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087B1 - 판재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판재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087B1
KR101949087B1 KR1020180081156A KR20180081156A KR101949087B1 KR 101949087 B1 KR101949087 B1 KR 101949087B1 KR 1020180081156 A KR1020180081156 A KR 1020180081156A KR 20180081156 A KR20180081156 A KR 20180081156A KR 101949087 B1 KR101949087 B1 KR 101949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ll
separating
hol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이
Original Assignee
박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이 filed Critical 박진이
Priority to KR1020180081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0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2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 B65G2814/031Removing from the to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판재분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된 판재 주변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재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조절부재를 가지는 프레임; 일단이 상기 조절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높이조절기둥과 상기 높이조절기둥에 연결되어, 상기 판재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분리롤로 구성된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의 상기 판재를 향한 면에 연결되며, 상기 적층된 판재의 외측면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판재의 두께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판재분리장치{PLATE SEPARATION DEVICE}
본 발명은 적층된 판재를 용이하게 분리 및 이송할 수 있는 판재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강판 또는 플라스틱판 등 판재는 제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인 소재이다. 따라서, 대량 생산되어, 수백 매를 적층한 팩(Pack)의 형태로 저장되거나 작업자에게 배송된다. 특히 금속 판재는 부식을 막기 위해 외피에 방청유 등 오일이 도포되는데, 이러한 오일은 적층된 판재 사이로 스며들어 판재의 분리를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적층된 판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 또는 기구는 대량 생산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팩의 형태로 적층된 판재를 독립적으로 인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크게 자석을 사용하는 방식과, 흡착부재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나뉘어진다.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을 사용하는 방식은 우선 적재된 팩의 측면에 자석을 부착한다. 이때 자석이 붙은 면은 자석의 반대 극으로 자화가 일어나게 된다. 즉, 적층된 판재가 자석으로 인해 동일한 극성을 갖게 되고, 이로 인해 판재가 서로 분리된다.
그러나, 이러한 자석을 사용하는 방식은 철판이나 강판 등 강자성체 금속으로 구성된 판재를 분리하는 경우가 아니면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흡착부재를 판재의 상단부에 부착하여 분리하는 방식은 각 판재의 접착성이 강할 경우,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복수개의 판재가 동시에 올라가는 경우가 발생하곤 하였다.
따라서, 작업자가 사전에 직접 분리용 툴을 통해 각 판재를 분리하는 과정이 필요하여 공정에 인적 및 시간적 손실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층된 판재를 용이하게 분리 및 이송할 수 있는 판재 분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층된 판재 주변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재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조절부재를 가지는 프레임; 일단이 상기 조절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높이조절기둥과 상기 높이조절기둥에 연결되어, 상기 판재의 외측면을 가압하고, 회전기둥을 가지는 분리롤로 구성된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의 상기 판재를 향한 면에 연결되며, 상기 적층된 판재의 외측면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판재의 두께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리부는, 상기 높이조절기둥이 끼워지는 높이조절홀이 형성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분리롤을 상기 판재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분리롤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분리몸체; 및 상기 분리몸체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리롤의 양 단부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중심부에 내측면을 따라 복수개의 베어링이 위치하는 회전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홀에 상기 분리롤의 상기 회전기둥이 끼워지는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상기 판재를 향한 면에 위치하여, 상기 판재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 및 상기 회전부재와 마주보는 회전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광원에서 발생한 상기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판을 포함하는 판재분리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는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조절홀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조절심재; 상기 조절심재를 내부에 위치시켜 끼움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재와 이웃한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조절홀과 접하는 면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조절몸체; 및 상기 조절홀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심재 및 상기 조절몸체를 고정하는 조절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롤은 상기 분리롤의 양단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과 접하는 회전기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분리롤은 외측면에 복수개의 분리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는 상기 분리롤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회전기둥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연장기둥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회전기둥 또는 상기 연장기둥이 끼움결합되는 연장홀이 형성되는 연장롤을 가지는 연장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롤은 외측면에 복수개의 연장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분리장치는 판재의 재질에 관계없이 적층된 판재에서 각각의 판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분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분리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판재분리장치의 판재를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4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측정부로 판재의 두께를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분리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서 볼 때, 바퀴(90)에서 조절부재(13) 방향을 상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하고, 조절부재(13)에서 바퀴(90) 방향을 하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분리장치(1)는 프레임(10), 분리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0)은 지지부재(11) 및 조절부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재(11)는 지면과 수직하게 위치되고,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지지부재(11)의 지면을 향한 면에는 회전 구동되는 바퀴(90)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분리장치(1)는 바퀴(90)를 매개로 지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지지부재(11)는 판재의 형태에 따라 구비되는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판재(2a)의 형태가 사각형일 경우, 판재(2a)가 적층되어 형성하는 구조물인 팩(2)은 사각형을 밑면으로 갖는 직육면체 형태를 갖게 된다.
