임 정도에 따라 가변 샤프트(110)와의 결속력이 낮아지게 되어 가변 샤프트(110) 상에서 M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레버(120)는 제2 고정 레버(130)와 연결되는 체결 수단의 해체 여부 즉, 조임 정도에 따라 제2 고정 레버(130)와의 결속력이 낮아지게 되어 제2 고정 레버(130)가 M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 레버(120)는 가변 샤프트(110)의 말단에 연결되기 위한 고정 관통홀(122) 및 제2 고정 레버(130)와 연결되기 위한 제1 체결 관통홀(124)을 포함한다.
고정 관통홀(122)은 가변 샤프트(110)의 반경과 동일 또는 보다 크게 형성되어 가변 샤프트(110)를 수용할 수 있고, 제1 체결 관통홀(124)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제2 고정 레버(130)와 연결을 위한 체결 수단이 수용될 수 있다.
제1 고정 레버(1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관통홀(122)이 형성되는 일단과 제1 체결 관통홀(124)이 형성되는 타단이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일부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 레버(130)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 수단을 통해 일단에서 제1 고정 레버(120)와 연결되고, 타단에서 조속기 로프(20)와의 연결을 위한 로프 연결 레버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고정 레버(130)는 일단에서 제1 체결 관통홀(124)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제2 체결 관통홀(132)을 포함하여, 제1 고정 레버(1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체결 관통홀(132)은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호 일부 겹치도록 구성되어 대략 요철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고정 레버(130)는 제1 고정 레버(120)로부터 길이 조절된 후 제1 체결 관통홀(124)과 제2 체결 관통홀(132)에 수용되는 체결 수단에 의해 제1 고정 레버(12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고정 레버(130)는 조속기 로프(20)가 승강기 차(10)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심된 경우 제1 고정 레버(120)로부터 체결이 해체된 후 길이 조절될 수 있으며, M2 방향으로 길이 조절된 후 다시 체결 수단으로 제1 고정 레버(12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승강기 차(10)는 도어가 정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승강기 차(10)의 기준을 마련하는 것으로 한다.
제2 고정 레버(130)는 타단에서 로프 관통홀(134)이 형성되어 조속기 로프(20)와 연결되기 위한 로프 연결 레버와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100)는 종래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이 아닌, 제1 고정 레버(120)와 제2 고정 레버(130)로 분리되어 형성됨에 따라 추후 설명할 도 4a와 같은 조속기 로프(20)의 편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100)는 종래와 같이 고정형으로 형성되는 구성이 아닌 이동 가능한 가변 샤프트(110)를 포함하여 추후 설명할 도 4b와 같은 조속기 로프(20)의 편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비상 연결 레버(140)는 하부 프레임(11)의 내측에서 가변 샤프트(110)와 수직으로 배치되어 가변 샤프트(110)를 고정할 수 있으며, 비상 멈춤 장치(12)와 가변 샤프트(110)를 연결하여 가변 샤프트(110)에 의해 비상 멈춤 장치(12)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비상 연결 레버(140)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 수단을 통해 가변 샤프트(110)에 고정되고, 체결 수단의 조임 정도에 따라 가변 샤프트(110)를 고정하는 고정력이 달라지며, 체결 수단이 해체되어 고정력이 약해지면 가변 샤프트(110)의 이동이 자유로워지도록 할 수 있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1)는 비상 연결 레버(140)가 가변 샤프트(110)와 일체 또는 용접으로 고정되어 M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어 추후 설명할 도 4b와 같은 조속기 로프(20)의 편심 현상이 발생하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100)는 가변 샤프트(110)가 M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추후 설명할 도 4b와 같은 조속기 로프(20)의 편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가 엘리베이터의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로프의 위치 조절이 불가능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1)는 건물 시공시 엘리베이터 공간에 미리 설치되는 조속기 스텐드와, 건물 시공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공간적 오차에 따라 조속기 로프(20)가 일직선을 이루며 수직으로 연결되지 않고 좌측, 우측, 전단 또는 후단으로 편심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1)는 비상 멈춤 장치(12)와 연결되는 고정 레버 및 샤프트의 길이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없어 발생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100)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기존의 일체형 고정 레버를 제1 고정 레버(120)와 제2 고정 레버(130)로 분리하여 설치하고, 기존의 고정형 샤프트를 가변 샤프트(110)로 변경 설치하여 조속기 로프(20)가 일직선을 이루며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a를 참고하면, 엘리베이터 공간에 승강기 차(10)가 설치된 후 조속기 로프(20)가 수직으로 설치되지 않고 승강기 차(10)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심된 경우, 제1 고정 레버(120)로부터 제2 고정 레버(1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조속기 로프(20)를 수직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제2 고정 레버(130)는 제1 고정 레버(120)와의 체결이 해체된 후 M2 방향으로 이동하여 조속기 로프(20)가 휘지 않고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조속기 로프(20)의 위치를 보정함에 따라 승강기 차(10)의 안정적인 운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승강기 차(10)는 도어가 정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승강기 차(10)의 기준을 마련하는 것으로 한다.
