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4783A -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및 그 터치 스크린 장치의 터치 위치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및 그 터치 스크린 장치의 터치 위치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4783A
KR20120044783A KR1020100106273A KR20100106273A KR20120044783A KR 20120044783 A KR20120044783 A KR 20120044783A KR 1020100106273 A KR1020100106273 A KR 1020100106273A KR 20100106273 A KR20100106273 A KR 20100106273A KR 20120044783 A KR20120044783 A KR 20120044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screen area
frame
image
specific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바비드코어
김성민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바비드코어, 김성민,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바비드코어
Priority to KR1020100106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4783A/ko
Publication of KR20120044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7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및 그 터치 스크린 장치의 터치 위치 검출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 상기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센싱 하여 획득 영상을 발생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발생된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설정을 위한 영상의 밝기와 배경과의 밝기 차이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터치 스크린 영역을 N*M(N, M≥인 정수)영역으로 분할하고, 특정 시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과 특정 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의 차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움직임 여부 및 정지 여부를 판단해서, 물체의 움직임이 발생하여 정지한 경우, 터치 스크린 영역을 따라서 움직임이 정지된 물체가 접한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로부터 거리가 가장 먼 위치를 움직임 물체의 최종 터치 위치로 판단하는 이미지 센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및 그 터치 스크린 장치의 터치 위치 검출방법{TOUCH SCREEN AND TOUCH POSITION DETECTION METHOD THEREOF USING PROJECTOR}
본 발명은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및 그 터치 스크린 장치의 터치 위치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을 형성하고 형성된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휴대폰, PDA, 스마트폰 등의 개인 휴대기기가 급증하고 있으며, 또한 MP3, PMP, 카메라 등의 각종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다기능 추세에 맞추어, 최근에는 소위 피코 프로젝터로 알려진 초소형의 프로젝터 기능을 탑재한 휴대기기가 선보여지고 있다. 피코 프로젝터는 단순히 영상을 스크린상에 출력하거나 스크린에 영상을 출력하고 영상이 출력되는 스크린상에서 손가락 또는 터치 스틱의 터치를 이미지 센서를 통해 촬영해서 손가락 또는 터치 스틱의 위치를 분석하여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터치 스크린 기능까지 제공하고 있다.
이 피코 프로젝터에서 터치 스크린의 기능을 수행을 위해서는 터치 위치의 파악이 정확히 이루어져야 한다. 터치 위치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손가락 또는 터치 스틱의 끝에 소정 색을 가진 마커(marker), 예를 들어 빨간 색의 마커를 착용 또는 부착하고, 이미지 센서가 스크린상에서 마커의 색깔을 추적하여 손가락 또는 터치 스틱에 의한 터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마커의 색깔을 추적하여 손가락 또는 터치 스틱에 의한 터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에서는, 스크린상에서 출력되고 있는 영상 중에 마커와 동일한 색깔이 있는 경우 마커와 동일한 색깔이 있는 영역이 터치 위치로 인식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을 형성하고 형성된 터치 스크린상에서 물체의 터치 위치를 마커 없이 정확히 파악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및 그 터치 스크린 장치의 터치 위치 검출방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 상기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센싱 하여 획득 영상을 발생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발생된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설정을 위한 영상의 밝기와 배경과의 밝기 차이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터치 스크린 영역을 N*M(N, M≥인 정수)영역으로 분할하고, 특정 시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과 특정 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의 차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움직임 여부 및 정지 여부를 판단해서, 물체의 움직임이 발생하여 정지한 경우, 터치 스크린 영역을 따라서 움직임이 정지된 물체가 접한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로부터 거리가 가장 먼 위치를 움직임 물체의 최종 터치 위치로 판단하는, 이미지 센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 제어부는, 이미지 센서에서 수신된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설정을 위한 영상의 밝기와 배경의 밝기 차이가 나는 좌표들을 구하고, 구해진 좌표들 중 가장 좌측의 X좌표, 가장 우측의 X좌표, 가장 위의 Y좌표, 가장 아래의 Y좌표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 제어부는, 특정시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과 특정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간의 차이 값이, 설정된 움직임 설정 값을 넘어선 경우,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 제어부는,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특정시간에서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및 특정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간 차의 크기가, 설정된 잡음 제거 값보다 작은 스크린 영역의 모든 화소 값을 '0'으로 하고 설정된 잡음 제거 값보다 큰 스크린 영역의 모든 화소 값을 설정된 화소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 제어부는, 