이때, 지지부재(11)는 팩(2)의 수직 방향의 모서리와 접하며 배치될 수 있다. 팩(2)의 수직 방향의 모서리와 접하는 지지부재(11)는 후술할 조절부재(13)와 함께 팩(2)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를 갖는 프레임(10)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11)의 일측면에는 게시부재(65)가 형성될 수 있다.
게시부재(65)는 후술할 측정부(6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측정부(6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작업자가 파악할 수 있는 숫자 등의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게시부재(65)에는 하나 이상의 게시패널(65a)이 형성될 수 있다.
게시패널(65a)은 복수개의 LED 또는 OLED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또는 디지털 액정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게시패널(65a)은 게시부재(65)에서 처리된 측정부(60)의 신호를 작업자에게 게시할 수 있다.
한편, 조절부재(13)는 지지부재(11)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조절부재(13)는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지지부재(1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재(13)의 양단은 각각의 지지부재(11)의 상부 측면과 결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부재(13)는 지지부재(11)의 개수에 대응되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조절부재(13)는 서로 이웃한 지지부재(11)를 서로 결속하여 팩(2)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프레임(10)을 구성할 수 있다.
조절부재(13)는 조절심재(14), 조절핀(15) 및 조절몸체(16)로 구성될 수 있다.
조절심재(14)는 일측면이 복수개의 지지부재(11) 중 하나와 결합되는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심재(14)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절심재(14)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조절홀(14a)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몸체(16)는 일단이 복수개의 지지부재(11) 중 조절심재(14)와 결합된 지지부재(11)가 아닌 다른 지지부재(11) 중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조절몸체(16)의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조절심재(14)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몸체(16)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절심재(14)에 대응되어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조절몸체(16)는 내부에 조절심재(14)가 위치되어, 조절심재(14)가 조절몸체(16)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조절몸체(16)는 조절심재(14)의 조절홀(14a)이 형성되는 면과 접하는 면에 조절몸체(16)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조절핀(15)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핀(15)은 조절몸체(16)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되며, 조절핀(15)의 일단은 조절몸체(16)의 면을 관통하여 조절심재(14)의 조절홀(14a)에 끼워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절심재(14)는 조절몸체(1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절부재(13)의 길이가 변화하게 된다.
조절부재(13)의 길이 조정을 마친 후, 작업자는 조절몸체(16)의 면에 관통 형성된 조절핀(15)을 조절심재(14)의 복수개의 조절홀(14a) 중 하나에 끼워, 조절심재(14)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분리장치(1)는 조절부재(13)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판재(2a)의 크기에 따라 프레임(1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조절부재(13)는 지면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높이조절기둥(19)을 구비할 수 있다.
높이조절기둥(19)은 조절부재(13)의 조절몸체(16)의 지면을 향한 면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기둥(19)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조절기둥(19)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팩(2)이 위치되는 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는 각각의 조절몸체(16)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분리부(30)는 높이조절기둥(19)을 매개로 프레임(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분리부(30)는 높이조절기둥(19)의 개수에 대응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분리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분리부(30)는 고정부재(31), 분리몸체(33), 분리롤(35) 및 회전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31)는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높이조절홀(31a)이 형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홀(31a)은 도 1에 도시한 높이조절기둥(19)이 끼워질 수 있도록 높이조절기둥(19)의 폭 방향 단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31)의 높이조절홀(31a)이 형성된 면과 수직한 면에는 높이조절홀(31a)의 내측면까지 관통되는 나사홀(31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나사홀(31b)은 내측면을 따라 나사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재(31)는 나사홀(31b)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70)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나사(70)는 나사홀(31b)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홈에 대응되어 나사돌기(미도시)가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나사기둥(70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재(31)의 높이조절홀(31a)에 높이조절기둥(19)이 끼워지고, 나사홀(31b)에는 고정나사(70)가 나사결합하게 된다.
