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103B1 -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방법 및 3d 동적 활성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방법 및 3d 동적 활성화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9103B1 KR101949103B1 KR1020180120564A KR20180120564A KR101949103B1 KR 101949103 B1 KR101949103 B1 KR 101949103B1 KR 1020180120564 A KR1020180120564 A KR 1020180120564A KR 20180120564 A KR20180120564 A KR 20180120564A KR 101949103 B1 KR101949103 B1 KR 1019491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modeling
- offline
- paper
- recogni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994 act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8 unit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51 e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02 image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4—Texture mapp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50—Lighting effects
- G06T15/503—Blending, e.g. for anti-ali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방법에 포함되는 용지 마련 단계에서 마련되는 용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방법에 포함되는 3D 모델링 단계에서 3D 모델링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방법에 포함되는 3D 모델링 단계의 3D 모델링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이미지 특징점을 추출하는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방법에 포함되는 3D 모델링 단계의 3D 모델링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3D 모델링에 용지 이미지(2D 이미지)를 맵핑하는 맵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방법에 포함되는 3D 모델링 단계의 3D 모델링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UV좌표를 기준으로 텍스쳐 맵핑하여 표출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방법의 오프라인 디스플레이 단계의 엣지블랜딩(edge blending) 과정에서 렌더 이미지를 왜곡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방법의 오프라인 디스플레이 단계의 엣지블랜딩(edge blending) 과정에서 겹쳐지는 면을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방법에 포함되는 인터렉션 제어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나타내는 도면이다.
11: 스케치 테이블
110: 웹캠
120: 디스플레이 장치
130: 프로젝터
131: 스크린
141: 뎁스 센서
S100: 용지 마련 단계
S200: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
S300: 3D 모델링 단계
S310: 이미지 입력 단계
S320: 이미지 추출 단계
S330: 이미지 비교 단계
S340: 3D 모델링 생성 단계
S350: 맵핑 단계
S400: 채색 반영 단계
S500: 오프라인 디스플레이 단계
S600: 인터렉션 제어 단계
S610: 이벤트 검출 단계
S620: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단계
Claims (13)
- 3D 모델링될 외곽선 이미지와 인식용 마커가 인쇄된 이미지를 갖는 용지를 마련하는 용지 마련 단계;
상기 용지의 이미지에 상응하는 3D 모델링 데이터 및 채색되는 색상에 대한 색상 데이터를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
상기 용지의 마커를 인식하여 인식된 이미지에 상응하는 3D 모델링을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읽어들여 디스플레이장치의 가상 환경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3D 모델링 단계;
상기 용지에 채색이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색상을 인식하여 상기 색상 데이터로부터 색상을 읽어들여 가상 환경의 3D 모델링에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채색 반영 단계;
상기 채색이 반영된 3D 모델링을 오프라인의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되, 3D 모델링이 동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동적 프로그램에 연계되어 3D 모델링이 연동 애니메이션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오프라인 디스플레이 단계; 및