특정시간에서의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및 특정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간 차의 크기가 설정된 시간이상인 경우 스크린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정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의 터치 위치 검출방법은, 이미지 센서에서 발생된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설정을 위한 영상의 밝기와 배경과의 밝기 차이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터치 스크린 영역을 N*M(N, M≥인 정수)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특정 시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과 특정 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의 차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움직임 여부 및 정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물체의 움직임이 발생하여 정지한 경우, 터치 스크린 영역을 따라서 움직임이 정지된 물체가 접한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로부터 거리가 가장 먼 위치를 움직임 물체의 최종 터치 위치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발생된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설정을 위한 영상의 밝기와 배경과의 밝기 차이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이미지 센서에서 수신된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설정을 위한 영상의 밝기와 배경의 밝기 차이가 나는 좌표들을 구하는 단계; 와 상기 구해진 좌표들 중 가장 좌측의 X좌표, 가장 우측의 X좌표, 가장 위의 Y좌표, 가장 아래의 Y좌표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시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과 특정 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의 차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의 물체의 움직임 여부 및 정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특정시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과 특정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간의 차이 값이, 설정된 움직임 설정 값을 넘어선 경우,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시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과 특정 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의 차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의 물체의 움직임 여부 및 정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특정시간에서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및 특정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간 차의 크기가, 설정된 잡음 제거 값보다 작은 스크린 영역의 모든 화소 값을 '0'으로 하고 설정된 잡음 제거 값보다 큰 스크린 영역의 모든 화소 값을 설정된 화소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시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과 특정 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의 차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의 물체의 움직임 여부 및 정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특정시간에서의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및 특정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간 차의 크기가 설정된 시간이상인 경우 스크린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정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및 그 터치 스크린 장치의 터치 위치 검출방법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에서 발생된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설정을 위한 영상의 밝기와 배경과의 밝기 차이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을 설정하고, 특정 시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과 특정 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의 차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움직임 여부 및 정지 여부를 판단해서, 물체의 움직임이 발생하여 정지한 경우, 터치 스크린 영역을 따라서 움직임이 정지된 물체가 접한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로부터 거리가 가장 먼 위치를 움직임 물체의 최종 터치 위치로 판단함으로써, 마커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판단하는 기술의 문제점인 스크린상에서 출력되고 있는 영상 중에 마커와 동일한 색깔이 있는 경우 마커와 동일한 색깔이 있는 영역이 터치 위치로 인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영역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 움직임이 정지된 물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 움직임이 정지된 물체에서 최종 터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의 터치 위치 검출방법에 대한 플로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장치는, 영상 입력부(10), 제어부(14), 메모리(15), 광엔진 제어부(16), 광엔진(17), 이미지 센서 제어부(18) 및 이미지 센서(19)를 포함한다.
영상 입력부(10)는 외부 저장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 SD/MMC 카드 또는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영상파일을 수신하는 매체 인터페이스(11),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 인터페이스(12) 및 영상입력 인터페이스(12)에 입력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비디오 입력처리부(13)를 포함한다. 이때, 매체 인터페이스(11)는 USB 메모리로부터 영상파일을 수신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USB), SD/MMC 카드로부터 영상파일을 수신하기 위한 SD/MMC 인터페이스(SD/MMC),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영상파일을 수신하기 위한 WiFi 인터페이스(WiF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엔진(17)은 패널, 광원 및 렌즈를 이용하여 구성되며, 영상파일 또는 영상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스크린에 출력한다.
광엔진 제어부(16)는 광엔진(17)을 제어하여 영상파일 또는 영상신호의 광신호로의 출력과정을 처리한다.