나사기둥(70a)은 단부가 나사홀(31b)을 관통하여 높이조절홀(31a)에 위치하고 있는 높이조절기둥(19)의 외측면을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고정나사(70)를 조이는 것으로 높이조절홀(31a)에 끼워진 높이조절기둥(19)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높이조절홀(31a)의 내측면과 높이조절기둥(19) 사이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높이조절기둥(19)과의 마찰력이 커짐에 따라 고정부재(31)는 높이조절기둥(19)와 밀착되어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분리장치(1)는 고정부재(31)로 분리부(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분리롤(35)은 도 1에 도시한 판재(2a)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리롤(35)의 외측면을 따라 복수개의 분리돌기(35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리롤(35)의 중심부에는 분리롤(35)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회전기둥(37)이 위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전기둥(37)의 외측면에는 분리롤(35)이 형성되고, 분리롤(35)의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분리돌기(35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회전부재(34)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회전부재(34)는 분리롤(35)의 양단과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회전부재(34)의 중심부에는 회전홀(34a)이 형성되고, 이 회전홀(34a)에는 분리롤(35)의 회전기둥(37)이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분리롤(35)은 회전기둥(37)을 중심축으로 하여,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재(34)는 이러한 회전기둥(37)의 외측면과 회전홀(34a)의 내측면을 매개로 접하며, 회전하는 분리롤(35)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회전홀(34a)의 내측면에는 회전기둥(37)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베어링(34b)이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34b)은 회전홀(34a)의 내측면 대신 회전기둥(37)과 접하여, 회전홀(34a)의 내측면 및 회전기둥(37)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줄이는 한편, 구름 운동을 통해 회전기둥(37) 및 회전기둥(37)과 연결된 분리롤(35)의 회전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분리몸체(33)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에서 보았을 때, 일측이 개방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리몸체(33)의 개방된 일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회전부재(34)가 결합되고, 타측면은 고정부재(31)와 결합된다.
분리몸체(33)는 하나 이상의 구동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는 회전축이 회전기둥(37)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구동모터(41) 및 구동모터(41)와 연결되는 구동바퀴(4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바퀴(43)는 분리롤(35)과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작업자는 구동모터(41)를 작동시켜 구동바퀴(43)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바퀴(43)와 접하고 있는 분리롤(35) 또한 구동바퀴(43)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를 통해 구동부(40)는 분리롤(35)을 회전시켜, 판재의 분리 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40)는 분리롤(35)이 지면을 향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분리롤(35)은 판재와 접하는 면에서 위쪽 방향으로 회전되며 판재를 위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분리장치(1)는 분리부(30)의 분리롤(35)의 회전으로 판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분리장치(1)는 연장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재(50)는 연장롤(55) 및 연장기둥(5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연장롤(55)은 분리롤(35)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장롤(55)의 외측면을 따라 복수개의 연장돌기(55a)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롤(55)은 예를 들어, 분리롤(35)과 동일한 폭 방향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장롤(55)과 분리롤(35)은 동일한 크기의 반경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연장롤(55)의 일단 쪽의 면에는 연장홀(53)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홀(53)은 회전기둥(37) 및 연장기둥(51)과 동일한 폭 방향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장롤(55)은 연장홀(53)에 분리롤(35)의 회전기둥(37) 또는 연장부재(50)의 연장기둥(51)을 끼우는 방식으로 분리롤(35) 또는 다른 연장부재(50)와 결합될 수 있다.
연장기둥(51)은 연장롤(55)의 일단에서 연장롤(55)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장기둥(51)은 회전기둥(37)과 폭 방향 단면이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연장홀(53)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전기둥(37)의 양단에 연장홀(53)이 형성된 분리롤(35)이 끼움결합하는 방식으로 분리부(30)와 연장부재(5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재(50)의 연장기둥(51)에 다른 연장부재(50)의 연장홀(53)이 끼움결합되며, 복수개의 연장부재(50)를 결합하여 분리부(30)의 전체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분리장치(1)는 도 1에 도시한 조절부재(13)로 판재의 길이에 따라 프레임(1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판재의 크기에 따라 조절부재(13)로 프레임의 전체적인 크기를 키워 프레임(10)이 판재가 적층된 팩(2)을 둘러싸도록 구성할 수 있다.