도 4b를 참고하면, 엘리베이터 공간에 승강기 차(10)가 설치된 후 조속기 로프(20)가 수직으로 설치되지 않고 승강기 차(10)를 기준으로 전단 또는 후단으로 편심된 경우, 가변 샤프트(110)는 비상 연결 레버(140)로부터 체결이 해체된 후 M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동된 후 다시 체결 수단으로 비상 연결 레버(140)와 연결될 수 있다.
가변 샤프트(110)는 M1 방향으로 이동하여 조속기 로프(20)가 휘지 않고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조속기 로프(20)의 위치를 보정함에 따라 승강기 차(10)의 안정적인 운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승강기 차(10)는 도어가 정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승강기 차(10)의 기준을 마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가변 샤프트(110)의 이동 없이 가변 샤프트(110)와 연결되는 제1 고정 레버(120)를 가변 샤프트(110) 상에서 M1 방향으로 이동하여 조속기 로프(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
110: 가변 샤프트
120: 제1 고정 레버
130: 제2 고정 레버
140: 비상 연결 레버
10: 승강기 차
20: 조속기 로프
30: 조속기
40: 텐션 조절 장치
1: 종래의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
110: 가변 샤프트
120: 제1 고정 레버
130: 제2 고정 레버
140: 비상 연결 레버
10: 승강기 차
20: 조속기 로프
30: 조속기
40: 텐션 조절 장치
1: 종래의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
Claims (6)
- 승강기 차의 하부에 설치되는 비상 멈춤 장치 및 조속기 로프와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차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의 일단을 관통하는 파이프 형태의 가변 샤프트;
상기 가변 샤프트의 말단에 연결되는 제1 고정 레버; 및
상기 제1 고정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조속기 로프의 상태에 따라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2 고정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 레버에 연결되는 상기 조속기 로프가 상기 승강기 차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심된 경우 상기 제2 고정 레버를 조절하고,
상기 제2 고정 레버에 연결되는 상기 조속기 로프가 상기 승강기 차를 기준으로 전단 또는 후단으로 편심된 경우 상기 가변 샤프트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가변 샤프트와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비상 멈춤 장치와 상기 가변 샤프트를 연결하고, 체결 수단을 통해 상기 가변 샤프트에 고정되는 비상 연결 레버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샤프트는
상기 비상 연결 레버를 고정하는 상기 체결 수단의 해체에 따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샤프트 관통홀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레버는
상기 가변 샤프트의 말단에 연결되기 위한 고정 관통홀; 및
상기 제2 고정 레버와 연결되기 위한 제1 체결 관통홀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레버는
상기 제1 체결 관통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일부 겹치도록 구성되어 요철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제2 체결 관통홀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1154A KR101949243B1 (ko) | 2017-09-20 | 2017-09-20 |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1154A KR101949243B1 (ko) | 2017-09-20 | 2017-09-20 |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49243B1 true KR101949243B1 (ko) | 2019-02-19 |
Family
ID=6552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1154A KR101949243B1 (ko) | 2017-09-20 | 2017-09-20 |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9243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18816A (ko) * | 2021-07-30 | 2023-02-07 |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 엘리베이터 장치 |
KR20230141464A (ko) | 2022-03-30 | 2023-10-10 | 장익환 |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 |
KR102694414B1 (ko) * | 2024-03-13 | 2024-08-13 | (주)광덕산업 |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 연결 구조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41302U (ja) * | 1993-12-27 | 1995-07-21 | 株式会社サン・フロンティア・テクノロジー | ガス容器の誤装填防止装置 |
JP2004043140A (ja) * | 2002-07-12 | 2004-02-12 |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