이미지 센서(19)는 스크린상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센싱 하여 얻어진 획득 영상을 이미지 센서 제어부(18)에 전송하며, CMOS 이미지 센서 또는 CCD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 제어부(18)는 이미지 센서(19)를 제어하며, 이미지 센서(19)에서 수신된 획득 영상 중 광엔진(17)에서 터치 스크린 영역의 설정을 위해 출력된 영상의 밝기와 배경과의 밝기 차이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을 설정한다. 이는 광엔진(17)에서 프로젝션 되는 영상의 영역보다 배경이 어둡다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즉, 이미지 센서 제어부(18)는 이미지 센서(19)에서 수신된 획득 영상 중 광엔진(17)에서 터치 스크린 영역의 설정을 위해 출력된 영상의 밝기와 배경의 밝기 차이가 나는 좌표들을 구하고, 구해진 좌표들 중 가장 좌측의 X좌표(left), 가장 우측의 X좌표(right), 가장 위의 Y좌표(up), 가장 아래의 Y좌표(down)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을 추출한다. 이에 대한 예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영역의 설정을 위해 출력된 영상의 밝기와 배경의 밝기 차이로 형성된 부분이 외곽선(20) 형태로 나타나 있고, 이 외곽선(20)에서 가장 좌측의 X좌표인 left와 가장 위의 Y좌표인 up으로 구성된 좌표점과, 가장 우측의 X좌표인 right와 가장 아래의 Y좌표인 bottom으로 구성된 좌표점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이 사각형으로 추출됨을 알 수 있다.
이미지 센서 제어부(18)는 추출된 터치 스크린 영역을 N*M(N, M≥인 정수)영역으로 분할한다. 이로써 형성된 터치 스크린에 터치 되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이미지 센서 제어부(18)는 특정 시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과 특정 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의 차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물체, 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터치 스틱의 움직임의 여부 및 정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이미지 센서 제어부(18)는 특정시간 t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f(t)와 특정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Δt) 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f(t-Δt)의 차이 값이, 설정된 움직임 설정 값을 넘어선 경우,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이미지 센서 제어부(18)는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특정시간에서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및 특정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간 차의 크기가, 설정된 잡음 제거 값보다 작은 스크린 영역의 모든 화소 값을 '0'으로 하고 설정된 잡음 제거 값보다 큰 스크린 영역의 모든 화소 값을 설정된 화소 값, 예를 들어 '255'로 한다. 이를 통해 스크린 영역에서 움직이는 물체가 주변과 또렷하게 구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제어부(18)는 특정시간에서의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및 특정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간 차의 크기가 설정된 시간이상인 경우 스크린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정지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 움직임이 정지된 물체를 예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영역(30)에서 움직임이 정지된 물체(31)가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에는 움직임이 정지된 물체가 1개만 나타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1개 이상의 물체도 나타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제어부(18)는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발생하여 정지한 경우, 터치 스크린 영역을 따라서 움직임이 정지된 물체가 접한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로부터 거리가 가장 먼 위치를 움직임 물체의 최종 터치 위치로 판단한다. 이에 대한 예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 제어부(18)는 터치 스크린 영역(30)을 따라 움직임의 정지된 물체(31)가 접한 위치인 경계점(boundary)을 확인하고, 확인된 경계점으로부터 가정 먼 위치의 좌표(34)를 움직임 물체의 최종 터치 위치로 판단한다.
제어부(14)는 영상 입력부(10)에서 입력되는 영상파일 또는 영상신호를 광엔진 제어부(16)에 전송하여 스크린에 출력되는 과정을 제어한다.