분리부(30)는 조절부재(13)의 길이가 변화함에 따라 연장부재(50)를 추가로 구비하거나 또는 구비한 연장부재(50)를 분리부(30)에서 제거하는 방식으로 분리부(30)의 전체적인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분리장치(1)는 판재의 크기에 따라 분리부(30)의 길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분리몸체(33) 및 고정부재(31) 사이에는 탄성부재(32)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32)는 예를 들어, 탄성을 가진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구성되거나, 또는 복수개의 스프링이 결합된 매트리스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판재분리장치의 판재를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분리장치(1)는 프레임(10)의 내부에 판재(2a)가 적층된 구조물인 팩(2)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고정부재(31)의 고정나사(70)를 풀어 고정부재(31)의 높이를 팩(2)의 높이까지 조절한 뒤 다시 고정나사(70)를 조여 고정부재(31)의 높이를 팩(2)의 높이와 맞추도록 조절하게 된다.
이때, 복수개의 분리부(30)는 팩(2)과 접하게 되면 팩(2)에 의해 프레임(10)의 외측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분리부(30)의 탄성부재(32)는 팩(2)이 분리부(30)를 밀어내는 힘에 대응되어 발생하는 탄성력으로 팩(2)의 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를 통해, 분리부(30)는 팩(2)의 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탄성부재(32)는 탄성력을 매개로 팩(2) 및 판재(2a)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작업자는 구동부(40)의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부(40) 및 구동부(40)와 연결된 분리롤(35)을 회전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분리롤(35)의 회전 방향은 판재(2a) 및 팩(2)과 접하는 면에서 위쪽을 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판재(2a) 및 팩(2)과 접하는 지점에서 위쪽으로 회전하는 분리롤(35)은 지속적으로 팩(2)에 적층된 판재(2a)를 위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복수개의 분리돌기(35a)는 분리롤(35)의 전체적인 단면적을 키워 팩(2) 사이에서 작용하는 마찰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분리롤(35)은 분리돌기(35a)를 매개로 판재(2a) 및 팩(2)의 측면에 지속적으로 마찰력을 가하게 된다. 이후, 팩(2)에 적층된 판재(2a) 사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보다 판재(2a)와 분리롤(35)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크기가 커지면 판재(2a)는 팩(2)에서 분리되어 위로 들어올려진다.
이때, 판재(2a)가 들어올려지는 과정에서 분리돌기(35a)는 판재의 하면을 떠받드는 방식으로 판재(2a)를 지지하여, 판재(2a)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32)는 판재(2a)가 분리된 이후에도 탄성력을 매개로 판재(2a)를 가압하여, 분리롤(35) 및 판재(2a) 사이에 작용하는 수직항력의 크기를 크게 하여, 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크기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분리장치(1)는 분리롤(35)로 적층된 판재(2a)를 용이하게 분리 및 고정할 수 있다.
판재(2a)의 분리 작업이 끝나면 작업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판재 이송 기기를 통해 판재(2a)를 이송하거나, 또는 도 1에 도시한 바퀴(90)를 통해 직접 프레임(10)을 이동하도록 하여 판재(2a)를 목표로 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분리장치(1)는 분리된 판재(2a)를 용이하게 목표로 하는 장소로 이송할 수 있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측정부로 판재의 두께를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4의 (a) 및 (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분리장치(1)는 광원(61) 및 수광판(63)을 갖는 측정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고하면, 광원(61)은 회전부재(34)의 판재(2a) 및 팩(2)을 향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원(61)은 단일 파장대의 광(L)을 팩(2)의 측면에 수직하게 조사할 수 있다. 광원(61)에서 생성되는 광(L)은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2a)와 팩(2)이 분리가 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팩(2)의 측면에서 반사된다.