KR20050026857A (ko) * | 2003-09-10 | 2005-03-16 | 인벤티오 아게 | 안전제동장치를 작동시키는 작동 기구를 구비한 승강기설비, 안전제동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풀로드 및안전제동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 |
KR200386599Y1 (ko) | 2005-01-05 | 2005-06-16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정지장치 |
JP2012162374A (ja) * | 2011-02-09 | 2012-08-30 | Hitachi Ltd | 非常止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装置 |
WO2013035175A1 (ja) * | 2011-09-07 | 2013-03-14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の取付方法 |
KR20170003995A (ko) | 2014-05-14 | 2017-01-10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엘리베이터 장치 |
-
2017
- 2017-09-20 KR KR1020170121154A patent/KR1019492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41302U (ja) * | 1993-12-27 | 1995-07-21 | 株式会社サン・フロンティア・テクノロジー | ガス容器の誤装填防止装置 |
JP2004043140A (ja) * | 2002-07-12 | 2004-02-12 |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
KR20050026857A (ko) * | 2003-09-10 | 2005-03-16 | 인벤티오 아게 | 안전제동장치를 작동시키는 작동 기구를 구비한 승강기설비, 안전제동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풀로드 및안전제동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 |
KR200386599Y1 (ko) | 2005-01-05 | 2005-06-16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정지장치 |
JP2012162374A (ja) * | 2011-02-09 | 2012-08-30 | Hitachi Ltd | 非常止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装置 |
WO2013035175A1 (ja) * | 2011-09-07 | 2013-03-14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の取付方法 |
KR20170003995A (ko) | 2014-05-14 | 2017-01-10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엘리베이터 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18816A (ko) * | 2021-07-30 | 2023-02-07 |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 엘리베이터 장치 |
KR102563877B1 (ko) * | 2021-07-30 | 2023-08-10 |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 엘리베이터 장치 |
KR20230141464A (ko) | 2022-03-30 | 2023-10-10 | 장익환 |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 |
KR102694414B1 (ko) * | 2024-03-13 | 2024-08-13 | (주)광덕산업 |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 연결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49243B1 (ko) |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 | |
US20130098711A1 (en) | Integrated elevator safety system | |
CN114616202B (zh) | 制动装置、其在电梯设备中的用途及方法以及电梯设备 | |
US9365235B2 (en) | Steering column assembly | |
AU2014286041A1 (en) | Guide rail alignment system for elevators | |
EP3122681B1 (en) | Lateral damping and intermediate support for escalators and moving walks in seismic events | |
US5947232A (en) | Swing arm to prevent sway of elevator ropes | |
JP2008013347A (ja) | 工事用設備における免震壁つなぎ装置 | |
HUE032413T2 (hu) | Hajtómû felvonóhoz | |
CN104743432A (zh) | 一体式安全驱动装置 | |
EP3103753B1 (en) | Combined guide rail for an elevator system | |
JP2009220893A (ja) | エレベータのかご枠 | |
EP0372576A1 (en) | A support structure for a linear motor drive type of elevator | |
EP2162377A1 (en) | Elevator shaft | |
CN109720953B (zh) | 电梯及其曳引绳张力检测装置 | |
WO2016027298A1 (ja) |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振れ止め装置 | |
CN102574486B (zh) | 用于方便上车的上车辅助装置 | |
KR102694414B1 (ko) |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 연결 구조 | |
JPS6117749B2 (ko) | ||
US20240294360A1 (en) | Apparatus for elevator drive assembly | |
JP2007070120A (ja) | エレベーター | |
JP6169425B2 (ja) | 乗客コンベア | |
CN114991475B (zh) | 一种用于室内大跨度临时设施的架设装置及架设方法 | |
CN213170998U (zh) | 一种双柱防坠安全装置 | |
EP3345854B1 (en) | Damp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