메모리(15)는 제어부(14)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장치의 터치 위치 검출방법에 대한 플로차트이다.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는 이미지 센서에서 수신된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설정을 위한 영상의 밝기와 배경과의 밝기 차이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을 설정한다(S1). 이는 프로젝터에서 프로젝션 되는 영상의 영역보다 배경이 어둡다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즉, 이미지 센서에서 수신된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설정을 위한 영상의 밝기와 배경의 밝기 차이가 나는 좌표들을 구하고, 구해진 좌표들 중 가장 좌측의 X좌표(left), 가장 우측의 X좌표(right), 가장 위의 Y좌표(up), 가장 아래의 Y좌표(down)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을 추출한다.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는 추출된 터치 스크린 영역을 N*M(N, M≥인 정수)영역으로 분할한다(S2). 이로써 형성된 터치 스크린에 터치 되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는 특정 시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과 특정 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의 차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움직임의 여부 및 정지 여부를 판단한다(S3). 즉,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는 특정시간 t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f(t)와 특정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Δt) 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f(t-Δt)의 차이 값이, 설정된 움직임 설정 값을 넘어선 경우,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는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특정시간에서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및 특정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간 차의 크기가, 설정된 잡음 제거 값보다 작은 스크린 영역의 모든 화소 값을 '0'으로 하고 설정된 잡음 제거 값보다 큰 스크린 영역의 모든 화소 값을 설정된 화소 값, 예를 들어 '255'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크린 영역에서 움직이는 물체가 주변과 또렷하게 구별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는 특정시간에서의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및 특정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간 차의 크기가 설정된 시간이상인 경우 스크린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정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제어부(18)는 스크린 영역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발생하여 정지한 경우, 터치 스크린 영역을 따라서 움직임이 정지된 물체가 접한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로부터 거리가 가장 먼 위치를 움직임 물체의 최종 터치 위치로 판단한다(S4).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
    상기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센싱 하여 획득 영상을 발생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발생된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설정을 위한 영상의 밝기와 배경과의 밝기 차이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터치 스크린 영역을 N*M(N, M≥인 정수)영역으로 분할하고, 특정 시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과 특정 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의 차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움직임 여부 및 정지 여부를 판단해서, 물체의 움직임이 발생하여 정지한 경우, 터치 스크린 영역을 따라서 움직임이 정지된 물체가 접한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로부터 거리가 가장 먼 위치를 움직임 물체의 최종 터치 위치로 판단하는, 이미지 센서 제어부를 포함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 제어부는,
    이미지 센서에서 수신된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설정을 위한 영상의 밝기와 배경의 밝기 차이가 나는 좌표들을 구하고, 구해진 좌표들 중 가장 좌측의 X좌표, 가장 우측의 X좌표, 가장 위의 Y좌표, 가장 아래의 Y좌표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을 추출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 제어부는,
    특정시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과 특정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간의 차이 값이, 설정된 움직임 설정 값을 넘어선 경우,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 제어부는,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특정시간에서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및 특정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간 차의 크기가, 설정된 잡음 제거 값보다 작은 스크린 영역의 모든 화소 값을 '0'으로 하고 설정된 잡음 제거 값보다 큰 스크린 영역의 모든 화소 값을 설정된 화소 값으로 변환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 제어부는,
    특정시간에서의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및 특정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간 차의 크기가 설정된 시간이상인 경우 스크린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정지한 것으로 판단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6. 이미지 센서에서 발생된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설정을 위한 영상의 밝기와 배경과의 밝기 차이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터치 스크린 영역을 N*M(N, M≥인 정수)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특정 시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과 특정 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의 차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움직임 여부 및 정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물체의 움직임이 발생하여 정지한 경우, 터치 스크린 영역을 따라서 움직임이 정지된 물체가 접한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로부터 거리가 가장 먼 위치를 움직임 물체의 최종 터치 위치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의 터치 위치 검출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발생된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설정을 위한 영상의 밝기와 배경과의 밝기 차이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이미지 센서에서 수신된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설정을 위한 영상의 밝기와 배경의 밝기 차이가 나는 좌표들을 구하는 단계; 와
    상기 구해진 좌표들 중 가장 좌측의 X좌표, 가장 우측의 X좌표, 가장 위의 Y좌표, 가장 아래의 Y좌표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의 터치 위치 검출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시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과 특정 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의 차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의 물체의 움직임 여부 및 정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특정시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과 특정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간의 차이 값이, 설정된 움직임 설정 값을 넘어선 경우,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의 터치 위치 검출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시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과 특정 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의 차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의 물체의 움직임 여부 및 정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특정시간에서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및 특정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간 차의 크기가, 설정된 잡음 제거 값보다 작은 스크린 영역의 모든 화소 값을 '0'으로 하고 설정된 잡음 제거 값보다 큰 스크린 영역의 모든 화소 값을 설정된 화소 값으로 변환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의 터치 위치 검출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시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과 특정 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획득 영상 중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의 차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의 물체의 움직임 여부 및 정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특정시간에서의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및 특정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전에서의 터치 스크린 영역의 프레임 간 차의 크기가 설정된 시간이상인 경우 스크린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정지한 것으로 판단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의 터치 위치 검출방법.