상기 오프라인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3D 모델링에 대한 터치 여부를 인식하고,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인터렉션 제어되도록 하는 인터렉션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렉션 제어 단계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깊이 데이터를 추출하는 뎁스 센서를 통해 스크린에서 인식된 물체의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이벤트를 검출하는 이벤트 검출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내 이미지를 대상으로 입력 이벤트를 전달받아 정합하는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검출 단계는 상기 뎁스 센서에서 감지되는 깊이 정보 중 실제 입력 이벤트로 처리되도록 설정된 인식 깊이를 기준으로 하고, 뎁스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깊이 정보의 로 데이터(Raw data)를 가공하여, 인식률을 높이도록 인식 노이즈를 필터링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캘리브레이션 단계는, 프로젝터를 통해 오프라인 디스플레이부인 스크린으로 영사되는 이미지 영역과 입력 영역을 평면 좌표를 기준으로 정합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마련 단계에서 마련되는 용지는 배경이 되는 배경 이미지 전체나 일부분이 인식 마커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에서 구축되는 데이터베이스에는 이미지를 기준으로 3D 모델링 정보와 텍스쳐(texture), UV좌표 및 연동 애니메이션의 정보가 저장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모델링 단계는 웹캠을 통해 용지의 이미지를 읽어들이는 이미지 입력 단계와, 읽어들인 이미지의 특징점을 추출하거나, 용지 이미지에 부여된 인식 마커를 인식하는 이미지 추출 단계와, 상기 이미지 추출 단계에서 인식된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는 이미지 비교 단계, 및 상기 이미지 비교 단계에서 비교 판단되어 선택된 이미지에 상응하는 데이터베이스의 3D 모델링을 생성하는 3D 모델링 생성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3D 모델링 생성 단계는, 상기 이미지 비교 단계를 거쳐 결정된 모델링을 가상 환경 내에 임의적으로 설정한 위치에 생성하고, 생성된 3D 모델링은 연동 애니메이션의 동작 알고리즘에 연동시켜 가상 환경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방법.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3D 모델링 단계는 인식된 이미지에 대하여 결정된 3D 모델링에 그 용지 이미지를 맵핑(mapping)하는 맵핑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맵핑 단계는 웹캠을 통해 입력받은 사다리꼴 모양의 이미지에 왜곡을 주어 맵핑에 요구되는 텍스쳐의 규격을 설정해주고, 이미지별로 설정된 UV좌표를 기준으로 텍스쳐화 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맵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디스플레이 단계는 프로젝터를 통해 전송되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이루어지며,
2대 이상의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각 프로젝터가 영사하는 이미지가 서로 맞닿거나 겹쳐지는 면을 처리하기 위한 엣지블랜딩(edge blending)이 실행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검출 단계는,
상기 뎁스 센서가 물체를 최초 인식 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물체를 제거하기 위한 인식값을 조절하여 그 인식값 범위 안의 소형 물체는 인식하더라도 무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 상기 뎁스 센서를 통해 인식된 이미지를 기준으로 실제 콘텐츠 상에서의 터치 이벤트를 전달할 수 있는 영역을 조절하기 위한 기능값을 설정하여 콘텐츠 상에서의 터치 영역을 인위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 및 인식된 이미지 중 손을 제외하고 다른 물체의 이미지를 제거하기 위한 기능값을 조절하여 인식되는 이미지 중 신체나 다른 물체를 제거하고 손만 인식되도록 이루어지는 것 중 적어도 하나가 실행됨으로써 인식률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방법.
- 외곽선 이미지와 인식용 마커가 인쇄된 2D 이미지를 갖는 오프라인 이미지 용지;
상기 용지의 2D 이미지에 상응하는 3D 모델링 데이터 및 채색될 색상에 대한 색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용지가 놓이는 스케치 테이블에 구비되어 용지의 2D 이미지 및 채색되는 색상을 읽어들이는 웹캠;
상기 웹캠에서 읽어들인 용지의 마커를 인식하여 인식된 이미지에 상응하는 3D 모델링을 3D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읽어들여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일체로 구성되고, 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3D 모델링을 애니메이션으로 플레이되도록 하는 3D 모델링 애니메이션 구동부;
상기 3D 모델링 애니메이션 구동부로와 연결되어 오프라인의 스크린에 영사시키는 프로젝터; 및
상기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3D 모델링에 대한 터치 여부를 인식하고,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인터렉션 제어되도록 하는 인터렉션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2D 이미지를 기준으로 3D 모델링 정보와 텍스쳐(texture), UV좌표 및 연동 애니메이션의 정보가 저장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웹캠을 통해 읽어들인 이미지의 특징점을 추출하거나, 용지 이미지에 부여된 인식 마커를 인식하는 이미지 추출부와, 상기 이미지 추출부에서 인식된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과 비교하는 이미지 비교부, 및 상기 이미지 비교부에서 비교 판단하여 선택된 이미지에 상응하는 데이터베이스의 3D 모델링을 생성하는 3D 모델링 생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3D 모델링 생성부는 상기 웹캠을 통해 입력받은 사다리꼴 모양의 이미지에 왜곡을 주어 맵핑에 요구되는 텍스쳐의 규격을 설정 해 주고, 이미지별로 설정된 UV좌표를 기준으로 텍스쳐화 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맵핑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프로젝터가 2대 이상 사용되는 경우, 각 프로젝터가 영사하는 이미지가 서로 맞닿거나 겹쳐지는 면을 엣지블랜딩(edge blending) 