한편, 수광판(63)은 광원(61)이 형성된 분리부(30)와 마주보는 곳에 위치하는 다른 분리부(30)의 회전부재(34)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광판(63)은 광원(61)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배치되어, 발생하는 광(L)의 연장선이 수광판(63)에 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광판(63)은 황화카드뮴(Cds), 포토트랜지스터, 포토다이오드 등의 조도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조도 소자는 특정한 파장대의 빛이 도달하면, 광전효과로 인해 전자가 수광판(63)에서 광전자의 형태로 이탈하여 저항의 크기가 변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수광판(63)은 광원(61)에서 발생하는 광(L)의 파장대에 대응되도록 구성하여, 광원(61)에서 발생하는 광(L)에만 반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2a)의 분리가 일어나는 경우, 광(L)의 진행 경로 상에 위치하던 판재가 위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 경우, 광원(61)에서 조사되는 광(L)은 그대로 직선으로 진행하여 반대편에 위치한 수광판(63)에 도달하게 된다. 수광판(63)은 광(L)의 에너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경하여 도 1에 도시한 게시부재(65)로 전달하게 된다.
즉, 판재(2a)가 광원(61)과 수광판(63)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광(L)은 수광판(63)에 도달하지 못하고, 수광판(63)은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반대로 판재(2a)가 위로 들어올려져 광(L)이 수광판(63)에 닿으면 수광판(63)에서 만들어지는 전기적 신호는 게시부재(65)에 전달된다.
판재(2a)가 분리롤(35)로 인해 분리되어 위로 들어올려지는 속력은 분리롤(35)의 판재(2a)와 접하는 지점에서의 선속력과 일치한다. 빛의 속도는 실생활의 기준에서는 즉시라고 쳐도 무방하므로, 분리롤(35)의 선속도에 판재(2a)가 통과하며 수광판(63)이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지 않은 시간을 곱한다면 판재(2a)의 두께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게시부재(65)는 각 판재(2a)가 통과하는 시간의 평균을 구하도록 설정하여, 시간의 평균값에 분리롤(35)의 판재(2a)가 접하는 면의 선속도를 곱한 값, 즉 판재(2a)의 평균 두께를 게시패널(65a)을 통해 작업자에게 공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분리장치(1)는 광을 통해 판재(2a)의 두께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판재분리장치 2 : 팩
2a : 판재 10 : 프레임
11 : 지지부재 13 : 조절부재
14 : 조절심재 14a : 조절홀
15 : 조절핀 16 : 조절몸체
17 : 관통홀 19 : 높이조절기둥
30 : 분리부 31 : 고정부재
31a : 높이조절홀 31b: 나사홀
32 : 탄성부재 33 : 분리몸체
34 : 회전부재 34a : 회전홀
34b : 베어링 35 : 분리롤
35a : 분리돌기 37 : 회전기둥
40 : 구동부 41 : 구동모터
43 : 구동바퀴 50 : 연장부재
51 : 연장기둥 53 : 연장홀
55 : 연장롤 55a : 연장돌기
60 : 측정부 61 : 광원
63 : 수광판 65 : 게시부재
65a : 게시패널 70 : 고정나사
70a : 나사기둥 90 : 바퀴

Claims (8)

  1. 적층된 판재 주변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재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조절부재를 가지는 프레임;
    일단이 상기 조절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높이조절기둥과 상기 높이조절기둥에 연결되어, 상기 판재의 외측면을 가압하고, 회전기둥을 가지는 분리롤로 구성된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의 상기 판재를 향한 면에 연결되며, 상기 적층된 판재의 외측면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판재의 두께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리부는,
    상기 높이조절기둥이 끼워지는 높이조절홀이 형성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분리롤을 상기 판재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분리롤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분리몸체; 및
    상기 분리몸체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리롤의 양 단부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중심부에 내측면을 따라 복수개의 베어링이 위치하는 회전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홀에 상기 분리롤의 상기 회전기둥이 끼워지는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상기 판재를 향한 면에 위치하여, 상기 판재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 및
    상기 회전부재와 마주보는 회전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광원에서 발생한 상기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판을 포함하는 판재분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조절홀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조절심재;
    상기 조절심재를 내부에 위치시켜 끼움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재와 이웃한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조절홀과 접하는 면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조절몸체; 및
    상기 조절홀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심재 및 상기 조절몸체를 고정하는 조절핀을 포함하는 판재분리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롤은,
    외측면에 복수개의 분리돌기가 형성되는 판재분리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분리롤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회전기둥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연장기둥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회전기둥 또는 상기 연장기둥이 끼움결합되는 연장홀이 형성되는 연장롤을 가지는 연장부재를 더 포함하는 판재분리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롤은,
    외측면에 복수개의 연장돌기가 형성되는 판재분리장치.