KR1020100106273A 2010-10-28 2010-10-28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및 그 터치 스크린 장치의 터치 위치 검출방법 KR201200447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273A KR20120044783A (ko) 2010-10-28 2010-10-28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및 그 터치 스크린 장치의 터치 위치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273A KR20120044783A (ko) 2010-10-28 2010-10-28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및 그 터치 스크린 장치의 터치 위치 검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783A true KR20120044783A (ko) 2012-05-08

Family

ID=46264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273A KR20120044783A (ko) 2010-10-28 2010-10-28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및 그 터치 스크린 장치의 터치 위치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478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811A (ko) 2017-05-04 2018-11-14 임성현 터치 인터랙션이 가능한 프로젝터
KR20180122810A (ko) 2017-05-04 2018-11-14 임성현 터치 인터랙션이 가능한 프로젝터
KR101949103B1 (ko) * 2018-10-10 2019-05-21 (주)셀빅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방법 및 3d 동적 활성화 시스템
KR20190063593A (ko)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애니랙티브 팬틸트 능동제어형 미러 스크린 프로젝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811A (ko) 2017-05-04 2018-11-14 임성현 터치 인터랙션이 가능한 프로젝터
KR20180122810A (ko) 2017-05-04 2018-11-14 임성현 터치 인터랙션이 가능한 프로젝터
KR20190063593A (ko)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애니랙티브 팬틸트 능동제어형 미러 스크린 프로젝터
KR101949103B1 (ko) * 2018-10-10 2019-05-21 (주)셀빅 오프라인 스케치 콘텐츠의 3d 동적 활성화 방법 및 3d 동적 활성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8635B2 (en) Rapid gesture re-engagement
US9507437B2 (en) Algorithms, software and an interaction system that support the operation of an on the fly mouse
KR102462644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041784B2 (en) Distance image acquisition apparatus and distance image acquisition method
US1064242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9576193B2 (en) Gesture recognition method and gesture recogni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985674B1 (ko) 비접촉식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 인식 방법 및 그 장치
US201302661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object tracking
US9218060B2 (en) Virtual mouse driving apparatus and virtual mouse simulation method
JP2019164842A (ja) 人体行動分析方法、人体行動分析装置、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KR101883291B1 (ko) 이동장치의 제스처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20044783A (ko) 프로젝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및 그 터치 스크린 장치의 터치 위치 검출방법
CN112507767B (zh) 脸部辨识方法及其相关电脑系统
TW201621814A (zh) 影像感測裝置與影像感測的方法
US8866921B2 (en) Devices and methods involving enhanced resolution image capture
KR20100118317A (ko) 휴대단말의 제스처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101216833B1 (ko) 비접촉식 스크린 제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비접촉식 스크린 제어 방법
KR100952603B1 (ko) 카메라를 이용한 화면 스크롤 장치 및 방법
US939640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KR101200009B1 (ko) 사용자의 손 동작을 이용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83051B1 (ko) 깊이 센서 방식의 공간 터치 감지 장치, 방법 및 스크린장치
KR20080041760A (ko) 로봇에서 입력 장치 기능을 위한 움직임 검출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50074878A (ko) 휴대 단말기의 이미지 프레임 내 피사체 간 거리 측정 방법
US20170041500A1 (en) Apparatus, image read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30086493A (ko) 카메라 렌즈를 조절하여 인식할 문자열을 영상의 중앙에 인식 가능한 크기로 위치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