처리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인터렉션 제어 모듈은, 적외선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대한 깊이 데이터를 추출하는 뎁스 센서와, 상기 뎁스 센서를 통해 추출된 물체의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이벤트를 검출하는 이벤트 검출부, 및 상기 이벤트 검출부로부터 스크린의 영상 내 이미지를 대상으로 입력 이벤트를 전달받아 정합하는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검출부는 뎁스 센서에서 감지되는 깊이 정보 중 실제 입력 이벤트로 처리할 인식 깊이에 대하여 설정된 기준을 벗어난 이벤트는 무시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뎁스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깊이 정보의 로 데이터(Raw data)를 가공하여 인식 노이즈를 필터링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이미지 용지는 배경이 되는 배경 이미지 전체나 일부분이 인식 마커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검출부는
상기 뎁스 센서가 물체를 최초 인식 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물체를 제거하기 위한 인식값을 조절하여 그 인식값 범위 안의 소형 물체는 인식하더라도 무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 상기 뎁스 센서를 통해 인식된 이미지를 기준으로 실제 콘텐츠 상에서의 터치 이벤트를 전달할 수 있는 영역을 조절하기 위한 기능값을 설정하여 콘텐츠 상에서의 터치 영역을 인위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 및 인식된 이미지 중 손을 제외하고 다른 물체의 이미지를 제거하기 위한 기능값을 조절하여 인식되는 이미지 중 신체나 다른 물체를 제거하고 손만 인식되도록 이루어지는 것 중 적어도 하나가 실행됨으로써 인식률을 증대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0564A KR101949103B1 (ko) | 2018-10-10 | 2018-10-10 |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방법 및 3d 동적 활성화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0564A KR101949103B1 (ko) | 2018-10-10 | 2018-10-10 |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방법 및 3d 동적 활성화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49103B1 true KR101949103B1 (ko) | 2019-05-21 |
Family
ID=66676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0564A Active KR101949103B1 (ko) | 2018-10-10 | 2018-10-10 |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방법 및 3d 동적 활성화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910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328075A (zh) * | 2020-11-03 | 2021-02-05 | 上海镱可思多媒体科技有限公司 | 三维空间绘画方法、系统、终端以及介质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44783A (ko) * | 2010-10-28 | 2012-05-08 | 주식회사 세바비드코어 |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및 그 터치 스크린 장치의 터치 위치 검출방법 |
US20130181972A1 (en) * | 2012-01-16 | 2013-07-18 | Autodesk, Inc. | Three dimensional contriver tool for modeling with multi-touch devices |
KR20150011559A (ko) * | 2013-07-23 | 2015-02-02 | (주)셀빅 | 단일의 모션센서를 이용한 다중 플레이어 게임 제공 방법 |
KR20160013451A (ko) | 2014-07-25 | 2016-02-04 | 한상선 |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접목한 제품현시시스템 |
KR20160068186A (ko) * | 2014-12-05 | 2016-06-15 | 주식회사 서머너즈엔터테인먼트 |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
KR20160084583A (ko) * | 2015-01-06 | 2016-07-14 | 주식회사 인디고엔터테인먼트 | 인터랙티브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및 방법 |
KR101682626B1 (ko) | 2016-06-20 | 2016-12-06 | (주)라온스퀘어 | 인터랙티브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KR20170048863A (ko) | 2015-10-27 | 2017-05-10 | (주)쓰리알컨텐츠 | 증강현실을 통한 스토리북 애니메이션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70082907A (ko) * | 2016-01-07 | 2017-07-1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프로젝션 기반 증강현실 제공장치 및 그 방법 |
KR101853006B1 (ko) * | 2016-12-19 | 2018-04-30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깊이영상에서 코 검출을 이용한 얼굴 인식 |
KR20180088886A (ko) | 2015-12-02 | 2018-08-07 | 데바 엔터테인먼트 리미티드 | 증강 현실 환경을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
-
2018
- 2018-10-10 KR KR1020180120564A patent/KR10194910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44783A (ko) * | 2010-10-28 | 2012-05-08 | 주식회사 세바비드코어 |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및 그 터치 스크린 장치의 터치 위치 검출방법 |