  8. 삭제
KR1020180081156A 2018-07-12 2018-07-12 판재분리장치 KR101949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156A KR101949087B1 (ko) 2018-07-12 2018-07-12 판재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156A KR101949087B1 (ko) 2018-07-12 2018-07-12 판재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087B1 true KR101949087B1 (ko) 2019-02-15

Family

ID=6536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156A KR101949087B1 (ko) 2018-07-12 2018-07-12 판재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08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2226A (zh) * 2019-04-15 2019-07-12 中国矿业大学 复合地板生产线用粘板分离和间隔翻板上料装置
CN110509566A (zh) * 2019-07-26 2019-11-29 无锡市井上海绵有限公司 海绵覆膜系统的上料装置
CN111112003A (zh) * 2019-12-31 2020-05-08 韩丽玮 一种板材加工装置及加工方法
WO2021217290A1 (en) * 2020-04-26 2021-11-04 Abb Schweiz Ag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objects
KR20240082644A (ko) 2022-12-02 2024-06-11 쓰리피로봇 주식회사 전자석 코어에 설치되는 소재 탈락장치
KR20240139487A (ko) 2023-03-14 2024-09-23 쓰리피로봇 주식회사 소재 흡탈착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3468A (ja) 2004-10-18 2006-06-08 Tie:Kk 板材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3468A (ja) 2004-10-18 2006-06-08 Tie:Kk 板材分離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2226A (zh) * 2019-04-15 2019-07-12 中国矿业大学 复合地板生产线用粘板分离和间隔翻板上料装置
CN110509566A (zh) * 2019-07-26 2019-11-29 无锡市井上海绵有限公司 海绵覆膜系统的上料装置
CN110509566B (zh) * 2019-07-26 2021-11-02 无锡市井上海绵有限公司 海绵覆膜系统的上料装置
CN111112003A (zh) * 2019-12-31 2020-05-08 韩丽玮 一种板材加工装置及加工方法
WO2021217290A1 (en) * 2020-04-26 2021-11-04 Abb Schweiz Ag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objects
US12077396B2 (en) 2020-04-26 2024-09-03 Abb Schweiz Ag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objects
KR20240082644A (ko) 2022-12-02 2024-06-11 쓰리피로봇 주식회사 전자석 코어에 설치되는 소재 탈락장치
KR20240139487A (ko) 2023-03-14 2024-09-23 쓰리피로봇 주식회사 소재 흡탈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087B1 (ko) 판재분리장치
CN104670937B (zh) 一种自动叠片机及自动叠片方法
CN105109979B (zh) 一种板材的自动翻板输送装置
US676407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ving media along a media path
RU237037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несения на полосу материала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го участка поверхности переносного слоя переводной фольги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CN113213149B (zh) 一种组装设备
KR102503286B1 (ko) 타워 리프트
CN110394641B (zh) 一种自动安装弹垫和螺母的装置及弹垫螺母安装方法
CN212862903U (zh) 一种动力滚筒剔除收集一体机
CN103118964A (zh) 用于加工板状元件的包括链条组张紧器的机器
KR101297008B1 (ko) 이차 전지용 전극의 자동 이중 라벨링 장치 및 그의 위치 변경 장치
CN111391337B (zh) 一种尼龙自锁螺母的尼龙圈套嵌装置
EP3858499A1 (en) Efficient flexible sorting device for logistics
CN211427044U (zh) 一种便于调节高度的双工位直投式光刻机
CN201971748U (zh) 一种陶瓷锦砖的马赛克自动铺片装置
CN110834756A (zh) 一种工业生产用带有定位测量装置的智能输送装置
US5696802A (en) Sheet counter head control
CN211970986U (zh) 一种用于柔性物料加工的自动取菲系统
CN207107031U (zh) 输送线的板材堆叠机构
JP5925562B2 (ja) バトンの昇降装置
KR101222393B1 (ko) 극판용 라미네이팅 장치
CN106499324B (zh) 一种适用于电动卷帘门机的刹车装置
CN211544049U (zh) 一种工业生产用带有定位测量装置的智能输送装置
CN110014689B (zh) 基于磁性原理在单一模具上实现内方盒成型的装置
CN210555732U (zh) 一种蔬菜裹膜机的出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