US20130181972A1 (en) * | 2012-01-16 | 2013-07-18 | Autodesk, Inc. | Three dimensional contriver tool for modeling with multi-touch devices |
KR20150011559A (ko) * | 2013-07-23 | 2015-02-02 | (주)셀빅 | 단일의 모션센서를 이용한 다중 플레이어 게임 제공 방법 |
KR20160013451A (ko) | 2014-07-25 | 2016-02-04 | 한상선 |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접목한 제품현시시스템 |
KR20160068186A (ko) * | 2014-12-05 | 2016-06-15 | 주식회사 서머너즈엔터테인먼트 |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
KR20160084583A (ko) * | 2015-01-06 | 2016-07-14 | 주식회사 인디고엔터테인먼트 | 인터랙티브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및 방법 |
KR20170048863A (ko) | 2015-10-27 | 2017-05-10 | (주)쓰리알컨텐츠 | 증강현실을 통한 스토리북 애니메이션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80088886A (ko) | 2015-12-02 | 2018-08-07 | 데바 엔터테인먼트 리미티드 | 증강 현실 환경을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
KR20170082907A (ko) * | 2016-01-07 | 2017-07-1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프로젝션 기반 증강현실 제공장치 및 그 방법 |
KR101682626B1 (ko) | 2016-06-20 | 2016-12-06 | (주)라온스퀘어 | 인터랙티브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KR101853006B1 (ko) * | 2016-12-19 | 2018-04-30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깊이영상에서 코 검출을 이용한 얼굴 인식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328075A (zh) * | 2020-11-03 | 2021-02-05 | 上海镱可思多媒体科技有限公司 | 三维空间绘画方法、系统、终端以及介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19104B2 (en) | Interactive input system having a 3D input space | |
US10192364B2 (en) | Augmented reality product preview | |
US9652895B2 (en) | Augmented reality image transformation | |
KR101423536B1 (ko) | 인쇄매체 기반 혼합현실 구현 장치 및 방법 | |
EP2410401B1 (en) | Method for selection of an object in a virtual environment | |
TWI654539B (zh) | 虛擬實境交互方法、裝置與系統 | |
CN101031866B (zh) | 交互式系统和方法 | |
US20150123966A1 (en) | Interactive augmented virtual reality and perceptual computing platform | |
WO2013028279A1 (en) | Use of association of an object detected in an image to obtain information to display to a user | |
US20120249762A1 (en) | Interactive input system having a 3d input space | |
US20210081104A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CN110308832A (zh) | 显示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和存储介质 | |
KR101949103B1 (ko) |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방법 및 3d 동적 활성화 시스템 | |
WO2016031254A1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101743888B1 (ko) | 터치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카메라의 이동경로와 이동시간의 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단말장치 및 컴퓨터 구현 방법 | |
US20240185546A1 (en) | Interactive reality computing experience using multi-layer projections to create an illusion of depth | |
CN109461203B (zh) | 手势三维图像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 |
US20230334791A1 (en) | Interactive reality computing experience using multi-layer projections to create an illusion of depth | |
US20230334790A1 (en) | Interactive reality computing experience using optical lenticular multi-perspective simulation | |
KR101986210B1 (ko) | 스마트종이를 이용한 pdf 문서 기반의 3d객체 제어 및 멀티미디어 구현을 위한 시스템 | |
KR20110136040A (ko) | 사용자 시선 기반 증강현실 기능이 구비된 단말 | |
KR20140078083A (ko) | 증강 현실이 구현된 만화책 | |
KR102412992B1 (ko) | 레이저 센서를 이용한 인터렉티브 전시 영상 구현 시스템 | |
US20230082420A1 (en) | Display of digital media content on physical surface | |
Letellier et al. | Providing adittional content to print media using augmented real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0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09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